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홈페이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홈페이지는 웹 브라우저에서 홈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거나, 웹사이트의 메인 웹 페이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이러한 의미로 널리 사용된다. 홈페이지는 웹사이트 방문자를 유치하는 랜딩 페이지 역할을 하거나, 웹 서버 디렉토리 색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며, 웹 디자인은 홈페이지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또한 웹 브라우저 시작 시 표시되는 페이지를 의미하기도 하며, 브라우저,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설치 시 설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사이트 - 시밀러웹
    시밀러웹은 웹사이트와 앱의 트래픽 및 사용자 행동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되어 투자를 유치하며 성장했고, 2021년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마케팅, 영업, 시장 조사 등에 필요한 데이터와 웹사이트 및 앱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 웹사이트 - 팬사이트
    팬사이트는 특정 대상에 대한 팬덤 형성을 목적으로 팬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웹사이트로, 소셜 미디어 등장 이전에는 팬덤 커뮤니티의 소통 창구 역할을 했으며, 현재도 웹사이트 기능의 자유, 스타일링 유연성, 독립성 등의 장점으로 팬덤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웹 디자인 - 웹 접근성
    웹 접근성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및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며, 웹 콘텐츠, 저작 도구,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과 법률,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접근성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웹 디자인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홈페이지
기본 정보
유형웹 페이지
용도소개
콘텐츠 메뉴
탐색 지원
관련 항목웹사이트
웹 브라우저
URL
웹 서버
웹사이트에서의 역할
목적방문자에게 웹사이트의 목적과 콘텐츠를 소개하고, 다른 페이지로의 접근성을 제공함
중요성웹사이트의 첫인상을 결정하며, 방문자의 탐색을 돕는 중요한 요소임
디자인 고려사항명확하고 간결한 메시지 전달
사용하기 쉬운 탐색 시스템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디자인
웹 표준 준수 및 접근성 확보
기술적 측면
기술HTML
CSS
JavaScript
접근 방법URL 직접 입력
검색 엔진
다른 웹사이트 링크
추가 정보
다른 이름시작 페이지
메인 페이지
인덱스 페이지
설명웹사이트의 첫 페이지로, 웹사이트의 목적과 내용을 소개하고 다른 페이지로 연결되는 역할을 함

2. 홈페이지의 기능 및 역할

홈페이지라는 용어는 본래 웹사이트의 첫 화면, 즉 메인 웹 페이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프론트 페이지나 웹 서버 디렉토리 색인과 유사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 미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홈페이지'가 단순히 첫 페이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회사나 단체의 전체 웹사이트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미국에서는 1990년대 말 이후 이러한 용법이 줄어들고 '웹사이트'라는 용어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홈페이지'를 줄여서 '홈피'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싸이월드의 미니홈피가 대표적인 예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PC용 홈페이지 외에도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를 함께 제공하는 추세이다. 홈페이지는 방문자가 검색 엔진 등을 통해 웹사이트로 들어올 때 처음 마주하는 페이지로서, 방문자를 유치하거나 사이트 내 다른 페이지로 안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홈페이지 페이지 디자인은 웹사이트에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3] 웹사이트의 첫인상을 결정하고 해당 기업이나 단체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2. 1.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

홈페이지라는 용어는 웹사이트(그룹, 회사, 단체, 개인)의 메인 웹 페이지(Web Page)를 일컫는 데에도 사용된다.[26] 이는 웹사이트의 '표지'에 해당하는 페이지로, '''톱 페이지'''[26], '''인덱스 페이지''', '''프론트 페이지'''라고도 불린다.

메인 페이지에는 주로 다른 콘텐츠로의 입구나 사이트 설명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위키백과 일본어판의 "메인 페이지"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방문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 웹사이트로 처음 들어올 때 보게 되는 경우가 많아, 방문자를 유치하는 랜딩 페이지 역할을 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여러 하위 페이지를 안내하는 사이트 디렉토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훌륭한 홈페이지 페이지 디자인은 웹사이트 제작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3] 예를 들어, 뉴스 웹사이트는 주요 기사의 헤드라인과 첫 문단을 보여주고 전체 기사로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홈페이지는 웹사이트 내에서 가장 중요한 페이지로 여겨지며, 다른 어떤 페이지보다 많은 조회수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잘못 디자인된 홈페이지는 방문자에게 혼란을 주고 사이트 이용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홈페이지는 해당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정체성과 가치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많은 웹사이트에서는 각 웹 페이지마다 메인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는 버튼이나 링크를 제공한다. "○○의 홈페이지로", "톱으로", "Home" 같은 텍스트 링크 형태도 있고, 위키백과처럼 웹 페이지 상단에 표시되는 로고 자체가 메인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인 경우도 많다.

한편, SNS 등에서는 로그인했을 때 표시되는 각 사용자 전용 페이지를 홈페이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페이지에는 사용자에게 온 메시지나 등록된 프로필 정보 등 사용자별로 맞춤화된 내용이 표시된다.

2. 2. 웹 브라우저 시작 페이지

웹 브라우저가 실행될 때 자동으로 열리는 첫 웹 페이지시작 페이지(Start page)라고 하며, 홈 페이지라고도 부른다.[2][4]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홈' 버튼을 눌렀을 때 이동하는 페이지 역시 시작 페이지로 설정된 경우가 많다.[22]

시작 페이지는 특정 웹사이트일 수도 있고,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썸네일 목록처럼 브라우저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특수한 페이지일 수도 있다. 또한 시작 페이지 전용으로 만들어진 웹사이트들도 존재한다.[4] 웹 페이지뿐만 아니라 빈 페이지(about:blank)나, 브라우저 또는 확장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북마크나 방문 기록 페이지 등을 시작 페이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브라우저 개발사나 스폰서 기업이 사용자를 자사의 포털 사이트로 유도하기 위해 시작 페이지를 미리 설정해두기도 한다. 예를 들어 Internet Explorer는 초기에 msn과 같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포털 사이트를 시작 페이지로 설정했다. 또한 PC 제조사가 제품 출하 시 사전 설치된 브라우저의 시작 페이지를 자사 웹사이트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23]

2000년대 중반까지는 많은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를 시작 페이지로 설정했지만,[24] 2000년대 후반부터는 개인의 사용 습관에 맞춰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가 주류가 되었다. 예를 들어 Microsoft Edge의 '시작 페이지', Google Chrome의 '새 탭 페이지', Opera의 '스피드 다이얼' 등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열었던 웹사이트를 다시 보여주는 기능도 많이 사용된다. 홈 버튼 자체도 기본 설정에서 보이지 않는 브라우저가 늘어나면서 사용 빈도가 줄어드는 추세이다.

한편, 다른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해당 소프트웨어 제작사나 제휴사의 포털 사이트를 시작 페이지로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25] 대부분 설치 과정에서 이 옵션을 선택 해제할 수 있지만, 애드웨어, 멀웨어, 컴퓨터 바이러스 등 악성 프로그램 중에는 사용자 동의 없이 시작 페이지를 강제로 변경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브라우저를 시작할 때 자신이 설정하지 않은 페이지가 나타난다면 악성 프로그램 감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3. 홈페이지 용어의 다양한 의미와 혼용

'홈페이지'라는 용어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을 일으키기 쉽다. 원래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기능과 연결된 페이지를 의미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가 확장되어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의미 중 하나는 웹 브라우저와 관련된 것이다. 웹 브라우저를 처음 실행했을 때 자동으로 열리는 페이지를 '시작 페이지'라고 하는데, 이를 '홈페이지'라고 부르기도 한다.[2][4] 또한,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는 '홈(home)'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을 눌렀을 때 이동하도록 설정된 특정 웹 페이지를 '홈페이지'라고 지칭하기도 한다.[5]

하지만 일상적으로는 웹 브라우저의 기능보다는 인터넷 상의 특정 웹사이트와 관련된 의미로 더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웹사이트의 가장 처음 보이는 대표 페이지, 즉 '메인 페이지'나 '프론트 페이지'를 홈페이지라고 부른다.[31][28][29] 이는 방문자가 검색 엔진 등을 통해 웹사이트에 처음 도달했을 때 보게 되는 랜딩 페이지 역할을 하기도 한다. 훌륭한 홈페이지 페이지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에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3] 방문자를 유치하고 사이트의 정체성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특정 기업이나 단체, 혹은 개인이 운영하는 웹사이트 전체를 '홈페이지'라고 통칭하는 경우도 많다.[31][28] 특히 한국, 일본,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용법이 흔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업의 공식 웹사이트를 '공식 홈페이지'라고 부르는 식이다. 심지어 개별 웹 페이지 자체를 가리켜 '홈페이지'라고 하거나, 웹 페이지 주소를 '홈페이지 주소'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27][31]

이처럼 '홈페이지'는 웹 브라우저의 시작 페이지, 홈 버튼 도착 페이지,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 웹사이트 전체, 개별 웹 페이지 등 다양한 대상을 지칭하는 데 혼용되고 있다. 줄여서 '홈피'[7]나 'HP'[31] 등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HP'는 휴렛 팩커드 회사나 마력(horsepower)[9]의 약자와 같아 혼동의 여지가 있다.[8]

원래 웹 브라우저 시작 페이지를 의미했던 용어(용법 1)가 가장 근본적인 의미라는 주장도 있지만[10], 실제로는 Internet Explorer, 구글 크롬[11], 모질라 파이어폭스[12] 등 주요 브라우저에서도 시작 페이지는 '시작 페이지' 등으로 표현하고, 홈 버튼 클릭 시 이동하는 페이지(용법 2)를 '홈페이지'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5], 용어 사용에 변화가 있었다. 현재는 본래 의미 외에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현실이며[28], 사전들 역시 여러 의미를 함께 기술하고 있다.[27][30] 따라서 '홈페이지'라는 단어를 접할 때는 문맥 속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3. 1. 한국에서의 홈페이지 용어

한국에서는 "홈페이지"라는 용어가 본래 웹 브라우저의 시작 페이지를 의미하는 것과는 다르게, 특정 회사나 단체의 웹사이트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더 널리 사용된다.[31][28] 이는 일본이나 독일 등 일부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현상이지만[13], 1990년대 말 이후 미국에서는 이러한 용법이 거의 사라지고 '웹사이트'라는 용어로 대체되었다.

한국에서는 "홈페이지"를 줄여서 '''"홈피"'''라고 부르기도 하며, 대표적인 예로 과거 인기를 끌었던 싸이월드의 '''미니홈피'''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이 PC용 홈페이지 외에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전용 홈페이지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홈페이지"라는 용어는 여전히 여러 의미로 혼용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이해된다.

줄임말로는 "홈피" 외에 '''HP'''라는 표기도 사용되지만[31], 이는 미국 기업 휴렛 팩커드(Hewlett-Packard)나 마력(馬力, horsepower영어)[9]의 약자와 같아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8]

본래 "홈페이지"는 웹 브라우저를 처음 실행했을 때 나타나는 시작 페이지를 의미했지만[27][31], 실제 Internet Explorer, 구글 크롬[11], 모질라 파이어폭스[12] 등 주요 웹 브라우저에서는 이 페이지를 "시작 페이지" 등으로 부르며, '홈' 버튼을 눌렀을 때 이동하는 페이지를 '홈페이지'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5]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러한 웹 브라우저 설정상의 의미보다는 웹사이트 전체나 대표 페이지를 지칭하는 의미로 훨씬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8]

3. 2. 다른 국가에서의 홈페이지 용어

한국, 미국, 독일, 일본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홈페이지"라는 용어를 보통 하나의 웹 페이지가 아닌, 회사나 단체의 완전한 웹사이트를 뜻하는 말로 사용하기도 한다.[27][31][28]

미국에서는 1990년대 말 이후 이러한 용법이 거의 사라지고 웹사이트(Website)라는 말로 대체되었다.

반면 독일[13]이나 일본 등에서는 여전히 웹 페이지 자체(용법 4)[27][31]웹사이트 전체(용법 5)[31][28]를 "홈페이지"라고 부르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일본의 경우 법령[14], 관공서[15], 기업[16]에서도 웹사이트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본래의 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17]

영어권에서는 주로 웹 브라우저 시작 시 표시되는 페이지(용법 1), 홈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페이지(용법 2), 또는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용법 3)를 가리킬 때 "homepage"라는 단어를 사용한다.[19][20] 웹 표준을 추진하는 W3C의 웹사이트에서도 메인 페이지를 home page라고 부르는 용법 3으로 사용하고 있다.[18] 영어권 사전에서도 일본어권과 마찬가지로 여러 용법을 함께 기재하거나[19], 웹사이트 전체를 의미하는 용법 5로 설명하는 경우[21]도 있다.

3. 3. 홈페이지 용어 사용 시 주의점

'홈페이지'라는 용어는 여러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을 일으키기 쉽다. 원래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버튼(홈 버튼)을 눌렀을 때 이동하는 페이지를 가리키는 말이었지만[5],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의미로 확장되었다.

한국, 미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홈페이지'가 단순히 하나의 웹 페이지가 아니라, 특정 기업이나 단체, 개인이 운영하는 웹사이트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1990년대 말 이후 미국에서는 이런 용법이 거의 사라지고 '웹사이트'라는 용어가 보편화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홈피'라는 줄임말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과거 싸이월드의 미니홈피가 대표적인 예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모바일 환경에 맞춘 전용 홈페이지를 함께 제공하는 기업들도 많아졌다.

현재 '홈페이지'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27][31][28][29][6]

# 웹 브라우저 용어로, 시작 시 표시되도록 설정된 웹 페이지[27]

# 웹 브라우저 용어로, 홈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도록 설정된 웹 페이지[5]

# 인터넷 용어로, 웹사이트의 표지에 해당하는 메인 페이지를 의미[31][28][29]

# '''웹 페이지의 의미'''[27][31]。웹 페이지의 주소를 홈페이지 주소라고 부르기도 한다。

# '''웹사이트의 의미'''[31][28]。기업・단체가 운영하는 공식 웹사이트를 '''공식 홈페이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홈페이지 빌더 등, 소프트웨어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웹사이트 중에서도 개인이 운영하는 사이트만을 지칭하는 경우[6]。블로그를 포함하지 않고 "홈페이지나 블로그"와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홈페이지'를 줄여서 '''HP'''[31]나 '''홈피'''[7]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홈피'는 개인이 운영하는 휴대폰용 사이트만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7]。'HP'라는 약어는 영어권에서도 사용되지만[8], 미국의 유명 컴퓨터 기업인 휴렛 팩커드(Hewlett-Packard)의 약자나 horsepower|호스파워eng (마력)의 기호[9] 등 다른 의미로도 널리 쓰이기 때문에, 단순히 'HP'라고만 쓰면 '홈페이지'로 이해되지 않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홈페이지"라는 단어는 원래 위 '''용법 1'''과 같이 웹 브라우저를 시작했을 때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가리키며[27][31], 그 외의 용법은 오용이라는 주장이 있다[10]。하지만 실제로는 홈페이지의 의미가 '''용법 1''' 이외의 의미로 다양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28]

실제로 Internet Explorer, 구글 크롬[11], 모질라 파이어폭스[12]와 같은 주요 웹 브라우저에서도 브라우저 시작 시 나타나는 페이지는 "시작 페이지", "시작 시 페이지" 등으로 부르며, '''용법 2'''의 홈 버튼을 눌렀을 때의 페이지를 홈페이지라고 부른다.

또한, 독일[13]이나 일본 등에서는 '''용법 4''', '''용법 5'''의 "홈페이지 = 웹사이트, 웹 페이지"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일본의 법령에도 웹 페이지 주소의 의미로 "홈페이지 주소"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14]。관공서[15]나 기업[16]에서도 웹사이트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는, 용법 1이 올바른 용어라고 하면서도, 더 일반적으로 알기 쉽다는 판단에서 홈페이지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예도 있다[17]

사전에서도, "원래의 용법"으로 여겨지는 '''용법 1''' 이외의 의미가 기재되어 있으며[27], 심지어 '''용법 1'''을 채택하지 않은 것[30]조차 있다. 따라서 '홈페이지'라는 단어를 접할 때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문맥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4. 홈페이지와 관련된 기술 및 문제점

홈페이지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시작할 때 처음 접하는 페이지로, 다양한 기술적 설정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몇 가지 문제점도 안고 있다. 특히, 일부 소프트웨어 설치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 없이 홈페이지 설정을 변경하거나, 애드웨어, 멀웨어, 컴퓨터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이 홈페이지를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25] 이는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고 보안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4. 1. 홈페이지 설정 및 변경

웹 브라우저가 실행될 때,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최소한 하나의 웹 페이지를 연다. 이것을 브라우저의 시작 페이지 또는 홈 페이지라고 한다.[2][4][22] 시작 페이지는 특정 웹사이트일 수도 있고,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썸네일 목록과 같은 특수한 브라우저 페이지일 수도 있다. 또한, 시작 페이지 용도로 특화된 웹사이트들도 존재한다.[4]

홈페이지 설정은 브라우저 개발사나 스폰서 기업이 자사의 포털 사이트로 사용자를 유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Internet Explorer의 초기 설정 홈페이지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포털 사이트인 MSN 등이었다. 또한 PC 제조사가 자사 웹사이트를 사전 설치된 브라우저의 초기 홈페이지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23]

웹 페이지 외에도 빈 페이지('''about:blank''')나 브라우저 자체 또는 확장 기능에서 제공하는 북마크나 방문 기록을 보여주는 페이지를 홈페이지로 설정할 수 있는 브라우저도 많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브라우저의 홈페이지에 포털 사이트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나,[24] 2000년대 후반 이후로는 개인의 사용 방식에 맞춰진 페이지를 설정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예를 들어 Microsoft Edge의 '시작 페이지', Google Chrome의 '새 탭', Opera의 '스피드 다이얼' 등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종료할 때 열었던 웹사이트를 다시 표시하는 기능도 널리 사용된다. 이와 함께 홈 버튼 자체도 초기 설정에서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아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한편, 특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해당 소프트웨어 제조사가 제공하거나 제휴하는 포털 사이트를 브라우저의 홈페이지로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경우[25]도 있다. 대부분 설치 과정에서 이 옵션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부 애드웨어(광고 표시 소프트웨어)나 멀웨어, 컴퓨터 바이러스는 사용자 확인 없이 홈페이지를 임의로 변경하기도 한다. 따라서 브라우저를 시작할 때 설정한 적 없는 사이트가 나타난다면, 의심스러운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지 않았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4. 2. 홈페이지 디자인 및 사용성

훌륭한 홈페이지 페이지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에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3] 예를 들어, 뉴스 웹사이트는 주요 기사의 헤드라인과 첫 문단을 보여주고 전체 기사로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홈페이지 사용성(Homepage Usability)''에 따르면 홈페이지는 "모든 웹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페이지"이며, 어떤 페이지보다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다. 잘못 디자인된 홈페이지는 방문자를 압도하고 사이트 방문을 단념하게 만들 수 있다. 홈페이지의 중요한 용도 중 하나는 회사의 정체성과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Home Page? – Definition from Techopedia http://www.techopedi[...] 2022-08-10
[2] 웹사이트 Start page https://www.thefreed[...] 2024-12-18
[3] 웹사이트 Top 10 Guidelines for Homepage Usability http://www.nngroup.c[...] 2014-09-04
[4] 뉴스 iGoogle: what are the best alternatives? https://www.theguard[...] 2014-09-04
[5] 웹사이트 ホームページと起動ページを設定する - Chrome ヘルプ https://support.goog[...]
[6] 서적 Creating Web Sites Bibl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 뉴스 「ホムペ」「プロフ」「リアル」--ケータイ世代が生み出す新コミュニケーション - CNET Japan https://japan.cnet.c[...]
[8] 웹사이트 HP - Definition by AcronymFinder http://www.acronymfi[...]
[9] 사전 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典(goo辞書) 小学館 2011-12-14
[10] 웹사이트 うっかり口にしてしまう誤ったIT用語。 http://www.adcip.com[...]
[11] 웹사이트 起動ページとホームページを設定する https://support.goog[...] 2015-03-10
[12] 웹사이트 ホームページを設定する方法 - Mozilla Support Community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Duden {{!}} Homepage {{!}} Rechtschreibung, Bedeutung, Definition, Herkunft https://www.duden.de[...] 2022-09-22
[14] 웹사이트 放射性同位元素等の規制に関する法律施行規則(昭和35年総理府令第56号)第14条の6第3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20-01-11
[15] 웹사이트 首相官邸ホームページ https://www.kantei.g[...] 2014-10-31
[16] 웹사이트 OCNホームページについて | OCN http://www.ocn.ne.jp[...]
[17] 웹사이트 弊社があえて「ホームページ」制作という理由 | 研究機関専門ホームページ制作 - 株式会社シストランス http://www.cis-trans[...]
[18] 웹사이트 W3C XHTML2 Working Group Home Page https://www.w3.org/M[...]
[19] 웹사이트 home page -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www.oxfordlea[...]
[20] 웹사이트 homepage - Definition from Longman English Dictionary Online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K DICTIONARIES online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スタートページの意味・解説 https://www.weblio.j[...] GRASグループ株式会社 2022-01-12
[23] 뉴스 ASCII.jp:PCメーカーがIE10「ホームページ」にMSNを設定したのはなぜか? (1/2)|マイクロソフト・トゥディ https://ascii.jp/ele[...]
[24] 뉴스 Yahoo! は多機能・ユーザビリティが理由で高い評価 - CNET Japan https://japan.cnet.c[...]
[25] 웹사이트 Skypeの使い方 | D's Speak http://www.shinwa-ag[...]
[26] 웹사이트 OCNトップページの使い方 | OCN http://www.ocn.ne.jp[...]
[27] 사전 デジタル大辞泉(goo辞書) 小学館 2011-12-14
[28] 백과사전 パソコン - ウェブ/サイト/ホームページ 朝日新聞社 2006-01-01
[29] 백과사전 外来語・カタカナ語 (ホ) 朝日新聞社 2006-01-01
[30] 웹사이트 ホームページ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4-11-01
[31] 웹사이트 ホームページ - 意味・説明・解説 : ASCII.jpデジタル用語辞典 http://yougo.ascii.j[...] 2017-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