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쇄 정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쇄 정책은 1850년대 미국에서 노예제 확장을 막기 위한 전략으로 시작되어,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부를 고립시키려는 서방 국가들의 정책으로 발전했다. 1940년대 후반에는 조지 케넌의 '긴 전문'을 바탕으로 미국이 소련의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는 트루먼 독트린, 마셜 플랜, NATO 설립으로 이어졌으며, 한국 전쟁에서 북한의 남침을 막는 데 기여했다. 봉쇄 정책은 고립주의, 데탕트, 롤백 정책 등 다양한 대안과 함께 논의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서 변형되어 적용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의 레이건 독트린은 봉쇄 정책을 넘어 공산 정권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포함했고, 냉전 종식 이후에도 미국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봉쇄 정책은 한반도 분단 고착화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진보와 보수 진영 간에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냉전기의 정책 - 도미노 이론
    도미노 이론은 한 국가의 정치 체제 변화가 주변 국가로 연쇄적으로 확산된다는 지정학적 이론이며, 냉전 시대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이 이론을 외교 정책에 활용했다.
  • 냉전기의 정책 - 프랑스 타격군
    프랑스 타격군은 프랑스가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 NATO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구축한 핵전력 체계로, 핵 삼두 체제를 갖추고 가치 보복 전략과 '약자에서 강자로의 억제' 개념을 바탕으로 핵 공격 억제를 목표로 한다.
  •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 마셜 플랜
    마셜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제안으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재건을 지원하여 경제 회복과 공산주의 확산 방지, 유럽 통합에 기여한 대규모 경제 지원 계획이다.
  • 미국-소련 관계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미국-소련 관계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봉쇄 정책
봉쇄 정책
냉전 기간 유럽의 군사 동맹 지도 (1949-1989). NATO 국가는 파란색,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는 빨간색, 중립국은 회색으로 표시됨.
냉전 기간 유럽의 군사 동맹 지도 (1949-1989). NATO 국가는 파란색,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는 빨간색, 중립국은 회색으로 표시됨.
목표공산주의 확산 방지
방법군사적 동맹 강화
경제적 지원
외교적 압박
역사적 배경
주요 인물조지 F. 케넌
해리 S. 트루먼
시작 시점1947년
종료 시점1991년 소련 해체
주요 사건그리스 내전
한국 전쟁
베를린 봉쇄
쿠바 미사일 위기
베트남 전쟁
관련 문서데탕트
트루먼 독트린
마셜 계획
주요 전략
군사적 봉쇄공산주의 국가 주변에 군사 기지 건설 및 군사력 배치
경제적 봉쇄공산주의 국가에 대한 경제 제재 및 경제 지원 차단
정치적 봉쇄공산주의 국가에 대한 외교적 고립 및 정치적 압박
이데올로기적 봉쇄반공주의 선전 및 자유주의 이념 확산
영향
긍정적 영향서유럽의 공산화 방지
자유주의 진영의 결속 강화
냉전 체제 유지
부정적 영향군비 경쟁 심화
지역 분쟁 격화
제3세계 국가의 정치적 불안정
평가
비판적 시각과도한 군사 개입
제3세계 국가의 자주성 침해
냉전 고착화
옹호적 시각공산주의 확산 방지
자유주의 체제 유지
세계 평화 유지 기여

2. 역사적 배경

봉쇄 정책의 기원은 19세기 중반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과 19세기 후반 독일의 대프랑스 정책에서 찾을 수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서방 세계는 볼셰비키 정권의 확산을 막기 위해 '위생 방역선' 개념을 도입했다.

1938년 뮌헨 협정은 유럽에서 나치의 확장을 봉쇄하려는 실패한 시도였다. 미국은 1937년부터 1941년까지 아시아에서 일본 제국의 확장을 봉쇄하려고 했고, 일본은 진주만 공격으로 대응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1941년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바르바로사 작전)했을 때,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은 연합하여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추축국을 패배시키기 위해 역롤백을 사용했다.

2. 1. 초기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

1850년대 미국의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노예제의 확장을 막기 위해 '자유 토지(free soil)' 전략을 활용했다. 이들은 연방 정부가 남부를 자유 주, 자유 지역, 자유 수역으로 둘러싸는 '자유의 방어선(cordon of freedom)'을 구축하여 노예제를 압박하고자 했다.[3] 역사학자 제임스 오크스(James Oakes)는 이 전략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2. 2. 독일의 대프랑스 정책

1873년부터 1877년까지 독일은 프랑스 주변 국가들의 내정에 지속적으로 개입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총리는 벨기에, 스페인, 이탈리아에서 자유주의적이고 반교권적인 정부가 들어설 수 있도록 강력한 정치적 압력을 행사했다.[4] 이는 프랑스 내 파트리스 드 마크마옹 대통령의 교권적 군주제 정권을 전략적, 이념적으로 고립시켜 프랑스 내 공화주의(republicanism)를 확산시키기 위한 통합 전략의 일환이었다. 비스마르크는 프랑스를 여러 자유주의 국가로 둘러쌈으로써 프랑스 공화주의자들이 마크마옹과 그의 반동적인 지지자들을 물리칠 수 있기를 기대했다. 현대적 의미의 봉쇄 정책은 이러한 정책 역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모델을 제공한다.[4]

2. 3. 러시아 혁명과 위생 방역선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서방 지도자들은 전 세계 혁명을 추진하는 듯했던 볼셰비키 정부를 고립시키라는 요구에 직면했다. 1919년 3월,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는 공산주의가 아닌 국가들의 고리인 '위생 방역선(cordon sanitaire)'을 만들어 소비에트 러시아를 고립시킬 것을 촉구했다.[5] 이 문구를 번역한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격리(quarantine)"를 요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러시아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철수시켜 독일이 서부 전선의 연합군에 대항할 병력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허용함에 따라 러시아 내전에 개입했다.[5] 동시에 윌슨 대통령은 새로운 소비에트 러시아가 자행한 인권 침해를 점차 인식하게 되었고, 새 정권의 과격한 무신론계획 경제 지지를 반대했다. 그는 또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서구 세계로 확산될 것을 우려했고, 그의 14개조 평화 원칙은 공산주의에 대한 전 세계적 대안 이념으로 자유 민주주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8][6]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일본 제국의 러시아 점령지 확장과 연합국 편인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소수의 병력을 러시아 북부와 시베리아에 파병했다.[5][7][8] 미국은 또한 백색 운동에 식량과 물자 등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5][7][8] 이 개입은 국내에서 인기가 없었고 일관된 전략이 부족했으며,[8] 결국 연합군은 러시아에서 철수했다.[9]

3. 봉쇄 정책의 형성 (1944-1947)

미국과 유럽은 노예제 확장 반대를 위한 '자유 토지' 전략, 독일의 프랑스 공화주의 촉진 전략 등 역사적 경험을 통해 봉쇄 정책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었다. 1850년대 미국에서는 노예제 반대 세력이 노예제의 확장을 막기 위해 자유 토지(free soil) 전략을 개발하여, 결국 노예제가 붕괴될 때까지 억제하는 데 힘썼다.[3] 1873년부터 1877년까지 독일은 프랑스를 여러 자유주의 국가로 둘러쌈으로써 프랑스 공화주의자들이 반동적인 지지자들을 물리칠 수 있기를 기대했다.[4]

1917년 10월 혁명 이후, 서방 지도자들은 전 세계 혁명을 추진하려는 것처럼 보였던 볼셰비키 정부를 고립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1919년 3월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는 공산주의가 아닌 국가들의 고리인 '위생 방역선'을 만들어 소비에트 러시아를 고립시킬 것을 촉구했다.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이 문구를 "격리"로 번역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러시아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철수시켜 독일이 서부 전선의 연합군에 대항할 병력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허용함에 따라 러시아 내전에 개입했다.[5] 윌슨 대통령은 새로운 소비에트 러시아가 자행한 인권 침해를 점점 더 인식하게 되었고, 새로운 정권의 과격한 무신론계획 경제 지지를 반대했다. 그는 또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서구 세계의 나머지 지역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했고, 그의 중요한 14개 조항은 공산주의에 대한 전 세계적 대안 이념으로 자유 민주주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8][6]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일본 제국의 러시아 점령지에 대한 확장과 연합국 편인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대한 지원으로 인해 소수의 병력을 러시아 북부와 시베리아에 파병했다.[5][7][8] 미국은 또한 백군에게 식량과 물자와 같은 간접적인 지원을 제공했다.[5][7][8] 그러나 이 개입은 국내에서 인기가 없었고 일관된 전략이 부족했으며,[8] 결국 연합군은 러시아에서 철수했다.[9]

미국은 처음에 소비에트 연방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 수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1933년 이 정책을 바꿨다.

1938년 뮌헨 협정은 유럽에서 나치의 확장을 봉쇄하려는 실패한 시도였다. 미국은 1937년부터 1941년까지 아시아에서 일본 제국의 확장을 봉쇄하려고 했고, 일본은 진주만 공격으로 대응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독일1941년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했을 때,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은 독일을 상대로 연합하여 추축국을 패배시키기 위해 역롤백(rollback)을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이 다가오면서 미국 국무부의 주요 인사들은 소련에 대한 불만과 의심이 점점 커졌다.

3. 1. 애버럴 해리먼의 역할

애버럴 해리먼은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로, 초기에는 미소 관계에 대해 "확고한 낙관론자"였다.[11] 그러나 1944년 바르샤바 봉기에서 소련의 배신과 1945년 2월 얄타 협정의 폴란드 관련 조항 위반을 목격하면서 소련에 대한 환멸을 느꼈다.[12]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리먼은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소련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13]

3. 2. 조지 케넌과 봉쇄 정책의 이론적 토대

1946년 2월, 미국 국무부는 당시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에 있던 조지 케넌에게 러시아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 설립에 반대하는 이유를 질문했다. 그는 ''긴 전문''으로 불리는 광범위한 분석을 통해 소련의 팽창주의적 성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4]

케넌의 전문은 국무부에서 "오랫동안 필요했던 상황에 대한 평가"로 칭송받았다.[16] 클라크 클리포드와 조지 엘시는 ''긴 전문''을 자세히 설명하고 구체적인 정책 권고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1946년 9월 24일 트루먼에게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는 소련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제한하는 것"을 권고했다.[17]

1947년, 케넌은 "소련 행동의 원천"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작성했다.[14] 제임스 포레스터 해군 장관은 "X"라는 필명으로 ''포린 어페어스''지에 이 보고서를 발표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18] 이른바 "X 논문"에서 "봉쇄"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되었다.[20] 케넌은 이 논문에서 "미국이 소련에 대한 정책의 기본 요소는 분명히 러시아의 팽창 경향에 대한 장기적이고, 인내심 있고도 강력하며, 신중한 봉쇄(containment)여야 한다"고 주장했다.[20]

하지만 케넌은 나중에 자신의 X 논문에 여러 결점이 있다고 지적하며 봉쇄 정책에 반대했다. 그는 봉쇄란 "군사적 수단이나 군사적 위협에 의한 소련의 힘의 봉쇄가 아니라 정치적 위협의 정치적 봉쇄"를 의미한다고 밝혔다.[21] 또한, 논문에서 "봉쇄"의 지리적 범위를 명시하지 못한 점과 미국이 모든 곳에서 봉쇄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했다.[22]

4. 트루먼 독트린과 봉쇄 정책의 실행 (1947-1953)

트루먼 대통령은 마셜 플랜(유럽 부흥 계획)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1949) 등 유럽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시행했다. 소련과 대립하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도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했다. 봉쇄 정책 수행을 위해 중앙정보국(CIA)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1947년 국가안보법에 의해 설립된 CIA는 공개적, 비밀리에 외국에서 첩보 활동을 수행했다. 1948년 11월, 트루먼은 최초의 포괄적인 안보 정책 성명인 NSC 20/4를 승인했다. 1949년 소련의 첫 핵실험 이후, 국가안보회의는 수정된 안보 교리인 NSC 68을 1950년 4월에 완성했다.[34] 이 보고서는 폴 니체 등이 작성했으며, 소련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대규모 군사력 증강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4. 1. 트루먼 독트린

1946년 선거에서 공화당이 의회 장악권을 획득한 후, 민주당 소속의 트루먼 대통령은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극적인 연설을 했다. 1947년 3월, 트루먼 대통령은 공산주의의 파괴 활동에 맞서 싸우고 있던 그리스와 터키 정부에 4억달러의 원조를 제공할 것을 의회에 요청했다.[23] 트루먼은 "무장한 소수파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한 예속 시도에 저항하는 자유로운 국민들을 지지할 것"이라고 약속했다.[23] 이 약속은 트루먼 독트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연설은 "전체주의 정권"과 "자유로운 국민들" 사이의 거대한 충돌로 문제를 묘사하며 봉쇄(containment)를 공식적인 미국 정책으로 채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회는 그 자금을 배정했다.

당시 트루먼의 동기는 상당한 학문적 연구와 여러 해석 틀의 대상이 되어 왔다. 허버트 파이스의 전통적인 설명에 따르면, 1945년부터 1947년까지 폴란드, 이란, 터키 등에서 일어난 일련의 공격적인 소련의 행동이 미국의 대중을 자유에 대한 새로운 위협에 눈뜨게 했고, 트루먼은 이에 대응했다.[24] 윌리엄 애플먼 윌리엄스의 수정주의적 관점에서는 트루먼의 연설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미국의 팽창주의의 표현이었다.[24] 린 이. 데이비스의 ''현실주의(Realpolitik)'' 관점에서는 트루먼은 순진한 이상주의자로서 공산주의적 비전에는 생소한 민주주의자유와 같은 용어로 분쟁을 표현함으로써 소련을 불필요하게 자극했다.[25]

데보라 라슨의 심리학적 분석에 따르면, 트루먼은 자신의 결단력을 증명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보좌관들이 자신을 루즈벨트 전임 대통령과 비교하여 불리하게 만들까 봐 두려워했다.[26] 그는 한때 "나는 여기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왔고, 그것이 옳든 그르든 나는 그것을 받아들일 것이다"라고 말했다.[27]

트루먼 독트린 발표를 둘러싼 극적인 상황은 강하고 결단력 있는 지도자라는 대통령 자신의 자아상에 부합했지만, 그의 실제 의사결정 과정은 더 복잡하고 점진적이었다. 연설의 시기는 특정한 소련의 행동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공화당이 의회 장악권을 막 획득했다는 사실 때문이었다.[28] 트루먼은 연설 초안 작성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으며, 몇 달 후까지는 연설에서 시사하는 강경한 태도를 스스로 채택하지 않았다.[29]

4. 2. 마셜 플랜과 NATO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유럽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시행했다. 그중 하나는 마셜 플랜으로, 유럽의 경제 회복을 지원하여 공산주의 확산의 토양을 제거하고자 했다. 1949년에는 미국과 서유럽 국가 간의 군사 동맹인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창설하여 소련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집단 안보 체제를 구축했다.[67] 또한, 소련과 같은 공산권이지만 소련과 대립하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도 군사 및 경제적 지원을 제공했다.[68]

4. 3. 중앙정보국(CIA)의 역할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봉쇄 정책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47년 국가 안보법에 의해 설립된 CIA는 여러 외국에서 첩보 활동을 수행했다. 일부는 공개적으로, 더 많은 부분은 비밀리에 진행되었다.[69] 1948년 11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봉쇄 정책에 관한 기밀 보고서인 NSC-20/4를 승인했다. 이는 미국이 작성한 안보 정책에 관한 최초의 포괄적인 보고서였다.[69]

5. 봉쇄 정책의 대안: 고립주의, 데탕트, 압박 정책(롤백)

1940년대 후반, 봉쇄 정책 외에도 고립주의, 데탕트, 압박 정책(롤백) 등 다양한 대안들이 논의되었다.

고립주의는 미국이 세계 문제에 개입하지 않고 다른 지역과의 관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반면, 데탕트소련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추구하는 정책이었다. 압박 정책(롤백)은 소련을 약화시키거나 파괴하려는 공격적인 노력이었다.

트루먼은 1950년 9월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 이후 한국 전쟁에서 압박 정책을 채택했지만, 두 달 후 중국의 반격 이후 입장을 바꿔 봉쇄 정책으로 돌아갔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의회에 압박 정책을 계속할 것을 촉구했지만, 트루먼은 그를 명령 불복종으로 해임했다.[39]

5. 1. 고립주의

1940년대 후반, 봉쇄 정책에 대한 세 가지 대안 정책 중 하나로 고립주의가 논의되었다. 고립주의는 미국이 세계 문제에 개입하지 않고 다른 지역과의 관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 정책은 중서부 출신의 보수 공화당원들, 특히 허버트 후버 전 대통령과 로버트 A. 태프트 상원의원이 지지하였다.[36] 그러나 아서 H. 반덴버그 상원의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많은 공화당원들은 고립주의 정책이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는 데 일조했기 때문에 부활시키기에는 너무 위험하다고 주장했다.[36]

5. 2. 데탕트

헨리 월리스를 비롯한 일부 인사들은 소련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추구하는 데탕트 정책을 지지했다. 루스벨트는 데탕트를 옹호했지만 사망했고, 그의 측근 대부분은 1946년까지 정부를 떠났다. 데탕트의 주요 지지자는 전 부통령이자 트루먼 행정부에서 상무장관을 지낸 헨리 월리스였다. 월리스의 입장은 CIO의 극좌파 요소들에 의해 지지받았지만, 이들은 1947년과 1948년에 제거되었다. 월리스는 1948년 진보당 후보로 트루먼에 맞서 출마했으나, 그의 선거 운동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점점 지배당하게 되어 데탕트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데 일조했다.[37]

5. 3. 압박 정책(롤백)

제임스 번햄[38] 등은 소련을 약화시키거나 파괴하려는 공격적인 노력인 압박 정책(롤백)을 제안했다. 1954년 이후 번햄과 같은 생각을 가진 전략가들은 윌리엄 F. 버클리 주니어의 ''내셔널 리뷰'' 잡지의 편집자이자 정기 기고가가 되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인 1953년부터 1956년까지 동유럽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압박 정책이 고려되었다. 아이젠하워는 공산주의의 영향력을 심리적으로 약화시키는 선전 캠페인에 동의했지만, 주로 제3차 세계 대전을 일으킬까봐 두려워 1956년 헝가리 혁명에는 개입하지 않았다.[40] 소련은 1949년 말에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여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41]

존 포스터 덜레스 등 여러 공화당원들은 트루먼이 너무 소극적이라고 결론지었다. 1952년, 덜레스는 반격과 동유럽의 최종 "해방"을 촉구했다.[72] 덜레스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국무장관으로 지명되었지만, 아이젠하워가 1956년 헝가리 혁명에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함으로써, 봉쇄 정책은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의 공통된 이념이 되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CIA의 비밀 공작에 의존하여 적국 정부를 약화시키려 했으며, 동시에 냉전하 미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정부를 강화하기 위해 경제적·군사적 대외 원조를 사용했다.[73]

6. 한국 전쟁과 봉쇄 정책 (1950-1953)

미국은 한국 전쟁에 처음 개입하여 북한의 공산주의 침략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해 봉쇄 정책을 따랐다. 처음에는 북한을 38선 이북으로 밀어내고 대한민국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만 집중하여 북한의 국가 존립을 허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미국과 유엔은 압박 전략을 채택하고 공산주의 북한을 전복시켜 유엔의 감독 하에 전국적인 선거를 실시하도록 했다.[42]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그 후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진격했다. 중국은 미국이 국경에 주둔하거나 심지어 침략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대규모 군대(중국인민지원군)를 파병하여 유엔군을 격파하고 38선 이남으로 밀어냈다. 트루먼은 원자폭탄이라는 자신의 "비장의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고 공개적으로 암시했지만 마오쩌둥은 흔들리지 않았다.[43] 이후 공산주의자들은 대략 원래 국경선 부근으로 밀려났고, 변화는 최소한에 그쳤다.

6. 1. 봉쇄 정책에서 압박 정책으로, 그리고 다시 봉쇄 정책으로

한국 전쟁 초기, 미국은 북한의 공산주의 침략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해 봉쇄 정책을 따랐다. 초기 목표는 북한을 38선 이북으로 밀어내고 대한민국의 주권을 회복하는 것이었다.[42] 그러나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미국과 유엔은 압박 전략으로 전환하여 공산주의 북한 정권을 붕괴시키고 유엔 감독 하의 전국적인 선거를 실시하려 했다.[70]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이 자국 국경에 주둔하거나 심지어 침략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대규모 군대(중국인민지원군)를 파병, 유엔군을 격파하고 38선 이남으로 밀어냈다. 트루먼은 원자폭탄 사용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암시했지만, 마오쩌둥은 흔들리지 않았다.[43] 이 사건은 압박 전략 대신 봉쇄 정책이 현명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되었다. 이후 공산군은 38선 부근, 즉 원래 국경선 부근으로 밀려났고, 전선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트루먼은 절대적 승리에 집중하는 맥아더를 비판하고 "제한 전쟁" 정책을 채택했다. 그의 초점은 타협 협상으로 옮겨갔고, 마침내 1953년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44] 한편, 맥아더는 트루먼의 "승리할 수 없는 정책"을 비난했다.[71]

6. 2. 더글러스 맥아더와 트루먼의 갈등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압박 전략과 전면전을 주장하며 해리 S. 트루먼의 제한 전쟁 정책에 반대했다.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 이후, 맥아더는 38선을 넘어 북진했지만, 중국군의 개입으로 유엔군은 후퇴해야 했다. 트루먼은 맥아더의 "절대적 승리" 주장에 비판적이었고, "제한 전쟁" 정책을 채택하여 1953년 휴전 협상을 타결했다. 맥아더는 트루먼의 "승리할 수 없는 정책"을 비난했다.[44][71]

7. 봉쇄 정책의 지속과 변형

존 포스터 덜레스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반격 정책을 주장했지만, 1956년 헝가리 혁명에 대한 불개입으로 봉쇄 정책이 유지되었다.[45] 아이젠하워는 적대적인 정부를 약화시키기 위해 CIA의 비밀 작전에 의존했고, 미국의 냉전 입장을 지지하는 정부를 강화하기 위해 경제적 및 군사적 외교 원조를 사용했다.[46]

이후 봉쇄 정책은 쿠바 미사일 위기, 베트남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되었다.

7. 1. 쿠바 미사일 위기 (1962)

카리브 해 위기 당시 미국 워싱턴의 고위 관리는 소련의 핵미사일 배치를 저지하기 위해 롤백(rollback)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논의했다. 소련이 공개적으로 핵무기를 제거하고, 미국은 터키에서 핵미사일을 비밀리에 철수하며 쿠바 침공을 피하기 위한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핵전쟁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쿠바 봉쇄 정책은 존 F.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시행되어 2015년까지 계속되었다.[47]

7. 2. 베트남 전쟁 (1964-1973)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베리 골드워터 상원의원은 봉쇄 정책에 대해 "왜 승리를 목표로 하지 않는가?"라고 비판했다.[48] 민주당 후보였던 린든 존슨 대통령은 봉쇄 정책이 핵전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반박하며, 성경 구절을 인용해 "네가 여기까지는 올 수 있으나 더 이상은 안 된다."라고 봉쇄 이론을 설명했다.[49] 골드워터는 1964년 선거에서 존슨에게 큰 표 차로 패배했다.

존슨은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봉쇄 정책을 엄격하게 따랐다. 그는 미군 지상군을 라오스로 진격시켜 공산주의자들의 보급로를 차단하자는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의 제안을 거부하고, 조지 케넌, 딘 애치슨 등 트루먼 전 대통령의 고문들을 포함한 원로 정치인 그룹인 현명한 사람들을 소집했다.

애국적인 반응이 승리와 봉쇄 정책 해제에 대한 요구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여 군대를 지지하는 집회는 억제되었다.[49] 또한, 더글러스 맥아더해리 S. 트루먼에게 도전했던 것처럼 강력한 전구 사령관이 존슨에게 도전하지 못하도록 군 지휘권은 세 명의 장군에게 분산되었다.

1969년 존슨의 뒤를 이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자신의 외교 정책을 긴장 완화를 의미하는 데탕트라고 불렀다. 이 정책은 여전히 소련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공산주의에 대한 전투나 민주주의를 위한 운동이 아닌 국가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정치적 현실주의에 기반했다. 전략무기제한협상이라고 하는 핵무기에 관한 소련과의 회담에 중점을 두었다. 닉슨은 베트남에서 공산주의의 진격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으로 미군 주둔 병력을 감축하는 베트남화 정책을 시행했다. 전쟁이 계속되면서 인기는 줄어들었다. 민주당이 장악한 의회는 1973년 케이스-처치 수정안을 제정하여 닉슨에게 베트남 개입 정책을 포기하도록 강제했고, 이로 인해 남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의 공산주의 세력의 성공적인 침략으로 이어졌다.

7. 3. 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1989)

지미 카터 대통령은 1977년 취임하여 인권을 중시하는 외교 정책을 추진했지만,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소련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봉쇄 정책이 다시 우선순위가 되었다. 카터 독트린(1980)의 표현은 의도적으로 트루먼 독트린을 반영했다.[75]

8. 레이건 독트린과 냉전의 종식 (1981-1991)

로널드 레이건은 오랫동안 봉쇄 정책을 지지해 왔으며, 1980년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소련에 대해 더 공격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긴장 완화는 잘못된 것이고 평화 공존은 항복과 마찬가지라고 믿었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미국 정책 입안자들은 소련이 페르시아만을 장악하려 한다고 우려했다.[51]

레이건 독트린에 따라, 미국은 1980년대 내내 소련군과 싸우는 아프간 무자헤딘에게 기술적 및 경제적 지원을 제공했다.[77]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캄보디아, 니카라과의 반공 반군에게 군사 지원을 제공하여, 기존의 공산 정권과 대결하고 봉쇄 이념의 범위를 넘어섰다. 그는 미국을 향해 발사되는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한 전략방위구상(비판론자들은 이를 "스타워즈"라고 불렀다) 연구를 진행했고, 퍼싱 II 미사일을 유럽에 배치했다. 레이건의 목표는 소련보다 훨씬 많은 자금을 투입한 군비 확장을 통해 소련을 압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레이건은 일부 중요 지역에서는 봉쇄 이념을 고수했다. 그는 제1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이라고 불리는 포괄적인 핵 군축 구상과 NATO를 기반으로 하는 국방 정책을 강조하기 위해 지속해 온 대유럽 정책을 계속했다.

미국은 러시아 주변 지역(아이슬란드, 독일, 터키 등)에 기지를 배치해 왔지만, 1989년 냉전 종식은 미국의 봉쇄 정책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었음을 의미했다.

9. 냉전 이후의 봉쇄 정책

냉전 종식 이후 봉쇄 정책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지만, 미국은 아이슬란드, 독일, 터키 등 러시아 주변 지역에 군사 기지를 유지했다. 이러한 정책은 21세기 미국의 대중 외교 정책에 상당 부분 영향을 주었다.

10. 봉쇄 정책에 대한 평가와 역사적 유산

봉쇄 정책은 냉전 시기 미국의 대외 정책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이다. 이 정책은 소련의 팽창을 억제하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여러 국가에서 미국의 군사 개입을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악용되기도 했다.[70] 봉쇄 정책의 유산은 현재까지도 국제 정치와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고 문헌'''


  • 앤더슨, 셸던 R. ''"Condemned to Repeat it:" lessons of History" and the Making of US Cold War Containment Policy'' (렉싱턴 북스, 2008).
  • 코크, 사라-제인. "History, historians and the Naming of Foreign Policy: A Postmodern Reflection on American Strategic thinking during the Truman Administration," ''Intelligence and National Security,'' 2001년 가을, 16권 3호, 146–63쪽.
  • 드류, S. 넬슨, 그리고 폴 H. 나이츠. ''NSC-68 forging the strategy of containment'' (아이언 퍼블리싱, 1994).
  • 가스호프, 레이먼드 L. ''A journey through the Cold War: a memoir of containment and coexistence'' (브루킹스 연구소 출판부, 2004).
  • 코트, 마이클. ''The Columbia Guide to the Cold War'' (1998)

10. 1. 한국의 관점에서의 봉쇄 정책

미국은 한국을 공산 세력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봉쇄 이념에 따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70]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자 미국과 유엔은 역습 전략을 채택하여 공산 북한 정권의 타도를 시도하는 동시에 유엔 지원 하에 전국 규모의 선거를 승인했다.[70] 당시 더글러스 맥아더원수38선을 넘어 북진하고 있었다. 명령에도 불구하고 그는 중국 국경 부근에서 한국군만을 사용하는 일은 하지 않았다. 중국은 대규모 군대를 투입하여 유엔군을 격파하고 38선 남쪽으로 밀어냈다. 나중에 공산군은 초기 국경 부근까지 밀려났다. 트루먼은 승리에 집착하는 맥아더를 비난하고 "제한 전쟁" 정책을 채택했다. 그의 관심은 화해 협상으로 옮겨갔고, 1953년에야 겨우 휴전에 이르렀다. 한편, 맥아더는 트루먼의 "승리하지 않는 정책"을 비판했다.[71]

참조

[1] 뉴스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https://www.foreigna[...] 2023-06-07
[2] 뉴스 The A to Z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www.economis[...] 2023-11-27
[3] 서적 Freedom National: The Destruction of Slavery in the United States, 1861–1865 https://books.google[...] W. W. Norton
[4] 간행물 Bismarck and the Containment of France, 1873–1877 http://utpjournalsre[...] 1994
[5] 서적 The Collapse of American Policy in Russia and Siberia, 1918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6] 웹사이트 Fourteen Point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2020-02-08
[7] 웹사이트 Fourteen Points Text & Significance https://www.britanni[...] 2020-02-07
[8] 서적 Paris 1919 : six months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9] 서적 Distorted Mirrors: Americans and Their Relations with Russia and China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0] 간행물 Containment, Rollback and the Onset of the Pacific War, 1933–1941
[11] 서적 Origins of Containment: A Psychological Explanation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George F. Kennan: An American Life
[15] 문서 The Long Telegram
[16] 서적
[17] 서적 Working with Truman: a personal memoir of the White House ye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11-09-23
[18] 서적 George F. Kennan: An American Life
[19] 웹사이트 Driven Patriot: The Life And Times Of James Forrestal http://www.foreignaf[...]
[20] 서적 The American Culture of War: A History of US Military Force from World War II to Operation Iraqi Freedo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1] 서적 Memoirs 1925–1950
[22] 서적 Memoirs 1925–1950
[23] 문서 President Harry S. Truman's Address Before a Joint Session of Congress 1947-03-12
[24] 서적 Origins of Containment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American Intervention in Greece, 1943–1949
[31] 서적 Present at the creation: my years in the State Department https://books.google[...] W W Norton
[32] 서적 Acheson: The Secretary Of State Who Created The American World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33] 간행물 Absorbing The First Blow: Truman And The Cold War
[34] 간행물 Kennan's Long Telegram and NSC-68: A Comparative Theoretical Analysis
[35] 웹사이트 NSC 68: United States Objectives and Programs for National Security https://fas.org/irp/[...]
[36] 서적 Truman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37] 서적 The Politics of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38] 서적 James Burnham and the Struggle for the World: A Life
[39] 간행물 Truman's Plan for Victory: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Thirty-Eighth Parallel Decision in Korea https://www.jstor.or[...]
[40] 간행물 Rollback, Liberation, Containment, or Inaction? U.S. Policy and Eastern Europe in the 1950s http://muse.jhu.edu/[...]
[41] 서적 Waging Peace: How Eisenhower Shaped an Enduring Cold War Strate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2] 간행물 Truman's Plan for Victory: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Thirty-Eighth Parallel Decision in Korea https://www.jstor.or[...]
[43] 서적 American Foreign Relations: Volume 2: Since 1895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1-01
[44] 서적 Safire's Polit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45] 웹사이트 Kennan and Containment, 1947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46] 서적 Safe for Democracy: The Secret Wars of the CIA
[47] 서적 The Cuban missile crisis: The threshold of nuclear war Routledge
[48] 서적 Trans-Pacific Relations: America, Europe, and Asia in the Twentieth Century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1950s Greenwood P
[52] 서적 Origins of Containment: A Psychological Explanation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ジョージ・F・ケナン回顧録――対ソ外交に生きて(上巻) 読売新聞社
[57] 서적 Working with Truman: a personal memoir of the White House ye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11-09-23
[58] 간행물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1947-07
[59] 서적 Driven Patriot: The Life And Times Of James Forrestal
[60] 연설 上下両院合同議会におけるハリー・トルーマンの特別教書演説 1947-03-12
[61] 서적 Origins of Containment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뉴스 Military Assistance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Yugoslavia, November 14, 1951 http://avalon.law.ya[...] 2009-08-04
[68] 서적 Yugoslav-American economic relations since World War II Duke University Press Books
[69] 문서 NSC 68: United States Objectives and Programs for National Security http://www.fas.org/i[...]
[70] 간행물 Truman's Plan for Victory: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Thirty-Eighth Parallel Decision in Korea http://www.jstor.org[...]
[71] 서적 Safire's Polit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72] 웹사이트 Kennan and Containment, 1947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73] 서적 Safe for Democracy: The Secret Wars of the CIA 2009
[74] 서적 Trans-Pacific Relations: America, Europe, and Asia in the Twentieth Century 2003
[75] 서적 旧約聖書 ヨブ記
[76] 서적
[7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1950s Greenwood P 2000
[78] 뉴스 이이제이와 오월동주 사이… KBS 2016-05-24
[79] 뉴스 미국 외교정책의 산실 … 봉쇄정책·문명충돌론 첫 소개 중앙선데이 2011-08-28
[80] 뉴스 철(鐵)의 장막에서 죽(竹)의 장막으로 미래한국 2016-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