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두이구아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두이구아수는 브라질 파라나주에 위치한 도시로, 1549년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 이과수 폭포가 발견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914년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우정의 다리와 이타이푸 댐 건설로 경제적 호황을 누렸다. 현재 이과수 폭포, 이타이푸 댐 등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의 삼국 접경 지역으로서 국제 상거래도 활발하다. 인구는 다문화적 구성을 보이며, 아랍계, 아시아계, 유럽계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두이구아수 - 이타이푸 댐
브라질과 파라과이 국경의 파라나 강에 위치한 이타이푸 댐은 한때 세계 최대 발전량을 자랑하는 수력 발전 댐으로, 양국 협력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및 사회적 영향 논란이 있으며, 현재도 양국에 중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한다. - 포스두이구아수 - 우정의 다리 (브라질-파라과이)
브라질과 파라과이를 잇는 우정의 다리는 1965년 개통되어 두 도시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지만, 낮은 관세로 인해 밀수 통로로도 이용된다. - 브라질-파라과이 국경 - 파라나강
파라나강은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를 흐르며 대규모 수력 발전 댐과 다양한 생태계를 포함하고 람사르 협약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남아메리카의 주요 강이다. - 브라질-파라과이 국경 - 이타이푸 댐
브라질과 파라과이 국경의 파라나 강에 위치한 이타이푸 댐은 한때 세계 최대 발전량을 자랑하는 수력 발전 댐으로, 양국 협력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및 사회적 영향 논란이 있으며, 현재도 양국에 중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한다. - 파라나주 (브라질) - 쿠리치바
쿠리치바는 브라질 남부 파라나주의 주도로, 17세기 금광 발견 이후 유럽 이민자들의 유입과 혁신적인 도시 계획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을 구축하여 대중교통 시스템과 녹지 공간이 풍부한 브라질 고지대의 대도시이다. - 파라나주 (브라질) - 론드리나
론드리나는 브라질 파라나주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런던의 투자를 받아 개발되었으며,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론드리나 주립대학교와 농업 박람회, 자매 도시 관계, 축구 클럽 등을 갖추고 있다.
포스두이구아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포스두이구아수 |
로마자 표기 | Foz do Iguaçu |
별칭 | 폭포의 땅 |
공식 명칭 | Município de Foz de Iguaçu (포스두이구아수 시) |
![]() | |
![]() | |
![]() | |
![]() | |
국가 | 브라질 |
지역 | 남부 |
주 | 파라나 주 |
시장 | 프란시스코 라세르다 브라질레이루 (PSD) |
설립일 | 1910년 6월 10일 |
면적 | 617.70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20년) | 258,248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화율 | 98% |
시간대 | UTC-3 |
하계 시간대 | UTC-2 |
고도 | 164 미터 |
지역 번호 | +55 45 |
웹사이트 | 포스두이구아수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포스두이구아수는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하기 전에는 투피-과라니족에 속하는 원주민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12] 1549년 스페인 탐험가 카베사 데 바카가 이과수 폭포를 발견하고 "케다스 데 산타 마리아"라고 명명했으나, 이후 원주민 과라니족의 이름을 따 ''케다스 델 이과수''로 변경되었다.[6]
1860년까지 브라질과 파라과이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던 이곳은 파라과이 전쟁에서 파라과이가 패배하면서 브라질 영토로 편입되었다.[6] 19세기 후반부터 유럽인들의 이주가 시작되었고, 브라질 군사 거점이 건설되면서 브라질의 실효 지배가 시작되었다. 1910년에는 "빌라 이과수"라는 읍 또는 마을로 승격되었고, 1914년에는 도시가 되었다.[6]
1916년 알베르토 산토스-두몽이 이 지역을 방문한 후 이과수 국립공원 설립을 제안하였고, 1939년에 국립공원이 실제로 설립되었다.[6]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우정의 다리와 이타이푸 댐 건설로 경제적 호황을 누렸으며, 특히 이타이푸 댐 건설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3]
2. 1. 초기 역사와 유럽인의 도래

1549년, 스페인 탐험가 카베사 데 바카는 강을 따라 여행하다가 폭포를 발견하고 깊은 감명을 받아 "케다스 데 산타 마리아"라고 이름 지었다. 이후 폭포 이름은 원주민인 현지 과라니족의 이름에서 유래된 ''케다스 델 이과수''로 변경되었다.[6]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하기 전, 포스두이구아수 주변에는 투피-과라니족에 속하는 원주민이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1860년까지 이 지역은 브라질과 파라과이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으나, 파라과이 전쟁에서 파라과이가 패배하면서 브라질 영토로 인정되었다.[6]
19세기 후반, 유럽인들의 이주가 시작되었고, 이후 브라질군의 군사 거점이 건설되면서 브라질이 해당 지역을 실효 지배하게 되었다. 1914년 빌라 이구아수(이구아수 마을)로 자치 단체로 승격되었고, 1916년 현재의 포스두이구아수로 이름이 바뀌었다.[12]
2. 2. 브라질령 편입과 도시 발전
1549년, 스페인 탐험가 카베사 데 바카는 강을 따라 여행하다가 폭포를 발견하고 깊은 감명을 받아 "케다스 데 산타 마리아"라고 이름 지었다. 이후 이름은 원주민인 과라니족의 이름에서 유래된 ''케다스 델 이과수''로 변경되었다.[6]1860년까지 이 지역은 브라질과 파라과이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으나, 파라과이 전쟁에서 파라과이가 패배하면서 브라질 영토의 일부로 인정되었다.[6]
1910년, 이 식민지는 "빌라"(읍 또는 마을)로 격상되어 "빌라 이과수"로 명명되었으며, 1914년에는 도시가 되었다. 당시 이 도시는 포스 두 이과수(Foz do Iguassú)로 알려졌다.[6]
1916년, 알베르토 산토스-두몽이 이 지역을 방문하여 아름다움에 감명을 받아 정부에 더 많은 관심을 촉구하고 현재 이과수 국립공원이 있는 토지의 수용을 요청했다. 1917년까지 이 지역은 예수스 발이 소유하고 있었다. 주는 이듬해에 토지를 수용했고, 1939년에 이과수 국립공원이 설립되었다.[6]
이 도시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우정의 다리(1965년 완공)와 이타이푸 댐(1984년부터 가동) 건설로 큰 경제적 호황을 누렸다.[6]
19세기 후반에는 유럽인에 의한 이주가 시작되었고, 브라질군의 군사 거점이 건설되어 해당 지역의 실효 지배가 시작되었다. 1914년에 빌라 이구아수(이구아수 마을)로 자치 단체로 승격되었고, 1916년에 현재의 포스두이구아수로 개칭되었다.[12]
1960년대 후반에 이 시와 파라과이의 시우다드 델 에스테를 잇는 다리와 쿠리치바로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의 거점으로서 발전이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는 이타이푸 댐 건설이 시작되면서 인구 유입이 시작되었고, 1970년에는 3만 명 전후였던 인구가 1980년에는 13만 6320명으로 증가했다.[13]
2. 3. 이타이푸 댐 건설과 급격한 성장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이 도시는 큰 경제적 호황을 누렸는데, 이는 1965년에 완공된 우정의 다리와 1984년부터 가동된 이타이푸 댐 건설로 비롯되었다.[6] 1960년대 후반에 이 시와 파라과이의 시우다드 델 에스테를 잇는 다리 및 쿠리치바로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의 거점으로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이 시에 세계 최대 규모의 댐인 이타이푸 댐 건설이 시작되면서 인구 유입이 시작되었고, 1970년에는 3만 명 전후였던 인구가 1980년에는 13만 6320명으로 증가했다.[13]2. 4. 도시 이름 철자 변경 논란
1945년, 브라질 문학 아카데미와 리스본 아카데미 간의 협정을 통해 도시 이름의 철자가 Foz do Iguaçu로 변경되었다.[6]2005년 10월 19일, 도시 이름의 철자를 Foz do Iguassú로 되돌리자는 제안이 이루어졌다. 이 제안은 시청에서 열린 첫 번째 토론에서 승인되었지만, 두 번째 토론에서 찬성 4표, 반대 8표로 부결되었다.[6]
도시 이름 변경의 목적은 1914년 도시 설립 당시의 원래 철자로 되돌리는 것이었다. 이러한 변경은 1945년 언어 개혁으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철자법이 변경되면서 발생했다. 그러나 기존의 고유명사는 변경할 의무가 없었다. 원래 철자로 변경을 제안한 또 다른 이유는 국제 연합 회원국 198개국 중 146개국이 "ç" 문자를 알파벳에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6]
이러한 변경은 검색 엔진에서 도시를 검색하는 데 합리성을 부여할 것이다. 왜냐하면 Foz do Iguaçu는 폭포인 이구아수 폭포로 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을 제안한 시의원 Djalma Pastorello는 Foz do Iguaçu 시에 대한 관광이 이구아수 폭포와의 연관성이 명확해짐으로써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시 인구의 70%가 이름 변경에 반대했는데, 그 이유는 지역 언론이 이러한 변경을 예상하고 왜곡된 방식으로 제시하여 지역 주민들이 이 변경이 인구에게 이익을 주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6]
3. 지리
포스두이구아수는 해발 173m로 비교적 고도가 낮아 연중 덥거나 따뜻한 기후를 보인다. 이곳은 습윤 아열대 기후에 속하며, 여름은 습하고 덥고 겨울은 건조하고 춥다. 연평균 기온은 23.8°C이지만, 여름에는 40°C까지 올라가고 겨울에는 -5°C까지 내려갈 수 있다.[15]
3. 1. 기후

포스두이구아수의 기후는 습윤 아열대 기후로, 뚜렷한 두 계절이 있다. 여름은 습하고 더우며, 겨울은 건조하고 춥다. 연평균 기온은 23.8°C이지만, 여름에는 40°C까지 올라가고 겨울에는 -5°C까지 내려갈 수 있다. 여름 평균 기온은 26.5°C이고, 겨울은 15.4°C이다.
이 도시는 해발 173m로 비교적 고도가 낮아 연중 덥거나 따뜻한 기후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연중 맑은 날씨를 보이지만, 봄과 여름에는 비가 자주 내린다. 그러나 이 도시의 날씨는 매우 변동이 심한데, 그 이유는 이 도시가 위치한 지역이 세 개의 전선이 만나는 곳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35°C까지 기온이 올라가거나 여름에는 8°C까지 내려가는 경우, 그리고 잦은 뇌우를 겪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1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40°C | 40°C | 38.8°C | 36.8°C | 36°C | 32°C | 31.3°C | 35°C | 36.8°C | 39°C | 38.6°C | 39.4°C | 40°C |
평균 최고 기온 (°C) | 33°C | 32.6°C | 31.1°C | 28.2°C | 25.2°C | 23.1°C | 23.7°C | 25.3°C | 26.9°C | 28.8°C | 31°C | 32.6°C | 28.5°C |
평균 기온 (°C) | 25.5°C | 25.4°C | 23.8°C | 20.8°C | 17.7°C | 15.8°C | 15.7°C | 17.5°C | 19°C | 21.4°C | 23.1°C | 25.1°C | 20.9°C |
평균 최저 기온 (°C) | 19.6°C | 20°C | 18.4°C | 15.4°C | 12.2°C | 10.4°C | 9.7°C | 11.3°C | 13.5°C | 15.3°C | 16.5°C | 18.6°C | 15.1°C |
최저 기온 기록 (°C) | 9.2°C | 6.8°C | 5.2°C | 3°C | -1°C | -3.1°C | -4.2°C | 0°C | 1°C | 5°C | 6.3°C | 3.8°C | -4.2°C |
강수량 (mm) | 196mm | 180.1mm | 174.8mm | 151mm | 127.6mm | 138.3mm | 84.4mm | 107.4mm | 146.6mm | 219.8mm | 153.7mm | 189mm | 1868.7mm |
강수 일수 (≥ 1.0 mm) | 9 | 9 | 8 | 8 | 6 | 8 | 6 | 8 | 8 | 9 | 7 | 9 | 95 |
상대 습도 (%) | 77 | 80 | 82 | 85 | 86 | 85 | 83 | 80 | 79 | 78 | 75 | 74 | 80.3 |
평균 일조 시간 | 230.5 | 196.3 | 209.9 | 193.6 | 180.8 | 151.2 | 168.7 | 157.9 | 146.4 | 195.6 | 231.4 | 232.3 | 2294.6 |
4. 인구
포스두이구아수의 인구는 약 26만 5천 명이며, 삼국 국경 지역(포스두이구아수, 브라질; 시우다드 델 에스테, 파라과이; 푸에르토 이구아수, 아르헨티나)의 대도시권 인구는 100만 명에 육박한다.
''출처: 파라나 경제 사회 개발 연구소(2014)''
4. 1. 인구 구성 및 특징
이 도시는 약 26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삼국 국경 지역(포스두이구아수, 브라질; 시우다드 델 에스테, 파라과이; 푸에르토 이구아수, 아르헨티나)의 대도시권 인구는 100만 명에 육박한다. 이 도시는 세계 각지에서 온 이민자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랍인(대부분 레바논 또는 시리아 출신), 아시아인(대부분 중국, 일본, 한국계), 유럽인(대부분 독일인, 이탈리아인, 프랑스인, 스웨덴인, 포르투갈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그리고 다른 중앙 및 남아메리카인(대부분 파라과이인과 아르헨티나인과 일부 아이티인) 등이 있다. UNILA는 아메리카 전역에서 온 학생들을 유치하고 있다.주민들은 주로 로마 가톨릭 신자이지만, 무슬림과 불교 신자도 상당수 존재한다. 도시는 큰 모스크와 불교 사원을 가지고 있다.
페나르텍(Fenartec)은 도시의 다문화적 다양성을 기념하기 위해 5월에 열리는 연례 행사이다.
''출처: 파라나 경제 사회 개발 연구소(2014)''
4. 2. 종교
포스두이구아수의 주민들은 주로 로마 가톨릭 신자이지만, 무슬림과 불교 신자도 비교적 많다. 이 도시에는 큰 모스크와 불교 사원이 있다.
4. 3. 아랍계 이민자
1940년 이후, 레바논을 비롯한 아랍인들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이 국경을 맞대고 있는 삼중 국경 지대에 위치한 포스두이구아수시에 정착했다.[8]레바논계 사람들은 도시 내 중동 출신 인구의 약 90%를 차지하며, 그 외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시리아, 팔레스타인 출신도 있다.
5. 경제
이 도시의 경제 기반은 세계 유산인 이과수 국립공원과 이타이푸 댐 등과 관련된 관광 및 서비스업이다. 또한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삼국에 걸쳐 있는 지역이라는 특성을 활용한 국제 상거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6. 교통
포스두이구아수는 동쪽으로 BR-277 도로를 통해 파라나과와 연결되며, 서쪽으로는 우정의 다리를 통해 시우다드 델 에스테와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우애의 다리를 통해 푸에르토 이과수와 연결된다. BR-277과 우정의 다리는 모두 매우 혼잡한 도로이다.[6]
이 도시는 포스두이구아수/카타라타스 국제공항의 서비스를 받는다. 인근 공항으로는 아르헨티나 푸에르토 이과수에 있는 카타라타스 델 이구아수 국제공항과 파라과이 시우다드 델 에스테에 있는 구아라니 국제공항이 있다.
6. 1. 도로
포스두이구아수는 동쪽으로 BR-277 도로를 통해 파라나과와 연결되며, 서쪽으로는 우정의 다리를 통해 시우다드 델 에스테와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우애의 다리를 통해 푸에르토 이과수와 연결된다. BR-277과 우정의 다리 모두 매우 혼잡한 도로로, 파라과이와 파라나과의 항구를 연결한다.[6]포스두이구아수 시가 건설된 이후, 아베니다 브라질(Brazil Avenue)은 도시의 주요 도로였다. 초창기에는 이 도로가 주로 군 본부의 위치였지만(현재는 대로의 바로 시작 부분에만 위치해 있다), 오늘날에는 많은 소매점이 위치한 매우 활기찬 장소이다. 도심에 위치해 있으며, 길이는 5km이며, 이 중 3km는 간선 도로이다.[6]
2004년 기준으로, 시청은 "아베니다 브라질"(Brazil Avenue)의 대대적인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도시의 여러 지역과 인근 도시인 시우다드 델 에스테와 푸에르토 이과수에서 많은 소비자를 유치하는 이 도로는, 양쪽에 차 두 대가 나란히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넓지만, 평일에도 자주 사용되며, 더 나아가 중요한 공휴일(크리스마스, 어린이날, 부활절, 어머니의 날)에는 많은 차들이 주차 공간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한다.[6]
활성화 계획은 주차 공간을 없애고 보행자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도록 요구한다. 또한, 이 도로는 양쪽에 차 한 대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넓어질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2004년 말에 시작되어 2006년까지 완료되었다. 이 도로는 시립 명령에 따라 버스 노선이 없다.[6]
6. 2. 대중교통
이 도시는 포스두이구아수/카타라타스 국제공항의 서비스를 받는다. 인근의 다른 공항으로는 아르헨티나 푸에르토 이과수에 있는 카타라타스 델 이구아수 국제공항과 파라과이 시우다드 델 에스테에 있는 구아라니 국제공항이 있다.이 도시는 자체적인 시립 대중교통망을 운영하지 않고, 대신 4개의 민간 버스 회사에 면허를 발급하여 시를 대신해 서비스를 운영하도록 한다. 버스 요금은 시에서 4개 회사 모두에 대해 설정한다. 2003년, 시는 통합 시내 요금을 시작했으며 시내 중심 근처에 허브를 만들었다.
현재 대부분의 버스 노선이 이 허브를 통과하며, 승객들은 시내 구역 내에서 표준 요금을 지불하여 다른 회사에서 운영하는 노선으로도 환승할 수 있다.
교통망은 도시의 공항과 이구아수 국립공원과 같은 특정 외곽 지역으로 확장되지만, 다른 회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도시인 시우다드 델 에스테나 푸에르토 이과수 간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노선들은 통합 네트워크의 일부가 아니며, 이는 더 높은 요금에 반영된다.
6. 3. 공항
이 도시는 포스두이구아수/카타라타스 국제공항의 서비스를 받는다. 인근의 다른 공항으로는 아르헨티나 푸에르토 이과수에 있는 카타라타스 델 이구아수 국제공항과 파라과이 시우다드 델 에스테에 있는 구아라니 국제공항이 있다.7. 관광
포스두이구아수는 브라질에서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도시 중 하나이다. 관광객 대부분은 브라질인과 아르헨티나인이며, 도시에는 약 100개의 호텔과 여관이 있다.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이과수 폭포: 나이아가라 폭포보다 세 배나 많은 물이 흐른다. 폭포 일부는 브라질 쪽에, 나머지는 아르헨티나 쪽에 있다. "악마의 목구멍"(포르투갈어: Garganta do Diabo)은 높이가 97m로, 폭포 가운데 가장 높다.
- 이과수 국립공원: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양쪽에 걸쳐 있으며, IBAMA가 보호하고 있다. 마쿠쿠 사파리 래프팅과 포소 프레토 하이킹도 할 수 있다.
- 이타이푸 댐: 브라질과 파라과이 사이의 파라나 강에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력 발전소이다. 발전소와 생물학 보호 구역을 모두 방문할 수 있다.
-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가 만나는 'Tríplice Fronteira'(삼중 국경): 각 나라 쪽에는 고유한 '마르코'(랜드마크)가 있다.
- 오마르 이븐 알-카타브 모스크: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다.
- 야생 조류를 모아 놓은 조류 공원(Parque das Aves)과 도시 동물원인 "보스케 과라니"가 있다.
8. 교육
포스두이구아수의 문맹률은 95.5%이며, 대부분의 아이들은 공립 또는 사립 학교에 다닌다. 공교육은 시 정부와 파라나 주 정부의 우선순위였지만, 대부분의 중산층 및 상류층 가정에서는 자녀를 엘리트 사립 학교에 계속 보내고 있다.
이 도시에는 약 30개의 사립 학교와 약 120개의 공립 학교(보육원 및 유치원 포함)가 있다. 또한 7개의 대학교가 있다.
대학교 |
---|
Cesufoz |
UDC |
Uniamérica |
Unifoz |
Unioeste |
Anglo-Americano Faculdades |
IFPR (기술 연구소) |
2010년 1월에는 라틴아메리카 통합 연방 대학교(UNILA)가 설립되었다.
9. 자매 도시
포스두이구아수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0. 영사관
참조
[1]
웹사이트
Iguazu Falls chosen as one of the natural seven wonders of the world
http://en.mercopress[...]
2014-08-26
[2]
웹사이트
Cataratas do Iguaçu - Portal Cataratas do Iguaçu S/A
http://www.cataratas[...]
2018-04-05
[3]
웹사이트
ENERGY - ITAIPU BINACIONAL
https://www.itaipu.g[...]
2018-04-05
[4]
웹사이트
Os estados mais e menos perigosos do Brazlil - EXAME
http://exame.abril.c[...]
2018-04-05
[5]
웹사이트
NORMAIS CLIMATOLÓGICAS DO BRASIL 1961-1990
http://www.inmet.gov[...]
Instituto Nacional de Meteorologia
2014-09-22
[6]
웹사이트
Iguassu City History
http://www.iguassubr[...]
[7]
서적
Autofagia: livro I Tempos Sombrios
Amazon
2018
[8]
뉴스
Arab roots grow deep in Brazil's rich melting pot
http://www.washingto[...]
2018-04-05
[9]
웹사이트
Embajadas y Consulados
https://www.cancille[...]
2022-07-07
[10]
웹사이트
Representaciones, Consulados del Paraguay, en el Brasil
https://www.mre.gov.[...]
2022-06-26
[11]
웹사이트
Brazilians bask in golden glory
http://xgames.espn.g[...]
ESPN
2014-11-12
[12]
웹사이트
Foz do Iguaçu/ História & Fotos
https://cidades.ibge[...]
ブラジル地理統計院
2024-03-26
[13]
웹사이트
História de Foz do Iguaçu - PR
https://foz.portalda[...]
Portal da Cidade Foz do Iguaçu
2024-03-27
[14]
웹사이트
CIDADES-SEDE Foz do Iguaçu - PR
https://www.g20.org/[...]
ブラジル連邦共和国外務省
2024-03-27
[15]
웹인용
NORMAIS CLIMATOLÓGICAS DO BRASIL 1961-1990
http://www.inmet.gov[...]
Instituto Nacional de Meteorologia
2014-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