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블 붕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블 붕괴는 1990년대 초 일본 경제가 겪은 심각한 불황으로, 1980년대 후반 자산 가격 거품이 붕괴되면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일본은 고도성장과 저금리 정책으로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 자금이 몰리면서 자산 가격이 폭등했으나, 1989년 말 금리 인상과 함께 거품이 붕괴되었다. 이로 인해 주식 시장 폭락과 부실 채권 증가, 금융 시스템 위기가 발생했고, 일본 경제는 장기간의 침체에 빠졌다. 일본 정부는 재정 및 금융 정책, 구조 개혁 등을 시도했지만, 잃어버린 10년, 20년, 심지어 30년으로 이어지는 장기 불황을 겪었다. 이 기간 동안 일본 경제는 저성장, 디플레이션, 고용 불안, 소득 불평등 심화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회적,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대 일본 - 헤이세이 불황
    헤이세이 불황은 일본이 1990년대 초 버블 붕괴 이후 겪은 장기 경제 침체기로,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세 차례의 불황을 포괄하며 이후 여러 사건과 팬데믹을 거치며 침체가 이어졌다.
  • 1990년대 일본 - 헤이세이 불황
    헤이세이 불황은 일본이 1990년대 초 버블 붕괴 이후 겪은 장기 경제 침체기로,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세 차례의 불황을 포괄하며 이후 여러 사건과 팬데믹을 거치며 침체가 이어졌다.
  • 1990년대 일본 - 일본의 거품 경제
    일본의 거품 경제는 1980년대 후반 일본에서 자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붕괴된 현상으로, 플라자 합의 이후 금융 완화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과 주식 시장의 과열을 겪고 1990년 총량 규제 시작과 함께 붕괴되었다.
버블 붕괴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도쿄 스카이라인
도쿄 스카이라인
개요
명칭잃어버린 10년
기간1991년 ~ 2000년
일본어 확장 명칭,
배경1990년대 초 거품 경제 붕괴
경제적 영향
장기 경기 침체장기적인 경제 침체와 디플레이션
GDP 성장률낮은 GDP 성장률 및 투자 감소
부동산 시장부동산 가격 폭락
고용 시장고용 불안정 증가
원인
자산 거품 붕괴1980년대 후반의 자산 거품 붕괴
금융 시스템 문제은행의 부실 채권 문제
정부의 정책 실패정부의 미흡한 경기 부양 정책
정부의 대응
금융 정책제로 금리 정책 및 양적 완화 정책 시도
재정 정책대규모 공공 투자
장기적 영향 및 현재 상황
장기 침체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 (일부에서는 "잃어버린 20년" 또는 "잃어버린 30년"으로 지칭)
디플레이션지속적인 디플레이션 압력
경제 회복 노력경제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 지속
현재 경제 상황2024년 현재, 저성장 및 디플레이션 문제 지속
엔화엔화 가치 하락 및 국제적 지위 약화
경제 순위세계 3위 경제 대국 지위 상실
관련 문서
관련 문서일본 거품 경제
잃어버린 20년
일본의 경제사
아베노믹스

2. 원인 및 배경

일본 국채, 1990년 역전된 수익률 곡선


일본 통화 공급량과 물가 상승률 (전년 대비)


1980년대 후반, 일본 경제는 일본은행이 "윈도우 가이던스" 정책을 통해 은행 대출을 늘리면서 자산 가격 거품을 경험했다.[24][25] 폴 크루그먼은 일본 은행들이 다른 나라보다 차입자의 신용도에 덜 신경 쓰면서 더 많은 대출을 해 주었고, 이로 인해 거품 경제가 터무니없는 규모로 부풀려졌다고 설명했다.[43] 리처드 워너는 플라자 합의재무성의 공식 할인율 인하 정책과 같은 외부 압력만으로는 일본은행의 조치를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고 보았다.[24][25]

일본은행은 투기를 억제하고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1989년 말 은행 간 대출 금리를 급격히 인상했다.[26] 1989년 5월부터 1년 3개월 동안 공정금리는 2.5%에서 6%대로 5차례 인상되었다.[58] 통화 공급 증가율은 1990년 11.7%, 1991년 3.6%, 1992년 0.6%로 감소했지만, 마이너스 수준은 아니었다.[59]

일본 정부는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에 이어 부동산 총량 규제, 지가세 신설, 고정자산세 과세 강화, 토지 거래 신고제, 특별토지보유세 재검토, 양도소득 과세 강화, 토지 취득 금리분 손익 통산 이월 불허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60]

니시무라 요시마사는 자산 가격 급등으로 국민 사이에 격차가 생겼고, 버블 붕괴·정상화가 당시 많은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최대 과제였다고 말했다.[61]

1992년부터 2002년까지의 장기 불황 원인에 대해[62] 연구기관과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제시했다.[63]

  • 구조 문제설
  • * 일본식 경영의 문제
  • * 투자의 역사적 정체

  • 재정 정책 요인설
  • * 재무성의 긴축 재정 (1989년 소비세 도입, 소비세율 인상,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 등)
  • * 정부 부채 상환에 따른 정부 지출의 승수 효과 저하

  • 금융 정책 요인설
  • * 금융 정책의 실패[64]
  • * 자산 가격의 현저한 하락 (자산 디플레이션)에 따른 균형표 악화
  • * 일본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 미흡과 물가 동향에 역행하는 정책 금리 인상

  • 은행 기능 저하 요인설
  • * 부실 채권 처리 지연[64]
  • * 야마이치증권, 산요증권, 홋카이도탁치은행, 일본장기신용은행, 일본채권신용은행 등 대형 금융기관의 경영 실패

2. 1. 1980년대 이전의 경제 상황

1950년 한국 전쟁 발발과 1951년 미일안전보장조약으로 미국은 일본 군수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 이는 일본 내 다른 산업에도 영향을 미쳐 1950년대 일본은 연평균 10%를 웃도는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일본 정부는 기업의 투자 자금 확보를 돕기 위해 저축 장려 정책을 펼쳤고, 이는 높은 투자 증가율로 이어졌다. 1960년 안보투쟁의 위기를 넘긴 일본은 1964년 도쿄 하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여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다.

1970년대에도 일본의 경제 호황은 계속되었다.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일본 자동차가 연비가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리쿠르트 사건과 록히드 사건으로 집권 자민당 내각이 퇴진하는 등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1970년대 일본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

2. 2. 플라자 합의와 엔화 강세

1980년대 초,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레이거노믹스 경제 정책을 시행하여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무역 적자가 확대되었다. 이에 1985년 9월 2일 미국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G5회담에서 플라자 합의를 통해 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를 유도했다.[24][25] 플라자 합의 후 일주일 만에 엔화는 8.3% 절상되었지만, 1987년의 달러 가치는 1985년의 약 70%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로 인해 일본 수출 기업은 큰 타격을 입었고, 일본 정부는 금융 완화 정책으로 대응했다. 경제학자 리처드 워너(Richard Werner)는 플라자 합의재무성의 공식 할인율 인하 정책과 같은 외부 압력만으로는 일본은행의 조치를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고 언급했다.[43]

2. 3. 자산 가격 거품 형성

1980년대 일본은 장기간의 호황과 저금리 정책으로 인해 시중에 돈이 넘쳐나는 유동성 과잉 상태였다. 이 돈은 부동산과 주식 시장으로 몰려들었다. "도쿄 땅을 다 팔면 미국을 살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동산 가격은 폭등했고, '부동산불패신화'가 생겨났다.[197] 사람들은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믿음으로 부동산을 사들였고, 이로 인해 막대한 이익을 본 투자자들은 더 많은 부동산을 사들이거나 소비를 늘렸다. 이는 '잃어버린 10년' 이전의 소비 열풍으로 이어졌다.

일본 부동산 가격 변동률 (전년 대비)


은행들은 플라자 합의 이후 엔화 가치 상승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 부동산과 주식 외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 힘들었다. 은행 대출은 부동산 투자와 주식 투자 자금으로 계속 흘러 들어가면서 부동산 가격 거품과 주가버블은 극에 달했다.[197]

일본은행은 "윈도우 가이던스" 정책을 통해 은행 대출 증가 한도를 설정하여 자산 가격 거품을 유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4][25]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은 "일본 은행들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차입자의 신용도에 덜 신경 쓰면서 더 많은 대출을 해주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거품 경제를 터무니없는 규모로 부풀리는 데 일조했습니다."라고 설명했다.[43]

2. 4. 거품 붕괴와 금융 시스템 위기

1980년대 후반, 일본 경제는 일본은행이 "윈도우 가이던스" 정책을 통해 은행 대출을 늘리면서 자산 가격 거품을 경험했다.[24][25]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은 "일본 은행들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차입자의 신용도에 덜 신경 쓰면서 더 많은 대출을 해주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거품 경제를 터무니없는 규모로 부풀리는 데 일조했습니다."라고 설명했다.[43]

닛케이 225 지수


투기를 억제하고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일본은행은 1989년 말 은행 간 대출 금리를 급격히 인상했다.[26] 이 정책으로 거품이 붕괴되어 일본 주식 시장 폭락이 발생했고, 자기자본과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일본 은행과 보험 회사는 많은 부실 채권을 떠안게 되었다. 은행 신용 증가는 침체되었다.[27] 금융 기관들은 자본 유입, 일본 정부의 대출과 저렴한 신용, 손실 인식 연기 등으로 구제되었으나, 결국 좀비 은행으로 전락했다.[28] 블룸버그 뉴스의 얄만 오나란은 좀비 은행들이 이후 장기 침체의 원인 중 하나였다고 지적했다.[28] 타임의 마이클 슈먼은 이들 은행이 수익성이 없는 "좀비 기업"에 계속 자금을 투입하여 기업을 유지시켰다고 설명하며, 이들 대부분은 구제금융으로 연명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을 정도로 부채가 많았다고 지적했다.[29]

1989년 5월부터 1년 3개월 동안 5차례에 걸쳐 금리가 인상되어 2.5%였던 공정금리가 6%대까지 올랐다.[58] 정부는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에 이어 부동산 총량 규제, 지가세 신설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다.[60]

니시무라 요시마사는 "자산 가격 급등으로 국민 사이에 격차가 생겼다. 그래서 버블 붕괴·정상화가 당시 많은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최대 과제였다"고 말했다.[61]

1992년부터 2002년까지의 장기 불황의 원인에 대해[62] 연구기관과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제시했다.[63]

  • 구조 문제설
  • 일본식 경영의 문제
  • 투자의 역사적 정체
  • 재정 정책 요인설
  • 재무성의 긴축 재정(1989년 소비세 도입, 소비세율 인상,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 등)
  • 정부 부채 상환에 따른 정부 지출의 승수 효과 저하
  • 금융 정책 요인설
  • 금융 정책의 실패[64]
  • 자산 가격의 현저한 하락(자산 디플레이션)에 따른, 균형표 악화
  • 일본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 미흡과 물가 동향에 역행하는 정책 금리 인상
  • 은행 기능 저하 요인설
  • 부실 채권의 미루기[64]
  • 야마이치증권, 산요증권, 홋카이도탁치쿠은행, 일본장기신용은행, 일본채권신용은행 등 대형 금융기관의 경영 실패


금융 행정에서는 호송선단 방식이 쟁점이 되었다.[73]

1991년부터 2003년까지 181개의 은행이 도산했고,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예금보험기구가 구제금융기관에 지원한 자금 총액은 25조이었다.[74]

다음은 파산한 은행·증권의 예이다.[80][81][82][83][84]

연도은행/증권
1995년효고은행
1996년주택금융전문회사, 태평양은행, 한화은행
1997년교토공영은행, 산요증권, 홋카이도탁치쿠은행, 야마이치증권, 덕양시티은행
1998년미도리은행, 후쿠토쿠은행, 나니와은행, 일본장기신용은행, 일본채권신용은행
1999년국민은행, 행복은행, 도쿄소와은행, 나미하야은행, 니가타중앙은행
2000년이시카와은행
2002년주부은행
2003년아시카가은행



2002년도 전국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로 인한 손실 누계액은 815조에 달했다.[137] 1992년부터 2002년도 말까지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 손실 누계액은 94조에 달했다.[138] 전 은행의 부실채권 순손실 총액은 100조 규모였다.[139] 일본의 버블 붕괴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약 200조으로 추정된다.[140]

3. 진행 과정

1980년대 일본은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득 증가로 소비가 지속되었으나, 자산 가격 붕괴와 함께 소비가 감소하여 기업들의 불황이 심화되었다. 지속적인 엔화 환율 인하는 일본 기업의 수출 경쟁력에 부담을 주었고, 이에 따라 기업들은 해외로 투자를 전환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 내 투자는 매력을 잃었고, 무역 흑자 유입량이 줄어들면서 시중 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3. 1. 1990년대: 잃어버린 10년

1990년 3월 27일, 대장성은 토지 버블 붕괴를 막기 위해 "토지 관련 대출 억제에 관한 사항", 즉 총량규제를 통지했고, 일본은행도 긴축에 나섰다. 이는 버블 붕괴의 계기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65][66]

도쿄증권거래소 주가지수인 닛케이 평균주가는 1989년 12월 최고치(종가 2,898.47, 38,915엔 87전)를 기록한 후, 1990년 1월부터 폭락하기 시작했다. 걸프 전쟁과 원유 가격 급등, 공정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1990년 9월에는 1,500엔대, 20,000엔대까지 하락하여 불과 9개월 만에 반값 수준이 되었다. 1993년 말 일본 주식 가치 총액은 1989년 말의 59% 수준으로 감소했다.[67]

경기는 1990년 10월을 정점으로 하락하여 1993년 12월까지 하락세를 보였다. 지가는 1991년 여름 무렵(도쿄, 오사카 대도시권은 1990년 가을, 지방권은 1992년, 공시지가는 1993년)부터 하락하기 시작했고,[68] 노선가도 1992년 초를 정점으로 하락했다.

1992년 봄, 경제학자 타카오 요시카즈는 "이대로라면 전후 최대의 불황이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경제 전망을 발표했고, 이는 주가 급락을 야기했다(타카오 쇼크).[69] 1992년 8월, 도쿄증권거래소 상장 주식 시가총액은 1989년 말 611조 엔에서 269조 엔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70]

1992년부터 전국 지가가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전국 상업지 평균이 전년 대비 10% 이상 하락했다.[71] 경제 문제를 이유로 한 자살도 급증했다.[72]

무라야마 내각의 소비세율 인상(3%→5%)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이 1997년 4월에 단행하면서 경기 악화가 우려되었다.[75] 당시 미국 재무부 차관이었던 로런스 서머스는 소비세 인상이 일본 경제를 불황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76]

아시아 금융 위기까지 겹치면서 1998년 명목 GDP는 전년 대비 약 -2%인 502조 엔으로 감소했고, GDP 디플레이터는 -0.5%로 떨어졌으며,[77] 실업률은 4.1%에 달했다. 이후 일본은 본격적인 디플레이션에 진입하여 '''잃어버린 10년'''을 경험하게 된다. 1999년에는 소득세법인세 합계액이 1997년 대비 6조 5000억 엔 감소했고,[78] 실업자 수는 300만 명을 넘었다. 1997년에는 일본은행법 개정으로 내각의 일본은행 총재 해임권이 없어졌다.

일본의 명목 GDP 등의 동향 (1994-1999)[79]
연도명목 GDP
(조 엔)
명목 경제 성장률
(%)
실업자 수
(만 명)
노동력 인구
(만 명)
실업률
(%)
1994486.52631.1919266452.88
1995493.27171.3821066663.15
1996502.60891.8922567113.35
1997512.24891.9123067873.38
1998502.9728-1.8127967934.10
1999495.2269-1.5431767794.67



금융 행정에서는 호송선단 방식이 쟁점이 되었다.[73] 1991년부터 2003년까지 181개 은행이 도산했고,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예금보험기구가 구제 금융기관에 지원한 자금 총액은 25조 엔에 달했다.[74]

다음은 파산한 은행 및 증권사의 예시이다.[80][81][82][83][84]

연도파산 은행/증권사
1995년 8월효고은행(兵庫銀行)
1996년주택금융전문회사
3월태평양은행(太平洋銀行)
11월 21일한화은행(阪和銀行)
1997년10월 14일교토공영은행(京都共栄銀行)
11월 3일산요증권(三洋証券)
11월 17일홋카이도탁치쿠은행(北海道拓殖銀行)
11월 24일야마이치증권(山一證券)
11월 26일덕양시티은행(徳陽シティ銀行)
1998년5월 15일미도리은행(みどり銀行)
5월 22일후쿠토쿠은행(福徳銀行)
5월 22일나니와은행(なにわ銀行)
10월 23일일본장기신용은행(日本長期信用銀行)
12월 13일일본채권신용은행(日本債券信用銀行)
1999년
4월 11일국민은행(国民銀行)
5월 22일행복은행(幸福銀行)
6월 12일도쿄소와은행(東京相和銀行)
8월 7일나미하야은행(なみはや銀行)
10월 2일니가타중앙은행(新潟中央銀行)
2000년8월 6일이시카와은행(石川銀行)
2002년3월 8일주부은행(中部銀行)
2003년 9월아시카가은행(足利銀行)


3. 2. 2000년대: 잃어버린 20년

2008년에는 북미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와 리먼 쇼크를 계기로 발생한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경기가 급격히 악화되었고, 세계 경제가 침체되었다.[95] 고이즈미 개혁의 부정적 측면이 일시에 드러나면서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 불평등 사회가 유행어가 되면서 자민당의 지지율도 하락하여 민주당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95]

2009년 이후 3년간 민주당(1998-2016) 정권 시기에는 사업사업 분류를 통한 1조 엔 가까운 재정 재검토와 요양 간병 사업의 규제 완화 등이 이루어졌지만, 제22회 참의원 통상 선거(2010년 참의원 선거)에서 패배하여 1년 만에 여야 교차 국회(네지레 국회)가 되면서 발목이 잡혔다.[89] 이 시기에는 미국의 양적 완화 정책에 따른 달러 약세 등으로 달러 기준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5%를 회복하는 시기도 있었지만,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한 급격한 침체에서의 회복에 따른 것이므로 단순 비교는 불가능하다.[89] 리먼 쇼크와 2010년 유럽 국가 부채 위기로 인해 달러와 유로의 가치가 급락하면서 엔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엔달러 환율은 1달러당 100엔을 밑도는 엔고로 이어졌다.

2006년부터 2010년경에는 “잃어버린 15년”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다.[90][91][92] 2009년에는 『잃어버린 〈20년〉』이 출판되었다.[93][94] 같은 해 다이이치 생명경제연구소의 쿠마노 히데오는 “버블 붕괴 후 90년대를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르지만, 2000년 이후 약 10년이 또 다른 ‘잃어버린 10년’이 되어 버렸다”라며 일본 경제의 앞날에 경종을 울렸다.[95] 2012년 3월에는 히토쓰바시 대학경제연구소의 후카오 쿄지의 저서 『“잃어버린 20년”과 일본 경제』가 니혼게이자이 신문사에서 간행되었다.[95] 니혼게이자이 신문의 세리카와 요이치는 2018년 자서에서 “‘잃어버린 10년’은 결국 20년이 되어 버렸다. 고이즈미 정권 무렵에는 아직 10년이었다. 그 원인은 버블 경제의 부실채권 처리가 지연되었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며[96], 관제 불황이라고 비판했다.

3. 3. 2010년대: 잃어버린 30년

2010년대에는 '잃어버린 30년'이 거론되기 시작했다.[105][106][107] 2012년 아베 신조 내각은 '아베노믹스'라는 대규모 경제 부양책을 시행했지만, 소비세 인상 등으로 인해 경기 회복은 제한적이었다. 2010년대 엔저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본 기업들의 해외 생산 비중이 높아 국내 생산 증가 효과는 미미했다.

분야내용
경제
기업
하이테크 산업
사회
정치


4. 극복 과정

일본 정부는 엄청난 자산 버블의 대가를 과소평가했다. 보수 정권은 경기 부양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지만, 그 효과는 일시적이었고 개혁을 위한 시간만 낭비되었다. 자산 버블 해소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고, 이 과정에서 일본 정부의 재정 적자는 크게 악화되어 장기적으로 일본 경제의 체질을 약화시키고 성장 가능성을 더욱 악화시켰다.

2000년대 고이즈미 정권은 국민들에게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고강도 개혁을 시작했다. 개혁 정책은 어느 정도 효과를 봐 고이즈미 정권 후반기에 경기가 서서히 살아났으나, 2008년 세계 주가 대폭락으로 인한 전 세계적 경제 불황은 일본 경제에 다시 큰 타격을 입혔다. '잃어버린 10년'이 '잃어버린 20년'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뉴 케인지언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일본의 디플레이션 불황 대응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은 일본이 유동성 함정에 빠질 가능성을 지적하며, 자금 수요 증가를 위해 돈을 대량으로 찍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125] 그는 일본은행인플레이션 기대 정책이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26]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일본 정부가 재정 적자를 지폐 증발로 재정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27] 경제학자 井上智洋(이노우에 토모히로)는 화폐 성장률 저하에 의한 수요 부족이 '잃어버린 20년'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128]

4. 1. 재정 정책

일본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공공 투자 확대 등 재정 지출을 늘렸지만, 그 효과는 일시적이었고 개혁을 위한 시간만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자산 버블 해소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이 경기 부양 과정에서 일본 정부의 재정 적자는 크게 악화되었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일본의 경제 체질을 약화시키고 성장 가능성을 더 악화시키는 결과가 되었다.[129]

4. 2. 금융 정책

일본 정부는 버블 붕괴의 영향을 과소평가했고, 경기 부양책은 일시적인 효과만 있었을 뿐 개혁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73] 호송선단 방식의 금융 행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1991년부터 2003년까지 181개의 은행이 도산했으며, 예금보험기구는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구제금융기관에 총 25조 엔을 지원했다.[74]

2000년대 고이즈미 정권은 고강도 개혁을 추진하여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으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일본 경제는 다시 타격을 입었다. 1990년대부터 일본은행은 제로 금리 정책, 양적 완화 정책 등 파격적인 통화 완화 정책을 시행했지만, 디플레이션 탈출에는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폴 크루그먼은 일본이 유동성 함정에 빠질 가능성을 지적하며, 자금 수요 증가를 위해 돈을 대량으로 찍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125] 그는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기대 정책이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26]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일본 정부가 재정 적자를 지폐 증발로 재정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27] 경제학자 井上智洋(이노우에 토모히로)는 화폐 성장률 저하에 의한 수요 부족이 '잃어버린 20년'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128]

1990년대 기업들은 캐논(キヤノン)이나 아식스(アシックス)의 성공 사례를 따라 "선택과 집중" 전략을 추구했다. 이는 유망 사업에 집중하고 비수익 사업을 축소하는 구조조정(リストラ)과 비정규직 확대를 의미했다. 그러나 전자산업 등 일부에서는 오히려 경영 악화를 초래하기도 했다.[86][87]

1999년 12월, 은행 자본 주입을 위한 공적 자금 규모는 70조 엔으로 증액되었다.[136] 2002년 전국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 손실 누계액은 81조 5,000억 엔에 달했다.[137]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 손실 누계액은 94조 엔이었다.[138] 전 은행의 부실채권 순손실 총액은 100조 엔 규모였으며,[139] 일본 버블 붕괴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약 200조 엔으로 추정된다.[140]

다나카 히데오미(田中秀臣)는 현재(2003년) 부실채권은 버블과 무관하며, 그 이후의 디플레이션에 의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142]

다음은 파산한 은행 및 증권의 예시이다:[80][81][82][83][84]

연도은행/증권
1995년 8월효고은행(兵庫銀行)
1996년주택금융전문회사
3월태평양은행(太平洋銀行)
11월 21일한화은행(阪和銀行)
1997년10월 14일교토공영은행(京都共栄銀行)
11월 3일산요증권(三洋証券)
11월 17일홋카이도탁치쿠은행(北海道拓殖銀行)
11월 24일야마이치증권(山一證券)
11월 26일덕양시티은행(徳陽シティ銀行)
1998년
5월 15일미도리은행(みどり銀行)
5월 22일후쿠토쿠은행(福徳銀行)
5월 22일나니와은행(なにわ銀行)
10월 23일일본장기신용은행(日本長期信用銀行)
12월 13일일본채권신용은행(日本債券信用銀行)
1999년
4월 11일국민은행(国民銀行)
5월 22일행복은행(幸福銀行)
6월 12일도쿄소와은행(東京相和銀行)
8월 7일나미하야은행(なみはや銀行)
10월 2일니가타중앙은행(新潟中央銀行)
2000년 8월 6일이시카와은행(石川銀行)
2002년 3월 8일주부은행(中部銀行)
2003년 9월아시카가은행(足利銀行)


4. 3. 구조 개혁

고이즈미 내각은 국민들에게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규제 완화, 민영화 등 구조 개혁을 추진했다. 이러한 개혁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어 고이즈미 정권 후반기에는 경기가 서서히 회복되었다. 그러나 2008년 세계 주가 대폭락으로 인한 전 세계적 경제 불황은 일본 경제에 다시 큰 타격을 주었다. 이로 인해 '잃어버린 10년'이 '잃어버린 20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105]

5. 영향 및 평가

일본의 장기불황은 경제, 사회, 정치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자산버블붕괴로 인한 불황을 겪은 일본의 경험은 많은 경제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32]

니시무라 요시마사는 자산 가격 급등으로 국민 사이에 격차가 생겨, 버블 붕괴 및 정상화가 당시 많은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최대 과제였다고 말했다.[61]

1992년부터 2002년까지의 장기 불황 원인에 대해[62] 연구기관과 학자들은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제시되었다.[63]


  • 구조 문제설: 일본식 경영의 문제, 투자의 역사적 정체
  • 재정 정책 요인설: 재무성의 긴축 재정 (소비세 도입, 소비세율 인상,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 등), 정부 부채 상환에 따른 정부 지출의 승수 효과 저하
  • 금융 정책 요인설: 금융 정책 실패[64], 자산 디플레이션에 따른 대차대조표 악화, 일본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 미흡 및 정책 금리 인상
  • 은행 기능 저하 요인설: 부실 채권 처리 지연[64], 대형 금융기관(야마이치증권, 산요증권, 홋카이도탁치은행, 일본장기신용은행, 일본채권신용은행 등)의 경영 실패


노구치 아키라(野口旭)와 다나카 히데오미(田中秀臣)는 일본의 장기 침체 원인이 자산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총수요 부족이라고 지적했다.[152]

밀턴 프리드먼은 일본은행이 통화 공급량 증가를 급격히 억제하여 심각한 경기 침체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156]

벤 버냉키는 2000년 당시 일본 장기 불황의 원인을 일본은행의 서투른 금융 정책에서 찾았다.[182]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일본 경제의 장기 불황에 대해 디플레이션의 폐해를 지적하며, 잠재 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상태가 장기화되는 것을 문제점으로 꼽았다.[183]

일본은행의 전국기업단기경제관측조사에 따르면, 은행의 대출 기피는 1997년 중반부터 1998년에 관측되었지만, 1993-1996년, 1999-2000년에는 관측되지 않았다.[143]

리처드 벌너는 일본 불황의 주요 원인을 은행 시스템의 신용 위축을 의미하는 부실 채권 문제라고 보았다.[194]

하위 섹션에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영향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루고 있다.

5. 1. 경제적 영향

일본의 장기불황2008년 시작된 전 세계의 경제 불황의 좋은 연구 모델이 되었다. 특히 자산버블붕괴로 인한 불황이라는 점에서 일본의 사례는 많은 경제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32]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일본 경제는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 경제 성장 둔화: 실질 경제성장률은 1992년부터 2009년까지 17년간 평균 0.7%에 그쳤다.[119] 이는 같은 기간 미국(160), 유럽(140)에 비해 낮은 수치다.[120]
  • 1인당 GDP 감소: 1991년 호주보다 14% 높았던 일본의 1인당 실질 생산량은 2011년 호주보다 14% 낮아졌다.[36]
  • 디플레이션: 만성적인 디플레이션과 저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1991년부터 경기 부양책을 시도했지만, 효과는 미미했고 정부 부채만 증가했다.[38]
  • 자산 가치 하락: 주식과 부동산 손실은 1,500조 엔으로 추산된다.[123] 1990년 말 약 2,456조 엔이었던 토지 자산은 2006년 말 약 1,228조 엔으로 감소했다.[124]
  • 기업 경쟁력 약화: 1989년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개 기업 중 32개가 일본 기업이었지만, 2018년에는 토요타 단 한 곳만이 남았다.[32]
  • 노동 시장 변화: 많은 일본 기업들이 정규직을 임시직으로 대체했고, 1997년 정점을 찍은 실질 임금은 2013년까지 약 13% 하락했다.[8]
  • 부실 채권 문제: 버블 붕괴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약 200조 엔으로 추정된다.[140]


1990년부터 2020년까지 일본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5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미국은 3.5배, 중국은 37배, 독일은 2.3배 증가했다.[106] 1인당 GDP는 2000년 2위에서 2010년대 후반 OECD 평균 이하로 떨어졌다.[107]

일본 기업들은 세계 시가총액 순위에서 밀려났으며, 특히 반도체, TV, 태양광 패널, 휴대 전화 등 첨단 산업에서 경쟁력을 잃었다.[111][112][113][114][115][116]

일본의 실질GDP 성장률 추이


아베 신조 총리는 아베노믹스를 통해 개혁을 시도했지만,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소비세 인상 등으로 인해 효과는 제한적이었다.[40][41]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은 일본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42]

경제학자들은 일본 장기 불황의 원인을 자산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총수요 부족[152], 일본은행의 미흡한 금융 정책[182], 은행 시스템의 신용 위축[194]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5. 2. 사회적 영향

버블 붕괴 이후 일본 사회는 여러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 저출산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인구 감소 사회가 시작되었고,[111] 이는 경제 활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 불안이 심화되고,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면서 사회 전체의 활력이 저하되었다.[33][8][34] 특히, 청년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끼면서 '잃어버린 세대'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했다.

버블 붕괴는 사람들의 소비 심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 과시적 소비는 2000년대에 들어서도 회복되지 못했다.[32] 이는 경제 전반의 회복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의 유효구인배율


대학 졸업자의 구인 수는 버블 붕괴 시점인 1991년 약 84만 명에서 1997년 약 39만 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구인 배율 역시 1992년 3.34배에서 2003년 1.27배로 하락했으며, 청년실업률은 10%를 넘는 등 청년층의 고용 문제가 심각했다.

엥겔 계수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2005년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었는데,[117] 이는 가계 경제가 어려워졌음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이다.

5. 3. 정치적 영향

장기 불황은 일본 사회에 깊은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하여, 잦은 정권 교체와 정책 혼선이라는 결과를 낳았다.[38] 이는 1955년 이후 일본 정계를 지배해 온 자민당의 장기 집권 체제를 붕괴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2009년 민주당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으나, 민주당 역시 경제 회복이라는 국민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결국 2012년 다시 자민당으로 정권이 넘어가게 되었다.[39] 아베 신조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은 아베노믹스라는 대규모 경제 개혁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 불황 극복을 시도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40][41]

6.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일본의 장기불황은 일본만의 특수한 경제 구조와 정치, 경제 정책의 영향으로 발생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사례였다. 특히 2008년에 시작된 세계적인 경제 불황은 많은 경제학자들의 관심을 일본으로 집중시켰다. 이 불황이 자산 버블 붕괴로 인한 것이었기 때문에 일본은 좋은 연구 모델이 되었다. 미국은 버블 경제가 붕괴되었을 때 일본과는 반대되는 정책을 펼쳐 빠르게 극복할 수 있었다.[1]

6. 1. 경제 체질 개선 및 미래 성장 동력 확보

한국은 일본의 장기불황을 반면교사 삼아 경제 체질 개선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 2008년 전 세계에 경제 불황이 시작될때 자산버블붕괴는 큰 영향을 주었기에, 미국은 일본 정책의 반대로 하여 빠르게 극복 할 수 있었다.

6. 2. 사회적 자본 확충 및 포용적 성장

저출산 고령화 및 소득 불평등 심화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사회적 자본 확충을 통해 사회 통합을 강화하고, 포용적 성장을 통해 모든 국민이 성장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ayashi Prescott http://fhayashi.fc2w[...]
[2] 뉴스 Japan eyes end to decades long deflation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9-07
[3] 웹사이트 円は一段と上昇か、日本は次の失われた10年に直面-ムーディーズ https://www.bloomber[...] 2020-10-18
[4] 웹사이트 「失われた30年」となる可能性も 次の10年を考えて投資しよう http://moneyzine.jp/[...] 2020-10-18
[5] 웹사이트 The Lost Decade: Lessons From Japan's Real Estate Crisis https://www.investop[...] 2020-05-26
[6] 웹사이트 「失われた30年」に向かう日本 http://www.newsweekj[...] 2020-10-18
[7] 웹사이트 Japanese GDP, nominal https://www.google.a[...]
[8] 뉴스 Waging a New War https://www.economis[...] 2013-03-09
[9] 웹사이트 Inflation Japan – CPI inflation http://www.inflation[...]
[10] 문서 How we make monetary policies https://www.boj.or.j[...] 2022-06-06
[11] 웹사이트 Monetary Policy Under the Zero Interest Rate Constraint and Balance Sheet Adjustment : 日本銀行 Bank of Japan https://www.boj.or.j[...] 2024-06-02
[12] 웹사이트 (Reference) Monetary Policy und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netary Easing Introduced in 2013 : 日本銀行 Bank of Japan https://www.boj.or.j[...] 2024-06-02
[13] 웹사이트 Statistics Bureau Home Page/Consumer Price Index Japan 2023 https://www.stat.go.[...] 2024-06-02
[14] 웹사이트 The Yen Appreciates Greatly, Rising From 160 Yen/USD to 154 Yen/USD https://www.nikkei.c[...] 2024-06-02
[15] 웹사이트 円の国際価値が過去最低、BIS ドルなどと大差、通貨地位揺らぐ | 共同通信 https://nordot.app/1[...] 2024-06-21
[16] 웹사이트 時系列データ表示:グラフ https://www.stat-sea[...] 2024-06-03
[17] 웹사이트 円の実力、なぜ過去最低水準 金利差だけではない日本経済の「弱さ」: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6-03
[18] 웹사이트 このままでは日本の伝統的企業が海外に買われていく…円安が止まらない日本を待ち受ける"最悪のシナリオ" 政府は円安政策を意図的に進めているように見える https://president.jp[...] 2024-06-03
[19] 뉴스 Japan slips into recession, allowing Germany to overtake as world's third-largest economy https://edition.cnn.[...] 2024-02-15
[20] 뉴스 Japan loses crown as world's third-largest economy after it slips into recession https://www.theguard[...] 2024-02-15
[21] 웹사이트 GDP – Gross Domestic Product 2012 {{!}} countryeconomy.com https://countryecono[...] 2024-06-02
[22] 뉴스 The Myth of Japan's Failure https://www.nytimes.[...] 2012-01-06
[23] 뉴스 Video interview on BBC News with Eamonn Fingleton http://news.bbc.co.u[...] 2012-01-12
[24] 서적 New Paradigm in Macroeconomics
[25] 논문 Monetary Policy Implementation in Japan: What They Say versus What They Do
[26] 뉴스 Japan Raised Interest Rates https://www.nytimes.[...] 1989-12-25
[27] 서적 Princes of the Yen. Japan's Central Banker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conomy quantumpublishers.com
[28] 뉴스 Kill the zombie banks! http://www.salon.com[...] Salon Media Group 2013-01-16
[29] 뉴스 Why Detroit Is Not Too Big to Fail http://www.time.com/[...] Time Inc. 2008-12-23
[30] 웹사이트 Economic Development of Japan http://www.grips.ac.[...] National Graduate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1-04-03
[31] 웹사이트 Bank of Japan Interest Rates http://www.stat-sear[...]
[32] 웹사이트 昭和という「レガシー」を引きずった平成30年間の経済停滞を振り返る https://diamond.jp/a[...] 2020-10-18
[33] 뉴스 When Consumers Cut Back: An Object Lesson From Japan https://www.nytimes.[...] 2010-05-11
[34] 웹사이트 世帯所得、昭和に逆戻り…10年平均538万円 https://www.nikkei.c[...] 2020-10-18
[35] 서적 日本経済復活が引き起こすAKB48の終焉 主婦の友社
[36] 뉴스 The Japanese Tragedy https://www.economis[...]
[37] 웹사이트 労働生産性の国際比較 調査研究・提言活動 https://www.jpc-net.[...] 2023-10-17
[38] 뉴스 Don't Mention the Debt https://www.economis[...] 2013-05-04
[39] 뉴스 The third arrow https://www.economis[...] 2014-06-28
[40] 뉴스 Inflation in Japan rises to 30-year high https://www.telegrap[...] 2014-06-27
[41] 뉴스 Over 70% of Japanese not feeling benefits of Abenomics http://www.channelne[...] 2014-01-27
[42] 뉴스 Japan's economy has been dealt the 'final blow' by the coronavirus pandemic, says analyst https://www.cnbc.com[...] CNBC 2020-04-07
[43] 서적 The Return of Depression Economics and the Crisis of 2008 https://archive.org/[...] W.W. Norton Company Limited
[44] 서적 The Holy Grail of Macroeconomics-Lessons from Japan's Great Recession John Wiley & Sons (Asia) Pte. Ltd.
[45] 웹사이트 Richard Koo's Awesome Presentation On The Real Reason Why This Recession Is Completely Different https://www.business[...]
[46] 웹사이트 Why Japan's QE didn't "work" http://www.themoneyi[...] 2014-11-24
[47] 웹사이트 More evidence that the BOJ is not trying to create inflation http://www.themoneyi[...] 2014-11-24
[48] 웹사이트 Rooseveltian Resolve http://www.themoneyi[...] 2014-11-24
[49] 웹사이트 The other money illusion http://www.themoneyi[...] 2014-11-24
[50] 학술지 The 1990s in Japan: A Lost Decade https://linkinghub.e[...] 2002
[51] 학술지 Interview with Edward Prescott: Japan's prolonged slowdown parallels sharp decline in productivity growth https://www.elibrary[...] 2002-01-01
[52] 서적 Japan's Financial Crisis: Institutional Rigidity and Reluctant Chan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53] 학술지 Institutional Rigidity 2011
[54] 뉴스 Obama Warns of 'Lost Decade' https://www.wsj.com/[...] 2009-02-10
[55] 간행물 The Seven Faces of 'The Peril' http://research.stlo[...]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56] 웹사이트 「失われた20年」の構造的原因 https://www.rieti.go[...]
[57] 뉴스 「失われた30年」に向かう日本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10-12-23
[58]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59]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60]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61]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62] 서적 日本経済を学ぶ 筑摩書房
[63] 웹사이트 第8章 「失われた10年」の様相 https://www.esri.cao[...]
[64] 서적 「経済のしくみ」がすんなりわかる講座 ナツメ社
[65] 웹사이트 バブル崩壊「総量規制」がもたらした大衝撃の記憶 いま振り返ると「住専問題」とは一体何だったのか https://toyokeizai.n[...]
[66] 웹사이트 バブル後遺症を20年も長引かせた、日銀が犯した大失敗 https://zuuonline.co[...]
[67] 서적 景気ってなんだろう 筑摩書房
[68] 웹사이트 公示地価データ http://www.chika-dat[...]
[69]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70]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71]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72] 뉴스 地方で自殺が急増した「意外な理由」〜日本社会の隠れたタブー(貞包 英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 講談社
[73]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74] 서적 日本経済にいま何が起きているのか 東洋経済新報社
[75] 문서 景気自動安定化の例として、法人税の場合は景気悪化で企業収益が悪化すれば自動的に税率が下がるために収める税額は減り、企業の負担は減る。
[76] 뉴스 Slow-growth economics: some lessons from Japan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3-09-13
[77] 서적 財務省「オオカミ少年」論
[78] 뉴스 【経済が告げる】編集委員・田村秀男 カンノミクスの勘違い (1/3ページ) http://sankei.jp.msn[...] 産経新聞社 2010-06-15
[79] 간행물 National accounst of OECD countries detailed table volume 2a 1993-2004 OECD
[80] 웹사이트 帝国データバンク 破綻銀行関連の倒産動向調査 https://web.archive.[...] 帝国データバンク
[81] 웹사이트 金融機関の破綻処理 https://web.archive.[...] 預金保険機構
[82] 웹사이트 ペイオフ凍結期間中(平成 8 年 6 月〜平成 14 年 3 月末)の破綻金融機関 https://www.fsa.go.j[...] 金融庁
[83]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84] 문서 1997年11月24日の山一証券破綻を最後に日本の金融危機が本格化した。
[85] 웹사이트 日本のGDPデフレーターの推移 http://ecodb.net/exe[...]
[86] 뉴스 電機産業版「失敗の本質」 著者に聞く「なぜ凋落したのか」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87] 웹사이트 シャープを失敗に導いた戦略、「選択と集中」とは何か https://allabout.co.[...] All About
[88] 논문 「2001年の大リストラ」はなぜ発生したのか? https://cir.nii.ac.j[...] 札幌学院大学人文学会紀要
[89] 웹사이트 GDP統計を使った怪しい議論に要注意 無形資産を反映せず指標としては不完全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90] 뉴스 (第28回)「失われた15年」で拡大した所得格差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91] 뉴스 政権交代の失われた15年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92] 뉴스 失われた15年からの覚醒、日米の持ち味は違う http://www.nikkeibp.[...] 日経BPニュース
[93] 뉴스 物価と成長 「失われた20年」だったのか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7-12-12
[94] 서적 失われた〈20年〉 岩波書店
[95] 간행물 http://group.dai-ich[...] 第一生命経済研究所
[96] 서적 平成政権史 日本経済新聞出版社
[97] 뉴스 「失われた30年」に向かう日本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10-12-23
[98] 뉴스 日本、先進国から脱落?…経団連の研究機関予測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2-04-16
[99] 뉴스 22年世帯所得は昭和62年並みに低下、平均538万円 http://www.sankeibiz[...] 産経新聞 2012-07-05
[100] 서적 日本経済復活が引き起こすAKB48の終焉 主婦の友社
[101] 웹사이트 「アベノミクス」を振り返る ~日本で初めて施行された世界標準のマクロ経済政策~ https://www.dlri.co.[...] 第一生命経済研究所
[102] 뉴스 「アベノミクス」ブレーンたちの高揚、そして...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103] 뉴스 貿易赤字が縮小傾向、何が起きているのか? - その原因と影響を探る http://news.mynavi.j[...] マイナビ 2015-03-23
[104] 뉴스 人民元が決済通貨4位に 8月シェア、初めて円抜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5-10-07
[105] 웹사이트 図録▽経済成長率の推移(日本) https://honkawa2.sak[...] 社会実情データ図録 Honkawa Data Tribune 2019-09-29
[106] 뉴스 アベノミクスでも低成長 30年間の平均賃金、米は5割増、日本は…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107] 뉴스 今や“凡庸な先進国”へ、一人当たりGDPに見る日本の立ち位置の変化:「ファクト」から考える中小製造業の生きる道(3) https://monoist.itme[...] MONOist
[108] 웹사이트 【楽読】内外の物価格差などを考慮した、通貨の総合的価値「実質実効為替レート」で、円は最安値を更新中 https://www.nikkoam.[...] 2024-06-28
[109] 웹사이트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Japan / Narrow basket https://data.bis.org[...]
[110] 웹사이트 昭和という「レガシー」を引きずった平成30年間の経済停滞を振り返る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8-08-20
[111] 웹사이트 ニッポン半導体、世界市場シェアがついに6%まで低下 https://news.yahoo.c[...]
[112] 웹사이트 液晶テレビ産業における日本企業の革新と衰退 https://www.jstage.j[...]
[113] 뉴스 国産液晶、風前のともしびに 価格競争、シャープもテレビ向け撤退: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114] 뉴스 日本メーカーが消えた、2015年太陽電池セル世界トップ10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xTECH)
[115] 뉴스 知って納得、ケータイ業界の"なぜ"(5) 苦境に立たされる日本のスマホメーカーに明日はあるのか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116] 뉴스 スマホ対応でつまずいた国内メーカー、iPhone以前は輝いていた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xTECH)
[117] 뉴스 <5>県北の悲願 開通見えず https://www.niigata-[...] 新潟日報デジタルプラス 2022-03-15
[118] 웹사이트 平成の30年間、家計の税・社会保険料はどう変わってきたか https://www.dir.co.j[...] 大和総研 2018-06-21
[119]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120]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2009
[121] 뉴스 【特別企画】日本は5年後も日本のまま=ジェラルド・カーティス氏 http://jp.wsj.com/ar[...] 2014-12-05
[122] 서적 30語でわか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2000
[123] 뉴스 経済・マネー 黒田日銀、“実弾”100兆円投入へ! 給料アップ、株価「年内2万円も」 https://archive.is/2[...] ZAKZAK 2013-03-19
[124]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2008
[125] 웹사이트 What's wrong with Japan? http://web.mit.edu/k[...]
[126] 웹사이트 JAPAN'S TRAP http://web.mit.edu/k[...]
[127] 웹사이트 Lessons from Japan's economic malaise http://www.project-s[...] 2003-03-12
[128] 뉴스 オピニオン 政治経済 国の借金は減っている アベノミクスに増税は必要ない http://www.yomiuri.c[...] 教育×WASEDA ONLINE 2014-12-22
[129] 서적 本当はヤバくない日本経済 破綻を望む面妖な人々 幻冬舎 2009
[130]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2001
[131] 서적 30語でわか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2000
[132] 서적 民主党政権で日本経済が危ない!本当の理由 アスコム 2009
[133] 서적 日本経済にいま何が起きているのか 東洋経済新報社 2005
[134] 서적 ベーシック日本経済入門 日本経済新聞社 2009
[135]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2000
[136]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2001
[137]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138] 서적 日本経済にいま何が起きているのか 東洋経済新報社 2005
[139]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2009
[140] 서적 経済ニュースが10倍よくわかる「新」日本経済入門 アスコム 2010
[141]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142]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143]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144]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145] 서적 日本の経済 (図解雑学-絵と文章でわかりやすい!) ナツメ社
[146]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147]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148] 서적 竹中平蔵の「日本が生きる」経済学 ぎょうせい
[149] 서적 竹中平蔵の「日本が生きる」経済学 ぎょうせい
[150] 서적 竹中平蔵の「日本が生きる」経済学 ぎょうせい
[151] 뉴스 経済低迷EUは「日本に学べ」 アベノミクス改革の方向性を米誌が評価 http://newsphere.jp/[...] ニュースフィア 2014-08-27
[152]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153]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154] 서적 日本経済にいま何が起きているのか 東洋経済新報社
[155]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156] 웹사이트 ミルトン・フリードマン 「世界の機会拡大について語ろう」 〜「グローバルビジネス」1994年1月1日号掲載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1-08-01
[157] 웹사이트 通貨供給はマネーストックやインフレに直結しない! リーマンショック後の世界の常識が通用しない日本 翁邦雄・京都大学公共政策大学院教授×藤田勉・シティグループ証券副会長対談 前編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4-05
[158]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159]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160]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161] 서적 検証バブル 犯意なき過ち 日本経済新聞社
[162] 서적 3時間でわかる日本経済-ポイント解説 日本経済新聞社
[163]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164]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165] 웹사이트 連載/石橋湛山を語る http://www.toyokeiza[...] 東洋経済新報社 2022-04-00 # 링크 끊김으로 날짜를 대략적으로 표기
[166]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167]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168] 서적 あしたの経済学 幻冬舎
[169]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170] 서적 竹中先生、経済ってなんですか? ナレッジフォア
[171]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172] 웹사이트 円安vs原油安の経済学:鍵は「交易条件」 http://www.fujitsu.c[...] 富士通総研 2014-12-16
[173] 서적 震災恐慌!〜経済無策で恐慌がくる! 宝島社
[174] 서적 震災恐慌!〜経済無策で恐慌がくる! 宝島社
[175]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176]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177] 웹사이트 日銀も勘違いしてしまった!? バブル時代=インフレではない https://wanibooks-ne[...]
[178] 뉴스 政治・社会 【日本の解き方】イエレン議長、利上げ反対姿勢の真意 日銀のバブル潰し教訓に http://www.zakzak.co[...] ZAKZAK 2014-07-09
[179] 서적 自分をデフレ化しない方法 文藝春秋 2010
[180] 뉴스 経済低迷EUは「日本に学べ」 アベノミクス改革の方向性を米誌が評価 http://newsphere.jp/[...] ニュースフィア 2014-08-27
[181] 웹사이트 ジョン・K・ガルブレイス「文明の衝突は起きない」 https://diamond.jp/a[...] 2009-12-30
[182] 서적 ベン・バーナンキ 世界経済の新皇帝 講談社 2006
[183]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184]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185]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186] 서적 コンパクト日本経済論(コンパクト経済学ライブラリ) 新世社 2009
[187] 서적 コンパクト日本経済論(コンパクト経済学ライブラリ) 新世社 2009
[188] 서적 奇妙な経済学を語る人々 日本経済新聞社
[189]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 2002
[190] 서적 ゼロからわかる経済の基礎 講談社 2002
[191] 서적 ゼロからわかる経済の基礎 講談社 2002
[192]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2001
[193] 서적 最後の『冬ソナ』論 太田出版 2005
[194] 서적 虚構の終焉 / Towards a new macroeconomic paradigm PHP 2003
[195] 서적 3時間でわかる日本経済-ポイント解説 日本経済新聞社 2002
[196] 서적 3時間でわかる日本経済-ポイント解説 日本経済新聞社 2002
[197] 뉴스 한국은행과 함께하는 톡톡 경제 콘서트 - <48>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은 어떻게 왔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4-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