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가족은 아버지, 어머니, 자녀로 구성된 가족 형태를 의미하며, 20세기 초에 등장한 용어이다. 핵가족은 사회 집단의 한 형태로, 공동 거주, 경제적 협력, 재생산을 특징으로 한다. 역사적으로는 13세기 이후 영국에서 주요한 가족 형태였으며, 산업혁명과 초기 자본주의의 등장과 함께 재정적으로 실행 가능한 사회적 단위가 되었다. 최근에는 LGBT 부모를 포함하거나 입양, 공동 육아와 같은 대안적인 정의도 나타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증가하면서 핵가족의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미국과 영국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과 문화 - 이혼
    이혼은 법적으로 유효한 혼인 관계를 당사자가 생존 중에 해소하는 것으로, 시대와 문화에 따라 방식과 사유가 다양하며 현대에는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 등의 방식이 존재하고 이혼 시 재산분할, 위자료, 자녀 양육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가족과 문화 - 가족의식
    가족의식은 가족 내 도덕적, 윤리적 원칙으로 전통적으로 가족 기능과 사회 구조 강화에 기여했으나, 사회 변화에 따라 재해석되고 정치적으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기반이 되며, 서구 사회의 비전통적 가족 형태 증가, 아랍 문화권의 이슬람 교리 영향, 한국 사회의 유교적, 현대적 가치관 공존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 가족의 형태 - 소농
    소농은 가족 노동에 의존하며 낮은 기술 수준을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농가를 의미하며, 식량 안보와 지역 경제에 기여하지만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여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 가족의 형태 - 이산가족
    이산가족은 한국 전쟁, 분단 등으로 인해 가족과 헤어진 사람들을 의미하며, 남북 간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리고 있지만, 고령화와 정치적 문제로 인해 해결의 시급성이 강조되고 있다.
  • 사회심리학 -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은 신체적, 성적, 심리적,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는 모든 형태의 폭력으로, 다양한 주체에 의해 자행되며 유엔 등 국제기구는 이를 인권 침해 및 성별 불평등의 결과로 규정하고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포괄적인 정의에 대한 논쟁은 지속되고 있다.
  • 사회심리학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핵가족
지도 정보
정의
설명부모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된 가족 집단
다른 명칭
다른 이름일차 가족
기본 가족
짝 가족
결합 가족
결혼 가족
부부 가족
단핵 가족
사회학적 특징
특징산업화된 사회에서 일반적인 가족 형태
구성원부모 (2명)
자녀 (1명 이상)
역사적 관점
기원1950년대 이후 미국에서 일반적인 가족 형태
변화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
대안적 가족 형태
대안확대 가족, 한부모 가족, 동거 가족, 입양 가족, 다문화 가족
현대 사회의 변화
현대적 변화전통적인 핵가족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추세

2. 어원

핵가족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초에 처음 등장하였다. 메리엄-웹스터 사전은 이 용어를 192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4]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1925년의 자료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새로운 용어임을 알 수 있다. 이 표현은 명사 "핵(nucleus)"의 일반적인 용법에서 유래했는데, "핵" 자체는 '견과'를 의미하는 라틴어 nux|눅스la에서 기원하여 어떤 것의 중심을 의미한다.

이누이트의 핵가족. 어머니와 아버지와 아이들(1929년)


"핵가족"(nuclear family)이라는 용어는 메리엄-웹스터 사전[37]에 따르면 1941년에 처음 등장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비키니 환초에서 핵실험을 시작한 무렵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3. 역사

부부의 역할은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역사적으로 결혼은 이성 간 결혼에 한정되었고, 남성이 가족의 가장이 되어 생계를 책임지고 여성은 집에 머물면서 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에는 여성들이 종종 남성과 생계 부담을 공유하고 있으며 동성 커플도 더욱 흔해지고 있다.[16]

3. 1. 서구권

독일에서 발견된 4,600년 전 구석기 시대 매장지의 뼈와 치아에서 추출한 DNA는 부모 두 명과 여러 자녀로 구성된 가족의 사회적 인식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거를 제공했다.[10]

알란 맥퍼런(Alan Macfarlane)과 피터 라슬렛(Peter Laslett)을 비롯한 유럽 연구자들은 13세기 이후 영국에서 핵가족이 주된 가족 형태였다고 말한다.[11] 이러한 주된 가족 형태는 남유럽, 아시아 일부 지역, 중동 등 젊은 성인들이 가족 집에 남아 있거나 가족 집안과 결혼하는 것이 일반적인 지역의 일반적인 가족 형태와 달랐다. 영국에서는 젊은 성인들이 결혼 후 자신의 가정을 꾸릴 충분한 돈을 모으기 때문에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가구는 드물었다. 사회학자 브리지트 버거(Brigitte Berger)는 "젊은 핵가족은 기회와 재산을 찾아 다니면서 유연하고 이동성이 있어야 했다. 자신의 기발함에 의존해야 했던 구성원들은 미래를 계획하고 부르주아적인 근면과 저축 습관을 개발해야 했다."라고 주장했다.[12] 버거는 이것이 산업혁명이 영국과 다른 북서유럽 국가에서 시작된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영국에서 핵가족의 역사성은 코르트 외스트만(Cord Oestmann)에 의해 도전받았다.[13]

결혼한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된 가족 구조는 17세기 서유럽과 뉴잉글랜드에 존재했으며, 교회와 신정 정부의 영향을 받았다.[14] 프로토 산업화와 초기 자본주의의 등장과 함께 핵가족은 재정적으로 실행 가능한 사회적 단위가 되었다.[15]

부부의 역할은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역사적으로 결혼은 이성 간 결혼에 한정되었고, 남성이 가족의 가장이 되어 생계를 책임지고 여성은 집에 머물면서 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에는 여성들이 종종 남성과 생계 부담을 공유하고 있으며 동성 커플도 더욱 흔해지고 있다.[16]

3.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1966년에 가구원 수의 면에서 소규모화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핵가족은 단순히 가족원 수의 축소뿐만 아니라 그 내적 구성이 문제가 되는 것이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주택 사정이나 직장 형편 등, 혹은 장래에는 부모와 동거할 예정이나 젊은 동안만 별거한다는 식으로 형태상 핵가족화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4. 현대 사회의 변화



핵가족이라는 용어는 메리엄-웹스터 사전(Merriam-Webster)에 따르면 1941년에 처음 등장했다.[37]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비키니 환초에서 핵실험을 시작한 무렵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핵가족은 인류 보편적인 가족 형태로 여겨진다.[38] 고대에는 주변에 혈연 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함께 살면서 대가족적인 생활을 했지만,[38] 현대, 특히 도시에서 새롭게 가정을 꾸리는 핵가족은 근처에 혈연자가 없는 고립된 핵가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고립된 양육 등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38]

핵가족은 대가족에 비해 이사나 주택 개조 등 주거에 대한 유연성이 높고, 친족 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쉽지만, 3세대에 걸친 가사 노동, 육아, 가사 분담은 어렵다.

일본의 경우, 1920년(다이쇼 9년)에 이미 핵가족 비율이 54%로 과반수를 차지했으며,[38] 1960년대에 급격히 상승하여 1963년(쇼와 38년)에는 유행어가 되었다. 1975년(쇼와 50년)의 약 64%를 정점으로 이후 약 60%를 유지하고 있다.[38]

1989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의 핵가족 세대 유형별 변화[39]
연도부부만부부와 자녀한부모 가정
1989년 (헤이세이 원년)약 16%약 39.3%약 5%
2000년대 전반약 20%약 30%약 8%
2016년 (헤이세이 28년)약 23.7%약 29.5%약 7.3%



1990년부터 2016년까지 세대 구조에서 핵가족 비율은 안정적이었지만, "부부만"과 "한부모 가정" 세대는 증가하고 "부부와 자녀" 세대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저출산과 사회보장이 논의되고 있다.

단신세대(単身世帯)는 혼자서 한 집을 마련하여 생활하는 사람, 혼자서 다른 사람의 집에 얹혀 사는 사람, 기숙사, 합숙소, 하숙집에 사는 독신자를 말하며, '혼자 살기'(一人暮らし)라고도 한다. 단신세대가 되는 이유는 미혼 외에도 부부의 별거, 이혼, 사별, 자녀의 독립 등이 있다. 1920년(다이쇼 9년) 제1회 인구조사에서는 6.6%였다.

1975년(쇼와 50년) 이후, 1인 가구, 특히 고령자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산업 구조의 변화(도쿄 일극 집중 등), 인구의 도시화, 전근 등으로 자녀 세대가 장수하는 부모 부부와 동거하기 어려워지는 현실을 보여준다.[40] 따로 사는 노부모의 장수화에 따른 간병 문제, 부부의 맞벌이 증가로 하교 후 아이들이 혼자 집에 남게 되는 문제 등이 논의되고 있다. 2015년(헤이세이 27년) 국세조사에서는 34.6%로 증가했다.

4. 1. 가족 구성의 다양화

2000년 미국에서 친부모와 함께 사는 핵가족은 전체 가구의 약 24.10%를 차지했지만, 1970년에는 40.30%였다.[18] 2005년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미국 아동의 70%가 양친과 함께 살고 있으며,[18] 그중 66%는 결혼한 부모와, 60%는 친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이후 가족 구조는 1990년 이후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19] 퓨리서치센터는 2013년 기준으로 결혼한 부모(초혼)와 함께 사는 아동은 43%에 불과했는데, 이는 1960년 73%에서 감소한 수치라고 밝혔다. 한편, 한 부모와 함께 사는 아동의 비율은 1960년 9%에서 2013년 34%로 증가했다.[20]

1960년부터 2017년 사이에 미국 사회에서 핵가족은 다른 가구 형태에 밀려 지배적인 위치를 잃었다.


이처럼 자녀가 없는 부부, 한부모 가정, 자녀가 있는 미혼 부부와 별개로 고려할 때, 미국 핵가족은 다른 가족 형태의 증가하는 보급률에 비해 가구의 소수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사회학자들은 "[핵가족]은 오늘날 우리가 보는 다양한 가구 형태를 포괄하기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하며, 한부모 가정과 자녀가 없는 부부를 포함한 다양한 가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포스트모던 가족"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했다.[18]

영국의 경우 핵가족은 1968년 모든 가구의 39.0%에서 1992년 28.0%로 감소했다. 이 감소는 한부모 가정 수와 혼자 사는 성인 수의 증가와 동시에 발생했다.[23]

애들레이드 대학교의 볼프강 하크 교수는 독일 엘라우의 고고학 발굴 조사를 통해 선사 시대 중앙 유럽에서 핵가족의 흔적을 발견했다. 한 무덤에서 발견된 13명의 개인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유전적 증거를 바탕으로, 하크는 "중앙 유럽의 선사 시대 맥락에서 고전적인 핵가족의 존재를 확립했다"고 말했다.[24] 그러나 핵가족을 "자연적인" 것이거나 인간 가족 생활의 유일한 모델로 간주하지는 않는다.[24]

가족을 부양하는 데 드는 비용, 특히 주택, 의료 및 교육 비용은 195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그 이후로 중산층 소득은 정체되거나 감소한 반면, 생활비는 두 명의 소득이 있는 가구조차도 1950년대의 단일 소득 핵가족 가구에서 가능했던 것과 같은 수준의 재정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없을 정도로 급등했다.[25]

4. 2. 대한민국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1966년에 가구원 수가 소규모화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핵가족은 단순히 가족원 수의 축소뿐만 아니라 그 내적 구성이 문제가 되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주택 사정이나 직장 형편, 또는 장래에는 부모와 동거할 예정이나 젊은 동안만 별거하는 식으로 형태상 핵가족화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5. 확대 가족과의 비교

확대가족은 핵가족 구성원 외에 조부모, 친척 등 다른 가족 구성원이 함께 사는 형태이다. 확대가족은 자녀의 발달에 부모만큼 큰 영향을 미친다.[17] 확대가족은 자원(물건, 돈, 시간)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측면이 강하다. 예를 들어, 조부모가 손주를 돌봐주면 부모는 경력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덜 수 있다.[17] 또한, 성인 지원이 늘어나 자녀의 정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17]

이에 비해 핵가족은 이사나 주택 개조 등 주거에 대한 유연성이 높고, 친족 간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쉽다. 하지만, 3세대에 걸친 가사 노동, 육아, 가사 분담은 확대가족에 비해 어렵다.

6. 비판적 관점

북미식 핵가족


미국과 캐나다의 사회보수주의에서는 핵가족을 전통적인 것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은 가족을 사회의 기본 단위로 여기며, 대안적 가족 형태나 부모 권위를 훼손하는 사회 제도에 비판적이다.[29]

'전통적 가족' 개념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관점도 존재한다. 확대가족 모델이 핵가족보다 더 일반적이었다는 점,[30] 핵가족 개념이 실제 가족 관계의 복잡성을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는 점[33] 등이 지적된다. 우리 브론펜브레너는 프로이트의 동일시 이론을 언급하며 부모의 행동과 동일시 과정, 자녀의 성 역할 학습에 대해 알려진 바가 적다고 비판한다.

6. 1. '전통적 가족' 개념에 대한 비판



미국과 캐나다의 사회보수주의에서 핵가족이 전통적이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한 측면이며, 가족이 사회의 기본 단위로 여겨진다. 이러한 운동들은 대안적 가족 형태와 부모 권위를 훼손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사회 제도에 반대한다. 미국에서는 더 많은 여성들이 고등 교육을 추구하고 직업 생활을 발전시키며 아이를 갖는 것을 늦추면서 핵가족의 수가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29] 아이들과 결혼은 많은 여성들이 사회적, 가족적, 또래 압력에 직면하여 교육과 경력을 포기하고 가정을 안정시키는 데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매력이 떨어지고 있다.[29] 미국의 인종 및 문화적 다양성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전통적인 핵가족이 표준으로 남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29] 2014년 데이터는 또한 한부모 가정과 자녀가 한 명의 부모와 함께 사는 가능성이 인종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퓨리서치센터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54%가 한부모 가정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 반면 유럽계 미국인은 19%에 불과하다고 예측했다.[29] 경제적, 사회적 계층을 포함한 여러 요인이 가족 구조의 차이를 설명한다. 교육 수준의 차이 또한 한부모 가정의 수를 바꾼다. 2014년 고등학교 미만 학력자는 대졸자보다 한부모 가정일 가능성이 46% 더 높은 반면 대졸자는 12%였다.[29]

'전통적인 가족'이라는 용어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의 문화와 대부분의 시대에 걸쳐 확대가족 모델이 핵가족보다 더 일반적이었다고 지적한다.[30] 비록 핵가족은 영국에서[31] 다른 유럽과 아시아 지역보다 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아메리카로 이주한 많은 이민자들에게 기여했다. 핵가족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다.[32]

미국의 사회보수주의자인 가족주의자들에 의해 현대 사회의 안정에 중심적인 것으로 좁게 정의된 핵가족의 개념은 역사적 및 사회학적으로 실제 가족 관계의 복잡성을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고 비판받았다.[33] 우리 브론펜브레너는 "프로이트의 동일시 이론 및 그 파생물"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아들과 딸에게 행하는 행동의 변화 범위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며, 그러한 차별적 대우의 가능한 영향에 대해서는 더욱 알려진 바가 적다"라고 말한다. 부모의 행동과 동일시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고 자녀가 성 역할 학습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그의 이론에서 그는 아들이 아버지가 제공하는 성 역할을 따를 것이라는 의미에서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사용하며, 아버지는 딸에게 "이성" 부모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2004
[2] 백과사전 conjugal family https://sociologydic[...] 2024-06-02
[3] 학술지 The Modern American Family https://www.pewresea[...] 2023-09-14
[4] 웹사이트 nuclear family 2020-10-05
[5] 웹사이트 Nuclear family -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https://www.oxfordle[...]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2021-03-05
[6] 서적 Social Structure https://archive.org/[...] Free Press 1965
[7] 서적 An Introduction to Family Social Work https://archive.org/[...] Cengage Learning 2009
[8] 백과사전 Nuclear famil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07-24
[9] 웹사이트 nuclear family definitions https://workfamily.s[...] Sloan Work and Family Research Network 2012-04-18
[10] 보도자료 World's Earliest Nuclear Family Found https://www.scienced[...] University of Bristol 2008-11-18
[11] 서적 The Family in the Modern Age 2017
[12] 뉴스 The Real Roots of the Nuclear Family https://ifstudies.or[...] 2017-03-28
[13] 서적 Lordship and Community: The Lestrange Family and the Village of Hunstanton, Norfolk,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1994
[14] 서적 Family life in 17th- and 18th-century Ame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06
[15] 서적 Traditions and Encounters: A Brief Global History McGraw Hill 2008
[16] 웹사이트 How American parents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when both work https://www.pewresea[...] 2024-06-02
[17] 학술지 Farms, Families, and Markets: New Evidence on Completeness of Markets in Agricultural Settings http://www.nber.org/[...] 2016
[18] 서적 Marriages, Families & Intimate Relationships Pearson 2005
[19] 뉴스 Most Children Still Live in Two-Parent Homes, Census Bureau Reports https://www.nytimes.[...] 2008-03-05
[20] 웹사이트 Fewer than half of U.S. kids today live in a 'traditional' family https://www.pewresea[...] 2020-11-15
[21] 웹사이트 Focus on Michigan's Future: Changing Family and Household http://web1.msue.msu[...] 2007-07-03
[22] 뉴스 The Nuclear Family Was a Mistake https://www.theatlan[...] 2020-10-02
[23] 학술지 Nuclear family nonsense https://books.google[...] 1992-09
[24] 학술지 Ancient DNA, Strontium isotopes, and osteological analyses shed light on social and kinship organization of the Later Stone Age 2008-11-25
[25] 잡지 The middle class on the precipice https://harvardmagaz[...] 2006
[26] 학술지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2013
[27] 학술지 Differences in fertility and family planning practices by type of family http://www.popline.o[...] 2016-02-27
[28] 학술지 Family size preference and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rate in Hyogo, Japan 2013-01-30
[29] 뉴스 1. The American family today http://www.pewsocial[...] 2018-04-10
[30] 웹사이트 Parenting Myths And Facts https://www.npr.org/[...]
[31] 위키 History of the family
[32] 웹사이트 History of Nuclear Families https://bebusinessed[...] 2017-01-03
[33] 학술지 Sex Role Learning in the Nuclear Family 1963-01-01
[34] 웹사이트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children's version https://www.unicef.o[...] 2024-06-02
[35] 서적 文化人類学入門・増補改訂版 中央公論新社 1990
[36] 서적 「家族」はどこへいく 青弓社
[37] 웹사이트 http://www.merriam-w[...]
[38] 웹사이트 第5章 社会全体の意識改革: 子ども・子育て本部 - 内閣府 https://www8.cao.go.[...] 2021-08-28
[39] 서적 現代用語の基礎知識 自由国民社
[40] 간행물 少子化と家族 https://www.gpc-gifu[...] 岐阜県産業経済研究センター 1998-09-00 # 추정 날짜. 정확한 일자가 없으므로 월까지만 표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