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 (악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塤)은 도기, 석기, 자기, 뼈, 칠기, 조개 껍데기 등으로 만들어지는 악기로, 중국에서 유래되었다. 한국, 일본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악기가 존재하며, 일본에서는 츠치부에라고 불린다. 훈은 달걀 모양의 기명악기로, 취구와 지공을 통해 소리를 낸다. 훈의 역사는 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사냥 도구에서 발전하여 궁중 음악에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다양한 크기와 지공을 가진 훈이 제작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 고독, 조화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악기 - 아울로스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관악기로, 갈대 재료 설과 프리지아 유래 설이 있으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지중해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군악, 애가, 제례, 극 등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사용되었으며 마르시아스가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에 사용한 악기로도 알려져 있다. - 관악기 - 단소
단소는 맑고 청아한 음색을 지닌 한국 전통 악기로,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조선 후기에 퉁소를 개량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독주나 병주, 줄풍류, 세악 등 다양한 음악에 활용되며 현대에는 교육용, 북한에서는 배합관현악에 이용된다.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훈 (악기) | |
---|---|
기본 정보 | |
이름 | 훈 |
다른 이름 | 壎 |
영어 이름 | xun |
![]() | |
분류 | 기명악기 |
악기 분류 | 에어로폰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법 | 421.221.42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법 설명 | 몸통 플루트 |
개발 시기 | 기원전 1600년경 (하나라) |
관련 악기 | 훈 쓰치부에 |
언어별 명칭 | |
중국어 (간체) | 埙 |
중국어 (정체) | 塤 |
병음 | xūn |
일본어 | 土笛 (つちぶえ, tsuchibue) |
영어 | Vessel Flute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OcarinaForest.com - The Chinese Xun Jin, Jie (2011). Chinese Mus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86919. Thrasher, Alan (2000). Chinese Musical Instru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 York. p. 16. ISBN 0-19-590777-9. |
2. 명칭
중국에서는 도기로 만든 것을 "도훈"(táoxūn/陶塤중국어)이라고 부르며, 그 외에도 석기로 만든 "석훈"(石塤, shíxūn), 자기로 만든 "자훈"(瓷塤, cíxūn), 짐승의 뼈로 만든 "골훈"(骨塤, gǔxūn), 칠기로 만든 "칠훈"(漆塤, qīxūn), 조개 껍데기로 만든 "패훈"(貝塤, bèixūn) 등이 있다.
진흙이나 백면토를 황토에 섞어 만들어 굽되 위끝은 뾰족하게, 밑은 평평하게 저울추 모양으로 하고 맨 꼭대기에 취구를 뚫고, 앞에 3개, 뒤에 2개의 구멍(指孔)을 뚫는다. 취구에 입김을 넣어 부는데, 오른손 엄지로는 뒷면 오른편 구멍(제1공)을, 왼손 엄지로는 뒷면 왼편 구멍(제2공)을, 왼손 검지로는 앞면 왼편구멍(제3공)을, 오른손 검지로는 앞면 오른편구멍(제4공)을, 오른손 장지로는 앞면 아랫구멍(제5공)을 여닫는다.
한반도에는 훈에서 파생된 훈(, 塤, hun)이 있다.
일본에서는 같은 종류의 도기 악기를 '''츠치부에'''(土笛)라고 부르며, "훈"의 훈독도 츠치부에이다.
3. 구조
문묘제례악에 쓰이므로, 구멍을 반만 막는 주법을 섞어가며 12율을 낸다.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응종·나(b)까지이다. 훈은 달걀 모양의 기명악기로, 앞면에 최소 3개의 지공과 뒷면에 2개의 엄지손가락 구멍이 있다. 상단에는 취구(吹口)가 있으며, 손가락마다 하나씩 최대 10개의 작은 지공을 가질 수 있다. 오카리나와 유사하지만, 피플 마우스피스가 없다는 점에서 우두(Wudu) 및 타오디(Taodi)와 같은 다른 중국 플루트형 악기와 다르다. 훈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가장 오래된 중국 백과사전인 ''이아''(爾雅, 기원전 3세기경)에 수록된 훈에 대한 설명은 훈이 다음 두 가지 유형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 납작한 바닥면과 6개의 구멍이 있는 거위 알 모양의 훈(낮은 음).
# 닭알 모양의 작은 훈(높은 음).
크기는 다양하지만, 모양은 난형이다. 큰 것은 낮은 음이 난다. 현재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장 위에 취구(취구)가 있고, 지공은 통상 취구보다 작은 것이 8개 있으며, 양손의 집게손가락·가운데손가락·약손가락·엄지손가락으로 막는다.
3. 1. 한국 훈
진흙이나 백면토를 황토에 섞어 구워 만들며, 위는 뾰족하고 밑은 평평한 저울추 모양이다. 맨 꼭대기에 취구를 뚫고, 앞면에 3개, 뒷면에 2개의 지공(指孔)을 뚫는다. 취구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며, 오른손 엄지로는 뒷면 오른편 구멍(제1공), 왼손 엄지로는 뒷면 왼편 구멍(제2공), 왼손 검지로는 앞면 왼편 구멍(제3공), 오른손 검지로는 앞면 오른편 구멍(제4공), 오른손 장지로는 앞면 아랫 구멍(제5공)을 여닫아 연주한다.
문묘제례악에 사용되며, 구멍을 반만 막는 주법을 섞어 12율을 낸다.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응종·나(b)까지이다. 훈은 달걀 모양의 기명악기로, 앞면에 최소 3개, 뒷면에 2개의 엄지손가락 구멍이 있다. 상단에는 취구(吹口)가 있으며, 오카리나와 유사하지만 피플 마우스피스가 없다.
일본에서는 같은 종류의 도기 악기를 '''츠치부에'''(土笛일본어)라고 부르며, "훈"의 훈독도 츠치부에이다.
3. 2. 중국 및 일본 훈
훈은 달걀 모양의 기명악기로, 앞면에 최소 3개의 지공과 뒷면에 2개의 엄지손가락 구멍이 있다. 상단에는 취구(吹口)가 있으며, 손가락마다 하나씩 최대 10개의 작은 지공을 가질 수 있다. 오카리나와 유사하지만, 피플 마우스피스가 없다는 점에서 우두(Wudu) 및 타오디(Taodi)와 같은 다른 중국 플루트형 악기와 다르다. 훈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가장 오래된 중국 백과사전인 ''이아''(爾雅, 기원전 3세기경)에 수록된 훈에 대한 설명은 훈이 다음 두 가지 유형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중국에서는 도기로 만든 것을 "도훈"(táoxūn/陶塤중국어)이라고 부르며, 그 외에도 재질에 따라 석기로 만든 "석훈"(shíxūn/石塤중국어), 자기로 만든 "자훈"(cíxūn/瓷塤중국어), 짐승의 뼈로 만든 "골훈"(gǔxūn/骨塤중국어), 칠기로 만든 "칠훈"(qīxūn/漆塤중국어), 조개 껍데기로 만든 "패훈"(bèixūn/貝塤중국어) 등이 있다.
한반도에는 훈에서 파생된 훈(훈한국어, 塤, hun)이 있다.
일본에서는 같은 종류의 도기 악기를 '''츠치부에'''(土笛)라고 부르며, "훈"의 훈독도 츠치부에이다.
4. 역사와 발전
훈의 기원은 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중국의 사냥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3] 고대 시대에 사람들은 야생 동물을 사냥하는 데 사용되는 밧줄에 돌이나 진흙 덩어리를 묶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부 속이 빈 덩어리를 던질 때 다양한 소리가 났다. 사람들은 이것을 즐겁게 여기고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을 배우면서 점차 "돌 유성"은 "쉰"이라는 악기가 되었다.
하 왕조의 공동 묘지에서 쉰과 같은 형태의 용기 피리가 발견되었는데, 세 개의 지공으로 도, 미, 솔, 라, 파 음을 낼 수 있었다.[4] 상 왕조 시대에 이르러 쉰의 악기 형태와 지공의 수가 표준화되었고, 대부분 다섯 개의 지공을 가지고 단일 옥타브에서 모든 음과 반음을 낼 수 있었다.[4] 주 왕조 시대에는 흔한 악기가 되어 황실 궁정에서 연주되었으며, 쉰의 디자인은 연주 목적에 따라 다양했다.
뼈로 만든 관 모양의 피리를 "골소"라고 하며, 도기제 "도소"도 만들어졌다. 중국 저장성의 허무두 문화와 허난성의 앙소 문화의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불어넣는 구멍만 있는 도기 관악기가 출토되었으며, 음색으로 보아 사냥감을 부르거나 반응을 살피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대에는 손가락 구멍 2개가 있는 것이 있었으며, 4가지 소리를 낼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은대에는 도기, 돌, 뼈로 만들어졌으며, 대부분 밑바닥이 평평한 달걀 모양이었다. 전국 시대에는 손가락 구멍이 4개가 되었고, 대부분 평저 난형이 되었다. 한대의 『이아』의 기술[8]에서도, 도기제로, 크기는 큰 것은 거위의 알 정도이고, 윗부분은 뾰족하며, 밑바닥은 평평하고, 저울추와 같은 모양으로, 구멍이 6개 있으며, 작은 것은 닭알 정도의 크기였음을 알 수 있다. 많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되면서, 진, 한 이후에는 주로 궁정 음악(아악)에 사용되게 되었다.
이후 쇠퇴했지만, 1970년대 이후, 출토된 악기로부터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일본의 출토 사례로는, 서일본 동해 쪽의 야요이 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1993년 (헤이세이 5년) 시점에서 13곳에서 58개가 출토되었다.[9] .
출토품으로 인해 주목을 받으면서 새롭게 제작되거나, 연주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현대의 것에는 구멍이 늘어나, 7개에서 10개의 손가락 구멍이 뚫린 경우도 있다.
4. 1. 기원
훈의 기원은 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중국의 사냥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3] 고대 시대에 사람들은 야생 동물을 사냥하는 데 사용되는 밧줄에 돌이나 진흙 덩어리를 묶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부 속이 빈 덩어리를 던질 때 다양한 소리가 났다. 사람들은 이것을 즐겁게 여기고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을 배우면서 점차 "돌 유성"은 "쉰"이라는 악기가 되었다.하 왕조의 공동 묘지에서 쉰과 같은 형태의 용기 피리가 발견되었는데, 세 개의 지공으로 도, 미, 솔, 라, 파 음을 낼 수 있었다.[4] 상 왕조 시대에 이르러 쉰의 악기 형태와 지공의 수가 표준화되었고, 대부분 다섯 개의 지공을 가지고 단일 옥타브에서 모든 음과 반음을 낼 수 있었다.[4] 주 왕조 시대에는 흔한 악기가 되어 황실 궁정에서 연주되었으며, 쉰의 디자인은 연주 목적에 따라 다양했다.
뼈로 만든 관 모양의 피리를 "골소"라고 하며, 도기제 "도소"도 만들어졌다. 중국 저장성의 허무두 문화와 허난성의 앙소 문화의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불어넣는 구멍만 있는 도기 관악기가 출토되었으며, 음색으로 보아 사냥감을 부르거나 반응을 살피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대에는 손가락 구멍 2개가 있는 것이 있었으며, 4가지 소리를 낼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은대에는 도기, 돌, 뼈로 만들어졌으며, 대부분 밑바닥이 평평한 달걀 모양이었다. 전국 시대에는 손가락 구멍이 4개가 되었고, 대부분 평저 난형이 되었다. 한대의 『이아』의 기술[8]에서도, 도기제로, 크기는 큰 것은 거위의 알 정도이고, 윗부분은 뾰족하며, 밑바닥은 평평하고, 저울추와 같은 모양으로, 구멍이 6개 있으며, 작은 것은 닭알 정도의 크기였음을 알 수 있다. 많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되면서, 진, 한 이후에는 주로 궁정 음악(아악)에 사용되게 되었다.
이후 쇠퇴했지만, 1970년대 이후, 출토된 악기로부터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일본의 출토 사례로는, 서일본 동해 쪽의 야요이 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1993년 (헤이세이 5년) 시점에서 13곳에서 58개가 출토되었다[9] .
출토품으로 인해 주목을 받으면서 새롭게 제작되거나, 연주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현대의 것에는 구멍이 늘어나, 7개에서 10개의 손가락 구멍이 뚫린 경우도 있다.
4. 2. 발전
이 독특한 관악기는 석기 시대 초기 중국의 사냥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3] 고대 시대에 사람들은 야생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밧줄에 돌이나 진흙 덩어리를 묶었고, 이 중 일부 속이 빈 공들은 던질 때 다양한 소리를 냈다. 사람들은 이를 즐겁게 여겨 공기에 바람을 불어넣는 법을 배웠고, 점차 "돌 유성"은 "쉰"이라는 악기로 발전했다.고고학자들은 하 왕조의 공동 묘지에서 쉰과 유사한 형태의 용기 피리를 발견했는데, 이들은 세 개의 지공으로 도, 미, 솔, 라, 파 음을 낼 수 있었다. 오늘날 우리가 아는 쉰의 형태와 지공의 수는 상 왕조 시대에 표준화되었으며, 이 시대의 쉰은 대부분 다섯 개의 지공을 가지고 단일 옥타브에서 모든 음과 반음을 낼 수 있었다.[4]
주 왕조 시대에는 흔한 악기가 되어 황실 궁정에서 연주되었다. 쉰의 디자인은 연주 목적에 따라 다양했다. 기원은 사냥 시 사냥감을 부르거나 반응을 살피기 위해 사용된 관악기로, 뼈로 만든 "골소"와 도기로 만든 "도소"가 있었다. 중국 저장성의 허무두 문화와 허난성의 앙소 문화의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불어넣는 구멍만 있는 도기 관악기가 출토되었는데, 음색으로 보아 사냥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대에는 손가락 구멍 2개가 있는 것이 있었고, 4가지 소리를 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은대에는 도기, 돌, 뼈로 만들어졌으며, 대부분 밑바닥이 평평한 달걀 모양이었다. 전국 시대에는 손가락 구멍이 4개가 되었고, 대부분 평저 난형이 되었다. 한대의 『이아』[8]에서는 도기제로, 크기는 큰 것은 거위 알, 작은 것은 닭 알 정도였으며, 윗부분은 뾰족하고 밑바닥은 평평한 저울추 모양으로 구멍이 6개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많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되면서 진, 한 이후에는 주로 궁정 음악(아악)에 사용되었다.
이후 쇠퇴했지만, 1970년대 이후 출토된 악기를 통해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서일본 동해 쪽의 야요이 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1993년까지 13곳에서 58개가 출토되었다.[9]
출토품으로 인해 주목을 받으면서 새롭게 제작되거나 연주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사운드 아트의 선구자로 알려진 스즈키 아키오 등이 있다.[10] 현대에는 구멍이 늘어나 7개에서 10개의 손가락 구멍이 뚫린 경우도 있다.
4. 3. 현대
1970년대 이후, 출토된 악기로부터 훈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9] 출토품으로 인해 주목을 받으면서 새롭게 제작되거나, 연주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사운드 아트의 선구자로 알려진 스즈키 아키오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10] 현대의 훈에는 구멍이 늘어나, 7개에서 10개의 손가락 구멍이 뚫린 경우도 있다.5. 문화적 의의
용이 새겨진 현대식 도자 쉰은 중국 역사에서 주로 궁중 음악 연주에 사용되었다.[5] 쉰의 소리는 존경받는 은둔자, 슬픔에 잠긴 여인, 또는 힘이 다한 영웅의 상징으로도 연관되어 있으며, 가슴 아픈 음색을 연주하거나 궁정 내에서 엄숙한 음악을 만들기에 가장 좋은 악기로 여겨진다.[3] 쉰의 소리는 고독, 황량함, 우아함과 결합된 특별한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이는 독특한 중국 미학적 개념의 구현이다. 전통 중국 오케스트라에서 쉰은 알토 음역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드럽고 묵직한 소리는 고음과 저음을 조화로운 비율로 만든다. 이러한 의미에서 쉰은 전통적인 중국 가치의 주요 부분 중 하나인 조화의 아이디어도 나타낸다.[6]
6. 문헌 기록
《이아(爾雅)》에서는 "큰 훈은 거위 알과 같고, 밑바닥은 평평하며 구멍이 여섯 개이고, 작은 훈은 달걀과 같다."라고 기록하고 있다.[7]
시경(詩經)에는 "형은 훈을 연주하고, 아우는 지[가로 피리]를 연주한다."라는 내용이 있다.[7]
참조
[1]
웹사이트
The Chinese Xun
http://ocarinaforest[...]
OcarinaForest.com
2012-12-30
[2]
서적
Chinese Mus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Chinese Musical Instru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4]
웹사이트
History of Xun
http://www.chinamedl[...]
ChinaMedley
2013-09-14
[5]
웹사이트
Cultural China
http://www.cultural-[...]
2013-09-17
[6]
웹사이트
China Travel Designer
http://www.chinatrav[...]
2013-09-17
[7]
백과사전
Xun
Oxford University Press
[8]
문서
[9]
서적
丹後町の歴史と文化 資料館展示図録
丹後町古代の里資料館
[10]
웹사이트
활동⑩「[物語の領分]「陶塤」の制作・演奏・パフォーマンス」
https://shirutori.or[...]
大阪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23-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