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그루자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그루자섬은 크로아티아에 속한 아드리아해의 섬으로, 이탈리아어로는 펠라고사(Pelagosa)로 불린다. 벨라 팔라그루자와 말라 팔라그루자 등 14개의 섬과 암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로아티아 본토, 이탈리아, 라스토보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 신석기 시대부터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를 거쳐 중세 시대까지 다양한 문화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14세기부터는 어업의 중심지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 크로아티아의 독립과 함께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 현재는 등대가 있으며,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체티나강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크로아티아의 강으로, 페루차 호를 지나 시니, 트릴을 거쳐 오미슈에서 바다로 유입되며 수력 발전소 건설에 이용된다.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팔라그루자섬 | |
---|---|
지도 정보 | |
등대 정보 | |
![]() | |
위치 | 팔라그루자 섬, 크로아티아 |
건설 연도 | 1875년 |
건축 양식 | 석조 탑 |
형태 | 2층 관리인 숙소 중앙에 발코니와 랜턴이 있는 원통형 탑 |
표시 | 페인트칠되지 않은 탑, 흰색 랜턴 |
높이 | 23m |
초점 높이 | 110m |
범위 | 주: 26해리, 예비: 12해리 |
특징 | Fl W 17.5s. |
기본 정보 | |
명칭 | 팔라그루자 (Palagruža) |
이탈리아어 명칭 | 펠라고사 (Pelagosa) |
위치 | 스플리트-달마티아 주, 크로아티아 |
면적 | 0.23km² |
최고 고도 | 116m |
해역 | 아드리아 해 |
2. 명칭
이 군도는 이탈리아어로 ''펠라고사''(Pelagosa)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고대 그리스어 ''펠라구사이''(Πελαγούσαιgrc, '바다')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현재 크로아티아어 이름 및 펠라고사이트 광물 명칭의 기원이기도 하다. ''그루즈''(Gruž)는 크로아티아어로 '평형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팔라그루자라는 명칭은 항해자들에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디오메디아 또는 디오메데스 섬과 관련이 있다.
팔라그루자 군도는 더 큰 섬인 '벨라 팔라그루자'와 더 작은 섬인 '말라 팔라그루자', 그리고 12개의 백운암 바위와 암초로 구성된다.[5] 주요 섬들은 모두 가파른 능선의 형태를 띤다. 벨라 팔라그루자는 길이 약 1,400m, 폭 약 330m이다. 군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벨라 팔라그루자에 있으며, 해발 약 90m이다.
=== 고대 및 중세 ===
3. 지리
이 군도는 크로아티아 본토의 스플리트에서 남쪽으로 123km, 라스토보에서 남서쪽으로 60km, 이탈리아의 가르가노 반도에서 북북동쪽으로 53km 떨어져 있다.[5] 프레블라카 반도보다 더 남쪽에 위치하여 크로아티아 최남단 지점이다.[5]
대 팔라그루자섬은 지하 지질 복합체의 정점 부분으로, 트라이아스기(약 2억 2천만 년 전)부터 마이오세(약 1천만 년 전)를 거쳐 제4기(최근 퇴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탄산염, 규질쇄설암, 증발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다 한가운데에 위치한 원격 위치로 인해 팔라그루자섬은 크로아티아 해안보다 더 많은 지중해성 기후 특징을 나타낸다. 여름은 맑고 건조하며, 대부분의 비는 겨울에 내린다. 연간 일조시간은 2620시간(1961–1990년 평균)이다. 연간 강수량은 304mm로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낮다. 해양성 바람은 본토에 비해 기온을 완화시켜 여름 평균 최고 기온은 26.5°C이며, 반대로 겨울 평균 최저 기온은 8.4°C이다.[6]
4. 역사
팔라그루자섬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도장 무늬 토기 및 류블랴나-아드리아해 문화, 체티나 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채색된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그 위에 ''디오메데[스]''라는 이름이 적혀 있어 디오메데스 숭배 사당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호메로스의 영웅 디오메데스가 이곳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로마 시대에는 펠라구스(Pelagus)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일부 역사가들은 섬의 이름이 고대 그리스의 펠라스고이인(Pelasgoí)에서 유래했다고 본다.[13] 로마 시대의 유물도 발견되었다.
로마가 쇠퇴한 후 다시 무인도가 되었다가, 14세기 초부터 ''펠라고사'', ''펠레고사'', ''펠로고사''라는 이름으로 지도에 등장한다. 1177년 3월 9일,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갤리선 함대가 팔라그루자섬에 상륙했다는 기록이 있다. 교회 일부 기록에 따르면 로마 교황알렉산데르 3세가 섬의 자연미에 매료되어 상륙했다고도 한다.[13] 15세기와 16세기에는 이 지역의 어업이 증가하면서 섬은 크로아티아 비스의 코미자 공동체의 전통적인 어장이 되었다.
=== 근세 및 현대 ===
14세기 초부터 ''펠라고사'', ''펠레고사'', ''펠로고사'' 등의 이름으로 지도에 등장한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비스의 코미자 공동체의 어업 활동이 활발했다.
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한 후, 오스트리아 제국에 속했다가, 나폴레옹 시대에는 일리리아 지방의 일부였다. 1873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병합되었고, [13] 1875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등대가 건설되었다.[13] 트리에스테 상품 거래소의 등대를 담당하는 오스트리아 선박 “쿠르타토네”에 승선한 피에트로 아체르보니가 1858년에 등대 건설을 위한 임무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13] 이탈리아의 레지아 마리나 잠수함 네레이데/Nereideit는 1915년 8월 5일에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잠수함 U-5에 의해 침몰되었다. 1920년에 정식으로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고,[1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라 주의 일부였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파리 조약에 의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할양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영토가 된 후, 섬은 무인도가 되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
4. 1. 고대 및 중세
팔라그루자섬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도장 무늬 토기 및 류블랴나-아드리아해 문화, 체티나 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채색된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그 위에 ''디오메데[스]''라는 이름이 적혀 있어 디오메데스 숭배 사당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호메로스의 영웅 디오메데스가 이곳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로마 시대에는 펠라구스(Pelagus)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일부 역사가들은 섬의 이름이 고대 그리스의 펠라스고이인(Pelasgoí)에서 유래했다고 본다.[13] 로마 시대의 유물도 발견되었다.
로마가 쇠퇴한 후 다시 무인도가 되었다가, 14세기 초부터 ''펠라고사'', ''펠레고사'', ''펠로고사''라는 이름으로 지도에 등장한다. 1177년 3월 9일,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갤리선 함대가 팔라그루자섬에 상륙했다는 기록이 있다. 교회 일부 기록에 따르면 로마 교황알렉산데르 3세가 섬의 자연미에 매료되어 상륙했다고도 한다.[13] 15세기와 16세기에는 이 지역의 어업이 증가하면서 섬은 크로아티아 비스의 코미자 공동체의 전통적인 어장이 되었다.
4. 2. 근세 및 현대
14세기 초부터 ''펠라고사'', ''펠레고사'', ''펠로고사'' 등의 이름으로 지도에 등장한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비스의 코미자 공동체의 어업 활동이 활발했다.
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한 후, 오스트리아 제국에 속했다가, 나폴레옹 시대에는 일리리아 지방의 일부였다. 1873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병합되었고, [13] 1875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등대가 건설되었다.[13] 트리에스테 상품 거래소의 등대를 담당하는 오스트리아 선박 “쿠르타토네”에 승선한 피에트로 아체르보니가 1858년에 등대 건설을 위한 임무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13] 이탈리아의 레지아 마리나 잠수함 는 1915년 8월 5일에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잠수함 U-5에 의해 침몰되었다. 1920년에 정식으로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고,[1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라 주의 일부였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파리 조약에 의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할양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영토가 된 후, 섬은 무인도가 되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
5. 생태
정어리 산란장을 포함하여 물고기가 풍부한 해역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자연 보호 구역이며, 소량의 식물은 협죽도(Nerium oleander)와 대극(Euphorbia dendroides)과 같은 지중해 유형이다. 수레국화의 일종인 ''Centaurea friderici Vis.'' (''Palagruška zečina'')을 포함한 고유 식물 종이 있다.
검은 도마뱀을 포함한 독특한 지역 동물군은 현재 ''Podarcis melisellenis ssp. fiumana''로 분류되며, 관련 종인 ''Podarcis sicula ssp. pelagosana'' (프리모르스카 구슈테리차/primorska guštericahr)은 Babić과 Rössler (1912)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 이 섬에는 많은 종류의 생물이 서식하지 않지만, 그곳에 사는 생물들은 밝고 다채롭다.
팔라그루자 군도는 비스섬, 스베티 안드리야, 인접한 섬 카므니크, 브루스니크섬, 비셰보, 야부카섬과 함께 크로아티아 해상 도서 중요 조류 지역(IBA)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곳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지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곳이 스코폴리슴새와 검은슴새 뿐만 아니라 엘레오노라매의 상당한 번식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이다.[11]
5. 1. 등대
본섬의 가장 높은 지점에는 등대가 있다.[3] 등대는 기상 관측소 역할도 수행한다.[4]6. 현대의 중요성
참조
[1]
간행물
2016-01-15
[2]
웹사이트
Palàgrūža
http://hjp.znanje.hr[...]
2018-04-03
[3]
웹사이트
Palagruza
http://www.lighthous[...]
[4]
웹사이트
Southern Dalmatia-Palagruza
http://www.croatiatr[...]
[5]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5
[6]
논문
Climatic features of Palagruža Island, Croatia
http://hrcak.srce.hr[...]
College of Maritime Studies, Split
2015-01-03
[7]
학회자료
Palagruža - The Island of Diomedes - and Notes on Ancient Greek Navigation in the Adriatic
https://bib.irb.hr/d[...]
Archaeopress
[8]
서적
Hesperia 9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9]
뉴스
L'immaginaria vicenda delle isole di Pelagosa "colonizzate dai Borbone e dimenticate dai Savoia"
Nuovo Monitore Napoletano
2024-04-14
[10]
서적
The Natural Heritage of Croatia/page 211
https://books.google[...]
[11]
웹사이트
Offshore Island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
[12]
웹사이트
Geographical and meteorological data
http://www.dzs.hr/Hr[...]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6-10-02
[13]
웹사이트
Foto del Faro di Pelagosa e la sua storia
http://travel.ny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