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와 호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와 호키치는 1746년 일본의 농가에서 태어나 5세 때 시력을 잃었지만, 뛰어난 기억력과 학문적 열정으로 국학 연구에 매진하여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다양한 학문을 배우고 1779년부터 일본 고문헌을 집대성한 《군서유종》 편찬을 시작하여 40년 이상 이 작업에 매달린 끝에 670권의 방대한 책을 완성했다. 1793년에는 와가쿠코단쇼 연구소를 설립하여 학문 연구에 힘썼으며, 1805년에는 맹인 관직 중 최고위직인 총검교에 올랐다. 그의 삶은 헬렌 켈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장애를 극복하는 모범 사례로 존경받고 있으며, 《군서유종》은 일본 고전 연구의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학자 - 사토 노부히로
사토 노부히로는 에도 시대 후기의 실학자이자 의사로, 농업 중심 경제 정책과 교육 개혁을 주장하며 자주화선 등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지만 국수주의적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국학자 - 야마가 소코
야마가 소코는 에도 시대 초기의 유학자이자 병법가로, 주자학을 비판하며 고학을 주창하고 무사도를 재정립했으며, 《무가사기》와 《중조사실》 등의 저서를 통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21년 사망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1821년 사망 - 존 키츠
존 키츠는 179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 외과의사 견습생으로 일하다 시 창작에 몰두하여 "그리스의 옛 항아리에 대한 송가" 등의 명작을 남겼으나 25세에 결핵으로 요절했고 사후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영국 문학의 거장이 되었다. - 일본의 철학자 - 가라타니 고진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의 사상가이자 문예 비평가로, 나쓰메 소세키론으로 등단하여 문학 비평 활동을 시작, 마르크스주의 이론 재해석과 독자적인 사상 전개, 그리고 신협동주의 운동(NAM)을 주도하며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베르그루엔 철학·문화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철학자 - 아베 요시시게
아베 요시시게는 일본의 철학자이자 교육자로, 칸트 철학 연구와 한국 문화 연구에 기여했으며, 전후 일본 교육 제도 개혁을 이끌고 가쿠슈인대학 총장으로 재임하며 교육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나와 호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일본어 이름 | 塙 保己一 (はなわ ほきいち) |
| 출생 이름 | 도라노스케 (寅之助) |
| 다른 이름 | 다몬보 (多聞房) |
| 출생 | 1746년 6월 23일 |
| 출생지 | 일본 무사시국 고다마군 호키노 촌 (현 사이타마현 혼조시 고다마정 호키노) |
| 사망 | 1821년 10월 7일 |
| 사망지 | 에도 |
| 국적 | 일본 |
| 학문 | |
| 연구 분야 | 국학 |
| 연구 기관 | 와가쿠 코단쇼 |
| 시대 | 에도 시대 |
| 영향 받은 인물 | 아메토미 스가이치 하기와라 소코 가와시마 기린 야마오카 슌묘 가모 마부치 |
| 영향을 준 인물 | 야시로 히로카타 마츠오카 타츠카타 나카야마 노부토모 나가노 미나미하루 이시하라 마사아키 헬렌 켈러 |
| 주요 작품 | |
| 주요 작품 | 군서류종 속군서류종 |
| 기타 | |
| 수상 | 증 정4위 |
2. 생애
무사시국 고다마군 호키노무라(保木野村, 현재의 사이타마현 혼죠시 코다마마치 호키노)에서 태어났다. 하나와는 스승인 아메토미 검교의 본성을 사용한 것으로, 오기노 씨(荻, おぎの) 출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가문은 근세에 귀농한 농민의 가계라고 한다. 아버지는 우베에(宇兵衛), 어머니는 카미군 키도무라(加美郡木戸村, 현재의 카미자토마치 후지키도上里町藤木戸)의 명주 사이토 리자에몬가의 딸 우에몬이 있다.
호키치는 5살 때 장님이 되었다.[21] 그는 여러 명인으로부터 역사, 문학, 의학 및 법학을 배웠다. 그중 하나가 가모노 마부치였다. 호키치는 〈군서유종〉(群書類従, ぐんしょるいじゅう)을 편집했다.[22]
하나와는 무사시 국(현재의 고다마, 혼조시에 해당) 호키노 마을의 농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 이름은 토라노스케였다. 그는 어릴 때부터 허약한 체질이었으며, 5세 때 눈에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시력이 점차 감퇴하는 질병을 앓았다. 그는 출생 연도와 이름을 모두 바꿔야만 눈이 낫는다는 조언을 받았다. 그는 이름을 타츠노스케로 바꾸고 나이를 두 살 줄였지만 시력은 돌아오지 않았다. 기억력이 뛰어난 조숙한 아이였던 그는 나중에 삭발(tonsure)하고 불교식 이름인 타몬보를 받았다. 그는 손바닥에 글자를 따라 쓰면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고, 모양과 냄새로 꽃을 구별했다. 열 살 때 그는 에도로 유학을 갈 예정이었으나, 돈이 없었던 부모의 반대에 부딪혔다.[1] 그는 1757년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에야 출발을 늦췄다. 어머니는 그에게 유산으로 23개의 구리 문을 남겼는데, 이는 사소한 액수였지만, 그는 부유한 비단 상인의 집에서 전쟁 발라드(예: ''타이헤이키'')를 낭송하는 직책을 얻을 수 있었고, 15세가 되던 1760년에 에도로 이사했다.
에도에 있는 동안, 그의 초기 스승은 맹인들을 안마, 침술, 음악을 가르치는 학교를 운영했던 유명한 ''국학''(kokugaku) 학자인 아메토미 스가이치였다. 그러나 하나와는 이러한 노력에서 성공할 수 없었고 절망에 빠져 자살을 시도했다. 그는 스승의 설득으로 앞으로 3년 더 노력하겠다는 약속을 했고, 학문적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 아메토미는 그가 하기와라 소고 밑에서 ''국학''과 와카 시를, 카와시마 키바야시 밑에서 한학 및 신토를, 야마오카 야스아키 밑에서 법학을, 타카나와에 있는 토젠지 사찰에서 의학을, 그리고 다른 주요 학자들에게서 다른 학문을 공부하도록 주선했다. 하나와는 책을 읽을 수 없었기에, 그에게 읽어주는 내용을 외웠다. 그는 ''하타모토''의 한 구성원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40권짜리 ''에이가 모노가타리'' 세트를 선물로 받았다. 1766년 그는 아버지와 함께 60일 동안 이세 신궁으로 순례를 떠났고, 교토, 오사카, 고야산을 방문했다. 1769년, 그는 카모노 마부치의 제자가 되었다. 1775년, 그는 이름을 하나와 호키이치로 바꿨다. 1779년, 하나와는 "군쇼 루이주"(群書類従, 고문서 대전)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 이 노력은 그 후 40년 동안 그를 사로잡았고 최종 버전은 670권이었다.[2] 1793년, 그는 와가쿠코단쇼 연구소를 설립하고 초대 원장이 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실명
하나와 호키치는 1746년 무사시국 고다마군 호키노무라(현재의 사이타마현 혼조시 코다마마치 호키노)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21] 아버지는 우베에(宇兵衛), 어머니는 카미군 키도무라(현재의 카미자토마치 후지키도)의 명주 사이토 리자에몬가의 딸 우에몬이다. 어린 시절 이름은 토라노스케였다.어릴 때부터 허약한 체질이었던 호키치는 5세 때 원인 모를 병(위장병)으로 눈의 통증과 눈곱 증상을 겪으며 시력이 점차 약해졌고,[21] 7세 봄에 실명했다.[21] 어느 날, 수험자가 태어난 해와 이름을 모두 바꾸지 않으면 눈이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여 이름을 타츠노스케로 바꾸고 나이를 두 살 줄였지만, 시력은 돌아오지 않았다. 이후 수험자 정각방(正覚房)의 제자가 되어 타몬보(多聞房)라는 이름을 얻었으나 여전히 시력은 회복되지 않았다.
호키치는 손바닥에 손가락으로 글자를 써서 글을 외우고, 손으로 물체의 모양을 만지거나 냄새를 맡아 식물을 구별할 정도로 뛰어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다.[1] 10세 때 에도에서 학문을 배우고 싶어 했으나, 부모의 반대로 좌절되기도 했다.
1757년 6월 13일, 어머니가 과로와 심장 통증으로 사망하자,[23] 호키치는 어머니의 유품인 손바느질 주머니와 그 안에 있던 23문을 받았다. 1758년, 비단 상인에게 〈태평기읽기(太平記読み)〉로 사는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에도에서 학문을 하고자 하는 열망을 더욱 키웠다.[23]
2. 2. 에도 유학과 학문 수련
1760년(호레키 10년), 15세(나이를 2세 빼서 13세로 표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에 에도로 상경하여 맹인 직업 단체인 당도좌의 아메토미 검교에게 입문했다.[24][7] 안마, 침 등 맹인으로서의 수련을 받았으나, 재능이 없어 숙달하지 못했다. 좌두금 징수도 어려워 절망하여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구조된 후 학문에 뜻을 밝혀 3년의 유예기간을 얻었다.아메토미 검교는 호키치의 학문적 재능을 알아보고 그에게 여러 학문을 배우게 지원했다. 호키치는 하기와라 슈코(萩原宗固)에게서 국학과 와카를, 가와시마 타카시게(川島貴林)에게서 한학 및 신토를, 야마오카 마츠아케에게서 율령을, 시나가와노 토젠테라에게서 의학을 배웠다. 칸인노미야에게 와카를 배우기도 했다.[8] 호키치는 글을 읽을 수 없어 다른 사람이 읽어주는 것을 암기하는 방식으로 공부했다. 그의 학문적 열정에 감동한 하타모토 다카이 오스미노카미 사네카즈의 부인은 그에게 《영화이야기》 40권을 선물하기도 했다.
1763년 (호레키 13년) 중분(衆分)이 되어 '''하나와 호키치'''로 개명했다. 1766년(메이와 3년) 아버지와 함께 이세 신궁을 참배하고, 교토, 오사카, 고야산 등지를 여행했다. 1769년(메이와 6년) 가모노 마부치에게 입문하여 《육국사》 등을 배웠으나, 같은 해 10월 스승이 사망하여 반년 정도밖에 가르침을 받지 못했다.[8] 1775년(안에이 4년) 곡당(勾当)으로 승진하며 '''하나와'''(塙)로 성을 고치고, 이름도 '''호키치'''(保己一)로 바꾸었다. 1779년(안에이 8년) 《군서유종》 출판을 결심하고 검교 직위에 오르기를 기원했다.
2. 3. 학문적 성취와 《군서유종》 편찬
하나와 호키치는 안에이 8년(1779년)부터 일본 고문헌을 집대성한 《군서유종》(群書類従) 편찬을 시작했다.[2] 40년 이상 이 작업에 매진하여 분세이 2년(1819년), 666권에 달하는 《군서유종》을 완성했다.[10] 《군서유종》은 판목을 제작할 때 20자 × 20행의 400자 원고지 형식으로 통일했는데, 이는 현재 원고지의 일반적인 양식의 기초가 되었다.[10]간세이 5년(1793년), 호키치는 막부에 토지 임대를 신청하여 와가쿠 강담소를 개설하고 회독을 시작했다.[9] 같은 해 7월, 와가쿠 강담소는 하야시 대학두의 지배를 받게 되어 준 관립 기관이 되었다.[9] 호키치는 이곳을 거점으로 기록과 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군서유종》을 편찬했다.
호키치는 《군서유종》 외에도 역사 사료집인 《사료》(史料)를 편찬했다. 《사료》 편찬 사업은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에 계승되어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에서 출판하는 《대일본사료》가 바로 그것이다.
호키치는 덴메이 8년(1788년)에 『꽃피는 소나무』를 저술했다. 이 책은 신엽화가집을 근거로 조케이 천황의 즉위가 없었음을 논증한 서적이다.[19]
2. 4. 말년과 죽음
1805년, 맹인 관직 중 최고위직인 총검교(総検校)에 올랐다. 1821년 2월에 총검교가 되었으나, 같은 해 9월에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1] 그의 학문적 업적은 도쿄대학사료편찬소로 계승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21] 넷째 아들 타다토미가 뒤를 이었다.[21]묘소는 도쿄도 신주쿠구 와카바의 애염원에 있다.[21] 생가(사이타마현 혼조시)는 국가 사유로 지정되어 기념관도 갖고 있다.[21]
3. 사상과 업적
3. 1. 국학 연구
하나와 호키치는 맹인임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양의 고문헌을 섭렵하며 국학 연구에 매진했다.[19] 특히, 《군서유종》은 일본 고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역사, 문학, 종교,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문헌을 총망라한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덴메이 8년(1788년)에는 『꽃피는 소나무』를 저술하여 『신엽화가집』을 근거로 장경 천황의 즉위가 없었음을 논증했다.[19] 이 책은 수록된 「어제」를 모두 후카메야마 천황의 작품으로 오인하고, 그 서문에 "삼대의 어문에 받들어"라고 쓴 것을 가지고 남조를 삼대로 추단한 것에 근거한다.[19]4. 평가와 영향
4. 1. 긍정적 평가
하나와 호키치는 맹인이라는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학문적 업적을 이룬 점은 높이 평가받는다. 특히 《군서유종》 편찬은 일본 학술사에 획기적인 사건으로 평가되며, 일본 고전 연구의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헬렌 켈러는 일본에서 호키치의 기념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그녀의 어머니가 하나와 호키치를 본보기로 삼으라고 교육을 받고 있었다고 했다.[25] 1937년, 그녀는 "제가 어렸을 때 어머니가 하나와 씨가 제 본보기가 되어야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곳을 방문하고, 호키치의 동상을 만지는 것은 이번 일본 여행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낡은 책상과 아래를 향한 동상은 그를 더 존경하게 만들었습니다. 저는 그의 이름이 흐르는 물과 같이 대대로 전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라고 발언하였다.[26][4] 헬렌 켈러가 존경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삶은 장애 극복의 모범 사례로 널리 알려져 있다.
4. 2. 한국에 미친 영향
5. 기타
5. 1. 일화
하나와 호키치는 학문의 신으로 알려진 스가와라 미치자네와 낮은 신분에서 태어나 천하통일을 이룬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존경했다.[14] 이미 학자로 유명했던 히라타 아츠타네, 안도 누가리도 호키치의 문하로 들어갔으며, 일본외사를 쓴 라이 산요도 가르침을 받고자 했다.[14]
와가쿠 강담소에서 《겐지모노가타리》 강의를 하던 중 바람이 불어 촛불이 꺼졌을 때, 호키치는 "눈 뜬 사람들은 불편하겠군"이라고 농담을 던져, 그의 유머 감각과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14] 맹인인 호키치가 반초의 와가쿠코단쇼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는 모습을 빗대어 "반초에서 눈 뜬 자가 맹인에게 길을 묻네"라는 센류가 불리기도 했다.[14]
호키치는 안에이 8년(1779년)부터 분세이 4년(1821년)까지 43년 동안 반야심경을 198만 회 넘게 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5]
헬렌 켈러는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에게 "하나와 호키치를 본받아라"는 교육을 받았으며,[16] 1937년 4월 26일 시부야의 온고학회를 방문하여 호키치의 좌상과 책상을 만져보고 "선생님의 이름은 흐르는 물처럼 영원히 전해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6]
5. 2. 기념 사업
그의 생가가 있는 사이타마현 혼조에는 하나와 호키치 기념관이 설립되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3]

5. 3. 관련 작품
나카츠 후미히코의 추리 소설인 '관음 참배 여인·하나와 호키치 추리첩', '옮겨 붙은 향의 비밀·하나와 호키치 추리첩', '쓰루베 심중의 괴·하나와 호키치 추리첩', '멧돼지 새끼의 유괴 - 이노코노 카도와카시 - ·하나와 호키치 추리첩', '베갯머리 그림의 함정·하나와 호키치 추리첩' 등이 있다. 야마노테 키이치로의 소설 '하나와 검교'도 있다.도모나리 요조 감독, 아오키 타카오 주연의 1928년 일본 영화 '하나와 호키치'가 제작되었다.
학술 분야에서는 하나와 호키치 검교 150주년 기념 논문집 편집위원회가 편집한 『하나와 호키치 기념 논문집』(온고학회, 1971년)이 있다. 온고학회는 『온고총지』, 『하나와 호키치 연구』(펠리칸사, 1981년), 『하나와 호키치 연구: 나카에 요시테루 기념 논문집』(2004년), 『하나와 호키치의 생애와 『군서유종』의 편찬: 온고학회 창립 100주년 기념 출판』(2009년) 등을 출판했다. 사이토 마사오는 『『화학강담소 어용록』의 연구』(국서간행회, 1998년)와 『하나와 호키치 사력 연구: 호키치에게 바친 반세기』(온고학회, 2008년)를 저술했다.
이치무라 히로시의 『하나와 호키치의 생애』(일본서원, 1946년), 야마가타 조슈의 『하나와 호키치』(온고학회출판부, 1956년)가 출간되었다. 사카이 쇼이치는 『기적의 인물 하나와 호키치: 헬렌 켈러가 마음의 지주로 삼은 일본인』(사이타마 신문사, 2001년), 『지금 살아있는 하나와 호키치: 맹인의 대학자에게 배우다』(사이타마 신문사, 2003년), 『하나와 호키치와 함께: 헬렌 켈러와 하나와 호키치』(하루 서방, 2005년), 『사이타마의 세 위인에게 배우다』(사이타마 신문사, 2006년), 『진실의 하나와 호키치: 맹인 학자를 지탱한 여성들』(사이타마 신문사, 2009년), 『속 하나와 호키치와 함께: 지금 "살아있는" 맹인의 걸음』(하루 서방, 2010년)을 저술했다. 하나이 야스코는 호키치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여 『하나와 호키치의 생애: 눈으로 듣고 귀로 보다』(카시와 플라노, 1996년)를 출판했다.
이외에도 '조각된 기억'(VHS, 키노쿠니야 서점), CD-ROM "군서류종"(오조라사) 등이 있다.
6. 외부 링크
7. 각주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arvard University
2002
[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1400-1800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塙保己一旧宅
https://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Japan)
2020-03-11
[4]
웹사이트
English page of Hanawa Hokiichi Shiryoukan
https://web.archive.[...]
2013-08-26
[5]
서적
六国史 日本書紀に始まる古代の「正史」
中央公論社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서적
三大編纂物:群書類従・古事類苑・国書総目録の出版文化史
勉誠出版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塙保己一のことを詠んだ「番町で目明き盲に道をきき」という川柳の出典を知りたい。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3-11-05
[15]
서적
私の出合った落語家たち
河出文庫
[16]
웹사이트
ヘレン・ケラー温故学会を訪問
http://onkogakkai.co[...]
[17]
웹사이트
9.12 史跡・文化財
https://www.2020game[...]
東京都環境局
2024-12-29
[18]
웹사이트
塙保己一墓所の移転(平成24年9月1日号)
https://www.city.hon[...]
本庄市
2022-08-27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Japan Encyclopedia
Harvard University
2002
[2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1400-1800
[23]
문서
[24]
문서
[25]
웹인용
ヘレン・ケラー温故学会を訪問
http://www.onkogakka[...]
2020-11-06
[26]
웹인용
English page of Hanawa Hokiichi Shiryoukan
http://www.onkogakka[...]
202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