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야 (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야는 상록 다년생 덩굴 또는 관목 식물로, 덩굴성 줄기와 다육질 잎, 별 모양의 독특한 꽃을 특징으로 한다. 호야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덩굴성 습성을 통해 나무나 바위에 착생하여 자란다. 꽃은 산형화서로 피며, 흰색, 분홍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띠고 향기를 내며, 꿀을 생성한다. 잎은 다양한 모양과 질감을 가지며, 잎의 크기, 엽맥, 반점 등의 특징으로 종을 구별한다. 호야는 실내 공기 정화 능력과 매력적인 외형으로 인해 실내 식물로 인기가 높으며,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야 - 호야 케리
    호야 케리는 하트 모양 잎을 가진 덩굴성 다년생 식물로, '하트 호야'라고도 불리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특히 젊은 세대에게 인기가 높다.
호야 (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Hoya lanceolata subsp. bella
학명Hoya
명명자R.Br.
하위 분류
호야 종 목록
이명

2. 설명

''호야 카르노사''(Hoya carnosa)의 꽃


호야는 상록 다년생 덩굴 또는 덩굴식물, 드물게는 관목이다. 주로 나무에서 착생하여 자라지만, 일부는 땅이나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자라기도 한다. 덩굴은 다른 물체를 휘감거나 우발적으로 생성된 뿌리를 이용해 올라간다. 큰 종은 1m에서 18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지지대가 충분하면 더 크게 자라기도 한다.

잎은 보통 마주나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며(전연), 대부분 전형적인 다육 식물의 특징을 보인다. 잎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표면 질감도 부드럽거나 펠트 또는 털이 있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엽맥이 뚜렷하게 보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많은 종의 잎 표면에는 불규칙한 작은 은빛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잎의 상세한 다양성은 아래 '잎' 섹션 참조)

은 보통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 산형(傘形)으로 여러 개가 모여 핀다. 이 꽃자루는 흔히 '스퍼'(spurseng)라고 불리며, 대부분의 종에서 여러 해 동안 꽃을 피우고 좀처럼 시들지 않는다. 꽃이 피는 주기가 반복될수록 꽃자루의 길이는 점점 길어져, 큰 종의 경우 27cm 이상에 달하기도 한다. 꽃의 크기는 직경 3mm(''Hoya bilobata'' Schltr.)에서 95mm(''H. lauterbachii'' K. Schuman)까지 매우 다양하다. 꽃은 일반적으로 별 모양이며, 두껍고 밀랍 같은 느낌의 삼각형 꽃잎 5개 위에 또 다른 별 모양 구조인 '코로나'(coronaeng)가 있다. 꽃 색깔은 대부분 흰색에서 분홍색 사이지만, 노란색, 주황색, 짙은 빨간색에서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색, 또는 녹색인 꽃도 있다. 많은 종의 꽃은 향기가 나며, 대부분 풍부한 꽃꿀을 생산한다. (꽃의 상세한 다양성은 아래 '꽃' 섹션 참조)

꽃가루 매개자로는 나방, 파리, 개미 등이 알려져 있으나, 수분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온대 지역에서 야외에 둔 호야가 씨앗을 맺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지역의 곤충이 수분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씨앗은 보통 쌍으로 열리는 골돌 안에 들어 있으며, 가볍고 부드러운 솜털 다발이 붙어 있어 바람을 타고 퍼져나간다. 씨앗은 빨리 발아하지만 오래 살지는 못한다.

''호야'' 속 식물은 대부분 착생 또는 암생 덩굴식물이며, 드물게 땅에 뿌리를 내리거나 관목 형태를 띤다. 줄기를 자르면 흰색 라텍스가 나오며, 때로는 부착 뿌리가 있는 덩굴성이거나 기어 다니거나 늘어지는 줄기를 갖는다. 줄기는 단면이 원통형이며 가지를 많이 치지는 않는다.[2][3][4][5][6] 열매는 방추형에서 타원형의 골돌이며, 납작하고 달걀 모양에서 긴 타원형의 씨앗이 들어 있고, 씨앗 한쪽 끝에는 털 뭉치가 있다.[2][4][5]

호야의 여러 종은 매력적인 잎과 향기로운 꽃 때문에 온대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실내용화초로 재배된다. 특히 ''H. carnosa'', ''H. pubicalyx''(종종 ''H. carnosa'' 또는 ''H. purpurea-fusca''로 잘못 표기됨), ''H. kerrii'' 등이 흔히 판매된다. 호야는 밝은 빛을 선호하지만 낮은 광도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며, 밝은 빛이 있어야 꽃이 잘 핀다. 번식이 쉬워 꺾꽂이나 화분 형태로 유통된다.

''Hoya carnosa''는 조지아 대학의 연구 결과 실내 오염 물질 제거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12]

다양한 문화권, 특히 폴리네시아 문화에서는 호야를 약용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일부 종은 가축에게 독성이 있으며 호주에서는 양이 중독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몇몇 호야 종과 재배품종은 테라리움 식물로도 활용된다.

2. 1. 잎

호야의 잎은 크기, 질감, 색상, 엽맥이 매우 다양하다. 잎의 크기는 길이 최소 5mm, 폭 2mm ~ 4mm인 ''Hoya engleriana'' Hosseus부터 길이 25cm, 폭 35cm에 달하는 ''Hoya latifolia'' G. Don까지 다양하다. ''Hoya coriacea'' Blume는 잎 길이가 약 0.61m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잎 모양 또한 다양하여, 거의 완전히 둥근 잎을 가진 종부터 ''Hoya linearis'' Wall. ex. D. Don나 ''Hoya teretifolia'' Griff. ex Hook. f.처럼 선형 잎을 가진 종도 있다. 인기 있는 종인 ''Hoya Shepherdii'' Short ex Hook는 줄기에 풋강낭콩 모양의 잎이 다발로 매달려 있다. ''Hoya linearis'' Wall. ex D. Don은 가느다란 솜털로 덮여 있으며, 자생지에서는 나무에 매달려 있는 스페인 이끼(학명: ''Tillandsia usneoides'') 덩어리와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일부 호야 잎은 잎맥이 거의 보이지 않는 반면, ''H. cinnomomifolia''처럼 나머지 잎보다 밝거나 어두운 색의 눈에 띄는 잎맥을 가진 종도 있다. ''Hoya carnosa'' R. Br.나 ''Hoya pubicalyx''처럼 은백색 반점으로 얼룩덜룩한 잎을 가진 경우도 있으며, ''Hoya coriacea'' Blume처럼 잎이 얇고 반투명한 종도 있다. 반대로 ''Hoya australis'' ssp. ''rupicola'', 호주의 ''oramicola'' 및 ''saniae'', 태국의 ''Hoya pachyclada''처럼 잎이 매우 두껍고 즙이 많아 대구돌나물처럼 보이는 종도 있다. 특히 다육질인 ''Hoya kerrii'' Craib는 줄기에서 갈라진 틈이 있는 거꾸로 된 하트 모양(obcordate)의 잎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호야 잎은 가죽질이며, 종종 육질이거나 다육질이다. 모양은 타원형, 달걀 모양, 능형 또는 창 모양 등 다양하며, 털이 없는 경우도 있고 털이 있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잎자루가 있다.[2][3][4][5][6]

2. 2. 꽃

''호야 민도렌시스''(Hoya mindorensis)의 꽃


호야 꽃은 꼭지점이 다섯 개인 별 모양이다. 일부 종의 꽃잎은 꽃이 둥글거나 공처럼 보일 정도로 굽어 있으며, 산형화서(umble) 또는 일부 종에서는 단독으로 자란다. 산형화는 일부 종에서 인상적인 형태를 만들어 내며, 많은 종에서 개별 꽃의 직경은 75mm가 넘는다(''H. imperialis'' Lindl., ''H. lauterbachii'' K. Schuman). ''호야 코리아키아'' 블루메(''H. coriacea'' Blume)는 꽃차례 하나에 꽃이 70개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각각은 직경이 거의 2cm이고 산형화의 폭은 30cm가 넘는다. 꽃이 하나만 피는 ''호야 파우키플로라''(''Hoya pauciflora'' Wight)는 직경이 거의 40mm에 달하는 꽃을 연중 아무 때나 만들어내지만 그 수는 몇 개 되지 않는다. 꽃 표면의 질감은 부드럽고 광택이 나거나, 무광택, 미세한 털이 있거나, 털이 많은 것도 있다. 필리핀 원산인 ''호야 민도렌시스''(''Hoya mindorensis'' Schltr.)의 두 복제식물 중 하나는 빨간색에 매우 가깝다. 파란색, 자주색, 보라색 꽃은 ''호야'' 속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꽃은 종종 육질 또는 왁스질이며, 잎 사이의 꽃자루에 산형화서 또는 총상화서로 배열되며, 꽃자루는 보통 해마다 지속된다. 꽃잎은 바퀴 모양 또는 관 모양이며, 5개의 육질, 다소 주발 모양의 수평으로 퍼지는 잎조각이 수술의 꽃밥 기둥에 붙어 있고, 꽃잎 조각과 번갈아 나타나는 눈에 띄는 고리를 형성한다.[2][3][4][5][6]

3. 분류

호야 속은 1810년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이 그의 저서 ''Prodromus Florae Novae Hollandiae et Insulae Van Diemen''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술하였다.[7] 속명은 노섬벌랜드 공작의 정원사였던 토마스 호이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2] 브라운이 기술한 최초의 ''호야'' 종이자 모식종은 ''호야 카르노사''이다.[7] 호야 속에는 다양한 종이 포함되며, 주요 종에 대한 정보는 아래 '주요 종'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종

아래 목록은 Albers와 Meve (2002)의 연구 및 플랜트 리스트와 트로피코스에서 승인된 주요 호야 속 식물 종이다.[7]

분포 지역
Hoya archboldiana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Hoya australis오스트레일리아, 피지, 인도네시아 (이리안자야),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통가
Hoya bilobata필리핀
호야 카르노사중국, 인도, 일본, 대만,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피지
Hoya celebica
Hoya cinnamomifolia인도네시아 (자바)
Hoya imbricata인도네시아 (술라웨시), 필리핀
Hoya kerrii중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자바), 라오스, 북서태국, 남베트남
Hoya macgillivrayi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Hoya megalaster파푸아뉴기니
Hoya meliflua필리핀
Hoya obscura필리핀
Hoya serpens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인도 (동히말라야), 네팔
Hoya siamica캄보디아, 인도, 라오스, 북서태국, 베트남


4. 재배 및 이용

많은 호야 종은 매력적인 잎과 강한 향기를 가진 때문에 온대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실내 식물이다.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재배되고 있으며, 실내 공기 정화 효과가 있는 종도 있고 폴리네시아 등지에서는 약용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일부 종은 가축에게 독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4. 1. 실내 공기 정화

''호야 카르노사''는 조지아 대학교의 연구 결과, 실내 환경의 오염 물질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2][8]

4. 2. 약용

다양한 문화권, 특히 폴리네시아 문화권에서는 호야를 약용으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일부 호야는 가축에게 유독하며, 호주에서는 양이 호야를 먹고 중독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4. 3. 기타

많은 호야 종은 매력적인 잎과 강한 향기를 가진 때문에 온대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실내 식물이며, 특히 ''H. carnosa''가 대표적이다. 잎 모양이나 꽃 색깔에 따라 다양한 품종(cultivar)이 개발되었다. 호야는 실내에서도 잘 자라며, 밝은 빛을 선호하지만 비교적 낮은 광도에서도 잘 견딘다. 다만,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밝은 빛이 필요하다. 꽃은 보통 봄부터 여름 사이에 피며, 여러 개의 작은 꽃이 모여 공 모양의 꽃무리를 이룬다. 각 꽃무리(cluster)는 별 모양의 작은 꽃 약 40개로 이루어지며, 분홍색, 흰색, 보라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을 띠고 초콜릿이나 바닐라 같은 강한 향기를 내뿜는다. 관리를 잘하면 매년 꽃을 볼 수 있다.[11]

묘목장 등에서 실내 식물로 흔히 판매되는 호야 품종으로는 ''H. carnosa''(크림슨 퀸, 힌두 로프 − 콤팩타), ''H. pubicalyx''(종종 ''H. carnosa'' 또는 ''H. purpurea-fusca''로 잘못 표기되기도 함), ''H. kerrii'' 등이 있다. 호야는 번식이 쉬워 뿌리가 있거나 없는 상태의 잘라낸 줄기 또는 화분에 심긴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Hoya carnosa''는 조지아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실내 환경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다양한 문화권, 특히 폴리네시아 문화권에서는 호야를 약용으로 사용해왔다. 하지만 일부 호야 종은 가축에게 독성이 있으며, 호주에서는 양이 호야를 먹고 중독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몇몇 ''호야'' 종과 품종은 테라리움 식물로도 인기가 있다.

2023년 레이첼 콜레트 콘로이(Rachel Collett Conroy)가 ''호야'' 속 식물에 대한 국제 품종 등록 기관(ICRA, International Cultivar Registration Authority)으로 임명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Hoya" https://powo.science[...] Plants of the World Online 2024-11-27
[2] 웹사이트 "Hoya" https://profiles.ala[...] Flora of Australia.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Energy, the Environment and Water: Canberra. 2024-11-27
[3] 웹사이트 Genus Hoya https://plantnet.rbg[...] Royal Botanic Garden, Sydney 2024-11-27
[4] 웹사이트 "Hoya" https://eflora.nt.go[...]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2024-11-27
[5] 서적 Illustrated Handbook of Succulent Plants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04
[6] FloraBase
[7] 서적 Prodromus Florae Novae Hollandiae et Insulae Van Diemen https://www.biodiver[...] Typis R Taylor, veneunt apud J. Johnson 2024-11-27
[8] 뉴스 UGA research shows some plants can remove indoor pollutants https://news.uga.edu[...] University of Georgia 2024-11-27
[9] 웹사이트 ICRA Report Sheet https://www.ishs.org[...]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023-10-12
[10] 서적 Prodromus florae Novae Hollandiae et Insulae Van-Diemen, exhibens characteres plantarum quas annis 1802-1805 per oras utriusque insulae collegit et descripsit Robertus Brown; insertis passim aliis speciebus auctori hucusque cognitis, seu evulgatis, seu ineditis, praaesertim Banksianis, in primo itinere navarchi Cook detectis https://www.biodiver[...] Richard Taylor and [[Biodiversity Heritage Library]] 1810
[11] 웹인용 PLANT CRAZE https://plantscraze.[...] 2023-01-20
[12] 서적 UGA research shows some plants can remove indoor pollutants https://news.uga.edu[...] 2009-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