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렘헤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렘헤브는 이집트 제18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원래 평민 출신이었으나 투탕카멘 치세에 군 사령관 및 왕세자로 지명되었다. 아이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호렘헤브는 아크나톤 시기 훼손된 아문 신앙을 복원하고, 군대 및 행정 체제를 개혁하여 파라오의 권력을 강화했다. 그는 투탕카멘의 무덤 벽화에 등장하며, 14~15년 또는 27년의 재위 기간에 대한 논쟁이 있다. 호렘헤브는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그의 재상이었던 람세스 1세가 제19왕조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3세기 사망 - 와사샤타
와사샤타는 기원전 1370년경 미탄니 왕국의 왕으로, 아시리아의 독립 시도와 내부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시리아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히타이트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미탄니의 독립성을 잃고 쇠퇴하게 된 인물이다. - 기원전 13세기 사망 - 샬마네세르 1세
샬마네세르 1세는 기원전 13세기 아시리아 제국의 군주로, 영토 확장, 미탄니 세력 약화, 북 메소포타미아 원정, 킬리키아와 카파도키아 병합, 바빌로니아 공격 등의 군사 활동을 펼쳤으며 아슈르, 니네베, 님루드에 건축 사업을 시행했다. - 기원전 14세기 출생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기원전 14세기 출생 - 안케세나멘
안케세나멘은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공주이자 왕비로, 아크나톤의 왕비, 투탕카멘의 정비, 그리고 아이의 왕비였으며, 그녀의 죽음으로 이집트 왕가의 혈통이 단절되었다. - 기원전 13세기 파라오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3세기 파라오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호렘헤브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호렘헤브 |
다른 이름 | 호렘하브, 하렘하브, 하렘헤브 |
통치 기간 | 27년 (논쟁 중), 기원전 1319년–1292년 (낮은 연대기) |
왕조 | 제18왕조 |
이전 통치자 | 아이 |
다음 통치자 | 람세스 1세 |
왕명 | |
즉위명 | 제세르케페루레 세테펜레 (Ḏsr-ḫprw-Rˁ-stp-n-Rˁ, "라의 현시가 신성하고, 라가 선택함") |
탄생명 | 호렘헤브 메리아문 (Ḥr-m-ḥb-mrj-Jmn, "호루스는 환희에 차 있으며, 아문이 사랑함") |
호루스 이름 | 카나크트 세페드케루 (K3-nḫt-Spd-ḫrw, "강한 황소, 효과적인 계획") |
네브티 이름 (두 여신 이름) | 웨르비아웨트-엠-이페트수트 (Wr-bj3wt-m-Jptswt, "이페트수트에서 기적을 크게 행함") |
황금 호루스 이름 | 헤루헤르마트 세케페르타위 (Ḥrw-ḥr-m3ˁ.t-sḫpr-t3wj, "마아트에 만족하고, 두 땅을 존재하게 함") |
가족 | |
배우자 | 아메니아, 무트네제메트 |
자녀 | 아마도 타네제메트 |
생애와 죽음 | |
사망일 | 기원전 1292년 |
매장지 | KV 57 |
기념물 |
2. 즉위 전 경력
호렘헤브는 나일 강 서안의 헤네스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부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민 출신으로 추정된다. 그의 즉위 텍스트는 그를 왕위에 세운 것에 대해 헤네스의 신 호루스에게 공식적으로 공을 돌린다.[5]
프랑스 이집트학자 니콜라스 그리말에 따르면 호렘헤브는 아케나텐 군대의 사령관이었던 파테네므헤브(아텐은 환희 속에 있다)와 동일 인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6] 그리말은 호렘헤브의 정치 경력이 투탕카멘 아래에서 시작되었다고 언급한다.[7]
호렘헤브는 아멘호테프 3세 시대부터 왕가를 섬긴 군인이었으며, 투탕카멘 시대에는 장군의 지위에 있었다. 기원전 1323년, 고령이었던 ꜣjj|아이egy가 죽은 후, 아이가 후계자로 지명했던 군 사령관 Nakhtmin|나크트민영어을 타도하고 즉위했다. 공주 Mutnedjmet|무트네제메트영어를 아내로 맞이했기 때문에 왕조의 연속성은 유지되었다.
즉위 후 호렘헤브는 군인 출신자를 신관으로 임명하고, 왕조 중기 이후 파라오의 권력을 위협했던 아문 신관단을 통제하에 둠으로써 파라오의 권력을 회복했다. 자신을 아멘호테프 3세의 후계자로 위치시키고, 아크헤나텐 이후 4대의 왕의 존재를 말살하고, 이들 제왕의 업적을 자신의 것으로 삼았다. 아마르나 시대의 제왕, 특히 아크헤나텐의 평판이 좋지 않았기 때문인지, 당시에는 특별히 비난을 받지 않았다.
관계가 좋았던 아이의 사적마저 말소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나크트민을 중용한 것에 대한 반감과 찬탈자로서의 오명으로부터 친구였던 그를 보호하기 위해 두 가지 이유가 생각된다 (그는 나크트민의 기념비 및 조상도 파괴했다).
2. 1. 투탕카멘 시대의 활동
호렘헤브는 투탕카멘 시대에 "이집트 외교를 위한 왕실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직접 누비아 총독을 방문하는 외교 임무를 이끌었다.[7] 이로 인해 "미암의 왕자 (아니바)"가 투탕카멘의 궁정을 방문하는 상호 방문이 이루어졌으며, 이 사건은 총독 후이의 무덤에 묘사되어 있다.[7]호렘헤브는 투탕카멘 아래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내며 군대 사령관이자 파라오의 고문이 되었다. 그의 구체적인 칭호는 그가 관료였을 때 지어진 그의 사카라 무덤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 "세습 왕자, 왕의 오른편 부채 봉사자 및 군대 최고 사령관"
- "남쪽과 북쪽의 외국에서 왕의 발걸음에 동행하는 자"
- "남쪽과 북쪽의 외국으로 그의 군대 앞에서 왕의 사자"
- "유일한 동반자, 아시아인을 죽이는 그 날 전장에서 그의 주인의 발 옆에 있는 자."[8]

투탕카멘이 십 대에 사망했을 때, 호렘헤브는 이미 공식적으로 'rpat' 또는 'iry-pat'(기본적으로 세습 또는 왕세자)와 'idnw'(전 국토의 왕의 대리자)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칭호는 투탕카멘 시대에 만들어진 사카라에 있는 호렘헤브의 당시 개인 멤피스 무덤에서 발견된다.[9]

'iry-pat'(세습 왕자)라는 칭호는 호렘헤브의 사카라 무덤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었지만 다른 단어와 결합되지 않았다. 이집트학자 앨런 H. 가디너는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iry-pat' 칭호가 고대 혈통과 합법적 상속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왕세자"에 대한 지정과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0] 이는 호렘헤브가 투탕카멘의 왕위에 대한 공개적으로 인정된 상속자였음을 의미한다.

호렘헤브에 속한 물건은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견되지 않았지만, 마야와 낙트민 장군과 같은 다른 고위 관리들이 기증한 무덤의 물건은 이집트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노조무 카와이는 호렘헤브가 투탕카멘의 장례식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주장하며, 무덤 벽의 장면은 투탕카멘의 관을 여러 관리들이 끌고 가는 장례 행렬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호렘헤브로 보이는 사람이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두 명의 재상 뒤에 서 있는 유일한 인물이 호렘헤브임이 분명하며, 이는 호렘헤브를 투탕카멘의 미라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게 한다. 이는 호렘헤브가 장례 행렬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12]
2. 2. 아이와의 관계 및 왕위 계승
ꜣjj|아이egy가 파라오로 즉위하면서 호렘헤브와의 관계는 변화하였다. 아이는 낙트민을 후계자로 지명하여[14] 호렘헤브의 왕위 계승 주장을 무시하였다. "왕의 아들"(zꜣ-nswt)이라는 칭호는 명확히 왕의 후계자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었다.[14] 안케세나문(투탕카멘의 왕비)은 평민인 호렘헤브와 결혼하는 것을 선택하지 않았으며, 이는 아이의 왕권을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9]카와이는 호렘헤브 자신이 "아이에게 복수를 꾀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아이가 늙었고 곧 죽을 것이기 때문"이며 단순히 자신의 군사력을 유지했다고 지적한다.[15] 아이의 통치가 4년 남짓 지속된 후, 호렘헤브는 군대 사령관으로서의 지위 덕분에 권력을 잡았고, 투탕카멘과 아이 아래에서 이집트를 훌륭하게 섬긴 것에 대한 보상으로 여겼을 것이다. 호렘헤브는 아이가 자신을 왕위 계승에서 배제하려 한 것에 분개했고, 낙트민의 왕위 경쟁 주장을 빠르게 제거하고 아이의 WV 23 무덤을 훼손하여, 후자의 석관을 부수고, 무덤 벽에서 아이의 이름과 형상을 체계적으로 새겨 없애고 아이의 미라를 파괴했을 것이다.[16] 호렘헤브는 또한 메디네트 하부에 있는 아이의 장례 사원을 찬탈하고 확장하여 자신의 용도로 사용했으며, 17피트 높이의 거대한 조각상 뒷면에 아이의 칭호를 지우고 그 자리에 자신의 칭호를 새겼다.
호렘헤브가 아이에 대해 취한 행동은 역사 기록에서 그의 경쟁자의 기억을 지우는 다마티오 메모리아이였다. 그러나 그는 투탕카멘의 무덤을 훼손하지 않았는데, 이는 투탕카멘이 애초에 그를 두각을 나타내도록 이끌었기 때문이고, 투탕카멘과 적대 관계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3. 치세
호렘헤브는 아크나톤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이집트의 국력을 회복하는 데 힘썼다. 그의 치세는 내부 개혁과 더불어 대외적인 안정으로 이어져, 이후 이집트 제19왕조의 번영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아마르나 시대의 내부 혼란 이후 이집트의 힘과 자신감은 호렘헤브 치세 하에 다시 회복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세티 1세와 람세스 2세와 같은 야심 찬 파라오 아래 제19왕조가 부상하는 발판이 되었다.
호렘헤브는 아멘호테프 3세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아크헤나텐 이후 4대 왕의 존재를 지우고 그들의 업적을 자신의 것으로 돌렸다. 그러나 당시에는 아마르나 시대의 왕들, 특히 아크헤나텐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큰 비난을 받지 않았다.
호렘헤브는 친구였던 아이의 사적마저 말소했는데, 그 이유는 나크트민을 중용한 것에 대한 반감과 찬탈자로서의 오명으로부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즉위 당시 이미 고령이었고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재상이자 군 사령관이었던 파 라메스(람세스 1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호렘헤브의 죽음으로 이집트 제18왕조는 막을 내렸고, 람세스 1세가 제19왕조를 열었다. 호렘헤브의 두 번째 후계자인 세티 1세는 호렘헤브의 딸일 가능성이 있는 타노드지미와 결혼했다.[31]
호렘헤브의 통치 기간은 14년 정도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의 무덤인 KV57은 도굴되어 벽화 일부가 파괴되었고, 가장 안쪽의 현실까지 털렸다. 또한, 그가 죽었을 때 무덤 장식은 미완성 상태였는데, 이는 아멘호테프 2세의 경우처럼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3. 1. 내부 개혁
호렘헤브는 즉위 후 아크나톤 통치 기간 동안 아문 사제단에서 아크나톤의 정부 관리로 이전된 권력 구조를 개혁하기 위한 광범위한 내부 변혁을 시작했다. 아문 신관단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군대 출신 인물들을 사제로 임명하고, 법적 권한을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 사이에서 "각각 재상이 테베와 멤피스에서" 나누도록 하는 등 권력 구조를 개혁했다.[7] 이러한 행적은 카르나크에 있는 자신의 열 번째 탑문 기슭에 세운 비문에 기록되어 있는데, 때때로 ''호렘헤브의 대칙령''[17]이라고 불린다. 이 비문은 양국의 질서를 재확립하고 국가 권한 남용을 억제하기 위한 왕의 포고령 원본을 복사한 것으로, 비문의 제작과 눈에 띄는 위치는 호렘헤브가 국내 개혁에 얼마나 큰 중요성을 두었는지를 강조한다.호렘헤브는 군대를 개혁하고 통치 7년에 데이르 엘-메디나 노동력을 재조직했으며, 그의 관료인 마야는 8년에 도굴범들에 의해 훼손된 투트모세 4세의 무덤을 재건했다.[18] 왕은 아문의 사제직을 복원하는 동시에, 이집트 군대 출신으로 그들의 개인적인 충성에 의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주로 이집트 군대 출신인 사제들을 의도적으로 재임명하여 아문 사제들이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
호렘헤브는 아마르나 시대 이전부터 확립된 옛 질서를 투탕카멘의 복원을 이어갔다. 그는 고대 숭배, 특히 아문을 재도입함으로써 마아트(세계 질서)를 확립한 진정한 파라오임을 증명했다.[2]
즉위 후에는 군인 출신자를 신관으로 임명하고, 왕조 중기 이후 파라오의 권력을 위협했던 아문 신관단을 통제하에 둠으로써 파라오의 권력을 회복했다. 썩어 있던 정계, 관료계 및 군을 개혁했으며, 그의 통치는 엄격했지만 민중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3. 2. 종교 정책
호렘헤브는 아크나톤 통치 기간 동안 약화된 아문 신앙을 복원하고, 아문 신관단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즉위 후 아문의 사제직을 복원하면서, 이집트 군대 출신의 사제들을 임명하여 아문 사제들이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18] 이는 그가 개인적인 충성에 의존할 수 있는 군대 출신을 선호했기 때문이다.[18]호렘헤브는 카르나크 신전에 새로운 탑문을 건설하는 등 종교 건축에도 힘썼다. 그는 아크나톤의 기념물에서 재활용된 탈라타트 블록을 사용하여 카르나크의 대열주실에 있는 두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탑문을 건설했다.[7] 이를 통해 아크나톤 시대에 훼손되었던 전통 신앙을 장려하고,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다.
호렘헤브는 자신의 다양한 이름을 통해 여러 신들에게 의지했다. 그의 즉위명은 '라는 신의 현현은 신성하다'는 의미이며, 그의 출생명에는 '아문이 사랑하는 자'라는 수식어가 붙었다.[2]
호렘헤브는 아텐 신전을 철거하고 그 돌덩이로 아문 신전의 탑문을 건설했다. 이 블록에 새겨진 아르마나 시대의 아텐 부조는 비교적 잘 보존되었다.[2]
대관식 비문은 그가 호루스의 보호를 받고 아문에게 임명되었음을 말해준다. 이 비문은 또한 그가 낡은 신들의 손상된 조각상을 다시 만들고 훼손된 신전을 재건했다고 보고한다. 아문 숭배를 위해 '그는 신에게 봉사할 종과 군대 엘리트 출신의 독서 사제를 제공했다'. 카르나크의 석비에 새겨진 포고령에서 그는 다시 공식적으로 옛 질서의 복원을 확인했다.[2]
즉위 후에는 군인 출신자를 신관으로 임명하고, 왕조 중기 이후 파라오의 권력을 위협했던 아문 신관단을 통제하에 둠으로써 파라오의 권력을 회복했다.
3. 3. 건축 활동
호렘헤브는 이집트 전역에 걸쳐 수많은 사원과 건물을 세운 왕성한 건축가였다. 그는 아크나톤의 기념물에서 재활용된 탈라타트 블록을 사용하여 카르나크 신전의 대열주실에 있는 두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탑문을 건설했다.[7]예상치 못한 왕위 등극으로 인해 호렘헤브는 두 개의 무덤을 건설했다. 하나는 그가 평범한 귀족이었을 때 멤피스 근처 사카라에 지은 무덤이고, 다른 하나는 왕으로서 테베의 왕들의 계곡에 있는 KV57 무덤이다.[19]
4. 치세 기간 논란
호렘헤브의 치세 기간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오랜 논쟁이 있었다. 크게 14~15년 설과 27년 설이 대립하고 있다.
마네토의 기록에는 하르마이스(호렘헤브)의 치세가 4년 1개월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호렘헤브의 무덤(KV57)에서 발견된 증거에 따라 이 수치를 14년 1개월로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0] 2006년과 2007년에 G.T. 마틴과 야코부스 판 다이크가 발굴 조사한 결과, KV 57에서 발견된 와인 항아리 봉인과 문서에 연도 13, 연도 14 등의 기록이 발견되었다.[20]
발견된 문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연도 13. 호렘헤브-메렌-아문, L.P.H.의 재산 와인, 아문의 영역. 서쪽 강. 수석 포도주 양조가 ''티''."[20]
- "연도 14, 호렘헤브-메렌-아문, L.P.H.의 재산에서 나온 좋은 품질의 와인, 아문의 영역에서, 아트피의 포도원에서, 수석 포도주 양조가 ''하티''."[20]
이러한 증거는 데이르 엘-메디나에서 발견된 문서와도 일치하며, 호렘헤브의 치세가 14년 또는 늦어도 15년 와인 수확 전에 끝났음을 시사한다.[20] 또한, 호렘헤브의 왕실 무덤(KV 57)이 미완성 상태라는 점도 14년 설을 뒷받침한다.[20]
반면 27년 설은 람세스 2세 시대의 메스 비문(59년)을 근거로 한다.[26] 이 비문은 호렘헤브의 치세를 59년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아멘호테프 3세와 호렘헤브 사이의 모든 통치자(아크나톤, 네페르네페루아텐, 투탕카멘, 아이)의 통치 기간을 합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은 이러한 계산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27][20]
최근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해석은 호렘헤브가 재위 14년에 사망했거나, 재위 15년을 시작했지만 마지막 해의 와인 수확 전에 사망했다는 주장을 지지한다.[28]
5. 후계 및 왕조 계승
호렘헤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죽기 전에 자신의 재상이었던 파라메세를 후계자로 임명했다. 파라메세는 왕위에 오르면서 람세스 1세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이로써 신왕국 제19왕조가 시작되었다.[29] 호렘헤브의 두 번째 부인 무트네제메트는 네페르티티의 여동생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녀의 무덤에서는 출산 중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정황이 발견되었다.[30] 호렘헤브의 죽음으로 제18왕조는 막을 내렸다.
호렘헤브는 아멘호테프 3세 시대부터 왕가를 섬긴 군인이었고, 투탕카멘 시대에는 장군 지위에 있었다. 기원전 1323년, 아이가 죽은 후, 아이가 후계자로 지명했던 군 사령관 나크트민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공주 무트네제메트와 결혼하여 왕조의 연속성을 유지했다.
호렘헤브는 즉위 후 군인 출신을 신관으로 임명하여 파라오의 권력을 위협했던 아문 신관단을 통제 아래 두면서 파라오의 권력을 회복했다. 그는 자신을 아멘호테프 3세의 후계자로 칭하고, 아크헤나텐 이후 4명의 왕의 존재를 지우고 그들의 업적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호렘헤브는 아마르나 시대 이전의 체제로 복귀하고자 노력했으며, 군 사령관 파 라메스(람세스 1세)의 도움을 받아 정치, 관료, 군대를 개혁했다. 그의 통치는 엄격했지만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다.
호렘헤브는 즉위 당시 이미 나이가 많았고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파 라메스를 파라오로 즉위시켰다. 호렘헤브의 치세는 28년 동안 지속되었다고도 하지만, 최근에는 14년 정도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6. 무덤과 발굴
호렘헤브는 왕가의 계곡의 KV57에 매장되었지만, 무덤은 도굴당해 벽화(가벽)의 일부가 파괴되었고, 가장 안쪽의 현실까지 털렸다.[32] 테오도어 M. 데이비스에 의해 20세기 초에 발굴되었는데, 수세기 동안 도굴과 지각 변동으로 인해 훼손된 무덤이 발견되었다.[32] 석관 뚜껑은 도굴범에 의해 떼어져 부서진 상태였다.[32]
왕위에 즉위한 직후, 호렘헤브는 멤피스 근처의 이전 무덤을 버리고 왕가의 계곡에 무덤을 지었다. 처음으로 왕실 무덤의 장식으로 ''관문의 서''의 장면이 매장실에 사용되었다.[2]
7. 문화적 묘사
호렘헤브는 다양한 매체에서 묘사되었다.
- 미카 발타리의 소설을 영화화한 이집트인(1954)에서 빅터 매튜어가 호렘헤브를 연기했다.[33]
- 라울 아라이자의 멕시코 단편 영화 네페르티티와 아케나톤(1973)에서 살라 주피카르가 호렘헤브 역을 맡았다.
- 2015년 미국 스파이크와 영국 채널 5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투탕카멘''에서 논소 아노지가 호렘헤브를 연기했다.
- 필립 글래스의 오페라 《아크나톤》에서 호렘헤브는 바리톤이 부르는 등장인물이다.
- 닉 드레이크의 미스터리 소설 3부작(『죽은 자의 책』, 『투탕카멘』, 『카오스의 책』)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 P. C. 도허티의 역사 소설 3부작(『서쪽에서 온 악령』, 『하이에나의 계절』, 『코브라의 해』)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 폴린 게지의 역사 소설 『열두 번의 변신』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 케이티 햄스테드의 3부작(『키야: 파라오의 희망』, 『키야: 왕의 어머니』, 『키야: 새로운 왕조의 부상』)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 카야 메릿의 역사 3부작 『빛의 유산』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 미셸 모란의 소설 『네페르티티』와 『이단 여왕』에서 호렘헤브는 조연이다.
- 린다 수잔 로빈슨의 이집트 미스터리 시리즈 『메렌 경』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 시노하라 치에의 일본 만화 『하늘은 붉은 강가(Red River)』에서 호렘헤브는 조연이다.
- 미카 발타리의 1945년 소설이자 국제 베스트셀러인 『이집트인』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33]
- 앨런 드러리의 소설 두 편에서 호렘헤브는 원래 『카이레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34][35] 이 소설에서 그는 아이의 사생아이며, 시타문과 불륜 관계를 맺는다. 처음에는 선량한 궁정 신하로 묘사되지만, 아멘을 죽이고 아크헤나톤을 위해 테베의 아문 신전을 약탈하는 등 의심스러운 임무를 수행하면서 냉혹하고 야심적으로 변한다. 그는 아크헤나톤과 투탕카멘의 죽음에도 역할을 한다. 투탕카멘 사후 아이가 왕위를 차지하지만, 호렘헤브는 병든 아이를 설득하여 자신을 후계자로 받아들이게 한다.
- 주디스 타르의 역사 소설 『불의 기둥』에서 호렘헤브는 주요 등장인물이다.
참조
[1]
서적
Die Ägyptischen Personennamen, Bd. 1: Verzeichnis der Namen
http://gizamedia.rc.[...]
J.J. Augustin
2020-07-24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Sterling Publishing Co., Inc.
[3]
서적
Ancient Egyptian Chronology
https://archive.org/[...]
Brill
[4]
웹사이트
Ramesses
http://www.carlos.em[...]
carlos.emory.edu
2015-08-01
[5]
간행물
The coronation of king Haremhab
[6]
웹사이트
The Full Collection
http://www.virtual-e[...]
Virtual Egyptian Museum
2006-08-17
[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ANET)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dissertation
The New Kingdom Necropolis of Memphis
University of Groningen
2012-04-07
[10]
간행물
The coronation of King Haremhab
[11]
문서
Ay vs Horemheb: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18th Dynasty Revisited
https://www.academia[...]
[12]
문서
Ay vs Horemheb: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18th Dynasty Revisited
https://www.academia[...]
[13]
문서
Ay vs Horemheb: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18th Dynasty Revisited
https://www.academia[...]
[14]
서적
Urkunden der 18. Dynastie: Texte der Hefte 20-21
Akademie-Verlag
[15]
문서
Ay vs Horemheb: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18th Dynasty Revisited
https://www.academia[...]
[16]
서적
Topographical Bibliography of Ancient Egyptian Hieroglyph Texts, Reliefs and Parts
Clarendon Press
[17]
웹사이트
The Great Edict of Horemheb
http://www.reshafim.[...]
reshafim.org.il
2008-02-09
[18]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Ltd
[19]
서적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
간행물
New evidence on the length of the reign of Horemheb
https://www.jacobusv[...]
[21]
서적
La ceramique du Nouvel Empire a Deir Medineh
[22]
서적
Catalogues des etiquettes de jarres hieratiques de Deir el Medineh
[23]
서적
Pyramid Studies and Other Essays presented to I.E.S. Edwards
[24]
문서
Maya's Chief Sculptor Userhat-Hatiay. With a Note on the Length of the Reign of Horemheb PDF
https://www.jacobusv[...]
[25]
간행물
Nur ein kurioser Irrtum oder ein Beleg für die Jahr 26 und 27 von Haremhab?
[26]
웹사이트
Inscription of Mes
http://www.reshafim.[...]
reshafim.org.il
2009-04-10
[27]
서적
Urkunden der 18 Dynastie: Texte der Hefte 20–21
Akademie-Verlag
[28]
문서
Radiocarbon, Wine Jars and New Kingdom Chronology PDF
https://www.academia[...]
[29]
서적
The Hidden Tombs of Memphis
Thames & Hudson
[30]
서적
Scanning the Pharaohs: CT Imaging of the New Kingdom Royal Mumm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2
[31]
문서
Mladjov 2014
[32]
AV media
Haremhab, Pharaoh and Conqueror: New Investigations in His Royal Tomb in the Valley of the Kings
https://www.youtube.[...]
The Met
2017-02-23
[33]
서적
Sinuhe Egyptiläinen
Werner Söderström Osakeyhtiö
1945-11
[34]
서적
A God Against the Gods
Doubleday
1976-07
[35]
서적
Return to Thebes
Doubleday
197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