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은 독일 베를린의 철도 노선으로, 함부르크선과 레어테선을 베를린 도심선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882년 개통 이후 여객 및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으며,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한동안 사용이 중단되기도 했다. 통일 이후 노선이 재개통되어 근교선 및 장거리 열차 운행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베를린 도심과 함부르크 및 레어테 방면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판다우구 - 슈판다우 근교선
    슈판다우 근교선은 베를린 베스트크로이츠역에서 시작하여 슈판다우역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으로, 1907년부터 1911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여러 역의 개통 및 변경을 거쳐 1998년 전 구간이 재개통되었다.
  • 188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호쿠리쿠 본선
    호쿠리쿠 본선은 서일본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가 운영하는 시가현 마이바라역에서 후쿠이현 츠루가역까지의 철도 노선으로,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에 따라 노선 규모가 축소되었다.
  • 188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고트하르트 철도
    고트하르트 철도는 스위스 북부와 남부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알프스를 관통하며 고트하르트 터널 등을 포함하여 여러 터널과 교량을 지나고, 스위스 연방 철도에서 운영하며, 2016년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개통으로 수송 능력과 속도가 향상되었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 - 쿠르퓌르스텐담
    쿠르퓌르스텐담은 독일 베를린의 주요 거리로, 사냥용 별장에서 유래하여 1920년대 레저와 밤문화 중심지였다가, 전쟁과 분단을 거쳐 서베를린의 상업 중심지로 부활하여 고급 쇼핑 거리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 - 베를린 도심선
    베를린 도심선은 1870년대에 베를린의 주요 기차역 간 환승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건설되어 장거리 열차와 근교 열차를 운행하며 동서 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이름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
노선명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
노선명 (원어)Hamburger Stadtbahnanschluss
국가독일
소재지베를린
종류간선 철도
노선 번호6109
총 연장7.1 km
궤간1435 mm
전철화교류 15 kV 16.7 Hz
영업 최고 속도160 km/h
보안 장치PZB
제원 비고내용
올림피아슈타디온역 근처 도심연결선
올림피아슈타디온역 근처 도심연결선

2. 역사

1870년대 초까지 베를린에는 여러 사설 철도 회사가 각자의 노선을 운영했으며, 이 노선들은 서로 다른 시내 중앙역에서 출발하고 도착했다. 1867년부터 1877년까지 국영 베를린 순환선이 건설되었고, 이후 파산으로 국영화된 베를린 도심선과 연결되었다. 함부르크선은 프로이센 왕국과의 계약에 따라 1882년 6월 1일부터 7.5km 길이의 도심연결선 영업을 시작했고, 이 연결선을 통해 장거리 열차가 베를린 도심선으로 진입했다.[1]

레어테선에도 비슷한 연결선이 건설되어 샤를로텐부르크역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순환선을 거쳐 레어테선과 연결되었다. 1884년 함부르크선 국유화 이후, 과거 함부르크선 선로는 여객용, 레어테선 선로는 화물용으로 사용되었다. 1889년부터는 레어테선 열차도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을 이용하게 되었다.[2] 1890년대 초, 도심선 용량 부족으로 1891년 6월 1일부터 함부르크 방면 장거리 열차는 레어테역에서 함부르크역으로 종착역이 변경되었다.[3]

1905년에는 슈판다우-도심선(열차선)-슈트라우스베르크 간 근교선 열차가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으로 운행했다. 1909년에는 헤어슈트라세역이 개통되었고, 1911년에는 근교선이 베를린 피헬스베르크역을 경유하여 슈판다우 방면으로 연장되었다. 1920년대 말 베를린 메세 확장으로 도심연결선 노반이 남쪽으로 이설되었고, 1928년에는 근교선이 직류 전철화되어 S반 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분단으로 1952년까지 베를린의 많은 종착역이 폐쇄되었고, 함부르크 및 레어테 방면 동독 통과 열차는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을 경유하게 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1961년에는 정규 여객 열차가 중단되고 노선이 방치되기도 했으나, 1976년 슈타켄 국경 통과점 재개통으로 일부 열차가 이 노선을 다시 이용했다.

그루네발트 방면 S반 선로 입체 교차, 2014년


함부르크 방면 회랑열차, 1986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1991년부터 나우엔 방면 근교 열차가 도심연결선을 통해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고, 장거리 열차 운행도 증가했다. 1997년에는 슈판다우-샤를로텐부르크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1998년 도심선의 장거리 열차선 재개통 이후에는 베를린 도심에서 함부르크선 및 레어테선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으로 교통량이 크게 증가했다. 2006년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 개통 후에는 베를린 북부선 열차 일부가 함부르크선과 북부선 간 베를린 외곽순환선을 통해 운행하게 되었다.

메세담 교량에서 바라본 근교선(왼쪽)과 당시의 장거리선(오른쪽), 1993년

2. 1. 초기 (1870년대-1890년대)

1870년대 초반까지 베를린에는 여러 사유 철도 회사가 노선을 설치했으며, 이들은 각각 별개의 시내 중앙역에서 출발하고 도착했다. 1867년부터 1877년까지 국영 베를린 순환선이 영업을 시작했고, 건설 당시에는 베를린 도심철도회사(Berliner Stadteisenbahngesellschaft)의 사유 철도였으나 파산으로 1878년부터 국영 철도가 된 베를린 도심선과 연결되었다. 함부르크선은 프로이센 왕국과 1877년 11월 2일에 체결한 계약에 따라 7.5 km 길이의 도심선 연결선을 건설해야 했다.[1] 이 연결선은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역 서쪽, 베를린 순환선과 베를린-블랑켄하임선이 교차하는 지점 이전에서 분기하여, 건설 당시에는 숲이었던 그루네발트 동부 지역을 지나 함부르크선의 구 슈판다우역과 연결되었다. 1882년 6월 1일부터 연결선 영업이 시작되었고, 동시에 베를린 도심선에도 장거리 열차가 진입했다.[1]

당시 베를린과 슈판다우를 연결했던 레어테선에도 비슷한 연결선이 건설되었다. 레어테선 연결선은 샤를로텐부르크역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진행하여 순환선과 연결되었고, 베를린 베스트엔트역 일대를 지난 다음 서쪽으로 진행하여 레어테선과 연결되었다.

1884년 3월 29일 계약으로 함부르크선이 국유화되었다. 함부르크선 본선은 알토나 철도국, 연결선은 베를린 철도국이 관할하게 되었다.[1] 레어테선 국유화 이후 두 노선의 베를린 구간 운행이 조정되었다. 과거 함부르크선 선로로는 양방향 여객 철도가 운행하고, 과거 레어테선 선로로는 화물 철도가 운행했다. 이에 따라 레어터선 도심연결선은 화물용,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은 여객용으로 사용되었다. 1889년부터는 함부르크선뿐만 아니라 레어테선 열차도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을 통해 도심으로 진입했다.[2] 1890년대 초반부터 도심선에는 용량이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함부르크 방면 장거리 열차는 1891년 6월 1일부터 레어테역에서 함부르크역으로 종착역이 변경되었다.[3] 그 결과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은 근교 열차와 레어테선 열차의 대부분만이 사용했다.

2. 2. 20세기 (1900년대-1990년대)

1905년에는 슈판다우-도심선(열차선)-슈트라우스베르크 간 근교선 열차가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으로 운행했다. 나우엔-슈판다우-베를린 등 슈판다우를 경유하는 다른 근교선 열차는 함부르크선을 통해서 레어테역으로 운행했다.

1909년까지는 슈판다우와 샤를로텐부르크 사이에 중간역이 없었다. 1909년 11월 1일 헤어슈트라세역이 개통했다. 수 개월 전에는 행사 시 사용하는 임시 승강장으로 렌반(Rennbahn, 현재의 올림피아슈타디온역)역이 개통했다. 1911년에는 근교선이 베를린 피헬스베르크역을 경유하여 슈판다우 방면으로 연장되었다. 슈판다우 근교선은 이후 헤어슈트라세역 이북으로 향하는 근교 열차를 처리하게 되었고, 나머지 장거리 열차는 과거의 도심연결선을 사용하게 되었다.

1920년대 말 베를린 메세가 확장되면서,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의 노반이 남쪽으로 이설되어 1927년 8월 15일부터 영업을 시작했다. 이듬해부터는 헤어슈트라세역 방면으로 근교선과 장거리 열차선이 분리되었고, 근교선은 직류 전철화되어 1928년 8월 23일부터 S반 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그와 동시에 근교선에 아이히캄프역이 개업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및 베를린의 분단으로 베를린의 많은 종착역이 1952년까지 폐역되었다. 베를린에서 함부르크 및 레어테 방면의 동독 통과 열차는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 경유로 변경되었다. 서베를린에서 교외 지역으로의 여객 영업은 중단되었고, 헤어슈트라세역 이북의 복선 선로는 단선으로 축소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1961년 12월부터 슈타켄 및 알브레히트스호프 국경 통과점이 폐쇄되면서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의 모든 정규 여객 열차가 중단되었고 노선이 사실상 방치 상태가 되었다. 1973년에 발행된 지도에서는 노선이 철거된 것으로 표기되었다.[4] 1976년에 슈타켄 국경 통과점이 재개통하면서 도심선의 일부 열차가 함부르크 방면으로 진행할 때 이 노선을 경유하게 되었다.

2. 3. 1990년 이후 (통일 이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교통량이 다시 증가했다. 1991년부터 도심연결선을 통해 나우엔 방면 근교 열차가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고, 함부르크선 및 레어테선 방면 장거리 열차 운행도 증가했다. 1994년과 1995년에는 건설 공사로 노선이 폐쇄되었고, 슈판다우 근교선을 통해 장거리 열차가 운행했다. 1997년에는 슈판다우-샤를로텐부르크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1990년대에는 도심선, 도심연결선, 이들과 연결되는 선로가 개보수되었다. 베를린 도심선도 다시 복선화 및 전철화되었다. 1998년 6월 도심선의 장거리 열차선이 재개통된 이후에는 베를린 도심에서 함부르크선 및 레어테선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교통량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2006년 5월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 개통 후에는 베를린 북부선 열차 중 일부가 함부르크선과 북부선 간 베를린 외곽순환선을 통해 운행하게 되었다.

3. 구간

샤를로텐부르거 쇼세 철교, 2017년


원래 노선은 베를린 순환선베를린-블랑켄하임선의 교차점 동쪽에서 분기하여 순환선을 건너 헤어슈트라세역까지 이어졌다. 1928년 이후 노선은 샤를로텐부르크역에서 시작하여 베를린-블랑켄하임선까지 평행하게 진행하며 순환선과의 교차점에서부터 방향이 갈라진다. 중간 선로는 함부르크선 도심연결선, 외선은 베를린-블랑켄하임선이 사용하며, 두 노선은 헤어슈트라세역 일대까지 노반을 공유한다.

슈판다우 방면 S반은 베를린 메세 쥐트역 진입 이전까지는 장거리선 이북에 위치해 있으며, 이 역 일대에서 장거리선과 입체 교차한다. 그 후 장거리선은 헤어슈트라세역 인근에서 북북서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올림피아슈타디온역 일대 지하철 선로, 샤를로텐부르거 쇼세, 레어테선의 옛 노반과 입체 교차한 다음 룰레벤 화물역 일대에서 함부르크선과 다시 연결된다.

베를린 도심선의 열차선과 동일한 노선 번호 6109번을 사용하며, 베를린 동역 기점으로 거리가 매겨져 있다. 6109번 노선의 끝은 동역 기점 18.3km로 함부르크선과의 합류점이다. 합류점 일대는 슈판다우역 장내에 속하지만 여객 승강장에서는 동쪽으로 1km 떨어져 있다. 과거 지도에서는 구 슈판다우역(현재의 베를린 슈트레소역)까지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5]

참조

[1] 서적 Berlin und seine Eisenbahnen 1846–1896 Julius Springer Verlag 1896
[2] 서적 Berlin und seine Eisenbahnen 1846–1896 Julius Springer Verlag 1896
[3] 서적 Berlin und seine Eisenbahnen 1846–1896 Julius Springer Verlag 1896
[4] 간행물 Karte der Reichsbahndirektion Berlin Deutsche Reichsbahn 1973
[5] 간행물 Karten der Reichsbahndirektion Berlin 1927-1946
[6] 웹인용 Spandauer Vorortbahn http://www.stadtschn[...] 2017-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