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5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54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된 소련의 주력 전차로, T-44의 발전형이다. 1946년 T-54-1을 시작으로 여러 개량형이 생산되었으며, 100mm 주포를 장착하고 훌륭한 장갑 방호력과 내구성을 갖췄다. 1950년대 서방 국가들은 T-54를 위협으로 간주했으나, 이후 조사에서 서방의 90mm 포와 비슷한 위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헝가리 혁명, 베트남 전쟁 등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다.

2. 개발 역사

T-54는 제2차 세계 대전T-34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T-44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 T-44는 차체 설계는 진보적이었지만, T-34-85와 동일한 85mm 주포를 장착하여 화력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 T-54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100mm 주포를 탑재하여 화력을 강화했다.[10] 주요 가상 적은 나치 독일의 판터 중전차였다.

1945년, 우랄 산맥 지방으로 이주했던 하르키우 설계국(현재 O.O. 모로조프 기념 하르키우 기계 제작 설계국(KhKBM))이 우크라이나 하르키우로 돌아와 최초의 T-54를 제작했다. 이 전차는 처음에는 T-44V로 불렸지만, 곧 T-54로 개칭되었다.

2. 1. 이전 전차

소련의 1940년대 중형전차 T-34는 화력, 방호력, 기동력에서 균형이 잘 잡힌 전차로 평가받았다.[1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T-34의 개발은 계속되었지만, 전시 상황으로 인해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1943년 모로조프 계획국은 T-34M 개발 계획을 부활시켜 T-44 전차를 생산했다. T-44는 토션 바 서스펜션, 개선된 변속기, 기관총 사수 좌석 제거 등으로 T-34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T-44는 100mm 주포 탑재를 위한 기반으로 활용되었지만, T-34 생산 라인을 유지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생산되었다.[10]

T-54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된 T-44의 발전형으로 설계되었다. T-44는 진보적인 차체 설계를 가졌지만, T-34-85와 같은 85mm 주포만 장착하여 화력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 T-54는 T-44를 기반으로 100mm 주포를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2. 2. T-54 초기형 (1946년형)

1947년부터 1948년에 걸쳐 생산된 T-54의 최초 기종으로, 약 1,200대가 생산되었다. 완성된 T-54는 기존의 D-5T 대신 포탑에 D-10 100mm 라이플포를 장착했다. 부무장으로는 펜더 위 장갑함에 원격 조작식 SGMT 7.62mm 중기관총 2정, 주포 동축 SGMT 7.62mm 중기관총 1정, 포탑 상부에 DShK38 12.7mm 중기관총 1정을 탑재했고, 4배율 망원 TSh-20 조준기가 장착되었다.[12]

차체는 T-44와 마찬가지로 차체 상부와 섀시가 일체형인 박스형 차체 스타일을 계승했다. T-54는 T-43에서 시험되고 T-44에서 실용화된 대구경 궤도륜과 토션 바 현가장치 조합 방식을 계승하여, 기존 주력 전차였던 T-34와 크게 달랐다. 엔진은 2단계 변속 기능을 가진 520마력의 V-54가 장착되었다.[12]

이후 형식과 구분하기 위해 '''T-54-1''' 또는 '''1946년형'''으로 불린다. 포탑 장갑은 최대 두께가 200mm이다. 찌그러진 주판알처럼 상하로 좁아지는 형태로, 하부 전체에 명중탄이 포탑 링이나 차체 상부로 유도되는 탄환 유도 장치가 있으며, 후기 돔형과는 인상이 다르다.[12] 소련에서는 196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

2. 3. T-54 (1949년형, 1951년형, 1953년형)

T-54-2 (1949년형)는 포탑 형상이 IS-3 중전차와 유사하게 변경되었고, 펜더 위의 기관총은 폐지되었다. 궤도 폭은 580mm로 확장되었다. T-54-2는 1949년 스탈린 우랄 전차공장 No. 183에서 생산을 시작했다.[12]

T-54-3 (1951년형)은 TSh-20 대신 TSh-2-22 망원경을 장착하여 포수의 시야를 넓혔고, TDA 배연체계를 갖추었다. 지휘관용 전차인 T-54K는 R-113 라디오를 탑재했다.[12] 1953년형은 포탑 후부의 샷 트랩(shot trap)을 없애 이후 소련 전차의 기본 형태가 되었다. 단순히 T-54라고 할 경우 1953년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키이우(키예프)의 대조국전쟁역사박물관에 전시된 T-54-3(1953년형). 포탑은 거의 완벽한 반구형이다.

2. 4. T-54A/T-54B

T-54A는 주포에 STP-1 수직 안정 장치가 추가된 D-10TG를 탑재했다. 야간 투시 장비와 OPVT 통풍 장치, TSh-2A-22 망원 장치, TVN-1 적외선 잠망경, IR 전조등, R-113 라디오, 자동 소화 장치 등이 추가되었다. 1954년부터 생산되어 1955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T-54AK 지휘 전차의 기반이 되었다.[12] T-54AK는 R-112 라디오 세트, TNA-2 항법 장치를 추가로 장착했고, 주포 탄약 적재량은 5발 감소했다.[12]

T-54B는 T-54A를 기반으로 1955년부터 기획되어 1957년부터 생산되었다. 주포는 D-10T2S로 변경되었고, 포구에 배연기가 장착되었다. L-2 "루나" 전조등, TPN-1-22-11 IR 사수 잠망경, OU-3 IR 지휘관 전조등이 탑재되었고, 신형 APFSDS 탄약 개발로 관통력이 향상되었다.[12] T-54B는 T-54BK 지휘 전차의 기반이 되었으며, T-54BK는 T-54AK와 동일한 장비를 갖추었다.[12]

소련에서는 특별히 구분하지 않았지만, 서방 국가에서는 T-54A와 T-54B로 구분했다.

T-54A는 주포를 D-10TG로 교체하고, 포 방열 장치와 포신 끝에 카운터웨이트를 장착했다. STP-1 "고리존트"(горизонтru|수평선)라는 수직 안정 장치가 추가되었고, 방위각 조작도 전동 또는 유압식으로 변경되었다. 열 감지식 자동 소화 장치, 신형 오일 필터, 주조 제품에서 프레스 제품으로 변경된 주행륜이 장착되었다. TVN-1 야간 조준 장치와 OPVT 슈노켈도 장착되었다.

T-54B는 주포가 D-10T2S로 변경되었고, 포구에 에바큐에이터가 장착되었다. STP-2 "츠클론"(циклонru|사이클론) 횡축 안정 장치가 추가되었지만, 행진간 사격이 가능할 정도는 아니었다. 포탑 하부에 턴테이블이 설치되어 장전수의 편의를 도왔다. 1959년부터는 야간 투시 장비가 증설되어, L-2 "루나르"() 프로젝터가 부착된 TPN-1-22-11 조준수용 적외선 야간 조준 장치와 OU-3 프로젝터로 구성된 지휘관용 야간 장치가 장착되었다. 수중 항행 장비도 증설되었고, 연료 적재량 증가로 주행 거리가 430km로 향상되었다.

폴란드군의 T-54


; T-54A

: 1955년부터 1957년에 걸쳐 생산되었다. 폴란드 (1956년-1964년), 체코슬로바키아 (1958년-1966년)에서도 생산되었으며, 이들 차량에는 클러치 조작을 돕는 공기압 서보 기구가 장착되었다.

; 59식 전차

: T-54A의 중국 라이선스 생산형이다.

; T-54B

: 1957년부터 생산되었다.

; T-54AK/T-54BK

: 지휘전차형. K-1형에는 R-113 무전기, K-2형에는 HTM-10망원경이 장착되었다.

; T-54AM

: 1960년대 중반에 제안된 T-54A의 현대화 개수 규격. 신형 V-55 엔진, 신형 무전기 등이 변경되었다. RMSh 궤도가 장착된 차량도 있었다.

; T-54Z/T-54AZ/T-54AMZ

: 동독 제안 현대화 개수 규격. 소련의 T-54AM에 준하는 규격이었다.

; T-54AR 례카

: 체코슬로바키아 제안 현대화 개수 규격. "례카"(체코어: Řeka, )는 소련의 T-54AM에 준하지만, 얕은 여울용 슈노켈을 갖추었다.

3. 개량형

T-54는 소련 및 러시아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파키스탄, 이란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개량형이 개발되었다.


  • T-54-1/T-54(1946년형):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생산된 최초 기종으로, 약 1,200대가 생산되어 소련에서 196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14]
  • T-54-2/T-54(1949년형):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생산된 초기형이다.[14]
  • T-54/T-54-3/T-54(1951년형):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되었다.[14]
  • T-54A: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폴란드(1956~1964년)와 체코슬로바키아(1958~1966년)에서도 생산되었다. 양국 생산 차량에는 클러치 조작을 공기압으로 돕는 서보 기구가 장착되었다.[14]
  • 59식 전차: T-54A의 중국 라이선스 생산형이다.[14]
  • T-54B: 1957년부터 생산되었다.[14]
  • T-54AK/T-54BK/T-54MK: 지휘전차형으로, K-1형에는 R-113 무전기, K-2형에는 HTM-10 망원경이 장착되었다.[14]
  • T-54AM: 1960년대 중반에 제안된 T-54A의 현대화 개량형으로, 신형 V-55 엔진, 신형 무전기 등이 장착되었다. 일부 차량에는 신형 궤도 RMSh가 장착되었다.[14]
  • T-54Z/T-54AZ/T-54AMZ: 동독에서 제안된 현대화 개량형으로, 소련의 T-54AM과 유사하다.[14]
  • T-54AR 례카: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제안된 현대화 개량형으로, 소련의 T-54AM과 유사하지만 얕은 강을 건널 수 있는 슈노켈을 갖추고 있다. '례카'는 체코어로 '강'을 의미한다.[14]


AT-T


이스라엘의 티란-4

  • SU-122-54: T-54 차체를 사용한 구축전차 형식의 자주포이다. 122mm 곡사포와 2문의 14.5mm 중기관총을 탑재하고, 스테레오 레인지파인더식 조준기를 갖추고 있다. 1954년~1956년 사이에 양산되었다.[14]
  • AT-T: T-54와 공통의 주행 장치를 가진 비장갑 포병 트랙터이다.[14]
  • Tiran-4: 이스라엘이 중동 전쟁에서 노획한 T-54를 개량한 전차이다.[14]
  • Tiran-4Sh: 주포를 Sharir 105mm 포(Royal Ordnance L7)로 교체한 이스라엘의 서방 규격 개량형이다.[14]
  • 람세스 2세: 이집트가 텔레다인 컨티넨털 모터스사에 의뢰하여 T-54의 주포 등을 교체한 개량형이다.[14]

3. 1. 소련 및 러시아

3. 2. 이스라엘

아크자리트는 이스라엘군이 T-54 차체를 활용하여 만든 보병전투차량이다.

3. 3. 파키스탄

알자라르 전차는 T-54의 개량형인 59식 전차를 개량하고 현대화시킨 전차이다.

3. 4. 이란

72Z식 전차는 T-54의 개량형인 59식 전차를 개량하고 현대화시킨 전차이다.

4. 생산

T-54-1의 생산은 초기에는 느리게 진행되었다. 1946년에는 3대, 1947년에는 22대가 생산되었고, 1948년에는 스탈린 우랄 전차공장 No. 183에서 285대가 생산되었다.[1] 이 시기에 우랄 전차공장에서는 T-44 생산이 완전히 종료되었다.[1] 그러나 생산은 낮은 생산 수준과 여러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1]

T-54-2는 1949년 우랄 전차공장에서 생산이 시작되어 1950년 말까지 423대가 생산되었다.[1] 1951년에는 800대 이상의 T-54-2 전차가 생산되었고, 1952년까지 생산이 계속되었다.[1] T-54A는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생산되었고, T-54B는 1957년부터 2년간 생산되었다.[1]

T-54A는 해외에서도 생산되었는데, 폴란드에서는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1958년부터 1966년까지 생산되었다.[1] 이들 국가에서 생산된 차량에는 소련에서는 T-55부터 도입된 공기압 클러치 조작 보조 장치가 장착되어 있었다.[1] 중국에서는 T-54A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59식 전차를 만들었다.[1]

5. 운용

T-54는 1956년 헝가리 혁명에서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헝가리군의 대전차포와 화염병에 의해 일부가 격파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도 베트남 인민군(북베트남군)이 T-54를 사용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사이공 시내를 행진하고 독립궁에 돌입하는 데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이후에도 여러 분쟁에 투입되었지만, 후계 기종인 T-55, T-62와 자주 혼동되어 T-54만의 전적은 명확하지 않다. 현대에도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실태는 명확하지 않다.

전차로서의 운용에서 물러난 차량의 차체는 각종 파생형으로 전용되었고, 일부는 민간에 양도되어 중량물 견인용 트랙터로 사용되었으며, 포탑만이 중소 국경이나 쿠릴 열도에서 토치카로 전용된 예가 있다.[2]

러시아 국내에서는 1980년대에 퇴역했지만 모스볼이 계속되었다. 우크라이나 침공이 계속되는 2023년에는 국내 보관소에서 T-54가 반출되는 모습이 확인되고 있다.[3] 또한 같은 해 6월, 러시아군이 대규모 폭발물을 실은 '''T-54''' 또는 T-55를 적진에 투척하여 원격 폭파하는 운용을 실시했다.[4]

5. 1. 헝가리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소련군이 T-54 전차를 사용했으며, 이 전차들 중 일부는 헝가리 시민군의 대전차무기와 화염병에 의해 파괴되었다.[15] 이때 헝가리 시민군이 탈취한 T-54 전차 한 대가 영국 대사관으로 돌진했고, 영국은 이를 계기로 T-54를 분석하여 로얄 L7포를 제작하게 되었다.[16]

5. 2.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 인민해방군은 남베트남군과 미군에 맞서 T-54를 사용했다. 1971년 2월 람선 719 작전에서 벌어진 최초의 전차전에서 남베트남 제1기갑여단의 M41 워커 불독 전차는 T-54 전차 6대와 PT-76 전차 16대를 격파했다.[17] 그러나 남베트남군도 워커 불독 5대와 수송차량 25대가 격파되었다.[18]

1972년 4월 2일, 남베트남 제20전차여단은 M48 패튼 전차 57대를 보유하고 있었다.[19] 동하를 향해 북베트남 전차대가 움직인다는 소식에 M48 패튼의 90mm 주포가 불을 뿜었고, PT-76 경전차 9대와 T-54 2대가 격파되었다.[19]

1972년 4월 9일, 제20전차여단은 2,800m 거리에서 T-54 전차에 사격했다. T-54 전차가 응사했지만 거리에 미치지 못했고, 그날 남베트남군은 T-54 전차 16대를 격파하고 59식 전차 1대를 노획했다.[20] 하지만 5월 2일까지 제20전차여단은 적의 화망으로 인해 모든 전차가 격파되었다.[21]

1972년 4월, 북베트남 제203기갑여단은 T-54 전차를 이끌고 탄캉 기지에서 남베트남 제22사단을 공격했다. 2일 간의 포격 이후 T-54 전차 18대가 제22사단을 2개 방향에서 공격했다. T-54 377번 전차 1대가 M72 LAW 대전차로켓에 격파되기 전까지 M41 전차 7대를 격파했다.[22] 북베트남군은 M41 전차 18대와 M113 장갑차 31대를 격파했고 M41 17대를 노획했다.[23]

T-54 전차는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사이공 시내를 행진하고 독립궁에 돌입하는 데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5. 3.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인민해방군을 위해 T-54A를 기반으로 59식 전차 수천 대를 생산했고,[25]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이라크 양쪽에 69식 전차를 판매하기도 했다.[26] 몇몇 전차는 이라크와 쿠웨이트에서 1991년 1월과 2월에 걸프 전쟁 때 사용되기도 했고, 2003년 이라크 침공 때 운용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방글라데시와 협력하여 59식 전차 두르조이를 생산하기도 했다.[27] 이후 중국인민해방군은 59식 전차를 개량한 69식 전차를 생산했다.

6. 운용국

СССРru (소련), 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Româniaro (루마니아), Angola영어 (앙골라)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T-54 시리즈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하르키우 기관차 공장(현재 V.O.말리셰프 기념 공장)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우랄 차량 공장(현재 우랄바곤자보트)에서 생산되었다.

T-54는 1956년 헝가리 혁명에서 처음 실전에 참가하였고, 베트남 전쟁에서도 베트남 인민군(북베트남군)이 사용하였다.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사이공 시내를 행진하고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대통령궁이었던 독립궁에 돌입한 영상이 유명하다.

후계 기종인 T-55, T-62와 혼동되거나 혼용 운용되어 T-54 시리즈만의 전적은 명확하지 않다. 현대에도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실태는 명확하지 않다.

전차 운용에서 물러난 차량은 중량물 견인용 트랙터나 토치카로 전용되기도 하였다.[2] 러시아에서는 1980년대에 퇴역했지만 모스볼이 계속되었고, 2023년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는 보관소에서 T-54가 반출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3] 같은 해 6월, 러시아군은 T-54 또는 T-55에 대규모 폭발물을 싣고 적진에 투척하여 원격 폭파하는 전술을 사용했다.[4]

7. 비교

T-54는 동시대 서방 전차인 미국의 M48 패튼, 영국의 센츄리온 전차와 비교했을 때 더 작고 가벼웠으며, 100mm 주포는 더 강력한 화력을 제공했다.[1]

T-54와 동세대 전차 비교
구분T-54T-55T-62T-64T-72
이미지
------
세대1세대1세대2세대2.5세대2.5세대
(B형 이후 3세대)
전장9m9.2m9.3m9.2m9.53m
전폭3.27m3.27m3.52m3.4m3.59m
전고2.4m2.35m2.4m2.2m2.19m
중량35.5ton36ton41.5ton36ton~42ton41.5ton
주포D-10T
56구경 100mm 강선포
D-10T
56구경 100mm 강선포
U-5TS (2A20)
55구경 115mm 활강포
2A21
55구경 115mm 활강포
2A46M
51구경 125mm 활강포
(A형 이후)
2A46M/2A46M-5
51구경 125mm 활강포
장갑일반일반일반복합복합
(B형 이후 폭발반응장갑 추가)
엔진수냉식 4행정
V형 12기통 디젤
수냉식 4행정
V형 12기통 디젤
수냉식 4행정
V형 12기통 디젤
수냉식 2행정
대향 피스톤 5기통 디젤
수냉식 4행정
V형 12기통 디젤
최대출력520hp/2000rpm580hp/2000rpm580hp/2000rpm700hp/2000rpm780hp/2000rpm - 1130hp/2000rpm
최고속도50km/h50km/h50km/h65km/h60km/h
현가장치토션 바토션 바토션 바토션 바토션 바
승무원4명4명4명3명3명
장전방식수동수동수동자동자동


참조

[1] 뉴스 待望の自衛隊車両だ! WoT日本戦車14両の基礎知識その2 https://ascii.jp/ele[...] 2014-02-28
[2] 웹사이트 Курилы: остров итуруп. АВТБ "Буревестник" http://dv-destroy.at[...] 2020-09-06
[3] 웹사이트 러시아가 70년 전의 구식 전차를 전선에 투입할까 https://jp.topcarnew[...] topcarnews 2023-05-14
[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 저널 Domestic armoured cars 1945—0 years
[6] 서적 Обозрение. Указ. соч
[7] 웹인용 T-55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2023-10-28
[8] 웹인용 T-44 https://terms.naver.[...] 2023-10-28
[9] 뉴스 러시아 ‘자폭탱크’, 우크라이나 다수 사상자 발생?…“소련제 탱크에 폭발물 실어 투입” http://www.newsinsid[...] 2023-06-20
[10] 서적 The Great Book of Tanks Salamander Books 2002
[11] 웹사이트 PAZ vehicle collective protection system http://www.janes.com[...] Janes.com
[12] 서적
[13] 서적 T-54 and T-55 Main Battle Tanks 1944-2004 Osprey Publishing 2004
[14] 웹사이트 KMDB – OT-54, TO-55 and Obiect 483 Flamethrower Tanks https://archive.toda[...]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South Vietnam On Trial: Mid-1970 to 1972 Boston Publishing Company 1984
[19] 서적
[20] 서적
[21] 웹사이트 Vietnam Studies - Mounted Combat In Vietnam. General Donn A. Starry. P. 212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Kíp xe huyền thoại - Quân đội nhân dân https://archive.toda[...] Qdnd.vn
[23] 서적 Hell in An Loc, The 1972 Easter Invasion and the Battle that Saved South Vietnam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2009
[24] 서적 Intervention & Change in Cambodia: towards democracy? Palgrave Macmillan
[25] 서적 Tanks main battle and light tanks https://archive.org/[...] Brassey’s UK Ltd
[26] 서적 The Iran- Iraq war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27] 뉴스 Bangladesh Army tests indigenously upgraded Durjoy tanks https://web.archive.[...] 2019-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