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강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헌강왕은 신라의 제49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875년부터 886년까지이다. 당나라에 조공하고, 당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았다. 불교와 학문을 장려하여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열어 강의를 듣고, 국학에서 경전을 강론하게 했다. 또한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맺고, 울산 학성에 행차하여 처용을 만나는 등 치세를 펼쳤다. 재위 1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86년 사망 - 바실리오스 1세
바실리오스 1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서 미천한 신분에서 마케도니아 왕조를 창시했으며, 논란 속에서 황위를 찬탈했지만 군사적 성공, 법률 개정, 건축 사업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886년 사망 - 이사공
이사공은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이씨 성을 하사받고 하국공에 봉해진 군벌로, 후일 서하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견훤
견훤은 신라 장군 출신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 왕건과 대립하다가 아들 신검의 반란으로 고려에 투항하여 상부의 칭호를 받았으며, 후백제 멸망 후 사망했다. - 신라 국왕 - 성덕왕
신문왕의 아들인 성덕왕은 36년간 신라를 다스리며 당과의 외교, 구휼 사업, 관료 기구 정비, 국방 강화 등 국내외 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신라 국왕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헌강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휘 | 김정 (金晸) |
| 신라 국왕 | |
| 대수 | 제49대 |
| 재위 기간 | 875년 8월 12일 - 886년 8월 8일 |
| 즉위 | 875년 |
| 이전 국왕 | 경문왕 |
| 다음 국왕 | 정강왕 |
| 왕족 정보 | |
| 부친 | 경문왕 |
| 모친 | 문의왕후 김씨 |
| 왕비 | 의명왕후 김씨 |
| 자녀 | 의성왕후, 계아태후, 효공왕 |
| 생몰 | |
| 출생일 | 미상 |
| 사망일 | 886년 8월 8일 |
| 기타 | |
| 묘호 | 미상 |
| 시호 | 헌강 (憲康) |
| 능묘 | 경주 |
| 왕후/왕배우자 | 의명부인 |
| 주요 활동 | |
| 종교 | 불교 |
| 태자 책봉 | 866년 1월 |
| 태자 해임 | 875년 7월 8일 |
2. 생애
헌강왕은 불교와 학문 장려에 힘썼다. 876년 2월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치해 강의와 토론을 하게 했으며, 왕 자신도 직접 황룡사로 가서 강의를 들었다. 만년에 병으로 쓰러졌을 때에도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열어 강의를 했다. 879년 2월에는 국학에 나가 박사 이하에게 경의(經義)를 강론하게 했다.[6]
879년 3월 학성(鶴城)에 놀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개운포(開雲浦)에서 처용을 만났다. 같은 해 6월 일길찬 신홍(信弘)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헌강왕 통치 기간 동안 백성들의 생활은 비교적 안정된 것으로 평가받는다.[6]
880년 9월, 왕이 측근들과 함께 성 동쪽 월상루에 올라 주변을 보니, 민가에서 피리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풍년이 계속되어 백성들이 편안하게 지냈음을 보여준다. 삼국유사 기이·처용랑 망해사조에도 헌강왕 시대에는 도읍부터 해변까지 집들이 늘어서 있고 초가집이 없었으며, 노래와 피리 소리가 끊이지 않고 날씨도 좋았다고 기록되어 있다.[6]
2. 1. 재위 기간
876년 7월에 사자를 보내 당나라에 공물을 바쳤다. 878년 4월에는 당 희종으로부터 〈사시절·개부동의삼사·검교태위·대도독·계림주제군사·신라왕(使侍節・開府儀同三司・検校太尉・大都督・雞林州諸軍事・新羅王)〉으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7월에 사자를 보내려 했으나, 황소의 난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사신 파견을 중단했다. 이후 885년 10월에 황소의 난이 평정된 것을 축하하는 사신을 당나라에 보냈다.[6]878년 8월에는 일본에서 온 사자를 조원전에서 접견했고, 882년 4월에는 일본 왕이 황금 300냥과 명주 10개를 진상하는 사신을 파견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전해진다.[6]
불교와 학문 장려에도 힘써, 876년 2월에는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치하여 강의 및 토론을 하게 하였으며, 왕 자신도 그 강의를 듣기 위해 황룡사로 행차하기도 하였다. 879년 2월에는 국학에 나가 박사 이하에게 명해 경의(經義)를 강론케 하였다.[6]
879년 3월에는 학성(鶴城)에 놀다가 돌아오던 중 개운포(開雲浦)에 이르렀는데, 처용을 만났다. 6월에 일길찬 신홍(信弘)이 반란을 일으켜 죽였다. 내란에 대한 기록은 1건이 있으나, 국내에서의 백성의 생활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고 여겨진다.[6]
880년 9월에는 왕이 측근들과 함께 성의 동쪽 월상루에 올라 주변을 바라보니, 민가에서 피리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기록하는 등 당시 풍년이 계속되어 백성들이 편안하게 지냈던 모습을 전하고 있다. 「삼국유사」기이·처용랑 망해사조의 첫머리에서도, 헌강왕의 시대에는 도로부터 해변에 이르기까지 집이 쭉 늘어서 있는데 초가집이 없고, 노래나 피리의 소리가 이어졌으며 날씨도 좋았다고 적고 있다.[6]
「부상략기」에는 884년 9월(음력)에 신라의 배 45척이 대마도를 습격했지만, 일본은 다자이후에서 격전을 벌여 신라군을 요격하고 위기를 벗어났다. 전쟁 후 포로가 된 신라인 현춘(賢春)을 심문하니, 전년부터 계속된 흉작으로 백성들이 굶는 사태가 계속되었고, 신라에서는 왕성이 불안한 상태라고 대답하고 있다. 이 기록은 「삼국사기」에서는 헌강왕 10년에 해당되지만, 헌강왕 10년의 기술은 삼국사기에 기록이 없다.[6]
재위 12년이 되던 886년 7월 5일에 사망하였다.[6]
2. 2. 사망
唐僖宗중국어으로부터 〈사시절·개부동의삼사·검교태위·대도독·계림주제군사·신라왕〉(使侍節・開府儀同三司・検校太尉・大都督・雞林州諸軍事・新羅王)에 책봉되었다. 황소의 난 평정을 축하하는 사절을 당나라에 보냈다.884년 9월(음력)에는 신라의 배 45척이 대마도를 습격했지만, 일본은 다자이후에서 격전을 벌여 신라군을 요격하고 위기를 벗어났다.
재위 12년이 되던 886년 7월 5일에 사망하였다.
3. 치세와 업적
헌강왕은 불교와 학문을 장려하는 데 힘썼다. 876년 2월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치하여 강의와 토론을 열게 했고, 왕 자신도 직접 황룡사에 가서 강의를 들었다. 왕이 병에 걸렸을 때에도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치하여 강의를 열게 했다. 879년 2월에는 국학(관료 양성 기관)에 나가 박사 이하에게 명하여 강의를 열게 했다.
880년 9월, 왕이 측근들과 월상루에 올라 사방을 둘러보니 집들이 서로 이어져 있고, 노래와 피리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시중 민공과의 대화에서 풍년이 계속되어 백성들이 식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평온을 누리고 있다는 내용은 당시 백성들의 생활이 비교적 안정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유사』 기이·처용랑망해사조의 서두에서도 헌강왕 시대에는 도성에서 해변에 이르기까지 집들이 연이어 있고 초가집이 없었으며, 노래와 피리 소리가 끊이지 않고 날씨가 순조로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만, 879년 6월에 일길찬 (7등관) 신홍이 반란을 일으켜 주살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6], 전반적으로 백성들의 생활은 안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886년 7월 5일에 헌강왕은 재위 12년 만에 사망하여 보리사 동남쪽에 묻혔다.[7]
3. 1. 외교
876년 7월에 사자를 보내 당나라에 공물을 바쳤다. 878년 4월에는 당 희종으로부터 〈사시절·개부의동삼사·검교태위·대도독·계림주제군사·신라왕(使侍節・開府儀同三司・検校太尉・大都督・雞林州諸軍事・新羅王)〉으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7월에 다시 사자를 보내려 했으나, 황소의 난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사신 파견을 중단했다.[6]885년 10월, 황소의 난이 평정된 것을 축하하는 사신을 당나라에 보냈다.[6]
878년 8월에는 일본에서 온 사자를 조원전에서 접견했으며, 882년 4월에는 일본 왕이 황금 300냥과 명주 10개를 진상하는 사신을 파견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전해진다.[6]
한편, 일본의 『부상략기』에는 884년 9월(음력)에 신라의 배 45척이 대마도를 습격했지만, 일본은 다자이후에서 격전을 벌여 신라군을 요격하고 위기를 벗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전쟁 후 포로가 된 신라인 현춘(賢春)은 심문에서 전년부터 계속된 흉작으로 백성들이 굶주리는 사태가 계속되었고, 신라에서는 왕성이 불안한 상태라고 대답하고 있다. 이 기록은 『삼국사기』에는 헌강왕 10년에 해당하지만, 헌강왕 10년의 기술은 삼국사기에 기록이 없다.
3. 2. 내치
876년 2월,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치하여 강의 및 토론을 하게 하였으며, 왕 자신도 직접 강의를 들으러 황룡사에 행차하였다. 만년에 왕이 병으로 쓰러졌을 때에도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마련하고 강의를 하였다. 879년 2월에는 국학에 나가 박사 이하에게 명해 경의(經義)를 강론케 하였다.[6]879년 3월에는 학성(鶴城)에 놀다가 돌아오던 중 개운포(開雲浦)에서 처용을 만났다. 6월에 일길찬 신홍(信弘)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내란 기록은 이 1건 뿐이며, 국내 백성의 생활은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고 여겨진다.[6]
880년 9월, 왕이 측근들과 함께 성의 동쪽 월상루에 올라 주변을 바라보니, 민가에서 피리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당시 풍년이 계속되어 백성들이 편안하게 지냈던 모습을 보여준다. 『삼국유사』 기이·처용랑 망해사조의 첫머리에서도 헌강왕 시대에는 도로부터 해변에 이르기까지 집이 쭉 늘어서 있는데 초가집이 없고, 노래나 피리의 소리가 이어졌으며 날씨도 좋았다고 기록하고 있다.[6]
3. 3. 망해사 창건 설화
처용랑 망해사한국어 조에는 왕이 동해 용의 영험함을 얻은 것과 그에 대한 보답으로 절을 건립한 이야기가 전해진다.왕이 개운포로 행차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갑자기 짙은 구름과 안개가 끼어 길을 잃게 되었다. 이상하게 여긴 왕이 좌우에 묻자, 천문 관측을 담당하는 관리가 "이는 동해 용의 조화이니, 마땅히 좋은 일을 하여 풀어야 합니다"라고 아뢰었다. 이에 왕이 근처에 용을 위한 절을 짓도록 명하자 구름과 안개가 걷혔다. 이러한 연유로 이 땅은 개운포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자 동해 용이 기뻐하며 일곱 아들을 거느리고 왕 앞에 나타나 왕의 덕을 칭송하며 춤을 추었다. 용의 아들 중 한 명은 처용[8]이라 하였는데, 왕을 따라 도읍으로 와서 왕의 정치를 보좌하게 되었고, 급간의 관등을 받았다. 왕이 도읍으로 돌아온 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영취산 동쪽 기슭의 경치 좋은 곳에 절을 짓게 하였는데, 이를 망해사(望海寺, 신방사라고도 한다)라고 하였다.
동해 용은 삼국통일을 이룬 문무왕이 죽은 뒤 호국룡이 되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망해사 건립을 계기로 이러한 전설이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9]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헌강왕 5년(879년) 3월 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 왕이 나라 동쪽의 주군을 순행할 때, 어디선가 나타난 네 명의 사람이 왕 앞에서 노래하고 춤을 추었다. 그 모습이 기이하고 의복도 괴상하여, 사람들은 산과 바다의 정령이라고 생각하였다.
4. 가족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헌강왕
https://terms.naver.[...]
2019-05-24
[2]
뉴스
Exorcism
https://world.kbs.co[...]
2013-12-11
[3]
웹사이트
The Dancing Dragon: A dragon's song and dance save the day against evil spirits
https://www.korea.ne[...]
2024-02-15
[4]
문서
삼국유사
[5]
문서
삼국유사, 삼국사기
[6]
문서
일본삼대실록
[7]
문서
정강왕
[8]
문서
[9]
웹사이트
蔚山広域市公式サイト#山/お寺(日本語)
http://japanese.ul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