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누웰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누웰레는 인도네시아 세람 섬의 신화로, 코코넛에서 태어난 소녀 하이누웰레가 춤을 추다 살해당하고, 그녀의 시신에서 다양한 식물이 자라나 인도네시아인들의 주요 음식이 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신화는 데마 신앙, 창조 신화, 사회인류학적 해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특히 옌젠은 하이누웰레를 데마 신의 전형적인 예시로 보았다. 또한, 하이누웰레 신화는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등 고구마류를 주식으로 하는 문화권의 신화와 유사성을 가지며, 일본 신화의 오오게츠히메, 우케모치, 와쿠무스비, 가구야 공주 이야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신화는 문화적 다양성, 생명과 죽음의 순환, 공동체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현대 사회에도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코넛 - 코이어
    코이어는 코코넛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로, 밧줄을 뜻하는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갈색과 흰색으로 나뉘고,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코코넛 - 코코넛워터
    코코넛워터는 열대 지방에서 음료로 소비되던 어린 코코넛의 과즙으로, 덜 익은 코코넛에서 추출하여 그대로 마시거나 가공 판매되며, 코코넛 식초나 나타데코코 제조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건강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고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기원신화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기원신화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로마 건국 신화 속 쌍둥이 형제로,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로마 건설 위치 다툼 중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살해한 후 로마의 초대 왕이 되었으며, 이 신화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야기로서 예술, 문학,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이누웰레
신화 개요
유형동남아시아 신화
관련 지역세람
역할주요 채소 작물의 기원
상징코코넛 꽃
관련 인물아버지: 아메타
관련 개념기원 신화
포소프
상세 정보
하이누웰레귀중한 물건을 배설하는 신

2. 하이누웰레 신화

인도네시아 동부 세람 섬 서부의 웨말레족(ヴェマーレ族|Wemale people일본어)에게는 다음과 같은 농경 기원 신화(살해된 여신 신화)가 전해지며, 세부 내용이 다른 여러 판본도 존재한다.[14]

최초의 인류인 아홉 가문은 바나나에서 발원하여 누누사크 산을 내려와 부족 이동을 시작했고, 숲 속의 성스러운 춤의 광장인 타메네 시와에 도착했다. 그 중에는 "아메타"("검정, 밤" 등의 뜻)라는 독신 남자가 있었다.

(중략... '줄거리' 하위 섹션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요약)

... 아메타는 하이누웰레의 양팔을 물루아 사테네 여신에게 가져갔고, 여신은 인간계에 머물기를 그만두겠다고 선언한다. 그리고 춤처럼 아홉 겹의 나선으로 된 문을 만들어 모든 인간에게 그곳을 지나가도록 명령하여 선별을 시작했다. 명령에 따르지 않는 자는 인간 이외의 존재(동물이나 정령)가 되었다. 문을 통과하는 자들도 큰 나무에 앉아 있는 사테네 옆을 지나가려다 하이누웰레의 팔에 맞았다. 큰 나무의 왼쪽으로 지나가려는 자는 다섯 개의 나무 줄기(또는 대나무)를 뛰어넘어 "파탈리마"(다섯 사람)가 되고, 오른쪽으로 지나가려는 자는 아홉 개를 뛰어넘어 "파타시와"(아홉 사람)가 되었다. 세람 섬의 웨말레족이나 アルーネ族|Alune people일본어는 "아홉 사람"에 속한다.

이것은 수명의 벌이 주어졌다고 해석되며, 이전까지 세상은 인간에게 죽음이 없는 낙원이었는데, 하이누웰레 살해 후 인류는 정해진 수명을 부여받고 죽은 후 문을 통과하여 죽음의 여신 사테네를 알현해야 한다고 설명된다.

2. 1. 줄거리

어느 날 사냥을 하던 아메타라는 남자는 세람에서 이전에 본 적 없는 코코넛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멧돼지의 엄니에 걸려 있었다. 바나나에서 나온 서세람 사람들의 최초 9개 가문 중 하나였던 아메타는 코코넛을 집으로 가져갔다. 그날 밤, 꿈속에서 어떤 형상이 나타나 그에게 코코넛을 심으라고 지시했다. 아메타는 그렇게 했고, 며칠 만에 코코넛은 키가 큰 나무로 자라 꽃을 피웠다. 아메타는 수액을 얻기 위해 나무에 올라 꽃을 베려다 손가락을 베었고, 피가 꽃잎에 떨어졌다.[5]

9일 후, 아메타는 이 꽃이 있던 자리에 "코코넛 가지"를 의미하는 하이누웰레라는 소녀를 발견했다. 그는 그녀를 사롱으로 감싸 집으로 데려갔다. 그녀는 놀라운 속도로 성숙해졌다. 하이누웰레는 대변을 보면 귀중한 물건을 배설하는 놀라운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덕분에 아메타는 매우 부자가 되었다.[5]

하이누웰레는 ''타메네 시와''라고 알려진 곳에서 9일 밤 동안 열리는 춤에 참석했다. 이 춤에서 소녀들이 남자들에게 빈랑 열매를 나눠주는 것이 전통이었다. 하이누웰레는 그렇게 했지만, 남자들이 빈랑 열매를 요구하자, 그녀는 대신 배설할 수 있는 귀중한 것들을 주었다.[5] 매일 그녀는 그들에게 더 크고 더 가치 있는 것을 주었다: 귀걸이, 산호, 도자기 접시, 부시 나이프, 구리 상자, 그리고 . 처음에는 남자들이 기뻐했지만, 점차 하이누웰레가 하는 일이 섬뜩하다고 생각했고, 질투심에 사로잡혀 아홉 번째 밤에 그녀를 죽이기로 결심했다.[5]

이어진 춤에서 남자들은 춤판 중앙에서 여자들을 에워쌌고, 하이누웰레는 그들 틈에서 선물을 나눠주었다. 아홉 번째 밤이 되기 전에 남자들은 춤판 중앙에 구덩이를 파고, 하이누웰레를 지목하여 춤을 추는 동안 그녀를 점점 더 안으로 밀어 넣다가 마침내 구덩이 속으로 밀어 넣었다. 남자들은 재빨리 소녀 위에 흙을 덮었고, 그들의 노래로 그녀의 울음소리를 덮었다. 그리하여 하이누웰레는 산 채로 묻혔고, 남자들은 땅을 밟으며 계속 춤을 추었다.[5]

하이누웰레를 그리워하던 아메타는 그녀를 찾아 나섰다. 신탁을 통해 그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게 되었고, 그녀의 시신을 파내 조각내어 마을 주변에 다시 묻었다. 이 조각들은 다양한 새로운 유용한 식물로 자라났고, 덩이줄기를 포함하여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그 이후로 즐겨 먹는 주요 음식이 되었다.[5]

아메타는 하이누웰레의 잘린 팔을 인간을 다스리는 주신인 ''물루아 사테네''에게 가져갔다. 그녀는 그것으로 그를 위해 모든 사람이 통과해야 하는 나선형 모양의 문을 지었다. 문을 넘을 수 있는 사람들은 인간으로 남게 되었지만, 그 이후부터는 죽게 되었고, ''파탈리마'' (다섯 사람)와 ''파타시와'' (아홉 사람)로 나뉘었다. 문턱을 넘을 수 없는 사람들은 새로운 종류의 동물이나 유령이 되었다. 사테네는 스스로 땅을 떠나 죽은 자들의 영역을 다스리는 통치자가 되었다.[5]

2. 2. 다른 판본

웨말레 족과 알루네 족 사이에 전해지는 하이누웰레 신화는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14] 주요 내용은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묘사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하이누웰레가 배설물이 아닌 생리혈이나 질을 통해 보물을 낳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는 여성의 생식 능력과 관련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여러 판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이다.

  • 공통점:
  • 아메타가 멧돼지 엄니에 걸린 코코넛을 발견하고, 꿈의 지시에 따라 심어 하이누웰레를 얻게 된다.[5]
  • 하이누웰레는 대변을 통해 귀중품을 배설하는 능력을 가졌다.[15]
  • 하이누웰레는 9일 밤 동안 열리는 춤에 참석하여 사람들에게 선물을 나눠준다.[5]
  • 사람들은 하이누웰레의 능력을 꺼림칙하게 여기고 질투하여 그녀를 살해한다.[16]
  • 살해된 하이누웰레의 시신은 여러 작물, 특히 덩이줄기의 기원이 된다.[17]
  • 아메타는 하이누웰레의 팔을 물루아 사테네에게 가져가 인간 선별의 문을 만들고, 이를 통해 인간은 파탈리마와 파타시와로 나뉜다.[5]
  • 하이누웰레 신화는 인간에게 죽음이 없던 낙원에서 유한한 수명을 가지게 된 기원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차이점:
  • 일부 판본에서는 하이누웰레가 배설물이 아닌 생리혈이나 질을 통해 보물을 낳았다고 묘사된다.

  • 기타:
  • 웨말레족과 알루네족은 파타시와(아홉 사람)에 속한다.[5]

3. 신화 분석 및 해석

하이누웰레 신화는 창조 신화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자연, 인간의 일상, 사회 구조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 신화는 정령과 식물의 창조, 인간의 죽음, 웨말레 족 내의 부족 분열을 설명한다. 아돌프 옌젠은 하이누웰레를 데마 신으로 보았다.[6]

옌센은 데마 신앙이 초기 식물 재배 문화에서 나타나며, 수렵 채집인이나 곡물 재배 문화와는 다르다고 보았다. 그는 덩이줄기 작물의 기원이 의례적 살해와 매장과 관련되며, 이는 "하이누웰레 복합체"로 정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신화가 초기 농업 시대와 곡물 작물 문화 시대를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옌센은 1963년 저서에서 이러한 통찰의 문화 역사적 함의를 탐구했다.[7]

데마 신앙은 새로운 생명이 죽음과 연결됨을 의미하며, 웨말레 족의 "마로 춤"과 같은 의례는 신화와 의미의 통일성을 이룬다고 옌센은 주장했다.[8] 그러나 최근 연구는 데마 신이라는 용어 사용에 이의를 제기하며, 기원 신화로 보는 것을 선호한다. 옌젠의 주장은 서로 다른 문화의 신화를 연결하려 하고,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세람 섬의 원주민들 사이에는 "마법의" 여성이 식량, 귀중품 등을 자신의 생리혈 및/또는 질에서 가져왔다는 다른 버전의 기원 신화가 존재한다.[9][10] 일부 버전에서는 생리혈이 이러한 물건이 땅에서 나오도록 했다고 하며, 발견되었을 때 그녀는 "원래의" 사고 전분 생산 나무(Arenga pinnata)로 변했다고 한다.

3. 1. 데마 신격

아돌프 옌젠은 하이누웰레를 데마 신으로 규정한다.[6] 데마 신은 초기 불멸의 인간('데마')에 의해 살해되어 조각으로 찢겨 흩어지거나 묻히는 특징을 가진다. 옌젠은 수렵 채집인 문화와 곡물 재배를 기반으로 하는 복잡한 농경 문화와는 대조적으로, 기본적인 식물 재배에 기반한 문화에서 이러한 믿음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옌젠은 사람들이 살았던 덩이줄기 작물을 기원하는 의례적 살해와 매장이 동남아시아 및 기타 지역에 걸쳐 퍼져 있는 "하이누웰레 복합체"로 정의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 신화가 농업사에서 두 개의 다른 시대와 문화를 구분한다고 설명한다. 즉, 땅에서 기원하는 데마 신을 중심으로 하는 초기 농업 시대와 하늘 신을 중심으로 하는 곡물 작물 문화로 구분된다. 옌젠은 1963년 저서 《원시 민족의 신화와 숭배》에서 이러한 통찰의 광범위한 문화 역사적 함의를 탐구했다.[7]

데마 신에 대한 숭배는 새로운 생명의 창조가 필연적으로 죽음과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옌젠은 "마로 춤"과 같은 웨말레 족의 일부 의례가 하이누웰레 신화의 많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신화와 의례가 의미의 통일성을 이룬다고 시사한다.[8]

하지만 최근 연구는 하이누웰레 이야기의 맥락에서 데마 신이라는 용어 사용에 이의를 제기하며, 기원 신화로 정의하는 것을 선호한다. 문화 형태학적 관점에서 데마 신에 대한 생각은 이미 문제가 있으며, 옌젠이 주장하는 서로 다른 문화의 신화 사이의 유사성은 고고학적 또는 경험적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3. 2. 사회인류학적 해석

하이누웰레 신화는 사회 인류학적 측면에서 깊이 해석될 수 있다. 하이누웰레가 사람들에게 준 선물은 유용했지만, 배설물이라는 불결한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강조된다. 신화에 나오는 물건들은 16세기 이전 세람 섬에서는 구할 수 없었던 외래품이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9][10]

11~14세기 송-원 왕조 시대의 석기 도자기가 말루쿠 제도에서 널리 퍼져 있었고, 특히 녹색 유약 청자는 결혼 의례나 분쟁 해결에 중요하게 사용되었다.[9][10] 14세기부터는 태국과 베트남의 유약 도자기가 유입되었고, 중국 명나라 시대의 무역 정책 변화에 따라 그 수가 증가했다. 이러한 외래 물품들은 해안 항구 지역뿐만 아니라 외딴 내륙 및 고지대 지역까지 분포했는데,[9][10] 이는 지역 및 지역 외 가치 사슬이 해안, 항구, 내륙(고지대) 지역과 사람들을 모두 포함했음을 보여준다.

2000년 이상 사용된 청동 북과 징은 군도 전역에 퍼져 있었고, 한나라 시대부터 중국까지 이르는 향신료 무역과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말루쿠에서 온 향신료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16세기 초 유럽 식민 시대가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중동과 유럽에 도달했다. 금, 은, 청동(특히 징), 유리(팔찌와 구슬), 철 제품도 서구 식민주의 이전부터 거래를 통해 구할 수 있었다. 2000년 이상 전 인도 아리카메두에서 유래된 인도-태평양 구슬 기술은 오늘날까지도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품목으로 유통되고 있다.

세람 섬에서 1990년대에 발견된 유적에서는 식민지 이전 중국 유리 팔찌 파편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서기 1천 년대 중후반 스리비자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향신료(정향, 육두구, 메이스)는 지역 외 무역과 수요의 중심이었으며, 이러한 품목들은 말루쿠 고유의 것이었고, 그 원천을 통제하려는 시도가 서구 식민주의를 이끌었다. 진주, 진주 조개, 향기로운 나무, 극락조 깃털 등과 사고, 케나리, 야자 설탕, 발효된 야자 음료, 트리팡, 생선, 고기 등도 매우 중요했다.[9][10]

하이누웰레의 다양한 선물들은 부패의 요소를 가져와, 아레카 열매의 표준 선물로 대표되는 균질한 사회에 불평등, 탐욕, 질투를 가져왔다. 하이누웰레의 선물은 일종의 "뇌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오염시키고 타락시켜 사회 경제적 갈등과 이상적 상태로부터의 일탈을 초래했다.

하이누웰레 신화는 한 시대의 종말과 다른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해석된다.[11] 하이누웰레를 통해 얻은 물질적 물건들로 인해 발생한 갈등에 따라, 인간의 사망은 영적 세계와 신들과의 평화를 재도입하기 위한 일종의 보상이 되었다.

이러한 해석은 논쟁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지역 버전은 일반적인 일관성을 보이지만 상당한 변형을 보인다. 다양한 해석이 제기될 수 있으며, 지역 전문가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3. 3. 비판적 관점

옌젠의 '데마 신격' 개념과 사회인류학적 해석은 비판적인 관점에서 볼 때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옌젠은 매우 멀리 떨어진 서로 다른 문화권의 이질적인 신화들을 무리하게 연결하려는 경향을 보인다.[9][10] 이는 문화 형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설득력이 떨어진다.

또한, 옌젠의 주장은 고고학적 증거나 경험적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그의 이론이 추정에 불과하며,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4. 해당 사례

인도네시아 세람 섬 서부의 웨마레족에게 전해지는 농경 기원 신화(살해된 여신 신화)는 다음과 같다.[14]

바나나에서 비롯된 최초의 인류인 아홉 가문 중 한 명인 독신 남성 "아메타"는 사냥 중 멧돼지 어금니에서 코코야자 열매를 발견한다. 꿈에서 계시를 받아 열매를 심자 3일 만에 나무로 자라고, 다시 3일 후 꽃이 핀다. 아메타가 야자주를 만들려고 꽃을 자르다 손가락을 다쳐 피가 꽃에 튀자, 9일 후 소녀(하이누웨레)로 변한다. 하이누웨레는 여러 가지 귀한 물건을 대변으로 배설하는 능력이 있어 아메타는 부자가 된다.[15]

성스러운 춤의 광장 타메네 시와에서는 9일 밤 연속 마로 춤이 열렸다. 춤꾼들은 나선형으로 춤을 추고, 중앙의 여자들은 빈랑과 kina|키나ms 잎을 나눠준다. 하이누웨레는 처음에는 빈랑 대신 산호를, 이후에는 중국산 자기, 큰 칼, 구리 실리 그릇, 등 점점 더 값비싼 물건을 나눠준다. 사람들은 이를 꺼리고 질투하여 하이누웨레를 암살하기로 결심하고, 아홉째 날 밤 춤을 추는 동안 생매장한다.[16]

아메타는 점을 쳐서 딸이 살해당했음을 알고, 코코야자 잎맥으로 묻힌 장소를 찾아낸다. 양팔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잘게 썰어 땅에 묻자, 그 자리에서 고구마류(참마와 토란)가 생겨나 인류의 주식이 되었다.[17]

아메타는 딸의 양팔을 안고 여신 물루아 사테네에게 호소한다. 여신은 분개하여 인간계를 떠나기로 하고, 아홉 겹 나선형 문을 만들어 인간들을 선별한다. 명령에 따르지 않는 자는 동물이나 정령이 되었다. 문을 통과하는 자들은 사테네에게 하이누웨레의 팔에 맞고, 큰 나무 왼쪽으로 가는 자는 "파탈리마"(다섯 사람), 오른쪽으로 가는 자는 "파타시와"(아홉 사람)가 되었다. 웨마레족과 알루네족은 "아홉 사람"에 속한다.

이는 인간에게 수명이 주어졌음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인간에게 죽음이 없는 낙원이었지만, 하이누웨레 살해 후 인류는 정해진 수명을 부여받고 죽은 후 문을 통과하여 죽음의 여신 사테네를 만나야 한다.

고구마류 재배는 약 1만 년 전부터 시작된 원시적인 농경 형태로 추정된다.

4. 1.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이러한 유형의 신화는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퍼져 있으며, 이들 지역은 모두 고구마류를 주식으로 삼았던 민족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옌젠은 이러한 민족을 원시적인 작물 재배 문화를 가진 "고(古)재배민"으로 분류했다. 하이누웰레 신화는 고재배민에게 특징적인 풍습인 머리 사냥과 식인 의례의 유래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18]

이들의 의례에는 제물로 바쳐진 인간이나 가축 등 동물을 도살한 후 고기 일부를 모두 먹고 나머지를 밭에 뿌리는 습관이 있었는데, 이는 신화와 의례를 밀접하게 연결하는 예로 여겨졌다.[18] 예를 들어 뉴기니 중앙부에 살았던 마린드 아님족은 마요라는 축제(마요 제의) 동안 "마요 소녀"라고 불리는 젊은 여성을 남자들이 모두 범한 후 죽여 고기를 먹고 남은 뼈를 모아 싹이 돋아난 코코야자 묘목 옆에 한 조각씩 나누어 묻고 피는 야자나무에 붉게 칠했다고 한다.

마요 제의는 성인식의 의미도 지니는데, 젊은이들에게 신화에서 이야기되는 원초적인 데마 신의 시대로 되돌린 다음 하이누웰레적인 존재를 죽이게 함으로써 데마 신과 인간이 분리되고 현재의 (식물을 재배하여 먹는) 문화와 세계 질서가 성립된 과정을 체험하게 한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은 인간이 되는 과정을 완료한다.

이러한 의례는 여성의 "생명을 낳는 힘", 혹은 "생명" 그 자체를 자신에게 받아들이고, 대지에 나누어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생명력이 고갈된 자신, 대지, 세계를 재생하고 부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념은 일본의 정월 풍습인 토시가미의 영혼이 깃든 가가미모치를 깨뜨려 먹는 행위(카가미비라키)나,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심으로써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는 설화와도 연결된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영원히 살 것이다. 사람의 아들의 살을 먹고 그의 피를 마시지 않으면 너희 안에는 생명이 없다. 나의 살을 먹고 나의 피를 마시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얻고 나는 그를 마지막 날에 부활시킬 것이다. 나의 살은 참된 음식이요, 나의 피는 참된 음료이기 때문이다." (요한복음 6:51-55)

일본 신화의 오오게츠히메나 우케모치・와쿠무스비에게도 하이누웰레형 설화가 나타나며(일본 신화에 있어서 식물 기원 신화 참조),[19] 일본 신화에서는 보물이나 고구마류 대신 오곡이 발생한다. 이는 일본 신화에 남방 기원 신화가 포함되어 있으며, 작물의 종류만 현지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신화에 삽입된 이야기가 중국 남부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이 아니냐는 가설도 있다.[20]산해경』에는 중국 남부에 있는 음식신인 후직의 무덤 주변에는 곡물이 자연적으로 생겨난다는 기술이 있다.

혹은 일본 열도 내에서 남방계 신화와 대륙계 신화를 절충했을 수도 있고, 남방계 고구마류 기원 신화가 대륙을 경유하여 곡물 기원 신화로 진화하여 일본 열도에 전해졌을 가능성도 있다.

신화의 전파는 한 번만 일어났다고 단정할 수 없다. 일본 열도에는 수만 년 동안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한 인류가 도래했으므로, 하이누웰레형 신화도 진화 단계와 내용이 다른 다양한 형태로 여러 번 전해졌을(반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일본 열도의 조몬 시대에 제작된 토우는 대부분 흩어지거나 신체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지하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하이누웰레형 신화와 같은 시체 화생 신화에 따라 풍요를 기원하며 의도적으로 묻힌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러한 점들로부터 일본에서의 하이누웰레형 신화의 기원은 8세기에 기록된 것보다 훨씬 오래되어 조몬 시대 중기(기원전 3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조몬 시대 초기 토우는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토우를 파괴하는 사회 제도가 없었음을 시사한다.

하이누웰레 신화에서 식물에서 태어난 딸을 양녀로 삼아 부자가 된다는 부분은 일본의 가구야 공주를 연상시킨다. 하이누웰레는 대변으로 재물을 내지만, 가구야 공주는 대나무 속에서 재물이 나온다. 가구야 공주는 중국에서 전래된 불교 설화를 바탕으로 하지만, 이야기의 일부분으로 하이누웰레형 신화가 불교 설화와 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이누웰레 신화에는 "중국제 자기"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중국이 자기를 해외에 활발하게 수출한 명나라(14세기~17세기) 시기에 이야기가 개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야기 후반부에 마태복음 25장과 유사한 내용이 쓰여 있어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4. 2. 뉴기니 마린드 아님족의 마요 제의

뉴기니 중앙부에 살았던 마린드 아님족은 마요라는 축제(마요 제의)를 지냈다. 이 축제에서는 "마요 소녀"라고 불리는 젊은 여성을 남자들이 모두 성관계를 한 후 죽여서 그 고기를 먹었다. 그리고 남은 뼈는 싹이 돋아난 코코야자 묘목 옆에 한 조각씩 나누어 묻고, 피는 야자나무에 붉게 칠했다[18]고 한다.

마요 제의는 성인식의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젊은이들에게 신화에서처럼 (식물과 인간의 구별이 없던) 원초적인 데마 신의 시대로 되돌린 다음, 하이누웰레와 같은 존재를 죽임으로써 데마 신과 인간이 나뉘어 현재와 같이 식물을 재배하여 먹는 문화와 세계 질서가 성립된 과정을 다시 체험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은 인간이 되는 과정을 완료한다.

이러한 의례는 여성의 "생명을 낳는 힘", 또는 "생명" 그 자체를 자신에게 받아들이고, 또 대지에 나누어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생명력이 고갈된 자신, 대지, 세계를 재생하고 부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4. 3. 일본 신화

일본 신화의 오오게츠히메나 우케모치, 와쿠무스비에게도 하이누웰레형 설화가 나타난다(일본 신화에 있어서 식물 기원 신화 참조).[19] 일본 신화에서는 이들 신의 시신에서 보물이나 고구마류 대신 오곡이 발생했다. 이는 일본 신화에 남방 기원의 신화가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작물의 종류만 일본 환경에 맞게 현지화된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일본 신화에 삽입된 이 이야기가 중국 남부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20] 산해경에는 중국 남부의 음식신인 후직의 무덤 주변에서 곡물이 자연적으로 생겨난다는 기록이 있다.

혹은 일본 열도 내에서 남방계 신화와 대륙계 신화가 절충되었을 가능성, 또는 남방계 고구마류 기원 신화가 대륙을 경유하여 곡물 기원 신화로 진화하여 일본 열도에 전해졌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신화의 전파는 한 번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일본 열도에는 수만 년 동안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한 인류가 도래했으므로, 하이누웰레형 신화도 진화 단계와 내용이 다른 여러 변형이 전해졌을(반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일본 조몬 시대에 제작된 토우는 대부분 흩어지거나 신체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지하에서 발견된다. 이는 하이누웰레형 신화와 같은 시체 화생 신화에 따라 풍요를 기원하며 의도적으로 파괴하여 묻었다는 설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점은 일본에서 하이누웰레형 신화의 기원이 8세기 고사기, 기기 신화에 기록된 것보다 훨씬 오래되어 조몬 시대 중기(기원전 3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몬 시대 초기 토우는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는데, 이는 토우를 파괴하는 사회 제도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하이누웰레 신화에서 식물에서 태어난 딸을 양녀로 삼아 부자가 된다는 부분은 일본의 가구야 공주를 연상시킨다. 하이누웰레가 대변으로 재물을 낸다면, 가구야 공주는 대나무 속에서 재물이 나온다. 가구야 공주는 중국에서 전래된 불교 설화가 바탕이지만, 이야기의 일부분으로 하이누웰레형 신화가 불교 설화와 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이누웰레 신화에는 "중국제 자기"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는 중국이 자기를 해외에 활발하게 수출한 명나라(14세기~17세기) 시기이므로, 근세에 개편된 버전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야기 후반부에 마태복음 25장과 유사한 내용이 있어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 개편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4. 4. 조몬 시대 토우

일본 조몬 시대에 제작된 토우는 대부분 흩어지거나 신체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지하에서 발견된다. 이는 하이누웰레형 신화와 같은 시체 화생 신화에 따라 풍요를 기원하며 의도적으로 파괴하여 묻었다는 설이 있다.[18] 이 설에 따르면 이러한 풍습은 조몬 시대 중기(기원전 3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조몬 시대 창세, 초기, 전기 토우는 거의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어 그 이전에는 토우를 파괴하는 사회 제도가 없었음을 보여준다.

4. 5. 가구야 공주

인도네시아의 하이누웰레 신화에서 식물에서 태어난 딸을 양녀로 삼아 부자가 된다는 내용은 일본의 가구야 공주를 연상시킨다. 하이누웰레는 대변으로 재물을 만들지만, 가구야 공주는 대나무 속에서 재물이 나온다는 차이가 있다. 가구야 공주는 중국에서 전래된 불교 설화가 바탕이 되었지만, 하이누웰레형 신화도 불교 설화와 융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0]

5. 현대적 의의

(빈칸)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06
[2] 서적 Hainuwele; Völkserzählungen von der Molukken-Insel Ceram Frankfurt-am-Main 1939
[3] 웹사이트 The study of religion(s) in Western Europe II - Michael Stausberg http://michaelstausb[...]
[4] 서적 The Masks of God: Primitive Mythology 1959
[5] 서적 Hainuwele
[6] 서적 Hainuwele
[7] 서적 Myth and Cult among Primitive Peopl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8] 서적 Hainuwele
[9] 학위논문 Protohistoric Archaeology and Settlement in Central Maluku, Eastern Indonesia http://scholarbank.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08
[10] 학위논문 Subsistence system diversification in Southeast Asian and the Pacific: where does Maluku fit? University of Hawaii 1999
[11] 서적 Introduction: Religion and Ritual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
[12] 서적 世界神話事典
[13] 서적 世界神話事典
[14] 간행물 19791
[15] 간행물 1986
[16] 간행물 1986
[17] 간행물 1992
[18] 서적 世界神話事典
[19] 서적 世界神話事典
[20] 서적 稲作の神話 弘文堂 1973
[2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06
[22] 서적 Hainuwele; Völkserzählungen von der Molukken-Insel Ceram Frankfurt-am-Main 1939
[23] 웹인용 The study of religion(s) in Western Europe II - Michael Stausberg http://michaelstaus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