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쥔은 청나라 말기의 인물로, 광서제의 6촌 형의 아들이자 도광제의 후손이다. 1898년 서태후의 섭정 하에 13세의 나이로 보경제로 옹립되었으나, 국내외의 반발로 3일 만에 폐위되었다. 이후 의화단의 난 관련으로 아버지와 함께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추방되었고, 청나라 소조정에서 선통제의 섭정을 맡기도 했다. 말년에는 방탕한 생활로 재산을 탕진하고 아편 중독으로 사망했으며, 서태후의 꼭두각시이자 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신기오로 할라 - 시버오치피양구
시버오치피양구는 건주여진 가문 출신으로 건주좌위지휘사를 세습했으며, 그의 아들 푸만은 흥조로 추숭되었고, 누르하치의 고조부이다. - 아이신기오로 할라 - 단순고륜공주
도광제의 서른 번째 딸인 단순고륜공주는 전귀비 뉴호록씨에게서 태어나 11세에 요절했으나, 도광제의 특별한 총애로 고륜공주로 추봉되어 성대한 장례와 함께 진가문원침에 묻히는 등 각별한 애정을 받았다. - 청나라의 황자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청나라의 황자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1942년 사망 - 올레크 로세프
올레크 로세프는 1903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42년 사망한 과학자이며, 접촉식 수정 검출기 연구와 탄화 규소 다이오드에서 빛 방출 현상을 발견하여 LED 연구에 기여했으며, 음저항 다이오드를 활용한 고체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 1942년 사망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푸쥔 | |
---|---|
기본 정보 | |
인명 | 보경제 애신각라 부준 |
만주어 표기 | aisin-gioro pujiyūn |
가문 및 작위 | 애신각라 씨 |
칭호 | 황태자 |
출생일 | 1886년 1월 5일 |
출생지 | 순천부 |
사망일 | 1942년 |
사망지 | 베이징시 |
아버지 | 단군왕 재의 |
어머니 | 이름 미상 |
직책 | 불입팔분보국공 |
종교 | 미상 |
왕족 정보 | |
이름 | 보국공 |
원래 이름 | 보국공 |
휘 | 아이신교로 푸쥔 愛新覺羅 溥儁 |
작위 | 비정통 황제 소조정 제1대 섭정 총통부 참의 |
출생일 | 1885년 1월 10일 |
정당 | 무소속 |
별칭 | 호(號)는 산강초(山岡樵) |
학력 | 중학당 졸 |
출생지 | 즈리 성 베이징 |
사망지 | 허베이성 베이핑 탑왕부 (만성 간부전증으로 병사) |
배우자 | 대복진 박이제길특씨 |
자녀 | 슬하 2남 장남 아이신줴뤄 유웨이(愛新覺羅 毓巍) |
아버지 | 이혁단군왕 |
어머니 | 대복진 이르건 교로(이이근각라)씨 |
친인척 | 선통제(8촌 삼종제)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1인(이름 미상) |
자녀 | 毓巍 毓岭 |
기타 | |
![]() |
2. 생애
푸쥔은 광서제의 6촌 형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보국공에 책봉되었다. 서태후의 눈에 띄어 황제로 옹립되기도 했으나, 국내외 반발로 곧 폐위되었다. 청나라 멸망 후에는 청나라 소조정의 섭정을 맡기도 했지만, 결국 중화민국에서 칩거하며 불우한 말년을 보냈다.
서태후의 총애를 받아 13세에 광서제의 황태자로 선택되어 친정을 떠나 자금성에서 교육을 받았다. 1902년 아버지 재의가 의화단의 난의 지도자였던 까닭에, 전범으로 몰려 부자가 함께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추방되었고, 푸쥔의 황태자 대우도 취소되었다. 추방지에서 결혼했으나 그곳 생활에 싫증을 느껴 아내를 데리고 베이징 시로 돌아왔다.[1]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푸쥔의 아버지는 광서제의 6촌 형인 이혁단군왕이다.[1] 친할아버지는 도광제의 서자로 태어나 돈각친왕의 양자가 된 돈근친왕이며, 양할아버지는 서회친왕의 아들 서민군왕이다.[1] 그는 1891년 1월 7일, 6세의 나이로 보국공(輔國公)에 책봉되었다.[1]2. 2. 황제 옹립과 폐위
1898년 9월 21일 서태후의 농간으로 광서제의 6촌 형인 이혁단군왕의 아들 푸쥔이 13세의 나이로 1899년 3월 18일 '''보경제'''(保慶帝)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국내외의 반발이 거세어 즉위 의식도 거행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황제로 인정받지 못했다.[1] 1900년 1월 24일 서태후는 푸쥔을 폐위하고 보국공으로 강등하였다.푸쥔의 옹립 실패 후 광서제가 복위했지만, 푸쥔은 사실상 황태자로 대우받았다.[1]
2. 3. 청나라 소조정 섭정
1912년 2월 12일부터 당시 청나라 소조정 수장이었던 선통제의 섭정을 맡았다. 이후 1917년 7월 1일 복벽사건으로 선통제가 청 황제에 재추대되며 중화민국 안후이 제독이었던 장쉰에게 섭정을 위임하였다.[1]2. 4. 중화민국 시기
1912년 2월 12일부터 당시 청나라 소조정 수장이었던 선통제의 섭정을 맡았다. 1917년 7월 1일 복벽사건으로 선통제가 청 황제에 재추대되며 중화민국 안후이 제독이었던 장쉰 장군에게 섭정을 위임하였다.중화민국 국민정부로부터 배척되었다. 1922년 5월 29일 아버지 상을 치렀다.[1] 1925년 7월부터 1926년 3월까지 중화민국 총통부 참의를 지냈다.[1]
2. 5. 말년과 사망
1928년 2월 29일 이후 중화민국 허베이성 베이핑 변두리의 탑왕부(塔王府)에서 칩거했다. 방탕한 생활로 재산을 탕진하고, 아편 중독으로 건강을 잃었다.[1] 1942년 1월 19일, 탑왕부에서 만성 간부전증으로 사망했다.일본어 위키백과에는 1946년 사망설도 언급되어 있다.[1]
3. 의화단의 난과 추방
1902년 아버지 자의가 의화단의 난의 지도자였던 까닭에, 전범으로서 아버지와 함께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추방되었고, 황태자 대우도 취소되었다.[1] 추방지에서 결혼했으나 그곳에 싫증을 느껴 아내를 데리고 베이징시로 돌아왔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s://qingarchives[...]
[2]
문서
世紀風雪 幻のラストエンペラー
1946-01-01 # 날짜만 제공되었으므로 1월 1일로 설정. 더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임의로 설정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