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은 인류 역사와 함께 변화해 온 사회의 기본 단위이다. 초기에는 가족의 진화에 대한 이론이 제시되었고, 산업혁명 이후 핵가족이 등장하며 사랑을 기반으로 하는 가족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었다. 가족은 정서적, 성적, 생식, 사회화, 경제적,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가족의 유형은 핵가족, 대가족, 한부모 가족 등으로 다양하다. 가족 제도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가족 해체,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 가족 내 불평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제 사회에서는 가족의 권리를 보장하고 가족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세계인권선언과 다양한 국제 협약을 통해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족 | |
---|---|
어원 | |
라틴어 | familia |
설명 | 가족은 전 세계 문화와 역사에서 사회 질서의 기본 단위로 인정받고 있다. |
정의 | |
설명 | 가족은 사회적 유대감의 기본 단위이며,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나 혈연, 결혼, 입양 등의 관계로 맺어진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가족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의 핵심적인 장소이며, 친밀함과 애착을 형성하는 중요한 환경이다. |
가족 연결성 | |
설명 | 가족 연결성은 가족 간의 특별한 유대 관계의 특징으로, 가족 또는 부모의 친밀함, 지지, 따뜻함 또는 반응성으로도 언급된다. 이 가족의 특징은 가족 축하, 가족 의례 및 가족 전통을 장려함으로써 가족이 서로 감정적 연결을 유지할 때 관찰될 수 있다. |
친밀성 | |
설명 | 친밀함의 중심에는 관계 파트너가 서로의 소원, 요구 및 관심사에 주의를 기울이고 지원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인 반응성이 있다. 반응적인 상호 작용은 한 사람이 자신의 핵심적인 측면을 공개할 때 시작된다. |
주요 특징 | |
구성원 | 혈연 관계 결혼 관계 입양 관계 법적 관계 또는 사회적 역할에 따라 가족으로 간주될 수 있는 사람들 |
기능 | 상호 돌봄 경제적 지원 정서적 지원 사회적 지위 제공 |
중요성 | 사회의 기본 단위 문화적 가치 전달 개인의 발달과 성장 친밀함, 애정 및 정서적 연결의 원천 |
2. 역사
가족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초기 가족사 학자들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가족 체계에 적용하려 했다. 루이스 H. 모건은 1877년 저서 ''고대 사회''에서 야만, 미개, 문명으로 이어지는 인류 발전 3단계 이론을 제시했다.[74]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84년 ''가족, 사유재산 및 국가의 기원''에서 모건의 이론을 확장하여, 경제적 요인이 원시 공동체를 계급 사회로 변화시켰다고 주장했다.[75][76] 칼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자원 통제 이론은 가족 구조와 기능 변화를 설명하는 데 영향을 주었으며, 1980년대까지 널리 받아들여졌다.
핵가족은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등 직계 가족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체계는 직계 가족과 방계 친족을 구분하며, 다양한 친족 용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부모의 형제자매는 숙부, 숙모로, 형제자매의 자녀는 조카딸, 조카아들로 불린다. 영어권에서는 배우자와의 관계에 '-in-law'를 붙여 표현하며, 인도 영어에서는 형제자매의 배우자를 co-sibl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근세 시대에 신분 제도가 고정되면서 사무라이 가문에는 여러 규제가 가해졌다. 사무라이 가문은 종가와 분가로 구성된 부계 혈족 집단이었으며, 가독 상속이 중요했다. 당주는 가내 통제권을 가졌고, 서민 가족은 사무라이 가족과 유사했지만, 당주의 권한은 상대적으로 약했다.
2. 1. 고대 사회
원시 사회에서는 혈연 중심의 공동체가 가족의 초기 형태였으며, 생존과 번식을 위한 협력이 중요했다. 초기 서구 문화인류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은 가족과 혈족을 '혈연'(그들의 문화에서 일반적인 생각에 기반)으로 보편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간주했지만, 후속 연구[8]는 많은 사회들이 함께 사는 것, 음식을 공유하는 것(예: 유즙 혈연), 그리고 보살핌과 양육을 공유하는 개념을 통해 가족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 2. 중세 사회
중세 유럽에서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일부일처제가 확립되었고, 가부장제적 가족 제도가 강화되었다.[196][197][198][199] 에드워드 쇼터는 중세 유럽에는 가족애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성애, 모성애, 가족애는 근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가족에 도입되었다고 주장했다.2. 3. 근대 사회
산업혁명 이후 서구 사회에서는 핵가족이 보편화되었고, 가족 내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다.[198] 에드워드 쇼터(Edward Shorter)는 중세 유럽에는 가족애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성애, 모성애, 가족애는 근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가족에 도입되었다고 주장했다.[196] 이 세 가지 개념은 “성=애=생식”의 일치를 기본으로 하는 소위 “근대 가족”의 이념적 기둥이 되었다.[197] “근대 가족”은 18세기 후반 이후의 산업혁명 속에서 유럽에서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 이것은 부부를 중심으로 하고, 자녀에게 중점을 두는 핵가족 제도이며, 생산적인 측면을 가지지 않고 남녀의 분업을 특징으로 한다.[198] 산업혁명의 진전과 함께 이 모델은 세계로 퍼져나갔다.[198] 또한 동시에 가족은 부부와 부모 자식 간의 사랑으로 서로 맺어지는 것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성립했다.[199]2. 4. 현대 사회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의 영향으로 다양한 가족 형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가족의 기능도 변화하고 있다.한부모 가정은 한 명의 부모와 그 자녀들로 구성되며, 부모는 사별, 이혼(재혼하지 않은 경우), 또는 미혼인 경우이다.[32] 부모는 자녀에 대한 단독 친권을 가질 수도 있고, 별거 중인 부모는 공동 양육을 할 수도 있다. 공동 양육 방식과 자녀들이 두 부모 모두에게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자녀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을 향상시킬 수 있다.[33][34] 1965년부터 1995년까지 이혼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한부모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아동의 약 절반은 18세가 되기 전 어느 시점에 한부모 가정에서 생활하게 된다. 대부분의 한부모 가정은 어머니가 가정을 이끌지만, 아버지가 가정을 이끄는 한부모 가정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35][36]
아동학대는 아동에 대한 신체적, 성적 또는 정서적 학대 또는 방임을 의미한다.[100] 아동학대에는 방임,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의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자녀에 의한 부모 학대는 흔하지만 보고되지 않고 연구가 부족한 주제이다. 부모는 정상적인 어린 시절의 공격적인 행동을 넘어서는 수준의 아동 공격성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의 형태를 띤다. 부모는 그러한 문제에 대해 수치심과 굴욕감을 느끼기 때문에 도움을 구하는 경우가 드물며, 설령 도움을 구한다 해도 거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02][103]
노인 학대는 "신뢰가 기대되는 어떤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일회성 또는 반복적인 행위 또는 적절한 조치의 부재로 인해 노인에게 피해 또는 고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104]
강제 결혼은 당사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자유 의사에 따른 동의 없이 결혼하는 것을 말한다.[106] 강제 결혼과 합의에 따른 결혼의 경계는 모호해질 수 있다. 많은 문화권의 사회적 규범은 배우자 선택과 관련하여 부모/친척의 뜻에 반대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권에서는 폭력, 협박 등이 발생할 필요가 없다. 당사자는 암묵적인 사회적 압력과 의무감 때문에 원하지 않더라도 결혼에 "동의"하는 것이다. 세계 일부 지역에 존재하는 신부 값과 지참금 관습은 사람들을 사고파는 결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107][108]
아동 결혼은 배우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18세 미만인 결혼을 말한다.[109][110] 아동 결혼은 역사 전반에 걸쳐 흔했지만, 오늘날 국제 인권 단체들은 이를 규탄하고 있다.[111][112][113]
일본에서는 메이지·다이쇼 시대는 부국강병의 국책 아래, 부부가 많은 아이를 낳고(다자녀), 부모와 함께 사는 대가족의 비율이 높았지만, 쇼와 시대에는 부부와 그 자녀만으로 이루어진 핵가족, 소가족의 비율이 증가했다. 즉, 어떤 부부를 보았을 때, 남편이나 아내의 부모와 함께 살지 않는 비율, 또는 어떤 부부를 보았을 때, 손자와 함께 살지 않는 비율이 증가했다. 그 후, 그러한 형태의 가족의 여러 가지 폐해가 인식되기 시작하여, 2세대 주택처럼, 하나의 주택의 1층 2층으로 나뉘어 미묘한 「가까움」과 「거리」를 유지하며 사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등, 가족의 다양화와 가족의 경계의 모호화가 진행되고 있다.
3. 가족의 기능
가족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산업 발달과 도시화의 영향으로 가족 기능 일부가 다른 사회 기관으로 이전되면서 기능이 축소되거나 약화되기도 했지만, 자녀 사회화, 가족 구성원의 긴장 및 피로 회복,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기능 등은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
가족의 일반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248]
- 사랑과 애정을 주고받으며 정서적 만족을 얻고, 성적인 욕구를 충족시킨다.
-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며 사회화시킨다.
- 새로운 가족 구성원에게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부여한다.
- 가족 구성원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지킨다.
- 기본적인 생활 양식과 위생을 교육한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의 기능이 변화하고 축소되면서, 미래에는 가족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극단적인 주장도 있다. 그러나 가족의 기능은 시대에 따라 변화할지라도,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가족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248]
사람들은 대부분 평생 동안 자신이 아이로 태어나 자란 가족(출생 가족)과[177] 결혼하여 새롭게 만든 가족(생식 가족) 두 종류의 가족과 관련을 맺는다.[177] 하지만 최근 서구 선진국에서는 평생 결혼하지 않고, "생식 가족"을 경험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평생 미혼율)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2018년 통계에서 35%에 달했다.[187] 일본 또한 2023년 추정치에서 평생 미혼율이 남성 28.25%, 여성 17.85%에 이른다.[188]
3. 1. 정서적 기능
가족은 사랑과 애정을 제공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는 식량과 같은 물질적 자원을 공유하거나, 보살핌과 양육을 주고받는 것(양육 친족관계), 권리와 의무(권리), 도덕적 및 감정적 유대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8][9]내용 | 사회적 아웃소싱, 현재의 변화 | |
---|---|---|
성적 기능 | 결혼 제도에 기반하여 파트너 내에서는 허용되고, 그 외에서는 성을 금지하는 질서 기능 | 동거, 미혼모, 사실혼 |
생식 기능 | 자손을 남김 | 아이를 갖지 않는 선택 |
부양 기능 | 노인 간호, 아이를 돌보는 기능 | 요양시설, 어린이집 |
경제적 생산 기능 | 농업·자영업 등, 공동 단위로 경제적 생산을 함 | 회사·공장 등 외부에서의 경제적 생산 |
보호 기능 |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함 (특히 여성, 유아, 환자) | 경찰, 병원 등 |
교육적 기능 | 아이를 키우는 동시에 사회에 적응하는 인격을 형성함 | 유치원, 학교 등 |
종교적 기능 | 종교, 문화, 전통의 계승 | 종교가 경시되는 경향 |
오락적 기능 | 가정 내에서 오락을 즐김 | 놀이공원, 영화 등 |
사회적 지위 부여 기능 | 부모의 직업이나 지위를 계승함 | 세습의 약화 |
과거 가족은 사회의 기초 구성 단위로서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회 발전에 따른 기능 분화에 따라 여러 기능이 외부화되면서 가족의 기능은 크게 축소되고 있다.[182] 한편, 생산 기능은 상실했지만 생활 공동체로서의 가족의 기능은 사라진 것이 아니며,[183] 교육적 기능에 대해서도 학교 등 외부 교육 기관에서 장기간의 교육이 불가결한 한편, 육아는 여전히 가족의 중심적인 기능 중 하나일 뿐 아니라, 한 가족당 아이 수 감소에 따라 가족 내에서의 비중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184] 현대 가족의 기능에 대해서는 성적 기능·생식 기능·교육적 기능·경제적 기능의 네 가지로 한정하는 것부터, 더 축소된 기능을 상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185]
3. 2. 성적 기능
가족은 결혼 제도를 통해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성 질서를 유지한다.[181] 과거에는 파트너 내에서만 성관계를 허용하고 그 외에는 금지하는 질서 기능을 수행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동거, 미혼모, 사실혼 등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181]3. 3. 생식 기능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여 사회 구성원을 재생산한다. 여성의 합계출산율은 국가마다 다르며, 니제르는 여성 1명당 6.76명, 싱가포르는 0.81명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2015년 기준).[17] 동유럽과 남유럽 국가들은 출산율이 대체 수준 이하인 반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매우 높다.[17]일부 문화권에서는 어머니의 가족 규모에 대한 선호도가 성인이 된 후 자녀의 가족 규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18] 부모의 자녀 수는 자녀 세대의 자녀 수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19]
과거 가족은 사회의 기초 구성 단위로서 광범위한 기능을 가졌지만, 사회 발전에 따른 기능 분화로 인해 여러 기능이 외부화되면서 그 기능이 크게 축소되고 있다.[182] 생산 기능은 상실했지만 생활 공동체로서의 가족 기능은 여전히 남아있으며,[183] 학교 등 외부 교육 기관에서의 장기간 교육이 중요해진 한편, 육아는 여전히 가족의 중심 기능 중 하나이고, 한 가족당 아이 수 감소에 따라 가족 내 비중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184] 현대 가족의 기능에 대해서는 성적 기능, 생식 기능, 교육적 기능, 경제적 기능의 네 가지로 한정하는 것부터 더 축소된 기능을 상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185]
3. 4. 사회화 기능
[7]가족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생물학적, 사회적으로 개인의 생산과 재생산을 위한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식량과 같은 물질적 자원을 공유하거나, 보살핌과 양육을 주고받는 것(양육 친족관계), 권리와 의무(권리), 도덕적 및 감정적 유대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8][9] 따라서 개인이 경험하는 가족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가족'이라는 용어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다. 아이의 관점에서 가족은 "출신 가족"이다. 가족은 아이들을 사회적으로 위치짓고 그들의 문화 전달과 사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과거 가족은 사회의 기초 구성 단위로서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회 발전에 따른 기능 분화에 따라 여러 기능이 외부화되면서 가족의 기능은 크게 축소되고 있다.[182] 한편, 교육적 기능에 대해서도 학교 등 외부 교육 기관에서 장기간의 교육이 불가결한 한편, 육아는 여전히 가족의 중심적인 기능 중 하나일 뿐 아니라, 한 가족당 아이 수 감소에 따라 가족 내에서의 비중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184]
3. 5. 경제적 기능
가족은 구성원의 생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안정을 제공한다. 전통적으로 가족은 경제적 생산 기능을 담당해 왔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회사나 공장 등 외부에서 경제적 생산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82]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은 여전히 생활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183]과거에는 농업이나 자영업 등 가족 단위로 경제적 생산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외부에서 경제적 생산 활동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가족은 여전히 소비 단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가족 구성원의 소득을 모아 생활비를 충당하고, 재산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족은 노인 부양, 자녀 양육 등 경제적 부양 기능을 수행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요양 시설이나 어린이집 등 외부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여전히 가족은 중요한 부양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181]
3. 6. 보호 기능
가족은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가족 구성원을 보호하고 안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했다.[181] 특히 여성, 유아, 환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181]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경찰, 병원 등 외부 기관에 의해 이러한 기능이 부분적으로 대체되고 있다.[181]
4. 가족의 유형
가족의 유형은 가족 구성원의 수, 혈연관계, 거주 형태, 가족 내 가장권과 권위의 소재, 부부 결합 형태 등에 따라 분류된다.
가족의 크기나 범위를 기준으로 대가족, 소가족, 머독이 처음 사용한 핵가족, 확대가족으로 나눌 수 있다. 핵가족은 부부 중심, 대가족 및 확대가족은 혈연관계가 중심이 되는 가족이다. 소가족 및 핵가족의 전형적 형태는 부부와 그들의 미혼 직계 자녀들로 구성된다.
가족의 주요 기능은 개인의 생물학적, 사회적 생산과 재생산을 위한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식량 등 물질적 자원 공유, 보살핌과 양육(양육 친족관계), 권리와 의무(권리), 도덕적 및 감정적 유대감을 통해 이루어진다.[8][9] 따라서 개인이 경험하는 가족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아이들의 관점에서 가족은 "출신 가족"으로, 아이들의 문화 전달과 사회화에 중요하며, 부모의 관점에서 가족은 "출생 가족"으로, 아이를 낳고 문화를 전달하며 사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10][11] 그러나 성별 분업 사회에서는 결혼과 그에 따른 두 사람 간의 관계가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가정을 형성하는 데 필요하다.[12][13][14]
초기 서구 문화인류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은 가족과 혈족을 '혈연'으로 보편적으로 연관지었지만, 후속 연구[8]는 많은 사회들이 함께 사는 것, 음식 공유(유즙 혈연), 보살핌과 양육 공유를 통해 가족을 이해함을 보여주었다.
막스 베버, 앨런 맥퍼레인, 스티븐 오즈먼트, 잭 구디, 피터 라슬릿 등의 연구에 따르면,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서 현대 결혼으로 이어진 변화는 "유대교, 초기 기독교, 로마 가톨릭 교회법,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종교 문화적 가치관에 의해 촉진되었다"고 한다.[21]
4. 1. 핵가족과 대가족
가족의 유형은 가족 구성원의 수, 혈연관계, 거주 형태, 가족 내 권위, 부부 결합 형태 등에 따라 분류된다.가족의 크기나 범위를 기준으로 대가족과 소가족, 또는 미국의 인류학자 조지 머독이 처음 사용한 핵가족과 확대가족으로 나눌 수 있다. 핵가족은 부부 중심, 대가족 및 확대가족은 혈연관계가 중심이 되는 가족이다.[7]
핵가족과 대가족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핵가족 | 대가족 |
---|---|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에는 부국강병이라는 국책 아래, 부부가 많은 아이를 낳는 다자녀 가정이 많았고, 부모와 함께 사는 대가족의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쇼와 시대에는 부부와 그 자녀만으로 이루어진 핵가족, 소가족의 비율이 증가했다.
4. 1. 1. 핵가족
핵가족은 부부 중심의 가족으로, 가족원 간의 관계가 비교적 평등하고 자유롭다. 조지 머독이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177]핵가족과 대가족(3세대가족 포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177]
핵가족 | 대가족 |
---|---|
일반적으로 핵가족은 배우자와 미성년인 미혼 자녀만을 포함한다.[26]
4. 1. 2. 대가족 (3세대가족 포함)
대가족은 혈연관계가 중심이 되는 가족이다.[177] 가족 구성원은 협력하여 노인을 모시고 가족 간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자녀 양육을 함께 하므로 심리적 안정을 얻는다.[177] 또한, 어린이는 원만한 성격과 적응 능력으로 사회성이 순조롭게 발달한다.[177] 3세대가 함께 생활하므로 예전의 생활 방식을 그대로 따르는 경향이 있어 생활 개선이 어렵고, 고부 간의 갈등이 생기기 쉬우며 민주적인 가족 관계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177]대가족은 이미 이루어진 부모의 가정에서 장남이 결혼하여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부부 간의 이혼이나 한쪽 배우자의 사망이 가족의 존속을 위태롭게 하지는 않는다.[177]
;핵가족과 대가족(3세대 가족 포함)의 비교[177]
핵가족 | 대가족 |
---|---|
4. 2. 기타 가족 유형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가족 형태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가족이 나타나고 있다.- '''한부모 가족''': 한 명의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다. 부모의 사별, 이혼, 미혼 등의 이유로 발생하며, 1965년부터 1995년 사이 이혼율 증가와 함께 그 수가 늘어났다. 미국 아동의 약 절반은 18세 이전에 한부모 가정에서 생활하며, 대부분 어머니가 가정을 이끌지만 아버지 혼자 가정을 이끄는 경우도 증가하는 추세이다.[35][36]
- '''재혼 가정''': 부모 중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 재혼하여 이전 배우자와의 자녀를 포함하는 가족이다.
- '''동거 가족''': 결혼하지 않은 커플이 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 형태이다.
- '''다문화 가족''': 서로 다른 국적이나 문화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족이다.
- '''입양 가족''': 혈연관계가 아닌 아이를 법적인 절차를 통해 자녀로 맞이한 가족이다.
- '''위탁 가족''':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이를 일정 기간 동안 맡아 양육하는 가족이다.
- '''공동체 가족''':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이 모여 서로 돕고 의지하며 함께 생활하는 가족 형태이다.
이 외에도, LGBT 커뮤니티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선택 가족'''은 혈연이나 법적 관계가 아닌, 서로를 지지하고 의지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가족을 의미한다.[41]
5. 가족 제도
가족 제도는 가족 구성, 기능 등과 관련된 사회 제도이다. 가족 제도를 통해 인류가 형성되었으며, 인간은 가족이라는 기반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 가족 생활은 일반 사회에 대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생활 양식이 생겨나고, 이러한 행동 양식을 갖추게 한 것이 사회 제도이며, 가족에 관한 사회 체제로서 가족 제도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일반 사회 제도와 마찬가지로 가족 제도도 시대에 따라 변천한다.
가족 제도는 크게 대가족 제도와 소가족 제도로 나눌 수 있다. 대가족 제도는 가장을 중심으로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가계의 영속을 중요시하고 부계 조상 숭배를 존중한다. 반면 소가족 제도는 부부를 중심으로 미혼 자녀만을 포함하며, 부부와 자녀의 단란한 가정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형성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더욱 엄격해졌다. 일부일처제를 원칙으로 했지만 첩 제도를 인정했고, 첩의 자식은 천대하여 서자의 과거 응시를 금지했다.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대가족 제도는 점차 해체되고, 핵가족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2014년 진선미 의원은 프랑스의 '시민연대협약'과 유사한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는데, 이는 가족 구성권을 더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시도였다.[243][253]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거나 담소를 나누는 등 화목하게 지내는 것을 일가단란이라고 한다. 이는 가족 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수단이며, 아동의 심신 발달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져 교육적 측면 등에서 널리 권장되고 있다.[219]
5. 1. 대가족 제도
대가족 제도는 가장을 중심으로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것(누세동거·累世同居)을 본위로 한다.[23] 가계(家系)의 영속을 중요시하고 부계 조상 숭배를 존중한다. 대가족은 농업을 생활 기반으로 삼아 발전하였고, 봉건제도 아래 가장권이 과중하여 여자는 예속적이었다. 가계 존속을 위하여 장자상속제, 양자, 축첩제가 따르기도 했다. 부계를 중심으로 종족을 중시하고 숭조목족(崇祖睦族)과 부창부수의 도덕을 숭상하였다.역사적으로 가장 흔한 가족 유형은 조부모, 부모, 자녀가 하나의 단위로 함께 사는 가족이었다. 예를 들어, 한 가구에는 농장 소유주, 그들의 성인 자녀 1명(또는 그 이상), 성인 자녀의 배우자, 그리고 성인 자녀의 자녀들(소유주의 손자녀들)이 포함될 수 있다. 때로는 조부모와 손주가 함께 사는 것과 같이 '건너뛴' 세대 가족이 포함되기도 한다.[23]
부계혈통 (남계 혈통)은 개인의 가족 구성원 자격이 아버지의 혈통을 통해 유래하고 추적되는 친족 시스템의 한 형태이다.[69] 일반적으로 상속은 남성 친족을 통해 관계된 사람들에 의해 재산, 권리, 이름 또는 직함이 이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부계혈통("아버지 계통")은 한 사람의 아버지와 남성을 통해서만 추적되는 추가적인 조상들을 의미한다.
일본 근세에는 신분 제도의 고정화가 진행되면서 지배층의 가신인 사무라이의 집에는 여러 가지 규제가 더해졌고, 사무라이 법과 서민 법의 분리가 나타났다. 사무라이의 집은 초세대적인 연속성을 가진 부계 혈족 집단으로서 종가와 분가의 관계로 구성되었다. 초세대적인 종말가의 혈통을 존중하고, 동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사무라이 사회에서는 중시되었다. 가독은 일가의 장을 의미하며, 가장이 포괄적으로 상속하는 봉록(가록)을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5. 2. 소가족 제도
소가족제도는 부부를 중심으로 미혼 자녀만을 포함한다. 가계의 영속보다는 부부와 자녀의 단란한 가정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개인의 권리가 중요시되고, 개인 재산이 부부 각자의 소유로 되기도 한다.[26]5. 3.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가부장적 가족 제도가 형성되었으며, 고려 중기 이후 중국의 당률(唐律)의 영향을 받아 더욱 엄격해졌다.[249]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관혼상제(冠婚喪祭)와 같은 예절이 널리 퍼졌고, 법률상으로도 상속, 양자 제도 등에 영향을 주었다. 조선시대의 혼인은 대부분 부모의 뜻에 따른 중매혼이었으며, 가족 내에는 혈연적 유대와 유교적 예의가 중시되었다. 가부장제를 중심으로 가계 계승, 가산 상속, 양자 제도, 부부 간의 지위, 혼인 및 이혼 조건, 문벌 등이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적자와 서자(庶子)를 구별하였는데, 사대부 가정에서는 어머니의 출생 신분에 따라, 양민은 부모 중 한쪽의 신분에 따라 정해졌다. 서자 출신은 제사, 혼인, 관직 진출 등에 제약을 받았다. 적자는 남녀 구별을 하고 출생 순서대로 항렬을 붙였으며, 장자 가계를 적증손, 차자나 서자 가계를 중증손으로 구별하였다. 장자는 가장권을 상속받아 제사를 주관하였고,[250] 장자의 후사가 없을 경우 차자나 서자가 책임을 졌다.[251] 그러나 서자의 봉사는 인정하지 않고 '입후'라 하여 양자를 들여 종가의 대통을 잇게 하는 양자 제도가 있었다. 가산 상속은 직계와 방계를 나누어 남녀 구분 없이 순위대로 균등하게 분배하였다. 이는 일본의 적장자 독점 상속이나 중국의 자녀 균등 상속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남존여비의 규율에 따라 남편은 여러 첩을 거느릴 수 있었고, 여성의 정절은 법적으로 강요되었다. 처는 시가에 예속된 지위였으며, '칠거지악(七去之惡)'을 범하면 일방적으로 이혼당할 수 있었다.[252] 그러나 '삼불거(三不去)'와 같은 제한 규정도 있었으며, 이혼 사유의 정당성은 판결을 받아야 했다. 여성의 재혼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었으나, 부득이한 경우 허용되기도 했지만, 그 자녀들은 출신에 제한을 받았다. 특히 삼가자는 천대받았다.
동성 일족을 중심으로 문중을 조직하여 제사, 종회, 문중 재산 관리, 족보 간행, 효자비·열녀비·충신각 건립, 묘지 개축 등을 행하였다. 특히 문벌을 과시하는 족보 간행을 중시하고 가문의 예속을 강화하였다. 이혼은 매우 제한되었고, 여성은 칠거지악의 탄핵과 삼불거의 보호 규범 아래에서 재가를 악덕으로 여겼다. 일부일처제를 원칙으로 했지만 첩 제도를 인정했고, 첩의 자식은 천대하여 서자의 과거 응시를 금지했다. 상복 제도는 친족 간의 촌수를 밝히는 기준이 되었으며, 제사는 4대조까지 지냈다. 조상의 묘소를 존중하는 풍습이 지나쳐 풍수설에 빠지기도 했다. 숭조목족을 기본으로 삼아 족보를 펴내고, 같은 혈족끼리 모여 사는 집성촌이 많았다.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대가족 제도는 점차 해체되고,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에 기초한 핵가족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2014년 국회의원 진선미는 프랑스의 '시민연대협약'과 유사한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는데, 이는 가족 구성권을 더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시도였다. 진선미 의원은 이 법률이 혼인, 혈연 외 관계에도 법적 보호를 제공하여 사회적 안정을 이루고, 정상 가족 밖의 사람들을 사회적으로 포용하며, 고독과 우울을 줄이고 사회복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243][253]
2020년 국세조사에 따르면, 3세대 동거율은 다음과 같다.
순위 | 지역 | 3세대 동거율 (%) |
---|---|---|
1 | 야마가타현 | 13.9 |
2 | 후쿠이현 | 11.5 |
3 | 니가타현 | 10.5 |
4 | 아키타현 | 10.3 |
5 | 도야마현 | 10.1 |
... | 전국 평균 | 4.2 |
... | 홋카이도 | 2.4 |
... | 가나가와현 | 2.2 |
... | 오사카부 | 2.1 |
... | 가고시마현 | 1.9 |
... | 도쿄도 | 1.3 |
; 일가단란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거나 담소를 나누는 등 화목하게 지내는 것을 일가단란이라고 한다. 이는 가족 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수단이며, 아동의 심신 발달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져 교육적 측면 등에서 널리 권장되고 있다.[219]
그러나 이러한 가족 식사와 일가단란 사상은 메이지 시대 중기에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근대 가족상이 성립된 이후의 일이다. 일가단란은 수신 교육을 통해 권장되었고, 주부의 전업화와 차부다이의 보급으로 점차 확산되었지만, 완전히 정착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였다.[220]
; 가족여행
전쟁 전부터 가족여행은 비교적 부유층 시민들 사이에서 이루어졌지만, 전후 고도성장기에는 서민 가정에서도 가족 여행이 정착되었다. 일본여행업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성인이 될 때까지 20회 이상 가족 여행을 간 사람은 "참을성이 있다", "사려 깊다", "협조성이 있다", "사교적이다" 등 주변과의 커뮤니케이션과 배려에 능한 경향이 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221]
6. 용어
가족 구성원을 부르는 말은 다양하다.
구분 | 내용 |
---|---|
고조부모 | 조부모의 조부모 |
고조부 | 조부모의 조부모 중 남자 |
고조모 | 조부모의 조부모 중 여자 |
증조부모 | 부모의 부모의 부모 |
증조부 | 부모의 부모의 부모 중 남자 |
증조모 | 부모의 부모의 부모 중 여자 |
할아버지 | 조부모 중 남자 |
할머니 | 조부모 중 여자 |
아버지 | 부모 중 남자, 구어로는 '아빠' |
어머니 | 부모 중 여자, 구어로는 엄마 (주로 화자가 어린이인 경우) |
아들 | 남자 자식 |
딸 | 여자 자식 |
형제 | 아들이 여럿인 경우 그들의 관계 |
자매 | 딸이 여럿인 경우 그들의 관계 |
남매 | 자식들의 성별이 모두 같지 않은 경우 그들의 관계 |
동생 | 나이가 어린 쪽, 아우, 남동생/여동생 |
형 | 나이가 많은 남자, 여자가 부를 때는 '오빠' |
누나 | 나이가 많은 여자, 여자가 부를 때는 '언니' |
1촌 친척은 부모, 자녀, 형제자매처럼 직계 상속을 통해 DNA의 50%를 공유하는 사람이다.[60]
혈족의 정도는 여러 족보 및 법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최초의 공통 조상까지 세대를 세고 목표 개인에게 다시 내려오는 방식으로 결정된다.[60]
7. 현대 사회의 가족 문제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의 기능이 축소되고, 가족 해체, 저출산 및 고령화,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 가족 내 불평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가족은 생물학적, 사회적으로 개인의 생산과 재생산을 위한 틀을 제공하며, 물질적 자원 공유, 양육, 권리와 의무, 도덕적 및 감정적 유대감을 통해 이루어진다.[8][9] 그러나 자본주의적 서구 국가의 가족 이데올로기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살아야 하며, 친족이 아닌 사람들은 함께 살아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담은 사회 법률을 제정하기도 한다.[16]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법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가족들이 이상적인 핵가족 유형에 부합하지 않는다.[16]
과거 가족은 사회의 기초 구성 단위로서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회 발전에 따른 기능 분화에 따라 여러 기능이 외부화되면서 그 기능은 크게 축소되고 있다.[182]
내용 | 사회적 아웃소싱, 현재의 변화 | |
---|---|---|
성적 기능 | 결혼 제도에 기반하여 파트너 내에서는 허용되고, 그 외에서는 성을 금지하는 질서 기능 | 동거, 미혼모, 사실혼 |
생식 기능 | 자손을 남김 | 아이를 갖지 않는 선택 |
부양 기능 | 노인 간호, 아이를 돌보는 기능 | 요양시설, 어린이집 |
경제적 생산 기능 | 농업·자영업 등, 공동 단위로 경제적 생산을 함 | 회사·공장 등 외부에서의 경제적 생산 |
보호 기능 |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함 (특히 여성, 유아, 환자) | 경찰, 병원 등 |
교육적 기능 | 아이를 키우는 동시에 사회에 적응하는 인격을 형성함 | 유치원, 학교 등 |
종교적 기능 | 종교, 문화, 전통의 계승 | 종교가 경시되는 경향 |
오락적 기능 | 가정 내에서 오락을 즐김 | 놀이공원, 영화 등 |
사회적 지위 부여 기능 | 부모의 직업이나 지위를 계승함 | 세습의 약화 |
가족 기능이 축소됨에 따라, 기능부전 상태에 있는 일부 가족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 아동학대 등의 문제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현대에 오히려 감소하고 있지만, 인권 문제이자 사회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혼율은 1960년부터 완만하게 상승하여 2000년까지 증가했지만, 2006년 시점에서 일본의 이혼율은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이다.[224]
7. 1. 저출산 및 고령화
합계출산율은 국가마다 다르며, 니제르의 여성 1명당 6.76명에서 싱가포르의 0.81명까지 다양하다(2015년 기준).[17] 모든 동유럽과 남유럽 국가에서 출산율은 대체 수준 이하이며,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매우 높다.[17]출산율 감소와 더불어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인 간호와 같은 부양 기능은 요양시설로, 아이를 돌보는 기능은 어린이집으로 외부화되고 있다.[181]
가족의 라이프 사이클[186] 단계에 따라 달성해야 할 발달 과제가 존재한다. 그중 5단계는 자녀들의 독립과 출가로, 이때 부부 관계를 재구축하고 성장한 자녀들과 부모는 서로 어른으로서 교류하며 의붓자녀와 손주들을 포함한 확대 가족을 재구축한다. 또한 부모는 조부모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 사별에 대응한다. 6단계는 인생의 말년을 보내는 가족으로, 사회적, 육체적 쇠퇴에 대응하고 부부 관계를 재구축하며 중년 세대에게 중심적인 역할을 넘겨주고 연장자로서의 지혜와 경험을 살려 손주들에게 좋은 조부모가 되며 배우자, 형제자매, 동세대 친구의 사별에 대응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 사회의 문제로는 늦은 결혼과 저출산이 있다.
7. 2. 가족 해체
이혼, 별거, 가정폭력 등으로 인해 가족이 해체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222][223] 가정폭력(DV)은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으로, 이에 대한 법적, 사회적 이해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가정폭력’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사용되는 맥락(의학적, 법적, 정치적, 사회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고,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르게 적용된다.[92]여성에 대한 폭력 및 가정폭력 예방 및 근절에 관한 협약은 가정폭력을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93]
> "가정폭력"이란 가족 또는 가정 단위 내에서 또는 전 배우자나 파트너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 성적, 정신적 또는 경제적 폭력 행위를 의미하며, 가해자가 피해자와 같은 주소를 공유하거나 공유했는지 여부는 관계없다.
1993년, 유엔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은 가정폭력을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세 가지 맥락 중 하나로 규정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94]
>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및 정신적 폭력(폭행, 가정 내 여성 아동 성 학대, 지참금 관련 폭력, 강간, 여성 성기 절제 및 여성에게 해로운 기타 전통 관습, 배우자 이외의 폭력 및 착취 관련 폭력 포함)
아동학대는 아동에 대한 신체적, 성적, 정서적 학대 또는 방임을 의미한다.[100] 아동학대에는 방임,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의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자녀에 의한 부모 학대는 흔하지만 보고되지 않고 연구가 부족한 주제이다. 부모는 정상적인 어린 시절의 공격적인 행동을 넘어서는 수준의 아동 공격성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주로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의 형태를 띤다. 부모는 그러한 문제에 대해 수치심과 굴욕감을 느끼기 때문에 도움을 구하는 경우가 드물다.[102][103]
노인 학대는 "신뢰가 기대되는 어떤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일회성 또는 반복적인 행위 또는 적절한 조치의 부재로 인해 노인에게 피해 또는 고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104]
강제 결혼은 당사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자유 의사에 따른 동의 없이 결혼하는 것을 말한다.[106] 아동 결혼은 배우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18세 미만인 결혼을 말한다.[109][110]
7. 3.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

한부모 가정은 한 명의 부모와 그 자녀들로 구성되며, 부모는 사별, 이혼(재혼하지 않은 경우), 또는 미혼인 경우를 말한다.[32] 1965년부터 1995년까지 이혼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한부모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아동의 약 절반은 18세가 되기 전 어느 시점에 한부모 가정에서 생활하게 된다.[35] 대부분의 한부모 가정은 어머니가 가정을 이끌지만, 아버지가 가정을 이끄는 한부모 가정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36]
부모는 자녀에 대한 단독 친권을 가질 수도 있고, 별거 중인 부모는 자녀가 두 개의 다른 한부모 가정 또는 한부모 가정과 한 재혼 가정 사이에서 시간을 나누는 공동 양육을 할 수도 있다. 단독 친권과 비교하여, 공동 양육 방식과 자녀들이 두 부모 모두에게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자녀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을 향상시킬 수 있다.[33][34]
서구 사회에서는 한부모 가정이 더욱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한부모 가정은 미혼모 가정이 더 흔하다.[91] 이러한 가정은 자녀를 혼자 키워야 한다는 사실 외에도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저소득으로 인해 임대료, 자녀 양육비 및 건강하고 안전한 주거를 위한 기타 필수품을 지불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두 명의 어머니, 두 명의 아버지, 비이성애자, 트랜스젠더, 퀴어가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이 있다. 이는 대리모, IVF, IUI, 입양 및 기타 과정을 통해 가능해졌다.
많은 국가(특히 서구 국가)는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가족 모델을 수용하기 위해 가족법을 변경했다. 예를 들어, 영국 스코틀랜드에서는 2006년 가족법(스코틀랜드) 법률에 따라 동거인에게 일부 제한적인 권리가 부여된다.[87] 2010년 아일랜드는 2010년 시민 동반자 관계 및 특정 동거인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국제적으로도, 특히 유럽 평의회의 ''결혼 외 출생 아동의 법적 지위에 관한 유럽 협약''[88]이 1978년 발효되었다. 이 협약을 비준한 국가는 결혼 외 출생 아동에게 이 협약의 규정에 따라 법적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이 협약은 1981년 영국과 1988년 아일랜드에 의해 비준되었다.[89]
7. 4. 가족 내 불평등
가족 내에서는 성 역할에 따른 불평등,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등 구성원 간의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95]아동 학대는 아동에 대한 신체적, 성적, 정서적 학대 또는 방임을 의미한다.[100] 방임,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와 같이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101]
자녀에 의한 부모 학대는 흔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문제이다. 부모는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를 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수치심과 굴욕감 때문에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가 드물다.[102][103]
노인 학대는 "신뢰가 기대되는 관계에서 발생하는 일회성 또는 반복적인 행위, 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노인에게 피해나 고통을 주는 것"이다.[104]
가정폭력은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으로, 여성에 대한 폭력 및 가정폭력 예방 및 근절에 관한 협약에서는 "가족 또는 가정 단위 내에서 또는 전 배우자나 파트너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 성적, 정신적 또는 경제적 폭력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93]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에서는 가정폭력을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세 가지 맥락 중 하나로 규정하고,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폭행, 여성 아동 성 학대, 지참금 관련 폭력, 강간, 여성 성기 절제 등을 포함한다.[94]
강제 결혼과 아동 결혼은 세계 특정 지역,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결혼은 높은 가정폭력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110][113][111][105]
8. 국제 사회의 가족 관련 논의
국제 사회는 가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족 구성원의 권리 보호를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세계인권선언은 가족을 사회의 기본 단위로 보며, 사회와 국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명시한다.[96] 결혼, 이혼, 자녀 양육, 가정폭력 등 가족 관련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국제 협약도 체결되었다.[95]
8. 1. 세계인권선언
세계인권선언은 가족을 사회의 자연스럽고 기본적인 단위로 보며, 사회와 국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8. 2. 가족 관련 국제 협약
결혼, 이혼, 자녀 양육, 가정폭력 등 가족 관련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국제 협약이 체결되었다.8. 3. 가족 정책
9. 결론
강제 결혼과 아동 결혼은 세계 특정 지역,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결혼은 높은 가정 폭력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110][113][111][105]
강제 결혼은 당사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자유 의사에 따른 동의 없이 결혼하는 것을 말한다.[106] 강제 결혼과 합의에 따른 결혼의 경계는 모호해질 수 있는데, 많은 문화권의 사회적 규범에서 배우자 선택과 관련하여 부모나 친척의 뜻에 반대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권에서는 폭력, 협박, 협잡 등이 발생할 필요가 없이, 당사자는 암묵적인 사회적 압력과 의무감 때문에 원하지 않더라도 결혼에 "동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세계 일부 지역에 존재하는 신부 값과 지참금 관습은 사람을 사고파는 결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107][108]
아동 결혼은 배우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18세 미만인 결혼을 말한다.[109][110] 아동 결혼은 역사 전반에 걸쳐 흔했지만, 오늘날 국제 인권 단체들은 이를 규탄하고 있다.[111][112][113] 아동 결혼은 종종 미래 신랑 신부의 가족들 사이에서 주선되며, 때로는 여자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주선되기도 한다.[111] 아동 결혼은 납치 결혼의 맥락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111]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Research
Springer Netherlands
[2]
서적
An Introduction to Family Social Work
https://books.google[...]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19-08-13
[3]
간행물
Familial Opioid Misuse and Family Cohesion: Impact on Family Communication and Well-being
[4]
간행물
The impact of substance use disorders on families and children: from theory to practice
[5]
서적
Encyclopedia of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Research
Springer Netherlands
[6]
서적
Encyclopedia of Mental Health
Elsevier
[7]
서적
The Changing Nature of Roman Art and the Art Historical Problem of Style
Blackwell Publishing
[8]
서적
A Critique of the Study of Kinship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
서적
unnamed
[10]
서적
Human Experience: Philosophy, Neurosis, and the Elements of Everyday Lif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
서적
Social Structure
[12]
서적
Europe and the People Without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간행물
Scarcity, the Factors of Production, and Social Evolution
Mouton Publishers
[14]
간행물
Of Women, Men, and Manioc
[15]
서적
The Family and Industrial Society
George Allen Unwin
[16]
서적
Of Marriage and the Market: Women's Subordination Internationally and its Lessons
Routeledge
[1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eb.archive.[...]
2017-04-12
[18]
논문
Family Influences on Family Size Preferences
[19]
논문
Cross-National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Continuities in Childbearing in Developed Countries
[20]
웹사이트
Chapter 1.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https://opentextbc.c[...]
2014-11-06
[21]
웹사이트
The Collapse of Marriage by Don Browning – The Christian Century
https://web.archive.[...]
2006-02-07
[22]
웹사이트
Working wives and mothers: what happens to family life?
http://www.bls.gov/o[...]
2010
[23]
웹사이트
The Return of the Multi-Generational Family Household
https://www.pewresea[...]
2010-03-18
[24]
웹사이트
Record 64 million Americans live in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https://www.pewresea[...]
2018-04-05
[25]
웹사이트
The Daily — Families, households and marital status: Key results from the 2016 Census
https://www150.statc[...]
2017-08-02
[26]
웹사이트
Definitions of Anthropological Terms
https://web.archive.[...]
[27]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8]
서적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9]
웹사이트
Fewer than half of U.S. kids today live in a 'traditional' family
http://www.pewresear[...]
2014-12-22
[30]
뉴스
The Kids will be alright, even without the Nuclear Family
https://psmag.com/th[...]
Pacific Standard magazine
2014-03
[31]
서적
Encyclopedia of Family Studies
2016-03
[32]
서적
In Defence of Single Parent Familie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7
[33]
논문
Shared Parenting After Parental Separation: The Views of 12 Experts
https://www.research[...]
2018-04
[34]
논문
Child Adjustment in Joint Physical Custody Versus Sole Custody: A Meta-Analytic Review
2016-06-27
[35]
웹사이트
Single parenting and today's family
https://www.apa.org/[...]
[36]
웹사이트
Single-Parent Families
https://www.encyclop[...]
[37]
논문
The "Matrifocal Family" as a Comparative Category
1964
[38]
서적
The Metamorphoses of Kinship
Verso
2011
[39]
웹사이트
Chapter 4. Society and Social Interaction
https://opentextbc.c[...]
2022-07-18
[40]
서적
Mental Health Social Work: Evidence-Based Practice
Routledge
2006
[41]
웹사이트
ALGBTICAL LGBT Glossary of Terminology
https://web.archive.[...]
2005-2006
[42]
논문
Families of Choice? Exploring the Supportive Networks of Lesbians, Gay Men, and Bisexuals1: FAMILIES OF CHOICE
https://onlinelibrar[...]
2011-02
[43]
서적
ACT For Gender Identity: The Comprehensive Guid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20
[44]
웹사이트
Blended and Blessed
http://www.familylif[...]
[45]
웹사이트
Department of Social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PPSIS Faculty, Academic Profile
https://web.archive.[...]
[46]
웹사이트
Civil Action No. 1:09-cv-10309
http://www.glad.org/[...]
[47]
웹사이트
Parenting Myths And Facts
https://www.npr.org/[...]
[48]
위키
History of the family
[49]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American Family Structure
https://online.csp.e[...]
2015-06-23
[50]
서적
Reflect & Relate an introduc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dford/St. Martin's
2010
[51]
논문
Blended Families: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Research
http://journals.sage[...]
2005-10
[52]
논문
"Becoming a family": developmental processes represented in blended family discourse
2001-01-01
[53]
논문
The role of rituals in the management of the dialectical tension of "old" and "new" in blended families
1998-06-01
[54]
웹사이트
Monogamy
http://www.merriam-w[...]
[55]
사전
bigamy
Merriam-Webster
[56]
웹사이트
Opening Up: Challenging Myths about Consensual Non-Monogamy
http://www.scienceof[...]
2012-08-17
[57]
논문
Polyamory – What it is and what it isn't
http://www.ejhs.org/[...]
2003-02-27
[58]
웹사이트
Polygamy | Polygyny, Polyandry & Group Marriage – Video & Lesson Transcript
https://study.com/le[...]
[59]
논문
A survey of non-classical polyandry
http://digitalcommon[...]
2012-06
[60]
웹사이트
Family
https://hy.w3we.com/[...]
[61]
웹사이트
genetic-genealogy.co.uk
http://www.genetic-g[...]
[62]
웹사이트
Kin Selection
http://taumoda.com/w[...]
Benjamin/Cummings
[63]
논문
Another View of Morgan on Kinship
1979-03
[64]
웹사이트
Systematic Kinship Terminologies
https://www.umanitob[...]
[65]
사전
A Dictionary of Gene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66]
웹사이트
Definition of Cousi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67]
웹사이트
Co-Sister
https://dictionary.c[...]
[68]
웹사이트
Co-Brother
https://dictionary.c[...]
[69]
서적
Marriages and Families
Pearson Education, Inc.
2011
[70]
서적
Sociology and You
https://web.archive.[...]
Glencoe McGraw-Hill
2003
[71]
서적
Kinship and Gender: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72]
학술지
The Himba and the Dam
http://www.sciam.com[...]
2015-07-12
[73]
백과사전
Sociology/Founding the discipline
https://www.britanni[...]
2009-07-26
[74]
웹사이트
Ancient Society by Lewis H. Morgan 1877
https://www.marxists[...]
[75]
백과사전
Cultural Anthropology
https://www.britanni[...]
2009-07-22
[76]
웹사이트
The Marxists Internet Archive
http://www.marxists.[...]
2009-07-17
[77]
서적
Marriages, Families & Intimate Relationships
Pearson
[78]
서적
Diversity in families
https://books.google[...]
Allyn and Bacon
2012-01-06
[79]
웹사이트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Marriage Checkup: Depression Outcomes
https://arammu.com/a[...]
2019-01-01
[80]
학술지
Coping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Instability and Depression, but No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2013-03-01
[81]
학술지
Marital quality and depression: a review
2019-01-01
[82]
웹사이트
Changing Patterns of Nonmarital Childbearing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cdc.gov/[...]
2011-09-24
[83]
뉴스
Married Couples Are No Longer a Majority, Census Finds
https://www.nytimes.[...]
2014-01-08
[84]
웹사이트
The Family Revolution
https://greatergood.[...]
2022-05-04
[85]
서적
Marriage, A History: How Love Conquered Marriage
Viking/Penguin Books
[86]
서적
Male and Female
[87]
웹사이트
Family Matters – Couples – Cohabitation
http://www.scotland.[...]
Scottish Government, Edinburgh
2017-04-12
[88]
웹사이트
Full list
http://conventions.c[...]
2017-04-12
[89]
웹사이트
Full list
http://conventions.c[...]
2017-04-12
[90]
웹사이트
1 in 5 US moms have kids with multiple dads, study says
http://www.nbcnews.c[...]
2017-04-12
[91]
웹사이트
American Children's Family Structure: Single-Parent Families
https://www.bgsu.edu[...]
2022-05-04
[92]
웹사이트
Definitions of Domestic Violence – Child Welfare Information Gateway
https://www.childwel[...]
2017-10-23
[93]
웹사이트
Full list
http://conventions.c[...]
2017-04-12
[94]
웹사이트
A/RES/48/104.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17-06-28
[95]
서적
Family Violence: Legal, Medical, and Social Perspectives
Allyn & Bacon
[96]
웹사이트
Child maltreat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10-23
[97]
서적
Rape Justice
[98]
학술지
No Consensus on Incest? Criminalisation and Compatibility with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http://www.corteidh.[...]
2018-10-30
[99]
웹사이트
Elder abus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10-23
[100]
웹사이트
Child abuse – definition of child abuse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http://www.thefreedi[...]
2010-09-15
[101]
웹사이트
Child Maltreatment Surveillance: Uniform Definitions for Public Health and Recommended Data Element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01-01
[102]
웹사이트
Parenting and Family Support – Family Lives (Parentline Plus)
http://parentlineplu[...]
2017-04-12
[103]
웹사이트
WHEN FAMILY LIFE HURTS: Family experience of aggression in children – Parentline plus 31 October 2010
http://familylives.o[...]
[104]
웹사이트
elderabus.org.uk
https://www.elderabu[...]
2019-08-20
[105]
웹사이트
Early and forced marriage – facts, figures and what you can do
https://plan-uk.org/[...]
[106]
웹사이트
Ethics – Forced Marriages: Introduction
https://www.bbc.co.u[...]
2017-04-12
[107]
웹사이트
Ethics – Slavery: Modern slavery
https://www.bbc.co.u[...]
2017-04-12
[108]
웹사이트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contemporary forms of slavery, including its causes and consequences
http://www.ohchr.org[...]
2017-10-23
[109]
웹사이트
Child marriage
https://web.archive.[...]
2017-04-12
[110]
웹사이트
Q & A: Child Marriage and Violations of Girls' Rights
https://www.hrw.org/[...]
2017-04-12
[111]
웹사이트
Article 16: Right to marriage and family and to equal rights of men and women during and after marriage
https://www.bbc.co.u[...]
BBC World Service
2014-10-07
[112]
웹사이트
Factsheet: Child Marriage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Foundation
2014-07-20
[113]
웹사이트
Child marriages: 39,000 every day
https://web.archive.[...]
2014-10-07
[114]
서적
The New Testament world: insights from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1-11-07
[115]
논문
Honor in the Mediterranean and Northern Europe
https://web.archive.[...]
2011-10-17
[116]
서적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https://books.google[...]
Thompson Learning
2020-10-31
[117]
서적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11-10-24
[118]
웹사이트
Ethics: Honour Crimes
https://www.bbc.co.u[...]
BBC
2013-12-23
[119]
웹사이트
Honor killing: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13-12-23
[120]
웹사이트
Honor killing definition
http://dictionary.re[...]
2013-12-23
[121]
뉴스
Shocking gay honor killing inspires movie
http://edition.cnn.c[...]
2013-08-16
[122]
뉴스
Iraqi immigrant convicted in Arizona 'honor killing' awaits sentence
http://edition.cnn.c[...]
2011-02-23
[123]
웹사이트
Definition of DOWRY
http://www.merriam-w[...]
2017-04-12
[124]
서적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Domestic Dom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서적
Hegel: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10-25
[126]
논문
Dead Money: Inheritance Law and the Longevity of Family Firms
2014
[127]
웹사이트
Gender, equity, human rights
https://web.archive.[...]
2017-04-12
[128]
웹사이트
State of World Population 2005
http://www.unfpa.org[...]
2017-04-12
[129]
웹사이트
WHO – Gender and human rights
https://www.who.int/[...]
2017-04-12
[130]
웹사이트
Get Involved
https://www.amnesty.[...]
2017-04-12
[131]
웹사이트
Supporting the Constellation of Reproductive Rights
http://www.unfpa.org[...]
2017-04-12
[132]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ttps://www.who.int/[...]
2017-04-12
[133]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ttp://www.unfpa.org[...]
2017-04-12
[134]
웹사이트
Forced/Coerced Sterilization
http://www.stopvaw.o[...]
2017-04-12
[135]
뉴스
Czech regret over sterilisation
http://news.bbc.co.u[...]
2009-11-24
[136]
뉴스
Peru women fight for justice over forced sterilisation
https://www.bbc.com/[...]
2017-04-12
[137]
웹사이트
Protecting children's rights
https://web.archive.[...]
2017-10-23
[138]
웹사이트
Children's Rights
https://www.hrw.org/[...]
2017-04-12
[139]
웹사이트
Children and human right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7-10-23
[140]
웹사이트
The Policy on Gender Equality in Italy
http://www.europarl.[...]
2017-10-23
[141]
웹사이트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violence against women, its causes and consequences
http://www.ohchr.org[...]
2017-10-23
[142]
서적
Spain: A Country Study
Government Printing Office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016-02-26
[143]
서적
Contemporary Western European Feminism
[144]
서적
Reconciliation Policy in Germany 1998–2008, Construing the 'Problem' of the Incompatibility of Paid Employment and Care Work
https://link.springe[...]
[145]
서적
Comparative Law: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ivil Law Tradition in Europe
[146]
서적
Women in Portugal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Directorate-General Information
[147]
웹사이트
On Equality of Spouses in Civil Law
https://wcd.coe.int/[...]
2017-10-23
[148]
웹사이트
Switzerland profile
https://www.bbc.com/[...]
2017-10-23
[149]
웹사이트
The Long Way to Women's Right to Vote in Switzerland: a Chronology
http://history-switz[...]
2017-10-23
[150]
서적
Women's movements of the world: an international directory and reference guide
[151]
뉴스
AROUND THE WORLD; Greece Approves Family Law Changes
https://www.nytimes.[...]
1983-10-23
[152]
논문
The Intersection of Gender, Class and Nationality and the Agency of Kytherian Greek Women
2007-08-11
[153]
간행물
Women, Business and the Law 2014: Removing Restrictions to Enhance Gender Equality
https://web.archive.[...]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3
[154]
웹사이트
Dutch gender and LGBT-equality policy : 2013 – 2016
https://rm.coe.int/C[...]
2017-10-23
[155]
웹사이트
2015 Review Report of the Netherlands Government in the context of the twentieth anniversary of the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and the adoption of the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for Action
http://www.unece.org[...]
2017-10-23
[156]
웹사이트
Virtual Special Issue: Modern & Contemporary France: Women in France
https://web.archive.[...]
[157]
웹사이트
National Report: France
http://ceflonline.ne[...]
2016-02-26
[158]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Maternal Mortality Rate
https://www.cia.gov/[...]
[159]
웹사이트
What is Family Medicine?
http://familymedicin[...]
2017-04-12
[160]
웹사이트
The rising importance of family medicine
https://web.archive.[...]
2017-04-12
[161]
간행물
Infant Mortality Rates in 2012
http://www.childmort[...]
UNICEF
[162]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io (per 100 000 live births)
https://web.archive.[...]
2017-04-12
[163]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https://www.who.int/[...]
2017-04-12
[164]
웹사이트
Infant mortality
https://web.archive.[...]
2017-04-12
[165]
웹사이트
Children: reducing mortality
https://www.who.int/[...]
2017-04-12
[166]
웹사이트
The Civil Code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web.archive.[...]
2017-03-11
[167]
논문
Czech and Slovak Family Patterns and Family Values in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2013
[168]
논문
Changing men, changing times; fathers and sons from an experimental gender equality study
http://www.margunnbj[...]
[169]
웹사이트
Art. 8 ECHR Right to private life –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170]
서적
Ayn Rand and the World She Made
https://archive.org/[...]
Doubleday
[171]
강연
[172]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01-01
[173]
서적
Public Spheres After Socialism
https://books.google[...]
[174]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A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Women by Dr. Vibhuti Patel, Director, P.G.S.R.
https://www.academia[...]
2017-04-12
[175]
웹사이트
The global flight from the family
https://www.aei.org/[...]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2015-02-23
[176]
보고서
Assumptions on future fertility: New family values and increased childbearing in Sweden?
https://www.unece.or[...]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2017-02-26
[177]
Kotobank
2024-03-09
[178]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79]
웹사이트
平成15年 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 用語の説明
https://www.mhlw.go.[...]
日本国厚生労働省大臣官房統計情報部
2023-02-10
[180]
서적
現代社会学入門 第2版
有斐閣
1976-11-30
[181]
서적
精神看護学I
ヌーヴェルヒロカワ
2010
[182]
서적
現代社会学入門 第2版
有斐閣
1976-11-30
[183]
서적
現代社会学入門 第2版
有斐閣
1976-11-30
[184]
서적
私たちの住居学 第2版 サスティナブル社会の住まいと暮らし
オーム社
2019-03-25
[185]
서적
現代社会学入門 第2版
有斐閣
1976-11-30
[186]
서적
精神看護学I
ヌーヴェルヒロカワ
2010
[187]
웹사이트
The Share of Never-Married Americans Has Reached a New High
https://ifstudies.or[...]
[188]
웹사이트
【2023年最新】日本の「未婚」「独身」を調査 日本全体の未婚者は32,790,076人、生涯未婚率は男性が28.25%、女性が17.85%
https://prtimes.jp/m[...]
[189]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90]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191]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192]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93]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94]
서적
家族の構造・機能・感情
[195]
서적
家族システムの起源(上) 〔I ユーラシア〕
藤原書店
2016
[196]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197]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198]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199]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00]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01]
서적
百姓たちの江戸時代
ちくまプリマー新書
2009-06-10
[202]
서적
一目でわかる江戸時代
小学館
2004-05-10
[203]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04]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05]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06]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07]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208]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09]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10]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11]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212]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13]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14]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15]
보고서
令和2年国勢調査
https://www.e-stat.g[...]
総務省
2020-10
[216]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217]
서적
現代人の社会学・入門 グローバル化時代の生活世界
有斐閣
2010-12-20
[218]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219]
서적
世界の食文化百科事典
丸善出版
2021-01-30
[220]
서적
世界の食文化百科事典
丸善出版
2021-01-30
[221]
웹사이트
親子の絆と旅行 アンケート結果
http://www.jata-net.[...]
[222]
웹사이트
http://mazzan.at.inf[...]
2019-10
[223]
서적
明治の結婚 明治の離婚―家庭内ジェンダーの原点
[224]
서적
新版 データで読む家族問題
NHKブックス
2008-11-30
[225]
서적
新聞語辞典 1952年版
https://dl.ndl.go.jp[...]
朝日新聞社
1951
[226]
간행물
回顧と展望 今年の美容界はどうなるか
https://dl.ndl.go.jp[...]
美容画報社
1951-01
[227]
간행물
民主的家庭の在り方(二)ーーN.F.C運動紹介ーー
https://dl.ndl.go.jp[...]
日本女子社会教育会家庭科学研究所
1951-03
[228]
간행물
N・F・C主婦の會の記 ー我行うが故に我ありー
https://dl.ndl.go.jp[...]
日本女子社会教育会家庭科学研究所
1951-12
[229]
간행물
N・F・C主婦の會の記 ー我行うが故に我ありー
https://dl.ndl.go.jp[...]
日本女子社会教育会家庭科学研究所
1951-12
[230]
서적
家庭・社会の道徳教育
https://dl.ndl.go.jp[...]
明治図書出版
1951
[231]
서적
ニュー・ファミリー市場作戦
https://dl.ndl.go.jp[...]
ビジネス社
1972
[232]
웹사이트
ニューファミリー
https://kotobank.jp/[...]
[233]
간행물
ニュー・ファミリー・マーケットに挑戦する「丸井」のマーチャンダイジングポリシー徹底的研究
アール・アイ・シー
1972-08
[234]
논문
「ニューファミリー」とは何だったか : “新しい家族”をめぐる1970年代の幻のブーム再考(1)
https://kyoritsu.rep[...]
2023-01
[235]
뉴스
「婚活」という言葉を最初に使った雑誌は?
https://books.j-cast[...]
J-CAST
2020-02-02
[236]
웹사이트
雑誌『クロワッサン』が描いた 〈女性の自立〉と読者の意識
http://www.isgsjapan[...]
[237]
서적
現代日本人の意識構造
https://dl.ndl.go.jp[...]
NHK出版
1979-06
[238]
서적
NHK世論調査資料集 〔昭和〕55年版
https://dl.ndl.go.jp[...]
NHKサービスセンター
1980
[239]
서적
生命の意味 進化生態から見た教養の生物学
裳華房
2008-03-20
[240]
서적
生命の意味 進化生態から見た教養の生物学
裳華房
2008-03-20
[241]
서적
生命の意味 進化生態から見た教養の生物学
裳華房
2008-03-20
[242]
뉴스
킨제이 소속 헬렌 피셔 박사의 특별기고, ‘인류의 사랑’
http://kr.wsj.com/po[...]
월스트리트저널
2014-07-08
[243]
뉴스
특별한 한 사람, 당신은 원하지 않나요?
https://news.naver.c[...]
여성신문
2014-07-18
[244]
뉴스
인구가 국력이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4-07-02
[245]
뉴스
남성 66%, 佛 동거문화 부럽다.."백년해로는 무리"
https://news.naver.c[...]
머니위크
2014-04-03
[246]
뉴스
대통령마저 ‘동거’? 결혼과 독신의 대안
https://news.naver.c[...]
여성신문
2014-05-03
[247]
서적
가족의 정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
[248]
서적
가족의 기능
글로벌 세계 대백과
[249]
간행물
안동 지역의 기록물에 나타난 상속 및 제사 풍습
[250]
간행물
조선시대 제사 및 상속 제도
[251]
간행물
조선 후기 입양 기록에 나타난 서자의 역할
[252]
간행물
칠거지악과 삼종지도
[253]
뉴스
생활동반자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4-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