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개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개혁은 언어의 단순화, 순수주의 등을 포함하며, 철자, 문법, 어휘 등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언어 개혁은 철자 개혁, 문법 및 어휘 개혁 등으로 나타나며, 18세기 스페인어, 19세기 미국 영어, 20세기 포르투갈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시도되었다. 중국, 일본, 터키, 베트남 등에서도 문자 개혁 및 로마자 도입이 이루어졌다. 언어 개혁은 언어 순수주의와 대립하며, 언어 개혁에 대한 찬반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언어 개혁 |
---|
2. 단순화
언어 개혁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언어 단순화이다. 언어 단순화는 철자, 문법, 어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1]
단순화는 주로 철자 개혁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굴절, 구문, 어휘, 단어 형성 등도 대상이 될 수 있다.[1] 예를 들어 영어에는 "반대"를 뜻하는 접두사 ''un-'', ''in-'', ''a(n)-'', ''dis-'', ''de-'' 등이 있는데, 언어 개혁에서는 이를 ''un-''처럼 하나로 통일할 수 있다.[1]
2. 1. 철자 개혁
철자 개혁은 발음과 표기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문자의 수를 줄이는 등 언어의 표기 체계를 간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철자 개혁 사례가 존재하며, 특히 근대화 과정에서 언어의 표준화와 함께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1]언어 간소화는 언어 개혁 운동에서 많이 시도되는 형태로, 불규칙한 철자법 간소화 외에도 복잡한 굴절, 문법, 어휘, 문자 등에서 낡았거나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을 폐지하고, 비슷한 것이 여러 개 있을 때 통일하는 것을 포함한다.[1]
새로운 철자법을 제정한 철자 개혁의 예는 다음과 같다.[1]
- 18세기 스페인어[1]
- 19세기 미국 영어: 노아 웹스터의 활약이 유명하다.[1]
- 20세기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에서는 1911년, 1945년, 2008/13년에, 브라질에서는 1946년, 1971년, 2009년에 이루어졌다.[1]
- 20세기 독일어: 1901/02년 및 1996/98년에 이루어졌다.[1]
- 러시아어: 1708년과 1919년에 이루어졌다.[1]
- 중국어: 1920년대 공식 문어체가 한문에서 백화문으로 바뀌었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간체자가 번체자 대신 제정되었다.[1]
- 에스토니아어: 요하네스 아빅이 1920년경 새로운 단어를 제정하였다.[1]
- 한국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었고, 1950년대 이승만이 한글 간소화안을 주장하였으나 국민의 반대로 도입되지 않았다.[1]
- 튀르키예어: 1930년대 아랍 문자를 이용한 표기법이 라틴 문자를 이용한 표기법으로 바뀌었다.[1]
한자의 획수를 줄여 간소화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수를 제한하려는 한자 정책도 20세기 중국(간체자)이나 일본(신자체, 당용 한자) 등에서 실행되었다.[1] 근대 베트남이나 터키 등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문자를 대신하여 로마자를 도입하기도 했다.[1]
2. 2. 문법 및 어휘 개혁
가장 흔한 언어 개혁은 단순화이다. 가장 일반적인 단순화는 철자 개혁이지만, 굴절, 구문, 어휘 및 단어 형성 또한 단순화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에는 "반대"의 의미를 가진 접두사가 많이 있는데, ''un-'', ''in-'', ''a(n)-'', ''dis-'', 그리고 ''de-''가 있다. 언어 개혁은 중복된 접두사를 ''un-''과 같은 하나로 대체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언어 간소화는 언어 개혁 운동의 많은 부분에서 시도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언어 개혁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불규칙한 철자법의 간소화(spelling reform영어) 외에 복잡한 굴절, 문법, 어휘, 문자 등의 낡은 것이나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을 폐지하거나, 비슷한 것이 여러 개 있는 경우 통일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철자법을 제정하는 철자 개정의 예로는, 18세기의 스페인어, 노아 웹스터의 활약이 유명한 19세기의 미국 영어, 20세기의 포르투갈어(포르투갈에서는 1911년과 1945년과 2008/13년, 브라질에서는 1946년과 1971년과 2009년), 20세기의 독일어(1901/02년 및 1996/98년), 러시아어(1708년과 1919년)가 있다.
또한 한자의 획수를 줄여 간소화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수를 제한하려는 한자 정책도, 20세기의 중국(간체자)이나 일본(신자체, 당용 한자) 등에서 실행되었다. 지금까지 사용하던 문자를 대신하여 로마자를 도입하는 예도, 근대의 베트남이나 터키 등 각국에서 볼 수 있다.
3. 언어 순수주의
언어 순수주의 또는 언어 보호주의는 언어의 한 형태를 다른 형태보다 더 순수하거나 본질적으로 더 높은 품질로 인식하는 규범적 관행이다. 인식되거나 실제적인 쇠퇴는 어휘의 변화, 문법 요소의 혼합, 또는 차용어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언어 개혁의 형태를 취한다.
언어 순화 운동은 특정 국어를 보호하기 위해, 언어에 일어나는 모든 변화(어법의 혼란, 발음의 변화, 외래어 도입)에 반대하거나, 혹은 과거에 일어난 변화를 되돌려 이상적인 과거의 모습으로 되돌리려 하는 것을 말한다.[1]
이러한 순화 운동은 민족주의의 고조와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 언어로부터 받은 어휘나 문법 등에서의 영향을 배제하고 고유어로 대체하거나, 혹은 고유어에 의한 문학이 번성했던 황금기의 모습을 이상으로 삼아 그 이후의 변화를 불순한 것으로 배제하기도 한다. (언어 부흥 운동)[1]
그러나 언어 순화나 언어 부흥의 결과, 오히려 언어가 복잡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상으로 삼는 과거의 언어에 대한 연구가 잘못되어,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묘한 형태가 올바른 형태로 통용되기도 한다. 영어에서 "섬"을 의미하는 "아일랜드"(island)는, 원래는 게르만어 기원으로 "iland"로 표기했지만 (네덜란드어의 "eiland"와도 어원이 공통된다), 르네상스 시대에 라틴어의 "인술라"(insula)가 아일랜드의 어원이라는 잘못된 해석에서 "island"라는 철자가 생겨나 그대로 정착되었다.[1]
4. 언어 개혁의 사례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언어 개혁이 추진되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지역 | 국가 | 개혁 내용 |
---|---|---|
아시아 | 대한민국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한글 간소화 파동 (실패) |
중국 | 백화문 운동, 간체자 도입 | |
터키 | 터키 문자 개혁, 터키어 순화 운동 | |
일본 | 현대 가나 사용법 제정, 신자체 도입 | |
베트남 | 꾸옥응으 채택, 한자어 대체 | |
유럽 | 벨기에 | 네덜란드어 철자법 개혁 (1844, 1864, 1946, 1996, 2006년) |
카탈루냐 | 카탈루냐어 사전 출판 (1917, 1931년) | |
체코 | 어휘 갱신, 문자 w를 v로 대체 (19세기) | |
네덜란드 | 네덜란드어 철자법 개혁 (1883, 1934, 1947, 1996, 2006년) | |
포르투갈 | 철자 체계 단순화 (20세기) | |
루마니아 |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로 대체, 슬라브어 단어를 로망스어 단어로 대체 (19세기), 철자법 개혁 (1904, 1953, 1993, 1964, 2005년) | |
러시아 | 러시아어 철자법 변경, 러시아 문자 제거, 러시아어 문법 변경 (1918년), 추가 개혁 (1708/1710, 1956년) | |
세르비아 | 슬라브-세르비아어 폐지, 세르비아어 표준화 (19세기) | |
독일 | 철자법 통일 (1901/1902년), 1996년 독일어 철자법 개혁 | |
프랑스 | 프랑스어 철자법 개혁 (1740, 1762, 1835, 1992년) | |
그리스 | 카타레부사에서 데모틱 그리스어로 공식 언어 변경 (1970년대/1980년대) | |
에스토니아, 헝가리, 아일랜드, 노르웨이 |
각 사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아시아
1920년대 중국에서는 공식 문어체가 한문에서 백화문으로 바뀌었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간체자가 번체자 대신 제정되었다. 한국에서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었으며, 1950년대 이승만이 한글 간소화안을 주장했으나 국민의 반대로 도입되지 않았다. 1930년대 터키에서는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도입하는 터키 문자 개혁이 단행되었다. 1946년 일본에서는 역사적 가나 사용법이 현대 가나 사용법으로 대체되었고, 한자 시스템도 번체자에서 신자체로 바뀌었다. 20세기 베트남에서는 고대 중국어가 공식 지위를 잃고, 라틴 문자를 사용한 베트남어 교육이 이루어졌다.4. 1. 1. 대한민국
조선어학회가 중심이 되어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여 한글 맞춤법을 통일하고 표준어를 제정하여 민족어 보존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1950년대에는 이승만 대통령이 한글 간소화를 추진했으나, 국민적 반발로 무산되었다. 이는 언어 개혁이 사회적 합의 없이 추진될 경우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국립국어원은 외래어를 순화하고 표준어를 제정하는 등 지속적인 언어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4. 1. 2. 중국
1910년대부터 1920년대에 걸쳐, 그동안 사용되던 문언문을 대신하여 백화문을 도입하려는 백화문 운동이 일어났다. 다수의 중국어 방언 중에서 베이징어 음을 사용하는 관화 방언(만다린)이 표준으로 지정되었다(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국어는 푸퉁화로 개정되었으며, 간체자의 도입이 시작되었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도 이를 따르고 있다.[1][2]4. 1. 3. 일본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한자 폐지론, 로마자 표기론 등 다양한 언어 개혁 논의가 있었다.[1] 1946년에는 당용한자와 현대 가나 사용법이 제정되었다.[1] 이러한 일련의 개혁은 국어 국자 문제라고 불린다.[1]4. 1. 4. 터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주도로 1928년에 터키 문자 개혁이 단행되었다. 이 개혁으로 아랍 문자 대신 로마자를 도입하여 문맹률을 낮추고, 서구와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6] 또한, 터키어 순화 운동을 통해 터키어에서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차용어를 터키 고유어나 튀르크어족 어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조어로 대체하여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고 언어의 자립성을 높였다.[6]4. 1. 5. 베트남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한자와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쯔놈 표기 대신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꾸옥응으 표기가 채택되었다.[6] 1975년 중월전쟁 이후에는 반중 감정이 고조되면서 한자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고유어 기반으로 새로 만든 단어로 대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6]4. 2. 유럽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에서 언어 개혁이 이루어졌다.- 벨기에에서는 1844년(얀 프랑스 빌렘스), 1864년(마티아스 데 프리스와 L.A. 테 윙켈), 1946년(마르샹), 1996년(Actie), 2006년에 네덜란드어 철자법 개혁이 있었다.
- 카탈루냐어의 경우, 1917년 폼페우 파브라가 최초의 카탈루냐어 사전인 《Diccionari ortogràfic》을 출판했고, 1931년에는 완전한 《Diccionari General de la Llengua Catalana》가 출판되었다.
- 체코어는 19세기에 요제프 융만의 사전이 어휘 갱신에 기여했고, 1840년대에는 문자 w가 v로 대체되었다.
- 네덜란드어는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1883년(데 프리스와 테 윙켈), 1934년(마르샹), 1947년(그린 북), 1996년(Actie), 2006년에 철자법 개혁이 있었다.
- 포르투갈어는 20세기에 복잡한 전통 철자 체계를 단순화된 체계로 대체했다(''asthma''는 ''asma''로, ''phthysica''는 ''tísica''로 변경).
- 루마니아어는 19세기에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로 대체하고, 수천 개의 슬라브어 단어를 로망스어 단어로 대체했다. 루마니아어는 1904년, 1953년,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1993년에 철자 개혁을 거쳤으며, 1964년과 2005년에는 두 차례의 소규모 개혁이 있었다.
- 러시아어는 1918년에 러시아어 철자법이 크게 변경되어 여러 문자가 러시아 문자에서 제거되고, 러시아어 문법이 일부 변경되었다. 이 외에도 1708/1710년과 1956년에 개혁이 있었다.
- 세르비아어는 19세기에 부크 카라지치의 개혁으로 합스부르크 세르비아인의 문학 언어인 슬라브-세르비아어가 사라지고, 세르비아의 공식 언어로 표준화되었다.
4. 2. 1. 독일
1901년부터 1902년에 걸쳐 새로운 철자법이 제정되어 전국 각지에서 철자 통일이 이루어졌고, 이후 다른 독일어권 국가에도 도입되었다. 1996년에도 독일어권 전체에서 철자법 개혁이 이루어졌다(1996년 독일어 철자법 개혁).[1]4. 2. 2. 프랑스
프랑스 학사원은 18세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프랑스어 철자법 개혁을 단행했다.[1] 개혁 연도는 1740년, 1762년, 1835년, 1992년이다.4. 2. 3. 그리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그리스에서는 언어 개혁이 이루어졌다. 고대 그리스어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순수한" 언어인 카타레부사는 구어체인 "대중" 언어 데모틱 그리스어와 차이가 있었다. 군사 정권이 무너진 후, 데모티키를 공식 언어로 만드는 법이 제정되었다. 예를 들어, 그리스 동전에서 통화의 복수형은 1982년 이전에는 카타레부사 형태인 'drachmai'였지만, 그 이후에는 데모티키 형태인 'drachmes'로 바뀌었다.[1]4. 2. 4. 에스토니아
요하네스 아비크와 요하네스 V. 베스키는 1910년대부터 1920년대에 걸쳐 에스토니아어 개혁을 이끌었다. 이들은 핀란드어 및 기타 우랄어족 언어에서 어간을 빌려오고, 때로는 새로운 어간을 만들어 에스토니아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였다.[3]4. 2. 5. 헝가리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카진치 페렌츠를 중심으로 헝가리어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3] 이들은 근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1만 개 이상의 새로운 어휘를 만들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현재까지도 헝가리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언어 개혁을 통해 헝가리어는 1844년 헝가리의 공용어가 되었다.4. 2. 6. 아일랜드
아일랜드어 철자 간소화 (1940년대): 철자 체계를 단순화하여 학습과 사용의 편의성을 높였다. ''Gaedheal''은 ''Gael''로, ''Ó Séigheadh''는 ''Ó Sé''로 변경되었다.[3]4. 2. 7. 노르웨이
1814년 노르웨이가 덴마크로부터 독립하면서 노르웨이어는 덴마크어로부터 자립하기 시작했다. 1907년과 1917년에 덴마크어 문어에 기반한 릭스몰(Riksmål)이 노르웨이의 표기 언어가 되었고, 1929년에는 릭스몰에서 보크몰로 개정되었다. 같은 해 노르웨이 각지의 방언을 합성한 문어인 란스몰도 뉘노르스크로 개정되었다. 1938년 개혁으로 보크몰은 뉘노르스크에 가까운 형태로 개정되었다. 현재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두 가지가 공용어 표기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5. 언어 개혁에 대한 찬반 논쟁
언어 개혁은 항상 사회적 논쟁을 동반한다. 많은 개혁과 마찬가지로 언어 개혁에도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이 있다.
5. 1. 찬성 측
언어 개혁 찬성론자들은 국어나 공용어를 배우기 쉽게 함으로써 외국인, 여성, 어린이, 비(非)부유층 등이 언어 학습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문해율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언어가 쉬워지면 일상생활, 업무, 정보 처리 등에서 편리함을 가져다준다고 말한다.철자법 개혁을 통해 불규칙한 철자를 간소화하거나, 복잡한 문법이나 어휘를 정리하여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사회 구성원 간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표준어 제정과 보급은 지역, 계층 간 언어 장벽을 해소하고 사회 통합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5. 2. 반대 측
언어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은, 간소화나 순화 등으로 인해 이미 국어를 배워온 사람들이 재(再)학습을 해야 하고, 과거에 쓰인 서적을 읽을 수 없게 되어 역사와 문화가 계승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참조
[1]
간행물
Hybridity versus Revivability: Multiple Causation, Forms and Patterns
http://www.zuckerman[...]
2009
[2]
뉴스
Let my people know!
http://fr.jpost.com/[...]
Jerusalem Post
2009-05-18
[3]
서적
A magyar nyelvújítás szótára
1902-1908
[4]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5]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1999
[6]
웹사이트
Turkey - Language Reform: From Ottoman to Turkish
http://countrystudie[...]
2021-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