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조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조류는 올리브색에서 다양한 갈색을 띠는 다세포 해조류로,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다시마류와 해조류는 서식지에서 눈에 띄는 갈조류이며, 부착기, 대, 엽상체, 기낭 등의 구조를 갖는다. 갈조류는 엽록체, 푸코잔틴, 라미나란, 만니톨 등을 가지며, 해조류, 식품, 의약품, 공업 원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갈조류는 넓패형, 채찍말형, 다시마형, 뜸부기형의 생활사를 가지며, 포자체와 배우체의 세대 교번이 일어난다. 갈조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조장 조성 및 복원을 통해 해양 자원 관리에 기여한다. 갈조류는 갈조강에 속하며, 약 2,000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조류 - 미역
    미역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조류로, 식용 해조류이자 건강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전 세계로 확산되어 침입종 문제도 야기하며, 부착기, 줄기, 잎으로 구성되고, '와카메'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고대부터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갈조류 - 감태
    감태는 서해안, 남해안, 제주도, 독도,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갈조류로, 다시마목 다시마과에 속하며 켈프 숲을 이루는 주요 해조류 중 하나이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해조류 서식지 보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갈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Phaeophyceae
명명자셸만, 1891년
이명Fucophyceae 바르밍, 1884년
Melanophyceae 라벤호르스트, 1863년
Phaeophyta
진핵생물
상계디아포레티케스
계통군SAR 상군
하계부등편모조류
상문Gyrista
오크로식물문
상강Chrysista
생물학적 특징
크기최대 60m
화석 기록쥐라기 후기부터 현재 (약 1억 5천만 년 전 ~ 현재)
하위 분류
본문 참조
일반 정보
영어 이름brown algae (갈색 조류), phaeophyceans

2. 형태

갈조류는 크기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가장 작은 갈조류는 길이가 몇 센티미터에 불과한 실 같은 세포들이 깃털처럼 무리 지어 자라는 아주 작은 형태이다.[4] 어떤 종은 생활사의 한 단계에서 단지 몇 개의 세포로만 이루어져 있어 전체 조류가 현미경적일 정도로 작다. 반면 다른 갈조류는 훨씬 더 크게 자란다. 다시마류(rockweed)와 가죽 같은 켈프(kelp)는 서식지에서 가장 눈에 띄는 갈조류인 경우가 많다.[5] 켈프의 크기는 약 0.61m 정도의 바다 손바닥(''Postelsia'')부터 약 45.72m 이상 자라는 거대한 다시마 ''마크로키스티스 피리페라''[6][7]까지 다양하며, ''마크로키스티스 피리페라''는 모든 조류 중에서 가장 크다. 형태 또한 다양하여 작은 딱지 또는 쿠션 모양[8]부터 ''Sargassum'' 종이 형성하는 잎 모양의 자유 부유 매트까지 다양하다. ''엑토카르푸스''처럼 섬세한 펠트 모양의 세포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파디나''처럼 편평한 가지가 부채 모양을 닮을 수도 있다.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갈조류(Phaeophyceae)를 다른 모든 조류와 구별하는 두 가지 눈에 띄는 특징이 있다. 첫째, 갈조류는 올리브색에서 다양한 갈색 음영까지 특징적인 색상을 지니고 있다. 특정 색조는 조류에 존재하는 푸코잔틴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39] 둘째, 모든 갈조류는 다세포 생물이다. 단세포 또는 세포 군체로 존재하는 종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39] 갈조류는 이러한 형태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 해조류 그룹 중 유일하다. 그러나 이것은 진화의 결과라기보다는 분류의 결과일 수 있는데, 갈조류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가정되는 모든 그룹에는 단세포 또는 군체 형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염도에 따라 색깔이 붉은색에서 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

''참다래'' 두 개체. 각각 왼쪽 아래에는 뿌리 같은 부착기, 오른쪽 위에는 갈라진 엽상체, 그리고 부착기와 엽상체를 연결하는 줄기 같은 대(柄)를 보여준다.


모양이 어떻든 갈조류의 몸체는 모두 '''엽상체'''라고 부르는데, 이는 복잡한 물관과 체관이 없는 관다발식물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갈조류가 전문화된 구조가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러한 조직의 존재로 "진정한" 줄기, 잎, 뿌리를 정의하기 때문에, 갈조류에 이러한 조직이 없다는 것은 일부 갈조류에서 발견되는 줄기와 잎과 같은 구조를 다른 용어로 설명해야 함을 의미한다.[9] 모든 갈조류가 구조적으로 복잡한 것은 아니지만, 구조가 복잡한 갈조류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다.

  • '''부착기'''는 조류 기저부에 있는 뿌리 같은 구조이다. 식물의 뿌리계와 마찬가지로 부착기는 조류가 자라는 기질에 조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조류가 해류에 휩쓸리는 것을 방지한다. 뿌리계와 달리 부착기는 일반적으로 물 흡수의 주요 기관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기질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지도 않는다. 부착기의 전반적인 외관은 다양한 갈조류와 다양한 기질에 따라 다르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거나 컵 모양일 수 있다. 하나의 조류는 일반적으로 부착기가 하나뿐이지만, 일부 종은 부착기에서 두 개 이상의 대가 자라기도 한다.

  • '''대'''는 조류에 있는 줄기 또는 줄기와 같은 구조이다. 조류 기저부 근처에 짧은 구조로 자랄 수도 있고 (''다시마속''처럼), 조류 전체에 걸쳐 크고 복잡한 구조로 발달할 수도 있다 (''서양톱풀속'' 또는 ''거대미역속''처럼). 가장 구조적으로 분화된 갈조류(예: ''모자반속'')에서는 대 내부의 조직이 세 개의 뚜렷한 층 또는 영역으로 나뉜다. 이러한 영역에는 중앙의 속, 주변의 피질, 그리고 바깥쪽 표피가 포함되는데, 각각 관다발 식물 줄기의 상동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부 갈조류에서는 속 영역에 관다발 식물의 체관과 구조와 기능이 모두 유사한 길쭉한 세포의 중심부가 포함되어 있다. 다른 갈조류(예: ''네레오키스티스속'')에서는 대의 중앙이 비어 있으며, 기체로 채워져 조류의 그 부분이 부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는 강한 해류에서 자라는 ''큰미역''과 같은 종에서는 비교적 유연하고 탄력적일 수 있지만, 간조 때 대기에 노출되는 ''포스텔시아속''과 같은 종에서는 더 단단할 수 있다.


많은 조류는 잎과 비슷한 편평한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엽상체'', ''엽편'' 또는 ''엽상체''라고 한다. ''엽상체''라는 이름은 대부분 하나로 나뉘지 않은 구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면, ''엽상체''는 편평하지만 모든 또는 대부분의 조류 몸체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분은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엽편''이라는 이름은 구조적으로 분화된 조류 중 편평한 부분을 가리킨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구조일 수 있으며, 조류의 상당 부분에 걸쳐 퍼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자반의 경우 엽편은 가지가 있는 중륵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넓은 조직의 날개이다. 중륵과 엽편은 모자반의 거의 모든 부분을 구성하므로, 엽편은 국소적인 부분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조류 전체에 퍼져 있다.

''작은구슬모자반''과 같은 종은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많은 기체로 채워진 기낭(공기주머니)을 생성한다.


일부 갈조류에는 하나의 엽편 또는 엽상체가 있고, 다른 갈조류에는 여러 개의 개별 엽상체가 있을 수 있다. 처음에 하나의 엽상체를 생성하는 종에서도 거친 해류 또는 성숙 과정의 일부로 구조가 찢어져 추가 엽상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엽상체는 대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대가 없는 부착기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대와 엽상체 사이에 공기 주머니가 있을 수도 있다. 엽편 또는 엽상체의 표면은 매끄럽거나 주름질 수 있으며, 조직은 얇고 유연하거나 두껍고 가죽 같을 수 있다. ''에그레기아속''과 같은 종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자라는 물의 난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 다른 종에서는 엽상체의 표면이 점액으로 코팅되어 착생식물의 부착을 억제하거나 초식동물을 막는다. 엽상체는 또한 종종 생식 구조를 갖는 조류의 부분이기도 하다.

  • '''기낭'''이라고 하는 기체로 채워진 부낭은 많은 켈프와 모자반목의 구성원에서 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주머니 모양의 구조는 ''엽편'' 내부 또는 근처에 존재하여 엽편이 수면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여 광합성을 위한 빛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기낭은 대부분 구형 또는 타원체형이지만, 종에 따라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네레오키스티스속''와 ''펠라고피쿠스속''과 같은 종은 대의 꼭대기와 엽상체의 기저부 사이에 하나의 큰 기낭을 갖고 있다. 반대로 거대 미역인 ''큰미역(Macrocystis pyrifera)''은 대를 따라 많은 엽상체를 가지고 있으며, 각 엽상체의 기저부에 주 기둥에 부착되는 곳에 기낭이 있다. ''서양톱풀속''의 종들도 많은 엽상체와 기낭을 가지고 있지만, 두 종류의 구조 모두 짧은 줄기로 대에 개별적으로 부착된다. ''모자반속''의 종에서는 기낭이 엽편 자체 내에서 발달하는데, 이는 별개의 구형 주머니 또는 발달하는 엽편의 윤곽을 따르는 길쭉한 기체로 채워진 영역으로 나타난다.


갈조류는 세포간극을 동반하는 '''다세포성''' 몸체를 가진다.[63][78] 크기는 다양하며, 수 밀리미터 정도의 것부터 길이 50미터를 넘는 것(대마디말(オオウキモ))까지 있다.[63][64] 몸체의 구조는 단순한 단열사상체에서부터, 사상체가 모여서 붙어서 가짜유조직체를 형성하는 것, 3차원적인 세포분열에 의해 유조직체를 형성하는 것까지 있다.[60][64][65][81] 가짜유조직이나 유조직체를 형성하는 것에서는, 보통 피층과 수층과 같은 단순한 조직 분화를 나타내고, 또 육상식물의 체관과 비슷한 통도 조직을 갖는 것도 있다.[64] 몸체 전체의 모양은 사상, 수상, 막상, 각상(딱지 모양) 등 다양하며, 다시마속(ホンダワラ属)처럼 뿌리·줄기·과 비슷한 기관 분화를 나타내는 것이나 기포와 같은 특별한 기관을 갖는 것도 있다.[63][64][65][81]

갈조류의 다양한 형태
--------
----------



'''1j'''. 알긴산


갈조류의 세포세포벽에 둘러싸여 있다. 세포벽은 섬유성 다당류(세포벽의 기본 골격이 되는 다당류)인 셀룰로스를 포함하지만 그 함량은 적고(조체 건조 중량의 1–10%), 매트릭스 다당류(섬유성 다당류를 매립하는 기질이 되는 다당류)인 '''알긴산'''이 많다(조체 건조 중량의 35%에 달하는 경우도 있음; 오른쪽 그림 1j). 또한 퓨코이단(후칸) 등의 황산다당류를 포함한다.[60][63][65][81][78] 모자반목 중에는 세포벽에 탄산칼슘이 침착하여 석회화되는 것도 있다[64](위 그림 1f).

인접한 세포의 원형질은 '''원형질연락'''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광합성 산물과 무기 영양염, 신호 분자가 수송된다.[60][63][65] 다수의 원형질 연락이 모여 피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으며, 다시마목포자체에서는 체관과 같은 세포사인 트럼펫 세포사(trumpet-shaped hypha, 균사상 세포사 hyphal filament)에 이러한 구조가 보인다.[63][65] 갈조류의 원형질 연락에는 육상식물의 원형질 연락에 보이는 것과 같은 데스모튜불(인접 세포의 소포체를 잇는 관상 구조)은 존재하지 않는다.[63][78]

세포는 보통 단핵성(1개의 을 가짐)이다.[78] 갈조류의 세포는 세포 주기 전반에 걸쳐 중심체 쌍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미세소관은 중심체에서 뻗어 나온다.[63][81] 따라서 육상식물 등에서 보이는 표층 미세소관을 가지지 않고, 세포 골격계로는 표층 액틴 필라멘트가 존재한다.[63][81] 이 액틴 필라멘트는 세포벽셀룰로스 미세섬유(미세섬유소)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3] 중심체를 구성하는 중심립은 한쪽 부모(부계)로부터 단성 유전한다.[66] 핵분열 시에는 중심체가 양극에 위치하여 방추사 미세소관을 형성한다.[63][81] 염색체에 명료한 동원체는 보이지 않는다.[63] 핵분열시의 핵막 붕괴 정도는 분류군과 발생 단계에 따라 다양하다.[63] 핵분열 후의 세포질분열 면은 중심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에 액틴판이 형성된다.[63][81] 세포질 분열은 세포막의 환상 수축 또는 골지 소포나 편평 소포의 융합에 의해 형성되는 세포판의 원심적 성장에 의해 일어난다.[63][81] 이때 자매 세포 사이에는 원형질연락이 형성된다.[81] 보통 핵 주위에 여러 개의 골지체가 존재하지만, 카야모노리류에서는 핵에 접하여 1개의 골지체만이, 모자반목이나 히바마타목에서는 세포질 내에 산재한 다수의 골지체가 존재한다.[63]

세포 내에는 보통 엽록체가 존재하며, 1세포에 여러 개의 엽록체를 가지는 것이 많지만, 1세포에 1개의 엽록체를 가지는 예도 알려져 있다. 엽록체의 형태도 원반상의 것이 많지만, 그 외에 컵 모양, 끈 모양, 별 모양 등이 있다.[64][63][65] 엽록체는 4개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가장 바깥쪽 막은 핵막과 연결되어 있다'''.[60][63][81] 틸라코이드는 3장씩 겹쳐 틸라코이드 라멜라를 형성하고, 다수의 틸라코이드 라멜라는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을 둘러싸는 '''가드르 라멜라'''가 엽록체 피막에 따라 안쪽에 있다.[63][64][65] 색소체 DNA는 가드르 라멜라의 내연에 따라 분포하여 '''링 모양의 색소체 핵상체'''를 형성하고 있다.[60][63][65] 피레노이드를 가지는 예는 적지만, 파래목에서는 돌출형의 피레노이드가, 스키토타무누스목에서는 매몰형의 피레노이드가 보인다.[63]

플로로탄닌의 예
----



갈조류는 플로로그루시놀로 이루어진 폴리페놀인 '''플로로탄닌'''(phlorotannin; 오른쪽 그림 1k, l)을 축적하여 세포 내에 피소드(갈조류 포자, physode)라고 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63][64][65][81][78][67] 플로로탄닌은 조식 동물이나 박테리아, 부착 조류에 대한 방어, 또한 자외선 방어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3][81][67] 또한 모자반목이나 울시그사목에는 황산을 포함하는 종도 있으며, 이것도 다른 생물에 대한 기피 물질이 된다고 생각된다.[63]

갈조류의 세포는 만니톨이나 수크로스,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삼투압 조절이나 동결 방지에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81] 만니톨은 전류당(체내를 전류할 때의 )이 되기도 하며(아래 참조), 조체 건조 중량의 20–30%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81] 또한 갈조류에서는 세포 내의 요오드 농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5]

갈조류 중에서는 파래모자반, 오키나와모자반, 미역, 다시마 등에서 전체 게놈 염기 서열이 보고되어 있다.[114]

갈조류는 유주자배우자 등의 형태로 편모를 가진 세포를 형성한다. 다른 부등편모조류와 마찬가지로, 편모세포는 보통 관상의 작은 털이 있는 앞편모와 이것이 없는 뒷편모를 가지며, 세포의 배면(측면)에서 생겨난다.[60][63][64][65][81][78] 편모의 끝은 축사의 중심 미세소관 쌍만이 신장된 부분인 아크로네마가 된다.[63][65] 아크로네마는 유성생식에서 암세포의 인식이나 기질에 대한 부착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5] 다시마목이나 톳목의 정자에서는 뒷편모가 매우 길지만, 모자반목의 정자에서는 뒷편모가 거의 퇴화되어 있다.[63][64][65] 편모세포의 엽록체에는 자주 안점이 존재하며, 뒷편모 기저의 편모팽윤부와 마주하고 있다.[63][65] 또한 뒷편모에는 녹색의 자가형광 물질이 존재하며, 아마도 주광성에 관여하고 있다.[63][65]

편모 이동부에 많은 부등편모조류에서 볼 수 있는 '''나선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68][69] 두 개의 기저소체는 거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며, 섬유성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기저소체 부근에서는 4개의 미세소관성 편모근(R1–R4)이 뻗어 나와 있으며, 또한 '''바이패싱 루트'''(bypassing root)라고 불리는 미세소관이 R3에서 기저소체 부근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뻗어 나온다.[60][63][68][69] 또한 안점을 갖지 않는 것에서는 R2가 결여되어 있다.[63]

3. 생활사

갈조류의 생활사는 일반적으로 넓패형, 채찍말형, 다시마형, 뜸부기형의 4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다.


  • 넓패형: 넓패는 암배우체, 수배우체, 포자체의 세 종류가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생식 기관이나 염색체를 통해 구별된다. 암배우체의 생란기에서 만들어진 알은 수배우체의 장정기에서 나온 정자와 수정한다. 수정란은 발아하여 포자체가 되고, 포자체는 포자낭 속에서 감수 분열을 통해 4개의 단상 포자(사분 포자)를 만든다. 이 포자들은 각각 암배우체 또는 수배우체로 자라 세대 교번을 이룬다.
  • 채찍말형: 채찍말은 암배우체 또는 수배우체이며, 각각 암·수 배우자낭에서 배우자를 만든다. 이 배우자들은 접합하여 발아, 성장하여 납작한 모양의 '아글라오조니아'가 된다. 아글라오조니아 표면의 유주자낭에서 감수 분열로 만들어진 유주자는 발아하여 우리가 흔히 보는 채찍말(배우체)이 된다. 즉, 채찍말은 단상 배우체와 복상 포자체 사이에서 세대 교번을 한다.
  • 다시마형: 다시마 몸체는 포자체이며, 유주자낭에서 감수 분열을 통해 만들어진 단상 유주자가 방출되어 작은 암·수 배우체를 만든다. 배우체의 생란기와 장정기에서 만들어진 알과 정자는 수정하고, 수정란은 분열하여 헛뿌리를 내면서 바위 등에 붙어 성장하여 우리가 식용하는 다시마가 된다. 다시마는 큰 복상 포자체와 작은 단상 배우체 사이에서 세대 교번을 한다.
  • 우뭇가사리형 (뜸부기형): 뜸부기나 우뭇가사리 몸체는 복상이며, 생란기나 장정기가 생긴다. 뜸부기는 가지 끝에, 우뭇가사리는 몸체 끝의 작은 가지에 생식 기관이 모여 '생식기상' 또는 '생식기탁'을 이룬다. 수정란은 며칠 동안 자성 생식기상에 붙어 성장하다가 바다로 떨어져 암·수 배우체가 된다. 뜸부기형 생활사는 감수 분열이 알이나 정자가 생길 때만 일어나 배우체만 존재하고 포자체가 없어 세대 교번이 없다.


갈조류인 ''분지다시마(Dictyota dichotoma)''의 성장은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는 각 엽상체 끝에서 일어난다.


갈조류에는 가장 크고 빠르게 자라는 해조류가 포함된다.[4] ''거대 다시마(Macrocystis)''는 하루 최대 50cm까지 자랄 수 있다.[10]

대부분의 갈조류는 단일 ''정단세포'' 분열로 끝에서 성장하지만, ''외피조류(Ectocarpus)''는 새로운 세포의 확산된 생성으로 성장한다.[39]

대부분의 갈조류는 포자감수분열을 통한 유성생식을 하며,[47] 포자체(이배체)와 배우체(일배체) 단계를 거친다. 부유형 갈조류는 기질 부착 전까지 유성생식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배체 세대는 수컷과 암컷 배우체로 구성되며,[48] 난자 수정은 종에 따라 동형접합, 난형접합, 이형접합일 수 있다. 수정은 물속 또는 난황기 내에서 일어난다.

일부 갈조류는 운동성 이배체 유주자를 통한 무성생식도 하며, 유주자는 다세포 포자낭에서 형성되어 포자체로 성숙한다.

''다시마속''은 이배체 포자체와 일배체 배우체 세대를 가진다. 감수분열은 엽상체의 단세포 포자낭에서 일어나 일배체 유주자를 형성하고, 이들은 배우체로 발달한다. 암컷 배우체는 난황기에서 난자를, 수컷 배우체는 정자를 생성하여 수정하며, 수정된 접합자는 이배체 포자체로 자란다.

모자반목은 난형접합 유성생식을 하며, 이배체가 유일한 형태이다. 배우자는 엽상체 바깥 부분인 수정토낭에서 형성되고, 난세포와 정자는 별도 주머니에서 방출되어 물속에서 수정한다. 수정된 접합자는 표면에 정착 후 엽상체와 부착기로 분화되며, 빛이 이 분화를 조절한다.

''Saccharina latissima'' 해변에서.


갈조류 성장 방식은 다양하다.[63][64][65][81]

성장 방식설명예시
분산 성장 (diffuse growth)특정 분열 세포 없이 모든 세포 분열톱니모목
삽입 성장 (절간 성장, intercalary growth)분열 세포가 조체 중간 부분에 국한다시마
정단 성장 (선단 성장, apical growth)분열 세포가 조체 선단에 국한 (가장자리 성장 포함)파래목, 모자반
정모 성장 (trichothallic growth)분열 세포 선단 쪽에 털 존재채찍말목, 켈프목



갈조류는 유주자배우자 형태로 편모 세포를 형성한다. 부등편모조류처럼 관상의 작은 털이 있는 앞편모와 없는 뒷편모를 가지며, 세포 배면(측면)에서 생성된다.[60][63][64][65][81][78] 편모 끝은 아크로네마가 된다.[63][65] 다시마목, 톳목 정자는 뒷편모가 길지만, 모자반목 정자는 퇴화되어 있다.[63][64][65] 엽록체에는 안점이 있고, 뒷편모 기저 편모팽윤부와 마주한다.[63][65] 뒷편모에는 녹색 자가형광 물질이 있어 주광성에 관여한다.[63][65]

편모 이동부에 나선 구조는 없다.[68][69] 두 기저소체는 반대 방향이며, 섬유 구조로 연결된다. 4개 미세소관성 편모근(R1–R4)과 바이패싱 루트가 뻗어 나온다.[60][63][68][69] 안점 없는 경우 R2 결여.[63]

다시마류의 생활환: 대형 포자체(좌)가 단자낭을 형성, 감수분열유주자 방출, 미소 암수 배우체(우)가 난자와 정자 형성, 수정란은 포자체로 성장.


많은 갈조류는 단상 배우체복상 포자체 간 세대교번을 한다.[63][65][81][71] (단복세대교번형 생활환). 배우체와 포자체 모습이 같으면 동형세대교번(시오미도로, 아미지구사), 다르면 이형세대교번(배우체 우세: 카야모노리, 무치모, 포자체 우세: 모즈쿠, 다시마; 우측 그림)이다.[63][65][71][81][78] 히바마타목(히지키, 아카모쿠) 등은 복상 세대만 가지며, 감수분열로 배우자 형성, 접합자는 복상체로 성장 (복상단세대형 생활환)한다.[63][65][71][81] 이형세대교번 중 배우체 세대가 수 세포로 퇴화된 예는 복상단세대형 생활환 진화 중간 단계로 추정된다.[65][78]

동형세대교번이 조상적 상태이며, 이형세대교번, 배우체 퇴화·소실 순으로 진화했다.[63] 이형세대교번 진화 요인은 계절성 환경 적응이며, 미소 세대가 성장에 부적합한 계절 내구 세대 역할이다.[63][65][81]

배우자합체 양식은 3가지이다.[63][81]

배우자합체 양식설명예시
동형배우자접합(isogamy)편모 가진 동형 동대 배우자 합체이시게목, 시오미도로목
이형배우자접합(heterogamy)편모 가진 대소 배우자(대형: 암, 소형: 수) 합체쿠로가시라목, 무치모목 일부
난생식(oogamy)편모 가진 소형 배우자(정자)와 없는 대형 배우자(난자) 합체아미지구사목, 다시마목, 히바마타목



'''에크토카르펜'''

'''호르모시렌'''

배우자는 한쪽(암성)이 먼저 기질에 부착하거나 부동성(난자)이며, 성페로몬 분비, 다른 쪽 배우자(수성) 주화성 유도, 배우자 합체한다.[64][72][81] 갈조류 성 페로몬은 불포화 탄화수소이며, 에크토카르펜, 후코세라텐, 호르모시렌, 라목시렌 등 10종 정도 알려져 있고, 목 수준에서 일정하다.[63][72][73] 난생식 경우 성 페로몬은 정자 방출 유도한다.[63][72]

배우자는 배우체상 복자낭(plurilocular sporangium, plurisporangium, plurilocular zoidangium, pluriloc)에서 형성된다.[63][64][65][81] 복자낭은 배우자낭(gametangium, plurilocular gametangium)으로도 불린다.[63] 배우자 미합체, 배우체 발생 (단위발생) 경우도 있다.[81][71] 복자낭에서 배우자 아닌 편모 세포 형성 시 중성 복자낭(neutral plurisporangium), 중성 유주자(neutral zoospore) 등으로 불린다.[63]

난자정자 분화 경우, 난자 형성 구조는 생난기(oogonium), 정자 형성 구조는 조정기(antheridium)이다.[64][71] 생난기, 조정기는 복자낭 변형이다.[65][81][78]

포자체는 단자낭(unilocular sporangium, unilocular zoidangium, uniloc; 유주자낭 zoosporangium) 형성, 감수분열 후 유주자(zoospore) 생성, 방출한다.[63][64][65][81] 유주자는 단자낭포자(unispore)이다.[65] 아미지구사목 포자체는 사분포자낭(tetrasporangium)에서 편모 없는 사분포자(tetraspore) 형성한다.[63][64][65] 틸롭테리스목은 단포자낭(monosporangium)에서 단포자(monospore) 형성한다.[64][65]

갈조류는 영양번식용 배아지(배아, 무성아, propagule) 형성(쿠로가시라속 등)한다.[63][64] 히바마타목 등은 포복지로 영양번식한다.[65]

4. 생태

갈조류는 조간대 물보라 지역, 바위웅덩이, 조간대 전체, 그리고 비교적 깊은 연안 해역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 생태적 틈새에 적응해 왔다. 갈조류는 일부 기수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최소 여섯 차례 이상 담수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9] 많은 갈조류(Phaeophyceae)가 조간대 또는 상부 조간대에 서식하며,[23] 주로 차가운 물에서 서식하는 생물로, 용승 해류와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영양분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잘피''(Sargassum)는 이러한 일반화에 대한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기수에서 자라는 갈조류는 거의 전적으로 무성생식을 한다.[23]

대부분의 갈조류는 해산이며, 수심 1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연안 암초 지역의 조간대에서 얕은 조하대에 서식한다.[63][64] 특히 다시마목, 미역목, 치로프테리스목, 아스코세이라목, 톳목의 대형 종은 조간대에서 조하대 상부에서 우점하여 해조장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63] 대형 갈조류에 의한 해조장은 해중림이라고도 불린다.[74] 일본에서는 다시마속이나 곰피속의 해조장을 다시마·곰피장, 미역의 해조장을 미역장, 다시마류의 해조장을 다시마장, 모자반류의 해조장을 갈라모장이라고 부른다.[64][75] 이러한 갈조류 해조장의 생산량은 매우 크다(500–2,000 gC m-2/년). 또한 다양한 동물의 먹이와 서식지가 된다.[64][77][75][76] 또한 해조류에서는 광합성 산물의 30–60%가 용존유기물(DOM)로서 수중에 분비되며, 이에 의한 탄소의 동태도 중요시된다.[77] 갈조류 중에는 1년생부터 다년생까지 있으며, 15년 동안 사는 것도 있다.[71][81]

'''3a'''. 조간대의 톳속(톳목)


'''3b'''. ''Cystoseira'' (톳목)의 해조장


'''3c'''. 큰 다시마(다시마목)의 해조장


'''3d'''. 큰 다시마와 해달


'''3e'''. 사르가소해의 수면을 떠다니는 모자반류(떠다니는 해조류)


많은 갈조류는 바위에 부착되어 있지만, 다른 해조류에 부착되어 있는 종도 있다.[78] (크로가시라속la 등) 다른 갈조류에 부착하는 갈조류 중에는 기생성 또는 반기생성으로 생각되는 종이 소량 알려져 있다.[78] 모자반속 등 기포를 가진 갈조류는 기질로부터 떨어져 떠다니는 해조류(drifting algae)가 되어 영양번식하면서 장기간 해수면을 떠다니는 경우가 있다.[77][79][75] 이러한 떠다니는 해조류도 동물에게 중요한 서식 환경이 된다.[79] 또한 사르가소해(Sargasso Sea)의 이름은 모자반속(Sargassumla)의 떠다니는 해조류가 대량으로 모이는 것에 유래한다.[80]

Petroderma maculiformela(돌가사리목)는 조간대에 서식하는 지의류인 Verrucaria tavaresiala(자낭균문유로티움균강)의 공생조가 되는 경우가 있다.[81]

담수산의 것은 약 8종만이 알려져 있으며(2015년 현재), 진화적으로는 바다에서 담수로의 2차적인 진출이 여러 번 일어났다고 생각되고 있다.[63][78]

5. 한국과의 관계

갈조류는 식량, 의약품, 사료, 비료, 공업 원료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63]

일본에서는 미역(와카메), 다시마류(콘부類), 톳(히지키), 모즈쿠류(모즈쿠類)가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양식되는 경우도 있다.[63][64] 또한 다시마(아라메), 괭생이모자반(아카모쿠), 파래류(하바노리), 까마늘(카야모노리), 잎파래(마쓰모), 이로로(이로로) 등을 이용하는 지역도 있다.[63][82] 일본에서는 이미 『대보령(大宝律令)』(701년)에서 미역과 다시마가 조세로 지정되어 있다.[83]

미역(와카메) 된장국(미소시루)


다시마말이(곤부마키)


톳 조림(히지키노니모노)


오키나와 모즈쿠 초절임(오키나와모즈쿠노스노모노)



6. 분류

갈조강에 속하는 목록은 다음과 같다.[118]

타래가죽채찍말목 (Ascoseirales)
별솜털목 (Asterocladales)
Chordales
산말목 (Desmarestiales)
그물바탕말목 (Dictyotales)
디스코스포란기움목 (Discosporangiales)
솜털목 (Ectocarpales)
뜸부기목 (Fucales)
패목 (Ishigeales)
다시마목 (Laminariales)
네모데르마목 (Nemodermatales)
Onslowiales
Phaeosiphoniellales
바위딱지목 (Ralfsiales)
고리매목 (Scytothamnales)
갯쇠털목 또는 쇠털목 (Sphacelariales)
털비말목 (Sporochnales)
Stschapoviales
Syringodermatales
틸롭테리스목 (Tilopteridales)



Silberfeld, Rousseau & de Reviers 2014의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45]

갈조강(Phaeophyceae)의 목 목록은 다음과 같다.[45][46]

갈조강의 목까지의 분류 체계와 대표종[60][114][106][116] (2021년 현재)



갈조류는 황갈조류문 안에서 '''갈조강'''으로 묶인다.[60][106] 갈조강의 자매군은 단 1속 1종만 알려진 사이소클라디아조강이며, 이것을 갈조강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원형질 연락이 없는 미세한 사상체이며, 세포벽셀룰로스가 없고, 복자낭·단자낭을 갖지 않는 점에서 갈조류와 다르다.[104][105] 황갈조류문에서는, 그 밖에 황록색조강, 파에오탐니온조강, 아우레아레나조강, 크리소팔락소조강, 파에오사키온조강이 갈조강에 비교적 근연이라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106][107][108] 황갈조류문에는 간단한 사상체를 형성하는 다세포성 종을 포함하는 강이 여러 개 있지만(사이소클라디아조강, 황록색조강, 파에오탐니온조강 등), 원형질 연락을 수반하는 다세포체를 형성하는 것은 갈조강뿐이다.

2021년 현재, 갈조강에는 약 2,000종이 알려져 있다.[60]

갈조류는 형태, 생장 방식, 생활환 등을 기준으로 여러 목으로 분류되어 왔다.[64][109] 20세기 후반 이후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의해 일부 목이 통합되었으며(긴잎모자반목, 으아리모자반목, 옥덩굴목은 돌가사리목에 통합), 또한 많은 새로운 목(말목 , 돌가사리목 , 온슬로위아목 , 끈모자반목 등)이 제안되었지만, 오래전부터 그 범위가 거의 변하지 않은 목도 있다(모자반목 등).[112][78][113][114][110] 2021년 현재 약 20목이 인식되고 있으며, 그 계통 관계를 바탕으로 4아강으로 나뉜다.[112][78]

갈조강 각 목의 비교[63][114][71][115][116]
생활환배우체포자체배우자성 페로몬엽록체피레노이드종수 (일본산)
말목동형사상체 / 정단 생장사상체 / 정단 생장동형불명원반형없음3 (1)
돌가사리목동형위조직체 / 분산 생장?위조직체 / 분산 생장?동형불명원반형없음8 (3)
검정머리목동형조직체 / 정단 생장조직체 / 정단 생장동형, 이형, 난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101 (17)
넓은잎톳목이형 (배우체<포자체)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조직체 / 정단 생장동형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6 (1)
참모자반목동형조직체 / 정단 생장조직체 / 정단 생장이형, 난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318 (70)
온슬로위아목동형사상체 / 정단 생장사상체 / 정단 생장불명불명원반형없음4
우뭇가사리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정모 생장위조직체 / 정모 생장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27 (3)
스키토탐누스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정단 생장조직체 / 삽입 생장이형고리형 탄화수소성상있음8 (1)
모자반목이형 (배우체<포자체)위조직체 / 정모 생장위조직체 / 정모 생장고리형 탄화수소
에폭사이드
원반형없음33 (3)
아스코세이라목복단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위조직체 / 삽입 생장동형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1
별가지목동형?사상체 / 정단 생장사상체 / 정단 생장이형불명대상있음3 (2)
돌가사리목동형, 이형 (배우체>포자체, 배우체<포자체)사상체, 위조직체, 조직체 / 분산 생장사상체, 위조직체, 조직체 / 분산 생장동형, 이형, 난고리형 탄화수소대상 등있음769 (199)
끈모자반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분산 생장조직체 / 분산 생장, 삽입 생장이형, 난불명원반형없음9 (6)
다시마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분산 생장조직체 / 삽입 생장고리형 탄화수소
에폭사이드
원반형없음137 (34)
시차포비아목이형 (배우체<포자체)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조직체 / 분산 생장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4 (1)
갈파래목동형, 이형 (배우체<포자체)위조직체 / 분산 생장?위조직체 / 분산 생장?이형불명원반형, 배상없음36 (14)
납작파래목동형, 이형 (배우체>포자체, 배우체<포자체)조직체 / 정모 생장조직체 / 정모 생장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21 (3)
네모델마목동형위조직체 / 분산 생장?위조직체 / 분산 생장?이형불명원반형없음2
모자반목복단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조직체 / 정단 생장난, 이형고리형 탄화수소
비고리형 탄화수소
올레핀
원반형없음556 (74)


6. 1. 계통 분류

유전 및 초미세 구조적 증거에 따르면 갈조류(Phaeophyceae)는 잡색편모류(스트라메노파일계)에 속한다.[19] 잡색편모류는 규조류와 같은 광합성 구성원뿐만 아니라 점액세균류 및 난균류와 같은 비광합성 그룹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유기체 집합체이다. 과학자들은 모든 잡색편모류가 다른 단세포 진핵생물의 내공생을 통해 엽록체를 획득했을 때 광합성이 된 단일 종속영양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생각한다.[21]

갈조류와 가장 가까운 친척에는 단세포 및 사상 종이 포함되지만, 단세포 갈조류 종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갈조류가 단세포 조상으로부터 진화했다고 가정한다.[22] DNA 서열 비교는 또한 갈조류가 1억 5천만 년[26]에서 2억 년 전[27] 사이에 사상 파에오탐니오피세애(Phaeothamniophyceae),[23] 크산토피세애(Xanthophyceae),[24] 또는 크리소피세애(Chrysophyceae)[25]로부터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분자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갈조류의 기원은 고생대 말부터 중생대임이 시사되고 있다.[111][112][114]

갈조류의 대부분은 대형의 해조류이며, 19세기 전반에는 해조류를 색깔에 따라 홍조류, 녹조류, 갈조류로 나누는 것이 제안되어 널리 받아들여졌다.[100] 현재는 이러한 색깔의 차이가 광합성 색소 구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20세기 전반에 갈조류는 갈조식물문(Phaeophyta)으로 독립된 문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았으나,[100][101] 20세기 후반에는 엽록체편모의 미세 구조와 광합성 색소 등의 공통점으로부터 갈조류는 규조류와 황금색조류와 근연이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공통의 그룹(불균등편모조류)으로 묶이게 되었다.[100] 2021년 현재는 분류학적으로 황갈조류문으로 불린다.[60][106] 갈조류를 포함한 불균등편모조류는 2차 공생(3차 공생이라는 설도 있다)한 홍조류에서 유래했다고 생각된다.[102][103]

갈조류는 황갈조류문 안에서 갈조강으로 묶인다.[60][106] 갈조강의 자매군은 단 1속 1종만 알려진 사이소클라디아조강이며, 이것을 갈조강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원형질 연락이 없는 미세한 사상체이며, 세포벽셀룰로스가 없고, 복자낭·단자낭을 갖지 않는 점에서 갈조류와 다르다.[104][105] 황갈조류문에서는 그 밖에 황록색조강, 파에오탐니온조강, 아우레아레나조강, 크리소팔락소조강, 파에오사키온조강이 갈조강에 비교적 근연이라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106][107][108]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119][120]

{| class="wikitable"

|-

! 대롱편모조식물

|-

|

{| class="wikitable"

|-

! 카키스타류

|-

|



|-

! 파에이스타류

|-

|

{| class="wikitable"

|-

! Hypogyrista

|-

|



|-

! Chrysista

|-

|

{| class="wikitable"

|-

! Eustigmista

|-

|



|-

|

{| class="wikitable"

|-

! Phagochrysia

|-

|

{| class="wikitable"

|-

| 피코파구스강

|-

|

{| class="wikitable"

|-

| 신크로마강

|-

|

Leukarachnion
황조류



|}

|}

|-

! Xanthophytina

|-

|

{| class="wikitable"

|-

| 침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 갈조류

|-

|

{| class="wikitable"

|-

| 크리소메리스강

|-

|



|}

|}

|}

|}

|}

|}

|}

|}

|}

6. 2. 하위 분류

다음은 갈조강(Phaeophyceae)에 속하는 목(目)의 목록이다.[118]

타래가죽채찍말목 (Ascoseirales)
별솜털목 (Asterocladales)
Chordales
산말목 (Desmarestiales)
그물바탕말목 (Dictyotales)
디스코스포란기움목 (Discosporangiales)
솜털목 (Ectocarpales)
뜸부기목 (Fucales)
패목 (Ishigeales)
다시마목 (Laminariales)
네모데르마목 (Nemodermatales)
Onslowiales
Phaeosiphoniellales
바위딱지목 (Ralfsiales)
고리매목 (Scytothamnales)
갯쇠털목 또는 쇠털목 (Sphacelariales)
털비말목 (Sporochnales)
Stschapoviales
Syringodermatales
틸롭테리스목 (Tilopteridales)



Silberfeld, Rousseau & de Reviers 2014의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45]

갈조강(Phaeophyceae)의 목 목록은 다음과 같다.[45][46]


  • '''갈조강'''(Phaeophyceae)
  • * 원반포자갈조아강(Discosporangiophycidae)
  • ** 원반포자갈조목(Discosporangiales)

엽상갈조과(Choristocarpaceae)
원반포자갈조과(Discosporangiaceae)

  • * 이시게갈조아강(Ishigeophycidae)
  • ** 이시게갈조목(Ishigeales)

이시게과(Ishigeaceae)
석피갈조과(Petrodermataceae)

  • * 잔잎갈조아강(Dictyotophycidae)
  • ** 잔잎갈조목(Dictyotales)

잔잎갈조과(Dictyotaceae)

  • ** 온슬로갈조목(Onslowiales)

온슬로갈조과(Onslowiaceae)

  • ** 사상갈조목(Sphacelariales)

클라도스테파과(Cladostephaceae)
석피갈조과(Lithodermataceae)
페오스트로피아과(Phaeostrophiaceae)
사상갈조과(Sphacelariaceae)
사상피과(Sphacelodermaceae)
스타이포카우과(Stypocaulaceae)

  • ** 시링고데르마갈조목(Syringodermatales)

시링고데르마과(Syringodermataceae)

  • * 대황아강(Fucophycidae)
  • ** 아스코세이라목(Ascoseirales)

아스코세이라과(Ascoseiraceae)

  • ** 별가지갈조목(Asterocladales)

별가지갈조과(Asterocladaceae)

  • ** 데스마레스티아목(Desmarestiales)

아르트로클라디아과(Arthrocladiaceae)
데스마레스티아과(Desmarestiaceae)

  • ** 외낭갈조목(Ectocarpales)

아시네토스포라과(Acinetosporaceae)
아데노시스타과(Adenocystaceae)
코르다리아과(Chordariaceae)
외낭갈조과(Ectocarpaceae)
페트로스폰지아과(Petrospongiaceae)
사이토시폰과(Scytosiphonaceae)

  • ** 모자반목(Fucales)

이분갈조과(Bifurcariopsidaceae)
두르빌레아과(Durvillaeaceae)
모자반과(Fucaceae)
히만탈리아과(Himanthaliaceae)
호르모시라과(Hormosiraceae)
노테이아과(Notheiaceae)
모자반과(Sargassaceae)
세이로코카과(Seirococcaceae)
자이포포라과(Xiphophoraceae)
아가리쿠스과(Agaraceae)
악케시피카과(Akkesiphycaceae)
알라리아과(Alariaceae)
아우레오피카과(Aureophycaceae)
코르다과(Chordaceae)
다시마과(Laminariaceae)
레스소니아과(Lessoniaceae)
슈도코르다과(Pseudochordaceae)

  • ** 네모데르마목(Nemodermatales)

네모데르마과(Nemodermataceae)

  • ** 페오시포니엘라목(Phaeosiphoniellales)

페오시포니엘라과(Phaeosiphoniellaceae)

  • ** 랄프시아목(Ralfsiales)

메소스포라과(Mesosporaceae)
네오랄프시아과(Neoralfsiaceae)
랄프시아과(Ralfsiaceae)

  • ** 사이토탐누스목(Scytothamnales)

아스테로네마타과(Asteronemataceae)
바첼로티아과(Bachelotiaceae)
스플락니디아과(Splachnidiaceae)

  • ** 스포로크누스목(Sporochnales)

스포로크누스과(Sporochnaceae)

  • ** 틸롭테리스목(Tilopteridales)

컬터리아과(Cutleriaceae)
할로시폰과(Halosiphonaceae)
필라리아과(Phyllariaceae)
슈차포비아과(Stschapoviaceae)
틸롭테리스과(Tilopteridaceae)

2021년 현재, 갈조강에는 약 2,000종이 알려져 있다.[60]

갈조류는 형태, 생장 방식, 생활환 등을 기준으로 여러 목(目)으로 분류되어 왔다.[64][109] 20세기 후반 이후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의해 일부 목이 통합되었으며(긴잎모자반목, 으아리모자반목, 옥덩굴목은 돌가사리목에 통합), 또한 많은 새로운 목(말목 , 돌가사리목 , 온슬로위아목 , 끈모자반목 등)이 제안되었지만, 오래전부터 그 범위가 거의 변하지 않은 목도 있다(모자반목 등).[112][78][113][114][110] 2021년 현재 약 20목이 인식되고 있으며, 그 계통 관계를 바탕으로 4아강으로 나뉜다.[112][78]

갈조강 각 목의 비교[63][114][71][115][116]
생활환배우체포자체배우자성 페로몬엽록체피레노이드종수 (일본산)
말목동형사상체 / 정단 생장사상체 / 정단 생장동형불명원반형없음3 (1)
돌가사리목동형위조직체 / 분산 생장?위조직체 / 분산 생장?동형불명원반형없음8 (3)
검정머리목동형조직체 / 정단 생장조직체 / 정단 생장동형, 이형, 난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101 (17)
넓은잎톳목이형 (배우체<포자체)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조직체 / 정단 생장동형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6 (1)
참모자반목동형조직체 / 정단 생장조직체 / 정단 생장이형, 난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318 (70)
온슬로위아목동형사상체 / 정단 생장사상체 / 정단 생장불명불명원반형없음4
우뭇가사리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정모 생장위조직체 / 정모 생장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27 (3)
스키토탐누스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정단 생장조직체 / 삽입 생장이형고리형 탄화수소성상있음8 (1)
모자반목이형 (배우체<포자체)위조직체 / 정모 생장위조직체 / 정모 생장고리형 탄화수소
에폭사이드
원반형없음33 (3)
아스코세이라목복단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위조직체 / 삽입 생장동형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1
별가지목동형?사상체 / 정단 생장사상체 / 정단 생장이형불명대상있음3 (2)
돌가사리목동형, 이형 (배우체>포자체, 배우체<포자체)사상체, 위조직체, 조직체 / 분산 생장사상체, 위조직체, 조직체 / 분산 생장동형, 이형, 난고리형 탄화수소대상 등있음769 (199)
끈모자반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분산 생장조직체 / 분산 생장, 삽입 생장이형, 난불명원반형없음9 (6)
다시마목이형 (배우체<포자체)사상체 / 분산 생장조직체 / 삽입 생장고리형 탄화수소
에폭사이드
원반형없음137 (34)
시차포비아목이형 (배우체<포자체)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조직체 / 분산 생장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4 (1)
갈파래목동형, 이형 (배우체<포자체)위조직체 / 분산 생장?위조직체 / 분산 생장?이형불명원반형, 배상없음36 (14)
납작파래목동형, 이형 (배우체>포자체, 배우체<포자체)조직체 / 정모 생장조직체 / 정모 생장고리형 탄화수소원반형없음21 (3)
네모델마목동형위조직체 / 분산 생장?위조직체 / 분산 생장?이형불명원반형없음2
모자반목복단매우 단순화 또는 없음조직체 / 정단 생장난, 이형고리형 탄화수소
비고리형 탄화수소
올레핀
원반형없음556 (74)



갈조강의 목까지의 분류 체계와 대표종[60][114][106][116] (2021년 현재)


7. 이용

갈조류는 여러 종류의 식용 해조류를 포함한다. 모든 갈조류는 세포벽에 알긴산(알긴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상업적으로 추출되어 식품 및 기타 용도의 산업용 증점제로 사용된다.[54] 이 중에는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것도 있다.[55] 알긴산은 전지 음극의 안정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이 다당류는 갈조류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육상 식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알긴산은 양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긴산은 무지개송어의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데, 어린 물고기가 알긴산이 포함된 먹이를 섭취할 경우 생존율이 더 높다.[56]

켈프 숲을 포함한 갈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매년 지구 이산화탄소의 상당 부분을 고정한다.[57] 또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 기후변화 대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58]

Sargassum siliquastrum에서 추출한 Sargachromanol G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9]

갈조류는 식량, 의약품, 사료, 비료, 공업 원료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63]

일본에서는 미역, 다시마류, 톳, 모즈쿠류가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양식되는 경우도 있다.[63][64] 또한 다시마, 괭생이모자반, 파래류, 까마늘, 잎파래, 이로로 등을 이용하는 지역도 있다.[63][82] 일본에서는 이미 『대보령(大宝律令)』(701년)에서 미역과 다시마가 조세로 지정되어 있었다.[83] 또한 유럽, 북미, 남미에서도, *Durvillaea*(Durvillaeala)와 아이누미역속, 미역류가 전통적인 식재료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다.[84][85][86]

갈조류 세포벽에 포함된 알긴산(alginic acid)은 안정제, 겔화제, 유화제, 증점제로서 식품, 의약품, 농약, 화장품, 도료 등에 이용된다.[64][87] 인공 연어알은 알긴산을 원료로 한다.[88] 그 외에도 알긴산은 전지에 사용되거나,[89] 어류의 면역력 향상을 위한 사료 첨가제로 사용되거나,[90] 섬유나 제지의 마무리 재료나 광택제 등에도 사용된다.[64] 공업적으로는 알긴산을 다시마나 다시마류, 다시마, 감태, *Ascophyllum*(Ascophyllumla) 등에서 추출한다.[64]

세포벽 성분인 후코이단(항혈전작용, 항염증작용, 항종양 활성, 면역조절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광합성 색소인 카로티노이드의 후코크산틴(항산화 작용, 항비만 작용, 항종양 활성 등이 보고되고 있다)은 기능성 식품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63][91][92] 또한 갈조류의 폴리페놀인 플로로탄닌에 대해서도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으로의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93] 그 외에도 일부 갈조류에서는 항염증 작용을 보이는 Sargachromanol, 항균 작용을 보이는 디터펜, 다양한 세포독성 물질, 항산화 물질 등이 보고되고 있다.[94][95]

갈조류의 해조장은 서식 환경 및 먹이로서 동물(어류, 패류, 성게 등)의 증식에 유용하며, 해양 자원의 지속적 이용을 위해 해조장 조성 및 해조장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96]

인간에게 해로운 예로는, 다량의 갈조류가 해안에 쌓여 인간 활동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카리브해에서는 브라운알지류가 대량으로 떠밀려 와 해변 리조트의 고객 유치에 타격을 주는 경우가 있다.[97] 또한 갈조류 중에는 인간 활동에 의해 원래 분포하지 않는 지역에 침입한 종이 몇 가지 알려져 있다.[98] 그 중에서도 미역은 동아시아에서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 등에 침입하여 때로는 양식업이나 토착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세계의 침입 외래종 100선에 선정되어 있다.[99]

참조

[1]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Wilhelm Engelmann
[2] 학술지 Brown algae 2011-08-09
[3]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4-26
[4] 서적 Kelp Forests Monterey Bay Aquarium
[5] 서적 Phylogeny and Form in the Plant Kingdom https://archive.org/[...] D. Van Nostrand Company
[6] 서적 Marine Algae of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Macrocystis pyrifera'' (L.) Ag. in Tasmanian waters
[8] 학술지 A key to the genera of the British seaweeds https://cdn.fieldstu[...]
[9] 서적 Biology of Plants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10] 서적 The Ecology of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Phaeophyta: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05-11
[12] 서적 Textbook of Algae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13] 서적 Algae, 2nd Edition Pearson
[14] 서적 The Structure And Reproduction Of The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Plant Proteus: brown algal morphological plasticity and underlying developmental mechanisms http://dx.doi.org/10[...] 2020-11-13
[16] 학술지 Gazing at Cell Wall Expansion under a Golden Light https://hal.archives[...] 2022-09-17
[17] 학술지 The cell wall polysaccharide metabolism of the brown alga Ectocarpus siliculosus.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extracellular matrix polysaccharides in Eukaryotes
[18] 학술지 Chemical and enzymatic fractionation of cell walls from Fucales: Insights into the structure of the extracellular matrix of brown algae
[19] 학술지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http://www.vliz.be/i[...] 2012-08-27
[20] 학술지 The eukaryotic tree of life: Endosymbiosis takes its TOL http://www.vliz.be/i[...] 2012-08-27
[21]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Evolutionary Biology of Plan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서적 Phyc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A new phylogeny of chromophyte algae using 16S-like rRNA sequences from ''Mallomonas papillosa'' (Synurophyceae) and ''Tribonema aequale'' (Xanthophyceae)
[25] 서적 The Biology and Evolution of Fossil Plants Prentice Hall
[26] 서적 Origins of Algae and their Plastids http://epic.awi.de/2[...] 2012-08-27
[27] 학술지 Molecular evolution of 5S ribosomal RNA from red and brown algae https://www.jstage.j[...] 2012-08-27
[28] 학술지 Origin and evolution of organisms as deduced from 5S ribosomal RNS sequences
[29] 서적 An Introduction to Paleobotany https://archive.org/[...] McGraw-Hill
[30] 학술지 Evolution of ''Macrocystis'' spp. (Phaeophyta) as determined by ITS1 and ITS2 sequences http://129.125.2.51/[...] 2012-08-27
[31] 학술지 Three new genera of algae from the Upper Devonian of New York
[32] 서적 The Algae: A Review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33] 서적 Life of the Past: An Introduction to Paleontolog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4] 학술지 An algal flora from the Upper Ordovician of the Lake Winnipeg region, Manitoba, Canada
[35] 웹사이트 Phaeophyta: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2007-04-24
[36] 논문 Protistan Phylogeny as Indicated by the Fossil Record
[37] 서적 Paleoalgology: Contemporary Research and Applications Springer-Verlag
[38] 서적 Life on Earth Columbia University Press
[39] 서적 Morphology of Plants and Fungi Harper & Row Publishers
[40] 논문 Rotted wood-alga-fungus: the history and life of ''Prototaxites'' Dawson 1859
[41] 논문 Spore wall ultrastructure of ''Protosalvinia'' https://web.archive.[...]
[42] 논문 Three new genera of fossil noncalcareous algae from Valmeyeran (Mississippian) strata of Illinois
[43] 서적 Introduction to the Algae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44] 논문 Non-calcareous marine algae from California Miocene deposits
[45] 논문 An Updated Classification of Brown Algae (Ochrophyta, Phaeophyceae)
[46]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2012-12-31
[47] 서적 Introduction to the algae: structure and reproduction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2020-05-11
[48] 서적 Plant Reproductive Ecology : Patterns and Strategies. Oxford University Press
[49] 논문 Transitions between marine and freshwater environments provide new clues about the origins of multicellular plants and algae https://hal.sorbonne[...] 2020-05-11
[50] 논문 Discrimination between 12C and 13C by marine plants
[51] 논문 Stable carbon isotopes and the metabolism of the terrestrial Devonian organism Spongiophyton
[52] 논문 Brown Algae Carbohydrates: Structures, Pharmaceutical Properties, and Research Challenges
[53] 논문 Subunit organization of PSI particles from brown algae and diatoms: polypeptide and pigment analysis
[54] 웹사이트 Alginic acid http://www.fao.org/d[...] 2017-04-20
[55] 논문 A Major Constituent of Brown Algae for Use in High-Capacity Li-Ion Batteries
[56] 논문 Welfare improvement using alginic acid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uveniles
[57] 논문 Economic valuation of kelp forests in northern Chile: values of goods and services of the ecosystem
[58] 논문 Substantial role of macroalgae in marine carbon sequestration. 2020-02-21
[59] 논문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rgachromanol G isolated from Sargassum siliquastrum in RAW 264.7 cells
[60] 웹사이트 AlgaeBase https://www.algaebas[...]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22-01-10
[61] 웹사이트 Class Melanophyceae http://taxonomicon.t[...] 2021-11-28
[62] 웹사이트 Class Fucophyceae http://taxonomicon.t[...] 2021-11-28
[63]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64]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65]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66]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67]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68] 서적 Ultrastructure of Microalgae CRC Press
[69] 논문 Biology and systematics of heterokont and haptophyte algae
[70] 웹사이트 フコキサンチン-クロロフィルa/cタンパク質複合体(FCP)[fucoxanthin-chlorophyll a/c protein complex(FCP)]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2021-11-12
[71]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褐藻・紅藻類 内田老鶴圃
[72]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73]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74] Kotobank 2021-11-26
[75] 학술지 藻場 http://sourui.org/pu[...]
[76]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77]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78]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1: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79] Kotobank 2021-11-23
[80] Kotobank 2021-11-23
[81]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82]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83]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84]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85] 학술지 The biogeographic importance of buoyancy in macroalgae: A case study of the southern bull‐kelp genus ''Durvillaea'' (Phaeophyceae), including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86] 웹사이트 ぎばさ(あかもく) http://sanko.akita.j[...] 株式会社 三高水産 2021-11-26
[87] 웹사이트 Alginic acid http://www.fao.org/d[...] 2018-10-04
[88] 학술지 海草から作った人工イクラ
[89] 학술지 A Major Constituent of Brown Algae for Use in High-Capacity Li-Ion Batteries
[90] 학술지 Welfare improvement using alginic acid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uveniles https://doi.org/10.1[...]
[91]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92]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93]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94] 학술지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rgachromanol G isolated from Sargassum siliquastrum in RAW 264.7 cells https://link.springe[...]
[95]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96] 학술지 移植ブロックによる藻場造成 (ホンダワラ類の繁殖・生態と藻場造成技術)
[97] 뉴스 屈指のビーチ真っ黒…「もう商売にならない」カリブの海藻 メキシコ襲来/かさむ清掃費 観光に打撃 日経MJ 2019-06-14
[98]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99] 웹사이트 ''Undaria pinnatifida'' http://www.iucngisd.[...]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2021-11-23
[100]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01] 서적 藻類学総説 内田老鶴圃
[102] 학술지 The birth of red complex plastids: one, three, or four times?
[103] 학술지 Genomic insights into plastid evolution
[104] 학술지 ''Schizocladia ischiensis'': a new filamentous marine chromophyte belonging to a new class, Schizocladiophyceae
[105]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1: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106]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107]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1: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108] 저널 Multigene phylogeny,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re-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lead to the description of the Phaeosacciophyceae classis nova and four new species of the Heterokontophyta SI clade
[109] 서적 藻類学総説 内田老鶴圃
[110] 저널 A comprehensive kelp phylogeny sheds light on the evolution of an ecosystem
[111] 저널 A multi-locus time-calibrated phylogeny of the brown algae (Heterokonta, Ochrophyta, Phaeophyceae): Investigating the evolutionary nature of the “brown algal crown radiation”
[112] 저널 An updated classification of brown algae (Ochrophyta, Phaeophyceae) http://www.bioone.or[...] BioOne 2016-10-10
[113]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two unusual brown algae, ''Phaeostrophion irregulare'' and ''Platysiphon glacialis'', proposal of the Stschapoviales ord. nov. and Platysiphonaceae fam. nov., and a re‐examination of divergence times for brown algal orders
[114] 저널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brown algae
[115] 저널 Culture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Scytothamnus australis'' and ''Scytothamnus fasciculatus'' (Phaeophyta) with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on sporogenesis and gametogenesis
[116] 웹사이트 日本産海藻リスト 黄色藻類 https://tonysharks.c[...] 2021-09-05
[117]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Wilhelm Engelmann
[118] 웹인용 AlgaeBase http://www.algaebase[...]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2009-08-18
[119] 저널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120] 저널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