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피줄라 아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피줄라 아민은 1929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난 정치인으로, 카불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교사로 활동했다. 미국 유학 중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되었으며, 1965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에 가입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외무부 장관을 거쳐 총리에 임명되었으나, 권력 투쟁 끝에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를 제거하고 집권했다. 그의 급진적인 정책과 억압적인 통치는 국내외에서 반발을 샀고,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과정에서 살해되었다. 아민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역사에서 가장 어두운 시기 중 하나로 평가되며, 그의 유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외무장관 - 모하마드 다우드 칸
모하마드 다우드 칸은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총리 재임 후 쿠데타를 통해 왕정을 폐지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소련과의 관계 및 여성 지위 향상에 힘썼으나 파키스탄과의 갈등을 겪었고, 이후 소련과의 관계 재조정을 시도했으나 사우르 혁명으로 암살당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외무장관 - 압둘라 압둘라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 압둘라 압둘라는 안과의사 출신으로 무자헤딘 활동, 외무장관 역임 후 대통령 선거에 여러 번 출마했으며, 권력 분점 협정에 따라 최고 행정관을 지내고 국가 화해 고등 평의회 의장으로서 평화 협상을 주도했으나 탈레반 집권 후 입지가 약화되었다. - 1979년 살인 사건 - 김형욱
김형욱은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장을 지내며 권력 핵심으로 활동했으나, 미국 망명 후 정권 비판 활동을 하다 프랑스 파리에서 실종되었고, 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는 그의 죽음을 중앙정보부의 살해로 결론지었다. - 1979년 살인 사건 - 리처드 사이크스
리처드 사이크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외무부에서 근무한 영국의 외교관으로, 여러 국가에서 대사직을 수행하다 1979년 헤이그에서 아일랜드 공화국군에 의해 암살당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암살된 정치인 - 하비불라 칸
하비불라 칸은 1872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나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근대화,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1919년 암살당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암살된 정치인 - 압둘 하크
압둘 하크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활약한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 지도자이자 정치인으로, 탈레반 정권에 저항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2001년 처형당했다.
하피줄라 아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 |
출생일 | 1929년 8월 1일 |
출생지 | 파그만, 아프가니스탄 왕국 |
사망일 | 1979년 12월 27일 |
사망지 | 타지베크 궁전, 카불,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
사망 원인 | 머리에 총상으로 인한 암살 (소련 스페츠나츠의 스톰 333 작전 중) |
안장 장소 | 타지베크 궁전 부지 |
소속 정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할크) |
학력 | 컬럼비아 대학교 (MA) |
직업 | 교사, 공무원 |
배우자 | 파트마나 |
자녀 | 24명 |
충성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
참전 전투 | 사우르 혁명 1979년 봉기 스톰-333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서기장 | |
임기 시작 | 1979년 9월 14일 |
임기 종료 | 1979년 12월 27일 |
이전 |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
다음 | 바브라크 카르말 |
아프가니스탄 국가원수 (혁명평의회 의장) | |
임기 시작 | 1979년 9월 14일 |
임기 종료 | 1979년 12월 27일 |
이전 |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
다음 | 바브라크 카르말 |
아프가니스탄 총리 (내각평의회 의장) | |
임기 시작 | 1979년 3월 27일 |
임기 종료 | 1979년 12월 27일 |
이전 |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
다음 | 바브라크 카르말 |
지도자 |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자신 |
아프가니스탄 국방부 장관 | |
임기 시작 | 1979년 7월 28일 |
임기 종료 | 1979년 12월 27일 |
이전 | 모함마드 아슬람 와탄자르 |
다음 | 모함마드 라피 |
총리 |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자신 |
아프가니스탄 외무부 장관 | |
임기 시작 | 1978년 5월 1일 |
임기 종료 | 1979년 7월 28일 |
이전 | 모함마드 다우드 칸 |
다음 | 샤 왈리 |
총리 |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자신 |
2. 초기 생애 및 교육
하피줄라 아민은 1929년 8월 1일 아프가니스탄 파그만의 카지 켈(Qazi Khel) 마을에서 길자이 파슈툰족 카로티(Kharoti) 가문에서 태어났다.[13] 그의 아버지는 공무원이었으며, 아민이 8살이던 1937년에 사망했다. 초등학교 교사였던 형 압둘라(Abdullah)의 도움으로 아민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을 받을 수 있었고, 이후 카불 대학교(KU)에 진학하여 수학을 전공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카불의 다룰 무알리민 교원대학(Darul Mualimeen Teachers College)을 졸업하고 교사가 되었다.
1965년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온 아민은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에 가입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66년 PDPA 중앙위원회 비투표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67년 정식 회원이 되었다. 1969년에는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의회에 진출했는데, 이는 PDPA 내 강경 분파인 칼크파 소속으로는 유일한 당선이었다.
아민은 교육계에서 경력을 쌓아 다룰 무알리민 대학의 부학장, 명문 학교인 아베시나 고등학교(Avesina High School)의 교장을 역임했다. 1957년에는 미국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교육학 석사(MA) 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 대학교 재학 시절 아민은 마르크스주의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58년에는 대학 내 사회주의 진보 클럽(Socialist Progressive Club)의 회원이 되었다.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온 후, 아민은 카불 대학교에서 교사로 일했고, 이후 다시 아베시나 고등학교 교장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훗날 정치적 동지가 되는 공산주의자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를 알게 되었다. 아민은 아베시나 고등학교 교장직을 그만두고 다룰 무알리민 대학 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962년, 아민은 두 번째로 미국 유학길에 올라 위스콘신 대학교의 작업-연구 그룹에 등록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 교원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 시기 그는 정치 활동에 더 몰두하며 학업에는 소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3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아프가니스탄 학생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이 학생회는 CIA의 자금 지원 통로 또는 위장 단체로 알려진 아시아 재단(the Asia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았다.[14] 이 두 번째 유학 기간 동안 아민의 사상은 더욱 급진화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1960년대 중반 아프가니스탄으로 귀국할 당시, 그가 모스크바를 경유하여 오랜 친구이자 전 교육부 장관이었던 알리 아마드 포펠(Ali Ahmad Popel)을 만났다는 설과, 서독과 레바논을 거쳐왔다는 주장이 있다. 귀국했을 때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은 이미 1965년 창당 대회를 마친 상태였다. 아민은 1965년 총선에 PDPA 후보로 출마했으나 50표 미만의 차이로 낙선했다.
1966년 PDPA 중앙위원회가 확대되면서 아민은 투표권이 없는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67년 봄에는 정식 위원이 되었다. 1967년 PDPA가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가 이끄는 칼크파와 바브라크 카르말이 이끄는 파르참파로 분열되었을 때, 아민은 칼크파에 합류했다. 1969년 총선에서 그는 칼크파 소속으로는 유일하게 의회에 당선되어 당내 입지를 크게 강화했다. 국회의원으로서 아민은 군대 내 파슈툰족 장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으며, 제국주의, 봉건주의, 그리고 당시 아프가니스탄 왕정의 "부패한" 체제에 맞서 싸웠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의원직을 부르주아지에 대한 계급 투쟁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 기간 동안 칼크파와 파르참파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의회 내 유일한 칼크파 의원이었던 아민과 유일한 파르참파 의원이었던 바브라크 카르말은 서로 협력하지 않았다.
3. 정치 경력
1973년부터 1977년 PDPA 통합 시기까지 아민은 칼크파 내에서 타라키에 이어 2인자로 부상했다. 공식적으로는 타라키를 따르는 제자로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서로의 필요에 의한 업무 중심적 관계였다. 타라키는 아민의 전략적 능력을 필요로 했고, 아민은 자신의 지위를 위해 타라키와 협력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이 과정에서 아민은 카르말을 비롯한 많은 정적을 만들었다.
1973년 다우드 칸이 쿠데타로 왕정을 무너뜨리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을 수립하자, 칼크파는 자신들을 포함하는 국가 전선 구성을 조건으로 신생 정권 지지를 제안했다. 반면, 이미 다우드와 손을 잡고 있던 온건 분파인 파르참파는 칼크파 해산을 요구하며 두 분파 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아이러니하게도 파르참파의 다우드 정권 참여는 군부 내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다우드에게 실망하여 독립적인 칼크파로 돌아서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결과적으로 1978년 칼크파 주도의 사우르 혁명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1973년부터 1978년 혁명 발발 직전까지 아민은 아프가니스탄 군부 내 당 활동 조직을 책임졌다. 그는 다우드가 집권 초기에 약속과 달리 "좌파를 배신"했다고 여겨 불만을 품은 군 장교들을 효과적으로 포섭할 수 있었다. 칼크파와 파르참파의 관계는 1973년 파르참파 소속 군인이 칼크파 지도부 암살을 계획했다는 소문이 돌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아민은 1976년에 다우드 정권 전복을 주장하기도 했으나, 당시에는 당 지도부 다수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77년,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압력 등으로 두 분파는 공식적으로 통합하여 PDPA는 단일 조직이 되었다.
1978년 4월, 파르참파의 주요 이론가였던 미르 악바르 카이베르가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다우드 정권의 소행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PDPA가 권력을 장악하는 사우르 혁명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3. 1. PDPA 집권 및 파벌 갈등
1978년 4월 18일, 파르참파의 주요 이데올로그였던 미르 악바르 카이베르가 사망했다. 그는 다우드 정부에 의해 암살당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믿음이었다. 카이베르의 암살은 일련의 사건들을 촉발하여 11일 후인 4월 27일에 PDPA가 권력을 장악하는 사우르 혁명으로 이어졌다. 암살범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파르참파 당원이었던 아나히타 라테브자드는 아민이 암살을 지시했다고 믿었다.
카이베르의 장례식은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번졌다. 사태의 심각성을 간과한 다우드는 장례식 7일 후 PDPA 당원들을 대량으로 체포하기 시작했다. 다우드에 맞선 후속 혁명을 조직한 아민은 당국에 체포된 중앙위원회 위원 중 마지막 인물 중 하나였다. 그의 늦은 체포는 정권의 정보 부족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민은 혁명의 주요 조직자였다. 정부의 상황 인식 부족은 타라키의 체포로도 드러났다. 타라키의 체포는 혁명 개시를 위한 사전 합의된 신호였다.
아민은 타라키가 체포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4월 27일 오전 9시에 혁명을 시작하라고 명령했다. 타라키와 달리 아민은 투옥되지 않고 가택 연금 상태였다. 그의 아들인 아브두르 라흐만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아프가니스탄 군부의 압도적인 지지 덕분에 혁명은 성공했다. 예를 들어, 국방부 장관 굴람 하이데르 라술리, 지상군 사령관 아슬람 와탄자르,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공군 참모총장 압둘 카디르 등이 혁명을 지지했다.
3. 2. 아민의 집권
1979년 9월,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를 실각시킨 후[18] 하피줄라 아민은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 정치국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혁명평의회 의장 겸 PDPA 중앙위원회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타라키의 모든 당직 해임과 아민의 서기장 선출은 만장일치로 이루어졌다. 9월 16일, 아민은 공식적으로 혁명 평의회 의장과 PDPA 서기장에 취임하여 아프가니스탄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18]
아민은 집권 후 소수의 내각 구성원만을 교체하며 기존 관료들의 지지를 확보하려 했다. 그는 정권이 반이슬람적이지 않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온건적인 정책을 펼쳤다. 모스크 재건 및 수리에 투자하고, 종교의 자유를 약속했으며, 꾸란을 배포하고 연설에서 알라를 언급했다. 심지어 사우르 혁명이 "완전히 이슬람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1979년 9월 20일, 아프가니스탄 우라마 협회는 아민의 집권을 공식 승인했고, 아민이 독실한 무슬림이라는 발표가 이어졌다. 이는 공산 정권이 무신론적이라는 반정부 선전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 아민은 또한 부족 집단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으며, 전통적인 파슈툰 복장을 한 공식 전기를 출판하기도 했다. 그는 집단 지도 체제를 약속하며 "이제부터는 일인 정부는 없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해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프간인들은 아민을 정권의 전체주의적 행태와 연관 지었다. 아민은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타라키 정권 하에서 처형된 1만 8천 명의 명단을 공개하고 책임을 타라키에게 돌렸지만, 실제로는 타라키와 아민 통치 기간 동안 적게는 1만 7천 명에서 많게는 4만 5천 명이 체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민 정권 하에서 공산 정권에 대한 반대는 더욱 거세졌고, 정부는 농촌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갔다. 아프가니스탄군은 탈영으로 인해 병력이 사우르 혁명 직후 10만 명에서 5만~7만 명 수준으로 급감하는 등 약화되었다.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아민에게 지하드를 선포했고, 남부 팍티야주 등 일부 지역은 사실상 무자헤딘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18]
아민은 집권 후 소련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려 했다. 그는 소련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반공 지도자 굴부딘 헤크마티아르와 접촉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며 미국 외교관들과 접촉하고 미국 언론과 인터뷰했지만, 아돌프 더브스 미국 대사 사망 사건 연루 의혹 등으로 인해 관계 개선에는 실패했다. 파키스탄의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파키스탄은 다른 한편으로 아민 정권에 반대하는 무자헤딘을 지원하고 있었다.
한편, 소련 지도부는 타라키 축출에 불만을 품고 있었지만, 초기에는 아민의 정책을 어느 정도 용인하며 모스크바 방문을 초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민이 점차 독자 노선을 강화하고 소련과의 관계에서 불성실한 태도를 보이자 소련의 불신은 깊어졌다. KGB는 아민이 반소련 선동을 조장하고 소련의 입장을 왜곡 전달하며, 친미 외교 노선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소련 정치국은 아민을 "잔혹함과 배신으로 구별되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지도자"로 평가하며, 그의 족벌주의와 서방과의 관계 개선 시도를 비판했다. 아민은 소련 관리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초상화를 집무실에 두며 "스탈린 동지는 우리에게 후진국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고 말하기도 했다.[18]
소련 내에서는 아민 정권의 불안정성과 통제력 상실, 그리고 친서방 노선 전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특히 유리 안드로포프 KGB 의장은 아민의 대량 탄압이 아프간 정부의 위기 대처 능력을 파괴했다며 군사 개입을 강력히 주장했다. 결국 1979년 10월 말, 소련 지도부는 아민 제거를 결정하고 망명 중이던 파르참파 지도자 바브라크 카르말과 접촉했다. 12월 12일,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개입 계획을 승인했고, 12월 25일 소련 공수부대가 카불에 도착했다. 아민은 소련군의 의도를 오판하고 있었다. 1979년 12월 27일, 소련 KGB 특수부대는 폭풍-333 작전을 개시하여 대통령궁을 습격했고, 이 과정에서 아민은 살해되었다.[18]
4. 아민 정권의 몰락과 죽음
하피줄라 아민의 집권 이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정부는 토지 개혁을 포함한 여러 사회주의 정책을 도입했으나, 이는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의 광범위한 반발을 샀다. 1979년 초에는 아프가니스탄 28개 주 중 25개 주에서 정부에 대한 무장 저항이 일어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었다. 특히 1979년 3월 헤라트에서 발생한 봉기는 정부와 무자헤딘을 포함한 반정부 저항 세력 간의 전면적인 내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아민은 자신을 독실한 무슬림으로 내세우며 민심을 얻으려 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시아파 지도자들과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저항은 계속되어 카불의 시아파 거주 지역에서도 봉기가 발생하는 등[15] 정권의 기반은 계속 흔들렸다.
아민은 집권 후 소련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의 소련 의존도를 줄이려 했으며, 주요 반공주의 지도자 중 한 명인 굴부딘 헷마티아르와 비밀리에 접촉하기도 했다. 또한 아돌프 더브스 미국 대사 사망 사건 연루 의혹으로 악화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며 미국 외교관들과 접촉하고 미국 언론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러한 아민의 행보는 소련 지도부의 의심과 우려를 키웠다. 소련은 아민이 친소련 노선에서 벗어나 친미 또는 서방 노선으로 돌아설 가능성을 경계했다.
소련 지도부 내에서는 아민 정권에 대한 불신이 깊어졌다.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서기장을 비롯한 정치국은 처음에는 군사 개입에 소극적이었으나, KGB 의장 유리 안드로포프, 외무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 국방장관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등이 포함된 아프가니스탄 특별 위원회는 아민 제거를 포함한 적극적인 개입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특히 안드로포프는 아민의 정책이 아프가니스탄 군대와 정부의 위기 대처 능력을 파괴했으며, 그를 제거하고 바브라크 카르말을 내세워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아민과 알렉산더 푸자노프 소련 대사와의 관계 악화, 아민의 반소련 선동 및 소련 시민 괴롭힘 증가 등에 대한 KGB의 보고는 소련 지도부의 개입 결정을 재촉했다. 결국 소련 정치국은 아민을 "잔혹함과 배신으로 구별되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지도자"로 규정하고, 1979년 12월 초에는 망명 중이던 바브라크 카르말과 아사둘라 사르와리를 새로운 지도자로 낙점했다.
1979년 12월 12일, 소련 지도부는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군사 개입을 최종 결정했다. 아민은 소련의 의도를 끝까지 잘못 판단하고 있었다. 그는 아프가니스탄 정보부가 소련의 침공 가능성을 보고했을 때 이를 제국주의의 선전이라고 일축했으며, 오히려 소련군 파병을 자신의 정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여겼다. 아민은 소련군 파병 결정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2월 20일, 신변 안전을 우려한 아민은 카불 중심부의 대통령궁에서 외곽의 타지베그 궁전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 궁전은 견고한 방어 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며, 2,500명의 대통령 경호대와 T-54 전차 등이 배치되어 있었다. 소련군은 아민 제거를 위해 여러 차례 암살을 시도했다. 12월 13일에는 독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저격 시도 역시 아프가니스탄 측의 보안 강화로 무산되었다. 12월 27일 궁전 공격 직전, 소련 KGB 요원 미하일 탈리보프는 아민이 주최한 점심 식사 자리에서 다시 독살을 시도했다. 아민은 독에 중독되어 의식을 잃었으나, 함께 마신 코카콜라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21]
두 차례의 암살 시도가 실패하자 소련 지도부는 무력을 사용하여 아민을 제거하기로 최종 결정했다.[20] 1979년 12월 27일 저녁, 소련 특수부대는 폭풍-333 작전을 개시하여 타지베그 궁전을 급습했다. 공격이 시작되자 아민은 여전히 소련이 자신을 돕고 있다고 믿으며 부관에게 "소련이 우리를 도울 것이다"라고 말했으나, 이내 소련군이 공격의 주체임을 깨닫고 "내 생각이 맞았어. 다 사실이야"라고 중얼거렸다고 전해진다. 아민은 궁전 내부에서 벌어진 교전 중 사망했다. 그의 정확한 사망 경위는 불분명하며, 고의적인 사살이었는지, 아니면 교전 중 유탄에 맞아 사망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 그의 아들 역시 교전 중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으며, 딸은 부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았다. 아민의 동생 압둘라와 조카 아사둘라 아민 등 남성 가족들은 이후 처형되었고,[22] 딸을 포함한 여성 가족들은 풀-에-차르키 교도소에 수감되었다가 1992년 모하마드 나지불라 대통령에 의해 석방되었다.
아민 사망 직후, 카불 라디오는 바브라크 카르말의 이름으로 "오늘 아민의 고문 기계가 파괴되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방송했다. 카르말은 소련에 의해 아프가니스탄의 새로운 지도자로 임명되었으며, 이 사건은 이후 9년간 이어질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시작이 되었다.
5. 유산 및 평가
하피줄라 아민의 짧은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현대사에서 극도로 혼란스럽고 폭압적인 시기로 평가받는다. 그의 집권은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와의 치열한 권력 투쟁 끝에 이루어졌으며, 1979년 9월 타라키를 축출하고 살해한 뒤 최고 권력을 장악했다.[16]
아민은 집권 후 집단 지도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하고,[17] 모스크 복구 지원, 종교 자유 보장 약속, 꾸란 배포 등 종교적 유화책을 통해 정권의 반이슬람 이미지를 희석시키고 민심을 얻으려 시도했다. 그는 심지어 사우르 혁명이 "완전히 이슬람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피상적이었고, 많은 아프간 국민들은 그를 정권의 전체주의적 통치와 인권 유린의 핵심 책임자로 간주하며 반감을 가졌다. 그는 타라키 정권 하에서 처형된 1만 8천 명의 명단을 공개하며 책임을 전가하려 했으나,[17] 이는 아민 자신의 잔혹한 통치를 가리기 위한 시도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아민 통치 기간 동안 체포된 인원은 최소 1만 7천 명에서 최대 4만 5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의 통치 아래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 정권에 대한 저항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정부는 농촌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으며, 군대는 계속되는 탈영으로 인해 병력이 급감하여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아민은 초기에는 소련과의 우호 관계를 강조했지만, 점차 독자적인 외교 노선을 모색하며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고 소련의 내정 간섭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소련 지도부의 깊은 불신을 초래했다. 소련은 아민을 "잔혹함과 배신으로 특징지어지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지도자"로 평가하며, 그의 이중적인 태도, 족벌주의, 그리고 미국 등 서방 세계에 접근하려는 경향을 위험하게 간주했다. KGB는 아민이 아프가니스탄의 혼란을 수습하고 친소련 정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능력이 없다고 최종 판단했다.[19] 결국 소련 지도부는 아민을 제거하고 바브라크 카르말을 새로운 지도자로 내세우기로 결정, 1979년 12월 폭풍-333 작전을 개시하며 군사적으로 개입했고, 이 과정에서 아민은 사살되었다.
아민에 대한 평가는 극단적으로 나뉜다. 일부에서는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가려 했던 민족주의자로 보기도 하지만, 압도적인 다수는 그를 무자비한 탄압과 숙청을 자행한 잔혹한 독재자로 평가한다. 아민 자신은 스탈린을 숭배하며 그의 통치 방식을 따르려 했고, 소련 관리들이 그의 잔혹성을 지적하자 "스탈린 동지는 우리에게 후진국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진다.[18] 아민 사후 집권한 카르말 정권은 그를 "음모자, 전문 범죄자, 미국 정보원"이라고 맹렬히 비난했으며,[23] 당시 교육부 장관이었던 아나히타 라테브자드는 아민을 "격노하고 잔혹하며 범죄적인 살인자"로 규정하며 그의 공포 정치를 강하게 비판했다.[23] 결과적으로 아민의 짧고 폭압적인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사회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으며, 이후 이어질 소련의 군사 개입과 수십 년간의 참혹한 내전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그의 통치는 사회 자유주의와 같은 민주적 가치와는 정반대의 권위주의적이고 폭력적인 성격을 명확히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Hafizullah Amin
http://www.britannic[...]
2012-09-04
[2]
논문
Fred Halliday, The War and Revolution in Afghanistan, NLR I/119, January–February 1980
https://newleftrevie[...]
1980-02-01
[3]
웹사이트
BBC Blogs - Adam Curtis - Kabul: City Number One - Part 4
https://www.bbc.co.u[...]
2009-10-28
[4]
웹사이트
What the CIA Did (And Didn't Do) in Soviet-Occupied Afghanistan
https://newlinesmag.[...]
2021-04-26
[5]
간행물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https://apps.dtic.mi[...]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Publications
1986-01-01
[6]
뉴스
Taraki's Downfall Came Immediately After a Visit to Moscow
https://www.nytimes.[...]
1979-09-23
[7]
웹사이트
Coda. The Death of a President
https://publishing.c[...]
[8]
웹사이트
Afghanland.com Afghanistan Communism Taraki Hafizullah Amin Babrak Karmal
http://www.afghanlan[...]
2018-01-12
[9]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2005-01-01
[10]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 / Country Studies / Area Handbook Series / Afghanistan
http://www.country-d[...]
[11]
서적
Conflict in Afghanistan: A Historical Encyclopedia
[12]
뉴스
World: Analysis: Afghanistan: 20 years of bloodshed
http://news.bbc.co.u[...]
2019-02-17
[13]
웹사이트
ḠILZĪ
https://www.iranicao[...]
[14]
서적
Whiteout: The CIA, Drugs, and the Press
Verso Books
[15]
웹사이트
The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nd the Fall of Detente: A Chronology
https://nsarchive2.g[...]
[16]
서적
Humanitarian Invasion: Global Development in Cold War Afghanistan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content.libr[...]
[18]
웹사이트
Afghanistan Fiasco – HistoryNet
http://www.historyne[...]
2017-03-15
[19]
웹사이트
The Soviet Occupation of Afghanistan
https://www.pbs.org/[...]
2006-10-10
[20]
뉴스
Записки бывшего подполковника КГБ: Разведчики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Афганистане: Владимир Попов – один из авторов книги "КГБ играет в шахматы". Он служил в Комитете госбезопасности с 1972–го по 1991 год, работал в отделах, которые курировали выезжающих за границу, творческие союзы и международное спортивно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В августе 1991 года отказался поддерживать путч, был уволен из спецслужбы в звании подполковника и вскоре эмигрировал в Канаду. Не так давно 72-летний Попов завершил работу над документальной книгой "Заговор негодяев. Записки бывшего подполковника КГБ", в которой рассказывает о становлении режима российского президента Владимира Путина, о его соратниках, а также о своей работе в комитете. Ранее книга не издавалась. С согласия автора издание "ГОРДОН" по средам эксклюзивно публикует главы из записок.
https://gordonua.com[...]
2019-12-11
[21]
뉴스
Why Did Soviets Invade Afghanistan? Documents Offer History Lesson for Trump
https://www.nytimes.[...]
2019-01-29
[22]
뉴스
Afghanistan Says 140 Died in Riots Of April and May
https://www.washingt[...]
[23]
뉴스
VOL. XVII NO. 2
http://content.libra[...]
1980-01-02
[24]
Youtube
Hafizullah Amin's loves his terror plan
http://www.youtube.c[...]
2012-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