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수리 훈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수리 훈장은 1701년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1세가 제정한 훈장으로,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의 권위와 위상을 상징했다. 흑수리 훈장은 1918년 왕정 폐지까지 총 407회 수여되었으며, 프로이센 왕족, 호엔촐레른 가문 구성원, 외국 왕족 및 국가 원수, 군인, 정치인 등에게 수여되었다. 흑수리 훈장은 파란색 에나멜의 몰타 십자 형태에 검은 독수리 문양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독일 군사 경찰의 휘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의 훈장 - 푸르 르 메리트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은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가 1740년에 제정한 훈장으로, 처음에는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수여되었으나 이후 군인에게만 수여되었고, 1842년에는 평화 훈장이 추가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군부에서 많은 전공을 세운 파일럿들에게 수여되면서 널리 알려졌으나, 1918년 수여가 종료되었다가 1952년 독일 연방 공화국에서 평화 훈장이 부활하여 현재까지 과학 및 예술 분야에서 공헌한 인물들에게 수여되고 있다.
  • 프로이센의 훈장 - 왕관장 (프로이센)
    왕관장은 1861년 프로이센 왕국에서 제정된 훈장으로, 공헌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흰색 에나멜 십자 형태 배지에 왕관과 왕실 문양이 새겨져 있고, 파란색 리본으로 되어 있으며, 다양한 인물들이 수훈했다.
  • 흑수리 훈장 수훈자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흑수리 훈장 수훈자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흑수리 훈장
개요
흑수리 훈장 부장
흑수리 훈장 부장
흑수리 훈장 약수
약수
종류기사단 훈장 (과거 국가 훈장, 현재 가문 훈장)
표어Suum Cuique (각자에게 그의 몫을)
제정일1701년 1월 17일
수훈 자격왕족, 고위 문무 관리 및 국왕이 임명한 기타 공로자
수여 대상민사 또는 군사적 공로
등급기사
최초 수훈1701년
총 수훈자 수407명 (1918년까지)
상위 훈장없음
하위 훈장프로이센 왕관 공훈장
국가프로이센 왕국
가문호엔촐레른 가
수장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공자
명칭
독일어Hoher Orden vom Schwarzen Adler
일본어黒鷲勲章 (Kuro Washishō)

2. 역사

흑수리 훈장 법령은 1701년 1월 18일에 공포되었고, 1847년에 개정되었다. 흑수리 훈장은 소수의 기사에게만 수여되었으며, 호엔촐레른 가문 구성원과 독일 및 외국 군주 가문 구성원, 그리고 정식 기사단 기사로 구분되었다. 1847년 이전에는 귀족만이 훈장을 받을 수 있었지만, 이후에는 귀족이 아닌 정식 기사단 기사도 귀족으로 승격되었다.[20][21] 정식 기사단 기사는 대개 고위 정부 관료나 군 장교였다.

흑수리 훈장은 단일 등급이었지만, 국왕의 재량에 따라 "사슬과 함께"("''mit der Kette''") 또는 "사슬 없이"("''ohne Kette''") 수여할 수 있었다. 훈장 수훈자는 적색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도 함께 받았으며, 목에 두른 리본에 훈장 배지를 착용했다. 1862년부터 프로이센 왕가 구성원은 흑수리 훈장과 함께 왕관 훈장 1등급도 받았다.[23]

흑수리 훈장의 대수와 부장을 착용한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흑수리 훈장의 정식 법정은 1701년 1월 18일이며, 훈장 모토는 Suum Cuiquela(각자에게 각자의 것을)였다.

『프로이센 국가 요람』에 따르면, 프로이센 남성 왕족은 10세에 흑수리 훈장을, 18세에 흉장을 받았다. 프로이센 왕비나 독일 황후 등 여성 왕족도 훈장을 받았지만, 대개 여성 왕족에게는 Order of Louise|루이제 훈장|루이제 훈장영어이 수여되었다.[22]

흑수리 훈장 수훈자는 항상 훈장을 착용해야 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과거 포로가 된 적 있는 장관에게는 흑수리 훈장을 수여하지 않았다.

1918년 왕정 폐지까지 흑수리 훈장은 1341회 수여되었다.[27]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1805년 4월 7일 나폴레옹 1세를 비롯한 프랑스 혁명 주역들에게 훈장을 수여했다. 반면, 1792년 흑수리 훈장을 받은 구스타브 4세 아돌프는 1805년 훈장을 반납했다.

2. 1. 제정 배경 및 초기 역사

1701년 1월 18일,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1세가 자신의 국왕 즉위를 기념하고 프로이센 왕국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흑수리 훈장을 제정하였다.[19] 흑수리 훈장 회원 자격은 소수의 기사로 제한되었으며, 군주 가문의 구성원과 정식 기사단 기사로 구분되었다. 1847년 이전에는 회원 자격이 귀족으로 제한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귀족이 아닌 정식 기사단 기사는 귀족으로 승격되었다.[20][21] 정식 기사단 기사는 일반적으로 고위 정부 관료나 군 장교였다.

초기에 흑수리 훈장은 풀르 르 메리트 훈장과 같은 공적에 기반하여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수여 인원에 정원이 정해진 명예로서의 의미를 가졌다. 원래 정원은 프로이센 왕족을 제외하고 30명이었으며, 왕족 이외의 인물이 수훈하기 위해서는 조상에 최소 8명의 고위 귀족을 둔 30세 이상의 인물임을 증명해야 했다.[19]

훈장 수여는 프로이센 왕국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중요한 행사였다. 흑수리 훈장의 정식 법정은 1701년 1월 18일이며, 훈장의 모토는 로마법의 한 구절에서 따온 "Suum Cuiquela"(각자에게 각자의 것을)가 사용되었다.

1848년 2월 20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수여에 대한 법을 개정하면서 귀족이 아니어도 수훈이 가능해졌고, 수여 시 세습 귀족의 지위와 문장이 주어지며, 기사단 가입이 인정되었다.[20][21]

흑수리 훈장이 제정되었을 때, 최초의 19명이 흑수리 훈장 기사단에 가입했다. 초대 기사단장은 요한 카지미르 콜프 폰 발텐베르크가 맡았으며, 다음과 같은 인물에게 흑수리 훈장이 수여되었다.

인물설명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프로이센 왕세자
필리프 빌헬름 폰 브란덴부르크-슈베트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슈베트성 요한 기사단 브란덴부르크 대관구장
크리스티안 루드비히 폰 브란덴부르크-슈베트프로이센 왕족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틀러쿨란트-젬갈렌 공작
프리드리히 루드비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벡육군 원수, 쾨니히스베르크 지사
한스 알브레히트 폰 바르푸스육군 원수, 제국 백작
알렉산더 추 도나-슐로비텐육군 중장, 외교관
필리프 카를 폰 뷔리히 운트 로툼육군 원수
오토 빌헬름 폰 페르반트병무부장, 궁정 평의회 회장관
크리스토프 알렉산더 폰 라우슈케성백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크라이첸궁정 비서관
아담 크리스토프 폰 발렌로트상급 궁정 장관
크리스토프 추 도나-슐로디엔육군 소장, 외교관
오토 마그누스 폰 되노프육군 중장, 공사
율리우스 에른스트 폰 테타우포병 대장
빌헬름 디트리히 폰 뷔로여왕 부속 부육 장관
요한 게오르크 폰 테타우프리드리히 3세(1세) 시종장, 기병 소장, 근위군단 사령관


2. 2. 19세기 이후의 변화

1848년 2월 20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훈장 수여 대상을 귀족 이외의 사람들에게도 확대하는 법 개정을 실시하였다.[20][21] 귀족이 아닌 사람이 흑수리 훈장을 받으면 세습 귀족 지위와 문장을 받고 기사단 가입이 인정되었다.[20][21] 이들은 주로 고급 관료나 군인이었다.

1861년 이후, 흑수리 훈장 기사단원은 Order of the red eagle|적수리 훈장|적수리 훈장영어 대십자장을 목에 착용하게 되었다. 1862년부터는 프로이센 왕족이 흑수리 훈장을 수훈하면, 1등 Order of the Crown (Prussia)|왕관 훈장 (프로이센)|왕관 훈장영어도 함께 받았다.[23] 1878년에 제정된 Preußisches Hofrangreglement von 1878|1878년 프로이센 궁정 서열 규칙|궁정 서열 규칙de에 따르면, 흑수리 훈장 기사단원의 서열은 추기경, 백작가 수장, 육군 대장, 정부 각료보다 높은 제8위였다.[21]

독일 제국 통일 이후, 흑수리 훈장은 독일 제국 전체의 최고 훈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 3. 20세기 이후

1918년 왕정이 폐지되면서 흑수리 훈장의 공식적인 수여는 중단되었다.[27] 1919년 이후, 흑수리 훈장은 호엔촐레른 가문의 구성원에게만 수여되었으며, 1934년까지 13회 수여가 확인되었다.[27] 1941년 전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사망할 때까지, 기사단의 축제일인 7월 11일(창설자인 국왕 프리드리히 1세의 생일)은 매년 네덜란드에서 축하되었다. 독일 제국의 육군 원수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은 이 축제의 단골이었다.

현재 흑수리 훈장은 독일 군사경찰의 심볼 마크로 사용되고 있다.
독일 군사경찰(Feldjäger) 휘장
이는 1740년 국왕 프리드리히 2세가 헌병대를 창설한 것을 기념한 것이다. 또한 베를린에 있는 프리메이슨의 로지 "쭘 슈바르체 아들러"에는 훈장의 모토 ''Suum cuique''가 걸려 있는데, 이것도 프리드리히 2세를 기념한 것이다.

3. 상징 및 디자인

흑수리 훈장의 배지는 파란색 에나멜로 칠해진 금색 몰타 십자 모양이며, 십자 팔 사이에는 금색 왕관을 쓴 검은 독수리가 있었다. 금색 중앙 메달에는 프리드리히 1세의 왕실 모노그램("FR", 즉 ''Fredericus Rex'', 프리데리쿠스 렉스)이 새겨져 있었다.[3]

배지는 넓은 리본(띠)이나 칼라(체인) 중 하나에 착용했다. 리본은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엉덩이까지 착용하는 오렌지색 무아레 띠였으며, 배지는 엉덩이에 걸쳤다. 칼라(''Kette'')는 목 주위에 착용하여 어깨에 걸쳤으며, 배지는 정면 중앙에 매달았다. 칼라는 24개의 정교한 연동 링크로 구성되었고, 검은 독수리와 훈장의 모토(''Jedem das Seine'')가 있는 중앙 메달, 파란색 에나멜 링, 각 십자 지점의 왕관이 번갈아 배치되었다.[3]

훈장의 별은 은색 팔각형 별로, 중앙 메달에는 금색 배경에 검은 독수리(왼쪽 발톱으로 월계관 화환, 오른쪽 발톱으로 홀)가 묘사되었으며, 월계관 화환과 훈장의 모토를 새긴 흰색 에나멜 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3]

흑수리 훈장 기사단 회의와 특정 의식에서 기사들은 파란색 안감이 있는 빨간색 벨벳 망토를 착용했고, 망토 왼쪽 어깨에는 훈장의 큰 별이 수놓아져 있었다.[3]

3. 1. 훈장의 형태

흑수리 훈장의 배지는 파란색 에나멜로 칠해진 금색 몰타 십자였으며, 십자 팔 사이에는 금색 왕관을 쓴 검은 독수리가 있었다. 금색 중앙 메달에는 프리드리히 1세의 왕실 모노그램("FR", 즉 ''Fredericus Rex'', 프리데리쿠스 렉스)이 새겨져 있었다.[3]

이 배지는 넓은 리본(또는 띠) 또는 칼라(또는 "체인") 중 하나에 착용했다. 훈장의 리본은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엉덩이까지 착용하는 오렌지색 무아레 띠였으며, 배지는 엉덩이에 걸쳐졌다. 이 띠의 색상은 오렌지 공의 딸이자 대선제후의 첫 번째 부인인 루이즈 헨리에트 판 나사우를 기리기 위해 선택되었다.[3] 칼라(''Kette'')는 목 주위에 착용하여 어깨에 걸쳐졌으며, 배지는 정면 중앙에서 매달렸다. 칼라는 24개의 정교한 연동 링크로 구성되었으며, 번갈아 가며 검은 독수리와 훈장의 모토(''Jedem das Seine'' - 문자 그대로 "각자에게 맞는 것을", 관용적으로 "각자의 자격에 따라")가 있는 중앙 메달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이 주위의 파란색 에나멜 링, 그리고 각 십자 지점의 왕관이 있었다.[3]

흑수리 훈장이 부착된 러시아 표트르 3세의 예복


훈장의 별은 은색 팔각형 별로, 보석 세공인의 디자인에 따라 직선 또는 면처리된 광선이 있었다. 중앙 메달에는 금색 배경에 검은 독수리(왼쪽 발톱으로 월계관 화환을, 오른쪽 발톱으로 홀을 쥐고 있음)가 묘사되었으며, 월계관 화환과 훈장의 모토를 새긴 흰색 에나멜 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3]

흑수리 훈장의 頸飾


1786년 - 1797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치세에는 F W R (''Fridericus Wilhelminus Rex'')로 각인되었다.[28] 다이아몬드장을 수여받았을 때에는 정장 중 중앙의 원형 판과 단추가 다이아몬드로 장식되었다.

흑수리 훈장(부착식)


부장은 은으로 제작되었으며, 8방으로 광선이 뻗어나가고, 중앙에는 주황색 배경에 왕관을 쓴 검은 독수리가 그려져 있다. 독수리 주위에는 흰색 배경에 훈장의 표어인 ''Suum cuique''가 금색으로 쓰여 있으며, 그 아래를 월계수 가지가 둘러싸고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부장은 군복이나 예복에 자수나 봉제로 부착되었으나, 1810년 이후 은제 부장이 수여되었고, 1858년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은제 부장만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28] 다이아몬드장을 수여받은 경우에는 8방으로 뻗어나가는 광선 전체에 다이아몬드가 장식된다. 흑수리 훈장 수훈자가 영국의 가터 훈장도 수훈했을 경우, 부장 주위에 가터를 배치할 수도 있었다.[28]

대수(大綬)는 물결 무늬가 들어간 무지 오렌지색이다. 정장을 단추로 연결하여 가터 훈장과 마찬가지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에 걸쳐 착용한다. 오렌지색이 사용된 것은 네덜란드 출신인 루이제 헨리에테 폰 오라니엔으로,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프리드리히 3세 (프리드리히 1세)의 어머니를 존경하기 위함이다. 또한, 같은 오라녜-나사우 가문 출신으로, 적자가 없었던 잉글랜드 국왕 윌리엄 3세의 상속권을 얻고 싶다는 희망도 담겨 있었다.[28]

흑수리 훈장 기사단의 정장인 로브를 착용한 독일 황제 빌헬름 1세
경식(頸飾)은 프로이센 국왕의 특지로 수여되었다(독일 제국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경식과 함께 다이아몬드장을 수여받았다). 경식은 금색 번개를 발톱으로 움켜쥔 검은 독수리와 사방에 왕관이 배치된 파란 고리를 그린 2종류의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파란 고리 안쪽에는 훈장의 모토를 새긴 흰색 원형판이 있으며, 주변을 녹색으로 장식한 F R의 문자가 둘러싸고 있다. 경식의 중앙에는 정장과 동일한 의장인 기장이 쇠사슬로 매달려 있다.[28]

흑수리 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흑수리 훈장 기사단에 가입한다. 기사단의 회합이나 식전에 참석할 때는 파란색 안감이 있는 진홍색 벨벳 로브를 정장으로 착용했다. 로브의 왼쪽 어깨에는 큰 흑수리 훈장의 부장이 그려져 있었다.[23]

3. 2. 훈장의 착용 방식

흑수리 훈장은 넓은 리본(띠)이나 칼라(사슬) 중 하나에 매달아 착용했다. 훈장의 리본은 오렌지색 무아레 띠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엉덩이까지 착용하고 배지는 엉덩이에 걸쳤다. 이 띠의 색상은 오렌지 공의 딸이자 대선제후의 첫 번째 부인인 루이즈 헨리에트 판 나사우를 기리기 위해 선택되었다.[3] 칼라(Kettede)는 목 주위에 착용하여 어깨에 걸쳤으며, 배지는 정면 중앙에 매달았다. 칼라는 24개의 정교한 연동 링크로 구성되었는데, 번갈아 가며 검은 독수리와 훈장의 모토(''Jedem das Seine'')가 있는 중앙 메달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이 주위의 파란색 에나멜 링, 그리고 각 십자 지점의 왕관이 있었다.[3]

흑수리 훈장 수훈자는 적색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도 함께 수여받아 목에 착용했다.

3. 3. 훈장의 의미

흑수리 훈장의 검은 독수리는 프로이센 왕국의 상징으로, 용맹함, 권위, 힘을 상징한다. 훈장 리본의 오렌지색은 오라녜 가문을 상징하며, 프리드리히 1세의 어머니인 루이즈 헨리에테 판 나사우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3] 훈장의 배지는 파란색 에나멜로 칠해진 금색 몰타 십자였으며, 십자 팔 사이에는 금색 왕관을 쓴 검은 독수리가 있었다. 금색 중앙 메달에는 프리드리히 1세의 왕실 모노그램("FR", 즉 ''Fredericus Rex'', 프리데리쿠스 렉스)이 새겨져 있었다.

훈장의 별은 은색 팔각형 별로, 중앙 메달에는 금색 배경에 검은 독수리(왼쪽 발톱으로 월계관 화환을, 오른쪽 발톱으로 홀을 쥐고 있음)가 묘사되었으며, 월계관 화환과 훈장의 모토를 새긴 흰색 에나멜 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훈장의 모토인 "Suum Cuique"(Jedem das Seine)는 로마법의 한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문자 그대로 "각자에게 맞는 것을"이라는 뜻이며, 관용적으로 "각자의 자격에 따라"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공정함과 정의를 강조한다.

경식은 프로이센 국왕의 특지로 수여되었다. 경식은 금색 번개를 발톱으로 움켜쥔 검은 독수리와 사방에 왕관이 배치된 파란 고리를 그린 2종류의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파란 고리 안쪽에는 훈장의 모토를 새긴 흰색 원형판이 있으며, 주변을 녹색으로 장식한 F R의 문자가 둘러싸고 있다. 경식의 중앙에는 정장과 동일한 의장인 기장이 쇠사슬로 매달려 있다.

4. 수훈 대상 및 자격

흑수리 훈장은 단일 등급으로만 수여되었으며, 훈장을 받은 프로이센 왕국의 신민은 귀족으로 승진하고 세습 작위를 받았다.

『프로이센 국가 요람』에 따르면, 프로이센의 남성 왕족은 10세가 되면 흑수리 훈장을 수여받고, 18세가 되면 흉장을 받았다. 이 관습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부터였으며, 그 이전의 남성 왕족은 태어났을 때 수여받았지만, 실제로 착용할 수 있는 것은 성인이 된 후였다. 또한, 프로이센 왕비 루이제 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나 독일 황후 빅토리아 등의 여성 왕족에게도 수여되었지만, 이는 왕비나 황후의 지위에 따른 것이며, 대개의 여성 왕족에게는 루이제 훈장이 대신 수여되었다.[22]

1861년 이후, 흑수리 훈장 기사단원은 적수리 훈장 대십자장을 목에 착용하게 되었다. 1862년부터는 프로이센 왕족이 흑수리 훈장을 수훈한 경우, 1등 왕관 훈장도 함께 받았다.[23]

4. 1. 초기 수훈 대상

1701년 흑수리 훈장이 제정되었을 때, 최초의 19명이 흑수리 훈장 기사단에 가입했다. 초대 기사단장은 가 맡았으며, 초기 수훈 대상은 주로 소수의 엘리트 계층이었다. 초기 수훈 대상자들은 다음과 같다:[19]

이름설명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프로이센 왕세자
필리프 빌헬름 폰 브란덴부르크-슈베트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슈베트성 요한 기사단 브란덴부르크 대관구장
프로이센 왕족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틀러쿨란트-젬갈렌 공작
육군 원수, 쾨니히스베르크 지사
한스 알브레히트 폰 바르푸스육군 원수, 제국 백작
알렉산더 추 도나-슐로비텐육군 중장, 외교관
육군 원수
병무부장, 궁정 평의회 회장관
성백
, 궁정 비서관
상급 궁정 장관
크리스토프 추 도나-슐로디엔육군 소장, 외교관
육군 중장, 공사
앙거베르크、포병 대장
여왕 부속 부육 장관
프리드리히 3세(1세) 시종장, 기병 소장, 근위군단 사령관



원래 흑수리 훈장 수훈 자격은 왕족 이외의 인물에게는 조상 중 최소 8명의 고위 귀족을 둔 30세 이상의 인물로 제한되었다.[19] 그러나 1848년 2월 20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법을 개정하여 귀족이 아니어도 훈장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훈장 수여 시 세습 귀족 지위와 문장이 주어졌다.[20][21]

4. 2. 19세기 이후 수훈 대상

1848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법 개정으로 귀족이 아닌 사람도 흑수리 훈장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20][21] 이전에는 훈장 수훈 자격이 30세 이상, 최소 8명의 고위 귀족 조상을 둔 인물로 제한되었으나,[19] 개정 이후 국가에 대한 뚜렷한 공헌이나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이라면 누구나 훈장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흑수리 훈장 수훈자는 대부분 고급 관료나 군인이었다.

프로이센 왕가의 남성은 10세에 흑수리 훈장을 받고, 18세에 훈장의 흉장을 받았다.[22] 프로이센 왕비나 독일 황후에게도 흑수리 훈장이 수여되었지만, 다른 여성 왕족에게는 주로 루이제 훈장이 수여되었다.[22]

1861년 이후, 흑수리 훈장 기사단원은 적수리 훈장 대십자장을 목에 착용하게 되었다. 1862년부터는 프로이센 왕족이 흑수리 훈장을 수훈할 경우, 1등 왕관 훈장도 함께 받았다.[23]

5. 주요 수훈자

Frederick II with Order of the Black Eagle (Portrait by Anton Graff 1781).
프리드리히 2세


흑수리 훈장의 주요 수훈자는 다음과 같다.

구 분수훈자
프로이센 왕가 및 호엔촐레른 가문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빌헬름 1세, 프리드리히 3세, 빌헬름 2세, 독일 황태자 빌헬름, 프로이센 공자 루이 페르디난트, 프로이센 공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외국 왕족 및 국가 원수Edward VII|에드워드 7세|에드워드 7세영어 (영국), George V|조지 5세|조지 5세영어 (영국), Александр III|알렉산드르 3세|알렉산드르 3세ru (러시아), Николай II|니콜라이 2세|니콜라이 2세ru (러시아), 明治天皇|메이지 천황|메이지 천황일본어 (일본), 大正天皇|다이쇼 천황|다이쇼 천황일본어 (일본), 고종|고종한국어 (대한제국), Franz Joseph I|프란츠 요제프 1세|프란츠 요제프 1세de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인헤닝 알렉산더 폰 클라이스트, 게르하르트 폰 블뤼허, 레온하르트 폰 블루멘탈, 헬무트 폰 몰트케 (장남), 알프레트 폰 슐리펜 백작, 파울 폰 힌덴부르크
정치인 및 기타오토 폰 비스마르크, 알브레히트 폰 룬, 아돌프 멘젤, 에두아르트 폰 심슨


5. 1. 프로이센 왕가 및 호엔촐레른 가문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 (1657–1713) — 브란덴부르크의 마지막 선제후이자 프로이센의 초대 국왕. 흑수리 훈장 창설자.[1]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1688–1740) — 1701년, 왕세자 시절 훈장 수여, 흑수리 훈장의 첫 번째 회원. 1713–1740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리드리히 2세 (1712–1786) — "프리드리히 대왕". 1740–1786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1744–1797) — 1786–1797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1770–1840) — 나폴레옹 시대의 프로이센 국왕. 1797–1840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1795–1861) — 1840–1861년 훈장 최고 수장.[1]
  • 빌헬름 1세 (1797–1888) — 프로이센 국왕이자 초대 독일 황제. 1861–1888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리드리히 3세 (1831–1888) — "황태자 프리드리히 빌헬름"으로 더 잘 알려짐. 독일 통일 전쟁 중 장군. 1888년 3월~6월 짧은 기간 동안 독일 황제. 후두암으로 사망.[1]
  • 빌헬름 2세 (1859–1941) — 마지막 프로이센 국왕이자 마지막 독일 황제. 1888–1941년 훈장 최고 수장.[1]
  • 독일 황태자 빌헬름 (1882–1951) — 1941–1951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로이센 공자 루이 페르디난트 (1907–1994) — 1951–1994년 훈장 최고 수장.[1]
  • 프로이센 공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1976년 출생) — 1994년부터 훈장 최고 수장.[1]
  • [1]

5. 2. 외국 왕족 및 국가 원수

5. 3. 군인

5. 4. 정치인 및 기타


  •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왕국 수상.
  • 알브레히트 폰 룬: 프로이센 원수이자 장관.
  • 아돌프 멘젤: 독일 예술가.
  • 에두아르트 폰 심슨: 독일 법학자, 프랑크푸르트 국민 의회 의장.

6. 흑수리 훈장과 한국의 관계

1904년,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흑수리 훈장을 수여받았다.[27] 이는 당시 독일 제국과 대한제국 간의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

1919년 이후, 흑수리 훈장은 호엔촐레른 가문의 구성원에게만 수여되었다.[27] 현재 흑수리 훈장은 독일 헌병대의 심볼 마크로 사용되고 있으며, 베를린에 있는 프리메이슨의 로지 "쭘 슈바르체 아들러"에는 훈장의 모토 ''Suum cuique''가 걸려 있다.

흑수리 훈장은 비록 현재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독일과의 역사적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있다.

6. 1. 대한제국 시기

1904년,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흑수리 훈장을 수여받았다.[27] 이는 당시 독일 제국과 대한제국 간의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

6. 2. 현대

1919년 이후, 흑수리 훈장은 호엔촐레른 가문의 구성원에게만 수여되었으며, 1934년까지 13회의 수여가 확인되었다.[27] 1941년 전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사망할 때까지, 기사단의 축제일인 7월 11일(창설자인 국왕 프리드리히 1세의 생일)은 매년 네덜란드의 도른에서 축하되었다. 독일 제국의 육군 원수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은 이 축제의 단골이었다.

현재, 흑수리 훈장은 독일 헌병대의 심볼 마크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1740년 국왕 프리드리히 2세가 헌병대를 창설한 것을 기념한 것이다. 또한 베를린에 있는 프리메이슨의 로지 "쭘 슈바르체 아들러"에는 훈장의 모토 ''Suum cuique''가 걸려 있는데, 이것도 프리드리히 2세를 기념한 것이다.

흑수리 훈장은 비록 현재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독일과의 역사적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있다. 일부 역사학자와 수집가들은 흑수리 훈장을 연구하고 소장하며 그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Preußische Orden
[2] 서적 Orders and Decorations
[3] 간행물 1918 Prussian State Handbook
[4] 문서
[5] 간행물 1918 Prussian State Handbook
[6] 뉴스 Germany The Times 1903-01-19
[7]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00-01-19
[8] 서적 Rangeliste der Koeniglich Preussisches, 1903 Ernst Siegfried Mittler & Son 1903
[9] 뉴스 Latest intelligence - Germany The Times 1902-05-30
[10] 문서 Artikel „Kleist, Henning Alexander von“ von Heinrich Kypke in: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herausgegeben von der Historischen Kommission bei der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Band 16 (1882), S. 150–151, Digitale Volltext-Ausgabe in Wikisource
[1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Druck und Verlag der K.K. Hof- und Staatsdruckerei 1916
[12] 뉴스 Latest intelligence - The German Emperor at Posen The Times 1902-09-04
[13] 서적 Adolf von Deines. Lebensbild 1845-1911 1913
[14]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02-09-19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01-05-07
[16] 문서 Johann Jakob Wunsch 1898
[17] 뉴스 Latest intelligence - The King of Italy in Berlin The Times 1902-08-29
[18] 문서 Simson, Martin Eduard von
[19] 서적 Ordensbuch sämmtlicher in Europa blühender und erloschener Orden und Ehrenzeichen http://reader.digita[...] Rudolph & Dieterici 1855
[20] 서적 Handbuch der Ritter und Verdienstorden aller Kulturstaaten der Welt https://archive.org/[...] Weber 1893
[21] 서적 勲章の社会学 晃洋書房
[22] 서적 Victoria. Tochter Queen Victorias, Gemahlin des preußischen Kronprinzen, Mutter Wilhelm II. Marion von Schröder-Verlag 1999
[23] 간행물 1918 Prussian State Handbook
[24] 문서 ADB:Finck von Finckenstein, Friedrich Ludwig Graf
[25] 서적 Neues Preussisches Adels-Lexicon https://books.google[...] Reichenbach 1842
[26] 서적 Die Generale der Chur-Brandenburgischen und Königlich Preußischen Armee von 1640–1840 https://books.google[...]
[27] 서적 Deutsche Orden und Ehrenzeichen bis 1945 Zentralstelle für wissenschaftliche Ordenskunde 1997
[28] 서적 Katalog der Orden, Ehrenzeichen und Auszeichnungen des Kurfürstentums Brandenburg, der Markgraftümer Brandenburg-Ansbach und Brandenburg-Bayreuth, des Königreiches Preußen, der Republik Preußen unter Berücksichtigung des Deutschen Reiches. Band 1 Kurfürstentum Brandenburg, Markgraftum Brandenburg-Ansbach, Markgraftum Brandenburg-Bayreuth Orden des Königreiches Preußen 2001
[29] 웹사이트 Digitalisat von relationis http://bavarica.digi[...]
[30] 문서 Statuten des Königlichen Preußischen Ordens vom Schwartzen Adler https://de.wikipedia[...]
[31] 간행물 Neues Preussisches Adels-Lexicon https://books.google[...] Gebrüder Reichenbach 1836
[32] 웹사이트 Digitalisat der Ritterliste http://reader.digita[...]
[33] 웹사이트 Geschichte des Hofes... https://books.google[...]
[34] 웹사이트 Digitalisat: Ordensbuch http://reader.digita[...]
[35] 웹사이트 Hohenzollern-Jahrbuch 1900 http://opus.kobv.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