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양국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양국지》는 12권으로 구성된 중국의 지방지이며, 파, 한중, 촉, 남중 등 지역의 역사와 지리를 다룬다. 공손술, 유비, 유선 등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 삼국시대 말기부터 서진 초기까지의 사건, 서진 이전과 서진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현재는 임내강의 《화양국지교보도주》가 널리 유통되고 있으며, 2023년 이은상·임승권 공역의 한국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 (위진)의 문학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진나라 (위진)의 문학 - 포박자
포박자는 갈홍이 저술한 책으로, 내편은 도교의 신선 사상과 금단을 통한 불멸 추구를, 외편은 유교적 관점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도교 사상의 핵심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중요한 자료이다. - 중국의 지리지 - 대당서역기
대당서역기는 당나라 승려 현장이 인도를 여행하고 돌아와 기록한 기행문으로,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의 여러 국가들의 지리, 문화, 종교, 풍습 등을 기록하여 역사학, 고고학, 불교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기도 하였다. - 중국의 지리지 - 산해경
《산해경》은 중국의 고대 지리서이자 신화집으로, 저자와 성립 시기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산과 바다의 풍물을 기록하고 지리 정보와 상상의 생물을 묘사하며, 고대 중국의 지리, 생태, 신화 등을 보여준다. - 지명사전 - 지명 정보 시스템
지명 정보 시스템(GNIS)은 미국 지질조사국(USGS)과 미국 지명 위원회(BGN)가 공동 관리하며 미국의 지명, 위치, 지리적 특징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중복 작업 제거, 표준화된 데이터 제공, 공식 지도 색인화, 통일된 지리적 명칭 보장 등을 목표로 개발되어 인종차별적 용어 삭제 노력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 지명사전 - 해국도지
해국도지는 웨이위안이 서양 각국의 지리, 역사, 기술을 소개하고 서양 군사 기술을 배워 중국의 해상 방어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지리서로, 중국에서는 주목받지 못했으나 양무운동과 일본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주었다. 
| 화양국지 - [서적]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화양국지 | 
| 원어 | 華陽國志 | 
| 저자 | 상거 | 
| 시대 | 동진 (東晉) | 
| 언어 | 한문 | 
| 주제 | 현대의 쓰촨성, 충칭시, 윈난성, 구이저우성, 한중시의 문화, 역사, 지리 | 
| 장르 | 지리지 | 
| 상세 정보 | |
| 집필 시기 | 348년 | 
| 내용 | 고대 파, 촉, 한, 남만 지역의 역사와 지리 기록 신화, 전설, 역사적 사건, 풍습, 산물, 인물 등 다양한 정보 포함  | 
| 가치 | 지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고대 중국 서남 지역 연구에 필수적인 문헌 월절서 (越絕書)와 함께 중국 지방지의 효시로 평가  | 
| 특징 | 단순한 지리서 넘어 역사, 문화, 인물 등 폭넓은 내용 담고 있음 서남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  | 
| 판본 정보 | |
| 명나라 가靖 연간 판본 | 장가윤 각본 | 
2. 구성
《華陽國志중국어|화양국지》는 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처음 4권은 이 지역의 고대 정권의 역사와 설명을 담고 있고, 그 다음 권들은 후한 시대부터 성한 시대까지의 연대기적 역사, 마지막 몇 권은 이 지역의 저명한 남녀의 열전을 다루고 있다.
| # | 제목 | 번역 | 비고 | 
|---|---|---|---|
| 권 1 | 巴志 | 파의 기록 | |
| 권 2 | 漢中志 | 한중의 기록 | |
| 권 3 | 蜀志 | 촉의 기록 | |
| 권 4 | 南中志 | 남중의 기록 | 남중은 녕주(寧州)라고도 불렸다. | 
| 권 5 | 公孫劉二牧志 | 공손씨와 두 유(劉) 목(牧)의 열전 | 공손술, 유언, 유장 | 
| 권 6 | 劉先主志 | 전 주군 유비의 열전 | 유비 | 
| 권 7 | 劉後主志 | 후 주군 유선의 열전 | 유선 | 
| 권 8 | 大同志 | 대동의 기록 | 후 삼국 시대와 초기 서진 시대의 사건 기록 | 
| 권 9 | 李特雄期壽勢志 | 이특, 이웅, 이기, 이수, 이세의 열전 | 이특, 이웅, 이기, 이수, 이세 | 
| 권 10 | 先賢士女總讚論 | 전 현인과 모범적인 남녀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 | 서진 이전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 | 
| 권 11 | 後賢志 | 후대 현인의 열전 | 서진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 | 
| 권 12 | 序志 | 부록 | 서한 시대의 익주, 양주, 녕주의 저명한 남녀 | 
홍량길은 《越絕書중국어|월절서》와 함께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방지라고 평가했다.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간행본은 송나라 원풍 원년 (1078년)의 것으로 원본은 현존하지 않지만, 《후한서》의 장회주나 정사 《삼국지》의 배주에서 빈번하게 인용되고 있다. 현행 교정본으로는 임내강의 『화양국지교보도주』(상해고적출판사, 1987)가 주석이 충실하여 널리 유통되고 있다. 한국어 번역으로는 아직 전역본은 없지만, 일본어 번역으로 타니구치 후사오(谷口房男)가 전역을 논문으로 발표했으며, 나카바야시 시로(中林史朗)의 초역·완역이 간행되었다.
2. 1. 권1: 파지(巴志)
華陽國志|화양국지중국어 권1 파지(巴志)는 고대 파 지역의 역사와 지리를 다룬다.2. 2. 권2: 한중지(漢中志)
한중의 기록이다.[4]| # | 제목 | 번역 | 비고 | 
|---|---|---|---|
| 권2 | 漢中志 | 한중의 기록 | 
2. 3. 권3: 촉지(蜀志)
촉 지역의 역사와 지리를 다루고 있으며, 고촉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2] 고대 촉 지방에 대한 자세한 기술은 황하 문명 중심 사관 시대에는 상상의 산물로 여겨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초대 고촉 왕 잠총은 눈이 세로로 되어 있다는 묘사가 있는데, 삼성퇴 유적에서 청동 세로눈 가면이 출토되면서 묘사와 완벽하게 일치하는 유물이 발견되어 현실성을 띠게 되었다.[2] 이를 통해 황하 문명과 병행하여 고촉 문화 (장강 문명)가 존재했다는 것이 밝혀졌다.2. 4. 권4: 남중지(南中志)
남중은 녕주(寧州)라고도 불렸다.[3]2. 5. 권5: 공손술유이목지(公孫述劉二牧志)
공손술, 유언, 유장의 생애와 업적을 다루고 있다.[3]2. 6. 권6: 유선주지(劉先主志)
劉先主志|유선주지중국어는 유비의 생애와 업적을 다룬다. 유비는 삼국시대의 영웅이자 촉한의 정통성을 이은 인물로 평가받는다.[3]2. 7. 권7: 유후주지(劉後主志)
유선에 대한 기록이다.[3]2. 8. 권8: 대동지(大同志)
후 삼국 시대와 초기 서진 시대의 사건을 기록한다.[4]2. 9. 권9: 이특웅기수세지(李特雄期壽勢志)
이특, 이웅, 이기, 이수, 이세의 열전이다.[4]2. 10. 권10: 선현사녀총찬론(先賢士女總贊論)
권10 선현사녀총찬론(先賢士女總贊論)은 서진 이전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을 다룬다.2. 11. 권11: 후현지(後賢志)
後賢志|후현지중국어는 서진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2. 12. 권12: 서지(序志)
《화양국지》의 서문과 목록에 해당하며, 서한 시대 익주, 양주, 녕주의 저명한 인물들을 다룬다.[4]| # | 제목 | 번역 | 비고 | 
|---|---|---|---|
| 권 12 | 서지 | 부록 | 서한 시대의 익주, 양주, 녕주의 저명한 남녀 |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간행본은 송나라 원풍(元豊) 원년(1078년)의 것이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현재 널리 유통되는 교정본으로는 1987년에 임내강(任乃強)의 《화양국지교보도주(華陽國志校補圖注)》가 출판되었고, 주석에도 충실하다.[1] 
홍양길(洪亮吉)은 《화양국지》를 《월절서(越絶書)》와 더불어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방지로 손꼽았다. 파지, 한중지, 촉지에 기재되어 있는 고대 파, 촉 지방에 대한 자세한 기술은 황하 문명 중심 사관 시대에는 상상의 산물이라고 생각되었으나, 삼성퇴 유적의 발견 등으로 이 책이 상당 부분 사실에 입각하여 서술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2] 
2023년 1월 31일 이은상, 임승권 공역의 《화양국지》가 소명출판에서 전 2권으로 출간되었다. 
[1] 
문서
 
十六国春秋 成漢蜀録
 
 
                        
3. 간본 및 교정본
4. 평가
고대 파나라와 촉 지방에 대한 자세한 기술은 황하 문명 중심 사관에서 벗어나 고촉 문화 (장강 문명)가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일례로, 초대 고촉 왕 잠총은 눈이 세로로 되어 있다는 묘사가 있는데, 삼성퇴 유적에서 청동 세로눈 가면이라고 명명된 거대한 세로눈 가면이 출토되면서 묘사와 완벽하게 일치하는 유물이 발견되어 현실성을 띠게 되었다.[2]
5. 한국어 번역
참조
[2] 
뉴스
 
専家掲秘三星堆“縦目”人像:蜀人祖先缺碘甲亢
 
http://news.163.com/[...] 
網易新聞
 
2008-03-07
 
[3] 
문서
 
유이목
 
[4] 
문서
 
성한의 군주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