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창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창기는 생명과학자로서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KAIS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5년부터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대사질환, 장 건강, 생명윤리 및 기원과학 분야를 연구해왔다. 특히 대사질환 및 장 건강 관련 연구에서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기독교 세계관 및 기원과학 관련 연구도 수행했다. 다수의 저서 및 번역서를 출간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학력

3. 경력

4. 연구 분야

현창기의 주요 연구 분야는 대사 질환과 생명윤리 및 기원과학으로 나뉜다. 대사 질환 분야에서는 비만,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 등의 분자 기전을 밝히고 프로바이오틱스, 천연물, 엑소좀 등을 이용한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생명윤리 및 기원과학 분야에서는 생명복제,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와 진화론 비판, 지적설계 등을 연구한다.

4. 1. 대사질환 연구

현창기 교수는 대사 질환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초기 연구(2002년~2009년)에서는 실크 단백질인 피브로인과 그 가수분해물이 3T3-L1 지방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고 포도당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에 주목했다. 또한 2006년과 2007년 연구를 통해 한약재인 황련의 주요 성분 베르베린이 지방세포에서 GLUT1 매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고, 지방 생성 관련 효소 및 염증성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혀 대사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2010년대 이후에는 비만,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의 복잡한 분자 기전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하는 연구에 집중했다. 특히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스테아로일-CoA 불포화효소-1(SCD1)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 2010년 연구에서는 지방 조직 특이적으로 SCD1을 제거하면 포도당 수송체인 GLUT1 발현이 증가함을 보였고, 2011년 연구에서는 SCD1 억제가 에너지 센서 단백질인 AMPK를 활성화시켜 지질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 같은 해(2011년)에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합성 펩타이드가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수송을 촉진하고 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발표했다.

프로바이오틱스가 대사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했다. 특히 2013년과 2015년 연구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actobacillus rhamnosus GG) 균주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 아디포넥틴 생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하고 지방세포 축적을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2015년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소포체 스트레스 완화 및 대식세포 활성 억제와 관련 있음을 밝혔다. 2017년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AC01(Lactobacillus plantarum HAC01)이 장내 미생물 환경을 조절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음을 보고했고, 이후 다른 락토바실러스 및 바실러스 속 프로바이오틱스들도 고지방 식이로 인한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 이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2016년, 2018년, 2020년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 2020년 연구에서는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가 PGC-1α 경로 활성화와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양한 천연물 유래 성분의 대사 질환 개선 효능 연구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014년 연구에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수용성 멜라닌 복합체가 인슐린 민감성과 지질 대사를 개선함을 보였고, 2016년 연구에서는 체중 증가 억제 및 지방 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2017년에는 시링긴(Syringin)이 아디포넥틴을 매개로 만성 염증과 소포체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완화시킨다는 결과를 발표했으며, 2019년에는 베툴린산(Betulinic acid)이 AMPK를 활성화하여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을 억제하고 에너지 균형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고했다. 가시오갈피(Acanthopanax senticusus) 추출물(2015년 연구)과 장기간 발효된 된장(2018년 연구) 역시 고지방 식이 모델에서 지방 축적 억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관련 지표 개선 등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흥미롭게도 2018년에는 기존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모디아퀸이 당뇨 모델 마우스에서 인슐린 저항성과 지질 대사를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

최근 연구는 면역계와 대사 조절의 상호작용, 그리고 장 건강과 전신 대사의 연관성으로 확장되고 있다. 2015년, 2016년, 2020년 연구를 통해 B 세포 활성 인자(BAFF)가 결핍된 마우스는 갈색지방조직의 기능 및 열 발생이 향상되어 고지방 식이나 노화로 인한 포도당 불내성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른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2021년 연구에서는 염증성 장 질환(IBD)이 단순히 장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지방 조직 기능 장애와 의 지질 대사 교란을 유발하여 지방간 및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전신적인 대사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관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관성은 2023년 연구에서 염증성 장 질환 마우스의 장내 미생물을 이식받은 무균 마우스에서도 지질 대사 장애가 관찰됨으로써 뒷받침되었다. 가장 최근인 2024년 연구에서는 세포 간 신호 전달 물질인 엑소좀, 특히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엑소좀이 FGF21-아디포넥틴 축을 활성화함으로써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의 지방간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4. 2. 생명윤리 및 기원과학 연구

현창기는 생명윤리 및 기원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생명복제,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와 진화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지적설계 관련 논증 등을 중심으로 연구 활동을 이어왔다. 주요 연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연구 제목공동 저자게재/발표 정보
1999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도명술통합연구 12(1), 81-105
2005미토콘드리아 및 미토콘드리아 리보솜의 내부공생endosymbiosiseng 진화 가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통합연구 18(2), 131-154
2006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병 치료 연구의 현황줄기세포연구와 난치병 치료 (배아복제를 반대하는 과학자모임 기획), pp.77-108
2008초소형 분자 모터 ATP 합성효소에 대한 지적설계 논증전동규지적설계연구회 심포지움
2010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roopiomelanocortineng - 프로호르몬 전환효소prohormone convertaseeng 상호작용에 기초한 지적설계 논증최훈지적설계연구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2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물 관련 단원의 이론적 탐색과 개발의 틀류현실신앙과 학문 17(3), 115-143
2014B 세포 성숙기작을 이용한 신다윈주의 자연선택 진화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나연신앙과 학문 19(1), 97-115
2016인간 유전체 ENCODEeng 프로젝트와 정크 DNAJunk DNAeng의 기능성 논쟁에 대한 기원과학적 고찰김아람신앙과 학문 21(3), 7-35


5. 저서 및 번역서

연도구분제목공저자/공역자출판사
2008년공역MEET, DEET, GRE 준비를 위한 생화학 및 분자·세포생물학(Color Atlas of Biochemistry)정병갑, 정국현, 고석찬, 임헌만, 강병호, 이명선, 정용석, 김철근, 이영섭, 장락우월드사이언스
2009년공역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김종명, 김군도월드사이언스
2014년공역위대한 설계, 그 흔적들 (Signs of Intelligence – Understanding Intelligent Design)도명술새물결플러스
2014년공저기독교 세계관으로 풀어보는 과학수업김기웅, 김은실, 김효정, 류현실, 정병윤, 이상찬DCTY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19년공역유신진화론 비판(Theistic Evolution: A Scientific,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Critique)소현수, 배성민, 김병훈부흥과개혁사


6. 주요 논문

현창기의 주요 연구는 크게 대사 질환 및 장 건강 분야와 기독교 세계관 및 기원과학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대사 질환 분야에서는 비만, 당뇨병, 지방간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의 기전을 밝히고, 프로바이오틱스나 천연물을 활용한 예방 및 치료법 개발에 관한 연구를 다수 수행했다. 기독교 세계관 및 기원과학 분야에서는 창조과학적 관점에서 진화론을 비판하고 지적설계를 논증하며, 생명윤리 문제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연구들을 발표했다. 각 분야별 상세한 연구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대사질환 및 장 건강 관련

현창기는 대사 증후군, 비만, 당뇨병, 지방간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의 기전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 개선, 지방 대사 조절, 장 건강 및 장내 미생물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다수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이 FGF21-아디포넥틴 축을 활성화하여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지방간인슐린 저항성을 완화할 수 있음을 밝혔다 (2024). 또한, 염증성 장 질환 모델 마우스의 장내 미생물을 이식받은 무균 마우스에서 지질 대사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여 장 건강과 전신 대사 간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2023). 이러한 연구들은 대사 질환과 염증성 장 질환 사이의 분자 및 병태생리학적 연결 고리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으며 (2021), 특히 대장염지방 조직 기능 장애와 간의 지질 대사 교란을 일으켜 지방간 및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마우스 모델을 통해 증명하였다 (2021).

프로바이오틱스의 대사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했다. 특정 락토바실러스 균주(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JLS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AC0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나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비만 관련 지표 개선, 장내 미생물 조절, 지방 축적 억제, 인슐린 저항성 및 이상지질혈증 개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3). 프로바이오틱스가 PGC-1α 경로를 활성화하여 대사 기능 장애를 포괄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기전도 제시했다 (2020).

이 외에도 BAFF 결핍이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을 향상시켜 노화 관련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거나(2020), 고지방식이로 인한 포도당 불내성을 완화하는 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2016, 2015).

천연물 및 특정 화합물의 대사 개선 효능 연구도 다수 수행했다. 베툴린산, 아모디아퀸, 시린진, 차가버섯 추출물, 된장, 가시오갈피, 황벽나무, 베르베린,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피브로인 및 그 유래 펩타이드 등이 비만 억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 지방간 완화, 포도당 흡수 촉진 등에 효과가 있음을 동물 모델 및 세포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09, 2007, 2006, 2005, 2004, 2002). 특히 SCD1 억제나 AMPK 활성화와 같은 분자 기전을 통해 이러한 효과가 나타남을 규명했다 (2019, 2011, 2010).

초기 연구에서는 소 혈장 단백질을 활용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저해 펩타이드 생산(2000, 1999)이나 프로바이오틱스 생산(1998) 등 생물공학적 응용 연구도 수행했으며, 세균 발광을 이용한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센서 개발(1993), 세팔렉신의 효소적 합성 효율 증대(1993, 1989), 페니실린 생산 공정 제어(1988) 등 미생물 및 효소 공학 분야 연구 경력도 가지고 있다.

6. 2. 기독교 세계관 및 기원과학 관련

기독교 세계관 및 기원과학 관련 주요 연구 목록
연도제목공동 저자발표 매체
1999생명 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도명술통합연구 12(1), 81-105
2005미토콘드리아 및 미토콘드리아 리보솜의 endosymbiosis 진화가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통합연구 18(2), 131-154
2006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병 치료 연구의 현황줄기세포연구와 난치병 치료 (배아복제를 반대하는 과학자모임 기획), pp.77-108
2008초소형 분자 모터 ATP synthase에 대한 지적설계 논증전동규지적설계연구회 심포지움
2010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roopiomelanocortin) - prohormone convertase 상호작용에 기초한 지적설계 논증최훈지적설계연구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2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물 관련 단원의 이론적 탐색과 개발의 틀류현실신앙과 학문 17(3), 115-143
2014B 세포 성숙기작을 이용한 신다윈주의 자연선택 진화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나연신앙과 학문 19(1), 97-115
2016인간 유전체 ENCODE 프로젝트와 정크 DNA의 기능성 논쟁에 대한 기원과학적 고찰김아람신앙과 학문 21(3), 7-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