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25개 구의 개표 결과를 다룬다. 이명박 후보가 서울에서 50.3%의 득표율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고, 정동영 후보는 27.4%를 얻었다. 강남 3구와 같은 지역은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강했고, 서울 북부 지역과 관악구 등은 진보 정당 지지세가 높았다. 서울은 범민주 진영이 범보수 진영에 비해 6.68%p 더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지역별 사회경제적 요인이 득표율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은 서울 지역에서 지지세를 확대하기 위해 유권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공약 개발, 소통 강화, 새로운 리더십 구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1967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지역별 개표 결과는 윤보선과 박정희 주요 후보 간의 경쟁 양상을 보여주며, 각 구별 득표율과 득표수가 기록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 기반을 확인했다.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충청남도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충청남도는 이명박 후보가 51.3%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고 정동영 후보가 34.1%로 2위를 기록했으며, 지역별로 지지 후보가 나뉘는 경향을 보였다.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충청북도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충청북도에서는 이명박 후보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으며, 정동영 후보는 보은군에서 높은 득표율을, 이회창 후보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선거 정보
선거명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국가대한민국
유형대통령
선거일2007년 12월 19일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이전 선거 연도2002년
차기 선거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차기 선거 연도2012년
직책대통령
선거 전 대통령노무현
선거 전 대통령 정당무소속
선거 후 대통령이명박
선거 후 대통령 정당한나라당
후보별 득표 결과
이명박 대통령 초상화
이명박 후보
후보이명박
정당한나라당
득표수2,689,162
득표율53.23%
정동영 통일부 장관
정동영 후보
후보정동영
정당대통합민주신당
득표수1,237,812
득표율24.50%
이회창
이회창 후보
후보이회창
정당무소속
득표수596,226
득표율11.80%
후보문국현
정당창조한국당
득표수358,781
득표율7.10%

2. 서울특별시 구별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25개 모든 자치구 개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인 강남구(66.44%), 서초구(64.40%)에서는 6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송파구(57.77%), 용산구(56.63%), 강동구(55.96%) 등에서도 과반을 크게 넘는 지지를 받았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모든 자치구에서 2위를 기록했으나, 이명박 후보에게 큰 격차로 뒤졌다. 정동영 후보는 금천구에서 29.51%로 서울 내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고, 관악구(29.09%), 강북구(28.19%) 등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비교적 강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반면, 강남구(14.68%)와 서초구(16.10%)에서는 10%대의 저조한 득표율에 머물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10~12%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특히 구로구(13.32%)와 금천구(12.78%)에서 서울 내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대부분 6~8%대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했다. 관악구(8.80%), 마포구(8.24%), 동작구(8.09%) 등 일부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얻었다.

이명박 후보는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과반 득표에 성공했으나, 민주당계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은평구(49.82%), 구로구(48.82%), 금천구(47.24%), 관악구(45.35%) 4개 구에서는 과반 득표에 실패하였다. 이는 해당 지역들의 정치적 성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2. 1. 종로구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선거 결과이다. 총 유효 득표수는 85,157표였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45,172표를 얻어 53.04%의 득표율로 과반수를 넘기며 1위를 기록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1,515표(25.26%)를 득표하여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이회창 후보가 9,984표(11.72%),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가 5,722표(6.71%)를 각각 얻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45,17253.04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21,51525.26
이회창무소속9,98411.72
문국현창조한국당5,7226.71
권영길민주노동당1,8892.21
이인제민주당3980.46
허경영경제공화당3310.38
금민한국사회당770.09
정근모참주인연합560.06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130.01
합계85,157100.00


2. 2. 중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35,33553.30%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7,29926.09%
이회창무소속7,27810.97%
문국현창조한국당4,3246.52%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중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인 53.30%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6.09%를 득표하여 2위에 올랐고,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이회창 후보가 10.97%,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가 6.52%를 각각 기록했다. 이는 서울특별시 내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이명박 후보가 우세를 보인 결과이다.

2. 3. 용산구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용산구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66,09656.63%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25,96722.25%
이회창무소속13,55411.61%
문국현창조한국당7,5446.46%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인 56.63%를 득표하여 용산구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특별시 내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과반을 넘긴 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2.25%의 득표율을 얻어 2위를 차지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61%를 득표하며 두 자릿수 득표율을 보였고,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46%를 득표했다.

2. 4. 성동구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성동구 후보별 득표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88,60253.7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1,90225.40%
이회창무소속17,38910.54%
문국현창조한국당11,3306.87%


2. 5. 광진구

광진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94,864표를 얻어 51.8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46,597표(25.46%)를 득표해 2위를 기록했으며, 이어서 무소속 이회창 후보가 21,275표(11.62%),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가 14,052표(7.67%)를 각각 얻었다.

후보정당득표수 (표)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94,86451.84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6,59725.46
이회창무소속21,27511.62
문국현창조한국당14,0527.67


2. 6. 동대문구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3.0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25.85%로 2위를 기록했고,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02%,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67%의 득표율을 보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00,70953.06%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9,06425.85%
이회창무소속20,93111.02%
문국현창조한국당12,6606.67%


2. 7. 중랑구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1.89%의 득표율(105,608표)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6.57%(54,085표)를 얻어 2위에 머물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55%(23,503표)를,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42%(13,083표)를 각각 득표했다.

'''중랑구 주요 후보 득표 결과'''
후보정당득표수 (표)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105,60851.89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4,08526.57
이회창무소속23,50311.55
문국현창조한국당13,0836.42


2. 8. 성북구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123,186표를 얻어 52.52%의 득표율로 성북구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60,790표(25.91%)를 얻어 2위에 머물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25,572표(10.90%)를,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17,007표(7.25%)를 각각 득표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23,18652.5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60,79025.91%
이회창무소속25,57210.90%
문국현창조한국당17,0077.25%


2. 9. 강북구

강북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51.15%의 과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8.1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85,79151.15%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7,29028.19%
이회창무소속17,37310.35%
문국현창조한국당10,9136.50%


2. 10. 도봉구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3.1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24.81%로 2위를 기록했다. 이는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전반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우세했던 경향을 반영한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50%,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7.12%를 득표하며 그 뒤를 이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99,59653.1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6,51524.81%
이회창무소속21,57811.50%
문국현창조한국당13,3557.12%


2. 11. 노원구

'''노원구 개표 결과'''
후보정당득표수 (표)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157,43951.5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76,02124.87
이회창무소속37,60712.30
문국현창조한국당22,9517.51
기타 후보11,6233.80
합계305,641100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1.52%의 득표율로 노원구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서울특별시 전체 평균 득표율(51.9%)과 비슷한 수준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4.8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 전체 평균(26.2%)보다 다소 낮은 수치이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2.30%의 득표율을 보였으며,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7.51%를 득표했다. 이회창 후보와 문국현 후보 모두 서울 전체 평균 득표율(각각 11.8%, 7.2%)과 유사한 수준의 지지를 얻었다.

2. 12. 은평구

은평구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108,240표(49.82%)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서울특별시 내 25개 자치구 중 이명박 후보가 과반 득표에 실패한 4곳(은평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중 하나였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59,909표(27.5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26,376표(12.14%),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15,139표(6.96%)를 각각 득표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108,24049.8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9,90927.57
이회창무소속26,37612.14
문국현창조한국당15,1396.96


2. 13. 서대문구

후보정당득표수 (표)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87,64550.43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6,52226.77
이회창무소속20,54811.82
문국현창조한국당12,8337.38


2. 14. 마포구

마포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0.07%의 득표율로 1위를 기록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5.38%의 득표율을 얻어 2위에 자리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2.31%를,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8.24%를 득표했다. 특히 문국현 후보는 서울특별시 전체 평균(6~7%대)보다 높은 득표율을 마포구에서 기록한 점이 주목된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97,34750.07%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9,34325.38%
이회창무소속23,93612.31%
문국현창조한국당16,0378.24%


2. 15. 양천구

양천구 후보별 득표 결과 (상위 4명)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27,91953.06%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9,63624.73%
이회창무소속29,21112.11%
문국현창조한국당16,7516.94%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127,919표를 얻어 53.06%의 득표율로 양천구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과반을 넘는 득표율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59,636표(24.73%)를 얻었으며,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29,211표(12.11%)로 두 자릿수 득표율을 보였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16,751표(6.94%)를 득표했다.

2. 16. 강서구

제17대 대통령 선거 강서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138,876표를 얻어 과반이 넘는 51.23%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68,471표(25.26%)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33,701표(12.43%)를 득표하여 두 자릿수 득표율을 보였으며,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20,464표(7.54%)를 득표했다.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강서구 주요 후보별 득표 현황 (상위 4명)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38,87651.23%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68,47125.26%
이회창무소속33,70112.43%
문국현창조한국당20,4647.54%


2. 17. 구로구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후보별 득표수 및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02,96848.8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5,68326.40%
이회창무소속28,10213.32%
문국현창조한국당16,0837.62%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48.82%의 득표율로 구로구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서울특별시 내 다른 지역들과 비교했을 때 과반 득표에는 실패하였다. 이는 구로구가 전통적으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임을 보여주는 결과 중 하나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6.40%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회창 후보는 구로구에서 13.32%를 득표했는데, 이는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득표율에 해당한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7.6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 18. 금천구

금천구에서의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주요 후보별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55,96847.24%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34,96629.51%
이회창무소속15,14012.78%
문국현창조한국당7,5976.41%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47.24%의 득표율로 금천구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서울특별시 전체 25개 자치구 중 은평구, 구로구, 관악구와 함께 과반 득표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는 금천구가 전통적으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임을 시사한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9.51%를 득표하여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중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정치적 성향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으나, 30% 득표율 달성에는 실패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2.78%를 득표하여 서울특별시 내 다른 지역들과 유사하게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41%의 득표율을 보였다.

2. 19. 영등포구

wikitext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영등포구 후보별 득표율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이명박106,55851.88%
대통합민주신당정동영51,00824.83%
무소속이회창26,12912.72%
창조한국당문국현14,8197.21%


2. 20. 동작구

동작구 주요 후보별 득표 현황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06,06750.66%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3,61325.60%
이회창무소속25,41112.13%
문국현창조한국당16,9438.09%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인 50.6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동작구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서울특별시 전체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승리한 결과의 일부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5.60%의 득표율을 얻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2.13%를 득표하여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8.09%를 득표했는데, 이는 서울특별시 내 다른 지역 평균(6~7%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이다. 동작구는 마포구, 관악구와 더불어 문국현 후보가 8%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한 지역 중 하나였다.

2. 21. 관악구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121,270표를 얻어 45.35%의 득표율로 관악구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서울특별시 전체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승리한 결과의 일부이지만, 은평구, 구로구, 금천구와 더불어 과반 득표에는 미치지 못한 지역 중 하나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77,804표(득표율 29.09%)를 얻어 2위에 머물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32,942표(득표율 12.31%)를,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23,536표(득표율 8.80%)를 기록했다. 특히 문국현 후보의 득표율은 마포구, 동작구와 함께 서울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관악구 개표 결과 (상위 4명)'''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21,27045.35%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77,80429.09%
이회창무소속32,94212.31%
문국현창조한국당23,5368.80%


2. 22. 서초구

서초구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지역이다. 주요 후보들의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36,44364.40%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34,11216.10%
이회창무소속23,53511.11%
문국현창조한국당13,2236.24%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64.40%라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남구(66.44%)와 함께 서울특별시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지지를 받으며 압승했다. 이는 서초구가 대표적인 보수 강세 지역임을 재확인시켜주는 결과였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16.10%의 득표율에 그쳐, 서울특별시 전체 평균 득표율(약 24.5%)에 크게 미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강남구 다음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11%를 득표하여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보수 성향 유권자가 많은 지역 특성에도 불구하고 서울특별시 평균 득표율(약 11.7%)에는 미치지 못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24%를 득표하여 서울특별시 평균 득표율(약 7.2%)보다 다소 낮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범보수 진영으로 분류되는 이명박 후보와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 합계는 75.51%에 달해, 범진보 진영으로 분류되는 정동영 후보와 문국현 후보의 득표율 합계(22.34%)를 압도적으로 상회하며 서초구의 강한 보수 성향을 드러냈다.

2. 23. 강남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이명박한나라당187,77866.44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41,49314.68
이회창무소속31,02310.97
문국현창조한국당16,4655.82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66.44%라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남구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서울특별시 전체 자치구 중 서초구와 더불어 가장 높은 수준의 득표율로, 강남구가 대표적인 보수 강세 지역임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14.68%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쳐, 서울특별시 내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0.97%를 득표하여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이는 서울특별시 전체 평균 득표율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5.82%를 득표하였다.

2. 24. 송파구

송파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7.7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1.32%의 득표율로 2위에 머물렀으며,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64%,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59%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180,70457.77%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66,69721.32%
이회창무소속36,43611.64%
문국현창조한국당20,6426.59%


2. 25. 강동구

wikitext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1,51022.35%
이명박한나라당128,98155.96%
문국현창조한국당15,3086.64%
이회창무소속27,69212.01%



강동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5.9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2.35%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2.01%,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64%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3. 전체 결과 분석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대선 이전 서울특별시장을 지냈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3.2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승리했다. 이는 민주화 이후 보수정당 후보가 서울특별시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사례이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4.50%의 득표율로 2위에 머물렀다. 이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서는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에서 패배한 결과이며, 1위인 이명박 후보와 약 30%p에 달하는 큰 격차를 보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80%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으며,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7.10%를 기록하며 4위에 올랐다.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후보별 득표 현황'''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명박한나라당2,689,16253.23%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237,81224.50%
이회창무소속596,22611.80%
문국현창조한국당358,7817.10%
권영길민주노동당116,3442.30%
이인제민주당23,2140.45%
허경영경제공화당22,4050.44%
금민한국사회당3,5010.06%
정근모참주인연합3,0130.05%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9110.01%
합계5,051,369100.00%


3. 1. 주요 후보별 득표 분석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선거 결과, 대선 이전 서울특별시장을 지냈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53.2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큰 격차로 승리했다. 이는 민주화 이후 보수정당서울특별시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사례이다. 범보수 진영 후보인 이명박 후보와 무소속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 합계는 65.03%로, 범민주 진영 후보인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의 득표율(24.50%)을 크게 상회하며 보수 진영의 우세를 확인시켜 주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4.50%의 득표율로 2위에 머물렀다. 이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서는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에서 패배한 결과이며, 1위인 이명박 후보와는 약 30%p에 달하는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서울특별시 내 모든 자치구에서 3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80%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으며,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전국 평균 득표율보다 높은 7.10%를 기록하며 4위에 올랐다.

지역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이명박 (한나라당)문국현 (창조한국당)이회창 (무소속)
종로구21,515 (25.26%)45,172 (53.04%)5,722 (6.71%)9,984 (11.72%)
중구17,299 (26.09%)35,335 (53.30%)4,324 (6.52%)7,278 (10.97%)
용산구25,967 (22.25%)66,096 (56.63%)7,544 (6.46%)13,554 (11.61%)
성동구41,902 (25.40%)88,602 (53.72%)11,330 (6.87%)17,389 (10.54%)
광진구46,597 (25.46%)94,864 (51.84%)14,052 (7.67%)21,275 (11.62%)
동대문구49,064 (25.85%)100,709 (53.06%)12,660 (6.67%)20,931 (11.02%)
중랑구54,085 (26.57%)105,608 (51.89%)13,083 (6.42%)23,503 (11.55%)
성북구60,790 (25.91%)123,186 (52.52%)17,007 (7.25%)25,572 (10.90%)
강북구47,290 (28.19%)85,791 (51.15%)10,913 (6.50%)17,373 (10.35%)
도봉구46,515 (24.81%)99,596 (53.12%)13,355 (7.12%)21,578 (11.50%)
노원구76,021 (24.87%)157,439 (51.52%)22,951 (7.51%)37,607 (12.30%)
은평구59,909 (27.57%)108,240 (49.82%)15,139 (6.96%)26,376 (12.14%)
서대문구46,522 (26.77%)87,645 (50.43%)12,833 (7.38%)20,548 (11.82%)
마포구49,343 (25.38%)97,347 (50.07%)16,037 (8.24%)23,936 (12.31%)
양천구59,636 (24.73%)127,919 (53.06%)16,751 (6.94%)29,211 (12.11%)
강서구68,471 (25.26%)138,876 (51.23%)20,464 (7.54%)33,701 (12.43%)
구로구55,683 (26.40%)102,968 (48.82%)16,083 (7.62%)28,102 (13.32%)
금천구34,966 (29.51%)55,968 (47.24%)7,597 (6.41%)15,140 (12.78%)
영등포구51,008 (24.83%)106,558 (51.88%)14,819 (7.21%)26,129 (12.72%)
동작구53,613 (25.60%)106,067 (50.66%)16,943 (8.09%)25,411 (12.13%)
관악구77,804 (29.09%)121,270 (45.35%)23,536 (8.80%)32,942 (12.31%)
서초구34,112 (16.10%)136,443 (64.40%)13,223 (6.24%)23,535 (11.11%)
강남구41,493 (14.68%)187,778 (66.44%)16,465 (5.82%)31,023 (10.97%)
송파구66,697 (21.32%)180,704 (57.77%)20,642 (6.59%)36,436 (11.64%)
강동구51,510 (22.35%)128,981 (55.96%)15,308 (6.64%)27,692 (12.01%)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서울특별시 내 25개 자치구 모두에서 승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전통적으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했던 은평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에서 과반 득표율을 기록했다. 보수 정당의 텃밭으로 분류되는 서초구강남구에서는 각각 64.40%, 66.44%라는 높은 득표율을 보이며 승리를 굳혔다.

반면,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20%대 득표율에 그쳤다.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금천구에서도 29.51%에 머물러, 전 지역 30% 득표에 실패하는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특히 강남구에서는 14.68%라는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향후 민주당계 정당의 수도권 전략에 중요한 과제를 남겼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모든 자치구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구로구에서 13.32%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보수 강세 지역인 서초구(11.11%)와 강남구(10.97%)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보였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전반적으로 6~7%대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마포구(8.24%), 동작구(8.09%), 관악구(8.80%)에서는 8%가 넘는 득표율을 달성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3. 2. 지역별 특징

(25.26%)45,172
(53.04%)
5,722
(6.71%)9,984
(11.72%)중구17,299
(26.09%)35,335
(53.30%)
4,324
(6.52%)7,278
(10.97%)용산구25,967
(22.25%)66,096
(56.63%)
7,544
(6.46%)13,554
(11.61%)성동구41,902
(25.40%)88,602
(53.72%)
11,330
(6.87%)17,389
(10.54%)광진구46,597
(25.46%)94,864
(51.84%)
14,052
(7.67%)21,275
(11.62%)동대문구49,064
(25.85%)100,709
(53.06%)
12,660
(6.67%)20,931
(11.02%)중랑구54,085
(26.57%)105,608
(51.89%)
13,083
(6.42%)23,503
(11.55%)성북구60,790
(25.91%)123,186
(52.52%)
17,007
(7.25%)25,572
(10.90%)강북구47,290
(28.19%)85,791
(51.15%)
10,913
(6.50%)17,373
(10.35%)도봉구46,515
(24.81%)99,596
(53.12%)
13,355
(7.12%)21,578
(11.50%)노원구76,021
(24.87%)157,439
(51.52%)
22,951
(7.51%)37,607
(12.30%)은평구59,909
(27.57%)108,240
(49.82%)
15,139
(6.96%)26,376
(12.14%)서대문구46,522
(26.77%)87,645
(50.43%)
12,833
(7.38%)20,548
(11.82%)마포구49,343
(25.38%)97,347
(50.07%)
16,037
(8.24%)23,936
(12.31%)양천구59,636
(24.73%)127,919
(53.06%)
16,751
(6.94%)29,211
(12.11%)강서구68,471
(25.26%)138,876
(51.23%)
20,464
(7.54%)33,701
(12.43%)구로구55,683
(26.40%)102,968
(48.82%)
16,083
(7.62%)28,102
(13.32%)금천구34,966
(29.51%)55,968
(47.24%)
7,597
(6.41%)15,140
(12.78%)영등포구51,008
(24.83%)106,558
(51.88%)
14,819
(7.21%)26,129
(12.72%)동작구53,613
(25.60%)106,067
(50.66%)
16,943
(8.09%)25,411
(12.13%)관악구77,804
(29.09%)121,270
(45.35%)
23,536
(8.80%)32,942
(12.31%)서초구34,112
(16.10%)136,443
(64.40%)
13,223
(6.24%)23,535
(11.11%)강남구41,493
(14.68%)187,778
(66.44%)
16,465
(5.82%)31,023
(10.97%)송파구66,697
(21.32%)180,704
(57.77%)
20,642
(6.59%)36,436
(11.64%)강동구51,510
(22.35%)128,981
(55.96%)
15,308
(6.64%)27,692
(12.01%)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서울특별시 내 25개 자치구 모두에서 승리하는 압도적인 결과를 보였다. 특히 전통적으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평가받던 은평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과반 득표율을 기록했다. 보수 성향이 강한 서초구(64.40%)와 강남구(66.44%)에서는 60%가 넘는 높은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20%대 득표율에 머무르며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은 금천구(29.51%)였으나, 이마저도 30%에는 미치지 못했다. 특히 강남구에서는 14.68%라는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큰 격차로 패배했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회창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며 일정한 지지세를 확인했다. 다만, 보수 강세 지역인 서초구(11.11%)와 강남구(10.97%)에서는 서울 전체 평균보다 낮은 득표율을 보인 반면, 구로구에서는 13.32%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전반적으로 6~7%대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마포구(8.24%), 동작구(8.09%), 관악구(8.80%)에서는 8%대의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얻었다.

범보수 계열 후보인 이명박 후보와 이회창 후보의 득표를 합산할 경우, 범민주 계열 후보인 정동영 후보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져, 서울에서는 보수 진영 후보들이 큰 우위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3. 3. 범보수 vs 범민주 구도 분석

'''제17대 대선 서울특별시 주요 후보 진영별 득표 현황'''
진영후보정당득표율득표수
범보수이명박한나라당53.23%2,689,162
이회창무소속11.80%596,226
범보수 합계65.03%3,285,388
범민주/진보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24.50%1,237,812
문국현창조한국당7.10%358,781
권영길민주노동당2.30%116,344
이인제민주당0.45%23,214
금민한국사회당0.06%3,501
범민주/진보 합계34.41%1,739,652



제17대 대선에서 서울특별시는 범보수 진영이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보수 성향 무소속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 합은 65.03%로, 범민주 및 진보 진영 후보 전체의 득표율 합계(34.41%)를 크게 상회했다.

특히 이명박 후보는 서울특별시장 출신이라는 배경을 바탕으로 과반이 넘는 53.23%를 득표했으며, 이회창 후보 역시 11.80%를 얻어 범보수 진영의 총 득표수는 328만 표를 넘었다. 이는 대한민국 민주화 이후 보수정당 후보가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에서 승리한 기록이다.

반면,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4.50% 득표에 그쳐,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는 처음으로 서울에서 패배하는 결과를 맞았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7.10%),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2.30%) 등 다른 범민주/진보 진영 후보들의 득표를 모두 합해도 174만여 표(34.41%)에 머물러, 범보수 진영과의 격차는 약 154만 표, 30%p 이상 벌어졌다. 이는 당시 서울특별시 유권자들의 표심이 보수 진영으로 크게 기울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4. 총평 및 향후 과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는 과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과반이 넘는 53.23%의 지지를 보냈다. 이는 민주화 이후 보수 정당 후보가 서울특별시에서 거둔 첫 승리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반면,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24.50%의 득표율로 2위에 머물렀다. 이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서는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에서 패배한 결과이며, 1위인 이명박 후보와는 약 30%p에 달하는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당시 진보 진영이 직면했던 어려움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보수 성향의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11.80%를 득표하여 3위를 기록했고,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7.10%의 득표율로 4위를 차지했다.

결과적으로 범보수 진영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이명박 후보와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 합계는 65%를 넘어, 범민주 진영의 정동영 후보를 큰 차이로 앞섰다. 이는 당시 서울특별시 유권자들의 표심이 보수 진영으로 크게 기울었음을 보여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