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명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명과학은 생명체의 구조, 기능, 성장, 진화, 기원, 분류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기초 연구 분야로는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생물물리학, 생물정보학 등이 있으며, 응용 연구 분야에는 의생명과학, 농생명과학, 환경 및 기타 응용 분야가 있다. 생명과학은 다양한 학문과 융합되어 의학, 농업, 환경 보전 등 여러 분야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에 관한 목록 - 과학 기구
    과학 기구는 과학적 탐구, 실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와 장치로, 시대와 분야에 따라 정의와 범위가 변화해 왔으며, 디지털 시대에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사물 인터넷 기술과 통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 생명과학 - 우주생물학
    우주생물학은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과 생명의 기원 및 진화 과정을 탐구하는 학제적인 과학 분야로, 외계 행성 탐사, 극한 환경 생물 연구,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 등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생명과학 -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생식샘으로 구성되어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황체 형성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 성 호르몬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식 기능을 조절하며 생식 능력 유지, 사춘기 발달, 생식 주기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는 내분비계 시스템이다.
  • 생명공학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생명공학 - CRISPR
    CRISPR은 세균과 고세균이 외래 유전 물질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발전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전 질환 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
생명과학
개요
분야과학
연구 대상생명
하위 분야생물학
생화학
생물리학
세포생물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미생물학
신경과학
생태학
진화생물학
생리학
발생생물학
식물학
동물학
인류학
생물정보학
학문적 의의
중요성생명 현상 이해
질병 치료
식량 생산 증대
환경 문제 해결
생명 윤리 탐구

2. 생명과학의 기초 연구 분야

생명과학은 그 범위가 매우 넓지만, 몇 가지 공통된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생물학 –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2][3][4]
  • 생명공학 – 생물체와 기술을 융합하여 연구[7]
  • 생물물리학 – 물리학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생물학적 과정을 연구[10]
  • 생체역학 – 생물의 역학 연구[11]
  • 식물학 – 식물 연구[12]
  • 사초학 – 벼과 및 풀과 유사한 종 연구
  • 조류학 – 조류 연구[13]
  • 유전학 – 유전자와 유전 연구
  • 해양 생물학 – 해양 유기체 연구
  • 생물 해양학 – 해양 생명체와 환경과의 상호 작용 연구
  • 균학 – 곰팡이 연구
  • 고생물학 – 선사 시대 유기체 연구
  • 기생충학 – 기생충, 그들의 숙주 및 그들 간의 관계 연구
  • 병리학 – 질병 또는 부상의 원인과 영향 연구
  • 인간 생물학 – 인간의 생물학적 연구
  • 약리학 – 약물 작용 연구
  • 생물 인류학 (또는 신체적 인류학) – 인간, 영장류 및 호미니드 연구
  • 개체군 생물학 – 동종 유기체의 그룹 연구
  • 개체군 동태 – 개체군의 크기와 연령 구성의 단기적 및 장기적 변화,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 및 환경 과정 연구. 출생률사망률, 이주 및 출국에 의해 개체군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다루며, 고령화 인구 또는 개체군 감소와 같은 주제를 연구한다.
  • 동물학 – (일반적으로 비 인간) 동물 연구
  • 동물 행동학 – 동물의 행동 연구[19]
  • 생화학 - 생명 유지에 필요한 화학 반응 연구[8]
  • 생물정보학 - 생물학적 데이터 분석 도구 개발[9]
  • 생물언어학 - 언어의 생물학 및 진화 연구
  • 우주생물학 - 우주 생명체 연구[6]
  • 양자생물학 - 생명체 내 양자 현상 연구
  • 합성생물학 - 새로운 생물학적 개체 설계 및 구축
  • 시스템 생물학 - 생물학적 시스템 내 요소들의 통합과 의존성 연구
  • 수리생물학 -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생물학적 현상 연구
  • 독물학 - 화학 물질의 생명체 영향 연구
  • 당생물학 - 당사슬의 구조, 생합성, 생물학적 기능 연구


기초 과학으로서의 생물학 외에 응용 분야인 의학농학 등도 포함한다. 바이러스세포감염되지만, 완전히 자기 완결된 자기 증식 능력을 갖지 않으므로, 생물인지 여부에 대한 정의가 논의되지만, 그래도 생명 과학의 영역에서 다루어진다.

2. 1. 형태 및 구조 연구

해부학은 식물, 동물, 특히 인간의 형태와 기능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5] 조직학은 조직을 연구하고,[5] 신경과학은 신경계를 연구한다.[5] 생리학은 생명체의 기능 및 기관, 부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2. 2. 기능 및 생리 연구

생리학은 생명체의 기능 및 기관, 부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19]

2. 3. 분자 수준 연구

분자생물학은 분자 수준에서 생물학 및 생물학적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화학, 유전학, 미생물학과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다. 구조생물학은 생체 고분자의 분자 구조와 관련된 분자생물학, 생화학, 생물리학의 한 연구 분야이다.

2. 4. 발생 및 진화 연구

발생생물학은 접합자에서 완전한 구조로 생명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14] 진화생물학은 시간에 따른 종의 기원과 종들 간의 유연관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16] 진화발생생물학은 분자 조절을 포함한 발생의 진화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2. 5. 미생물 및 면역 연구

미생물학은 현미경으로 봐야 보이는 아주 작은 생물인 미생물과 미생물이 다른 생물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17] 미생물학의 세부 분야로는 세균학, 바이러스학 등이 있다.

면역학은 우리 몸을 지키는 방어 시스템인 면역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17]

2. 6. 생태 및 환경 연구

생태학은 생물과 다른 생물과의 상호작용 및 생물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15]

2. 7. 기타 기초 연구 분야


  • 우주생물학 - 우주에서 생명체의 형성과 존재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6]
  • 생물정보학 - 유용한 생물학적 지식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 검색, 정리, 분석하는 방법이나 소프트웨어 도구의 개발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9]
  • 생물언어학 - 생물학과 언어의 진화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 형질인류학 - 인간, 인간이 아닌 영장류, 유인원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 생물역학 - 생물체의 역학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11]
  • 양자생물학 - 생명체에서 양자 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 구조생물학 - 분자생물학, 생화학생물리학의 한 연구 분야로, 생체 고분자의 분자 구조를 다룬다.
  • 합성생물학 - 효소, 유전자 회로, 세포 등의 새로운 생물학적 실체의 설계 및 구축, 또는 기존의 생물학적 시스템의 재설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 시스템 생물학 - 대사 경로 및 세포 신호전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생물학적 시스템 내의 다양한 요소들의 통합과 의존성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 수리생물학 - 생물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추상화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는 생명과학의 한 연구 분야이다.
  • 독물학 - 화학 물질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 당생물학 - 생화학분자생물학을 기반으로 하여 당사슬의 구조, 생합성, 생물학적 기능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3. 생명과학의 응용 연구 분야

생명과학은 기초과학으로서의 생물학 외에 의학, 농학 등 응용 분야도 포함한다. 바이러스세포감염되지만, 완전히 스스로 증식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해 생물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지만, 생명과학의 영역에서 다루어진다. 생명과학을 생물의 생명 활동과 관련된 과학으로 정의한다면, 바이러스는 생물의 생명 활동과 영향을 주고받으므로 생명과학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생명과학의 응용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야설명세부 학문
의생명과학자연과학 또는 형식과학의 일부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적용하는 일련의 응용과학으로, 의료 또는 공중 보건에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한다.의학미생물학, 임상바이러스학, 임상역학, 유전역학, 의공학, 병태생리학, 생물감시, 생체고분자, 생물공학,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생물소재, 생물적 방제, 생명공학기술, 바이오컴퓨터, 유전체학, 광유전학, 키네시올로지, 단백체학, 면역요법, 약물유전체학, 약리학, 의료기기, 의학촬영, 개체군 동태론, 식품과학, 발효공학, 공중위생
농생명과학농업은 식물 및 가축을 재배하는 과학 및 실천과 관련된 분야이다.농학, 생체 컴퓨터, 생물 방제, 생명공학, 생체 전자 공학, 생체 재료, 생물 의학 과학, 생물 모니터링, 생체 고분자, 보전 생물학, 환경 보건, 발효 기술, 식품 과학, 유전체학, 건강 과학, 임학, 수산학, 축산학・수의학
환경 및 기타 응용 분야생명공학기술, 바이오컴퓨터, 생물적 방제, 생물공학,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생물소재, 생의과학, 생물감시, 생체고분자, 공중위생, 발효공학, 식품과학, 유전체학, 면역요법, 키네시올로지, 의료기기, 의학촬영, 광유전학, 약물유전체학, 약리학, 개체군 동태론, 단백체학, 농업


  • '''의생명과학'''


약리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


머리의 시상면 MRI

  • '''농생명과학'''


농업은 식물과 가축을 재배하는 과학과 실천을 의미한다.

  • '''환경 및 기타 응용 분야'''

3. 1. 의생명과학



의생명과학은 자연과학 또는 형식과학,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적용하는 응용과학의 일종으로, 의료 또는 공중 보건에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한다.[57] 여기에는 의학미생물학, 임상바이러스학, 임상역학, 유전역학, 의공학과 같은 분야가 포함된다. 병리학적 과정에서 작동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병태생리학은 기초과학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생물감시: 생물학적 물질에서 독성 화학 물질, 원소, 그 대사물질의 신체 부담을 측정한다.[58][59][60] 주로 혈액과 소변에서 측정이 이루어진다.[61]
  • 생체고분자: 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중합체로, 생체분자이다. 단량체 단위가 공유결합하여 큰 구조를 형성한다. 사용되는 단량체 단위와 구조에 따라 폴리뉴클레오타이드(RNADNA), 폴리펩타이드, 폴리사카라이드(다당류)로 분류된다.[62][63][64][65]
  • 생물공학: 응용 지식에 중점을 둔, 특히 생명공학과 관련된 공학적 수단을 통해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분야
  •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생체 물질의 전기적 상태는 막전위, 뉴런에 의한 신호 전달, 등전점 등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마이크로 및 나노 전자 부품과 장치는 의학용 임플란트, 바이오센서, 랩온어칩 등과 같은 생물학적 시스템과 점차적으로 결합되어 새로운 과학 분야를 탄생시켰다.[56]
  • 생물소재: 생물학적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물질, 표면, 구조를 말하며, 생물소재과학이라고 불린다. 많은 회사들이 신제품 개발에 투자하면서 꾸준하고 강력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생물소재과학은 의학, 생물학, 화학, 조직공학재료과학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 생물적 방제: 다른 살아있는 생물을 이용하여 해충(곤충, 진드기, 잡초, 식물 질병 포함)을 구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55]
  • 생명공학기술: 유전자 변형 및 합성생물학을 포함한 생명체의 조작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
  • 바이오컴퓨터: DNA단백질과 같은 생물학적으로 유도된 분자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저장, 검색, 처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계산 과정을 수행한다. 바이오컴퓨터의 개발은 나노생명공학기술이라는 새로운 과학이 확장되면서 가능해졌다.
  • 유전체학: 게놈(생물의 세포 내 DNA의 완전한 세트)의 기능과 구조를 배열, 조립, 분석하기 위해 재조합 DNA, DNA 염기서열 분석 방법, 생물정보학을 이용한다.[70][71] 생물체의 전체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미세한 유전자 지도를 만드려는 노력을 포함한다. 또한 잡종강세, 상위성, 다면발현 및 유전체(게놈)내의 유전자 자리 및 대립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같은 유전체 내 현상을 연구한다.[72] 단일 유전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는 분자생물학이나 유전학의 주요 관심사이며, 현대 의학 및 현대 생명과학의 공통된 주제이다. 단일 유전자의 연구는 유전체, 경로, 기능 정보 분석의 목적이 전체 게놈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배치, 반응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면 유전체학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다.[73][74]
  • 광유전학: 광학유전학의 기술을 조합하여 살아있는 조직에서(심지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 내에서도) 개별 뉴런의 활동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실시간으로 그 조작의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신경과학에서 사용되는 신경조절 기술이다.[81] 광유전학에 사용되는 핵심 시약은 빛에 민감한 단백질이다. 공간적으로 정밀한 뉴런 조절은 채널로돕신, 할로로돕신, 미생물 로돕신과 같은 광유전학 작동자를 사용하여 달성되며, 시간적으로 정밀한 기록은 클로멜레온, 머메이드, 슈퍼클로멜레온과 같은 광유전학 센서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82]
  • 키네시올로지: 인간의 운동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적, 기계적 및 심리적 메커니즘을 다룬다. 인간의 건강에 대한 키네시올로지의 적용은 생물역학정형외과, 힘과 조절, 스포츠 심리학,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와 같은 재활 방법, 스포츠와 운동에 적용할 수 있다.[76] 인간과 동물의 운동에 대한 연구로는 동작 추적 시스템의 측정, 근육 및 뇌 활동의 전기생리학, 생리학적 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방법, 기타 행동 및 인지적 연구 기법등이 포함된다.[78][79]
  • 농업: 식물 및 가축을 재배하는 과학과 실천
  • 단백체학: 단백질, 특히 단백질의 구조기능에 대한 대규모로 연구하는 학문이다.[86][87] 단백질은 세포의 생리적 대사 경로의 주요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생명체의 중요한 부분이다. 단백체는 생명체에 의해 생성되거나 변형된 단백질의 전체 집합이다.[88] 이것은 세포나 생명체가 겪는 시간과 뚜렷한 요구 조건 또는 스트레스에 따라 다르다.
  • 면역요법: 면역 반응을 유도, 증진 또는 억제함으로써 질병치료하는 것이다.[75] 면역반응을 유도하거나 증폭시키기 위해 고안된 면역요법은 활성 면역요법으로 분류되는 반면, 감소 또는 억제하는 면역요법은 억제 면역요법으로 분류된다.
  • 약물유전체학: 유전자 구성이 약물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83] 유전자 발현이나 단일염기 다형성을 약물의 효능 또는 독성과 관련시킴으로써 환자의 약물 반응에 미치는 유전적 변이의 영향을 다룬다.[84]
  • 약리학: 약물 작용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 의학생물학의 한 연구 분야로 약물은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생명체에 생화학적, 생리적 효과를 발휘하는 자연에서 얻거나, 사람이 만든 분자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85]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상적인 또는 비정상적인 생화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과 생명체 사잉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이다. 어떤 물질이 약효를 가지고 있으면, 그 물질은 의약품으로 간주된다.
  • 의료기기: 질병이나 기타 상태를 진단, 예방,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 도구, 임플란트, 시험관 시약, 이와 유사한 제품 또는 관련 제품이다.[80] 의약품이 약리학적, 대사적, 면역학적 수단에 의해 주요한 작용을 하는 반면, 의료기기는 물리적, 기계적, 열적 수단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작용한다.
  • 의학촬영: 임상 또는 생리학적 연구 목적으로 인체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술 및 과정이다.
  • 개체군 동태론: 인구의 크기 및 연령 구성에 있어서 단기적이고 장기적인 변화,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환경적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출생률사망률, 이입과 이출로 인해 인구가 영향을 받는 방식을 받는 방식을 다루며, 고령화나 인구 감소와 같은 주제를 연구한다.
  • 식품과학: 식품에 대해 연구하는 응용과학. 식품과학자의 활동으로는 새로운 식품의 개발, 이러한 식품을 생산하고 보존하는 과정의 설계, 포장 재료의 선택, 유통기한의 연구, 인체에 대한 식품의 영향 연구, 패널이나 잠재적인 소비자를 이용한 제품 평가, 미생물학적, 물리적(질감 및 점성), 화학적 실험 등이 있다.[66][67][68][69]
  • 발효공학: 비타민, 아미노산, 항생제, 맥주, 포도주 등 다양한 제품의 산업적인 생산을 위해 미생물의 사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
  • 공중위생: 환경역학, 독물학과 관련된 여러 분야

3. 2. 농생명과학

농업은 식물 및 가축을 재배하는 과학과 실천을 의미한다. 농생명과학과 관련된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농학 - 자원 확보를 위한 식물 재배 과학
  • 생체 컴퓨터 - DNA단백질과 같은 생물학적 유래 분자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 검색 및 처리와 관련된 계산을 수행한다. 나노생명공학의 발전을 통해 가능해졌다.[20]
  • 생물 방제 - 다른 생물을 사용하여 해충 방제 (곤충, 진드기, 잡초 및 식물 질병 포함)하는 방법.[21]
  • 생명공학 - 유전자 변형 및 합성 생물학을 포함한 생명체의 조작[29]
  • 생체 전자 공학 - 막 전위, 뉴런에 의한 신호 전달, 등전점 등 생물학적 물질의 전기적 상태는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이크로 및 나노 전자 부품과 장치는 의료 임플란트, 생체 센서, 랩온어칩 장치 등과 같은 생물학적 시스템과 결합되어 새로운 과학 분야로 등장하였다.[22]
  • 생체 재료 - 생물학적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물질, 표면 또는 구조물. 생체 재료 과학은 약 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의학, 생물학, 화학, 조직 공학 및 재료 과학의 요소를 포함한다.
  • 생물 의학 과학 - 자연 과학 또는 형식 과학의 일부를 적용하여 의료 또는 공중 보건에 사용되는 지식, 중재 또는 기술을 개발하는 응용 과학. 의학 미생물학, 임상 바이러스학, 임상 역학, 유전 역학 및 병태 생리학과 같은 학문이 있다.
  • 생물 모니터링 - 생물학적 물질에서 독성 화학 물질, 화학 원소 또는 그들의 대사 산물의 체내 부하를 측정하는 것.[23][24] 혈액과 소변에서 주로 측정한다.[25]
  • 생체 고분자 -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생성된 고분자 (생체 분자). 폴리뉴클레오타이드 (RNADNA), 폴리펩타이드, 다당류로 분류된다.[26][27][28]
  • 보전 생물학 - 멸종 및 생물적 상호 작용의 침식으로부터 종, 서식지 및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과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관리하는 학문. 자연 및 사회 과학, 자연 자원 관리 실천을 활용하는 학제 간 주제이다.[30]
  • 환경 보건 - 환경 역학, 독성학, 노출 과학과 관련된 다학제적 분야
  • 발효 기술 - 비타민, 아미노산, 항생제, 맥주, 와인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산업 제조에 미생물을 사용하는 연구.[31]
  • 식품 과학 - 음식 연구에 전념하는 응용 과학. 새로운 식품 제품 개발, 식품 생산 및 보존 과정 설계, 포장재 선택, 유통 기한 연구, 인체에 대한 음식의 영향 연구, 제품의 감각 평가, 미생물학적, 물리적(조직감 및 유동학) 및 화학적 검사 등을 포함한다.[32][33][34]
  • 유전체학 - 재조합 DNA, DNA 시퀀싱 방법 및 생물 정보학을 적용하여 유전체 (유기체의 단일 세포 내의 전체 DNA 세트)의 기능과 구조를 시퀀싱, 조립 및 분석한다.[35][36] DNA 서열과 유전자 지도를 결정하고, 이형 접합성, 상위성, 다면 발현 및 유전자 내 현상을 연구한다.[37]
  • 건강 과학 - 건강 또는 건강 관리를 핵심 주제로 하는 과학. STEM 분야와 환자 안전 분야 등을 포함한다.
  • 임학
  • 수산학
  • 축산학・수의학
  • 생물공학

3. 3. 환경 및 기타 응용 분야


  • 생명공학기술 – 유전자 변형 및 합성생물학을 포함한 생명체의 조작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 바이오컴퓨터 – DNA단백질과 같은 생물학적으로 유도된 분자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저장, 검색, 처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계산 과정을 수행한다. 바이오컴퓨터의 개발은 나노생명공학기술이라는 새로운 과학이 확장되면서 가능해졌다.
  • 생물적 방제 – 다른 살아있는 생물을 이용하여 해충(곤충, 진드기, 잡초, 식물 질병을 포함)을 구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이다.[55]
  • 생물공학 – 응용 지식에 중점을 둔 특히, 생명공학과 관련된 공학적 수단을 통해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바이오일렉트로닉스 – 생체 물질의 전기적 상태는 막전위, 뉴런에 의한 신호 전달, 등전점 등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마이크로 및 나노 전자 부품과 장치는 의학용 임플란트, 바이오센서, 랩온어칩 등과 같은 생물학적 시스템과 점차적으로 결합되어 새로운 과학 분야의 출현을 가져왔다.[56]
  • 생물소재 – 생물학적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물질, 표면, 구조를 말한다. 생물소재에 대한 연구는 생물소재과학이라고 불린다. 생물소재는 많은 회사들이 신제품 개발에 많은 돈을 투자하면서 개발 역사에 걸쳐 꾸준하고 강력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생물소재과학은 의학, 생물학, 화학, 조직공학재료과학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 생의과학 – 자연과학 또는 형식과학의 일부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적용하는 일련의 응용과학으로 의료 또는 공중 보건에서 지식, 기술을 개발한다.[57] 의학미생물학, 임상바이러스학, 임상역학, 유전역학, 의공학과 같은 분야는 의학이다. 그러나 병리학적 과정에서 작동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병태생리학은 기초과학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생물감시 – 생물학적 물질에서 독성 화학 물질, 원소, 그 대사물질의 신체 부담을 측정한다.[58][59][60] 종종 이러한 측정은 혈액과 소변에서 이루어진다.[61]
  • 생체고분자 – 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중합체로 다시 말하면 이들은 중합체인 생체분자이다. 중합체이기 때문에 생체고분자는 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공유결합된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되는 단량체 단위와 생체고분자의 구조에 따라 세 가지 주요 생체고분자로 분류된다. 13개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단량체로 구성된 긴 중합체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RNADNA), 아미노산의 중합체인 폴리펩타이드, 단당류의 중합체인 폴리사카라이드(다당류)로 분류된다.[62][63][64][65]
  • 공중위생 – 환경역학, 독물학과 관련된 여러 분야
  • 발효공학 – 비타민, 아미노산, 항생제, 맥주, 포도주 등 다양한 제품의 산업적인 생산을 위해 미생물의 사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
  • 식품과학 – 식품에 대해 연구하는 응용과학. 식품과학자의 활동으로는 새로운 식품의 개발, 이러한 식품을 생산하고 보존하는 과정의 설계, 포장 재료의 선택, 유통기한의 연구, 인체에 대한 식품의 영향 연구, 패널이나 잠재적인 소비자를 이용한 제품 평가, 미생물학적, 물리적(질감 및 점성), 화학적 실험 등이 있다.[66][67][68][69]
  • 유전체학 – 게놈(생물의 세포 내 DNA의 완전한 세트)의 기능과 구조를 배열, 조립, 분석하기 위해 재조합 DNA, DNA 염기서열 분석 방법, 생물정보학을 이용한다.[70][71] 유전체학은 생물체의 전체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미세한 유전자 지도를 만드려는 노력을 포함한다. 유전체학은 또한 잡종강세, 상위성, 다면발현 및 유전체(게놈)내의 유전자 자리 및 대립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같은 유전체 내 현상을 연구한다.[72] 대조적으로 단일 유전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는 분자생물학이나 유전학의 주요 관심사이며, 현대 의학 및 현대 생명과학의 공통된 주제이다. 단일 유전자의 연구는 유전체, 경로, 기능 정보 분석의 목적이 전체 게놈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배치, 반응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면 유전체학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다.[73][74]
  • 면역요법 – 면역요법은 면역 반응을 유도, 증진 또는 억제함으로써 질병치료하는 것이다.[75] 면역반응을 유도하거나 증폭시키기 위해 고안된 면역요법은 활성 면역요법으로 분류되는 반면, 감소 또는 억제하는 면역요법은 억제 면역요법으로 분류된다.
  • 키네시올로지 – 키네시올로지는 인간의 운동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키네시올로지는 생리적, 기계적 및 심리적 메커니즘을 다룬다. 인간의 건강에 대한 키네시올로지의 적용은 다음과 같다. 생물역학정형외과, 힘과 조절, 스포츠 심리학,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와 같은 재활 방법, 스포츠와 운동에 적용할 수 있다.[76] 키네시올로지로 학위를 받은 사람은 연구, 피트니스 산업, 임상 환경 및 산업 환경에서 일할 수 있다.[77] 인간과 동물의 운동에 대한 연구로는 동작 추적 시스템의 측정, 근육 및 뇌 활동의 전기생리학, 생리학적 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방법, 기타 행동 및 인지적 연구 기법등이 포함된다.[78][79]
  • 의료기기 – 의료기기는 질병이나 기타 상태를 진단, 예방,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 도구, 임플란트, 시험관 시약, 이와 유사한 제품 또는 관련 제품이다.[80] 의약품이 약리학적, 대사적, 면역학적 수단에 의해 주요한 작용을 하는 반면, 의료기기는 물리적, 기계적, 열적 수단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작용한다.
  • 의학촬영 – 의학촬영은 임상 또는 생리학적 연구 목적으로 인체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술 및 과정이다.
  • 광유전학 – 광유전학은 광학유전학의 기술을 조합하여 살아있는 조직에서(심지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 내에서도) 개별 뉴런의 활동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실시간으로 그 조작의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신경과학에서 사용되는 신경조절 기술이다.[81] 광유전학에 사용되는 핵심 시약은 빛에 민감한 단백질이다. 공간적으로 정밀한 뉴런 조절은 채널로돕신, 할로로돕신, 미생물 로돕신과 같은 광유전학 작동자를 사용하여 달성되며, 시간적으로 정밀한 기록은 클로멜레온, 머메이드, 슈퍼클로멜레온과 같은 광유전학 센서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82]
  • 약물유전체학 – 약물유전체학(약리학유전체학의 합성어)은 유전자 구성이 약물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83] 유전자 발현이나 단일염기 다형성을 약물의 효능 또는 독성과 관련시킴으로써 환자의 약물 반응에 미치는 유전적 변이의 영향을 다룬다.[84]
  • 약리학 – 약리학은 약물 작용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 의학생물학의 한 연구 분야로 약물은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생명체에 생화학적, 생리적 효과를 발휘하는 자연에서 얻거나, 사람이 만든 분자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85]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상적인 또는 비정상적인 생화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과 생명체 사잉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이다. 어떤 물질이 약효를 가지고 있으면, 그 물질은 의약품으로 간주된다.
  • 개체군 동태론 – 개체군 동태론은 인구의 크기 및 연령 구성에 있어서 단기적이고 장기적인 변화,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환경적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개체군 동태론은 출생률사망률, 이입과 이출로 인해 인구가 영향을 받는 방식을 받는 방식을 다루며, 고령화나 인구 감소와 같은 주제를 연구한다.
  • 단백체학 – 단백체학은 단백질, 특히 단백질의 구조기능에 대한 대규모로 연구하는 학문이다.[86][87] 단백질은 세포의 생리적 대사 경로의 주요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생명체의 중요한 부분이다. 단백체는 생명체에 의해 생성되거나 변형된 단백질의 전체 집합이다.[88] 이것은 세포나 생명체가 겪는 시간과 뚜렷한 요구 조건 또는 스트레스에 따라 다르다.
  • 농업 - 식물 및 가축을 재배하는 과학과 실천

참조

[1] 웹사이트 Why Study the Life Sciences? https://www.belferce[...] 2022-09-24
[2] 서적 Campbell Biology Pearson 2017
[3] 서적 Life: The Science of Biology W. H. Freeman 2020
[4] 서적 Biological Science Pearson 2017
[5] 웹사이트 anatomy {{!}} Definition, History, & Biology https://www.britanni[...] 2020-05-30
[6] 웹사이트 Astrobiology {{!}} science https://www.britanni[...] 2020-05-30
[7] 웹사이트 biotechnology {{!}} Definition, Examples, & Applications https://www.britanni[...] 2020-05-30
[8] 웹사이트 biochemistry {{!}} Definition, History, Examples, Importance,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5-30
[9] 웹사이트 Bioinformatics {{!}} science https://www.britanni[...] 2020-05-30
[10] 웹사이트 Biophysics {{!}} science https://www.britanni[...] 2020-05-30
[11] 웹사이트 Biomechanics {{!}} science https://www.britanni[...] 2020-05-30
[12] 웹사이트 botany {{!}} Definition, History, Branch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5-31
[13] 웹사이트 Phycology {{!}} biology https://www.britanni[...] 2020-09-01
[14] 웹사이트 Cytology {{!}} biology https://www.britanni[...] 2020-05-31
[15] 웹사이트 Ecology https://www.britanni[...] 2020-05-30
[16] 웹사이트 Evolution – The science of evolution https://www.britanni[...] 2020-05-31
[17] 웹사이트 Immunology {{!}} medicine https://www.britanni[...] 2020-05-30
[18] 웹사이트 Aerobiology {{!}} Definition, History, & Research https://www.rsb.org.[...] 2024-03-04
[19] 웹사이트 Ethology {{!}} biology https://www.britanni[...] 2020-05-31
[20] 웹사이트 Tiny Biocomputers Move Closer to Reality https://www.scientif[...] 2011-12-01
[21] 서적 Natural Enemies Handbook: The Illustrated Guide to Biological Pest Contro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22] 논문 Technology modules from micro- and nano-electronics for the life sciences https://www.research[...]
[23] 웹사이트 Third National Report on Human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https://web.archiv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 2009-08-09
[24] 웹사이트 What is Biomonitoring? https://web.archive.[...] American Chemistry Council 2009-01-11
[25] 논문 Human biomonitoring: State of the art 2007
[26] 서적 Natural Fibers, Biopolymers, and Biocomposit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0-11-15
[27] 간행물 Biodegradable Polymers 1998
[28] 간행물 Smart Polymers: Physical Forms & Bioengineering Applications 2007
[29] 웹사이트 Biotechnology: A Life Sciences Online Resource Guide {{!}} UIC https://healthinform[...] 2020-05-30
[30] 웹사이트 LibGuides: Life Sciences: Conservation Biology/Ecology https://libguides.as[...] 2020-05-30
[31] 웹사이트 fermentation {{!}} Definition, Proces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5-30
[32] 웹사이트 Nestle teams up with Singapore for food science research https://web.archive.[...] 2014-01-22
[33] 웹사이트 Food science to fight obesity https://web.archive.[...] 2013-12-09
[34] 논문 A New Kind of Food Science: How IBM Is Using Big Data to Invent Creative Recipes https://www.wired.co[...] 2013-11-16
[35] 웹사이트 A Brief Guide to Genomics http://www.genome.go[...] 2010-11-08
[36] 서적 Concepts of Genetics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12
[37] 서적 Bioinformatics and functional genomic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2009
[38] 웹사이트 FAQ About Genetic and Genomic Science http://www.genome.go[...] 2011-12-03
[39] 간행물 Genomics https://archive.org/[...] Macmillan Reference USA 2002-11-08
[40] 저널 How to Determine if Your Product is a Medical Device https://www.fda.gov/[...] 2020-05-30
[41] 서적 Signal and Image Analysis for Biomedical and Life Sci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11-15
[42] 웹사이트 Definition: Immunotherapies http://dictionary.re[...] 2020-05-10
[43] 웹사이트 Immunotherapy {{!}} medicine https://www.britanni[...] 2020-05-31
[44] 웹사이트 CKA – Canadian Kinesiology Alliance – Alliance Canadienne de Kinésiologie http://www.cka.ca/ki[...] Cka.ca 2009-07-25
[45] 서적 Human Motion: Understanding, Modelling, Capture, and Anim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0-11-15
[46] 저널 Next-Generation Optical Technologies for Illuminating Genetically Targeted Brain Circuits 2006
[47] 저널 Optogenetic probing of functional brain circuitry
[48] 저널 Modern Science & Future Medicine 2013
[49] 저널 Pharmacogenomics: a systems approach 2010
[50] 저널 The future of pharmacology 2006-01
[51] 저널 Proteome and proteomics: new technologies, new concepts, and new words 1998
[52] 저널 Proteomics: quantitative and physical mapping of cellular proteins 1999
[53] 저널 From Proteins to Proteomes: Large Scale Protein Identification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Arnino Acid Analysis 1996
[54] 서적 학술용어집 丸善
[55] 서적 Natural Enemies Handbook: The Illustrated Guide to Biological Pest Contro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56] 저널 Technology modules from micro- and nano-electronics for the life sciences https://www.research[...]
[57] 웹인용 The Future of the Healthcare Science Workforce. Modernising Scientific Careers: The Next Steps. http://www.dh.gov.uk[...] 2011-06-01
[58] 웹인용 What is body burden? http://www.chemicalb[...] Chemicalbodyburden.org 2014-02-09
[59] 웹인용 Third National Report on Human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http://www.clu-in.or[...]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 2009-08-09
[60] 웹인용 What is Biomonitoring? http://www.americanc[...] American Chemistry Council 2009-01-11
[61] 저널 Human biomonitoring: State of the art 2007
[62] 문서 Natural Fibers, Biopolymers, and Biocomposites CRC Press 2005
[63] 문서 Biodegradable Polymers 1998
[64] 문서 Biological Materials: Structure & Mechanical Properties 2008
[65] 문서 Smart Polymers: Physical Forms & Bioengineering Applications 2007
[66] 웹인용 Nestle teams up with Singapore for food science research http://in.reuters.co[...] 2014-02-09
[67] 웹인용 Food science to fight obesity http://www.euronews.[...] 2014-02-09
[68] 웹인용 Nothing Simple about Food Dating, Expiration Dates or 'Use-By' Dates http://www.consumera[...] 2014-02-09
[69] 웹인용 A New Kind of Food Science: How IBM Is Using Big Data to Invent Creative Recipes https://www.wired.co[...] 2014-02-09
[70] 웹사이트 A Brief Guide to Genomics http://www.genome.go[...] 2011-12-03
[71] 서적 Concepts of genetics https://archive.org/[...] Pearson Education 2012
[72] 서적 Bioinformatics and functional genomic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2009
[73] 웹인용 FAQ About Genetic and Genomic Science http://www.genome.go[...] 2011-12-03
[74] 백과사전 Genomics Macmillan Reference USA 2002-11-08
[75] 웹인용 immunotherapies definition http://dictionary.re[...] 2009-06-02
[76] 웹인용 Welcome to the Ontario Kinesiology Association http://oka.on.ca/ Oka.on.ca 2009-07-25
[77] 웹인용 CKA - Canadian Kinesiology Alliance - Alliance Canadienne de Kinésiologie http://www.cka.ca/ki[...] Cka.ca 2009-07-25
[78] 서적 Human Motion - Understanding, Modelling, Capture and Animation Springer, Dordrecht 2007
[79] 서적 Human Motion - Understanding, Modelling, Capture and Animation Springer, Berlin 2007
[80] 문서 Summarised from the FDA's definition as per http://www.fda.gov/medicaldevices/deviceregulationandguidance/overview/classifyyourdevice/ucm051512.htm
[81] 저널 Next-Generation Optical Technologies for Illuminating Genetically Targeted Brain Circuits 2006
[82] 저널 Optogenetic probing of functional brain circuitry
[83] 문서 Modern Science & Future Medicine 2013
[84] 저널 Pharmacogenomics: a systems approach 2010
[85] 저널 The future of pharmacology 2006-01
[86] 저널 Proteome and proteomics: new technologies, new concepts, and new words 1998
[87] 저널 Proteomics: quantitative and physical mapping of cellular proteins 1999
[88] 저널 From Proteins to Proteomes: Large Scale Protein Identification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Arnino Acid Analysis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