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환산 질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산 질량은 상호작용하는 두 물체로 이루어진 계의 운동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개념으로, 두 물체의 질량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는 두 물체 문제의 운동 방정식을 하나의 입자 문제로 단순화하여, 계산을 용이하게 한다. 환산 질량은 고전 역학, 양자 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중력, 충돌, 관성 모멘트 계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2. 정의

서로 상호작용하는 두 점입자로 이루어진 계를 고려하자. 두 입자의 질량이 각각 m_1m_2이고, 위치 벡터가 각각 \mathbf r_1, \mathbf r_2라고 하면, 각 입자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_1\ddot{\mathbf r}_1=\mathbf F_{12}

m_2\ddot{\mathbf r}_2=\mathbf F_{21}

여기서 \mathbf F_{12}는 입자 2가 입자 1에 가하는 힘, \mathbf F_{21}은 입자 1이 입자 2에 가하는 힘이다.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mathbf F_{21} = -\mathbf F_{12}이다.

두 입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벡터를 \mathbf r=\mathbf r_1-\mathbf r_2로 정의하면, 이 벡터의 시간에 대한 2차 미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dot{\mathbf r} = \ddot{\mathbf r}_1 - \ddot{\mathbf r}_2 = \frac{\mathbf F_{12}}{m_1} - \frac{\mathbf F_{21}}{m_2} = \frac{\mathbf F_{12}}{m_1} - \frac{-\mathbf F_{12}}{m_2} = \left(\frac{1}{m_1} + \frac{1}{m_2}\right) \mathbf F_{12}

이 식을 정리하면 상대 운동에 대한 방정식을 얻는다.

\frac{1}{1/m_1+1/m_2}\ddot{\mathbf r}=\mathbf F_{12}

이 방정식은 마치 질량이

\mu=\frac{1}{1/m_1+1/m_2}=\frac{m_1m_2}{m_1+m_2}

인 하나의 입자가 힘 \mathbf F_{12}를 받는 것처럼 기술한다. 따라서, 원래의 이체 문제는 질량이 \mu인 하나의 입자를 다루는 등가적인 일체 문제(equivalent one-body problem)로 변환될 수 있다.[1][2] 여기서 \mu를 이체 문제의 환산 질량(reduced mass)이라고 한다.

이 결과는 뉴턴의 제2법칙과 제3법칙을 직접 사용하여 유도할 수도 있다. 물체 1과 물체 2의 가속도를 각각 a_1, a_2라고 하면, F_{12} = m_1 a_1이고 F_{21} = m_2 a_2이다. F_{12} = -F_{21}이므로 m_1 a_1 = -m_2 a_2, 즉 a_2 = -\frac{m_1}{m_2} a_1이다. 두 물체 사이의 상대 가속도 a = a_1 - a_2는 다음과 같다.

a = a_1 - a_2 = a_1 - \left(-\frac{m_1}{m_2} a_1\right) = \left(1 + \frac{m_1}{m_2}\right) a_1 = \frac{m_1 + m_2}{m_2} a_1

a_1 = F_{12}/m_1이므로, 이를 대입하면,

a = \frac{m_1 + m_2}{m_2} \frac{F_{12}}{m_1} = \frac{m_1 + m_2}{m_1 m_2} F_{12} = \frac{1}{\mu} F_{12}

이는 \mu a = F_{12}와 같으므로, 물체 1은 물체 2를 기준으로 환산 질량 \mu를 가진 입자처럼 움직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력의 경우를 예로 들면, 두 물체 사이의 힘은 F = G \frac{m_1 m_2}{r^2}이다. 환산 질량의 정의(m_1 m_2 = (m_1 + m_2) \mu)를 이용하면, 힘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 = G \frac{(m_1 + m_2) \mu}{r^2}

이는 질량 m_1 + m_2인 중심체 주위를 환산 질량 \mu를 가진 입자가 공전하는 문제와 수학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산 질량"이라는 용어는 물리학의 다른 분야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대수적 조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양 x_1, x_2에 대해 다음과 같은 형태를 환산 값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x_\text{red} = \frac{1}{\frac{1}{x_1} + \frac{1}{x_2}} = \frac{x_1 x_2}{x_1 + x_2}

이러한 형태는 여러 요소가 병렬로 연결된 시스템의 등가적인 특성을 계산할 때 자주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전기 회로에서 병렬로 연결된 여러 저항기의 등가 저항 R_\text{eq}는 각 저항 R_i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계산된다.

\frac{1}{R_\text{eq}} = \sum_{i=1}^n \frac{1}{R_i} = \frac{1}{R_1} + \frac{1}{R_2} + \cdots + \frac{1}{R_n}

유사한 관계식이 열 저항, 유체 저항 등 다른 물리 시스템에서도 나타나며, 이는 각 요소를 연결하는 연속 방정식과 요소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3. 유도

서로 상호작용하는 두 입자로 이루어진 계를 생각해 보자. 두 입자의 질량이 각각 m_1m_2일 때, 이들의 상호작용과 운동을 기술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다. 특히 두 입자의 운동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이체 문제는 직접 풀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러한 이체 문제를 더 간단한 일체 문제로 변환하여 다루기 쉽게 만들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환산 질량(reduced mass)이다. 환산 질량은 보통 그리스 문자 \mu (뮤)로 표기하며, 두 입자의 질량 m_1m_2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 = \frac{1}{1/m_1 + 1/m_2} = \frac{m_1 m_2}{m_1 + m_2}

환산 질량을 사용하면, 두 입자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 예를 들어 한 입자에 대한 다른 입자의 위치 벡터 \mathbf r = \mathbf r_1 - \mathbf r_2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기술하는 방정식이 단순화된다. 이 상대 운동은 마치 질량이 \mu인 하나의 가상 입자가 두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상호작용 힘 \mathbf F_{12} (입자 2가 입자 1에 가하는 힘)을 받으며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될 수 있다. 즉, 상대 운동에 대한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띤다.

:\mu \frac{d^2\mathbf{r}}{dt^2} = \mathbf F_{12}

여기서 \frac{d^2\mathbf{r}}{dt^2}은 상대 위치 벡터 \mathbf r의 시간에 대한 2차 미분으로, 상대 가속도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환산 질량의 도입은 두 개의 움직이는 입자를 다루는 복잡한 문제를, 하나의 입자가 고정된 힘의 중심(다른 입자의 위치를 원점으로 간주했을 때)에 대해 움직이는 더 간단한 문제로 바꾸어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환산 질량 개념이 어떻게 수학적으로 유도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과정은 뉴턴 역학이나 라그랑주 역학을 이용한 설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뉴턴 역학

서로 상호작용하는 두 점입자로 이루어진 계를 생각해 보자. 두 입자의 질량이 각각 m_1m_2라고 하면, 뉴턴의 운동 제2법칙에 따라 각 입자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bf{F}_{12} = m_1 \mathbf{a}_1

:\mathbf{F}_{21} = m_2 \mathbf{a}_2

여기서 \mathbf{F}_{12}는 입자 2가 입자 1에 가하는 힘이고, \mathbf{F}_{21}은 입자 1이 입자 2에 가하는 힘이다. \mathbf{a}_1\mathbf{a}_2는 각각 입자 1과 입자 2의 가속도이다.

뉴턴의 운동 제3법칙에 따르면, 두 힘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mathbf{F}_{12} = - \mathbf{F}_{21}

따라서 두 입자의 가속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m_1 \mathbf{a}_1 = - m_2 \mathbf{a}_2 \;\; \Rightarrow \;\; \mathbf{a}_2=-{m_1 \over m_2} \mathbf{a}_1

두 입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벡터\mathbf r = \mathbf r_1 - \mathbf r_2라고 정의하면, 상대 가속도 \mathbf{a}_\text{rel}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athbf{a}_\text{rel} = \mathbf{a}_1 - \mathbf{a}_2 = \mathbf{a}_1 - \left(-{m_1 \over m_2} \mathbf{a}_1\right) = \left(1 + {m_1 \over m_2}\right) \mathbf{a}_1 = \frac{m_1 + m_2}{m_2} \mathbf{a}_1

한편, m_1 \mathbf{a}_1 = \mathbf{F}_{12} 이므로, \mathbf{a}_1 = \frac{\mathbf{F}_{12}}{m_1} 이다.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athbf{a}_\text{rel} = \frac{m_1 + m_2}{m_2} \frac{\mathbf{F}_{12}}{m_1} = \frac{m_1 + m_2}{m_1 m_2} \mathbf{F}_{12}

상대 가속도는 상대 위치 벡터의 시간에 대한 2차 미분과 같다.

:\mathbf{a}_\text{rel} = \frac{d^2\mathbf{r}}{dt^2}

따라서 상대 위치 벡터 \mathbf r에 대한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frac{m_1 m_2}{m_1 + m_2} \frac{d^2\mathbf{r}}{dt^2} = \mathbf{F}_{12}

이 식은 마치 질량이 \mu = \frac{m_1 m_2}{m_1 + m_2}인 하나의 입자가 힘 \mathbf{F}_{12}를 받아 움직이는 것처럼 해석할 수 있다. 이 질량 \mu를 원래 이체 문제의 '''환산 질량'''이라고 부른다.

:\mu = \frac{1}{1/m_1 + 1/m_2} = \frac{m_1 m_2}{m_1 + m_2}

환산 질량을 사용하면, 두 물체의 상호작용 문제를 마치 환산 질량을 가진 한 물체가 고정된 힘의 중심(다른 물체의 위치)에 대해 움직이는 일체 문제처럼 다룰 수 있게 되어 문제가 단순화된다.

예를 들어, 질량 m_{1}m_{2}를 가진 두 물체가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서로의 중력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문제는 물체 2를 고정된 기준으로 보고, 물체 1이 환산 질량 \mu를 가지고 원래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을 받으며 움직이는 문제와 동일하다. 중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 = G \frac{m_1 m_2}{r^2}

환산 질량을 이용하여 상대 운동 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mu \mathbf{a}_\text{rel} = \mathbf{F}_{12}

이때, m_1 m_2 = (m_1+m_2) \mu 관계를 이용하면 중력의 크기를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F = G \frac{(m_1+m_2) \mu}{r^2}

이는 환산 질량 \mu를 가진 물체가 총 질량 (m_1+m_2)를 가진 중심체 주위를 도는 문제와 수학적으로 동일함을 보여준다.

3. 2. 라그랑주 역학

이체 문제라그랑주 역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할 수도 있다. 두 입자 m_1, m_2로 이루어진 계의 라그랑지언은 다음과 같다.

\mathcal{L} = {1 \over 2} m_1 \mathbf{\dot{r}}_1^2 + {1 \over 2} m_2 \mathbf{\dot{r}}_2^2 - V(| \mathbf{r}_1 - \mathbf{r}_2 | )

여기서 m_i는 입자 i의 질량이며, \mathbf{r}_i는 입자 i의 위치 벡터이다. V는 두 입자 사이의 거리에만 의존하는 포텐셜 에너지 함수이다.

두 입자 간의 상대 위치 벡터를 \mathbf{r} = \mathbf{r}_1 - \mathbf{r}_2로 정의하고, 좌표계의 원점을 계의 질량 중심으로 잡으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m_1 \mathbf{r}_1 + m_2 \mathbf{r}_2 = 0

이 식을 이용해 각 입자의 위치 벡터를 상대 위치 벡터 \mathbf{r}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mathbf{r}_1 = \frac{m_2 \mathbf{r}}{m_1 + m_2} , \; \mathbf{r}_2 = -\frac{m_1 \mathbf{r}}{m_1 + m_2}.

이 관계식들을 원래의 라그랑지언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새로운 라그랑지언을 얻을 수 있다.

\mathcal{L} = \frac{1}{2} \mu \mathbf{\dot{r}}^2 - V(r)

여기서 \m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환산 질량'''이다.

\mu = \frac{m_1 m_2}{m_1 + m_2}

이 결과는 질량이 m_1, m_2인 두 입자의 운동 문제를, 질량이 \mu인 하나의 입자가 원점에 고정된 힘의 중심으로부터 r만큼 떨어져 상호작용하는 문제로 변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체 문제가 효과적인 일체 문제로 축소된 것이다.

4. 성질

환산 질량 \mu는 항상 각 물체의 질량보다 작거나 같다. 즉, 다음 부등식이 항상 성립한다.

\mu \leq m_1, \quad \mu \leq m_2

또한, 만약 m_1 < m_2라면 항상 m_1 < 2\mu < m_2가 성립하는데, 이는 2\mum_1m_2조화 평균이기 때문이다.

환산 질량은 역수 가산성을 갖는다.

\frac{1}{\mu} = \frac{1}{m_1} + \frac{1}{m_2}

이 식을 정리하면 조화 평균의 절반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만약 한 물체의 질량이 다른 물체보다 매우 크다면 (m_1 \gg m_2), 환산 질량은 더 가벼운 물체의 질량에 가까워진다 (\mu \approx m_2). 반대로 m_1 \ll m_2인 경우에는 \mu \approx m_1이다. 예를 들어, 지구-태양 계의 환산 질량은 지구의 질량에 매우 가깝고, 수소 원자에서 환산 질량은 전자의 질량에 매우 가깝다.

두 물체의 질량이 같은 특수한 경우(m_1 = m_2)에는 환산 질량이 각 질량의 절반이 된다.

\mu = \frac{m_1}{2} = \frac{m_2}{2}

이체 문제에서 질량 m_1m_2를 가진 두 물체가 질량 중심 주위를 도는 운동은, 하나의 물체(예: 물체 2)를 기준점으로 고정하고 다른 물체(물체 1)가 환산 질량 \mu를 가지고 원래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받으며 움직이는 일체 문제와 동등하다. 뉴턴의 제2법칙과 뉴턴의 제3법칙을 사용하면 두 물체 사이의 상대 가속도 a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a = a_1 - a_2 = \frac{F_{12}}{\mu}

여기서 F_{12}는 물체 2가 물체 1에 작용하는 힘이다. 이는 물체 1이 물체 2를 기준으로, 환산 질량 \mu를 가진 물체처럼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력의 경우, 두 물체 사이의 힘 F = G \frac{m_1 m_2}{r^2}는 환산 질량을 사용하여 F = G \frac{(m_1+m_2)\mu}{r^2}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는 계산상으로 한쪽 질량을 환산 질량 \mu로, 다른 쪽 질량을 두 물체의 질량 합 (m_1+m_2)으로 바꾸면 원래의 중력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환산 질량"이라는 용어는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대수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x_\text{red} = \frac{1}{\frac{1}{x_1} + \frac{1}{x_2}} = \frac{x_1 x_2}{x_1 + x_2}

이 형태는 여러 요소가 병렬로 연결될 때 등가적인 값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며, 예를 들어 전기적, 열적, 수력학적, 또는 역학적 저항기 등의 병렬 연결에서 사용된다.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더 많은 요소로 확장될 수 있다.

\frac{1}{x_\text{eq}} = \sum_{i=1}^n \frac{1}{x_i} = \frac{1}{x_1} + \frac{1}{x_2} + \cdots + \frac{1}{x_n}

5. 응용

환산 질량 \mu는 항상 각 물체의 질량 m_1, m_2보다 작다(\mu, \mu). 만약 m_1라면 항상 m_1<2\mu인데, 이는 2\mum_1m_2조화 평균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 물체가 다른 물체보다 매우 무거울 경우(m_1\gg m_2 또는 m_1\ll m_2), 환산 질량은 더 가벼운 물체의 질량에 가까워진다(\mu\approx m_{\text{lighter}}). 예를 들어, 태양지구 계에서는 환산 질량이 지구의 질량과 거의 같고, 수소 원자에서는 전자의 질량에 매우 가깝다. 이러한 근사는 충돌 문제나 양자 역학 문제 등에서 계산을 간편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

환산 질량은 고전 역학에서 다루는 다양한 이체 문제, 특히 중력 상호작용 문제를 효과적으로 단순화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복잡한 이체 문제를 환산 질량 \mu를 가진 가상의 입자가 고정된 중심점(두 물체의 질량 중심) 주위를 도는 일체 문제로 변환하여 분석할 수 있다.

"환산 질량"이라는 용어는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대수항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x_\text{red} = {1 \over {1 \over x_1} + {1 \over x_2}} = {x_1 x_2 \over x_1 + x_2}.

이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전기적, 열적, 수압적, 또는 역학적인 저항기 등의 요소의 등가값을 계산하는 관계식에서도 사용된다.

5. 1. 중력

중력이 작용하는 이체 문제에서 환산 질량은 유용하게 사용된다. 질량 m_{1}m_{2}를 가진 두 물체가 서로의 중력에 의해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이 문제는 물체 2를 고정된 기준으로 삼고, 물체 1이 환산 질량 \mu를 가지며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원래의 중력을 받는 일체 문제로 변환하여 풀 수 있다.[1][2] 환산 질량 \m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 = \frac{1}{\frac{1}{m_1}+\frac{1}{m_2}} = \frac{m_1 m_2}{m_1 + m_2}

이 변환은 뉴턴의 제2법칙과 뉴턴의 제3법칙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물체 2가 물체 1에 작용하는 힘을 \mathbf{F}_{12}, 물체 1이 물체 2에 작용하는 힘을 \mathbf{F}_{21}이라고 하면, 각 물체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bf{F}_{12} = m_1 \mathbf{a}_1

:\mathbf{F}_{21} = m_2 \mathbf{a}_2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두 힘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mathbf{F}_{12} = - \mathbf{F}_{21}이다. 따라서 m_1 \mathbf{a}_1 = - m_2 \mathbf{a}_2 이고, \mathbf{a}_2 = -\frac{m_1}{m_2} \mathbf{a}_1 관계가 성립한다.

두 물체 사이의 상대 가속도 \mathbf{a}_{\text{rel}} = \mathbf{a}_1 - \mathbf{a}_2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athbf{a}_{\text{rel}} = \mathbf{a}_1 - \left(-\frac{m_1}{m_2} \mathbf{a}_1\right) = \left(1 + \frac{m_1}{m_2}\right) \mathbf{a}_1 = \frac{m_1 + m_2}{m_2} \mathbf{a}_1 = \frac{m_1 + m_2}{m_1 m_2} (m_1 \mathbf{a}_1) = \frac{1}{\mu} \mathbf{F}_{12}

즉, \mathbf{F}_{12} = \mu \mathbf{a}_{\text{rel}} 이다. 이는 물체 1이 물체 2에 대해 환산 질량 \mu를 가지고 상대 가속도 \mathbf{a}_{\text{rel}}로 움직이는 것과 동일함을 보여준다.[1]

중력 위치 에너지 V(r) = - \frac{G m_1 m_2}{r} (여기서 r = |\mathbf{r}_1 - \mathbf{r}_2|는 두 물체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면, 두 물체 사이의 중력은 F = G \frac{m_1 m_2}{r^2}이다. 환산 질량의 정의 m_1 m_2 = (m_1 + m_2) \mu를 이용하면 중력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 = G \frac{(m_1 + m_2) \mu}{r^2}

이는 환산 질량 \mu를 가진 물체가 총 질량 M = m_1 + m_2를 가진 중심체 주위를 도는 문제에서의 힘과 동일한 형태이다.[3] 따라서 이체 문제는 환산 질량 \mu와 총 질량 M을 사용하는 등가적인 일체 문제로 단순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5. 2. 충돌

반발 계수 ''e''를 갖는 충돌에서, 운동 에너지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lta K = \frac{1}{2}\mu v^2_\text{rel} \left(e^2 - 1\right),

여기서 ''v''rel는 충돌 전 두 물체의 상대 속도이고, μ는 환산 질량이다.

핵물리학의 전형적인 응용 분야에서, 한 입자의 질량이 다른 입자보다 훨씬 큰 경우, 환산 질량은 시스템의 더 작은 질량으로 근사될 수 있다. 한 질량이 무한대로 갈 때 환산 질량 공식의 극한값은 더 작은 질량이므로, 이러한 근사는 특히 더 큰 입자의 정확한 질량이 알려져 있지 않을 때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5. 3. 양자 역학

수소 원자 내의 전자(질량 ''m''e)와 양성자(질량 ''m''p)를 생각해 보자.[3] 두 입자는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서로 공전하며, 이는 이체 문제에 해당한다. 양자역학에서 전자의 운동을 분석하기 위해 이 문제를 일체 문제로 변환하는데, 이때 환산 질량 개념이 사용된다.

환산 질량 \m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 = \frac{m_\text{e} m_\text{p}}{m_\text{e} + m_\text{p}}

양성자의 질량이 전자의 질량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m_p \gg m_e), 환산 질량은 전자의 질량에 매우 가깝다(\mu \approx m_e). 따라서 전자의 운동을 기술할 때 실제 전자 질량 ''m''e 대신 환산 질량 \mu를 사용하면, 마치 양성자가 고정되어 있고 전자만이 환산 질량을 가지고 운동하는 것처럼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수소 원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세우고 그 해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

5. 4. 관성 모멘트

두 점 질량이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두 점 질량 m_1m_2가 공선상에 놓여 있는 계에서, 질량 중심을 회전축으로 할 때 각 질량까지의 거리 r_1r_2는 다음과 같다.

r_1 = R \frac{m_2}{m_1+m_2}

r_2 = R \frac{m_1}{m_1+m_2}

여기서 R은 두 질량 사이의 총 거리(R = r_1 + r_2 )이다.

이 계가 질량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때,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I는 각 질량의 관성 모멘트의 합으로 계산된다. 이는 환산 질량 \mu = \frac{m_1 m_2}{m_1+m_2}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I = m_1 r_1^2 + m_2 r_2^2 = m_1 \left( R \frac{m_2}{m_1+m_2} \right)^2 + m_2 \left( R \frac{m_1}{m_1+m_2} \right)^2

I = R^2 \frac{m_1 m_2^2}{(m_1+m_2)^2} + R^2 \frac{m_1^2 m_2}{(m_1+m_2)^2} = R^2 \frac{m_1 m_2 (m_2 + m_1)}{(m_1+m_2)^2} = R^2 \frac{m_1 m_2}{m_1+m_2}

I = \mu R^2

따라서 이 시스템의 관성 모멘트는 환산 질량 \mu와 두 질량 사이의 거리 R의 제곱의 곱과 같다. 이는 질량 중심으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곳에 환산 질량 \mu를 가진 단일 입자가 회전하는 경우의 관성 모멘트와 동일하다.

6. 일반적인 환산 질량

"환산 질량"이라는 용어는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대수항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x_\text{red} = {1 \over {1 \over x_1} + {1 \over x_2}} = {x_1 x_2 \over x_1 + x_2}.

이를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의 식을 간략화할 수 있다.

:\ {1\over x_\text{eq}} = \sum_{i=1}^n {1\over x_i} = {1\over x_1} + {1\over x_2} + \cdots+ {1\over x_n}.

이러한 환산 질량은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전기적, 열적, 수압적, 또는 역학적인 저항기 등의 요소의 관계식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관계식은 요소를 연결하는 연속 방정식과 마찬가지로 요소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Physics VHC publishers 1991
[2] 서적 Dynamics and Relativity Wiley 2009
[3] 서적 Molecular Quantum Mechanics Parts I and II: An Introduction to Quantum Chemistry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