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창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창읍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한 읍으로, 과거 고령 가야의 도읍지였으며, 삼국 시대에는 신라의 지배를 받았다. 조선 시대에는 함창현, 1895년 함창군으로 불리다가 1914년 상주군에 편입되어 함창면이 되었고,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상주시의 동북부에 위치하며, 경북선 철도와 국도 제3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교통 요지이다. 함창읍은 쌀 재배가 활발하며, 상주농공단지가 조성되어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주시의 행정 구역 - 내서면
    상주시 내서면은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상주군 서쪽 지역의 18개 법정리에서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9개 법정리로 구성되었으며, 곶감 생산지로 유명하다.
  • 상주시의 행정 구역 - 이안면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이안면은 양범리를 포함한 12개의 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정복지센터와 이안초등학교가 있고 36명의 면장이 역임했다.
  • 1980년 설치 - 동작구
    동작구는 서울특별시 중남부 한강 남쪽에 위치한 자치구로, 조선 시대 한강 무역 중심지였으며 관악구에서 분리 신설되었고, 현재 다양한 문화유산, 교육기관, 노량진 학원가, 수산시장 등의 특징과 함께 여러 자매도시와 교류하며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80년 설치 - 제천시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한말 의병 운동의 거점,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3차 산업이 발달했으나 최근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경상북도의 읍·면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경상북도의 읍·면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함창읍
지도
기본 정보
한글 표기함창읍
한자 표기咸昌邑
로마자 표기Hamchang-eup
행정 정보
광역시도경상북도
시군구상주시
읍사무소함창중앙로 135
홈페이지함창읍행정복지센터
면적 및 인구
면적43.37
세대3,451
세대 조사2018.12
인구6274
인구 조사2022년 3월
행정 구역
법정리15
행정리30
132

2. 역사

함창은 옛 왕도의 성산인 재악, 대가산, 숭덕산, 오봉산, 봉황대, 태봉, 덕봉, 막구리산 등이 사방을 에워싸고 있어 광활하고 비옥한 평야를 펼치고 있다. 야산과 구릉, 독산들이 알맞게 배치되어 풍요롭고 평화스러운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시대에는 함창현, 1895년 함창군이었다가 1914년 상주군에 편입되어 상주군 함창면이 되었고,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다.[1]

함창은 마한의 지배를 받았으나 서라벌이 마한에서 독립할 때 '''호로국'''(戶路國)이라는 이름으로 진한 연맹을 형성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고령가야의 도읍지였으며, 신라시대에는 '''고동람군'''(古冬欖郡), '''고릉'''(古陵), '''고녕'''(古寧)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함녕군'''(咸寧郡, 964년)이었다가 상주목에 속한(1018년) 뒤 '''함창'''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시대에는 '''함창현'''(咸昌縣, 1413년)과 '''함창군'''(咸昌郡, 1895년)으로 불렸다. 1914년 4월 상주군 함창면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고, 1980년 12월 1일 함창읍으로 승격되었다.[1]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시 출범으로 상주시 함창읍이 되었다.

2. 1. 고대

마한의 지배 아래에 있었으나 서라벌이 마한에서 독립할 때 '''호로국'''(戶路國)이란 이름으로 마한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서라벌과 함께 진한 연맹을 형성했다. 초기 삼국 시대에 소규모 왕국이었던 고령 가야는 전통적으로 함창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가야 연맹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국가였다.[1]

함창읍 상주시에 있는 고령 가야 태조의 것으로 여겨지는 무덤


함창 김씨 족보의 시조이기도 한 고령 가야 태조의 것으로 알려진 무덤은 마을 중심부 근처에 위치해 있다. 오봉산에는 삼국 시대의 다른 무덤들이 발굴되었다. 이 무덤들은 때때로 초기 신라 기록에 등장하는 소국인 사벌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사벌국과 고령 가야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 또는 사실상 같은 왕국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1]

6세기 초, 함창 지역은 신라의 지배하에 확실하게 들어왔다. 그 후 상주 ''주''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이때 함창은 고령 가야와의 관련성을 암시하는 고릉(古陵), 고녕(古寧), 고동람군(古冬欖郡)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다.[1]

2. 2. 고려시대

고려 964년, 이 지역은 함녕군(咸寧郡)으로 알려졌다. 1018년에 현재의 "함창"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2. 3. 조선시대

조선 시대에는 1413년에 '''함창현'''(咸昌縣), 1895년에 '''함창군'''(咸昌郡)으로 불렸다.[1]

2. 4. 근현대

1914년 4월 상주군 함창면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1] 1980년 12월 1일 상주군 함창면에서 '''함창읍'''으로 승격되었고,[1]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시 출범으로 상주시 함창읍으로 편입되었다.

초기 삼국 시대에 소규모 왕국이었던 고령 가야는 전통적으로 함창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가야 연맹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국가였다.

함창 김씨 족보의 시조이기도 한 고령 가야 태조의 것으로 알려진 무덤은 마을 중심부 근처에 있다. 오봉산에는 삼국 시대의 다른 무덤들이 발굴되었다. 이 무덤들은 때때로 초기 신라 기록에 등장하는 소국인 사벌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사벌국과 고령 가야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 또는 사실상 같은 왕국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6세기 초, 함창 지역은 신라의 지배하에 확실하게 들어왔다. 그 후 상주 ''주''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이때 함창은 고령 가야와의 관련성을 암시하는 고릉(古陵), 고녕(古寧), 고동람군(古冬欖郡)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다.

고려 시대인 964년, 이 지역은 함녕군(咸寧郡)으로 알려졌다. 1018년에 현재의 "함창"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시대에는 1490년 함창현으로, 1895년 함창군(함창군)으로 지정되었다. 1914년 함창면이 되었고 상주군에 포함되었다. 1980년 12월 1일 대통령령에 의해 현재의 함창읍으로 지정되었다.

3. 지리

옛 왕도의 성산인 재악, 대가산, 숭덕산, 오봉산, 봉황대, 태봉, 덕봉, 막구리산 등이 사방을 에워싸고 있어 광활하고 비옥한 평야를 펼치고 야산과 구릉과 독산들이 알맞게 배치되어 풍요롭고 평화스러운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시대에 함창현이었고, 1895년 함창군이 되었다가 1914년 상주군에 편입되어 상주군 함창면이 되었고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상주시 동북쪽에 위치한다. 사벌국면·이안면·공검면과 접하며, 동북쪽으로 문경시와 시계를 이루고 있다. 경북선 철도가 읍을 관통하며 함창역이 있으며, 국도 제3호선이 통과하며, 함창버스정류장이 있지만 점촌시외고속버스터미널의 교통이 더욱 편리하다. 중부내륙고속도로(고속국도 제45호선)의 점촌함창 나들목이 있다. 읍은 문경시 중심가(옛 점촌읍 지역)와 바로 인접해 있어 사회·경제적으로는 상주시 중심가보다 문경시 중심가와의 왕래가 더 많은 편이다. 평야가 넓게 분포하여 예로부터 재배가 활발하고, 상주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수십 개의 공장이 들어서 있다.

함창읍은 상주시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약 19km 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문경시 점촌읍과 직접 접한다. 상주시 내에서는 이안면, 공검면, 사벌국면과 인접해 있다. 총면적은 43.37km2이며, 이 중 16.87km2가 공지이다. 공지는 대부분 산악 지형이지만 높은 봉우리는 없으며, 오봉산의 높이도 192m에 불과하다. 함창읍의 동쪽 경계는 문경시 영순면과 함창읍 사이를 흐르는 영강이 이룬다. 이안천은 함창읍 남부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영강으로 합류하고, 영강은 그 후 곧 낙동강과 합류한다.

4. 행정 구역 (법정동)

법정리행정리
교촌리교촌1리, 교촌2리, 교촌3리
구향리구향1리, 구향2리, 구향3리
금곡리금곡1리, 금곡2리
나한리나한1리, 나한2리
대조리대조1리, 대조2리
덕통리덕통1리, 덕통2리
신덕리신덕1리, 신덕2리
신흥리신흥1리, 신흥2리
오동리오동1리, 오동2리
오사리오사1리, 오사2리
윤직리윤직1리, 윤직2리, 윤직3리, 윤직4리
증촌리증촌1리, 증촌2리, 증촌3리
척동리척동1리, 척동2리
태봉리태봉리
하갈리하갈1리, 하갈2리


5. 경제

경북선 철도가 읍을 관통하며 함창역이 있고, 국도 제3호선이 통과하며 함창버스정류장이 있지만 점촌시외고속버스터미널의 교통이 더욱 편리하다. 중부내륙고속도로(고속국도 제45호선)의 점촌함창 나들목이 있다. 읍은 문경시 중심가(옛 점촌읍 지역)와 바로 인접해 있어 사회·경제적으로 상주시 중심가보다 문경시 중심가와의 왕래가 더 많은 편이다. 평야가 넓게 분포하여 예로부터 재배가 활발하고, 상주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수십 개의 공장이 들어서 있다.

6. 교통

경북선 철도가 읍을 관통하며 함창역이 있고, 국도 제3호선이 통과한다. 함창버스정류장이 있지만 점촌시외고속버스터미널의 교통이 더욱 편리하다. 중부내륙고속도로(고속국도 제45호선)의 점촌함창 나들목이 있다. 읍은 문경시 중심가(옛 점촌읍 지역)와 바로 인접해 있어 사회·경제적으로는 상주시 중심가보다 문경시 중심가와의 왕래가 더 많은 편이다.

7. 교육

8. 주요 시설


  • 상주경찰서 함창지구대
  • 함창119안전센터
  • 함창농협

9. 역대 읍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1김학범1979년 2월 28일 ~ 1980년 11월 30일
2서운석1983년 2월 18일 ~ 1983년 12월 31일
3김자상1984년 1월 1일 ~ 1985년 8월 12일
4김정동1985년 8월 13일 ~ 1990년 4월 6일
5김상문1990년 4월 7일 ~ 1993년 6월 30일
6이영희1993년 7월 1일 ~ 1996년 2월 23일
7송동환1996년 2월 24일 ~ 1998년 3월 4일
8김성돈1998년 3월 5일 ~ 1999년 1월 7일
9김태재1999년 1월 8일 ~ 2000년 2월 18일
10오정록2000년 2월 19일 ~ 2002년 8월 4일
11남창희2002년 8월 5일 ~ 2004년 8월 29일
12홍재호2004년 8월 30일 ~ 2006년 12월 31일
13이세근2006년 2월 28일 ~ 2009년 2월 10일
14김광휘2009년 2월 11일 ~ 2009년 8월 10일
15성봉제2009년 8월 11일 ~ 2010년 8월 15일
16이상국2010년 8월 16일 ~ 2011년 7월 6일
17신봉철2011년 7월 20일 ~ 2012년 7월 8일
18전홍근2012년 7월 9일 ~ 2014년 7월 13일
19이주환2014년 7월 14일 ~ 2015년 12월 31일
20최동환2016년 1월 1일 ~ 2017년 6월 30일
21박동희2017년 7월 1일 ~ 2018년 9월 16일
22하상섭2018년 1월 1일 ~ 2019년 10월 22일
23신동희2019년 10월 23일 ~ 2020년 12월 31일
24이양희2021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25서동주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26문준하2024년 1월 1일 ~ 현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