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생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생모는 다양한 국가에서 학생들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온 모자이다. 한국에서는 학생모가 학생 문화의 일부로 존재했으나, 현대에는 착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벨기에에서는 가톨릭 대학교 학생들이 칼로트, 자유 대학교 학생들이 펜네를 착용하며, 학생의 전공, 학년 등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진다. 프랑스에서는 팔뤼슈라는 베레의 일종을,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모자를 학생 단체의 상징으로 사용한다.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에서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에서 각기 다른 형태와 전통을 가진 학생모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원형모와 각모가 있으며, 특히 각모는 제국 대학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학생모는 만화 및 애니메이션에서도 다양한 캐릭터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복 - 체육복
    체육복은 학교 체육 활동 시 활동성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의복으로, 일본에서 군사적 색채를 띠고 시작되어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학교별 디자인 규정과 사회적 문제점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교복 - 나라별 교복
    교복은 학교 학생들이 입는 의복으로, 국가, 시대, 문화에 따라 모습이 다르며, 소속감과 규율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디자인, 기능성, 성별 구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하고 있다.
  • 모자 - 파파하
    파파하는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남성들의 정체성 상징으로 여겨지는 카라쿨 양가죽으로 만든 원통형 모피 모자이며, 러시아 군복으로 채택된 후 전통 의상이나 문화적 상징으로 널리 착용된다.
  • 모자 - 말라하이
    말라하이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만들어진 러시아 전통 모자로, 기원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며, 과거 방한용이나 마부의 상징, 때로는 헬멧처럼 사용되기도 했지만, 구교도들에게는 특정 형태가 금지되기도 했다.
학생모
학생모
학생모의 전면
학생모의 전면
개요
유형모자
용도학생 신분 표시
졸업식
관련 용품졸업 가운
졸업식
역사
기원14세기 대학
관련 행사졸업식
학위 수여식
국가별 학생모
독일슈투덴텐뮈체 (Studentenmütze)
핀란드윌리오피라스라키 (Ylioppilaslakki)
스웨덴스투덴트뫼사 (Studentmössa)
에스토니아윌리오필라스뮈츠 (Üliõpilasmüts)

2. 한국의 학생모

한국의 학생모는 개화기 이후 서구식 교육 제도가 도입되면서 등장했다. 일본의 영향을 받아 둥근 형태와 각진 형태가 있으며, 검은색 천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자 앞쪽에는 학교를 상징하는 휘장이 부착된다.

일제강점기에는 학생모가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1960~70년대에는 학생들의 규율과 통제를 상징하기도 했다. 1980년대 이후 교복 자율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학생모 착용은 점차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학창 시절의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상징으로 남아있다.

2. 1. 역사

개화기 이후 서구식 교육 제도가 도입되면서 한국에서도 학생모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일본 최초의 학생모 사례는 1873년 개성학교에서 제정된 것이다.[7] 1886년 도쿄 대학이 제국대학으로 개편되면서 각모가 공식적인 제모로 제정되었다.[9] 일제강점기에는 학생모가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학생들의 단결을 도모하는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근대 초기에는 양복이 비쌌기 때문에 제모를 제복보다 먼저 정하는 학교가 많았다. 당시 학생들은 기모노하카마 차림에 서양식 학생모를 함께 착용했다.[12][13] 이후 근대화가 진전되고 양복이 보급되면서 학생모와 학생복은 학생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1960~70년대에는 교복과 함께 학생모 착용이 의무화되어, 학생이라면 누구나 학생모를 착용해야 했다. 이 시기 학생모는 학생들의 규율과 통제를 상징하기도 했다. 1980년대 이후 교복 자율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학생모 착용이 점차 줄어들었다. 현대에는 일부 학교에서만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학생모를 착용하거나, 졸업식 등 특별한 행사에서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1970년, 소비자 물가 지수의 대상 품목에서 학생모가 제외되었다.[19]

2. 2. 형태 및 종류

한국의 학생모는 일반적으로 둥근 형태이며, 검은색 천으로 만들어진다. 모자 앞쪽에는 학교를 상징하는 휘장이 부착된다. 일부 학교에서는 각진 형태의 학생모를 착용하기도 한다. 일본 학생모는 가죽 또는 비닐로 만들어진 챙과 턱끈을 설치하고, 앞면에는 교표를 새겨 넣은 모표를 부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크게 천장의 형태가 둥근 '''원형모'''와 사각형인 '''각모'''가 있다. 소재는 검은색 라샤지가 많지만, 소수이긴 하나 예외도 있다. 하계에는 흰색 덮개 천을 씌우는 경우도 있다.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폭넓게 착용된 유형이다. 천장의 테두리를 매끄럽게 마감한 '''제1고교형'''[21]이나, 반대로 물결 모양으로 만든 '''제3고교형'''[22] 등의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게이오기주쿠에서는 깃 세움 교복을 지정하는 학교(보통부, 히요시 고등학교, 시키 고등학교, 대학)에 숙모[23][24]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둥근 모자를 함께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20px


모자 천장의 테두리를 물결 모양으로 만들거나, 허리에 백선(白線)이나 주름진 직물을 감는 등, 학교, 모자점, 지역별로 다양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구마모토현립 제제코 고등학교의 제모(制帽) 허리에는 노란색 선이 한 줄 들어간다.

2. 3. 학생 문화

일제강점기에는 학생들이 학생모를 훼손하는 방식으로 항일 정신을 표현하기도 했다.[32] 1960~70년대에는 학생모를 눌러쓰거나 비스듬히 쓰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성을 표현하기도 했다.

일부 학생들은 새 학생모를 낡아 보이도록 의도적으로 훼손하기도 했는데, 이는 외모에 신경 쓰지 않고 학업에 몰두하는 학생의 마음가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32] 훼손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32]

1. 손으로 주무르거나 접어서 모자를 부드럽게 만든다.

2. 가스레인지 불이나 다리미로 표면의 보푸라기를 없앤다.

3. 계란 흰자나 밀랍 등을 바르거나 기름에 튀기거나 볶는다.

4. 구두약을 여러 번 덧칠하여 오염시킨다.

5. 챙을 구부리거나, 천에 칼집을 내거나 구멍을 뚫기도 한다.

2. 4. 현대적 의미

오늘날에는 학생모 착용이 의무가 아니어서, 학생모를 쓴 학생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학생모는 여전히 학창 시절의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상징으로 남아있다.

3. 벨기에의 학생모

벨기에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학생모를 착용해 왔다. 칼로트는 가톨릭 대학교 학생들이 착용하고, 펜은 브뤼셀과 왈로니아의 자유 대학교 또는 비가톨릭 대학교 학생들이 착용한다. ''비어펫''(bierpet)과 ''클럽펫''(clubpet)은 쿠르 전통의 모자이다.

칼로트와 펜은 모두 학생 주최 입문식을 거쳐야 받을 수 있으며, 금색 별은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년, 은색 별은 재수강한 학년을 나타낸다.

3. 1. 칼로트 (Calotte)

칼로트는 벨기에 가톨릭 대학교 학생들이 착용하는 전통적인 학생모이다. 1860년경 교황 주아브가 착용한 두건에서 유래되었다.[1]

1921년 칼로트를 착용한 루뱅 가톨릭 대학교 학생


칼로트는 벨벳과 아스트라칸(갓 태어난 양의 털)으로 만들어진 원통형이다. 윗부분의 색상은 대학별로 다른데, 브뤼셀, 루벤, 루뱅-라-뇌브, 나뮈르 대학교는 붉은색, 겐트 대학교는 흰색, 리에주 대학교는 에메랄드색이다.[1]

칼로트 앞면에는 벨기에 국기(검정, 노랑, 빨강)를 나타내는 줄무늬와 칼로트를 받은 도시 또는 대학교의 색상을 나타내는 줄무늬가 있다. 칼로트 뒷면에는 학생의 전공이 색상과 기호로 표시되며, 필요에 따라 특성을 나타내는 추가 기호가 표시된다. 칼로트 주변의 금색 별은 학생이 성공적으로 공부한 햇수를 나타낸다(한 해를 다시 수강해야 하는 경우 은색 별이 표시됨). 이 외에도 많은 공식 및 개인 핀이 칼로트에 추가되는데, 이는 모두 소유자에 대한 무언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1]

  • 학생 단체 내의 공식 직책 (해당 연도의 별 위에)[1]
  • 취미 및 직업 (카드 게임, 파티광...)[1]
  • 성격 (애국심, 게으름...)[1]


칼로트는 매년 수백 명의 학생들에게 "오더(Ordres)", "세르클(Cercles)", "레지오날(Régionales)"이라는 수많은 학생 단체가 "코로나(Corona)"(corona|코로나la)라는 통과의례를 거쳐 수여된다. 칼로트를 받기 위한 요구 사항은 다양하지만, 주어진 캠퍼스에서 최소한의 시간을 보내고, 칼로트에 대한 지식, 라틴어 구절 및 학생 노래를 포함한다.[1]

3. 2. 펜 (Penne)

펜은 브뤼셀과 왈로니아의 자유 대학교 또는 비가톨릭 대학교 학생들이 착용하는 학생모이다. 칼로트와 마찬가지로, 학생 주최 입문식을 거친 후에만 수여된다.[1] 금색 별의 수는 학업 연수를 나타내며, 은색 별은 실패하고 다시 수강한 해를 나타낸다.[1] 입문식 이전의 학업 연도(해당하는 경우)의 별은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모자 측면에 배치된다.[1] 브뤼셀에서는 테두리 밴드의 색상이 소속된 학부를 나타내며, 각 학부마다 다른 색상을 사용한다.[1] 학생의 취향에 따라 모자를 추가로 광범위하게 장식한다.[1] 자유 브뤼셀 대학교(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에서는 학생의 공식 별명이 모자 가장자리 뒷면에 있는 황동 핀으로 표기된다.[1]

자유 브뤼셀 대학교(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의 ''펜네''

4. 프랑스의 학생모

팔뤼슈를 착용한 프랑스 학생


프랑스에서는 1888년부터 학생들이 베레의 일종인 팔뤼슈(faluche)를 착용해왔다.

4. 1. 팔뤼슈 (Faluche)



프랑스에서는 1888년부터 학생들이 베레의 일종인 팔뤼슈(faluche)를 착용해왔다.

5. 독일어권 국가의 학생모

독일에서는 학생 단체 구성원들이 의상의 일부로 다양한 형태의 모자를 착용한다. 흔한 형태의 모자는 ''슈튀르머'', ''텔러뮤체'', ''퇴니헨''이다.

6.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의 학생모

북유럽의 학생모는 1845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스칸디나비아 학생 회의를 계기로 웁살라 대학교 학생들이 처음 채택했다. 이후 스웨덴의 룬,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 학생들도 비슷한 모자를 썼다. 이러한 모자는 18세기 초부터 독일 학생들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독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6. 1. 덴마크

덴마크에서 학생 모자(''studenterhue'')는 코펜하겐 대학교의 오래된 교복의 마지막 잔재이다. 모자는 두 가지 색상으로 제공되었다. 19세기에는 겨울 교복용 검은색(검은색 재킷과 긴 검은색 바지 착용)과 여름 교복용 흰색이 있었다. 모자는 상위 중등 교육 과정을 마친 학생들이 착용한다. 학생 모자는 검은색 챙이 있는 린넨으로 만들어졌으며, 밴드와 배지가 있는 빨간색과 흰색 코케이드가 함께 제공된다. 밴드 색상과 배지는 어떤 시험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다르다.

19세기 후반에 사용된 덴마크 검은색 모자


현대 덴마크 학생 모자


19세기 후반에 교복이 사라졌을 때, 두 개의 모자는 두 가지 종류의 studentereksamen을 나타내게 되었다. 검은색 학생 모자는 고전 언어 시험을, 흰색 모자는 현대 언어 및 수학 시험을 나타냈으며, 두 시험 모두 보르도색 밴드를 사용했다.

학생 모자가 처음 나왔을 때, 당시 유일한 상위 중등 교육 과정이었고 매우 높은 지위를 나타냈던 studentereksamen (STX)에만 관련되었다. 졸업생이 매우 적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부터 고등 예비 시험 (HF), 고등 상업 시험 프로그램 (HHX), 고등 기술 시험 프로그램 (HTX)의 세 가지 다른 상위 중등 교육 과정이 만들어졌다. 1990년경부터 10학년과 SOSU를 포함한 다른 교육 과정에도 학생 모자가 생겼다. 더 많은 교육 과정에서 자체 모자를 원하기 때문에 특수 색상 끈과 배지를 사용하여 모자의 더 많은 변형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1]

덴마크 학생모에는 많은 전통이 있다. 시대에 따라 바뀌어 왔으며, 장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2]

  • 마지막 시험을 보기 전에 학생모를 써보는 것은 불운을 가져온다. 이는 모자를 뒤로 하고 세 번 점프하면 해소할 수 있다.
  • 마지막 시험에서 받은 성적을 학생모 안감 중앙에 적는 것이 전통이다.
  • 급우와 친구들이 안감에 글을 쓴다.
  • 머리 크기가 가장 크거나 작은 학생은 반 전체에게 맥주를 사야 한다.
  • 학생모는 학생모와 관련된 "규칙"에 따라 홈, 흠집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 여러 교육 과정 간의 경쟁과 관련된 놀림 노래가 있는데, 예를 들어 김나지움과 HF 사이에는 "모자는 하나뿐이고 빨간색인데, 파란색이면 너무 쉽게 얻을 수 있어" 또는 HTX에서 STX로 "Hvis den er rød, er den ikke mere værd end brød" (번역: "빨간색이면 빵보다 가치가 없다") 와 같은 노래가 있다.[1]


교육 과정기간끈 색상배지
Studentereksamen(stx)
STX-학생 (정규 학생)
3년보르도몰타 십자
Higher Preparatory Examination(HF)
HF-학생
2년밝은 파란색몰타 십자
Higher Commercial Examination Programme(HHX/HH)
HHX-학생
3년파란색카두케우스
Higher Technical Examination Programme(HTX)
HTX-학생 (기술 학생)
3년짙은 파란색“HTX”
International baccalaureate(IB)
IB-학생 (국제 학생)
2년국제 깃발이 있는 보르도몰타 십자
STX + 1년 HHX3년 + 1년보르도 (상단) 및 파란색 (하단)카두케우스
HF + 1년 HHX2년 + 1년밝은 파란색 (상단) 및 파란색 (하단)카두케우스
HTX + 1년 HHX3년 + 1년짙은 파란색 (상단) 및 파란색 (하단)카두케우스



''- 폴케스콜레 및 직업 지향 교육''[1]

교육기간배지
10학년 (FS10)1년녹색몰타 십자
상업 고등 시험 프로그램
기본 과정
4년 중 2년짙은 보라색카두케우스
농업 학교
교육받은 농부
3년 반녹색몰타 십자
PGU1년 7개월 반주황색몰타 십자
SOSU 보조원 (사회 및 보건)1년 2개월옅은 보라색몰타 십자
SOSU 조교 (사회 및 보건)2년 10개월보르도(상단) 및 파란색(하단)몰타 십자
미용사4년분홍색몰타 십자
HTX 플러스 1년 HHX4년노란색몰타 십자



이 십자 배지는 기독교 배지가 아니다. 이 배지는 단네브로 기사단의 몰타 십자를 본떠 만들어졌으며, 학생과 국가 간의 유대 관계를 상징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대체 배지를 선택할 수 있다.


  • 유대교 신자를 위한 다윗의 별
  • 이슬람교 신자를 위한 초승달
  • 무신론자 및 기타 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단풍잎
  • 그린란드인을 위한 흰색 바탕의 붉은 태양
  • 음자리표
  • 퍼즐 조각 (공정 무역 학생 모자)
  • 사회주의자 및 공산주의자를 위한 망치와 낫은 2016년까지 사용 가능했다.

6. 2.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에서 학생모는 학술 기관과 학생 단체의 인기 있는 상징이며, 대학생뿐만 아니라 교복의 일부로 학생들도 착용한다. 대부분의 모자는 양모 펠트 또는 벨벳으로 만들어졌으며, 검은색 부리가 있는 북유럽 학생모 또는 선원 모자와 동일한 기본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소속에 따라 다른 코케이드, 모자 배지 및 색상이 있다.

대학에 등록한 모든 학생은 흰색 왕관, 검은색 밴드, 검은색 부리가 있는 표준 학생모를 착용할 자격이 있다. 밴드 앞면에는 아폴로 신전을 묘사한 금속 코케이드가 있다.

색상을 가진 전통적인 학생 단체인 독일식 학생 단체의 회원인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단체의 색상으로 된 모자를 착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대부분의 색상이 삼색이므로 모자의 왕관은 삼색의 "상단" 색상으로 만들어지고 밴드는 중간 및 하단 색상으로 수평으로 나뉜다. 왕관의 중앙에는 단체의 지르켈 또는 관련 상징이 대조적인 색상으로 수 놓아져 있다.

학생 단체의 미숙련된 초보 회원은 단색 모자를 착용하며, 에스토니아 학생 협회에서는 청록색, 다른 독일 학생 코르에서는 검은색이다. 서로 다른 단체를 구별하기 위해 단체의 지르켈 모양의 금속 핀이 모자 밴드의 왼쪽에 착용된다.

6. 3. 핀란드

핀란드 학생모(''ylioppilaslakki'')는 스웨덴 모델과 유사하다. 핀란드 학생모는 아폴로리라를 묘사한 금색 금속 코카드가 있으며, 이는 헬싱키 대학교의 상징이다.[4] 이 모자는 핀란드 대학 입학 자격 시험(''lukio'')을 통과한 모든 핀란드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착용한다.

1917년까지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은 헬싱키 대학교의 입학 시험이었으며, 이는 모든 고등학교 졸업생이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헬싱키 대학교의 학생임을 의미했다. 이를 기념하여 모든 새로운 학생모는 헬싱키 대학교 학생회의 코카드를 가지고 있다. 많은 핀란드 대학교에서 학생회는 학생들에게 코카드를 대학 특정 코카드로 변경하도록 권장한다.

핀란드 학생모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코카드


탐페레의 Hämeensilta 다리의 조각상, 메이데이 축제 기간 동안 과장된 학생모를 쓰고 있다.


군나르 노르드스트룀 (왼쪽)과 1900년경 학생모를 착용한 두 명의 고등학교 졸업생.


19세기 후반, 언어 갈등은 스웨덴어와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 핀란드 학계를 분열시켰다. 코카드의 크기는 학생의 언어 문제에 대한 의견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지름 22mm의 코카드를, 온건한 핀란드어 사용자는 16mm 코카드를, 급진적인 핀란드어 사용자는 14mm 코카드를 착용했다. 오늘날에도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22mm 코카드를 사용하고,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고등학교 졸업생은 16mm 코카드를 사용한다.[4]

모자의 안감, 즉 내부 안감은 졸업생의 지역적 정체성을 상징한다. 특히 과거에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생 단체의 색깔을 가진 안감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안감은 흰색과 파란색으로, 일반적인 애국심을 상징한다. 그러나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보통 빨간색과 노란색 또는 파란색, 노란색 및 흰색을 착용하고, 사타쿤타와 북 카렐리아에서는 지역 색상이 여전히 인기가 있다.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로보트니아 학생들은 검은색, 노란색 및 빨간색을 사용한다.

스웨덴과 마찬가지로, 공학 학생들은 보통 긴 술이 달린 특별한 학생모 (teekkarilakkifi)를 착용한다. 핀란드 공학 학생모의 크라운은 항상 흰색이고, 모자에는 금색의 대학 특정 코카드가 있다. 단, 울루 대학교에서는 코카드가 프로그램별로 다르다. 술은 항상 검은색이며, 어떤 부가물 없이 착용한다. 공학 모자의 안감은 어두운 빨간색으로,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술이 가져온 사회적 변화를 상징한다. 단, 라펜란타 공과대학교에서는 카렐리안 색상인 빨간색과 검은색을 사용하고, 울루 대학교에서는 학생모에 파란색 안감을 사용하며, 알토 대학교의 스웨덴어 사용 학생 단체인 테크놀로지푀레니겐 모자에는 빨간색-노란색-빨간색 안감을 사용한다. 공학 학생모는 현재 공학 학생과 졸업한 엔지니어가 5월 1일 자정부터 여름 동안 착용하는 여름 모자이다.

핀란드 학생모, 가장 일반적인 모델


탐페레 공과대학교 공학 학생의 모자.


알토 대학교의 스웨덴어 사용 학생의 공학 학생모, 약간 더 큰 코카드가 눈에 띈다.

6. 4.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 학생 모자(''stúdentshúfa'')는 스웨덴덴마크의 다른 전통적인 북유럽 학생 모자와 거의 같은 모양과 색상을 가지고 있다. 모자는 흰색 챙, 검은색 띠, 검은색 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띠 앞면에는 은색 별이 있다. 윗부분의 흰색 챙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독특한 특징이다.

1991년 아이슬란드 학생 모자


아이슬란드 전통에 따라 졸업 후 1년, 즉 대학교 교육을 1년 마친 학생은 흰색 덮개를 제거하여 대학교 ''학생''으로서의 학업 상태를 나타내야 한다. 그러면 모자의 검은색 버전이 나타난다. 이 관습은 덴마크 학생들의 검은색 모자와 관련된 전통에서 유래되었다. 모자를 흰색으로 착용하는 기간 동안 학생은 ''nýstúdent''(새로운 학생)로 알려진다.

이 모자를 처음 착용한 아이슬란드 학생들은 레이캬비크 대학교(Menntaskólinn í Reykjavík) 졸업생들이었다. 현대에는 다양한 버전이 도입되었는데, 전통적인 흰색 챙과 다른 색상의 챙을 가진 경우가 많다. 이는 상업, 산업 및/또는 공예 프로그램(''iðnskóli'')을 전문으로 하는 학교에서 중등 수준으로 졸업하는 학생들을 허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러한 챙의 색상은 종종 빨간색 또는 녹색이다.

6. 5. 노르웨이

노르웨이 학생모(Studenterlue 또는 Duskelue)는 주로 검은색 벨벳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마 부분에는 옛 아폴로 상징(옛 오슬로 대학교의 상징)이 새겨져 있다. 술은 실크로 만들어진다. 노르웨이 학생들은 졸업식 때 이와 비슷한 원리로 만들어진 붉은 러셀루를 던져버린 후 학생모를 받았다. 1968년 이후 이 모자의 착용은 점점 줄어들었지만, 주로 노년층 학자들이 노르웨이 제헌절에 착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모자는 1850년 이후 사용되기 시작했다.

6. 6. 스웨덴

스웨덴 학생모(studentmössasv)는 19세기 중반부터 고등학교(김나지움) 졸업생들이 사용해 왔으며, 일반적으로 흰색 왕관, 검은색(또는 짙은 파란색) 밴드, 검은색 챙이 있다. 밴드 앞쪽에는 스웨덴 국기의 색상인 파란색과 노란색 코케이드가 있다.[5]

스웨덴 학생모는 전통적으로 웁살라 모자와 룬드 모자 두 가지 주요 변형으로 나뉜다.

종류특징
웁살라 모자검은색 밴드, 파란색과 노란색 안감, 약간 부드러운 왕관
룬드 모자짙은 파란색 밴드, 빨간색 안감, 더 뻣뻣한 왕관



스웨덴의 전형적인 흰색 학생모를 쓴 군중이 웁살라 성 밖에서 발푸르기스의 밤 축제에 참여하고 있다.


흰색 학생모를 쓰고 2005년 5월 1일 룬드 대학교 본관 계단에서 노래하는 룬드 대학교 남성 합창단


웁살라 모자는 전통적으로 발푸르기스의 밤부터 9월 말까지 여름에만 착용했다. 룬드에서는 흰색 모자를 발푸르기스 때도 쓰고 가을에 벗었지만, 학생들은 그해 나머지 기간 동안 짙은 파란색 왕관이 있는 겨울 변형 모자로 교환할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겨울 모자를 일반적으로 흰색 모자의 겨울 덮개로 대체한다.[5]

공학 학생이 착용하는 '테크놀로지모자'(teknologmössasv)는 일반 학생모와 기본 모양은 같지만 오른쪽에 술이 달린 삼각형 플랩이 달려 있다. 공학 학생이 착용하는 모자는 일반적으로 출신 대학교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제공된다(예: 흰색=예테보리의 찰머스 공과대학교, 와인 빨간색=룰레오 공과대학교). 술 달린 모자는 예테보리의 찰머스 공과대학교에서 유래되었으며, 1879년에 처음 도입되었다.[5]

찰머스 공과대학교 학생들이 2006년 찰머스 코르테주 동안 학생모를 쓰고 있다.

7. 일본의 학생모

일본 학생모는 가죽이나 비닐로 만든 챙과 턱끈이 있고, 앞면에는 학교 마크(교표)를 새긴 모표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크게 둥근 모양의 '원형모'와 사각형 모양의 '각모'로 나뉜다. 검은색 라샤지를 많이 사용하지만, 예외도 있다. 여름에는 흰색 덮개를 씌우기도 한다.

구제고등학교 학생들은 오래 사용해서 낡고 해진 모자를 새로 사지 않고 계속 쓰는 관습이 있었다. 이를 반카라 또는 폐의파모라고 불렀으며, 외모보다 학업에 몰두하는 학생의 마음가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32] 반카라 풍조가 강해지면서 새 학생모를 일부러 낡아 보이도록 훼손하기도 했다. 훼손 방법은 다음과 같다.[32]

순서훼손 방법
1손으로 주무르거나 접어 부드럽게 만든다.
2가스레인지 불이나 다리미로 표면의 보풀을 없앤다.
3계란 흰자나 밀랍 등을 바르거나 기름에 튀기거나 볶는다.
4구두약을 여러 번 덧칠해 오염시킨다.



이 외에도 챙을 구부리거나 천에 칼집, 구멍을 내기도 했다.

7. 1. 역사

도쿄 제국대학 재학 시절의 이쿠타 조코. 제대가 제정한 각모를 쓰고 있다.


일본 최초의 학생모 사례로는 개성학교가 1873년(메이지 6년)에 제정한 것을 들 수 있다[7]1883년(메이지 16년) 미국식 칼리지로 설립된 릿쿄 대학교의 학생들이 대학의 각모(모르타르 보드형)를 처음 착용하고 도내를 활보했다고 한다[8]1886년(메이지 19년) 도쿄 대학이 제국대학으로 개조되었을 때, 제복과 함께 각모가 공식적인 제모로 제정되었다[9]。하지만 메이지 시대 전기는 학교 교육 제도의 시행착오가 이어지면서, 그 과정에서 다양한 제복·제모가 나타났다. 1889년 도쿄 미술학교에서는 나라 시대의 관리 복제를 참고했다는 궐액포와 관으로 이루어진 복고주의적인 복장이 고안되었고[10], 공부대학교에서는 배 바닥 모양에 챙이 없는 글렌게리 모자라고 불리는 스코틀랜드 발상의 모자가 채용되었다[11]

근대 초기에는 양복이 고가였기 때문에 제복보다 제모를 먼저 정하는 학교가 많았다. 당시 학생들은 기모노하카마 차림에 양식 학생모를 쓴 모습이 많았지만,[12][13] 근대화가 진전되고 양복이 보급되면서 학생모와 학생복은 학생의 상징으로 정착되었다.

구제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구제 고등학교·대학 예과가 2조 또는 3조의 백선을 감은 둥근 모자, 대학 본과(학부)·대학 전문부·구제 의학 전문학교가 각모, 구제 전문학교·일부 사립 대학 예과가 검은 뱀피 무늬 둥근 모자를 주로 사용했다. (법령 등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고 각 학교의 규칙으로 정해져 있었지만, 대체로 위와 같이 나뉘어져 있었다)[14]

다이쇼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는 세이조 고등학교, 도쿄 고등 공예학교, 쇼와 의학 전문학교와 같이 솥뚜껑 모자나 소프트 모자를 제모로 지정한 학교도 등장했지만[15][16][17], 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이 격화되면서 물자 통제가 엄격해져 남자 학생의 복장은 국민복전투모라는 스타일이 종전까지 계속되었다[18]。전후 경제가 부흥하면서 학생복과 학생모도 다시 보급되기 시작하여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널리 착용되었다. 그러나 사회 전반적으로 모자 착용 습관이 사라지면서, 교칙 등에 의한 규정이 없는 학교, 특히 대학에서는 쇼와 40년대부터는 거의 착용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는 통학모가 널리 퍼졌고, 고등학교중학교에서는 학생의 두발제복이 자유화되어 가는 가운데 서서히 쇠퇴해 갔다. 이러한 요인들이 겹쳐 현재 통학 시 착모를 의무화하는(제정되어 있는) 학교는 전국적으로도 소수이다. 1970년, 소비자 물가 지수의 대상 품목에서 제외되었다[19]

7. 2. 형태 및 종류

일본 학생모는 가죽 또는 비닐로 만들어진 챙과 턱끈을 설치하고, 앞면에는 교표를 새겨 넣은 모표를 부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크게 천장의 형태가 둥근 '''원형모'''와 사각형인 '''각모'''가 있다. 소재는 검은색 라샤지가 많지만, 소수이긴 하나 예외도 있다. 하계에는 흰색 덮개 천을 씌우는 경우도 있다.

원형모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폭넓게 착용된 유형이다. 천장의 테두리를 매끄럽게 마감한 제1고교형[21]이나, 반대로 물결 모양으로 만든 제3고교형[22] 등의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게이오기주쿠에서는 깃 세움 교복을 지정하는 학교(보통부, 히요시 고등학교, 시키 고등학교, 대학)에 숙모[23][24]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둥근 모자를 함께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각모는 1883년에 미국식 칼리지로 도쿄 쓰키지에 설립된 리쿄 대학 학생들이 처음으로 착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대학모 꼭대기에는 빨간색과 검은색 술이 달려 있었고, 학생들은 그것을 늘어뜨린 채 의기양양하게 도심 거리를 활보했다고 한다. 당시 제복은 금색 단추가 달린 제복이었다[26][27][28]

1884년 10월, 도쿄 대학 학생이었던 야마구치 토시노스케와 와다 요시무츠가 학생모로 대학에 제안하여, 당시 총장 가토 히로유키의 허가를 받아 제작, 몇몇 뜻있는 학생들이 착용했다[9][29][30][31]1886년 4월 28일에 제국대학령에 의해 도쿄 대학이 제국대학으로 개칭되었을 때, 공식 제모로 채택되었다[9][30][31]。꼭대기가 사각형이라는 데서 이 이름이 붙여졌고, 각모는 제국 대학생의 대명사가 되었다[31]

각모의 4개의 모서리는 철학, 법학, 천문학, 약학을 나타낸다. 도쿄 대학에서 전국 대학으로 확산된 결과, 일반적으로 대학생이 착용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나아가 대학생을 지칭하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 도쿄 대학에서 정해진 규격은 '''제국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다른 대학의 각모도 이에 준하는 형태가 많다. 반면 와세다 대학·도지샤 대학에서 사용되는 각모는, 천의 재단과 봉제가 제국형과 달라, 마무리가 사각형의 모서리가 더욱 날카롭고, 천장이 평평하기 때문에, '''좌판모'''라는 별명이 붙는다.

7. 3. 학생 문화

오랜 기간 사용하다 보면 모자도 옷처럼 천이 닳고 해지며 형태가 무너지기 마련인데, 이를 특별히 새로 구입하지 않고 낡아빠진 제복과 함께 계속 착용하는 관습이 구제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반카라 또는 폐의파모라고도 불리는 이 행위는 질실강건 등, 외모에 집착하지 않고 학업 등에 몰두하는 학생의 마음가짐을 적극적으로 어필하는 것이기도 했다.[32] 반카라의 풍조가 높아지면서, 때로는 새 학생모도 낡아 보이도록 의도적으로 훼손하는 일이 일부 학생들 사이에서 행해졌다. 정당한 행위는 아니었기에, 훼손 가공 방법은 전승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순서의 예는 다음과 같다.[32]

1. 손으로 주무르거나 접어서 모자의 빳빳함이나 굳기를 없애고 부드럽게 만든다.

2. 라샤지 표면을 가스레인지 불로 쬐거나, 다리미로 눌러서 표면의 보푸라기를 없앤다.

3. 다음 공정의 준비 단계로, 계란 흰자나 밀랍 등을 표면에 구석구석 바르거나, 기름에 튀기거나 볶는다.

4. 위 작업 후, 모자가 마르면 구두약을 여러 번 덧칠하여 "오염"을 더한다.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모자 전체에 오염이 스며들면 좋다고 여겨진다.

  • 이상의 과정 외에도, 챙을 구부리거나, 천에 칼집을 내거나 구멍을 뚫는 가공이 행해지기도 한다.

8. 대중문화 속 학생모

후쿠짱은 와세다 대학의 캐릭터이며, 도쿄 6대학 야구의 소케이전 때 와세다 응원석 장식으로 등장한다. 이소노 카츠오(사자에상)는 등하교 시 학생모를 쓴 모습이 자주 나오는데, 이는 연재 당시 일본 초등학생의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이와키 마사미(도카벤)는 야구 경기에서도 야구부 베이스볼 캡 대신 학생모를 착용한다. 쿠죠 아유무(누드 파이터 유즈키)는 게고쿠조 고등학교 1학년으로 평소에도 학생모를 착용한다. 쿠죠 죠타로(죠죠의 기묘한 모험)는 항상 모자와 두꺼운 코트(Part3에서는 학란)를 착용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자를 벗지 않는다. 고등학생(도라에몽)은 후지코 만화에서 깃 세운 학생복 차림으로 등장하는 고등학생 중 한 명이다.

참조

[1] 문서 Danish wikipage https://da.wikipedia[...]
[2] 웹사이트 C.L. Seifert http://clseifert.com[...] 2015-01-30
[3] 웹사이트 Picture of all the different student caps http://images.bm4.me[...] 2007-09-27
[4] 웹사이트 Fredrikson Oy. Ylioppilaslakin historiaa http://www.masicompa[...] 2007-10-13
[5] 웹사이트 ABC-Gruppen AB. Studentmössans utveckling http://www.abcgruppe[...] 2013-01-20
[6] 서적 日本人が知りたいイギリス人の当たり前 三修社
[7] 문서 日本服制史
[8] 간행물 立教大学校とカレッジ教育 https://doi.org/10.1[...] 立教大学
[9] 웹사이트 キシヨウ堂・徽章資料館:資料室『資料館売店 学生帽・白線』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五浦美術文化研究所所蔵資料(主な作品) : 茨城大学所蔵学術文化資料【茨城大学】 http://www.ibaraki.a[...]
[11] 서적 旧工部大学校資料 虎之門会
[12] 문서 日本服制史
[13] 웹사이트 服装の移り変わり http://www.torikyo.e[...]
[14] 문서
[15] 서적 旧制高校の校章と旗 えにし書房
[16] 웹사이트 東京高等工芸学校一覧 大正10年度 https://dl.ndl.go.jp[...] 2019-12-24
[1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 制服・制帽 https://www.showa-u.[...] 昭和大学 2022-10-22
[18] 문서 日本服制史
[19] 뉴스 消費者物価指数、品目見直し 除外…携帯型オーディオ 追加…タブレット端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 문서
[21] 웹사이트 学生帽 白線 旧制高等学校 http://www.kishodo.c[...]
[22] 웹사이트 三高の帽子について https://www2s.biglob[...]
[23] 웹사이트 慶應義塾大学制帽 http://photodb.mita.[...]
[24] 웹사이트 慶應義塾ペンの記章四種 http://photodb.mita.[...]
[25] 웹사이트 『早稲田大学百年史』より「年表」:1904年 http://www.waseda.jp[...]
[26] 웹사이트 立教大学新聞・第194号 1961年12月15日 http://library.rikky[...]
[27] 문서
[28] 간행물 近代日本の教育とキリスト教(7) http://id.nii.ac.jp/[...] 鹿屋体育大学
[29] 문서
[30] 서적 舶来事物起源事典
[31] 웹사이트 角帽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2] 서적 早稲田魂 '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