티베트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베트고원은 산맥, 소금 호수, 건조 스텝 지형을 가진 고원이다. 평균 강수량은 적지만, 유목 생활이 이루어지며, 북서부로 갈수록 고도가 높아지고 기온이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과거에는 빙하로 덮여 있었고, 현재는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가 감소하고 있다. 지질학적으로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생태계를 지탱하고 있다. 또한, 티베트 고원은 여러 주요 강들의 발원지이며, 리튬 채굴, 핵폐기물 처리와 같은 자원 및 환경 문제와 정치적 갈등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고원 - 데칸고원
데칸고원은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원 지대로, 빈디아-사트푸라 산맥에서 타밀나두 북쪽까지 뻗어 있으며 서고츠 산맥과 동고츠 산맥에 의해 경계 지어지고, 다양한 왕조의 흥망성쇠와 신석기 시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왔으며, 지질학적으로 안정적인 육지 지형으로 백악기 말 화산 폭발로 형성된 데칸 트랩으로 덮여 있고, 다양한 기후와 지형 덕분에 동식물 다양성이 높고 농업과 IT 산업이 발달했다. - 파키스탄의 고원 - 이란고원
이란고원은 카스피해와 페르시아만 사이의 광대한 고원 지대로, 산맥, 사막, 호수를 포함하며 엘람 문명과 연결되어 아리아나로 불렸고 현재 이란의 기원이 된 지정학적 요충지이다.
티베트고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칭짱 고원 (중국어: Qīng–Zàng Gāoyuán) 설역고원 (중국어: 雪域高原) 히말라야 고원 (영어: Himalayan Plateau) |
위치 | 중국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서부 쓰촨성, 북부 윈난성, 남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부 간쑤성) 인도 (라다크,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지), 북부 및 동부 히마찰프라데시 주, 북부 우타라칸드 주, 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북부 시킴 주, 다르질링) 파키스탄 (발티스탄) 아프가니스탄 (와칸 회랑) 네팔 (북부 네팔) 부탄 타지키스탄 (동부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남부 키르기스스탄) |
면적 | 2,500,000 제곱킬로미터 |
길이 | 2,500 킬로미터 |
너비 | 1,000 킬로미터 |
지리 | |
고도 | 평균 4,500 미터 이상 |
특징 | 히말라야산맥 남쪽,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 사이 |
환경 | |
기후 | 최근 수십 년 동안 기온 상승 |
생물 군계 | 기후 변화에 반응 |
영구 동토층 | 기후 변화에 반응 |
기타 정보 | |
언어 | 티베트어 |
2. 지리
티베트고원은 산맥과 소금 호수가 분포한 고원의 건조, 스텝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한 해 평균 강수량은 100 mm에서 300 mm로, 강수량의 대부분은 우박을 이룬다. 유목민들은 고원의 남부 및 동부 경계의 한 해 6개월가량 서리가 내리는 목초지에서 유목 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고원의 북부과 북서부에 위치한 외딴 커커시리 지역에 이르기까지 북서부로 갈수록, 고원의 고도가 높아지며, 기온이 떨어지며, 토질이 척박해짐을 알 수 있다. 이 지역 평균 고도는 5,000 m가 넘으며, 대기 속 산소량은 해수면 산소량의 60%에 맞먹으며, 한 해 평균 영하 4'C의 기온을 나타내며, 최저 기온은 영하 40'C까지 떨어진다.
커커시리는 이러한 극한의 환경으로 인하여, 전 아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희박하며 전 세계적으로 남극과 북쪽의 그린란드 다음인 세 번째로 인구 밀도가 희박한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몬순은 육지와 바다 사이의 지표면 온도 계절 변화의 진폭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육지와 물의 가열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바다의 가열은 바람과 부력에 의해 생성된 난류를 통해 최대 50미터 깊이의 "혼합층"으로 수직적으로 분포되는 반면, 육지 표면은 열을 천천히 전도하여 계절적 신호는 1미터 정도만 투과한다. 또한 액체 물의 비열은 육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물질보다 훨씬 크다.[36]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해 보면, 계절 순환에 참여하는 층의 열용량은 바다 위보다 육지 위에서 훨씬 작아서 육지는 바다보다 빠르게 가열되고 냉각된다. 결과적으로 육지 위의 공기는 바다 위의 공기보다 빠르게 가열되어 더 높은 온도에 도달한다.[36] 육지 위의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저기압 지역이 생성된다. 그러면 기압 이상으로 인해 습한 공기를 포함한 바다 표면으로부터 육지 쪽으로 꾸준한 바람이 불게 된다.
겨울에는 육지가 빠르게 식지만 바다는 열을 더 오래 유지한다. 바다 위의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여 저기압 지역과 육지에서 바다로 향하는 바람을 생성하는 반면, 겨울철 냉각으로 인해 육지 위에는 광범위한 건조한 고기압 지역이 형성된다.[36] 몬순은 해안선 근처에서 어디에서나 발생하는 국지적인 일주기 순환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해륙풍과 유사하지만 규모가 훨씬 크고 강하며 계절적이다.[37] 티베트 고원의 가열과 냉각과 관련된 계절풍의 변화와 날씨는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몬순이다.
현재 티베트 고원은 대기의 중요한 가열면이다. 그러나 최종 빙기 최대기(Last Glacial Maximum) 동안에는 약 2,400,000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빙상이 고원을 덮고 있었다.[38][39][40] 아열대 지역에서 이처럼 광범위한 빙하 작용은 복사 강제력의 중요한 요소였다. 훨씬 낮은 위도에 위치했기 때문에 티베트의 빙하는 고위도의 빙하보다 단위 면적당 최소 4배 이상의 복사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반사했다. 따라서 현대의 고원이 상층 대기를 가열하는 반면, 최종 빙하기 동안에는 대기의 냉각에 기여했다.[41]
이러한 냉각은 지역 기후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쳤다. 가열에 의한 열적 저기압이 없었기 때문에 인도 아대륙 상공에는 몬순이 없었다. 이러한 몬순의 부재는 사하라 사막에 강우를, 타르 사막의 확장을, 아라비아해로의 더 많은 먼지 퇴적을, 그리고 인도 아대륙의 생물대 저하를 초래했다. 동물들은 이러한 기후 변화에 반응하여 자바사슴(Javan rusa)이 인도로 이동했다.[42]
또한 티베트의 빙하는 낮은 위도에 의한 강한 증발에도 불구하고 차이다무 분지, 타림 분지, 그리고 고비 사막에 빙하호를 만들었다. 빙하에서 나온 암석 가루와 점토는 이러한 호수에 축적되었다. 빙하기가 끝나고 호수가 말랐을 때, 미사와 점토는 고원의 카타바틱 풍에 의해 날아갔다. 이러한 공중에 떠 있는 미세한 알갱이들은 중국 저지대의 엄청난 양의 뢰스를 만들어냈다.[42]
2. 1. 기후
몬순은 육지와 바다 사이의 지표면 온도 계절 변화의 진폭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육지와 물의 가열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바다의 가열은 바람과 부력에 의해 생성된 난류를 통해 최대 50미터 깊이의 "혼합층"으로 수직적으로 분포되는 반면, 육지 표면은 열을 천천히 전도하여 계절적 신호는 1미터 정도만 투과한다. 또한 액체 물의 비열은 육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물질보다 훨씬 크다.[36]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해 보면, 계절 순환에 참여하는 층의 열용량은 바다 위보다 육지 위에서 훨씬 작아서 육지는 바다보다 빠르게 가열되고 냉각된다. 결과적으로 육지 위의 공기는 바다 위의 공기보다 빠르게 가열되어 더 높은 온도에 도달한다.[36] 육지 위의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저기압 지역이 생성된다. 그러면 기압 이상으로 인해 습한 공기를 포함한 바다 표면으로부터 육지 쪽으로 꾸준한 바람이 불게 된다.겨울에는 육지가 빠르게 식지만 바다는 열을 더 오래 유지한다. 바다 위의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여 저기압 지역과 육지에서 바다로 향하는 바람을 생성하는 반면, 겨울철 냉각으로 인해 육지 위에는 광범위한 건조한 고기압 지역이 형성된다.[36] 몬순은 해안선 근처에서 어디에서나 발생하는 국지적인 일주기 순환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해륙풍과 유사하지만 규모가 훨씬 크고 강하며 계절적이다.[37] 티베트 고원의 가열과 냉각과 관련된 계절풍의 변화와 날씨는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몬순이다.
현재 티베트 고원은 대기의 중요한 가열면이다. 그러나 최종 빙기 최대기(Last Glacial Maximum) 동안에는 약 2,400,000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빙상이 고원을 덮고 있었다.[38][39][40] 아열대 지역에서 이처럼 광범위한 빙하 작용은 복사 강제력의 중요한 요소였다. 훨씬 낮은 위도에 위치했기 때문에 티베트의 빙하는 고위도의 빙하보다 단위 면적당 최소 4배 이상의 복사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반사했다. 따라서 현대의 고원이 상층 대기를 가열하는 반면, 최종 빙하기 동안에는 대기의 냉각에 기여했다.[41]
이러한 냉각은 지역 기후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쳤다. 가열에 의한 열적 저기압이 없었기 때문에 인도 아대륙 상공에는 몬순이 없었다. 이러한 몬순의 부재는 사하라 사막에 강우를, 타르 사막의 확장을, 아라비아해로의 더 많은 먼지 퇴적을, 그리고 인도 아대륙의 생물대 저하를 초래했다. 동물들은 이러한 기후 변화에 반응하여 자바사슴(Javan rusa)이 인도로 이동했다.[42]
또한 티베트의 빙하는 낮은 위도에 의한 강한 증발에도 불구하고 차이다무 분지, 타림 분지, 그리고 고비 사막에 빙하호를 만들었다. 빙하에서 나온 암석 가루와 점토는 이러한 호수에 축적되었다. 빙하기가 끝나고 호수가 말랐을 때, 미사와 점토는 고원의 카타바틱 풍에 의해 날아갔다. 이러한 공중에 떠 있는 미세한 알갱이들은 중국 저지대의 엄청난 양의 뢰스를 만들어냈다.[42]
3. 지질학
티베트고원은 신생대 초기(약 5500만 년 전)에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54] 이 충돌은 약 7000만 년 전 후기 백악기에 시작되었는데, 북쪽으로 이동하는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이 연간 약 15cm의 속도로 유라시아판과 충돌했다. 약 5000만 년 전,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테티스 해를 완전히 닫았으며, 해저에 쌓인 퇴적암과 가장자리를 따라 분포하는 화산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21] 이러한 퇴적물은 가벼워 해저로 가라앉는 대신 산맥으로 구겨졌다.
티베트고원이 형성되면서 상당한 기후 패턴의 변화가 있었으며, 아시아 열대 몬순에 영향을 주었다.[55] 6월에서 10월에 걸친 인도 몬순 시기에 남쪽으로부터 불어오는 습한 열대 공기는 히말라야산맥에 막혀 비그늘을 만드는데, 이 때문에 인도 북부는 매우 습하게 되는 반면, 티베트고원 지역은 매우 건조하게 된다. 바람은 고원을 지나며 남아있던 습기를 모두 잃어버리며, 더욱 건조하게 되어 북쪽으로 이동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고비 사막을 만들게 된다.[55]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티베트고원의 빙하가 녹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티베트 고원의 평균 고도는 에오세 초기 융기 이후 계속 변화했는데, 동위원소 기록에 따르면 고원의 고도는 올리고세-마이오세 경계 부근에서 해발 약 3000미터였고, 2550만 년 전에서 2160만 년 전 사이에 900미터 감소했는데, 이는 동서 방향의 신장에 따른 지각 노출 또는 기후적 풍화에 의한 침식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 후 고원은 2160만 년 전에서 2040만 년 전 사이에 500~1000미터 상승했다.[22] 고식물학적 증거는 누장 봉합대(Nujiang Suture Zone)와 야룽짱보 봉합대(Yarlung-Zangpo Suture Zone)가 최후의 올리고세 또는 초기 마이오세까지 열대 또는 아열대 저지대로 남아 티베트 전역에서 생물 교류가 가능했음을 나타낸다.[23] 라사 지괴(Lhasa terrane)와 히말라야 지괴(Himalaya terrane)의 동서 방향 지구대의 연령은 고원의 고도가 약 1400만 년 전에서 800만 년 전 사이에 현재 고도에 가까웠음을 시사한다.[24] 티베트의 침식 속도는 약 1000만 년 전에 크게 감소했다.[25]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티베트 고원 아래로 계속 수평으로 밀려 들어가 고원을 위로 밀어 올리고 있으며, 고원은 여전히 연간 약 5mm의 비율로 융기하고 있다(하지만 침식으로 인해 실제 높이 증가는 줄어든다).[26]
티베트 고원의 대부분은 비교적 구제가 낮다. 그 원인은 지질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일부는 티베트 고원이 저지대에서 형성된 융기된 준평원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저 구제는 이미 높은 고도에서 발생한 침식과 퇴적물 충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7]
4. 생태
티베트 고원은 다양한 생태계를 지탱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산악 초원으로 분류된다. 고원의 일부 지역은 고산 툰드라와 유사한 환경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은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관목지와 숲을 보인다. 고도와 강수량이 적기 때문에 고원의 종 다양성은 일반적으로 낮다. 티베트 고원에는 티베트 늑대[29], 눈표범, 야크, 키앙(야생 당나귀), 두루미, 독수리, 매, 거위, 뱀, 물소 등이 서식한다. 주목할 만한 동물 중 하나는 고도 6500m 이상에서 서식하는 고산 도약 거미(Euophrys omnisuperstes)이다.[30]
세계자연기금(World Wide Fund for Nature)이 정의한 티베트 고원의 생태 지역은 다음과 같다.
- 파미르 고산 사막 및 툰드라(Pamir alpine desert and tundra)는 티베트 고원의 서쪽 끝에서 파미르 산맥(Pamir Mountains)으로 이어지는 지역을 포함한다.
- 북티베트 고원-쿤룬 산맥 고산 사막(North Tibetan Plateau–Kunlun Mountains alpine desert)은 쿤룬 산맥(Kunlun Mountains)을 따라 티베트 고원의 북서쪽 끝을 포함한다.
- 카라코람-서티베트 고원 고산 스텝(Karakoram–West Tibetan Plateau alpine steppe)은 티베트 고원의 서쪽 끝과 라다크(Ladakh)를 포함한다.
- 북서 히말라야 고산 관목 및 초원(Northwestern Himalayan alpine shrub and meadows)은 티베트 고원의 극서쪽 경계 산맥에 위치한다.
- 중앙 티베트 고원 고산 스텝(Central Tibetan Plateau alpine steppe)은 티베트 고원 중앙부 대부분과 동쪽 창탕(Changtang)을 포함한다.
- 서쪽 히말라야 고산 관목 및 초원(Western Himalayan alpine shrub and meadows)은 가루다 계곡(Garuda Valley) 지역의 남서쪽 고원을 포함한다.
- 차이다무 분지 반사막(Qaidam Basin semi-desert)은 티베트 고원 북부의 차이다무 분지(Qaidam Basin)에 위치한다.
- 칠리안 산맥 아고산 초원(Qilian Mountains subalpine meadows)은 고원 북쪽 끝의 칠리안 산맥(Qilian Mountains)을 포함한다.
- 칠리안 산맥 침엽수림(Qilian Mountains conifer forests)은 티베트 고원 북동쪽의 산맥 일부를 포함한다.
- 티베트 고원 고산 관목지 및 초원(Tibetan Plateau alpine shrublands and meadows)은 티베트 고원 중앙부와 북동부 지역을 포함한다.
- 야룽 창포 건조 스텝(Yarlung Tsangpo arid steppe)은 야룽 창포(Yarlung Tsangpo) 강 계곡에 위치하며, 티베트 고원에 있는 대부분의 상주 인구가 거주하는 곳이다.
- 동쪽 히말라야 고산 관목 및 초원(Eastern Himalayan alpine shrub and meadows)은 히말라야(Himalayas) 북쪽에 있는 티베트 고원 남부를 포함한다.
- 동남 티베트 관목 및 초원(Southeast Tibet shrub and meadows)은 고원의 남동부와 동부를 포함하며, 다른 고지대 티베트 고원 지역보다 일반적으로 강수량이 많다.
- 북동쪽 히말라야 아고산 침엽수림(Northeastern Himalayan subalpine conifer forests)은 고원 남부의 산 계곡에 이르며, 세계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숲 중 일부를 포함한다.
- 누장 란창 협곡 고산 침엽수 및 혼합림(Nujiang Lancang Gorge alpine conifer and mixed forests)은 티베트 고원 남동부로 500km까지 이어지는 산 계곡을 포함한다.
- 헝두안 산맥 아고산 침엽수림(Hengduan Mountains subalpine conifer forests)은 고원 남동쪽 끝의 산 계곡을 포함한다.
- 췬라이-민산 침엽수림(Qionglai–Minshan conifer forests)은 고원 동쪽 끝을 포함하며, 티베트 고원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가장 울창한 숲이다.
자브예 염호에서는 세계 3위 규모의 매장량으로 알려진 리튬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49]
시추와 페키니즈의 기원이 된 라사압소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북서부는 후후실(xöxesil)이라 불리며, 티베트 영양의 서식지이다.
이 고원에는 중국의 핵폐기물 처리장이 산재해 있다.[50][51]
5. 역사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멸종된 인류인 데니소바인이 약 20만 년 전부터 4만 년 전까지 티베트 고원에 살았다.[31]
티베트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의 유목민들은 역사적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널리 퍼져 있던 유목 관행의 잔재이다.[32] 유목민들은 티베트 인구의 약 40%를 차지한다.[33] 고원에서 유목민들이 존재하는 것은 작물 재배가 부적합한 지형에서 가축을 기르는 것으로 세계의 초원에서 생존에 적응했기 때문이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고원의 가장 초기 인류 거주는 3만 년에서 4만 년 전 사이에 일어났다.[34] 티베트 고원의 식민지화 이후, 티베트 문화는 고원의 서부, 남부 및 동부 지역에서 적응하고 번영했다. 북부 지역인 창탕은 일반적으로 너무 높고 추워서 영구적인 인구를 유지할 수 없다.[35] 티베트 고원에서 발전한 가장 주목할 만한 문명 중 하나는 7세기부터 9세기까지의 티베트 제국이다.
6. 문화
인류 문화에서 이룩한 가장 큰 진보 중 하나는 유목적 목축의 발달이다. 유목민의 적응은 생존을 위한 것으로, 그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곡식 대신에 목초지에서 가축류를 기르면서 이루어졌다. 유목민들은 지금도 티베트고원과 히말라야산맥 등지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의 삶은 역사적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던 유목이 여전히 남아있는 경우에 해당한다.[57]
6. 1. 유목 문화
인류 문화에서 이룩한 가장 큰 진보 중 하나는 유목적 목축의 발달이다. 유목민의 적응은 생존을 위한 것으로, 그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곡식 대신에 목초지에서 가축류를 기르면서 이루어졌다. 유목민들은 지금도 티베트고원과 히말라야산맥 등지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의 삶은 역사적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던 유목이 여전히 남아있는 경우에 해당한다.[57]7. 티베트 고원의 강
신생대 초기(약 5500만 년 전)에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티베트 고원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54] 티베트 고원이 형성되면서 상당한 기후 패턴의 변화가 있었으며, 아시아 열대 몬순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6월에서 10월에 걸친 인도 몬순 시기에 남쪽으로부터 불어오는 습한 열대 공기는 히말라야산맥에 막혀 비그늘을 만드는데, 이 때문에 인도 북부는 매우 습하게 되는 반면, 티베트고원 지역은 매우 건조하게 된다. 바람은 고원을 지나며 남아있던 습기를 모두 잃어버리며, 더욱 건조하게 되어 북쪽으로 이동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고비 사막을 만들게 된다.[55]
세계적으로도 긴 강들이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는데, 장강, 황하, 인더스강, 사틀루즈강, 브라마푸트라강, 메콩강, 이라와디강, 땅륀강 등이 포함된다. 이들 강들은 전 세계에서 유실되는 토양의 1/4을 침식하여 수송하고 있다.
황하의 상류인 마추허, 양자강(장강)의 상류인 디추허, 메콩강, 살윈강(누강), 인더스강, 갠지스강의 상류인 야르룽짱포강 등 여러 국제하천의 유일한 발원지로서 세계 최대 규모이다. 그러나 중국이 장무 수력발전소 등 대규모 댐을 건설하고 있는 것이 국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47][48]
8. 자원
자브예 염호에서는 세계 3위 규모의 매장량으로 알려진 리튬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49] 시추와 페키니즈의 기원이 된 라사압소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북서부는 후후실(xöxesil)이라 불리며, 티베트 영양의 서식지이다.
이 고원에는 중국의 핵폐기물 처리장이 산재해 있다.[50][51]
9. 환경 문제
티베트 고원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빙하 저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기상국(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전 국장 친다허(秦大河)는 2009년에 티베트 고원의 기온 상승 속도가 중국 다른 지역보다 네 배나 빠르며, 티베트 빙하의 후퇴 속도는 세계 어느 곳보다 빠르다고 평가했다. 단기적으로는 호수가 확장되어 홍수와 산사태를 일으키고, 장기적으로는 인더스강과 갠지스강을 포함한 아시아의 주요 강들의 생명줄과 같은 빙하가 사라지면 이 지역의 물 공급이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45] 지난 50년 동안 티베트 고원의 빙하 80%가 후퇴하여 총 면적의 4.5%를 잃었다.[46]
이 지역은 기후 변화로 인한 영구 동토층 해빙으로 인한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 황하의 상류인 마추허, 양쯔강(장강)의 상류인 디추허, 메콩강, 살윈강(누강), 인더스강, 갠지스강의 상류인 야르룽짱포강 등 여러 국제하천의 유일한 발원지로서 중요한 지역이지만, 중국이 장무 수력발전소 등 대규모 댐을 건설하고 있는 것이 국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47][48]
자브예 염호에서는 세계 3위 규모의 매장량으로 알려진 리튬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49] 이 고원에는 중국의 핵폐기물 처리장이 산재해 있다.[50][51]
10. 정치
10. 1.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지배
자브예 염호에서는 세계 3위 규모의 매장량으로 알려진 리튬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49] 시추와 페키니즈의 기원이 된 라사압소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북서부는 후후실(xöxesil)이라 불리며, 티베트 영양의 서식지이다.이 고원에는 중국의 핵폐기물 처리장이 산재해 있다.[50][51]
10. 2. 티베트 망명 정부
11. 국제 관계
황하의 상류인 마추허, 양쯔강(장강)의 상류인 디추허, 메콩강, 살윈강(누강), 인더스강, 갠지스강의 상류인 야르룽짱포강 등 여러 국제하천의 유일한 발원지로서 세계 최대 규모이다. 그러나 중국이 장무 수력발전소 등 대규모 댐을 건설하고 있는 것이 국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47][48]
참조
[1]
서적
River Morphodynamics and Stream Ecology of the Qinghai-Tibet Plateau
CRC Press
2016-03-30
[2]
서적
Regional Hydrologi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3]
웹사이트
हिमालयी क्षेत्र में जीवन यापन पर रिसर्च करेंगे अमेरिका और भारत
https://www.amarujal[...]
[4]
웹사이트
In Little Tibet, a story of how displaced people rebuilt life in a distant land
https://indianexpres[...]
2020-02-18
[5]
서적
Illustrated Atlas of the World
Rand McNally & Company
1986
[6]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arperCollins
1998
[7]
웹사이트
The Tibetan Empire in Central Asia (Christopher Beckwith)
http://dannyreviews.[...]
2009-02-19
[8]
문서
Hopkirk 1983
[9]
서적
Encyclopedia of Prehistory: East Asia and Oceania, Volume 3
Springer
2001
[10]
서적
North and East Asia
https://archive.org/[...]
Heinemann-Raintree Library
2007
[11]
서적
Contractional and Extensional Tectonics During the India-Asia Collision
ProQuest LLC
2007
[12]
서적
World regions in global context: peoples, places, and environments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2002
[13]
웹사이트
Natural World: Deserts
http://java.national[...]
2006-01-12
[14]
웹사이트
Asia: Physical Geography
https://education.na[...]
2024-08-07
[15]
뉴스
Tibet: life on the climate front line
http://www.ft.com/in[...]
2013-09-01
[16]
학술지
Climatic warming in the Tibetan Plateau during recent decades
2000
[17]
학술지
A Simulation of Biomes on the Tibetan Plateau and Their Responses to Global Climate Change
2000
[18]
학술지
Responses of permafrost to climate change and their environmental significance, Qinghai-Tibet Plateau
2007-06-08
[19]
서적
A Unique Geographical Unit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04
[20]
웹사이트
The Yamdrok Tso Hydropower Plant in Tibet: A Multi-facetted and Highly Controversial Project
http://homepage.boku[...]
2007-08-05
[21]
학술지
No high Tibetan Plateau until the Neogene
2019-03-06
[22]
학술지
Paleoelevation of Tibetan Lunpola basin in the Oligocene–Miocene transition estimated from leaf wax lipid dual isotopes
https://www.scienced[...]
2022-12-24
[23]
학술지
Biotic interchange through lowlands of Tibetan Plateau suture zones during Paleogene
https://www.scienced[...]
2022-11-06
[24]
학술지
Paleogene high elevations in the Qiangtang Terrane, central Tibetan Plateau
https://www.scienced[...]
2022-12-13
[25]
학술지
Erosion in southern Tibet shut down at ~10 Ma due to enhanced rock uplift within the Himalaya
2015-09-14
[26]
서적
Land of the seven rivers : a brief history of India's geography
http://worldcat.org/[...]
Penguin Books
2013-07-10
[27]
학술지
Late Miocene-Pliocene geomorphological evolution of the Xiaoshuizi peneplain in the Maxian Mountains and its tectonic significance for the northeastern Tibetan Plateau
2017
[28]
학술지
Active tectonics of the Ganzi–Yushu fault in the southeastern Tibetan Plateau
http://dro.dur.ac.uk[...]
2016
[29]
학술지
The unique genetic adaptation of the Himalayan wolf to high-altitudes and consequences for conservation
2018
[30]
웹사이트
Wild China: The Tibetan Plateau
http://www.cbc.ca/do[...]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03-21
[31]
웹사이트
Extinct humans survived on the Tibetan plateau for 160,000 years
https://www.scienced[...]
2024-07-06
[32]
웹사이트
Nomads of Tibet and Bhutan
http://www.asianart.[...]
asianart.com
2008-02-10
[33]
뉴스
In pictures: Tibetan nomads
http://news.bbc.co.u[...]
BBC News
[34]
학술지
The earliest human occupation of the high-altitude Tibetan Plateau 40 thousand to 30 thousand years ago
2018-11-30
[35]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Tibe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36]
웹사이트
monsoons: causes of monsoons
http://library.think[...]
Oracle Thinkquest Education Foundation
2008-05-22
[37]
웹사이트
The Asian Monsoon
http://www.bbc.co.uk[...]
BBC Weather
[38]
논문
Reconstruction of the 2.4 Million km2 Late Pleistocene Ice Sheet on the Tibetan Plateau and its Impact on the Global Climate
[39]
서적
Development in Quaternary Science 2c (Quaternary Glaciation – Extent and Chronology, Part III: South America, Asia, Africa, Australia, Antarctica)
[40]
논문
Tibet and High Asia V. Results of Investigations into High Mountain Geomorphology, Paleo-Glaciology and Climatology of the Pleistocene
[41]
논문
The Pleistocene Glaciation of Tibet and the Onset of Ice Ages – An Autocycle Hypothesis
[42]
논문
The Tibetan Ice Sheet; its Impact on the Palaeomonsoon and Relation to the Earth's Orbital Variations
[43]
논문
Glacier ice archives nearly 15,000-year-old microbes and phages
2021-07-20
[44]
웹사이트
15,000-year-old viruses discovered in Tibetan glacier ice
https://www.scienced[...]
2021-07-20
[45]
뉴스
Global warming benefits to Tibet: Chinese official
https://www.google.c[...]
2009-08-18
[46]
논문
A genome and gene catalog of glacier microbiomes
https://www.nature.c[...]
2022-09-01
[47]
웹사이트
中国とインドの「水利権奪取」に向けたダムが生むヒマラヤ地方の生態系の危機
http://www.tibethous[...]
ダライ・ラマ法王日本代表部事務所
[48]
뉴스
チベット自治区最大の水力発電所が稼働開始、中国
https://www.afpbb.co[...]
2014-11-25
[49]
뉴스
中国BYD、チベットのリチウム生産会社に出資
https://www.nikkei.c[...]
2010-09-07
[50]
웹사이트
チベットの核
http://www.tibethous[...]
[51]
웹사이트
チベットの核兵器
http://tibet.turigan[...]
[52]
웹인용
Natural World: Deserts
http://java.national[...]
National Geographicc
2008-03-01
[53]
웹인용
A Unique Geographical Unit
http://books.google.[...]
2007-08-05
[54]
웹인용
The New Largest Canyon in the World --The Great Canyon of Yarlung Tsangpo River (Tibet)
http://www.100gogo.c[...]
2007-08-29
[55]
웹인용
Leaf morphology and the timing of the rise of the Tibetan Plateau
http://www.mala.bc.c[...]
2007-07-23
[56]
웹인용
Lehmkuhl and Owen (2005년)
http://www.informawo[...]
Boreas
2007-12-16
[57]
웹인용
Nomads of Tibet and Bhutan
http://www.asianart.[...]
asinart.com
2008-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