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수하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수하강(Metatheria)은 단공류, 유대류, 태반류의 세 포유류 강 중 하나로, 유대류와 그 멸종된 친척들을 포함한다. 후수하강은 치아와 골격 구조에서 진수하강(태반류)과 차이를 보인다. 후수하강은 백악기 후기에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했으며, 이후 남아메리카, 남극 대륙, 오스트레일리아로 확산되었다. 후수하강은 델타테리오이데와 유대류형류를 포함하며, 유대류는 주머니쥐목, 케놀레스테스목, 오스트레일리아유대대목 등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수하강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Metatheria
명명자헉슬리, 1880년
어원" " (변형된 짐승)
생물학적 분류
동물
척삭동물
아문척추동물
포유류
아강수아강
하강후수하강
하위 분류군
하위 분류시노델피스
홀로클레멘시아
아디노돈
델타테로이다
마르수피알리포르메스
아델로델피스
알파돈트과
아시아델피아
신바델피스
캄프토무스?
아르키메타테리아
스타고돈트과
이콸라델피스
스파라소돈트
푸카델피스과
헤르페토테리움과
아나톨리아델피스과
폴리돌로피모르피아
페라덱테스과
페디오미스과
유대류
이미지
리콥시스 론기로스트리스
"리콥시스 론기로스트리스, 스파라소돈트의 멸종된 종"
마우스 주머니쥐
"마우스 주머니쥐 (마르모사)"
시간 척도
화석 범위알바절-현세

2. 진화사

후수하강과 자매군인 진수하강(유태반류)은 수아강으로 묶이며, 어금니 형태 때문에 "북쐐기이류"라고도 불린다.[16]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말 - 백악기 전기의 북반구에서 번성한 공룡의 발밑에서 진화를 거듭했으며, "범수목"으로 불린 기수류를 조상으로 한다.[16]

로라시아에서 후수하강의 형태 및 종 다양성은 신생대 전반에 걸쳐 진수류보다 낮았다.[10] 신생대 로라시아 후수하강의 주요 그룹인 헤르페토테리과와 페라데크티드과는 미오세까지 생존하다 멸종했다. 북아메리카의 ''Herpetotherium'', 유럽의 ''Amphiperatherium'', 아시아의 ''Siamoperadectes''와 ''Sinoperadectes''가 가장 젊은 로라시아 비유대류 후수하강이었다.[11][9]

후수하강은 고생대에 유럽을 거쳐 아프로-아라비아에 처음 도착했다. 튀니지 초기 에오세의 ''Kasserinotherium''과 이집트와 오만의 초기 올리고세 ''Peratherium africanum''이 이에 포함된다. 가장 젊은 아프리카 후수하강은 우간다 후기 초기 미오세의 ''Morotodon''이다.[12][13]

유일한 남극 후수하강은 남극 반도 초기 에오세 라 메세타 형성에서 발견되었으며, 유대류와 다돌로피모르피아를 포함하여 가장 다양한 포유류 그룹이다.[10]

2. 1. 초기 진화

분류학자들은 현존하는 세 포유류 강인 단공류, 유대류, 태반류 사이의 관계에 대해 오랫동안 논쟁을 벌여왔다.[5] 형태학적 증거에 따르면, 치아의 수와 배열, 생식 및 배설 시스템 구조와 같은 특징을 비교했을 때 유대류와 태반류가 단공류보다 더 가까운 진화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유전적 및 분자적 증거도 이를 뒷받침한다.[6]

가장 초기에 알려진 후수하강은 약 1억 2500만 년 전 중국에서 살았던 ''Sinodelphys szalayi''이다.[7] 이 화석은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일부 초기 진수류 종과 동시대에 살았음을 보여준다.[8] 그러나 Bi 외 (2018)는 ''Sinodelphys''를 진수류의 초기 구성원으로 재해석했다. 현재 가장 오래된, 논쟁의 여지가 없는 후수하강은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발견된 1억 1천만 년 된 화석이다.[3] 후수하강은 후기 백악기 동안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널리 분포했으며, Deltatheroida와 Marsupialiformes를 모두 포함했다.[9] 이 시기 유럽에서도 화석이 발견되었다. 후기 백악기 동안 후수하강은 북아메리카에서 진수류보다 더 다양했다.[4] 후수하강은 백악기-고생대 대량 절멸 사건 동안 동시대의 진수류와 다결절치류보다 더 심각한 감소를 겪었고, 다양성을 회복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9]

후수류 그룹 중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시노델피스[17] 및 델타테리디움 등이나, 이들은 아시아산이었다. 초기 후수류는 아시아에서 나타나 백악기 후기에 걸쳐 북아메리카 대륙 등으로 분포를 넓혔을 것으로 추측된다.[17] 현생 유대류(상목)는 북아메리카에 도달한 그룹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북아메리카에 나타난 속으로는 현생 주머니쥐와 비슷한 알파돈 등이 있다.[18]

2. 2. 남아메리카로의 확산

후수하강은 최후의 백악기 또는 고신세 동안 북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로 이동하여 대규모 분화를 겪었다.[10] 남아메리카 후수하강은 현존하는 유대류의 조상뿐만 아니라 스파라소돈타(대부분의 신생대 동안 남아메리카 생태계의 주요 포식자였으며, 플라이오세에 멸종)와 다양한 식단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는 Polydolopimorphia도 포함했다.[10] 후수하강은 후기 에오세와 후기 올리고세 시대 동안 남아메리카에서 다양성이 감소했다. 알려진 가장 오래된 호주 유대류는 초기 에오세에서 왔으며, 남아메리카에서 남극 대륙을 통해 확산된 후 이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생각된다.[10]

백악기 말, 일시적으로 육지로 연결된 남아메리카 대륙으로 분포를 넓힌 후수류는 남아메리카에서 독특한 포유류상을 구성하게 된다.[19] 시신세 초기에는 5개의 과가 존재했고, 마유레스테스와 같은 포식자도 나타났다.[19] 점신세 전기에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텐지쿠네즈미과와 넓은코원원류가 나타나 남아메리카 재래 포유류들을 압박했지만, 유대류는 볼히에나나 티라코스밀루스 등 대형 포식자를 배출하며 그 지위를 유지했다.[19] 특히 티라코스밀루스는 검치호와 매우 유사한 검치 모양 송곳니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다.

중신세 말 - 선신세에 파나마 지협이 형성되면서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다수의 진수류가 남하하였고, 유대류를 포함한 오래된 남아메리카의 포유류는 생존 경쟁에서 패배하여 다수가 멸종했다. 현재 신대륙에 남아 있는 유대류는 주머니쥐목 및 칠로에오포섬뿐이다. 그러나 이들은 진수류와 경쟁하면서도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분포역을 확대하고 있다.

2. 3. 오스트레일리아로의 확산

후수하강은 최후의 백악기 또는 고신세 동안 북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로 이동하여 대규모 분화를 겪었다.[10] 남아메리카 후수하강은 현존하는 유대류의 조상뿐만 아니라 스파라소돈타를 포함했는데, 이들은 대부분의 신생대 동안 남아메리카 생태계의 주요 포식자였으며, 플라이오세에 멸종될 때까지, 그리고 다양한 식단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는 Polydolopimorphia도 포함했다.[10] 후수하강은 후기 에오세와 후기 올리고세 시대 동안 남아메리카에서 다양성이 감소했다.[10]

알려진 가장 오래된 호주 유대류는 초기 에오세에서 왔으며, 남아메리카에서 남극 대륙을 통해 확산된 후 이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생각된다.[10] 올리고세 시대 동안 호주 후수하강은 급속히 방사형으로 퍼져나갔고, 이는 초기 미오세 동안 후수하강 다양성의 세계적 정점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10]

남아메리카에서 남극 대륙을 거쳐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으로 건너간 그룹도 존재한다.[18] 시신세 후기 - 점신세 초기 남아메리카에 서식했던 폴리드로프스가 남극에서도 발견되었다.[22] 이 시대는, 양 대륙 사이에는 어느 정도 생물의 교류가 유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온난했던 남극에 도달한 이들은, 그곳을 경유하여 오스트레일리아로 건너갔다고 여겨진다. 오스트레일리아에 도달한 그룹은 오스트레일리아유대하목으로 묶이지만, 남아메리카에 현재도 분포하는 칠로에오포섬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 땅에는, 북쐐기이류와 매우 유사한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던 (다만, 기원은 다르다) 남쐐기이류의 자손[23]인 오리너구리목 (단공류)이 서식하고 있었다. 당시의 단공류는 다양한 생태적 지위에 적응하여 다양한 종이 존재했다.[24] 그러나 새롭게 나타난 유대류와의 경쟁에서 패배하여, 반수생의 것만 살아남을 수 있었다.[24] 그 말예가 오리너구리 및 바늘두더지이다. 또한, 이 땅에 진수류도 진출했지만, 이 그룹도 후수류에게 패배하여 자손을 남기지 못했다.

이후, 바다로 다른 대륙과 격리되어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구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에는, 약 5만 년 전에 인류가 도달할 때까지, 동남아시아에서 왔다고 추정되는 쥐과박쥐만 진수류가 나타났다. 그 때문에 유대류는 다양한 생태적 지위에 적응하여 다종다양한 종을 만들어냈다.

2. 4. 신생대 이후의 변화

로라시아에서 후수하강의 형태 및 종 다양성은 신생대 전반에 걸쳐 진수류(태반류)에 비해 낮게 유지되었다.[10] 신생대 로라시아 후수하강의 두 주요 그룹인 주머니쥐와 비슷한 헤르페토테리과와 페라데크티드과는 미오세까지 생존하다가 멸종했다. 북아메리카의 헤르페토테리과인 ''Herpetotherium'', 유럽의 헤르페토테리과인 ''Amphiperatherium'', 아시아의 페라데크티드과인 ''Siamoperadectes''와 ''Sinoperadectes''가 가장 젊은 로라시아 비유대류 후수하강이었다(유대류는 플라이오세 - 플라이스토세 동안 북아메리카로 대교환의 일부로 북아메리카를 침략했다).[11][9]

후수하강은 고생대 동안 아프로-아라비아에 처음 도착했으며, 아마도 유럽에서 왔을 것이다. 튀니지 초기 에오세의 가능한 페라데크토이드인 ''Kasserinotherium''과 이집트와 오만의 초기 올리고세의 헤르페토테리과인 ''Peratherium africanum''이 이에 포함된다. 가장 젊은 아프리카 후수하강은 우간다의 후기 초기 미오세의 가능한 헤르페토테리과인 ''Morotodon''이다.[12][13]

후수하강은 최후의 백악기 또는 고신세 동안 북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로 이동하여 크게 분화했다. 남아메리카 후수하강은 현존하는 유대류의 조상뿐만 아니라 스파라소돈타를 포함했는데, 이들은 대부분의 신생대 동안 남아메리카 생태계의 주요 포식자였으며, 플라이오세에 멸종될 때까지, 그리고 다양한 식단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는 Polydolopimorphia도 포함했다.[10] 후수하강은 후기 에오세와 후기 올리고세 시대 동안 남아메리카에서 다양성이 감소했다.

알려진 가장 오래된 호주 유대류는 초기 에오세에서 왔으며, 남아메리카에서 남극 대륙을 통해 확산된 후 이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생각된다.[10] 올리고세 시대 동안 호주 후수하강은 급속히 방사형으로 퍼져나갔고, 이는 초기 미오세 동안 후수하강 다양성의 세계적 정점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 알려진 유일한 남극 후수하강은 남극 반도의 초기 에오세 라 메세타 층에서 왔으며, 이곳에서 그들은 가장 다양한 포유류 그룹이며, 유대류뿐만 아니라 다돌로피모르피아도 포함한다.[10]

신생대까지 살아남은 유대류는 각지에서 진수류와 경쟁하게 된다. 독일 메셀 채석장에서 다수의 포유류 화석이 발견되었지만, 유대류는 페라데크테스 등 단 2종뿐이었다.[21] 당시 생물상에서 유대류는 소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반구의 유대류는 점차 생태계의 구석으로 밀려나 멸종해 갔다.

남아메리카에 도달했던 그룹은, 우제중목과 원래 남아메리카에 있었다고 여겨지는 이절상목 (아르마딜로, 개미핥기 등)[19]과 함께, 다른 곳과는 격리된 섬 대륙 안에서 독특한 포유류상을 구성하게 된다. 시신세 초기에는 5개의 과가 존재했고, 마유레스테스와 같은 포식자도 나타났다.[19] 점신세 전기, 머나먼 동쪽의 아프리카 대륙에서 도래했다고 추정되는 텐지쿠네즈미과 (모르모트 등, 쥐목) 및 넓은코원원류 (신세계원숭이, 원숭이목)가 나타나, 남아메리카 재래의 포유류들은 점차 압박을 받게 된다.[19] 그러나 유대류는 볼히에나나 티라코스밀루스 등 대형 포식자를 배출하는 등 그 지위를 유지했다. 특히 티라코스밀루스는 동시대에 나타난 마카이로두스 등의 검치호와 매우 유사한, 검치 모양 송곳니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다.

중신세 말 - 선신세에 이르러 파나마 지협이 형성되면서,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다수의 진수류가 남하하게 된다. 유대류를 포함한 오래된 남아메리카의 포유류는, 북쪽에서 온 진수류와의 생존 경쟁에서 패배하여 다수가 멸종했다. 현재 신대륙에 남아 있는 유대류는 주머니쥐목 및 칠로에오포섬뿐이다. 그러나 이들은 진수류와 경쟁하면서도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분포역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남아메리카에서 남극 대륙을 거쳐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으로 건너간 그룹도 존재한다.[18] 시신세 후기 - 점신세 초기 남아메리카에 서식했던 폴리드로프스속이 남극에서도 발견되었다.[22] 이 시대는, 양 대륙 사이에는 어느 정도 생물의 교류가 유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온난했던 남극에 도달한 이들은, 그곳을 경유하여 오스트레일리아로 건너갔다고 여겨진다. 오스트레일리아에 도달한 그룹은 오스트레일리아유대하목으로 묶이지만, 남아메리카에 현재도 분포하는 칠로에오포섬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 땅에는 북쐐기이류와 매우 유사한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던 (다만, 기원은 다르다) 남쐐기이류의 자손[23]인 오리너구리목 (단공류)이 서식하고 있었다. 당시 단공류는 다양한 생태적 지위에 적응하여 다양한 종이 존재했다.[24] 그러나 새롭게 나타난 유대류와의 경쟁에서 패배하여, 반수생의 것만 살아남을 수 있었다.[24] 그 예가 오리너구리바늘두더지이다. 또한, 이 땅에 진수류도 진출했지만, 이 그룹도 후수류에게 패배하여 자손을 남기지 못했다. 이후, 바다로 다른 대륙과 격리되어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구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에는, 약 5만 년 전에 인류가 도달할 때까지, 동남아시아에서 왔다고 추정되는 쥐과박쥐만 진수류가 나타났다. 그 때문에 유대류는 다양한 생태적 지위에 적응하여 다종다양한 종을 만들어냈다.

3. 형태

후수하강의 형태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잡는 꼬리, 상완골에 자루 꼬리의 발달, 두 번째와 다섯 번째 작은 어금니의 치아 교체 소실, 아래턱 다섯 번째 작은 어금니의 유치 유지, 아래 송곳니가 서로 바깥쪽으로 벌어짐, 치골의 각돌기가 하악지 길이의 절반 이하, 치골은 후방 저작근 선반을 가지며, 아래턱 다섯 번째 작은 어금니는 "매우 날카로운" 능선 사선/외측엽을 갖는다.[4] 영구적인 유치 아래턱 다섯 번째 작은 어금니는 어금니와 유사하며 역사적으로 첫 번째 어금니로 확인되었으며, 기저 수생류에서 발견된 세 번째 작은 어금니가 소실되어 각 턱 절반에 첫 번째 작은 어금니가 남았다.[4]

진수하강과의 치열, 골격에서의 차이점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치아

후수하강의 기본적인 치열은 5.1.3.4/4.1.3.4로 총 50개이며, 이는 진수하강보다 많다. 진수류의 작은 어금니가 4개, 큰 어금니가 3개인 것에 비해, 후수류는 작은 어금니가 3개, 큰 어금니가 4개이다.[25] 진수류에서는 큰 어금니가 퇴화, 소실되어 수를 줄이는 경우가 많지만, 후수류에서는 그러한 예는 거의 없다.[26] 또한, 진수류에서는 제2 - 제4 작은 어금니가 젖니에서 영구치로 바뀌지만, 후수류에서 바뀌는 것은 제3 작은 어금니뿐이다.[26] 큰 어금니는 절단과 파쇄 기능을 겸비한 「트리보스페닉형 어금니」라고 불리는 형태이며, 진수류와 공통되는 특징이지만, 그 세부 사항은 다르다.

3. 2. 골격

진수하강과 비교했을 때 골격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뇌함:''' 진수하강에 비해 약간 작다. 이는 두부 골격이 빠른 단계에서 골화하기 때문이다.[28]
  • '''골반:''' 치골 전부에 전치골(주머니뼈)을 가진다.[17][29] 이 뼈는 초기군을 제외한 진수하강에서는 소실되어 있다.

3. 3. 기타 특징

후수하강은 진수하강과 비교하여 치열, 골격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4]

  • 치아: 기본적인 치열은 5.1.3.4/4.1.3.4로 총 50개이며, 진수하강보다 이빨이 더 많다. 진수류는 작은 어금니가 4개, 큰 어금니가 3개인 반면, 후수류는 작은 어금니가 3개, 큰 어금니가 4개이다.[25] 진수류는 큰 어금니가 퇴화하거나 소실되어 수를 줄이는 경우가 많지만, 후수류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거의 없다.[26] 또한, 진수류는 제2 - 제4 작은 어금니가 젖니에서 영구치로 바뀌지만, 후수류에서는 제3 작은 어금니만 바뀐다.[26] 큰 어금니는 절단과 파쇄 기능을 겸비한 「트리보스페닉형 어금니」 형태이며, 진수류와 공통되는 특징이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 뇌함: 진수류에 비해 약간 작다. 이는 두부 골격이 이른 시기에 골화되기 때문이다.[28]
  • 골반: 치골 전부에 전치골(주머니뼈)을 가진다.[17][29] 이 뼈는 초기군을 제외한 진수류에서는 사라졌다.

4. 분류

후수하강은 크게 델타테리오이데와 유대류형류로 나뉜다.

다음은 Wilson 외(2016)의 연구에 따른 후수하강의 주요 분기도이다.[14]

{| class="wikitable"

|-

! 후수하강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리오이데

|-

|

{| class="wikitable"

|-

! 파포테리과

|-

| 파포테리움

|-

! 델타테리디과

|-

|


  • 술레스테스
  • 오클라테리듐

{| class="wikitable"

|-

| 차간델타

|-

|

{| class="wikitable"

|-

| 로테리듐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로이데스

|-

| 델타테리듐

|-

|

나노쿠리스
아토카테리듐



|}

|}

|}

|}

|}

|-

! 유대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굴린 차브 두개골

|-

|

{| class="wikitable"

|-

| 보르히에니과

|-

|

{| class="wikitable"

|-

| 마율레스테스

|-

|

{| class="wikitable"

|-

| 야스카델피스

|-

|

안디노델피스
푸카델피스



|}

|}

|}

|}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이우고모르티페룸
코코펠리아



|-

| 에니그마델피스

|-

| 안키스토델피스

|-

|

글라스비과페디오미과
글라스비우스
페디오미스



|-

! 스테고돈과

|-

|

{| class="wikitable"

|-

| 파리아덴스

|-

|

에오델피스
디델포돈



|}

|}

|}

|}

|}

다음은 후[15]의 분기도이다.

{| class="wikitable"

|-

! 후수하강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리과

|-

|

{| class="wikitable"

|-

| 코코펠리아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페라데크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스테고돈과

|-

|

{| class="wikitable"

|-

|

푸카델피스과
스파라소돈타



|-

|

{| class="wikitable"

|-

! 헤르페토테리움과

|-

|

암피페라테리움
페라테리움



|-

|

헤르페토테리움
유대류



|}

|}

|}

|}

|}

|}

|}

|}

다음은 잘 정의된 그룹에 속하지 않는 후수하강 목록이다.

기저 후수하강



Ameridelphia incertae sedis



유대류 incertae sedis



델타테리디움 등 몇몇 조상 그룹을 제외하면 후수하강은 유대류(유대상목)이다. 전통적으로 유대류는 주머니쥐목만을 포함했지만, 진화를 고려한 새로운 분류에서는 현생 2대 목 7목이 된다. 알파돈과 같이 중생대백악기 북반구에 살았던 후수하강 그룹은 현생 유대류와 다른, 더 초기에 분기된 계통으로 보기도 한다.[18] 현생군에서의 과 분류군은 유대류 항목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는 멸종군을 나타낸다.

후수하강


4. 1. 상위 분류

다음은 Wilson 외(2016)의 연구에 따른 후수하강의 분기도이다.[14]

{| class="wikitable"

|-

! colspan="2" | 후수하강

|-

|

  • Holoclemensia

|-

| 델타테리오이데

{| class="wikitable"

|-

! 파포테리과

|-

| 파포테리움

|-

! 델타테리디과

|-

|

  • 술레스테스
  • 오클라테리듐

{| class="wikitable"

|-

| 차간델타

|-

|

{| class="wikitable"

|-

| 로테리듐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로이데스

|-

| 델타테리듐

|-

|

나노쿠리스
아토카테리듐



|}

|}

|}

|}

|-

| 유대류형류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굴린 차브 두개골

|-

|

{| class="wikitable"

|-

| 보르히에니과

|-

|

{| class="wikitable"

|-

| 마율레스테스

|-

|

{| class="wikitable"

|-

| 야스카델피스

|-

|

안디노델피스
푸카델피스



|}

|}

|}

|}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이우고모르티페룸
코코펠리아



|-

| 에니그마델피스

|-

| 안키스토델피스

|-

|

글라스비과페디오미과
글라스비우스
페디오미스



|-

! colspan="2" | 스테고돈과

|-

| colspan="2" |

{| class="wikitable"

|-

| 파리아덴스

|-

|

에오델피스
디델포돈



|}

|}

|}

|}

|}

알파돈과
투르기돈
알파돈
알베르타테리움
유대류



다음은 잘 정의된 그룹에 속하지 않는 후수하강 목록이다.
기저 후수하강


  • †아르케오노토스 헨크고드텔피
  • †에스테스레스테스 엔시스
  • †가미드테리움 디마이엔시스
  • †카세리노테리움 투니시엔세
  • †팔란기니아 브란드마이리
  • †페로델피스 코퀸스

Ameridelphia incertae sedis:

  • †아피스토돈 엑시구스
  • †코카테리움 레피파눔
  • †다코타덴스 모로위
  • †이우고모르티페룸 토링토니
  • †마람비오테리움 글라시알리스
  • †마르모소프시스 유라도이
  • †파스쿠알델피스 피에로엔시스
  • †프로가르조니아 노토스틸로펜세
  • †프로탈파돈
  • * †P. 룰리
  • * †P. 폭시

유대류 incertae sedis:

  • †이타보라이델피스 캄포시
  • †미즈케델피스 필피넨시스
  • †눔비길가 에르니룬델리시

4. 2. 하위 분류

다음은 Wilson 외(2016)의 후수하강 분기도이다.[14]

{| class="wikitable"

|-

! 후수하강 분기도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리오이데

|-

|

파포테리과
파포테리움



|-

! 델타테리디과

|-

|

{| class="wikitable"

|-

| 술레스테스

|-

| 오클라테리듐

|-

|

{| class="wikitable"

|-

| 차간델타

|-

|

{| class="wikitable"

|-

| 로테리듐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로이데스

|-

| 델타테리듐

|-

|

나노쿠리스
아토카테리듐



|}

|}

|}

|}

|}

|-

! 유대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굴린 차브 두개골

|-

|

{| class="wikitable"

|-

| 보르히에니과

|-

|

{| class="wikitable"

|-

| 마율레스테스

|-

|

{| class="wikitable"

|-

| 야스카델피스

|-

|

안디노델피스
푸카델피스



|}

|}

|}

|}

|}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이우고모르티페룸
코코펠리아



|-

| 에니그마델피스

|-

| 안키스토델피스

|-

|

글라스비과페디오미과
글라스비우스
페디오미스



|-

! 스테고돈과

|-

|

{| class="wikitable"

|-

| 파리아덴스

|-

|

에오델피스
디델포돈



|}

|}

|}

|}

|}

[15]의 분기도:

{| class="wikitable"

|-

! 후수하강 분기도

|-

|

{| class="wikitable"

|-

! 델타테리과

|-

|

{| class="wikitable"

|-

| 코코펠리아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페라데크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스테고돈과

|-

|

{| class="wikitable"

|-

|

푸카델피스과
스파라소돈타



|-

|

{| class="wikitable"

|-

! 헤르페토테리움과

|-

|

암피페라테리움
페라테리움



|-

|

헤르페토테리움
유대류



|}

|}

|}

|}

|}

|}

|}

|}

다음은 잘 정의된 그룹에 속하지 않는 후수하강 목록이다.

기저 후수하강



Ameridelphia incertae sedis



유대류 incertae sedis



후수하강에서 델타테리디움 등 몇몇 조상 그룹을 제외한 것이 유대류(유대상목)이다. 유대류는 전통적인 분류에서는 주머니쥐목 1목뿐이지만, 진화를 고려한 새로운 분류에서는 현생 2대 목 7목이 된다. 알파돈 등, 중생대백악기의 북반구에 서식한 후수하강 그룹은 현생 유대류와는 다른, 더 초기 분기된 계통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18] 현생군에서의 과 분류군의 상세는 유대류 항목을 참조한다.

†는 멸종군.

후수하강


참조

[1] 논문 The Placental Mammal Ancestor and the Post–K-Pg Radiation of Placentals 2013-02-08
[2] 논문 Deep time diversity of metatherian mammals: implications for evolutionary history and fossil-record quality 2018
[3] 논문 An Early Cretaceous eutherian and the placental–marsupial dichotomy 2018
[4] 논문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metatherian mammals: the Cretaceous record 2014-12-17
[5] 서적 Platypus: The Extraordinary Story of How a Curious Creature Baffled the World https://books.goog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논문 The platypus is in its place: nuclear genes and indels confirm the sister group relation of monotremes and therians
[7] 웹사이트 Oldest Marsupial Ancestor Found, BBC, Dec 2003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2-12
[8] 논문 New basal eutherian mammal from the Early Cretaceous Jehol biota, Liaoning, China
[9] 논문 Deep time diversity of metatherian mammals: implications for evolutionary history and fossil-record quality https://www.cambridg[...] 2018-02-06
[10] 논문 An emerging consensus in the evolution,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marsupials and their fossil relatives (Metatheria) https://academic.oup[...] 2019-05-23
[11] 논문 The southernmost Miocene occurrence of the last European herpetotheriid Amphiperatherium frequens (Metatheria, Mammalia) https://www.scienced[...] 2024-10-26
[12] 논문 Taxonomy and Affinities of African Cenozoic Metatherians https://ojs.uv.es/in[...] 2021-06-21
[13] 논문 The last African metatherian https://fr.pensoft.n[...] 2022-06-03
[14] 논문 A large carnivorous mammal from the Late Cretaceous and the North American origin of marsupials https://www.research[...] 2024-10-26
[15] 논문 What are “opossum-like” fossils? The phylogeny of herpetotheriid and peradectid metatherians, based on new features from the petrosal anatomy https://www.tandfonl[...] 2024-10-26
[16]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17]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18] 서적 哺乳類の進化
[19]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20]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21] 서적 恐竜絶滅
[22] 서적 有袋類の道
[23]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24] 서적 動物の起源と進化
[25] 서적 有袋類の道
[26] 서적 有袋類の道
[27] 서적 哺乳類の進化
[28] 서적 恐竜絶滅
[29] 서적 哺乳類の進化
[30]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31] 간행물 哺乳類の高次分類群および分類階級の日本語名称の提案について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