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거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거산성은 대구광역시 북쪽 팔공산 지맥에 위치한 삼국시대 산성이다. 성 안은 분지 지형, 밖은 급경사를 이루며, 흙과 잡석을 섞어 쌓았다. 4~5세기 무덤과 5~6세기 토기 발견으로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석축, 집수지, 수구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집수지 2호에서 602년과 606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 11점이 발굴되었다. 목간에는 곡식 이름과 간지가 기록되어 있어 군사적 요충지이자 물자 집중 거점으로 추정되며, 신라가 백제에 대야성을 잃은 후 왕경 서쪽 방어를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성 - 대구읍성
대구읍성은 왜구 침략에 대비해 축성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파괴된 후 석성으로 재축성되었지만, 일본인들의 상권 확장과 도시 개발을 이유로 철거되었고, 이로 인해 대구의 상권이 일본인들에게 넘어가 조선인들의 상권이 쇠퇴했다. - 대구광역시의 기념물 - 예연서원
예연서원은 임진왜란 의병장 곽재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었으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되어 곽재우와 곽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기념물 - 신숭겸 장군 유적
신숭겸 장군 유적은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을 기리는 유적으로, 왕건을 구하고 전사한 신숭겸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1993년에 복원되었다. - 삼국 시대의 성 - 풍납토성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백제 초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최대 규모의 토성으로, 사적 제11호로 지정되어 백제 시대 유물과 삼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삼국 시대의 성 - 매소성
매소성은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대전리의 대전리산성으로 비정된 신라의 성이다.
팔거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팔거산성 | |
![]() |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산1번지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6 |
지정일 | 1988년 5월 30일 |
시대 | 삼국 시대 |
추가 정보 | |
면적 | 알 수 없음 |
소유자 | 알 수 없음 |
참고 자료 | 알 수 없음 |
전승지 | 알 수 없음 |
전승자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문화재청 ID | 23,00060000,22 |
참고 자료 | |
한국학중앙연구원 | 팔거산성(八莒山城) |
문화재청 | 대구 팔거산성에서 대구 최초로 신라 목간 출토 |
2. 위치 및 지형
대구광역시 북쪽 팔공산의 지맥 끝자락에 있는 산성으로, 성 안에 평지와 계곡을 품고 산꼭대기를 둘러쌌다. 산 모양이 함지를 엎어놓은 것과 비슷하여 함지산 또는 방티산이라고도 부른다. 산성의 서쪽 기슭 아래에는 4∼5세기경에 만들어진 무덤들이 흩어져 있고, 5~6세기 경에 제작된 토기들이 무더기로 발견된 점으로 보아, 팔거산성은 삼국 시대에 이 무덤을 쌓은 세력 집단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1]
2. 1. 지형적 특징
팔거산성은 대구광역시 북쪽 팔공산의 지맥 끝자락에 있는 산성으로, 성 안에 평지와 계곡을 품고 산꼭대기를 둘러쌌다. 산 모양이 함지를 엎어놓은 것과 비슷하여 함지산 또는 방티산이라고도 부른다. 해발 300m가 넘는 가파른 경사를 이용하여 흙과 잡석을 섞어 쌓았다.[1]성 안쪽은 오목하고 평탄한 분지 지형으로 군대가 주둔하기 편하게 설계되었다. 바깥쪽은 노곡동 방향만 완만하고, 나머지는 30도 이상인 급한 경사이다. 동쪽 성벽은 함지산 정상 능선을 따라 쌓았다. 서쪽 성벽은 바깥쪽 둘레 경사면에 지어졌는데, 외벽을 돌로 쌓고 안쪽을 흙으로 채우는 편축법(片築法)을 사용했다.[1][3]
3. 역사적 배경
팔거산성은 삼국 시대 신라가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 지점 근처에 쌓아 서쪽 방어 거점으로 활용했던 산성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은 수로와 육로를 통제하기에 유리한 위치였다.
7세기 초 백제의 침공이 거세지면서 신라의 서쪽 방어가 중요해졌다. 특히 642년 대야성이 함락된 후, 팔거산성은 신라 왕경(지금의 경주시) 서쪽을 방어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3. 1. 신라의 서쪽 방어 거점
삼국 시대 신라의 지방 거점은 대부분 산성이었고, 기존 신라 목간이 출토된 곳이 대부분 군사와 행정 거점이라는 점, 그리고 목간의 내용이 곡식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팔거산성 역시 지방에서 군사적으로 중요하면서 물자가 집중되던 거점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목간이 제작될 무렵인 7세기 초반부터 백제는 본격적으로 신라를 침공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신라의 서쪽 지방 방어가 중요해졌고,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 지점 인근에 자리하면서 그 주변의 수로나 육로를 통제하던 팔거산성의 입지나 기능이 주목받았을 것으로 여겨진다.[2]특히, 642년 신라는 백제의 침공으로 대야성을 잃은 이후, 군사·행정 거점을 신라 왕경과 가까운 압량(경북 경산)으로 옮겼다. 신라 서쪽 지역에서 왕경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오늘날 낙동강을 통해 대구-경산-영천 지역을 거친다는 점에서, 그 이전부터 압량은 왕경 방어에 중요한 지점으로 여겨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로 가운데 가장 서쪽에 있는 팔거산성은 금호강과 낙동강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7세기 초반 무렵, 신라 왕경 서쪽 방어를 위한 전초기지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
4. 발굴 조사
대구광역시 북구청은 팔거산성 정비 및 복원에 필요한 고고학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15년 지표 조사, 2018년 시굴 조사를 거쳐 2020년 10월부터 학술 발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2]
4. 1. 주요 유물
2021년까지 발굴 조사를 통해 석축 7기, 추정 집수지 2기, 수구 등이 발견되었다. 석축은 조사 지역 북쪽 경사면에 조성되었으며, 일부 유구가 중복되어 있어 석축 사이에 축조 순서 또는 시기 차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집수지는 남반부 평탄면에 조성되었는데, 추정 집수지 1호는 돌, 2호는 목재를 사용하여 조성되었다.[2][4]집수지 2호에서는 목간 11점이 발굴되었다. 이 중 7점에서 글자가 확인되었고,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간지와 곡식 이름도 발견되었다. 목간 8점은 한쪽에 끈을 묶기 위해 나무를 잘라낸 흔적이 있으며, 일부는 실제로 끈을 묶었던 흔적도 남아있다. 목간 4점에서는 3종류의 간지가 발견되었는데, 임술년(602년)과 병인년(606년), 그리고 글자 일부가 파손되어 간지의 두 번째 글자와 세 번째 글자인 '년(年)'만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 임술년과 병인년은 각각 602년과 606년으로 추정되며, 이는 목간 작성 시점으로 여겨진다. 또한, 보리(맥, 麥), 벼(도, 稻), 콩(대두, 大豆) 등의 곡식 이름이 등장하여 당시 산성에 물자가 집중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산성의 행정 또는 군사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2][5]
목간 내용이 곡식과 관련되고, 삼국시대 신라 지방 거점이 대부분 산성이었으며, 기존 신라 목간 출토지가 대부분 군사 및 행정 거점이었다는 점에서 팔거산성 역시 지방 군사 요충지이자 물자 집중 거점으로 추정된다.
목간에는 왕사(王私)와 하맥(下麥)이라는 표현도 등장하지만, 2021년까지 그 의미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왕사(王私)'는 경남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왕송(王松)과 동일한 표현으로 추정되었으나, 판독 조사 결과 '송(松)'을 '사(私)'로 수정해야 함이 밝혀졌다. '왕사(王私)'와 '하맥(下麥)'의 의미 해석은 추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2]
신라 지방 유적 중 목간이 출토된 곳은 부산 배산성, 인천 계양산성, 경기도 하남 이성산성, 경남 함안 성산산성 등이 있다. 2019년 11월에는 경산 소월리에서도 6세기 신라 토지 관련 목간이 발견되었지만, 대구 소재 유적에서 목간이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2]
4. 2. 목간의 내용과 의미
집수지 2호에서 목간 11점이 발굴되었다. 이 중 7점에서 글자가 확인되었으며, 제작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간지(干支)와 곡식 이름도 포함되어 있다. 8점의 목간에는 끈을 묶기 위해 나무를 잘라낸 흔적과 실제로 끈을 묶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4점의 목간에서는 임술년(602년)과 병인년(606년)으로 추정되는 간지가 발견되어, 목간 작성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2][5]목간에는 보리(맥, 麥), 벼(도, 稻), 콩(대두, 大豆) 등의 곡식 이름이 등장하는데, 이는 당시 산성에 물자가 집중되었음을 보여주며, 산성의 행정 또는 군사적 기능을 짐작하게 한다.[2][5]
목간의 내용이 곡식과 관련되고, 삼국시대 신라 지방 거점이 대부분 산성이었으며, 기존 신라 목간 출토지가 대부분 군사 및 행정 거점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팔거산성은 지방에서 군사적으로 중요하고 물자가 집중되던 거점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목간 제작 시기인 7세기 초반부터 백제가 신라를 본격적으로 침공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라 서쪽 지방 방어가 중요해졌고,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 지점 인근에서 수로와 육로를 통제하던 팔거산성의 입지와 기능이 주목받았을 것으로 보인다.[2]
642년, 신라는 백제 침공으로 대야성을 잃은 후 군사·행정 거점을 왕경과 가까운 압량(경북 경산)으로 옮겼다. 신라 서쪽에서 왕경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낙동강을 통해 대구-경산-영천 지역을 거치는데, 이 때문에 압량은 이전부터 왕경 방어의 요충지로 여겨졌을 것이다. 이 경로의 서쪽에 위치한 팔거산성은 금호강과 낙동강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7세기 초반 신라 왕경 서쪽 방어의 전초기지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
목간에는 '왕사(王私)'와 '하맥(下麥)'이라는 표현도 등장한다. 2021년까지는 그 의미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으나, '왕사(王私)'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왕송(王松)'과 동일한 표현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판독 조사 결과 '송(松)'이 '사(私)'로 수정되었지만, '왕사(王私)'와 '하맥(下麥)'의 의미는 여전히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2]
신라 지방 유적 중 목간이 출토된 곳은 부산 배산성, 인천 계양산성, 하남 이성산성, 함안 성산산성 등이 있다. 2019년 11월에는 경산 소월리에서 6세기 신라 토지 관련 목간이 발견되었으나, 대구 지역 유적에서 목간이 출토된 것은 팔거산성이 처음이다.[2]
5. 팔거리현과의 관계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대구에 있었던 지명으로 팔거리현(八居里縣)이 등장하는데,[1] 이곳은 그동안 현재 팔거산성이 위치한 대구 칠곡 지역을 가리킨다고 막연히 추정해 왔다. 그런데 이번에 새롭게 출토된 목간을 통해서 대구 칠곡 지역을 중심으로 금호강 하류 지역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역을 통제하던 곳이 팔거산성이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2]
6. 의의 및 과제
팔거산성은 삼국시대 산성의 축조 방식과 운영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발굴된 목간은 당시의 행정 체계와 물자 조달 방식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하지만, 목간에 등장하는 일부 표현의 의미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6. 1. 추가 연구 과제
팔거산성에서 발굴된 목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과제가 남아있다. 목간에 등장하는 '왕사(王私)'와 '하맥(下麥)'이라는 표현의 정확한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 '왕사(王私)'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의 '왕송(王松)'과 같은 표현으로 추정되었으나, 판독 결과 '사(私)'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표현에 대한 해석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규명해야 할 부분이다.[2]참조
[1]
웹인용
팔거산성(八莒山城)
http://encykorea.aks[...]
[2]
웹인용
대구 팔거산성에서 대구 최초로 신라 목간 출토
https://www.cha.go.k[...]
문화재청
2021-04-28
[3]
웹인용
팔거산성 - 대구광역시 북구 문화 체육 관광
https://www.buk.daeg[...]
2021-04-28
[4]
웹인용
함지산 팔거산성서 대구 최초 '집수지, 목간' 발견…사적 승격 기대감
https://www.nocutnew[...]
2021-04-28
[5]
웹인용
목간의 비밀…신라시대 대구는 전초기지였다?
https://www.sedaily.[...]
2021-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