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 뮐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뮐러는 1805년 프로이센 왕국에서 태어난 기독교 목사이자 고아원 사역가이다. 그는 20대 중반 성경을 유일한 기준으로 삼는 신학을 형성했으며,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에 참여했다. 뮐러는 자발적 기부만을 통해 고아원을 운영하며, 1836년부터 브리스톨에서 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하여 1870년까지 2,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확장했다. 그는 71세부터 17년간 선교 여행을 하며 설교했고, 그의 사역은 조지 뮐러 자선 신탁으로 이어져 오늘날까지 고아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기독교 선교사 - 윌리엄 캐리
    윌리엄 캐리는 구두 수선공 출신의 영국 침례교 선교사로, 덴마크령 세람푸르에서 활동하며 벵골어, 산스크리트어 등 44개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포트 윌리엄 대학교 언어 교수와 세람푸르 대학교 설립을 통해 인도 교육에 기여했으며, 사티 폐지 운동을 통해 사회 개혁에 앞장서 "현대 선교의 아버지"로 불린다.
  • 잉글랜드의 기독교 선교사 - C.T. 스터드
    C.T. 스터드는 영국의 크리켓 선수이자 기독교 선교사로서,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잉글랜드 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중국, 미국, 인도, 아프리카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며 복음을 전파하고 콩고 분지 복음화에 기여한 공로로 훈장을 받았다.
  • 독일의 기독교 선교사 - 카를 귀츨라프
    카를 귀츨라프는 프로이센 출신 개신교 선교사이자 언어학자, 동아시아 탐험가로, 중국 선교 활동, 아편 전쟁 통역, 동아시아 탐험 및 연구, 한글 연구와 성경 번역에 기여했으나 아편 밀수 및 선교 자금 사기 스캔들로 논란이 되었다.
  • 독일의 기독교 선교사 - 알베르트 슈바이처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독일 태생의 신학자, 음악가, 철학자, 의사, 선교사, 인도주의자이자 평화주의자로서, '생명에 대한 경외심' 철학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에서 의료 봉사를 하고 평화 운동에 참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 독일에서 잉글랜드로 이민간 사람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에서 잉글랜드로 이민간 사람 - 랄프 다렌도르프
    랄프 다렌도르프는 사회 갈등 이론과 계급 이론을 발전시키고 정치 경력을 거쳐 영국에서 귀족 작위를 받은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작가이다.
조지 뮐러
기본 정보
본명요한 게오르크 페르디난트 뮐러
출생일1805년 9월 27일
출생지프로이센 왕국 크로펜슈테트 (현재 독일 작센안할트주)
사망일1898년 3월 10일
사망지잉글랜드 브리스틀
국적프로이센
배우자메리 그로브스 (1830년 10월 7일 결혼 – 1870년 2월 6일 사별)
수산나 그레이스 생어 (1817년 11월 30일 결혼 – 1894년 1월 13일 사별)
자녀리디아 (1832년 9월 17일 – 1890년 1월 10일)
엘리야 (1834년 3월 19일 – 1835년 6월 26일)
직업 및 활동
직업복음 전도자, 선교사, 고아원 원장
교육할버슈타트 대성당 고전 학교
종교 운동플리머스 형제회 창립 멤버, 개방 형제회
조지 뮐러
조지 뮐러

2. 초기 생애 및 사역

1829년, 회심 후 선교사의 길을 가기로 결심한 뮐러는 유대교 신자를 위한 사역을 위해 런던 유대인 기독교 선교회와 협력하고자 런던으로 갔다.[3] 그러나 건강 문제와 선교 방식에 대한 견해 차이로 1830년 1월 선교회와의 관계를 정리했다. 요양차 머물던 데번의 테인머스에서 평생의 친구이자 동역자가 된 헨리 크레이크를 만났다.[3] 이후 데번주 셜던의 에베네저 채플(Ebenezer Chapel)에서 목회를 시작했으며, 1830년 10월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의 여동생인 메리 그로브스(Mary Groves)와 결혼했다.[4] 같은 해, 그는 성도들의 자발적 헌금을 중시하며 정기적인 급여 수령을 거부하고, 부유한 신도들에게 특혜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교회 좌석 임대 관행을 폐지했다.[4]

1832년 5월, 뮐러는 브리스톨로 이주하여 헨리 크레이크와 함께 베데스다 채플(Bethesda Chapel)에서 사역을 시작했으며, 이곳은 그의 평생 사역의 중심지가 되었다.[5] 1834년에는 성경 보급, 기독교 학교 운영 및 선교사 지원 등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외 성경 지식 협회'(Scriptural Knowledge Institution for Home and Abroad|SKIeng)를 설립했다.[5] 이 협회는 정부 지원 없이 오직 기도와 자발적 후원에만 의지하는 '믿음의 선교' 원칙으로 운영되었으며[9], 1836년 브리스톨 윌슨 스트리트에 첫 고아원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고아 구제 사역의 시작을 알렸다.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뮐러는 1805년 프로이센 왕국할버슈타트 근처 마을인 크로펜슈테트(현재 크로펜슈테트)에서 태어났다.[33] 1810년, 뮐러 가족은 인근 하이머스레벤으로 이사했고, 뮐러의 아버지는 그곳에서 세금 징수관으로 임명되었다.[34] 그에게는 형 프리드리히 요한 빌헬름(1803년 ~ 1838년 10월 7일)과, 아버지의 재혼 후 얻은 이복 동생 프란츠(1822년 출생)가 있었다.

그의 어린 시절은 의로운 삶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는 스스로를 도둑, 거짓말쟁이, 도박꾼이었다고 회고했다. 10세 때는 아버지로부터 정부 세금을 훔쳤으며,[34] 14세 때 어머니가 임종을 맞이할 당시에는 친구들과 카드 게임을 하고 술을 마시고 있었다.[35][36] 독일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시절, 뮐러는 자신의 상태를 "사악한 행동과 회개하지 않는 마음"을 가졌다고 묘사했다. 그는 성경을 거의 읽지 않았고, 교회에도 거의 가지 않았으며, 복음 설교를 들어본 경험도 없었다고 술회했다.[37]

그러던 1825년 11월, 뮐러는 한 개인 집에서 열린 기도 모임에 우연히 참석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깊은 감명을 받아 삶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는 이 경험을 "하나님께서 내 안에서 은혜의 역사를 시작하신 순간"이자 "내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여겼다.[38]

뮐러의 아버지는 그가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는 국교회 성직자가 되기를 바랐다. 그러나 할레 대학교에서 만난 동료 학생 베타의 권유로 참석한 기도 모임 이후 뮐러의 생각은 바뀌었다. 그는 모임에 꾸준히 참석하며 성경을 읽고 기독교에 대해 토론하기 시작했다. 무릎 꿇고 기도하는 사람의 모습을 보고 구원의 필요성을 깨달은 그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께 삶의 인도와 축복, 용서를 구하는 기도를 드렸다. 이후 그는 즉시 술, 도둑질, 거짓말을 중단했다.[39]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그는 안락한 성직자의 삶 대신 선교사가 되기를 소망하게 되었고, 인근 교회에서 정기적으로 설교를 시작했다.[39]

2. 2. 회심 및 신학 형성

조지 뮐러의 묘비


조지 뮐러는 프로이센 왕국할버슈타트 근처 마을인 크로펜슈테트에서 태어났다.[33] 그의 아버지는 세금 징수관이었고[34], 어린 시절 뮐러는 의로운 삶과는 거리가 멀었다. 10세 무렵 아버지의 돈을 훔쳤고[34], 14세 때는 어머니가 임종할 때에도 친구들과 카드 게임을 하고 술을 마시는 등[35][36] 도둑질과 거짓말, 도박을 일삼았다. 독일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시절에도 그는 자신의 상태를 "사악한 행동과 회개하지 않는 정신"이라고 묘사했으며, 성경을 읽거나 교회에 거의 가지 않았다고 고백했다.[37]

1825년, 뮐러는 친구 베타의 권유로 한 개인 집에서 열린 기도 모임에 참석하게 되었고, 이 경험은 그의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38] 그는 그곳에서 무릎 꿇고 기도하는 사람들을 보며 구원의 필요성을 깨닫고, 하나님께 자신의 삶을 맡기기로 결심했다. 이후 그는 즉시 술과 도둑질, 거짓말을 멈추었고, 안정된 성직자 대신 선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며 인근 교회에서 설교하기 시작했다.[39]

뮐러의 신학은 20대 중반 "오직 성경만을 자신의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는 경험을 통해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는 자서전에서 [...]영적인 일에 있어서 오직 하나님의 말씀만이 우리의 판단 기준이며, 그것은 오직 성령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오늘날 뿐만 아니라 이전 시대에도 그분은 그의 백성들의 교사이십니다. 성령의 사역에 대해 그 때까지 실제적으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사실, 삼위일체(Trinity)되신 세 위격 하나님의 각각의 영광스러운 역할에 대해서는 내가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나는 성경에서 성부께서 창세 전에 우리를 택하셨다는 것을 보지 못했고, 그 분 안에서 우리를 구속하시려는 놀라운 계획도 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그분께서 이것을 이루기 위한 모든 방법도 정하셨다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라고 기록하며, 성령의 역할을 깨닫고 삼위일체 각 위격의 역할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성부의 선택과 성자의 구속 사역을 성경을 통해 발견했다고 밝혔다.[62][19] 그는 주석서나 다른 책 대신 오직 성경을 읽고 연구하며 기도와 묵상을 통해 영적인 힘을 얻었다고 강조했다.[19]

1829년 데번주 테인머스에 머무는 동안, 그는 선택설, 제한 속죄론, 그리고 견인의 은혜 교리를 믿게 되었다.[20][63] 뮐러는 플리머스 형제회 운동의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이었다. 1840년대 교리적 차이가 발생했을 때, 그는 "성령의 오류 없는 기준"으로 진리를 분별해야 한다고 보았다.[21][64]

당시 뮐러는 크레이크와 함께 브리스톨의 베데스다 교회와 기드온 교회에서 사역하고 있었다. 기드온 교회에서는 세례받지 않은 신자의 회원 자격 문제와 성찬에 비신자가 참여하는 문제, 좌석 사유화 문제 등으로 내부 갈등이 생겨났다.[65][66] 로버트 C. 채프먼의 조언을 구한 뒤[22], 뮐러와 크레이크는 성경적 원리에 따라 사는 세례받지 않은 신자에게 회원 자격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했지만, 결국 1840년 4월 19일 기드온 교회를 떠나[23][65] 베데스다 교회 사역에 집중하게 되었다.[24][66]

이후 플리머스 형제회 내에서는 존 넬슨 다비와 벤자민 윌스 뉴턴 사이에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에 관한 교리적 대립이 발생했다. 1845년 토론 이후, 뉴턴의 가르침에 오류가 있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오류를 지지하는 개인만 배제할 것인지(개방적 입장), 아니면 오류가 용인되는 모임에 속한 모든 사람을 배제할 것인지(폐쇄적 입장)에 대해 의견이 나뉘었다. 다비는 폐쇄적 입장을 취했고, 뮐러와 크레이크가 속한 베데스다 교회는 뉴턴의 모임에서 왔더라도 개인적으로 오류를 지지하지 않는 사람은 받아들이는 개방적 입장을 취했다. 이로 인해 다비를 중심으로 한 배타적 형제단은 베데스다 교회와 같은 개방적 형제회와의 교제를 거부하게 되었다.[25][67][68] 다비는 1849년 뮐러를 찾아와 이 문제를 논의하려 했으나, 뮐러의 선약 때문에 10분밖에 만나지 못했고 두 사람은 다시 만나지 못했다.[27][69]

형제 운동 내에서 세대주의전천년설과 전-환난기 휴거 교리가 힘을 얻었지만, 뮐러의 교회는 이러한 가르침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벤자민 윌스 뉴턴, 사무엘 프라이도 트레겔레스와 같이 환난후 휴거설을 지지했으며[28][70], "성경배교가 일어나고 적그리스도(the man of sin)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주 예수께서 오시지 않을 것을 명백히 선언한다"고 말했다.[29][71]

뮐러는 재물의 청지기 직분과 세상적인 부에 의존하지 않는 삶을 강조하며, 이러한 원칙을 지킬 때 하나님께서 축복하신다고 믿었다. 그는 어떤 종류의 봉급도 거부하고 오직 자발적인 후원으로 생활했으며, 개인 소득이 1831년 151GBP에서 1870년 2000GBP 이상으로 증가했음에도 자신과 가족을 위해 연간 약 300GBP 정도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기부했다.[30][72] 윌리엄 헨리 하딩은 세상이 뮐러를 단순히 아이들을 사랑하는 자선가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그의 삶의 영적 목표와 교훈, 그리고 그의 사역이 보여주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증거를 간과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31][73]

2. 3. 초기 사역

1829년, 뮐러는 유대교 신자를 위한 사역을 위해 런던 유대인 선교회(the London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ity Amongst the Jews)와 협력할 것을 제안하고 그 해 3월 19일 런던에 도착했다. 그러나 5월 중순 심각한 병에 걸려 생사의 고비를 넘겼다. 요양을 위해 데번의 테인머스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평생의 친구가 된 헨리 크레이크를 만났다.[3] 또한 이 시기에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의 초기 구성원들과 교류하기도 했다. 9월에 런던으로 돌아왔지만 건강 문제와 선교회와의 견해 차이로 인해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다. 뮐러는 선교회가 자신의 활동 방식(주님이 인도하시는 시간과 장소에서 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자, 1830년 1월 선교회와의 관계를 정리했다.

이후 엑스머스를 거쳐 테인머스로 이사하여 헨리 크레이크를 대신해 여러 차례 설교했다. 그의 설교에 감명받은 회중 일부는 그에게 데번주 셜던에 있는 에베네저 채플(Ebenezer Chapel)의 목사로 남아달라고 요청하며 연봉 55GBP를 제안했다. 1830년 10월 7일,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의 여동생인 메리 그로브스(Mary Groves)와 결혼했다. 같은 해 10월 말, 뮐러는 정기적인 급여 수령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성도들이 의무감이 아닌 자발적인 마음으로 헌금하도록 이끌기 위함이었다. 또한, 부유한 신도들에게 특혜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교회 좌석 임대 관행을 폐지했다(이는 야고보서 2장 1-9절에 근거한 결정이었다).[4]

1832년 5월 25일, 뮐러는 브리스톨로 이주하여 베데스다 채플(Bethesda Chapel)에서 헨리 크레이크와 함께 사역을 시작했다. 그는 평생 이곳에서 설교하며 다른 사역에도 헌신했다. 1834년에는 '국내외 성경 지식 협회'(Scriptural Knowledge Institution for Home and Abroad)를 설립했다. 이 기관의 목적은 기독교 학교와 선교사를 지원하고, 성경과 기독교 소책자를 배포하며, 성경적 가르침에 기반한 주간 학교, 주일 학교, 성인 학교를 운영하는 것이었다.[5] 1835년 2월 말까지 남자 학교 2곳과 여자 학교 3곳, 총 5개의 주간 학교가 운영되었다.[6] 이 협회는 정부 지원 없이 오직 자발적인 후원에만 의존하여 운영되었으며, 고아원 지원, 성경 및 신앙 서적 보급(뮐러 생전 약 285,407권의 성경, 1,459,506권의 신약, 244,351권의 기타 서적 등), 그리고 허드슨 테일러와 같은 전 세계의 다른 믿음의 선교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데 기여했다.[9][8] 이 활동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1836년에는 브리스톨 윌슨 스트리트(Wilson Street)에 첫 번째 고아원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고아 사역을 시작했다.

2. 4. 브리스톨로의 이동 및 성경 지식 협회 설립

1829년, 뮐러는 유대교 신자를 대상으로 사역하는 런던 유대인 기독교 선교회와 협력하고자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해 3월 런던에 도착했으나 5월 중순 심각한 병을 앓게 되었고, 요양을 위해 테인머스로 보내져 그곳에서 평생의 동역자가 된 헨리 크레이크를 만났다.[3] 건강 문제와 선교 방식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인해 뮐러는 1830년 1월 런던 선교회와의 관계를 정리했다. 이후 엑스머스와 테인머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데번주 셜던에 위치한 에베네제르 채플(Ebenezer Chapel)의 목사직 제안을 받기도 했다. 1830년 10월 7일, 그는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의 여동생인 메리 그로브스와 결혼했다. 뮐러는 교인들에게 의무감으로 헌금하게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정기적인 급여 수령을 거부했으며, 야고보서 2:1-9에 근거하여 부유한 신도들에게 특혜를 줄 수 있는 교회 좌석 지정석 임대 제도 역시 폐지했다.[4]

1832년 5월 25일, 뮐러는 영국 브리스톨로 이사하여 헨리 크레이크와 함께 베데스다 채플(Bethesda Chapel)에서 사역을 시작했으며, 평생 그곳에서 설교하고 다른 사역에도 헌신했다. 1834년, 그는 기독교 학교 설립 및 선교사 지원, 성경 및 기독교 소책자 배포, 성경 교육에 기반한 주간 학교, 주일 학교, 성인 학교 운영 등을 목적으로 국내외 성경 지식 협회(Scriptural Knowledge Institution for Home and Abroad|SKIeng)를 설립했다.[5] 1835년 2월 말까지 남학교 2곳과 여학교 3곳, 총 5개의 주간 학교가 운영되었다.[6]

이 협회는 영국 정부의 지원 없이 자발적인 후원금으로만 운영되었으며, 뮐러가 사망할 때까지 총 1,381,171 파운드(현재 가치로 약 1.13억파운드[7])를 후원받아 사용했다. 이 기금은 주로 이후 설립될 고아원을 지원하고, 약 285,407권의 성경, 1,459,506권의 신약 성경, 그리고 20개의 다른 언어로 번역된 244,351권의 기타 종교 서적을 배포하는 데 쓰였다.[8] 또한 이 기금은 허드슨 테일러와 같은 전 세계의 다른 "믿음의 선교"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9] 이 협회의 활동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3. 고아원 사역

뮐러는 1836년 브리스톨에서 아내와 함께 고아 돌봄 사역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자신의 집에서 소수의 소녀들을 돌보았으나, 곧 규모가 커져 1849년에는 애슐리 다운에 대규모 고아원을 설립하게 되었다. 1870년까지 5개의 건물이 세워져 2,000명 이상의 아이들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10][11]

뮐러 고아원 운영의 핵심은 재정을 사람에게 의존하지 않고 오직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구하는 것이었다. 10만파운드가 넘는 건축 비용을 포함한 모든 필요는 빚 없이, 요청하지 않은 기부로 충당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2][13] 모든 재정은 투명하게 기록 및 관리되었다.[14][15]

고아들에게는 안정적인 환경과 함께 교육 및 신앙 훈련이 제공되었다. 아이들은 좋은 옷을 입고 교육받았으며, 졸업 후 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받았다.

뮐러의 사역 방식(믿음 선교)과 고아원 운영은 국제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일본의 이시이 주지는 뮐러의 고아원을 모델로 삼아 오카야마 고아원을 설립했으며,[49] 뮐러는 일본 방문 시 도지샤 대학 등에서 강연하며 영향을 주었다.[50]

신학적으로는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 내에서 존 넬슨 다비와 다른 노선을 걸으며 '오픈 브레드런'(Open Brethren) 형성에 기여했으며,[51] 환난 전 휴거설보다는 환난 후 휴거설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52][53]

3. 1. 고아원 설립 배경

뮐러와 그의 아내가 고아들을 돌보는 일은 1836년, 브리스톨 윌슨 가 6번지에 있는 자신들의 집을 30명의 소녀들을 위해 마련하면서 시작되었다. 곧이어 소년들과 더 어린 아이들을 위해 윌슨 가에 세 채의 집을 더 마련했고, 돌보는 아이들의 수는 130명으로 늘어났다.

1845년, 늘어나는 아이들로 인해 이웃들이 소음과 공공 시설 이용에 대한 불편을 호소하자, 뮐러는 300명의 아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1849년 브리스톨 애슐리 다운에 새로운 고아원이 문을 열었다. 이 건물의 설계를 맡은 건축가는 보수 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지 질문받기도 했다.[10] 1870년 5월 26일까지 총 5개의 고아원 건물이 세워졌으며, 1,722명의 아이들이 이곳에서 생활했다. 전체 수용 가능 인원은 2,050명(1호 집 300명, 2호 집 400명, 3, 4, 5호 집 각각 458명)에 달했다. 이듬해에는 1호 집에 280명, 2호 집에 356명, 3호와 4호 집에 450명, 5호 집에 309명의 고아들이 있었다.[11]

조지 뮐러가 발행한 영수증 양식


뮐러는 고아원 운영과 건물 건축에 필요한 재정을 위해 단 한 번도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다. 5개의 집을 짓는 데 10만파운드 이상이 소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빚을 지지 않았다. 그는 필요한 물품이나 자금이 바닥나기 직전, 마치 기도에 대한 응답처럼 요청하지 않은 기부금이 도착하는 경험을 자주 했다고 기록했다. 이는 그의 신앙을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그는 고아들을 위해 기부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달라고 끊임없이 기도했다. 한 유명한 일화로, 식탁에 아이들이 모두 앉았지만 먹을 음식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아침 식사에 대한 감사 기도를 드렸는데, 기도가 끝나자마자 빵집 주인이 찾아와 충분한 양의 빵을 기부했고, 우유 배달부는 고아원 앞에서 수레가 고장 나 가져온 신선한 우유를 모두 기증했다고 한다.[12] 1842년 2월 12일 자서전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주 안의 형제 한 분이 오늘 아침 저에게 와서 잠시 대화를 나눈 후 새로운 고아원을 꾸미는 데 2천파운드를 주었습니다... 이제 모든 비용을 충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필요한 것보다 수백 파운드 이상을 갖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그의 일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주시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주십니다. 이 축복은 저를 형언할 수 없는 기쁨으로 채웠습니다. 그는 지난 1,195일 동안 저의 수천 번의 기도에 완전한 응답을 주셨습니다.[13]



뮐러는 특정 개인에게 기부를 요청하는 대신, 모든 필요를 신에게 의지했다. 그는 기부자들에게 영수증 발급과 기록 관리를 위해 이름과 주소를 남겨달라고 요청했으며, 영수증에는 연례 보고서와 비교하여 기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해 달라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었다. 모든 기부금은 액수나 종류(한 푼, 3천파운드, 낡은 티스푼 등)에 상관없이 꼼꼼하게 기록되었고, 회계 장부는 누구나 검토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되었다.[14][15]

매일 아침 식사 후에는 성경 읽기와 기도 시간이 있었고, 고아원을 떠나는 모든 아이에게는 성경과 두 벌의 옷이 든 양철 상자가 주어졌다. 아이들은 좋은 옷을 입고 양질의 교육을 받았다. 뮐러는 교육 수준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교육 검사관을 고용하기도 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고아원을 졸업한 아이들은 인근 공장이나 광산 등에서 견습생, 전문 기술직, 또는 가정 봉사직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데 유리했다고 전해진다.

3. 2. 윌슨 가 고아원

뮐러와 그의 아내가 고아들을 돌보는 사역은 1836년, 브리스톨 윌슨 가 6번지에 있는 자신들의 집을 임대하여 30명의 소녀들을 수용하면서 시작되었다. 곧이어 윌슨 가에 세 채의 집을 더 마련하여 소년들과 어린 아이들까지 돌보게 되었고, 수용 인원은 총 130명으로 늘어났다.

고아 수가 계속 증가하자 1845년경 이웃 주민들은 소음과 공공시설 부담 증가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다. 이에 뮐러는 300명의 아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1849년 브리스톨 애슐리 다운에 새로운 고아원을 열었다. 당시 건축을 의뢰받은 건축가는 보수 없이 설계를 맡아주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10] 1870년 5월 26일까지 애슐리 다운에는 총 5개의 고아원 건물이 세워졌으며, 1,722명의 아이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전체 수용 가능 인원은 2,050명이었다(1호 집 300명, 2호 집 400명, 3, 4, 5호 집 각 458명). 이듬해에는 1호 집에 280명, 2호 집에 356명, 3호와 4호 집에 450명, 5호 집에 309명의 고아들이 있었다.[11]

뮐러는 고아원 운영과 건축 과정에서 재정 지원을 외부에 요청한 적이 없었으며, 5개의 집을 짓는 데 10만파운드 이상이 소요되었음에도 빚을 지지 않았다. 그는 필요한 물품이나 재정이 바닥나기 직전에 예기치 않은 기부가 들어오는 경험을 자주 했고, 이를 통해 신에 대한 믿음을 더욱 굳건히 했다. 뮐러는 필요한 모든 것을 기도를 통해 구했으며, 기부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달라고 끊임없이 기도했다. 한 예로, 아침 식사 시간이 되었지만 식탁에 음식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아이들과 함께 감사의 기도를 드렸는데, 기도가 끝나자마자 빵집 주인이 찾아와 모든 아이들이 먹기에 충분한 빵을 기부했고, 우유 배달부는 고아원 앞에서 수레가 고장 났다며 신선한 우유를 기증했다는 일화가 잘 알려져 있다.[12] 1842년 2월 12일자 그의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주 안의 형제 한 분이 오늘 아침 저에게 와서 잠시 대화를 나눈 후 새로운 고아원을 꾸미는 데 2천파운드를 주었습니다... 이제 모든 비용을 충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필요한 것보다 수백 파운드 이상을 갖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그의 일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주시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주십니다. 이 축복은 저를 형언할 수 없는 기쁨으로 채웠습니다. 그는 지난 1,195일 동안 저의 수천 번의 기도에 완전한 응답을 주셨습니다.[13]



뮐러는 특정 개인에게 기부를 요청하지 않았지만, 기부자들에게는 영수증 발급을 위해 이름과 주소를 남겨달라고 요청했다. 영수증에는 연례 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영수증을 보관하여 기부 내역이 정확히 기록되었는지 확인해 달라는 안내 문구가 인쇄되어 있었다. 모든 기부금은 액수나 종류에 상관없이 상세히 기록되었으며,[14] 회계 장부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관리되었다.[15]

고아원에서는 매일 아침 식사 후 성경 읽기와 기도 시간을 가졌다. 고아원을 떠나는 모든 아이에게는 성경과 함께 두 벌의 옷이 든 양철 상자가 주어졌다. 아이들은 좋은 옷을 입고 양질의 교육을 받았으며, 뮐러는 교육 수준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교육 검사관을 고용하기도 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고아원 출신 아이들은 인근 공장이나 광산 등에서 견습생이나 전문 기술직, 가사 도우미 등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고 전해진다.

3. 3. 애슐리 다운 고아원

뮐러와 그의 아내가 고아들을 돌보는 일은 1836년, 브리스톨 윌슨 가 6번지에 있는 자신들의 집을 30명의 소녀들을 위해 개조하면서 시작되었다. 곧이어 윌슨 가에 세 채의 집을 더 마련하여 소년들과 어린 아이들까지 돌보게 되었고, 수용 인원은 130명으로 늘어났다.

늘어나는 아이들로 인해 1845년경 이웃 주민들이 소음과 공공 시설 부담 증가를 호소하자, 뮐러는 300명의 아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브리스톨 외곽 애슐리 다운에 부지를 확보하고 1849년 새로운 고아원을 개원했다. 건축을 의뢰받은 건축가는 보수 없이 설계를 맡아주었다.[10] 고아원은 계속 확장되어 1870년 5월 26일까지 총 5개의 건물이 세워졌으며, 수용 가능 인원은 2,050명에 달했다. 당시 각 건물의 수용 가능 인원은 다음과 같다.

건물 번호수용 가능 인원
1호 집300명
2호 집400명
3호 집458명
4호 집458명
5호 집458명



1871년에는 1호 집에 280명, 2호 집에 356명, 3호와 4호 집에 450명, 5호 집에 309명의 고아가 있었다.[11]

뮐러는 이 모든 과정에서 단 한 번도 재정적 지원을 직접 요청하지 않았으며, 5개 건물을 짓는 데 10만파운드 이상이 소요되었음에도 빚을 지지 않았다. 그는 필요한 물품이나 자금이 바닥나기 직전에 예기치 않은 기부가 들어오는 경험을 자주 했으며, 이를 통해 신에 대한 믿음을 더욱 굳건히 했다. 뮐러는 오직 기도를 통해 기부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달라고 간구했다. 한 유명한 일화로, 식탁에 아이들은 모두 앉았으나 먹을 것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아침 식사에 대한 감사 기도를 드렸는데, 기도가 끝나자마자 빵집 주인이 갓 구운 빵을 충분히 가져왔고, 우유 배달부는 고아원 앞에서 수레가 고장 나 남은 우유를 기증했다고 전해진다.[12] 그는 1842년 2월 12일자 자서전 기록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주 안의 형제 한 분이 오늘 아침 저에게 와서 잠시 대화를 나눈 후 새로운 고아원을 꾸미는 데 2천파운드를 주었습니다... 이제 모든 비용을 충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필요한 것보다 수백 파운드 이상을 갖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그의 일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주시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주십니다. 이 축복은 저를 형언할 수 없는 기쁨으로 채웠습니다. 그는 지난 1,195일 동안 저의 수천 번의 기도에 완전한 응답을 주셨습니다.[13]



뮐러는 특정 개인에게 기부를 요청하는 대신 모든 필요를 신께 의지했다. 그는 기부자들에게 영수증 발급을 위해 이름과 주소를 요청했으며, 영수증에는 연례 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보관하여 기부 내역을 확인해 달라는 문구를 인쇄했다. 이미지의 문구는 "제 사업이 크게 증가하여, 필요하다면 제 대신 두 명의 조력자(로포드 씨와 라이트 씨)에게 기부에 대한 영수증에 서명할 권한을 부여해야 했습니다. 기증자께서는 영수증을 보관하고, 모든 기부를 기록하는 보고서의 '부록'과 비교하여 기부가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록'은 이름과 주소를 제공하는 모든 ''기증자''에게 보고서와 함께 발송됩니다.- 모든 기증자(익명으로 기부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분들 포함)께서는 기부가 들어오는 즉시 제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이렇게 한 후 일주일 이내에 인쇄된 영수증을 받지 못하신다면 즉시 저에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물론 이 기간은 영국 외 지역에서 보내는 기증자의 경우 연장됩니다. 조지 뮐러"이다. 아주 적은 금액부터 3천파운드, 또는 낡은 티스푼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부금은 기록되었다.[14] 회계 기록은 꼼꼼하게 보관되었고 검토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15]

고아원에서는 매일 아침 식사 후 성경 읽기와 기도 시간을 가졌다. 고아원을 떠나는 모든 아이에게는 성경 한 권과 두 벌의 옷이 든 양철 상자가 주어졌다. 아이들은 좋은 옷을 입고 교육을 받았으며, 뮐러는 교육 수준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교육 검사관을 고용하기도 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고아원 출신 아이들은 인근 공장이나 광산 등에서 견습이나 전문 기술직, 가사 노동직 등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데 유리했다고 전해진다.

3. 4. 믿음과 기도의 운영 방식

조지 뮐러는 고아원 운영에 필요한 재정 지원을 사람들에게 직접 요청하지 않고, 모든 필요를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구하는 방식으로 운영했다. 5개의 고아원 건물을 짓는 데 10만파운드 이상이 들었지만, 그는 빚을 지지 않았다.[10] 그는 종종 아이들에게 먹일 음식이 당장 필요할 때, 요청하지 않은 기부금이 몇 시간 전에 도착하는 경험을 했으며, 이는 그의 믿음을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한 예로, 아침 식사 시간이 되었지만 아이들에게 줄 음식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뮐러는 식탁에 둘러앉아 음식에 대한 감사 기도를 드렸다. 기도가 끝나자마자 빵집 주인이 찾아와 모든 아이들이 먹기에 충분한 갓 구운 빵을 기부했고, 곧이어 우유 배달부가 고아원 앞에서 수레가 고장 났다며 신선한 우유를 풍족하게 제공했다.[12]

뮐러는 고아들을 위한 기부금이 들어오도록 끊임없이 기도했다. 1842년 2월 12일의 일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주 안의 형제 한 분이 오늘 아침 저에게 와서 잠시 대화를 나눈 후 새로운 고아원을 꾸미는 데 2천파운드를 주었습니다... 이제 모든 비용을 충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필요한 것보다 수백 파운드 이상을 갖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그의 일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주시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주십니다. 이 축복은 저를 형언할 수 없는 기쁨으로 채웠습니다. 그는 지난 1,195일 동안 저의 수천 번의 기도에 완전한 응답을 주셨습니다.[13]


뮐러는 특정 개인에게 기부를 요청하지 않았지만, 기부자들에게는 영수증 발급을 위해 이름과 주소를 남겨달라고 요청했다. 영수증에는 다음 연례 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보관하여 기부 내역이 정확히 기록되었는지 확인해 달라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었다. 그는 작은 동전 한 푼부터 3천파운드에 이르는 큰 금액, 심지어 낡은 티스푼 같은 물품까지 모든 기부 내역을 꼼꼼하게 기록했다.[14] 모든 회계 기록은 철저히 관리되었고, 누구나 검토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되었다.[15]

매일 아침 식사 후에는 성경 읽기와 기도 시간이 마련되었으며, 고아원을 떠나는 모든 아이에게는 성경과 함께 두 벌의 옷이 담긴 양철 상자가 주어졌다. 아이들은 좋은 옷을 입고 교육을 받았으며, 뮐러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 검사관을 고용하기도 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고아원 출신 아이들은 인근 공장이나 광산 등에서 견습 기회나 전문 기술직, 가사 도우미 등의 일자리를 쉽게 구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뮐러는 삶의 모든 문제에 대해 기도했으며 응답을 기대했다. 몇 가지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보일러 수리: 고아원의 보일러가 고장 나 수리가 필요했다. 보일러는 벽돌로 덮여 있었고 날씨는 점점 추워지고 있었다. 뮐러는 수리공들이 밤새 일할 마음을 갖도록, 그리고 날씨가 온화해지도록 기도했다. 작업 예정일 아침, 매서운 북풍이 불던 날씨는 온화한 남풍으로 바뀌어 난방이 필요 없을 정도가 되었다. 또한 수리공들은 자발적으로 밤샘 작업을 하여 30시간 만에 수리를 마쳤다.[40]
  • 하수도관 막힘: 1862년, 지하 약 3.35m 깊이에 묻힌 하수도관이 막혔다. 작업자들이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막힌 지점을 찾지 못하자, 뮐러는 이를 위해 기도했고, 기도 직후 작업자들은 문제 지점을 즉시 찾아냈다.[41][42]
  • 강풍 피해: 1865년 1월, 브리스톨 지역에 강풍이 불어 고아원 지붕에 20개 이상의 구멍이 나고 창문이 깨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하지만 평소 이용하던 수리공들은 다른 작업으로 인해 즉시 수리가 불가능했다. 만약 비까지 내렸다면 피해는 더욱 커졌을 것이다. 뮐러와 동료들이 기도하자 오후에 바람이 멈췄고, 수요일까지 비가 내리지 않아 피해 대부분을 복구할 수 있었다.[43]
  • 항해 중 안개: 1877년 8월, SS ''사디니안''호를 타고 대서양을 건너던 중 배가 짙은 안개에 갇혔다. 퀘벡에 예정된 시간에 도착해야 했던 뮐러는 선장에게 안개가 걷히도록 기도하겠다고 말했다. 선장은 회의적이었지만 뮐러를 따라 해도실로 갔다. 뮐러가 간단히 기도를 마치자 선장도 기도하려 했으나, 뮐러는 기도가 이미 응답되었다고 믿으며 그를 멈추게 했다. 그들이 함교로 돌아갔을 때 안개는 완전히 사라져 있었고, 뮐러는 약속 시간에 맞춰 퀘벡에 도착할 수 있었다. 이 일을 계기로 선장은 기독교인이 되었다고 전해진다.[44]


뮐러는 평생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키워나갔으며, 매일 기도와 성경 읽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특히 말년에는 매년 성경 전체를 네 번씩 읽는 것을 실천했다.[45]

3. 5. 고아원 운영 및 교육

뮐러와 그의 아내가 고아들을 돌보는 일은 1836년, 브리스톨 윌슨 가 6번지에 있는 자신들의 집을 임대하여 30명의 소녀들을 수용하면서 시작되었다. 곧이어 윌슨 가에 세 채의 집을 더 마련하여 소년들과 어린 아이들까지 돌보게 되었고, 수용 인원은 130명으로 늘어났다.

1845년, 계속 늘어나는 아이들로 인해 이웃 주민들이 소음과 공공 시설 부족 문제를 제기하자, 뮐러는 300명의 아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1849년, 브리스톨 애슐리 다운에 새로운 고아원이 문을 열었다. 이 건물의 설계를 맡은 건축가는 보수를 받지 않고 작업을 진행했다.[10] 1870년 5월 26일까지 총 5개의 고아원 건물이 세워졌으며, 1,722명의 아이들이 생활하고 있었다. 전체 수용 가능 인원은 2,050명이었다(1호 집 300명, 2호 집 400명, 3, 4, 5호 집 각 458명). 다음 해에는 1호 집에 280명, 2호 집에 356명, 3호와 4호 집에 450명, 5호 집에 309명의 고아가 있었다.[11]

뮐러는 고아원 운영과 건축 과정에서 단 한 번도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으며, 5개의 집을 짓는 데 10만파운드 이상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빚을 지지 않았다. 그는 필요한 재정이나 물품을 오직 기도를 통해 구했으며, 종종 아이들에게 음식이 필요한 시점에 맞춰 예기치 않은 기부금이 도착하는 경험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더욱 굳건히 했다. 잘 알려진 일화 중 하나로, 아침 식사 시간에 아이들이 모두 식탁에 앉았지만 먹을 것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뮐러가 감사의 기도를 드렸는데, 기도가 끝나자마자 빵집 주인이 찾아와 충분한 양의 빵을 기부했고, 우유 배달부는 고아원 앞에서 수레가 고장 났다며 신선한 우유를 기증한 일이 있다.[12] 1842년 2월 12일자 자서전 기록에서 그는 한 형제가 찾아와 새 고아원 시설 마련을 위해 2천파운드를 기부한 사실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적었다.



... 이제 모든 비용을 충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필요한 것보다 수백 파운드 이상을 갖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그의 일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주시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주십니다. 이 축복은 저를 형언할 수 없는 기쁨으로 채웠습니다. 그는 지난 1,195일 동안 저의 수천 번의 기도에 완전한 응답을 주셨습니다.[13]



뮐러는 특정 개인에게 기부를 요청하는 대신, 모든 필요를 하나님께 아뢰었다. 그는 기부자들에게 영수증 발급을 위해 이름과 주소를 요청했으며, 영수증에는 연례 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보관하여 기부 내역이 정확히 기록되었는지 확인해 달라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었다. 모든 기부금은 액수나 종류에 상관없이(한 푼부터 3천파운드, 낡은 티스푼까지) 꼼꼼하게 기록되었고, 회계 장부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관리되었다.[14][15]

고아원에서는 매일 아침 식사 후 성경 읽기와 기도의 시간을 가졌다. 고아원을 떠나는 모든 아이들에게는 성경과 함께 두 벌의 옷이 담긴 양철 상자가 주어졌다. 아이들은 좋은 옷을 입고 교육을 받았으며, 뮐러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 검사관을 고용하기도 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고아원 출신 아이들은 인근 공장이나 광산 등에서 견습이나 전문 기술직, 또는 가정 봉사직을 구하는 데 유리했다고 전해진다.

4. 형제단 운동과의 관계 및 신학적 논쟁

조지 뮐러의 신학은 20대 중반 "오직 성경만을 자기의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는 경험을 통해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는 자서전에서 성령의 역할을 깨닫고 삼위일체 하나님의 각 역할을 이해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며, 성경 연구를 통해 영적인 힘을 얻었다고 기록했다.[19][62] 1829년 데본 테인머스에 머물면서 선택설, 제한 속죄, 견인의 은혜와 같은 칼뱅주의 교리를 믿게 되었다.[20][63]

뮐러는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의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이었으며,[51] 1840년대 형제단 내에서 교리적 차이가 발생했을 때 "성령의 오류 없는 기준" 또는 "성령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진리를 분별해야 한다고 보았다.[21][64] 이 시기 그는 브리스톨에서 베데스다와 기드온 교회를 중심으로 사역하며 형제단 내 신학적 논쟁에 관여했다. 이후 존 넬슨 다비 등과의 교리 논쟁 과정에서 형제단 운동이 분열될 때, 뮐러는 개방 형제단(Open Brethren) 입장을 취하는 흐름의 주요 인물 중 하나가 되었다.[25][51][67] 이러한 신학적 입장 차이는 이후 뮐러와 다비가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27][69]

4. 1. 존 넬슨 다비와의 신학적 논쟁

조지 뮐러는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의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이었다. 1840년대에 형제단 내에서 교리적 차이가 발생했을 때, 뮐러는 "성령의 오류 없는 기준"을 통해 진리를 결정하고자 했다.[21] 당시 그는 크레이크와 함께 브리스톨의 베데스다와 기드온 친교회의 목사로 사역하고 있었다. 기드온 친교회는 모든 신자에게 열려 있었으나, 베데스다는 세례받은 신자만이 정회원이 될 수 있었고, 성찬에는 모든 신자가 참여할 수 있었다. 세례받지 않은 신자를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해 로버트 C. 채프먼에게 자문을 구했고, 채프먼은 "무질서하게 행하는" 신자와 성경에 따라 사는 신자를 구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22] 뮐러와 크레이크는 독립적으로 이 문제를 숙고한 끝에, 성경적인 원리에 따라 생활하는 세례받지 않은 신자라면 회원 자격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

기드온 친교회에서는 성찬에 불신자가 참석하는 문제와 좌석 사유화 문제로 의견 차이가 발생했고, 결국 뮐러와 크레이크는 1840년 4월 19일 이 친교회에서 탈퇴하여[23] 베데스다 예배당 사역에 집중했다.[24]

이후 존 넬슨 다비와 벤자민 윌스 뉴턴 사이에 특정 교리 문제로 대립이 생겼고, 1845년 12월 5일 플리머스에서 토론이 열렸다. 논쟁의 핵심은 뉴턴의 일부 가르침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 오류가 있는 가르침을 가진 사람만 교제에서 제외할 것인지, 아니면 오류가 용인되는 모임에 속한 모든 사람(비록 그들 자신이 오류를 받아들이지 않았더라도)을 배제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다비는 후자의 배타적인 입장을 취했다. 반면, 뮐러와 크레이크가 사역하던 베데스다 교회는 잘못된 교리를 주장하는 것으로 판단된 사람은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뉴턴의 모임에서 온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배척하지는 않았다. 결국 다비 측(배타적인 측)은 베데스다 교회나 같은 입장을 가진 다른 모임의 구성원들과 더 이상 교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형제단 운동은 분열되었고, 다비가 이끄는 측은 배타적 형제단으로,[26] 뮐러 측은 열린 형제단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5] 다비는 1849년 7월, 분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뮐러를 찾아갔지만, 뮐러는 선약 때문에 10분밖에 시간을 낼 수 없었다. 짧은 시간 안에 문제를 충분히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했고, 두 사람은 이후 다시 만나지 못했다.[27]

형제단 운동 내에서는 전-환난기 휴거 교리가 점차 힘을 얻었으나, 뮐러의 교회는 이러한 가르침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조지 뮐러는 벤자민 윌스 뉴턴, 사무엘 프라이도 트레겔레스 등과 같이 후-환난기 휴거 교리를 지지했으며,[28] "성경은 주 예수께서 배교가 일어나고 죄의 사람이 나타나기 전까지 오지 않으실 것이라고 분명히 선언한다"고 말했다.[29]

4. 2. 종말론에 대한 견해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의 영향으로 전환난기 휴거 교리가 널리 퍼졌으나, 조지 뮐러의 교회는 이러한 가르침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28][52] 뮐러 자신은 벤자민 윌스 뉴턴이나 사무엘 프리도 트레겔레스와 같이 후환난기 휴거 교리를 지지했다.[28][70] 그는 성경이 "주 예수님은 배교가 일어나고 적그리스도(the man of sin)가 나타날 때까지는 오시지 않을 것을 명백히 선언한다"고 믿었다.[29][53][71]

5. 선교 여행 및 만년

1870년 첫 번째 부인 메리가 사망하고 1871년 수산나 그레이스 생어와 재혼한 뮐러는 1875년, 71세의 나이에 아내 수산나와 함께 17년간의 대규모 선교 여행을 시작했다.[16] 이 기간 동안 42개국을 방문하며 320000km 이상을 여행했으며, 주로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경비를 충당하며 복음을 전파했다.[16]

선교 여행 중이던 1878년에는 미국 백악관에서 러더퍼드 헤이스 대통령과 회견하기도 했다. 17년간의 긴 여정을 마치고 1892년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이후 1894년 두 번째 부인 수산나가 세상을 떠났고, 뮐러 자신은 1897년 빅토리아 여왕 즉위 60주년 기념 설교 등 활동을 이어가다 1898년 3월 10일, 브리스톨의 뉴 오펀 하우스에서 92세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아르노스 베일 묘지에서 치러졌으며, 수많은 조문객이 참석했다.[17][18]

5. 1. 선교 여행

1870년 첫 번째 부인을 여의고 1871년 수산나 그레이스 생어와 결혼한 후, 1875년 3월 26일, 71세의 나이에 뮐러는 부인 수산나와 함께 17년간의 선교 여행을 시작했다. 그들의 여행 날짜와 목적지는 아래와 같다.

출발도착여정
1875년 3월 26일1875년 7월 6일잉글랜드
1875년 8월 15일1876년 7월 5일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1876년 8월 16일1877년 6월 25일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1877년 8월 18일1878년 7월 8일캐나다미국 (백악관 방문 포함)
1878년 9월 5일1879년 6월 18일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1879년 8월 27일1880년 6월 17일미국과 캐나다
1880년 9월 15일1881년 5월 31일캐나다와 미국
1881년 8월 23일1882년 5월 30일이집트, 팔레스타인, 시리아, 소아시아, 터키, 그리스
1882년 8월 8일1883년 6월 1일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보헤미아, 러시아, 폴란드
1883년 9월 26일1884년 6월 5일인도
1884년 8월 18일1884년 10월 2일잉글랜드와 사우스웨일스
1885년 5월 16일1885년 7월 1일잉글랜드
1885년 9월 1일1885년 10월 3일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1885년 11월 4일1887년 6월 13일미국, 호주, 중국, 일본, 말라카 해협, 싱가포르, 페낭, 콜롬보, 프랑스
1887년 8월 10일1890년 3월 11일호주,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실론, 인도
1890년 8월 8일1892년 5월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브리스톨에서 열린 뮐러의 장례 행렬


뮐러는 여행 경비와 숙소를 자신이 사용할 목적으로 받은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충당할 것을 예상하고 여행했다. 그러나 누군가 여행 중에 그의 호텔 비용을 지불하겠다고 제안하면, 뮐러는 이 금액을 자신의 회계 장부에 기록했다.[16]

그는 320000km 이상을 여행했다. 그의 언어 능력 덕분에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설교할 수 있었고, 구사 가능한 세 언어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그의 설교가 해당 국가의 언어로 통역되었다.[16] 1892년, 그는 잉글랜드로 돌아왔고, 1898년 3월 10일 뉴 오펀 하우스 3번지에서 사망했다.

그는 브리스톨의 아르노스 베일 묘지에 묻혔다. 그의 장례식에는 그가 세운 고아원에서 온 어린이 1,500명을 포함해 10,000명이 참석했다.[17][18]

5. 2. 만년 및 사망

1870년 첫 번째 부인을 여의고 1871년 수산나 그레이스 생어와 결혼한 후, 뮐러는 71세가 되던 1875년 3월 26일부터 17년간의 선교 여행을 시작했다. 뮐러와 수산나는 함께 이 여정에 나섰으며, 아래 표는 그들의 여행 날짜와 목적지를 보여준다.

출발도착여정
1875년 3월 26일1875년 7월 6일잉글랜드
1875년 8월 15일1876년 7월 5일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1876년 8월 16일1877년 6월 25일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1877년 8월 18일1878년 7월 8일캐나다와 미국 (백악관 방문 포함)
1878년 9월 5일1879년 6월 18일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1879년 8월 27일1880년 6월 17일미국과 캐나다
1880년 9월 15일1881년 5월 31일캐나다와 미국
1881년 8월 23일1882년 5월 30일이집트, 팔레스타인, 시리아, 소아시아, 터키, 그리스
1882년 8월 8일1883년 6월 1일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보헤미아, 러시아, 폴란드
1883년 9월 26일1884년 6월 5일인도
1884년 8월 18일1884년 10월 2일잉글랜드와 사우스웨일스
1885년 5월 16일1885년 7월 1일잉글랜드
1885년 9월 1일1885년 10월 3일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1885년 11월 4일1887년 6월 13일미국, 호주, 중국, 일본, 말라카 해협, 싱가포르, 페낭, 콜롬보, 프랑스
1887년 8월 10일1890년 3월 11일호주,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실론, 인도
1890년 8월 8일1892년 5월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뮐러는 여행 경비와 숙소를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충당했으며, 누군가 호텔 비용을 대신 지불해주겠다고 제안하면 그 금액을 회계 장부에 기록했다.[16] 그는 총 320000km 이상을 여행했으며,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설교할 수 있었다. 이 세 언어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통역을 통해 설교했다.[16] 1878년 미국 방문 중에는 백악관에서 러더퍼드 헤이스 대통령과 회견했다.

1892년, 뮐러는 잉글랜드로 돌아와 마지막 선교 여행을 마쳤다. 그의 두 번째 부인 수산나는 1894년에 사망했다. 뮐러 자신은 1898년 3월 10일, 브리스톨의 뉴 오펀 하우스 3번지에서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장례식은 브리스톨의 아르노스 베일 묘지에서 치러졌으며, 그가 세운 고아원의 어린이 1,500명을 포함하여 약 10,000명이 참석하여 고인을 애도했다.[17][18]

6. 유산 및 영향

조지 뮐러는 믿음 선교 원칙을 평생 실천하며 많은 고아들을 돌보았고, 그의 삶과 사역은 후대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그의 영향력은 영국을 넘어 국제적으로 퍼졌으며[49][50], 신학적으로도 플리머스 형제단 운동[51]종말론[52][53] 등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후 설립된 조지 뮐러 자선 신탁은 오늘날까지 그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6. 1. 조지 뮐러 자선 신탁

조지 뮐러 사후, 그의 사업은 조지 뮐러 재단(The George Müller Foundation)이 이어받았으며, 이 재단은 2009년 3월 1일 조지 뮐러 자선 신탁(The George Müller Charitable Trust)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신탁은 오직 기도를 통해서만 재정을 충당하고 적극적인 모금 활동은 하지 않는다는 핵심 원칙을 지키고 있다. 이 자선 단체는 브리스톨 지역 교회들과 협력하여 지역 사회, 특히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어려움을 겪는 어린이, 청소년, 가족들을 돕고 돌보는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전 세계의 선교, 사회 복지, 구호 및 개발 사업을 지원하도록 장려한다.[46]

1986년부터 2010년 9월까지는 웨스턴슈퍼메어(Weston-super-Mare)에 있는 틸슬리 하우스(Tilsley House)에서 노인들을 위한 주거 보호 시설을 운영했으며, 2012년 폐쇄될 때까지 틸슬리 하우스 옆의 트랭퀼 하우스(Tranquil House)에서 노인 보호 숙소 시설을 계속 운영했다.

브리스톨 코텀 파크(Cotham Park)에 위치한 신탁 본부에는 작은 박물관이 있으며, 예약제로 운영된다. 이곳에는 고아원을 거쳐간 모든 아이들의 기록이 보관되어 있으며, 친척들은 소정의 수수료를 내고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47]

6. 2. 현대적 의의

조지 뮐러는 세속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는 믿음 선교 방식을 평생 동안 실천하며 많은 고아들을 구제했다. 그의 활동은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고아 사업의 선구자인 이시이 주지의 오카야마 고아원 설립에 모델이 되었으며 이시이의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49] 또한 뮐러는 일본을 방문하여 니이지마 조의 초청으로 도지샤 대학에서 강연하기도 했으며, 야마무로 군페이 등 여러 인물에게 영향을 미쳤다.[50]

영국 교회 역사에서는 플리머스 형제단존 넬슨 다비와 의도치 않게 신학 논쟁을 벌인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논쟁은 형제단 운동 초기에 뮐러가 오픈 형제단(Open Brethren)을, 다비가 익스클루시브 형제단(Exclusive Brethren)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51]

신학적으로는 환난 전 휴거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당시 형제단 운동의 영향으로 환난 전 휴거설이 널리 퍼졌으나, 뮐러와 그의 친구 벤자민 윌스 뉴턴 등은 환난 후 휴거설을 지지했다.[52] 뮐러는 "배교가 일어나고 멸망의 아들이 나타날 때까지 예수님이 오시지 않음을 성경은 분명히 단언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53]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웹사이트 Currency converter http://www.nationala[...] 2018-07-19
[8] 서적
[9] 간행물 A Brief Narrative of Facts Relating to The Ashley Down Orphanage (The Annual Report) 1931-32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The Autobiography of George Müller Whitaker House
[14] 서적
[15] 간행물 George Müller Charitable Trust Annual Reports 1834-present
[16] 서적
[17] 뉴스 The Funeral https://newspaperarc[...] 2023-10-03
[18] 논문 Small Talk https://books.google[...] 2023-10-03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웹사이트 The "Brethren" http://www.bruederbe[...] The Bible and Tract Depot 2010-06-27
[27] 서적
[28] 웹사이트 The Rapture of the Church http://www.ntslibrar[...] Northwestern Theological Seminary 2010-06-27
[29] 서적 Preaching tours and missionary labours of George Mueller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뉴스 George Muller; The New Orphan Houses of Bristol https://timesmachine[...] 2010-06-27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Müller (2003)
[37] 서적 The Autobiography of George Müller
[38] 서적 The Autobiography of George Müller
[39] 서적 Müller (2003)
[40] 서적 Steer
[41] 서적 George Muller – The Man who Trusted God Pickering & Inglis, 14 Paternoster Row, London EC4
[42] 간행물 24th Annual Report
[43] 간행물 Annual Report
[44] 서적 Steer
[45] 서적 George Müller: the modern apostle of faith Fleming H. Revell
[46] 서적 Steer
[47] 서적 Steer
[48] Documentary Robber of the Cruel Streets https://www.imdb.com[...] Christian History Institute, Christian Television Association (CTA), ERF Mediaservice 2023-11-27
[49] 서적 ジョージ・ミュラーが石井十次に及ぼした影響 角川書店
[50] 논문 同志社のアイロニー ―山室軍平の中途退学-
[51] 서적 A History of the Bresthren Movement Regent College Publishing
[52] 웹사이트 The Rapture of the Church Northwestern Theological Seminary 2010-06-27
[53] 서적 Preaching tours and missionary labours of George Mueller
[54] 서적 Müller (2004)
[55] 서적 Pierson (1899)
[56] 서적 Steer
[57] 서적 Müller (2003)
[58] 서적 Harding
[59] 서적 Harding
[60] 웹인용 Currency converter http://www.nationala[...] 2018-07-19
[61] 간행물 A Brief Narrative of Facts Relating to The Ashley Down Orphanage (The Annual Report)
[62] 서적 Müller (2003)
[63] 서적 Müller (2003)
[64] 서적 Harding
[65] 서적 Müller (2003)
[66] 서적 Harding
[67] 서적 Harding
[68] 웹인용 The "Brethren" http://www.bruederbe[...] The Bible and Tract Depot 1899-08
[69] 서적 Harding
[70] 웹인용 The Rapture of the Church http://www.ntslibrar[...] Northwestern Theological Seminary 2010-06-27
[71] 서적 Preaching tours and missionary labours of George Mueller
[72] 문서 Garton, pp88-89
[73] 문서 Harding, p 3
[74] 웹인용 죠지 뮬러, 오직 믿음의 기도로 응답받다 https://www.christia[...] 202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