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리히터 (188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리히터(1888년)는 독일 출신의 화가이자 영화 제작자이다. 베를린 미술 아카데미와 바이마르 미술 아카데미에서 수학했으며, 다다이즘과 추상 미술에 영향을 받아 추상 영화를 제작했다. 1921년에는 최초의 추상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는 《리듬 21》을 제작했다. 1940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영화 제작 활동을 이어갔으며, 《돈으로 살 수 있는 꿈》(1947)과 《8 x 8: 체스 소나타, 8악장》(1957) 등의 작품을 연출했다. 1965년에는 다다 운동에 대한 회고록 《다다: 예술과 반예술》을 저술했으며, 1976년 스위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영화 제작자 - 베른트 아이힝거
    베른트 아이힝거는 독일의 영화 제작자로서 콘스탄틴 필름을 성공적인 영화사로 성장시켰으며, 《네버엔딩 스토리》, 《장미의 이름》, 《몰락》,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바더 마인호프 콤플렉스》 등 다양한 영화 제작에 참여했고 독일 영화상 명예상, 독일 연방 공로 훈장 등을 수상했다.
  • 독일의 영화 제작자 - 롤란트 에머리히
    롤란트 에머리히는 주로 재난 및 SF 영화를 연출하는 독일 출신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로, 상업적 성공과 함께 과도한 시각 효과와 진부한 스토리로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다다이스트 - 만 레이
    만 레이는 미국의 다다이즘 및 초현실주의 미술가로, 회화, 사진,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레이요그래프와 솔라리제이션 기법을 활용한 사진 작품으로 유명하다.
  • 다다이스트 - 쿠르트 슈비터스
    쿠르트 슈비터스는 독일 출신 예술가로, 다다이즘과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 오브제를 활용한 '메르츠'라는 독자적인 예술을 창안하고 '메르츠바우'를 제작했으며, 망명 중에도 예술 활동과 사운드 포에트리 작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작품을 남겼다.
  • 영화 이론가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영화 이론가 - 피터 보그다노비치
    피터 보그다노비치는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 평론가, 영화 역사가로, 《마지막 영화관》, 《왓츠 업, 독?》, 《페이퍼 문》 등의 작품으로 1970년대 뉴 할리우드 시대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이며,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며 영화 역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하고 말년에는 배우로도 활동했다.
한스 리히터 (188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스 리히터
본명한스 요하네스 지크프리트 리히터
출생일1888년 4월 6일
출생지베를린, 독일
사망일1976년 2월 1일
사망지미누시오, 스위스
배우자메타 에르나 니마이어 (일명 레 수폴트)
직업화가, 그래픽 아티스트, 아방가르디스트, 영화 제작자, 애니메이션 제작자
활동 기간1914년–1961년

2. 초기 생애 및 교육

한스 리히터는 1888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4][5] 1908년 베를린 미술 아카데미, 1909년 바이마르 미술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1912년 청기사와 1913년 Erster Deutscher Herbstsalon 갤러리 Der Sturm을 통해 현대 미술과 접촉하며 예술적 영향을 받았다.[4] 1914년에는 입체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표현파의 '폭풍전' 등에 참가했다.

리히터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부상을 입고 군에서 제대하여 취리히로 갔다.[4]

3. 다다 운동과 추상 영화

1912년 표현주의 그룹 '청기사'와 Erster Deutscher Herbstsalon 갤러리 Der Sturm을 통해 현대 미술과 처음 접촉하였고,1914년에는 입체주의의 영향을 받았다.[4] 1916년 뮌헨에서 첫 전시회를 가졌고, 디 악치온이 그에 관한 특집호를 발행했다.[5] 같은 해, 제1차 세계 대전 중 부상으로 제대하고 취리히로 가서 트리스탄 차라, 마르셀 얀코, 장 아르프, 후고 발 등과 함께 다다이즘에 합류했다.[4][5] 그는 예술가의 의무가 적극적인 정치참여, 반전反戰, 혁명을 지지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4]

1917년추상 미술 작품을 제작하였고, 1918년 트리스탄 차라의 소개로 비킹 에겔링을 만나 함께 영화 실험을 시작했다.[4] 1919년 취리히에서 혁명 예술가 협회(Artistes Radicaux)를 공동 설립하고, 같은 해 11개의 드로잉에서 개발된 주제를 오케스트레이션한 그의 첫 번째 ''Prélude''를 제작했다.[4] 1920년에는 베를린의 11월 그룹의 일원이 되었고, 네덜란드 잡지 ''데 스테일''에 기고했다.[4]

1921년 추상 영화인 리듬 21을 만들었다.[4] 리히터는 자신의 영화 ''리듬 21''이 최초로 제작된 추상 영화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브루노 코라와 아르날도 지나의 이탈리아 미래주의 영화와,[7] 1920년에 ''빛의 놀이 오푸스 1''을 제작한 독일 예술가 발터 루트만의 작품이 앞선다는 주장이 존재한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히터의 영화 ''리듬 21''은 중요한 초기 추상 영화로 간주된다.

''Rhythmus 21'' (1921)


미셸 쇠포르는 리히터의 흑백 그래픽 작품이 한스 아르프 및 마르셀 얀코의 작품과 함께 취리히 시대 다다의 가장 전형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1923년부터 1926년까지 베르너 그래프,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와 함께 잡지 ''G. Material zur elementaren Gestaltung.''을 편집했다. 리히터는 영화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대해 "나는 영화를 시각에 특히 흥미로운 현대 미술 형식으로 생각한다. 회화는 고유한 문제와 특정한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영화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두 가지의 경계가 모호해지거나 서로 침해하는 문제도 있다. 특히 영화는 고대 예술이 약속했던 것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회화와 영화가 서로 가까워지고 협력하게 된다."라고 썼다.

3. 1. 다다 운동 참여와 한국의 관련성

4. 미국 망명과 영화 제작 활동

한스 리히터는 1940년 스위스에서 미국으로 망명하여 시민권을 취득했다.[8] 1941년부터 뉴욕 시립 대학교 영화 기술 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8] 뉴욕시에 거주하면서 막스 에른스트, 장 콕토, 폴 볼스, 페르낭 레제, 알렉산더 칼더, 마르셀 뒤샹 등과 협력하여 장편 영화 《돈으로 살 수 있는 꿈》(1947)과 《8 x 8: 체스 소나타, 8악장》(1957)을 연출했다.[8] 이 영화들은 그의 코네티컷주 사우스베리에 있는 별장의 잔디밭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다. 1957년에는 한스 아르프, 마르셀 뒤샹, 라울 하우스만, 리하르트 휠젠베크, 쿠르트 슈비터스 등 다다 예술가들이 직접 낭독한 시와 산문이 담긴 영화 《다다스코프》를 완성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신문 기사를 콜라주한 작품 '동방의 승리'를 발표했다. 1963년, 그는 미국 예술가 알렉산더 칼더에 대한 단편 영화 《서커스에서 달까지》를 연출했다.[9]

4. 1. 미국 시기의 작품 활동과 한국의 상황

5. 후기 활동 및 저술

1958년 이후 스위스 아스코나와 코네티컷에서 그림 작업을 재개했다. 1963년 알렉산더 칼더에 대한 단편 영화 《서커스에서 달까지》를 연출했다. 1965년 다다 운동에 대한 회고록이자 네오 다다에 대한 성찰을 담은 《다다: 예술과 반예술》을 저술했다. 1976년 스위스 로카르노에서 사망했다.

6. 작품 목록


  • 1921 리듬 21
  • 1923 리듬 23
  • 1925 리듬 25
  • 1926 필름스튜디오
  • 1927 인플레이션
  • 1928 오전의 유령
  • 1929 Zweigroschenzauber
  • 1929 The Storming of La Sarraz
  • 1929 경주 교향악
  • 1929 Alles dreht sich, alles bewegt sich
  • 1929 매일
  • 1930 새로운 삶
  • 1931 유로파 라디오
  • 1933 Hallo Everybody
  • 1934 Keine Zeit für Tränen
  • 1936 Vom Blitz zum Fernsenhbild
  • 1947 돈으로 살 수 있는 꿈
  • 1957 8 x 8
  • 1961 다다스코프

6. 1. 영화

한스 리히터는 다수의 영화를 제작했다. 1921년 《리듬 21》(Rhythmus 21)을 시작으로, 《리듬 23》(Rhythmus 23, 1923), 《리듬 25》(Rhythmus 25, 1925)를 제작했다. 1926년에는 《필름 연구》(Filmstudie)를 제작했으며, 한스 하인츠 슈투켄슈미트가 음악을 담당했다. 1927년에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1928년에는 힌데미트가 음악을 담당한 《오전의 유령》(Vormittagsspuk)을 제작했다.

1929년에는 《2 그로셴의 마법》(Zweigroschenzauber),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이 연출했으나 유실된 《라 사라의 습격》(The Storming of La Sarraz), 《경주 교향곡》(Rennsymphonie), 《모든 것은 돌고, 모든 것은 움직인다》(Alles dreht sich, alles bewegt sich), 《매일》(Everyday)을 제작했다. 1930년에는 《새로운 삶》(Neues Leben)을, 1931년에는 《유럽 라디오》(Europa Radio)를 제작했다. 1933년에는 《안녕 모두들》(Hallo Everybody)을, 1934년에는 《눈물을 흘릴 시간 없어》(Keine Zeit für Tränen)를, 1936년에는 《번개에서 텔레비전 화면까지》(Vom Blitz zum Fernsenhbild)를 제작했다.

1947년에는 《돈으로 살 수 있는 꿈》(Dreams That Money Can Buy)을, 1957년에는 《8 x 8: 체스 소나타 8악장》(8 x 8: A Chess Sonata in 8 Movements)을 제작했다. 1961년에는 《다다스코프》(Dadascope)를, 1963년에는 《서커스에서 달까지》(From the Circus to the Moon)를 제작했다.

6. 2. 저서


  • 《다다: 예술과 반예술》(Dada: Art and Anti-Art, 1965)
  • 《다다》(미진사, 1985) (한국어 번역본)

7. 개인사

한스 리히터는 네 번 결혼했다.[11] 1916년에는 엘리자베스 슈타이너트와 결혼했고, 1921년에는 마리아 폰 반젤로우와 결혼했다가 1922년에 이혼했다.[11] 1927년에는 에르나 니마이어와 결혼했고, 1951년에는 프리다 루펠과 결혼했다.[11] 프리다 루펠에게는 두 자녀 한스 루펠과 우르술라 라우더가 있었다.[11]

참조

[1] 서적 Dadaism Thames and Hudson
[2] 웹사이트 Magazine Features – Hans Richter, Dada Pioneer http://www.artnet.co[...] Artnet.com 2014-08-18
[3] 서적 Oxford Dictiona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xford University
[4] 웹사이트 Hans Richter https://www.theartst[...] 2022-08-19
[5] 서적 Postscript to Dada: Art and Anti-Ar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6] 웹사이트 Article on Futurist Cinema http://www.futurism.[...]
[7] 웹사이트 'The Futurist Cinema' Manifesto, 1916 http://www.unknown.n[...] Unknown.nu 2014-08-18
[8] 문서
[9] 웹사이트 Historic Films – Calder Foundation http://www.calder.or[...] 2017-05-30
[10] 서적 Dada: Art and Anti-Ar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11] 웹사이트 Richter, Hans - Deutsche Biographie https://www.deutsche[...] 2023-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