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스클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스클럽은 실내 수영장, 트레이닝 짐, 스튜디오 등의 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퍼스널 트레이닝, 용품 대여, 신체 측정, 그룹 운동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184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20세기 후반부터 세계적으로 성장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에 헬스클럽이 처음 등장했으며, 1980년대 여가 활동의 증가와 2000년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헬스클럽 산업이 성장했다. 현재 한국의 헬스클럽은 다양한 회원 등급과 운영 시간, 그리고 강사를 포함한 직원들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스클럽 - 플래닛 피트니스
    플래닛 피트니스는 1992년 설립된 미국의 헬스클럽 프랜차이즈로, 저렴한 가격과 초보자 친화적인 분위기를 특징으로 하며, 2015년 상장되었고 헬스클럽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헬스클럽 - 골즈 짐
    골즈 짐은 1965년 조 골드에 의해 설립되어 보디빌딩의 메카로 불리며 국제적인 프랜차이즈로 성장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파산 보호를 신청 후 RSG 그룹에 인수되어 현재 대규모 피트니스 체인으로 운영되고 있다.
  • 스포츠 시설 - 경기장
    경기장은 스포츠 및 이벤트를 위한 시설로, 종목별 전용 경기장과 다목적 경기장이 있으며, 관중석 유무에 따라 스타디움이나 돔으로 불리기도 하고, 다양한 종목에 특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종목 경기에 활용되기도 한다.
  • 스포츠 시설 - 아레나
    아레나는 고대 로마 경기장의 모래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오늘날에는 실내 스포츠 경기나 문화 행사를 위한 다목적 실내 경기장을 의미하며, 스타디움보다 규모가 작고 실내에 위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운동 - 스트레칭
    스트레칭은 다양한 방법으로 근육과 관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가동범위를 확장하는 신체 활동으로, 운동 전후, 재활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효과는 스트레칭 방법과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적절한 방법 선택과 무리한 스트레칭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운동 - 조깅
    조깅은 시속 6~10km 정도의 속도로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뛰는 운동으로, 심혈관 건강 개선, 체중 관리, 골밀도 향상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부상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헬스클럽
개요
운동 기구가 갖춰진 헬스클럽 내부
다양한 운동기구가 갖춰진 헬스클럽의 모습
다른 이름헬스 클럽
피트니스 클럽
피트니스 센터
체육관
정의 및 목적
정의신체 운동을 목적으로 운동 기구를 갖춘 장소
주요 목적건강 관리 및 체력 증진
시설 및 서비스
주요 시설웨이트 트레이닝 존
유산소 운동 존
GX (Group Exercise) 룸
수영장 (일부)
사우나 (일부)
스파 (일부)
주요 서비스개인 트레이닝 (PT)
그룹 운동 강좌 (요가, 필라테스, 줌바 등)
건강 상담
영양 상담
이용 시 유의사항
안전준비 운동 및 마무리 운동 필수
개인의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
기구 사용법 숙지
운동 중 불편함이 느껴지면 즉시 중단
에티켓운동 기구 사용 후 정리 정돈
땀 닦기
큰 소리 자제
타인 배려
관련 정보
관련 직업개인 트레이너
스포츠 강사
헬스클럽 운영자
관련 단체대한보디빌딩협회
생활체육협회

2. 시설 및 서비스

헬스클럽은 회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종류의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기본적인 시설로는 실내 수영장, 트레이닝 짐, 스튜디오 등이 있다. 대부분의 수영장은 단수로(25m 수영장)이다.[1] 이 외에도 골프, 테니스, 다이빙 스쿨, 풋살 코트, 레스토랑을 갖춘 곳도 있으며,[1] 최근에는 스파, 사우나, 마사지, 에스테 등 릴랙세이션 시설을 갖춘 헬스클럽도 늘어나고 있다.[1]

핀란드 유뷔스퀼래 쿠오크칼라의 체육관


건물은 자체 소유나 임대 건물이 많은데, 이는 수영장이나 욕실에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소규모 매장 중에는 샤워실을 없앤 곳도 있다.[2] 헬스클럽의 입지 조건으로는 역전 등 교통이 편리한 곳, 대형 쇼핑센터와의 병설, 잡화 건물 내, 간선도로변 등이 있다.

헬스클럽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트레이닝 지원: 퍼스널 트레이닝, 트레이닝 메뉴 작성 및 지원, 트레이닝 관리[2]
  • 측정: 회원의 신장, 체중, 혈압, 체지방률, 근육량 등을 측정하는 수치 측정 서비스[2]
  • 대여: 트레이닝복, 신발, 수영복, 수건 등을 대여하는 용품 대여, 사용 용품 보관을 위한 월 계약 대여 로커[2]
  • 기타: 에스테틱 서비스, 퍼스널 트레이닝과 프로테인 제공이 세트로 구성된 프로그램 (프로테인에는 알프론(Alpron)이나 자바스(SAVAS) 등이 있다.)[2]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에 따라 헬스클럽의 월 회원 가격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4]

2. 1. 주요 운동 공간

대부분의 헬스클럽에는 주요 운동 공간이 있으며, 이곳에는 주로 덤벨바벨을 포함한 자유 웨이트와 이러한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스탠드와 벤치, 그리고 기어, 케이블 및 기타 기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안내하는 운동 기구가 있다. 이 공간에는 종종 거울이 설치되어 있어 운동하는 사람들이 운동 중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운동 기구가 아닌 자유 웨이트(덤벨과 바벨)를 주로 또는 전적으로 사용하는 체육관은 전통적인 웨이트 플레이트의 색상을 따서 '''블랙 아이언 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

2. 2. 유산소 운동 공간

러닝머신, 실내 자전거, TV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심장 강화 트레이닝 공간


유산소 운동을 위한 공간에는 로잉머신, 실내 자전거, 일립티컬 트레이너, 러닝머신 등 다양한 종류의 운동 기구가 있다. 이곳에는 장시간 운동하는 사람들을 위해 TV(장비에 통합되거나 벽에 설치됨)가 여러 대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일부 헬스클럽에서는 운동 중 읽을 수 있도록 신문이나 잡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2. 3. 그룹 운동

스핀 사이클 그룹 운동 수업


2010년대 이후 대부분의 헬스클럽에서는 자격증을 소지한 피트니스 강사 또는 트레이너가 진행하는 그룹 운동 수업을 제공한다. 그룹 운동 수업은 회원 참여를 위한 센터에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로 여겨진다.[3] 다양한 종류의 그룹 운동 수업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에어로빅, 사이클링(스피닝), 복싱 또는 무술,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스텝 요가, 일반 요가 및 핫(비크람) 요가, 필라테스, 근력 운동, 스트레칭, 그리고 크라브 마가와 브라질리안 주짓수와 같은 자기 방어 수업 등이 포함된다. 수영장이 있는 헬스클럽에서는 종종 아쿠아 에어로빅 수업을 제공한다. 강사들은 이러한 수업을 가르치고 참가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강사의 지도하에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그룹 엑서사이즈 또는 레슨이라고도 불리며,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시간은 30분~60분이 중심이다.

스튜디오에서 실시되는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종류
에어로빅
스텝 엑서사이즈
무술 엑서사이즈
요가(파워요가·하타요가·빈야사요가·핫요가 등)
필라테스
댄스(라틴댄스·훌라댄스·벨리댄스·힙합·플라멩코·재즈댄스·줌바 등)
발레
치어댄스
체조·리듬체조



수영장에서 실시되는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종류
수영법(크롤·배영·평영·접영)
아쿠아빅스
아쿠아 워킹
핀 수영



각 프로그램은 참가자의 숙련도에 따라 초급, 중급 등으로 나뉘는 곳도 있다.

2. 4. 스포츠 시설

일부 헬스클럽에서는 수영장, 스쿼시 경기장, 실내 런닝 트랙, 아이스 링크 또는 복싱장과 같은 스포츠 시설을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시설 이용에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실내 수영장, 트레이닝 짐, 스튜디오의 세 가지가 가장 기본적인 시설이다. 골프, 테니스, 다이빙 스쿨, 풋살 코트, 레스토랑을 갖춘 매장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파나 사우나, 마사지, 에스테 등 릴랙세이션 시설을 갖춘 스포츠클럽도 증가하고 있다.[1]

2. 5. 개인 트레이닝

헬스클럽에서의 개인 트레이닝


대부분의 헬스클럽은 회원들에게 트레이닝, 피트니스, 영양, 건강 상담을 제공하는 개인 트레이너를 고용하고 있다. 개인 트레이너는 고객의 목표 달성을 돕기 위해 맞춤형 피트니스 루틴을 계획하고, 때로는 영양 계획을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회원들의 운동을 관리하고 함께 훈련할 수 있다. 대개 개인 트레이너 이용에는 시간당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개인 트레이닝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퍼스널 트레이닝''': 트레이너가 회원에게 개인 지도를 하는 서비스
  • '''트레이닝 메뉴 작성 및 지원''': 회원 각자의 체중이나 체지방률, 또는 복부를 끌어들이고 싶다는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한 트레이닝 메뉴를 작성하고 지원하는 서비스
  • '''용품 대여''': 트레이닝복, 신발, 수영복, 수건 등을 대여하는 서비스
  • '''수치 측정 서비스''': 회원의 신장, 체중, 혈압, 체지방률, 근육량 등을 측정하는 서비스
  • '''트레이닝 관리''': 회원의 운동 및 건강에 관한 이력을 컴퓨터로 기록·관리하는 서비스

2. 6. 기타 서비스

최근의 헬스클럽은 일반적으로 장비, 간식, 단백질 바 및 스무디를 판매하는 헬스샵, 레스토랑, 어린이 보육 시설, 회원 라운지 및 카페를 포함하고 있다. 일부 클럽에는 사우나, 스팀룸 또는 수영장이 있으며, 영양 상담을 제공하는 곳도 있다.[1] 2010년대에는 일부 헬스클럽이 친환경(예: 제로 웨이스트) 경영을 도입하여, 피트니스 운동에 "녹색 생활" 원칙을 통합하기도 했다.[1]

골프, 테니스, 다이빙 스쿨, 풋살 코트, 레스토랑을 갖춘 매장도 있다.[2] 또한 최근에는 스파, 사우나, 마사지, 에스테 등 릴랙세이션 시설을 갖춘 스포츠클럽도 증가하고 있다.[2] 스포츠클럽에 필요한 의류, 신발, 가방, 수영복, 음료, 보충제 등을 판매하는 매장을 갖춘 곳도 있다.[2]

헬스클럽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트레이너가 회원에게 개인 지도를 하는 '''퍼스널 트레이닝'''[2]
  • 회원 각자의 체중이나 체지방률, 또는 복부 감량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한 트레이닝 메뉴 작성 및 지원[2]
  • 트레이닝복, 신발, 수영복, 수건 등을 대여하는 용품 대여[2]
  • 회원의 신장, 체중, 혈압, 체지방률, 근육량 등을 측정하는 수치 측정 서비스[2]
  • 회원의 운동 및 건강에 관한 이력을 컴퓨터로 기록·관리하는 트레이닝 관리[2]
  • 에스테틱 서비스[2]
  • 사용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월 계약 대여 로커"[2]
  • 퍼스널 트레이닝과 프로테인 제공이 세트로 구성된 프로그램 (제공되는 프로테인에는 알프론(Alpron)이나 자바스(SAVAS) 등이 있다.)[2]

2. 7. 서비스 수준

헬스클럽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월 회원 가격이 크게 다를 수 있다. 최근 미국의 헬스클럽 연구에 따르면, 기본 시설만 갖춘 헬스클럽은 월 회비가 15USD부터 시작하지만, 스파 중심의 헬스클럽은 월 200USD가 넘는 경우도 있다.[4] 일부 헬스클럽에서는 횟수권이나 일회성 요금(데이패스)을 제공하기도 한다.

회원권은 창립 회원이나 평생 회원권처럼 초기 비용이 높은 대신 월 회비가 낮은 경우도 있어, 헬스클럽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할 수 있다.

북미의 헬스클럽은 서비스 수준에 따라 다양한 가격대의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규, 프로, 플래티넘, 골드 등 등급별로 가격이 다르게 책정되기도 한다. 일부 헬스클럽은 유산소 운동 기구, 체력 검사, 근력 강화 기구, 프로샵, 인공 선탠 기계, 헬스 스파, 사우나 등을 갖추고 있으며, 회원권 가격은 월 20USD부터 700USD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헬스클럽은 다양한 시설과 개인 트레이너의 지원을 제공한다.

일본의 경우, 가입 시 입회금을 지불하고 월 회비를 지불하는 경우가 많으며(수천 엔~2만 엔 정도), 특정 조건 하에 입회금이나 월 회비가 면제되기도 한다. 기업 직원이나 건강보험 조합원을 위한 "법인 회원" 제도가 있는 경우도 있다.

회원 종류는 신청한 매장만 이용 가능한 것이 기본이지만, 연령, 시간대, 요일 등 여러 제약을 조건으로 회비를 낮추거나,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다른 매장 이용을 허용하는 회원 종류도 있다.

운영 기업에 따라서는 제휴된 다른 스포츠 클럽을 무료 또는 추가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호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개별 관리, 용품 대여 등은 추가 요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법적으로는 불법이지만, 정신 장애인의 이용이나 회원 등록을 정관상 인정하지 않는 시설도 일부 존재한다.

3. 헬스클럽의 역사

1840년, 프랑스의 보드빌 곡예사이자 장사꾼인 이폴리트 트리아(Hippolyte Triat)는 신체 단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브뤼셀(Brussels)에 최초의 상업 체육관을 설립했다.[5] 1847년 그는 파리에 짐나즈 트리아(Gymnase Triat)를 열고 남성, 여성,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요금제의 회원권을 도입했다.[5] 일반 대중을 위한 최초의 헬스클럽은 아마도 1947년 빅 태니(Vic Tanny)가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Santa Monica, California)에서 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3. 1. 세계 헬스클럽의 역사

1840년, 프랑스의 보드빌 곡예사이자 장사꾼인 이폴리트 트리아(Hippolyte Triat)는 신체 단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브뤼셀(Brussels)에 최초의 상업 체육관을 설립했다.[5] 1847년 그는 파리에 짐나즈 트리아(Gymnase Triat)를 열고 남성, 여성,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요금제의 회원권을 도입했다.[5] 일반 대중을 위한 최초의 헬스클럽은 아마도 1947년 빅 태니(Vic Tanny)가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Santa Monica, California)에서 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미국의 24아워 피트니스(24 Hour Fitness), 골드짐(Gold's Gym), 영국의 피트니스 퍼스트(Fitness First) 등은 세계적인 대형 스포츠클럽 체인이다.

국제헬스라켓스포츠클럽협회(IHRSA) 통계에 따르면, 2016년 미국의 피트니스클럽 수는 36,540개, 이용자 수는 5,730만 명이다.[8]

다음은 세계적인 대형 피트니스클럽 체인들이다.

체인 이름진출 국가
라이프 타임 피트니스(Life Time Fitness)미국·캐나다[8]
이퀴녹스 홀딩스(Equinox Holdings)미국·캐나다·영국[8]
24아워 피트니스(24 Hour Fitness)미국[8]
타운 스포츠 인터내셔널(Town Sports International)미국·스위스[8]
플래닛 피트니스(Planet Fitness)미국·캐나다·도미니카 공화국[8]
골드짐 인터내셔널(Gold's Gym International)세계 6개 대륙[8]


3. 2. 한국 헬스클럽의 역사

1970년대 하타 이치로(八田一朗)가 신주쿠에 건설한 「스포츠회관」이 한국 헬스클럽의 시초로 여겨진다.[10]

도쿄 아슬레틱 클럽(TAC)은 1970년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회원제 종합 스포츠 클럽으로 알려져 있다.[11][12]

1980년대에는 여가 활동 다양화와 버블 경기의 영향으로 헬스클럽 산업이 성장했다. 기존의 수영 교습소가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헬스클럽 사업에 진출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1990년대에는 버블 붕괴의 여파로 많은 헬스클럽이 경영난을 겪었다.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기업들이 복리후생을 재검토하면서, 중소 헬스클럽의 영업권을 대기업 헬스클럽이 매수·양수하는 형태로 정리 통합이 이루어졌다. 주식을 공개·상장하는 헬스클럽이나, 투자 펀드의 표적이 되는 헬스클럽도 나타났다.

2000년대 이후에는 다이어트와 안티에이징으로 대표되는 건강 붐이 확산되고, 메타볼릭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헬스클럽 시설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규모 시설이 증가하고, 철도, 유통 등 다른 업계에서도 헬스클럽 사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해외 기업도 진출하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20년대에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회원 감소 등의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13]

4. 한국의 헬스클럽 현황

한국의 헬스클럽 산업은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다양한 형태의 헬스클럽이 운영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남성들의 근력 운동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여성, 노년층 등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건강 관리와 체력 증진을 위해 헬스클럽을 찾고 있다. 이에 따라 헬스클럽의 시설과 프로그램도 다양화되고 있다.

4. 1. 주요 헬스클럽

센트럴 스포츠, 코나미 스포츠클럽, 티프니스, 르네상스 등은 한국의 대형 피트니스클럽 체인이다.[9]

4. 2. 시설 및 프로그램

한국의 헬스클럽은 실내 수영장, 헬스장, 스튜디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9] 골프, 테니스, 다이빙, 풋살 코트, 레스토랑을 갖춘 곳도 있다. 또한 스파, 사우나, 마사지 등 릴랙세이션 시설을 갖춘 헬스클럽도 늘어나고 있다. 헬스클럽 용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갖춘 곳도 있다.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트레이너가 개인 지도를 하는 '퍼스널 트레이닝'
  • 회원 개인의 목표 달성을 위한 트레이닝 메뉴 작성 및 지원
  • 운동복 등을 대여하는 용품 대여
  • 신체 수치 측정 서비스
  • 운동 이력 관리


강사의 지도하에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그룹 엑서사이즈 또는 레슨이라고도 불리며,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스튜디오 프로그램에는 헬스클럽 자체 개발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발 회사의 프로그램, 강사 고유의 프로그램 등이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스튜디오: 에어로빅, 스텝 엑서사이즈, 무술 엑서사이즈, 요가(파워요가·하타요가·빈야사요가·핫요가 등), 필라테스, 댄스(라틴댄스·훌라댄스·벨리댄스·힙합·플라멩코·재즈댄스·줌바 등), 발레, 치어댄스, 체조·리듬체조
  • 수영장: 수영법(크롤·배영·평영·접영), 아쿠아빅스, 아쿠아 워킹, 핀 수영

4. 3. 회원 제도 및 운영 시간

대부분의 헬스클럽은 입회금과 월 회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회원 가입 시 입회금을 지불하고, 매월 회비를 지불하는 방식(수천 엔~2만 엔 정도)이다. 단, 특정 조건 하에 입회금이 면제되거나 1개월치 월 회비가 무료가 되는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기업 직원이나 건강보험 조합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법인 회원' 제도를 마련한 곳도 많다.

회원 등급은 신청한 매장에서만 이용 가능한 회원 등급이 기본이지만, 연령, 시간, 요일, 이용 프로그램 등에 제한을 두어 회비를 낮추는 방식으로 회원을 확보하기도 한다. 기본적인 회원 등급보다 회비가 비싸지만, 동일 운영 기업의 다른 매장 이용을 무료 또는 추가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회원 등급도 있다. 운영 기업에 따라서는 '상호 이용'이라 하여 제휴하고 있는 다른 운영 기업의 헬스클럽을 무료 또는 추가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개별 관리, 용품 대여 등의 서비스는 월 회비 외 추가 요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정신 장애인의 이용이나 회원 등록을 정관상 인정하지 않는 시설도 일부 존재하지만, 이는 법적으로 불법이다.

운영 시간은 매장이나 입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평일과 토요일은 오전 9시경부터 오후 10시경까지, 일요일은 오전 10시경부터 오후 6시경까지가 일반적이다. 대도시권에서는 출근 전 수요를 위해 오전 7시부터 영업하는 곳도 있다. 2010년경부터는 퇴근 후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밤 12시까지 영업하는 곳도 등장했으며, 24시간 운영하는 헬스클럽도 있다.[14]

4. 4. 직원

대부분의 직원은 강사이다.[9] 외부 계약으로 레슨 업무에 종사하는 강사도 있다. 24시간 영업 매장의 경우 경비 회사에 위탁하는 형태로 야간부터 새벽 중심으로 직원이 없는 시간대도 존재한다.[14]

참조

[1] 논문 Service Perceptions in Fitness Centers: IPA Approach by Gender and Age 2020-04-21
[2] 뉴스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New York Magazine 1989-04-24
[3] 논문 Best Practices for Fitness Center Business Sustainability: A Qualitative Vision 2020-06-22
[4] 웹사이트 guide of gym club https://www.ihrsa.or[...]
[5]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Health Clubs http://clubindustry.[...] ClubIndustry 2010-12-27
[6] 서적 The business of personal training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010-12-27
[7] 웹사이트 2013-04-13
[8] 웹사이트 米国スポーツ市場・産業動向調査(2018年3月) https://www.jetro.go[...] JETRO 2019-01-29
[9] 웹사이트 『特定サービス産業動態統計調査』2008年(フィットネスクラブ)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09-03-31
[10] 웹사이트 メダリストたちの活躍の一方で起きた「内紛劇」。「レスリングの父」が設立した財団法人「スポーツ会館」と文科省を悩ます「資産売却騒動」 https://gendai.media[...] 2012-11-02
[11] 웹사이트 日本の会員制総合スポーツクラブ発祥の地 https://840.gnpp.jp/[...] 2019-01-12
[12] 웹사이트 中野の老舗スポーツクラブがリニューアル-間接照明で高級感演出 http://nakano.keizai[...] 2019-01-12
[13] 웹사이트 幽霊会員の「フィットネス離れ」が起こす大問題 ビジネスモデルそのものが課題に直面している https://toyokeizai.n[...] 2021-05-12
[14] 웹사이트 なぜ24時間フィットネスジムが急増? https://tv-aichi.co.[...] テレビ愛知 2022-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