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혹멧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혹멧돼지는 멧돼지과에 속하는 아프리카산 돼지이며, 4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혹멧돼지는 몸길이 0.9~1.5m, 어깨 높이 63.5~85cm이며, 위로 굽은 두 쌍의 엄니가 특징이다. 잡식성으로 풀, 뿌리, 열매 등을 먹으며, 굴을 파거나 다른 동물이 버린 굴에서 생활한다. 혹멧돼지는 무리 생활을 하며, 주요 방어 수단은 빠르게 도망가는 것이다. 2020년 미국 텍사스에서 탈출한 혹멧돼지 후손이 발견되었고, 1999년 기준 남아프리카의 개체수는 약 25만 마리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8년 기재된 포유류 - 큰수달
    큰수달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현존하는 수달 중 가장 긴 몸길이를 가진 족제비과 동물로, 무리 생활을 하는 사회적인 동물이었으나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현재는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 보존을 위해 힘쓰고 있다.
  • 1788년 기재된 포유류 - 아이아이
    아이아이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야행성 영장류로, 독특한 형태와 가늘고 긴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한 먹이 습성을 가지며,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멧돼지과 - 바비루사
    바비루사는 인도네시아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돼지과 동물로,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 멧돼지과 - 멧돼지속
    멧돼지속은 긴 주둥이와 44개의 치아를 가진 멧돼지과의 포유류 속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멧돼지, 집돼지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잡식성으로 땅을 파헤쳐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으며, 집돼지는 가축화되었지만 야생 멧돼지는 침입종으로 생태계를 교란하기도 하고 인수공통감염병의 매개체가 되거나 인간의 생의학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 요한 프리드리히 크멜린이 명명한 분류군 - 집비둘기
    집비둘기는 바위비둘기에서 유래하여 인간에 의해 가축화된 조류로, 전 세계 도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다양한 품종으로 사육되지만, 도시에서는 배설물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요한 프리드리히 크멜린이 명명한 분류군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혹멧돼지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혹멧돼지 수컷
혹멧돼지 수컷 (츠왈루 칼라하리 보호구역, 남아프리카 공화국)
혹멧돼지 암컷
혹멧돼지 암컷 (에토샤 국립공원, 나미비아)
학명Phacochoerus africanus
명명자(Gmelin, 1788)
멸종 위기 등급최소 관심
혹멧돼지 분포
혹멧돼지 분포 지역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
멧돼지과
혹멧돼지속
혹멧돼지
아종4 아종; 본문 참조
아종
Phacochoerus africanus aeliani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Phacochoerus africanus africanus남아프리카, 잠비아
Phacochoerus africanus massaicus케냐, 탄자니아
Phacochoerus africanus sundevallii앙골라, 모잠비크

2. 분류

혹멧돼지는 멧돼지과에 속하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동물이다. 이전에는 혹멧돼지속(*Phacochoerus*)의 유일한 종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사막혹멧돼지 (*Phacochoerus aethiopicus*)가 별도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2. 1. 아종

이미지아종분포
노란 혹멧돼지(P. a. africanus) 그멜린, 1788베냉,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감비아, 가나, 기니비사우, 코트디부아르, 모리타니, 나이지리아, 세네갈, 남수단, 수단, 토고
에리트레아 혹멧돼지(P. a. aeliani) 크레츠슈마르, 1828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지부티, 소말리아
동아프리카 또는 중앙 아프리카 혹멧돼지(P. a. massaicus) 뢴베리, 1908부룬디, 케냐,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
남부 혹멧돼지(P. a. sundevallii) 뢴베리, 1908앙골라,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


3. 형태

혹멧돼지는 중간 크기의 종으로, 머리부터 몸까지의 길이는 0.9m에서 1.5m이며, 어깨 높이는 63.5cm에서 85cm이다. 암컷은 45kg에서 75kg으로, 수컷의 60kg에서 150kg보다 작고 가볍다.[6][4] 혹멧돼지는 입에서 튀어나와 위로 굽은 두 쌍의 엄니로 식별할 수 있다. 윗니보다 훨씬 짧은 아랫니는 입을 열고 닫을 때마다 윗니에 부딪혀 날카로워진다. 윗쪽 송곳니는 길이가 25.5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넓은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깊이가 약 4.5cm이고 너비가 2.5cm이다. 엄니는 뿌리에서 90° 이상 굽어지며, 자라면서 약간 뒤로 굽어져서 테이블 위에 평평하게 놓이지 않는다. 엄니는 땅을 파는 데 사용되지 않지만,[5] 다른 멧돼지와의 싸움과 포식자로부터의 방어에 사용되며, 아래쪽 엄니는 심한 상처를 입힐 수 있다.

혹멧돼지 상아는 끊임없이 자라는 송곳니에서 채취된다. 특히 윗니는 축소된 코끼리 엄니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엄니는 주로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의 관광 상품으로 조각된다.

혹멧돼지의 머리는 크고 등뼈에서 등 중간까지 갈기가 있다.[6] 몸에는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색상은 보통 검은색 또는 갈색이다. 꼬리는 길고 털 뭉치로 끝난다. 혹멧돼지는 피하 지방이 없고 털이 드물어서 극심한 환경 온도에 취약하다.[6]

수컷 혹멧돼지의 두개골


런던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의 골격, 영국 런던

4. 생태

혹멧돼지는 사바나 서식지에 적응하여 풀을 뜯어 먹는 유일한 돼지 종이다.[7] 잡식성으로 풀, 뿌리, 열매, 나무껍질, 곰팡이, 곤충, 알, 썩은 고기 등 다양한 먹이를 먹으며,[8] 계절에 따라 먹이 종류가 달라진다. 우기에는 짧은 다년생 풀을, 건기에는 구근, 줄기줄기, 영양가 있는 뿌리를 먹는다.[7][9]

혹멧돼지는 코와 발을 사용하여 땅을 파는 능력이 뛰어나다. 먹이를 먹을 때는 앞발을 뒤로 구부리고 손목으로 움직이는데, 이때 손목을 보호하는 굳은살 패드가 태아 때부터 형성된다.[10] 더위에는 진흙에서 뒹굴고, 추위에는 서로 몸을 모아 체온을 유지한다.[11]

혹멧돼지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도 코끼리 국립공원에서 풀을 뜯고 있다.

4. 1. 굴

혹멧돼지는 스스로 굴을 파기도 하지만, 종종 땅돼지[9]나 다른 동물이 버린 굴을 차지하기도 한다. 혹멧돼지는 필요할 경우 밖으로 뛰쳐나갈 수 있도록 머리를 입구 쪽으로 향하게 하여 굴로 뒷걸음질 쳐 들어간다.

4. 2. 방어

혹멧돼지는 주로 싸우기보다는 빠르게 도망치는 방식으로 자신을 방어한다. 위협을 느끼면 최대 48km/h의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꼬리를 세우고 엄니가 바깥쪽을 향하게 한 채 굴 속으로 엉덩이부터 들어간다.[12] 주요 포식자로는 인간, 사자, 표범, 치타, 악어, 야생 개, 하이에나 등이 있다. 맹금류인 베로 독수리 부엉이나 전투 독수리가 새끼 혹멧돼지를 사냥하기도 하지만,[13][14] 어미 혹멧돼지는 새끼를 적극적으로 방어한다. 때로는 혹멧돼지가 대형 포식자를 공격하여 상처를 입히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줄무늬 몽구스나 검은털원숭이가 혹멧돼지의 몸에 붙은 진드기를 제거해주는 모습도 관찰된 바 있다.[15]

혹멧돼지가 표범과 싸우고 있다.

4. 3. 사회 행동

혹멧돼지는 영역 동물이 아니며, 대신 행동권을 차지한다.[16] 혹멧돼지는 사운더(무리)라고 불리는 무리 생활을 한다. 암컷은 새끼들과 다른 암컷들과 함께 사운더에서 생활하며,[8] 태어난 무리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반면 수컷은 무리를 떠나지만 행동권 내에 머문다.[8] 준성체 수컷은 수컷 무리를 이루지만, 성체가 되면 혼자 생활한다.[7] 성체 수컷은 발정기 암컷이 있는 사운더에만 합류한다. 혹멧돼지는 엄니 샘과 피지선, 두 개의 안면 샘을 가지고 있다. 암수 모두 생후 약 6~7개월부터 영역 표시를 시작하며,[17] 수컷이 암컷보다 더 많이 영역 표시를 하는 경향이 있다.[17] 혹멧돼지는 수면 및 먹이 섭취 구역과 물웅덩이에 영역 표시를 하며,[17] 구애, 적대적 행동, 지위 확립을 위해 엄니로 영역 표시를 한다.[17]

4. 4. 번식

혹멧돼지는 계절성 번식 동물이다.[7] 발정기는 우기 말 또는 건기 초에 시작되며, 출산은 다음 우기 시작 무렵에 시작된다.[7] 짝짓기 방식은 "중복 난혼"으로 묘사된다. 수컷은 여러 암컷의 행동권과 겹치는 범위를 가지며, 암컷의 일상 행동은 예측 불가능하다. 수컷은 발정기에 두 가지 짝짓기 전략을 사용한다. "유지 전술"을 사용하는 수컷은 특정 암컷이나 암컷에게 가치 있는 자원을 지키고 방어한다.[18] "배회 전술"을 사용하는 수컷은 발정기 암컷을 찾아 경쟁한다.[18] 수컷은 암컷이 굴에서 나올 때까지 기다린다.[7] 우세한 수컷은 자신의 암컷에게 접근하려는 다른 수컷을 모두 쫓아낸다. 암컷이 굴을 떠나면 수컷은 자신의 우위를 과시하려 하고, 교미 전에 암컷을 따른다.[7]

전형적인 임신 기간은 5~6개월이다. 출산할 때가 되면 암컷은 잠시 가족을 떠나 별도의 굴에서 출산한다.[7] 한 배 새끼는 2~8마리이며, 일반적으로 2~4마리이다. 어미는 새끼에게 젖을 먹이면서 몇 주 동안 굴에 머문다.[7] 혹멧돼지 어미는 자신의 새끼를 잃으면 다른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것이 관찰되었다.[19] 이러한 행동은 알로젖먹이기로 알려져 있으며, 협력적 번식의 특징을 나타낸다. 새끼는 약 2~3주에 풀을 뜯기 시작하며 6개월이 되면 젖을 뗀다.[7] 새끼는 빠르게 이동성을 얻고 방어를 위해 어미 곁에 머문다.[20]

5. 보존 상태

1999년 기준으로 남아프리카 혹멧돼지 개체수는 약 25만 마리로 추정되었다.[22] 보호 구역 내 평균 밀도는 1km2에서 10km2 사이이며, 케냐 나쿠루 국립 공원의 짧은 풀밭에서는 77km2의 밀도가 관찰되었다.[23] 혹멧돼지는 가뭄과 (특히 개를 이용한) 사냥에 취약하여 지역에 따라 멸종될 수도 있다.[1]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여러 보호 구역에 서식한다.[1]

6. 인간과의 관계

혹멧돼지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주어진 원본 자료에 충분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6. 1. 침입종

2020년, 미국 텍사스 남부에서 사냥터에서 탈출한 멧돼지의 후손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이 발견되었다.[24]

참조

[1] 간행물 Phacochoerus africanus 2022-04-18
[2] 문서
[3] 문서
[4] 웹사이트 Common Warthog Phacochoerus africanus http://www.denverzoo[...] 2013-07-30
[5]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Vol. 2 Lynx Edicions 2011
[6] 웹사이트 Phacochoerus africanus common warthog http://animaldiversi[...] Animaldiversity.ummz.umich.edu 2005-03-11
[7] 서적 The Behavior Guide to African Mammals, Including Hoofed Mammals, Carnivores, Primat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8] 서적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The Gale Group Inc. 2004
[9] 서적 East African Mammals: An Atlas of Evolution in Africa, Volume 3, Part B: Large Mamma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10] 서적 Southern African wildlife: a visitor's guide Bradt Travel Guides
[11] 웹사이트 Pigs, Peccaries and Hippos Status Survey and Action Plan http://www.iucn.org/[...]
[12] 웹사이트 Facts About Warthogs https://www.livescie[...] 2017-03-21
[13] 웹사이트 Martial Eagle Kills Baby Warthog http://www.orion-hot[...] 2012-08-22
[14] 서적 Owls of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009
[15] 웹사이트 Warthog – Africa's Jester http://www.wildwatch[...] 2012-08-22
[16] 논문 Definitions of territoriality used in the study of variation in vertebrate spacing systems
[17] 논문 New Facial Gland in Domestic Pig
[18] 논문 Roamers Stayers: A Model on Male Mating Tactics and Mating Systems
[19] 논문 Age Related Participation in Allosucking by Nursing Warthogs 1999
[20] 서적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in Hoofed Mammals Indiana University Press 1984
[21] 웹사이트 Phacochoerus africanus (common warthog) https://animaldivers[...] 2022-12-15
[22] 간행물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nsboundary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reas in Southern Africa – Environmental Context Biodiversity Support Program 1999
[23] 논문 Monographie des warzenschweines (Phacochoerus aethiopicus)
[24] 웹사이트 Warthogs on the loose in Texas — African hogs likely escapees from ranches that import exotics - Texas Hunting & Fishing | Lone Star Outdoor News https://www.lsonews.[...] 2015-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