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통은 특정 집단이나 사회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전승되는 신앙, 행위, 관습 등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라틴어 'traditio'에서 유래되었으며, 계몽주의 시대에 근대성과 진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전통은 최소한 세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야 하며, 사회과학, 정치, 종교,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논의된다. 또한, '전통의 발명'과 같이 새롭게 만들어진 관습이 과거와의 연관성을 암시하며 전통으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전통은 사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전통을 보호하고 계승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통 -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이나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 전통 - 만들어진 전통
만들어진 전통은 의례적이고 상징적인 관행의 반복을 통해 가치관과 행동 규범을 심어주는 현상으로, 역사적 이미지에 뿌리를 두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최근에 기원하여 사회적 결속, 제도 정당화, 가치 체계 공고화를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구성된다. - 문화 - 문화유산
문화유산은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자연유산, 디지털 유산으로 나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기념물, 건축물군, 유적으로 문화유산을 구분하고 문화적 경관 개념을 추가하여 인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각국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문화 - 단혼
단혼 또는 일부일처제는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중혼 또는 다처제와 대조되며, 사회적, 성적, 유전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고, 현대 사회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시행되며, 여성 권리 운동의 옹호를 받는다.
전통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사회적 관습 또는 신념 |
특징 | 오랜 지속성 문화적 공유 세대 간 전승 |
관련 용어 | 관습, 도덕, 문화, 사회적 규범 |
유형 | |
종교적 전통 | 종교적 의례, 신앙, 축제 등 |
문화적 전통 | 민속 예술, 음악, 춤, 축제, 음식, 의상 |
사회적 전통 | 가족 관계, 사회적 예절, 상속 제도 |
법률적 전통 | 관습법, 법률 체계, 사법 절차 |
역할 및 기능 | |
사회적 안정 | 사회적 결속 강화, 공동체 의식 형성 |
문화적 정체성 | 집단의 정체성 확립 및 유지, 문화적 유산 보존 |
사회화 기능 | 사회적 규범 및 가치 전수, 세대 간 지식 전달 |
변화와 적응 | |
역동성 | 사회 변화에 따라 변형되거나 사라짐 |
적응 | 새로운 환경에 맞춰 조정 |
재창조 | 새로운 의미 부여, 변화하는 사회 요구 반영 |
창조된 전통 | |
개념 |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전통 |
목적 |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목적 달성 |
특징 | 과거와 단절, 상징적 의미 강조, 특정 목적에 부합 |
전통 연구 분야 | |
민속학 | 민간의 문화, 이야기, 관습 등을 연구 |
사회학 | 사회적 상호 작용 및 제도와의 관계 분석 |
인류학 | 문화적 다양성 및 인간 행동 연구 |
역사학 | 과거의 전통 변화 및 역사적 맥락 분석 |
전통의 현대적 의미 | |
보존의 중요성 | 문화적 다양성 유지, 사회적 정체성 확립 |
현대 사회의 도전 | 급격한 변화, 세계화, 전통의 상실 위기 |
전통의 재해석 | 현대적 가치에 맞는 전통의 재발견 및 발전 |
2. 정의
'''전통'''(영어: tradition)은 특정 집단이나 사회 내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전승되는 신앙, 행위, 관습 등을 의미한다. 라틴어 'tradere'(전달하다, 넘겨주다)에서 유래된 'traditio'가 어원이며, 로마법에서 법적 양도 및 상속 개념을 포함한다.[2][6] 앤서니 기든스 등에 따르면, 전통의 현대적 의미는 계몽주의 시대에 근대성과 진보에 반대하여 발전했다.[2][3][4]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래의 다양한 전통이 존재한다.[11][9][39][12][2]
E. J. 홉스봄이 도입한 "전통의 발명"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관습이나 사물이 과거와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도입되는 상황을 가리킨다. 그러나 그러한 연관성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16] 이러한 전통은 개인적, 상업적, 정치적 또는 국가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창조되고 보급될 수 있는데, 식민지 아프리카에서 그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16] 빅토리아 여왕이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버트와의 결혼식에서 흰 드레스를 입은 후에 인기를 얻게 된 흰 웨딩드레스의 경우처럼, 단일하고 널리 알려진 사건을 기반으로 빠르게 채택될 수도 있다.[17]
사회과학—주로 인류학, 고고학, 생물학—에서 전통은 연구 대상이며, 분야에 따라 의미가 다소 다르다. 역사, 심리학, 사회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14] 인류학에서 전통은 핵심 개념 중 하나이며, "전통 사회의 전통 연구"라고도 할 수 있다.[23] 그러나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전통이 무엇인지 논의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전통에 대한 "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전통을 정의하는 것은 불필요하며(모든 사람이 그것이 무엇인지 알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정의의 미세한 차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것일 뿐이다).[23] 그러나 파스칼 보이어와 같은 학자들은 전통을 정의하고 그것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학문 분야에 중요하다고 주장한다.[23]
정치적 스펙트럼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전통이 사용되어 왔으며, 우익 정당은 좌익 정당보다 과거의 특정 방식에 대한 친화력이 더 강하다.[32] 여기서 전통 준수의 개념은 전통주의 보수주의(또는 단순히 전통주의)의 정치 철학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는 자연법과 초월적 도덕 질서, 계층과 유기적 통합, 농촌주의, 고전주의와 고급 문화, 그리고 상호 교차하는 충성의 영역의 필요성을 강조한다.[33]
예술적 맥락에서, 전통 무용과 같은 전통 장르의 공연에서는 공연자의 선호도보다 전통적인 지침 준수가 더 중요하다.[1] 특정 예술의 불변하는 형태가 그것을 전통으로 인식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1] 예술적 노력의 경우, 전통은 ''창의성''과 대조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전통과 민속 예술은 독창적이지 않은 모방이나 반복과 관련이 있는 반면, 순수 예술은 독창적이고 독특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최근의 예술 철학은 전통과의 상호 작용을 새로운 예술적 표현의 발전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한다.[37]
사회과학에서 '전통'은 '근대성'과 대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분은 사회 변화의 선형 모델과 관련이 있는데, 이 모델에서는 사회가 전통적인 것에서 현대적인 것으로 발전한다고 본다.[36] 전통 지향적인 사회는 효도, 조화와 집단 복지, 안정성 및 상호 의존성을 중시하는 반면, 근대성을 띤 사회는 "개인주의(자유 의지와 선택 포함), 이동성 및 진보"를 중시한다.[37] 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지나치게 단순하다는 비판도 있으며, 전통은 역동적이고 이질적이며 개인 내에서도 근대성과 공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6]
국제 협정과 국가 법률은 전통을 보호한다. 국제연합(UN), 유네스코(UNESCO), 블루실드(Blue Shield International)은 문화재 보호뿐만 아니라 전통과 관습을 보호하고 기록하기 위해 협력한다. 문화와 전통의 보호는 국내외적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40][41][42][43][44]
부부동성일본어은 일본의 “전통”이라고는 할 수 없다는 견해가 있다.[57][59] 부부동성이 규정된 것은 1875년(메이지 8년) 평민성명의무령에 의한 국민 보편 성씨 제도가 생긴 이후인 1898년(메이지 31년)이다. 1876년(메이지 9년)에는 부부별성이 통달되었다.[63] 그 이전에는 부부동성·별성에 그치지 않는 다양한 성명 제도가 있었다는 연구가 있다.[64]
전통은 최소한 세 세대에 걸쳐 두 번 이상 전승되어야 한다.[7] 시대적 필요에 따라 변화하고 적응하며, 그러한 변화는 고대 전통의 일부로 인식될 수 있다.[9][28]
3. 전통의 종류
분야 종류 문화 스포츠 종교 과학·기술·학술 정치
많은 사물, 신념 및 관습이 전통적일 수 있다.[5]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의식은 "감사합니다"라고 말하거나 출산 알림, 연하장 등을 보내는 구절과 제스처와 같은 전통적일 수 있다.[5][13][14] 전통은 또한 가족(크리스마스의 가족 전통[14]), 조직(회사 소풍) 또는 사회(국가 및 공휴일의 관행[9][39])과 같은 그룹에서 실천되는 더 큰 개념을 가리킬 수 있다.
4. 전통의 발명
웨스트민스터 궁전( 영국 의회 소재지)을 고딕 양식으로 재건한 것이나,[16] 역사 깊이 뿌리내린 것으로 여겨지는 영국 군주제와 관련된 대부분의 전통이 실제로는 19세기에 시작되었다는 점[28] 역시 전통의 발명의 예시에 해당한다. 아프리카와 다른 식민지에서 점령군이 전통을 발명한 것도 다른 예이다.[18] 정당성이 필요했던 식민 지배 세력은 종종 자신의 지위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전통"을 발명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족장 계승이 식민 지배 세력에 의해 전통으로 인정되어 그들이 원하는 후보를 옹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종종 이러한 발명은 어떤 형태의 전통을 기반으로 했지만, 과장되거나 왜곡되거나 특정 해석에 치우쳐 있었다.
발명된 전통은 현대 국가 문화의 중심 요소이며, 공통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민족주의가 주장하는 통일된 국가 정체성을 증진한다.[19] 일반적인 예로는 공휴일(특히 특정 국가에 고유한 공휴일), 국가(國歌) 제창, 전통적인 국가 요리( 국가 요리 참조)가 있다.
5. 학문 분야에서의 전통
고고학에서 "전통(tradition)"이라는 용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보이는 여러 문화 또는 산업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특히 미국 고고학 연구에서 흔히 사용된다.[14]
철학에서 전통은 중요한 개념이다. 20세기 철학은 영어권과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 우세한 '분석 철학' 전통과 독일어권 및 로망스어권 유럽에서 우세한 '대륙 철학' 전통으로 나뉘는 경우가 많다. 대륙 철학에서는 마르틴 하이데거를 따라 '전통'이라고 부르는 것을 해체하는 프로젝트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되었다. 반대로,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와 같은 일부 대륙 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전통을 재평가하려고 시도했다. 앨리스테어 매킨타이어는 분석 철학 내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전통'이라는 개념을 해체하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다른 철학적 전통과 경쟁하는 하나의 전통으로 제시했다.
6. 정치 및 종교 담론에서의 전통
전통과 전통적 가치의 개념은 특정 가치 체계의 정당성을 확립하기 위해 정치적 및 종교적 담론에서 자주 사용된다. 20세기와 21세기 미국에서는 전통의 개념이 보수적 종교적 가치의 중심성과 정당성을 주장하는 데 사용되었다.[37] 마찬가지로, 여러 세계 종교의 정통 신학 사상은 전통으로의 복귀를 원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예를 들어, "전통주의 가톨릭"이라는 용어는 레페브르 대주교와 같이 1962년에서 1965년까지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과 같은 교회의 예배와 관행을 원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31] 마찬가지로, 수니파 무슬림은 "아흘 엘 수나 왈 자마아"(أهل السنة والجماعة|아흘 엘 수나 왈 자마아ar)라고 불리는데, 문자 그대로 "무함마드의 전통과 공동체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종교 및 문화적 전통에 대한 그들의 애착을 강조한다.
전통주의자들은 개인주의, 자유주의, 근대성, 그리고 사회 발전의 개념을 거부하지만, 문화 및 교육 혁신을 촉진하고,[34] 교회, 가족, 국가 및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고자 한다. 이러한 견해는 더 이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관행, 예를 들어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전형적인 견해를 전통의 개념에 포함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35]
다른 사회, 특히 급속한 사회 변화를 경험하는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이 광범위하게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집단이 자신의 가치를 정당한 전통적 가치로 확립하기 위해 노력한다. 어떤 경우에는 전통을 정의하고 제정하는 것이 다양한 사회에서 하위 집단 간의 통합을 구축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전통이 타자화의 수단이 되고 집단을 서로 구별하는 수단이 된다.[37]
7. 예술 담론에서의 전통
8. 다른 개념과의 관계
전통은 '관습, 관습, 법률, 규범, 일상, 규칙' 등과 구별된다. 전통은 불변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다른 개념들은 더 유연하고 혁신과 변화의 대상이 된다.[1][9] 전통에 대한 정당화는 이데올로기적인 반면, 다른 유사한 개념에 대한 정당화는 더 실용적이거나 기술적이다.[39] 시간이 지나면서 관습, 일상, 규칙 등은 전통으로 발전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로) 실용적인 목적을 갖는 것을 멈춰야 한다.[39]
9. 전통 보존
산업화, 세계화, 특정 문화 집단의 동화 또는 소외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소멸 위기에 처한 전통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45] 보존하고자 하는 전통에는 관습적인 축제와 생활 방식이 포함된다.[46]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은 콘월어와 같은 소수 언어의 보존과 재도입을 옹호하며, 이러한 언어들이 "유럽의 문화적 풍요와 전통의 유지 및 발전에 기여한다"고 명시한다. 이 헌장은 지역 또는 소수 언어로 된 "전통적이고 정확한 지명의 사용 또는 채택"을 촉구한다.[47][48] 유네스코(UNESCO)는 한 국가의 문화재 및 유산에 대한 정의에 "구전 전통"과 "전통적 표현"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브라질과 같은 국가에서 전통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49]
일본에서는 일본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특정 예술 작품, 구조물, 공예 기술 및 공연 예술을 일본 국민의 소중한 유산으로 간주하여 보호한다.[50] 이 법은 또한 전통 예술에 능숙한 사람들을 "국가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하고 그들의 공예 보존을 장려한다.[51]
10. 한국에서의 전통
“쓰레기가 적은 것은 옛날부터 일본의 ‘전통’이다”라고 자주 선전되지만, 현재 일본에서 쓰레기가 적은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양한 노력의 결과가 크다.[57]
일본인이 온화하다는 이미지도 현대에 들어서 생긴 것이다. 근세까지는 사소한 일로도 싸움으로 번질 수 있었기 때문에, 무사 계급이 아닌 사람들도 싸움이나 자기 방어를 위해 칼을 차고 다녔기에 휴대성이 뛰어난 도(打刀)의 주된 용도는 일상적인 자기 방어였다.[72][73] 쇼와 전기에도 일본인은 성격이 급하다는 이미지가 있었다고 지적된다.[74]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가요집인 만엽집은 전통적으로 높이 평가받았던 것은 아니며, 메이지 시대에 서민부터 천황까지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일본”이라는 통일적인 문화관 형성을 위해 평가가 높아졌다는 지적이 있다.[76]
11. 전통문화 표현물
세계지식재산권기구에서는 "전통문화 표현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전통 문화와 지식이 구현된 예술적 및 문학적 표현의 모든 형태"를 지칭한다. 이러한 표현물은 세대를 거쳐 전승되며, 수공예 섬유, 그림, 이야기, 전설, 의식, 음악, 노래, 리듬 및 춤 등을 포함한다.[52]
참조
[1]
서적
Folklore: an encyclopedia of beliefs, customs, tales, music,or art
https://books.google[...]
ABC-CLIO
[2]
서적
Runaway world: how globalization is reshaping our l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3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meaning of tradition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https://books.google[...]
[10]
서적
https://books.google[...]
[11]
서적
A Search for Tradition
Alexander Turnbull Library Endowment Trust, assisted by the New Zealand Composers Foundation
[12]
서적
Innovation in religious traditions: essays in the interpretation of religious chang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2
[13]
서적
Tradition as truth and communication: a cognitive description of traditional discour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4]
학술지
Tradition, Genuine or Spurious
[15]
서적
https://books.google[...]
[16]
서적
https://books.google[...]
[17]
서적
White Weddings: Romancing Heterosexuality in Popular Culture
Taylor & Francis, Inc.
[18]
서적
The Invention of tra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https://books.google[...]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The ISA Handbook of Diverse Sociological Tradition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3]
서적
Tradition as truth and communication: a cognitive description of traditional discour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4]
서적
[25]
학술지
Transmission of Multiple Traditions within and between Chimpanzee Groups
[26]
웹사이트
Musicology.
http://www.oxfordmus[...]
2011-10-06
[27]
서적
Musicology The Key Concepts
Routledge
[2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9]
웹사이트
Is-Ought fallacy
http://www.txstate.e[...]
Texas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Philosophy
2006-08-26
[30]
서적
Argumentation and Debating
Houghton Mifflin company
[31]
서적
Fundamentalisms observ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학술지
Self-Segregation or Deliberation? Blog Readership, Participation and Polarization in American Politics
2008
[33]
서적
American Conservatism: An Encyclopedia
ISI Books
[34]
서적
American Conservatism: An Encyclopedia
ISI Books
[35]
학술지
Feminists and traditionalists: An attitudinal comparison
[36]
논문
Tradition and Modernity: Misplaced Polarities in the Study of Social Change
1967-01-01
[37]
서적
Tradition
Macmillan Reference USA
[38]
서적
Living in a Post-Traditional Society
[39]
서적
https://books.google[...]
[40]
웹사이트
UNESCO Legal Instruments: Second Protocol to the Hague Convention of 1954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1999
http://portal.unesco[...]
2020-03-29
[41]
간행물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Military Manual.
UNESCO
[42]
간행물
Kulturschutz in der Ära der Identitätskriege
2018-10-24
[43]
웹사이트
Karl von Habsburg on a mission in Lebanon
https://www.krone.at[...]
2019-04-28
[44]
간행물
Cultural Property at War: Protecting Heritage during Armed Conflict; Cultural Preservation in Disasters, War Zones. Presents Big Challenges
2008; 2015-05-11
[45]
서적
New Zealand identities: departures and destinations
Victoria University Press
[46]
뉴스
Bahrain seeks to preserve ancient pearling traditions
http://www.cnn.com/2[...]
2010-03-11
[47]
뉴스
Cornish street signs to be translated
https://www.telegrap[...]
2009-11-12
[48]
웹사이트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1992-11-05
[49]
웹사이트
World Heritage in Brazil
http://www.unesco.or[...]
UNESCO
[50]
웹사이트
Cultural Properties for Future Generations
http://www.bunka.go.[...]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07-06
[51]
웹사이트
Treasures of Japan – Its Living Artists
https://www.sfgate.c[...]
1999-05-30
[52]
웹사이트
ENGAGING - A Guide to Interacting Respectfully and Reciprocally with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eople, and their Arts Practices and Intellectual Property
https://arts.adelaid[...]
Australian Government: Indigenous Culture Support
[53]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5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55]
서적
正統とは何か
春秋社
1979-06-20
[56]
서적
文化防衛論
ちくま文庫
2021-07-10
[57]
웹사이트
特集ワイド:それホンモノ? 「良き伝統」の正体 - 毎日新聞
https://web.archive.[...]
[58]
서적
創られた伝統
紀伊國屋書店
[59]
웹사이트
創られちゃう伝統――「夫婦別姓」最高裁判決を受けて生じる無邪気な言説(松谷創一郎)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4-03-30
[60]
웹사이트
特集ワイド:「家庭教育支援法」成立目指す自民 「伝統的家族」なる幻想 家族の絆弱まり、家庭の教育力低下--!?
https://mainichi.jp/[...]
2021-08-17
[61]
서적
創られた伝統
丸善出版
[62]
웹사이트
なぜ「ひろゆき」は時代の寵児となったのか?「かわいそうじゃない人」を見放した日本社会の末路(御田寺 圭) | 現代ビジネス | 講談社(4/9)
https://gendai.media[...]
[63]
웹사이트
法令全書明治九年1453頁
https://dl.ndl.go.jp[...]
[64]
서적
夫婦の氏を考える
世界思想社
[65]
논문
Empowering the Would-be Warrior: Bushido and the Gendered Bodies of the Japanese Nation
[66]
서적
創られた「日本の心」神話 「演歌」をめぐる戦後大衆音楽史
光文社新書
[67]
서적
文化としてのマナー
岩波書店
[68]
서적
鉄道が変えた社寺参詣 · 初詣は鉄道とともに生まれ育った
交通新聞社新書
[69]
서적
鉄道が変えた社寺参詣 - 初詣は鉄道とともに生まれ育った
交通新聞社
2012-10-15
[70]
서적
日本会議と神社本庁
金曜日
[71]
뉴스
相撲の”女人禁制”は明治以降に作られた虚構? 救命中の女性に「土俵から降りて下さい」が波紋
https://news.careerc[...]
2018-04-05
[72]
서적
喧嘩両成敗の成立
講談社メチエ
[73]
서적
弓矢と刀剣
吉川弘文館
[74]
웹사이트
在日ロシア人排斥、ウィル・スミス擁護…日本にはびこる「正しい暴力」の幻想
https://diamond.jp/a[...]
2022-04-21
[75]
서적
日本人のしつけは衰退したか
講談社
1999
[76]
서적
萬葉集の発明
新曜社
[77]
서적
ヨガ・ボディ - ポーズ練習の起源
大隅書店
2024-03-00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00으로 처리
[78]
학술지
現代ヨーガの系譜 : スピリチュアリティ文化との融合に着目して
日本宗教学会
201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