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사 연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세사 연표는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15세기 말까지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5세기에는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게르만족 이동, 기독교 확산이 일어났으며, 6세기에는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세, 이슬람교 창시, 7세기에는 당나라 건국, 이슬람 세력 확장, 신라의 삼국 통일이 이루어졌다. 8세기에는 아바스 왕조, 카롤루스 대제 대관, 바이킹 시대 시작, 9세기에는 프랑크 왕국 분열, 키예프 루스 건국, 불가리아의 기독교화가 일어났다. 11세기에는 동서 교회 분열,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 십자군 전쟁이 시작되었고, 12세기에는 한자동맹 결성, 가마쿠라 막부 성립, 살라흐 앗 딘의 예루살렘 탈환이 있었다. 13세기에는 몽골 제국 건국, 마그나 카르타 서명, 바그다드 함락, 남송 멸망, 14세기에는 아비뇽 유수, 흑사병, 백년 전쟁, 몽골 제국 멸망, 조선 건국, 코소보 전투가 있었으며, 15세기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르네상스, 대항해시대, 아스텍 제국 성립, 훈민정음 반포, 레콩키스타 종결, 신세계 발견 등 중세의 종말을 알리는 사건들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세사 연표 |
---|
2. 중세 초기
476년 오도아케르가 서로마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하면서,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시기를 중세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1] 게르만족 대이동은 700년까지 이어졌고, 이후 장원제를 기반으로 한 봉건제가 950년까지 유럽 사회의 주된 틀이 되었다.[1] 700년경부터 1100년까지 바이킹 (노르드인)의 활동이 활발했다.[1] 711년부터 무슬림의 히스파니아 정복이 시작되어 1500년까지 이베리아 반도를 지배했다. 732년 투르 전투에서 카롤루스 마르텔이 이끄는 프랑크 왕국 군대는 우마이야 왕조의 북진을 저지했다.[1]
793년 린디스판 약탈은 바이킹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794년부터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가 시작되어 중국식 율령제를 바탕으로 일본 고유의 문화가 발전했다.[1] 800년 카롤루스 1세가 교황 레오 3세에 의해 서로마 황제로 대관받으면서 카롤루스 제국은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가장 큰 나라로 공인받았다.[1]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카롤루스 제국은 동프랑크와 서프랑크 등으로 분할되었으며, 이는 각각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의 기원이 되었다.[1][2]
862년 류리크가 이끄는 바이킹들이 노브고로드와 키예프를 건설했다.[1][2] 866년 일본에서는 후지와라씨가 섭관정치를 시작하여 3세기에 걸쳐 권력을 장악했다.[1][2] 868년 중국에서는 최초의 인쇄물이 만들어졌다.[1][2] 871년 앨프리드 대왕은 웨식스 왕국을 다스리며 바이킹의 침략을 막아내고 종교적, 학문적 부흥을 이끌었다.[1][2] 896년 마자르인들이 판노니아에 정착했다.[1][2]
2. 1. 5세기
410년 서고트족의 왕 알라리쿠스 1세가 로마를 약탈한 사건은 서로마 제국 멸망사의 결정적인 변곡점으로 평가된다.[38] 431년에는 에페소스 공의회가 개최되어 니케아 신경을 공인하고[39]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정죄하였다. 네스토리우스는 서방 기독교와 갈라져 동방교회로 분리되었다. 455년에는 반달인의 왕 가이세리크가 로마를 약탈하였는데[40],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사건을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멸망으로 평가하기도 한다.[41]476년 오도아케르가 서로마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한 사건은[42], 일부 역사학자들에 의해 서양 중세사의 시작점으로 평가된다. 480년에는 로마 원로원과 동로마 궁정의 인정을 모두 받은 마지막 황제 율리우스 네포스가 사망하였는데[42], 이 역시 서양 중세사의 시작점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마야 문명에서는 500년경 티칼이 최초의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티칼의 마야인들과 테오티우아칸인 사이에는 상당한 문화적 교류가 있었다.[36]
2. 2. 6세기
연도 | 날짜 | 사건 | 의의 |
---|---|---|---|
527년 | 8월 1일 |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동로마 황제로 즉위하다. | 유스티니아누스는 민법대전을 반포하고 게르만족이 점유한 옛 서로마 땅을 회복하는 등 동로마의 중흥 군주로 평가받는다. |
529년–534년 |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민법대전』을 반포하다. | 수 세기에 걸친 로마의 법문서와 황제 칙령들을 3부 1법전으로 집대성했다. | |
529년 | 베네딕투스 데 누르시아가 몬테카시노에 수도원을 설립하다. | 베네딕토가 세운 12수도원 중 첫 번째 수도원이다. 이로써 베네딕토회가 시작되었다. | |
532년 | 1월 1일 | 니카 폭동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절반 이상이 불타고 파괴되었으며 시민 수만 명이 죽었다.[46] |
533년 | 12월 15일 | 벨리사리우스가 지휘하는 동로마군이 북아프리카를 반달인으로부터 탈환하다. | 이로써 반달 왕국은 멸망했고, 동로마의 북아프리카 재정복 사업이 완료되었다. |
535년–554년 | 고트 전쟁 |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재정복 사업의 일환으로, 동고트인으로부터 이탈리아를 되찾았다. 그러나 이로써 동로마의 경제는 파탄이 났으며, 이후 랑고바르드인이 이탈리아를 정복하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된다. | |
563년 | 콜룸바 히엔시스가 이오나에 전도소를 세우다. | 이오나 수도원은 794년 바이킹에게 파괴될 때까지 픽트인의 기독교 개종에 큰 역할을 수행했다.[47] | |
568년 | 랑고바르드 왕국이 세워지다. | 랑고바르드인이 이탈리아를 정복해 세운 랑고바르드 왕국은 774년 프랑크인에게 정복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 |
570년경 | 무함마드가 태어나다. | 무함마드는 이슬람교의 창시자로, 이슬람 신학에서는 그가 마지막 예언자라고 말한다. | |
577년 | 더르함 전투: 서색슨인이 브리튼섬 서쪽으로 진격을 계속하다. | 이로써 앵글로색슨인에게 정복된 잉글랜드와 브리튼인 세력이 유지된 웨일스, 그리고 브리튼인 세력권이지만 웨일스와 바다로 분리된 콘월의 문화권이 영구히 분리되었다. | |
581년 | 3월 4일 | 수가 중국을 재통일하다. | 영가의 난 이래 270년만에 중국이 재통일되었다. |
590년 | 9월 3일 |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즉위하다. | 그레고리오 1세 재위기에 천주교 전도는 새로운 경지에 이르렀으며, 또한 의식과 전례 있어서도 혁명적 변화가 있었다(그레고리오 성가). |
597년 | 아우구스티누스 칸투아리엔시스가 초대 켄터베리 주교로 임명되어 켄트로 파견되다. | 이로써 앵글로색슨인의 기독교화가 시작되었다. | |
598년-614년 | 여수전쟁: 중국 수가 고구려를 대규모 침공하다. | 침공은 실패로 끝나고 수는 나라가 거덜나 군벌할거기(수말당초)로 접어든다. | |
600년경 | 이유를 알 수 없는 방화로 테오티우아칸의 주요 건물들이 전소하다.[48] | 테오티우아칸 문명과 그 제국이 멸망했다. 이로써 티칼이 메소아메리카 최대의 도시국가가 되었다.[36] |
2. 3. 7세기
唐朝중국어가 618년에 건국되면서 중국은 다시 통일되었고, 이는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49] 이슬람 세력이 확장되면서 동로마 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 제국은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638년에 예루살렘이 함락된 것은 이슬람 세력의 확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50]668년에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한국사에서 고대 국가가 완성되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51] 698년에는 고구려 유민들이 발해를 건국하여 한국사의 남북국시대를 열었다.[52][53]
연도 | 날짜 | 사건 | 중요성 |
---|---|---|---|
602년–629년 | 최후의 대규모 로마-페르시아 전쟁. | 동로마 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 제국 간의 오랜 분쟁으로 양국은 모두 국력이 탈진했고 이후 630년대에 흥기한 아랍인들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된다. | |
604년–609년 | 중국의 대운하가 완공되다. | 장강 유역과 황하 유역이 처음으로 연결되었다. 이후 대운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중화제국의 수도로 곡물을 수송하는 것이었다. | |
618년 | 6월 18일 | 당조가 중국을 재통일하다. | 당조는 호한융합 침투왕조 중 최후의 승리자로, 당조에서 마련한 행정체계가 이후 286년간 지속된다. |
622년 | 9월 9일 – 9월 23일 |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망명하다(헤지라). | 이 때를 이슬람력 원년으로 삼는다. |
626년 | 페르시아-아바르-슬라브 연합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 | 동로마가 방어에 성공하면서 아바르는 거덜났으며 페르시아는 수세로 몰린다. | |
627년 | 12월 12일 | 니네베 전투. | 헤라클리우스가 지휘하는 동로마군이 사산조 페르시아군에게 대승했다. |
632년 | 6월 8일 | 무함마드가 죽다. | 이 시점에서 아라비아반도의 모든 아랍인은 무슬림이 되었다. |
632년–668년 | 고대 대불가리아의 출현과 팽창. | 대불가리아가 쇠망한 이후 불가르인들은 도나우 유역의 불가리아 제1제국과 볼가강 유역의 볼가강 불가리아로 나뉜다. | |
632년 | 6월 8일 | 아부 바크르 아스시디크가 초대 칼리파로 즉위하다. | |
633년–634년 | 헤븐필드 전투. | 오수알데 왕이 지휘하는 노섬브리아군이 웨일스군에게 승리하다. | |
638년 | 예루살렘 공성전 (636년–637년). | 예루살렘이 아랍군에게 함락되다. 공격군 대부분이 무슬림이었지만 시리아 기독교도도 있었다. | |
641년 | 나하반드 전투 | 무슬림이 페르시아를 정복하다. | |
643년 | 알렉산드리아 공성전 (641년) | 암르 이븐 알아스가 지휘하는 아랍군이 알렉산드리아를 취하다. | |
645년 | 일본의 소가씨가 몰락하다. | 이로써 중국 문화의 모방이 가속화되고 이듬해부터 나라 시대가 시작된다. | |
650년 | 슬라브족이 발칸반도를 완전히 점유하다. | ||
650년경 | 올메카시칼란카가 알테페틀 쇼치찰코를 세우다. | 쇼치찰코는 이후 이일 대의 중요한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가 된다. | |
663년 | 노섬브리아 국왕 오스위그가 휘트비 교회회의를 개최하다. | 로마식 기독교가 켈트 기독교에 승리하다. | |
668년 | 한국의 삼국시대가 끝나고 통일신라가 세워지다. | ||
674년–678년 | 아랍인들이 처음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다. | 이슬람의 흥기 이래 무슬림 세력의 첫 패배. 이슬람 세력의 유럽 정복이 미연에 방지되다. | |
681년 | 불가리아 제1제국의 성립. | 불가리아는 이후 중세 유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강대국이었다. | |
685년 | 둔 네크탄 전투 | 픽트인들이 노섬브리아에 승리하면서 노섬브리아의 브리튼섬 북부 패권이 무너졌다. | |
687년 | 테르트리 전투 | 이 전투에서 승리한 피피누스 2세는 네우스트리아와 아우스트라시아 전체의 궁재가 되었고, 메로베우스조의 권력은 더더욱 약화되었다. | |
698년 | 카르타고 전투 (698년) | 아랍인들이 카르타고를 먹었다. 이로써 동로마는 북아프리카를 영구히 상실했다. | |
698년 | 발해가 건국되다. | 이후 926년까지 통일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시대를 남북국시대라 한다. |
2. 4. 8세기
Century|세기영어 우마이야 왕조는 711년 히스파니아를 정복하여 알안달루스 지배를 시작했다. 이 정복은 15세기 말까지 이어졌다.[1] 732년 10월, 카롤루스 마르텔루스는 투르 전투에서 무슬림의 북상을 저지했다. 이는 무어인의 서남유럽 진출을 막고 카롤루스 제국 형성의 기반을 마련한 중요한 사건이었다.[1]793년, 바이킹은 린디스판을 약탈하며 브리튼섬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후 2세기 동안 지속되는 바이킹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1] 794년에는 일본에서 헤이안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중국식 율령제가 유지되면서도 일본 고유의 문화가 발전했다.[1]
800년 12월 25일, 카롤루스 1세는 교황 레오 3세에 의해 서로마 황제로 대관받았다. 이는 카롤루스 왕국이 로마 제국 쇠망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나라로 교황에게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1]
2. 5. 9세기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카롤루스의 제국이 손자들 사이에 분할되었다.[1][2] 이 때 분할된 동프랑크와 서프랑크는 각각 신성로마제국과 프랑스의 전신이 되었다.862년 류리크가 이끄는 바이킹들이 노브고로드와 키예프를 세웠다.[1][2]
866년 일본에서 후지와라씨가 섭관정치를 시작하였다.[1][2] 후지와라씨는 이후 3세기에 걸쳐 최강의 씨족으로 군림하며, 무사들에게 실권을 잃은 뒤에도 공가 최고 끗발의 귀족가문으로 대우받아 근대 일본 제국까지 그 지위가 지속되었다.
868년 중국에서 알려진 최초의 인쇄물이 만들어졌다.[1][2]
871년 앨프리드 대왕이 서색슨인의 왕으로 즉위하였다.[1][2] 앨프리드는 바이킹으로부터 웨식스를 지켜냈고, 새로운 법들을 만들었으며 종교적 학문적 활동의 재건을 지원했다.
896년 아르파드 등 7군장이 이끄는 마자르인들이 판노니아에 나타났다.[1][2]
3. 중세 성기
High Middle Ages영어
11세기에는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로 인해 서방 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정식으로 분열되었다.[1] 1066년 잉글랜드를 침공한 노르망디 공작 기욤이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승리하고 잉글랜드 국왕 윌리엄 1세로 즉위했다.[1] 이로써 데인 왕조 이후 일시적으로 복구되었던 앵글로색슨 왕조가 완전히 끝나고, 이후 잉글랜드 국왕들은 노르만 혈통에서 나오게 되었다.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성지 탈환을 위한 십자군 소집을 발표하여[1] 1099년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무슬림에게서 탈환했다.[1]
12세기에는 한자동맹이 창설되어 북유럽의 무역과 경제 발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1185년 단노우라 전투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가 다이라씨를 멸문시켜 겐페이 합전은 겐지(미나모토씨)의 승리로 끝나고, 일본의 첫 봉건시대인 가마쿠라 시대가 시작되었다.
13세기에는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고 라틴 제국을 세웠다. 1206년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크게 바꾸었다. 1215년 잉글랜드 왕 존이 대헌장(마그나 카르타)에 서명하여 왕권이 제한되고 귀족의 권리가 강화되었다. 1237년-1240년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키예프 루스가 멸망했다. 1258년 몽골의 바그다드 함락으로 이슬람 황금 시대가 종말을 맞이했다. 1279년 애산 전투에서 남송이 멸망하고 원나라가 중국 전체를 통일하였다. 1296년 에드워드 1세의 스코틀랜드 침공으로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3. 1. 11세기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로 인해 서방 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정식으로 분열되었다.[1] 이후 중세시대 내내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는 시기별로 정도는 다르지만 긴장 관계에 있었다.[1]1066년 잉글랜드를 침공한 노르망디 공작 기욤이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승리하고 잉글랜드 국왕 윌리엄 1세로 즉위했다.[1] 이로써 데인 왕조 이후 일시적으로 복구되었던 앵글로색슨 왕조가 완전히 끝나고, 이후 잉글랜드 국왕들은 노르만 혈통에서 나오게 되었다.[1]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성지 탈환을 위한 십자군 소집을 발표했다.[1] 이는 셀주크 튀르크를 격퇴하고자 한 동로마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원군 요청을 받은 결과였다.[1] 이후 13세기 말까지 지속되는 9차례의 십자군과 기타 소규모 십자군들의 시작이 되는 사건이다.[1]
1099년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무슬림에게서 탈환했다.[1] 이로써 예루살렘 왕국이 건국되었고, 이후 거의 2세기 동안 지속되었다.[1]
연도 | 날짜 | 사건 | 의의 |
---|---|---|---|
1001년경 | 레이프 에이릭손이 오늘날의 캐나다 랑스 오 메도즈에 정착하다. | 레이프 에이릭손은 노르드인의 아메리카 식민화에 있어 신대륙에 처음으로 정착한 구대륙인이다. | |
1016 | 크누트 대왕이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가 사망한 후 잉글랜드의 왕이 되다. | 데인족은 노르만 정복 이전 앵글로색슨족의 마지막 부흥기를 거쳐 26년 동안 잉글랜드의 왕이 된다. | |
1018 | 바실리 2세 치하의 비잔틴 제국이 50년간의 격렬한 투쟁 끝에 불가리아 제1제국을 멸망시키다. | 비잔틴 불가리아 정복이 완료되다. | |
1021 | 무라사키 시키부가 쓴 《겐지 이야기》가 완성되다.[30] | 세계 최초의 소설, 현대 소설, 심리 소설 또는 최초의 고전으로 여겨지는 소설이다.[31] | |
1025 | 의학정전이 저술되다. | 페르시아의 박식가 아비센나는 18세기 유럽까지 의학 교과서의 기준을 세웠다. | |
1037 | 투그릴 베그에 의해 셀주크 제국이 건국되다. | 최초의 두 차례의 십자군 전쟁 동안 주요 세력이 되었고, 다음 세기 동안 비잔틴 제국의 적대 세력이 되었다. | |
1049 | 교황 레오 9세가 교황으로 즉위하다. | 레오 9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미카엘 케룰라리우스를 파문했으며, 미카엘 케룰라리우스 또한 레오 9세를 파문하여 동서 분열을 야기했다. | |
1050 | 고대 항해 도구인 아스트롤라베가 유럽에서 처음 사용되다. | 초기 해양 항해사, 점성가, 천문학자들의 도구였다. | |
1050 | 웨스트민스터 사원이 건설되다. | 잉글랜드의 주목할 만한 종교 건물이며 잉글랜드 군주들의 묘지이다. | |
1054 | 동서 분열로 인해 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로 분열되다. | 중세 시대 동안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 사이의 긴장은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 |
1066 | 정복왕 윌리엄이 잉글랜드를 침공하여 헤이스팅스 전투 이후 왕이 되다. | 잉글랜드에서 앵글로색슨족의 지배가 끝나고 노르만 왕조가 시작되다. | |
1071 | 알프 아르슬란 치하의 셀주크 투르크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군을 격파하다. 노르만족은 이탈리아 남부의 마지막 비잔틴 영토인 바리를 점령한다. | 소아시아에서 비잔틴 지배가 종말을 고하기 시작하다. | |
1073 | 교황 알렉산데르 2세가 서임권 분쟁으로 인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의 조언자들을 파문하다. 알렉산데르 2세가 사망한 후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교황으로 즉위한다. | 교회 개혁 시기를 시작한다. | |
1075 |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교황의 권한을 정의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한다. | 그레고리오 개혁의 정점이며, 서임권 분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
1076 |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하인리히 4세를 서임권 분쟁으로 인해 파문하다. | 하인리히 4세가 1076년 1월 24일에 대부분의 독일 주교들을 설득하여 교황의 선출을 무효화하도록 하면서 서임권 분쟁을 유리하게 이용한 후에 일어났다. | |
1077 |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가 카노사의 굴욕을 하여 눈 속에서 맨발로 서서 자신의 죄에 대해 교황에게 용서를 구하고, 서임권 분쟁에서 패배를 인정한다. | 450년 동안 유럽 국가 원수에 대한 교황의 지배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1077 | 런던 타워 건설이 시작되다. | 런던 타워는 대영 제국의 궁극적인 요새였다. | |
1086 | 정복왕 윌리엄이 자신의 새로운 영토를 평가하기 위해 의뢰한 대규모 토지 및 재산 조사인 둠즈데이 북이 편찬되다. | 로마 시대 이후 최초의 시도이다. | |
1088 | 볼로냐 대학교가 설립되다. | 현재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 |
1095 | 교황 우르바노 2세가 성지를 점령하고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의 요청에 따라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셀주크 투르크를 몰아내기 위해 십자군을 발동하다. | 9차례의 주요 십자군 전쟁 중 첫 번째가 될 것이며, 13세기 후반까지 이어질 다른 십자군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 |
1098 | 시토회가 창설되다. | 성 베네딕토 규칙의 원래 준수로의 회귀였다. | |
1099 | 제1차 십자군. 예루살렘이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촉구에 따라 무슬림으로부터 탈환되다. | 거의 2세기 동안 지속될 예루살렘 왕국의 시작을 이끌 것이며, 성지로의 십자군 시대 내에 있었다. |
3. 2. 12세기
연도 | 사건 | 의의 |
---|---|---|
1102년 | 크로아티아 왕국과 헝가리 왕국의 동군연합 형성. 팍타 콘벤타에 따라 크로아티아는 사보르(귀족의회)와 반(부왕)을 두어 별개의 국체를 유지. | 1526년까지 (국제법적으로 20세기 초 트리아농 조약까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는 동맹국. |
1106년 | 틴체브레 전투에서 잉글랜드 국왕 헨리 1세가 형 로베르 2세 드 노르망디 공작에게 승리. 에드거 애설링, 윌리엄 클리토 포로. | 노르만조 잉글랜드와 카페조 프랑스의 충돌 불가피. |
1109년 | 나콰 전투에서 폴란인의 공작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가 포모제인들에게 승리. | 폴란드는 발트해로 통하게 됨. |
1109년 | 훈츠펠트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가 신성로마황제 하인리히 5세를 패퇴. | 독일의 중앙유럽 팽창 중단. |
1116년 | 동로마군이 필로멜리온에서 튀르크군에게 승리. | 튀르크족은 아나톨리아 해안지역을 모두 버리고 후퇴. |
1117년 | 옥스퍼드 대학교 설립. | 영국 최고(古)의 대학교. |
1118년 | 성전기사단 창설. | 십자군 시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기사수도회. |
1122년 | 신성로마황제 하인리히 5세와 교황 칼릭스토 2세 사이에 보름스 협약 체결. | 서임권 투쟁은 종료되었지만 황제와 교황 사이의 악감정 지속. |
1125년–1127년 | 정강의 변. | 금조의 병사들이 개봉부를 약탈, 북송 시대가 끝나고 남송 건국. |
1135년 | 잉글랜드에서 무정부내전 시작. | 19년간의 내전 끝에 헨리 2세 즉위, 플랜태저넷조 개창. |
1147년–1149년 | 제2차 십자군 실패. | 에데사 백국 멸망. 왕작급 군주들이 참여한 최초의 십자군. |
1158년 | 한자동맹 창설. | 북유럽의 무역과 경제개발에 새 지평. |
1185년 | 단노우라 전투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가 다이라씨를 멸문. | 겐페이 합전은 겐지(미나모토씨)의 승리, 일본의 첫 봉건시대인 가마쿠라 시대 시작. |
1187년 | 살라흐 앗 딘의 예루살렘 재탈환. | 제3차 십자군 원정의 계기. |
3. 3. 13세기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고 라틴 제국을 세웠다. 이는 동로마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다.[1]1206년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크게 바꾸었다.[1]
1215년 잉글랜드 왕 존이 대헌장(마그나 카르타)에 서명하여 왕권이 제한되고 귀족의 권리가 강화되었다.[1]
1237년-1240년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키예프 루스가 멸망하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전신이 되는 새로운 국가들이 형성되었다.[1]
1258년 몽골의 바그다드 함락으로 이슬람 황금 시대가 종말을 맞이했다.[1]
1279년 애산 전투에서 남송이 멸망하고 원나라가 중국 전체를 통일하였다.[1]
1296년 에드워드 1세의 스코틀랜드 침공으로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1]
4. 중세 후기
서양사에서 중세 후기는 중세 성기 이후, 근세 이전의 시기로, 대략 1300년에서 1450년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 유럽은 중세 후기 위기를 겪으며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1][2]
14세기와 15세기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14세기: 백년전쟁 발발, 흑사병 창궐, 아비뇽 유수와 서방 교회의 분열, 조선 건국 등
-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성장,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동로마 제국 멸망, 백년전쟁 종전, 장미전쟁 발발 및 종결, 레콩키스타 완료,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신세계 도달, 이탈리아 전쟁 시작 등
이 시기에는 봉건제의 쇠퇴, 중앙집권화의 시작, 르네상스의 태동 등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현상들이 나타났다.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급감과 사회 구조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백년전쟁은 잉글랜드와 프랑스 양국의 민족주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스만 제국의 발흥은 동유럽과 지중해 세계의 정세를 크게 바꾸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은 동로마 제국의 멸망과 함께 중세의 종말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이베리아반도에서는 레콩키스타가 완료되어 스페인 통일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대항해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가 이어졌다.
4. 1. 14세기
- 1307년 10월 13일: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가 성전기사단을 숙청하였다.[59] 이는 쇠퇴해가던 성전기사단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 1307년: 아비뇽 유수가 시작되어 이후 70여 년간 교황이 로마가 아닌 프랑스 아비뇽에 머무르게 되었다. 이는 서방 교회의 분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 1310년: 단테 알리기에리가 『신곡』을 출간하였다. 『신곡』은 중세 말기를 대표하는 문학작품 중 하나이다.
- 1314년 6월 23일–6월 24일: 배넉번 전투에서 로버트 1세 브루스가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사실상 복원하였다.
- 1325년: 멕시카인들이 테노치티틀란을 세웠다.[59] 테노치티틀란은 이후 아스텍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 1328년: 에든버러-노샘프턴 조약으로 제1차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이 스코틀랜드의 승리로 끝나고, 스코틀랜드의 독립이 명목상으로도 성취되었다.
- 1333년: 일본에서 고다이고 천황이 가마쿠라 막부를 폐하고 왕정복고를 선언했다(겐무 신정). 그러나 겐무 신정은 몇 년 만에 뒤집어지고 무로마치 막부가 세워졌다.
- 1337년: 백년전쟁이 시작되었다. 전쟁은 116년간 지속되었으며, 에드워드 전쟁, 캐롤라인 전쟁, 랭커스터 전쟁으로 구분된다.
- 1346년 8월 26일: 크레시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이 웨일스 장궁을 주무기로 사용하여 프랑스군에게 승리하였다. 이는 기사도의 종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 1347년: 흑사병이 유럽에 퍼지기 시작했다.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상당수를 감소시켰다.
- 1347년: 프라하 대학교가 개교하였다. 체코 및 독일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 1368년: 원나라가 멸망하고 명나라가 건국되었다. 이로써 팍스 몽골리카가 종말을 맞이했다.
- 1370년: 티무르가 티무르 왕조를 개창했다.
- 1378년: 서방 교회의 분열로 세 명의 대립교황이 난립하였다. 아비뇽 유수가 끝났다.
- 1380년: 모스크바 공작 드미트리 돈스코이가 쿨리코보 전투에서 몽골족에게 승리하였다.
- 1380년: 초서가 『캔터베리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다. 이는 근대 영어 형성의 토대가 되었다.
- 1381년: 와트 타일러의 난은 잉글랜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민란이었다.
- 1381년: 존 위클리프가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였다. 불가타를 영어로 번역한 최초의 사례이다.
- 1386년 10월 18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가 개교하였다.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 1389년 6월 28일: 코소보 전투에서 무라트 1세의 튀르크군이 세르비아인 주축의 기독교군을 격파하였다. 이후 오스만 튀르크는 발칸반도 전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였다. 조선은 한국사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통일왕조이다.
- 1396년: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마지막 대규모 십자군이 실패하고 불가리아 제2제국이 오스만 튀르크에게 정복되었다.
- 1397년: 칼마르 연합이 성립되었다.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1세가 스웨덴과 노르웨이 왕위를 겸하면서 성립된 동군연합으로, 1523년까지 지속되었다.
- 1399년: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가 폐위되고 헨리 4세가 즉위하였다. 플랜태저넷 왕조 본가는 단절되고, 분가인 랭커스터 왕조가 왕위를 차지했다.
4. 2. 15세기
연도 | 사건 | 중요성 |
---|---|---|
1402년 | 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의 바예지드 1세가 티무르에게 포로로 잡힘. [1] | 오스만 공위시대 시작, 오스만 제국의 팽창 일시적 저지. |
1405년 | 정화의 원정 시작. [1] | 명나라는 1433년까지 일곱 차례 항해 원정 실시. |
1409년 | 나폴리 국왕 라디슬라오 1세가 달마티아에 대한 "권리"를 베네치아 공화국에 100,000 두캇에 매각. [1] | 달마티아는 1797년까지 প্রায় 4세기 동안 베네치아 지배. |
1410년 | 타넨베르크 전투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이 독일기사단국 격파. [1] | 독일기사단국 몰락, 폴란드-리투아니아 패권 시작. |
1415년 | 포르투갈 왕국의 세우타 정복. [1] | 대항해시대 시작. |
1415년 | 아쟁쿠르 전투에서 헨리 5세의 잉글랜드군이 프랑스군 격파. [1] | 5년 뒤 트루아 조약에서 헨리 5세는 프랑스 왕위 계승권 보장. |
1417년 | 콘스탄츠 공의회 종료. [1] | 서방 교회 분열 마무리, 교황 마르티노 5세 즉위. |
1419년 | 후스 전쟁 시작. [1] | 종교개혁과 유럽 종교전쟁의 선구적 사건. 귀족 기사 십자군이 농민 잡병에게 무승부. |
1428년 | 테노치티틀란의 이츠코아틀이 텍스코코, 틀라코판과 삼각동맹을 맺어 아스카포찰코에 승리. [59] | 아스텍 제국 탄생, 이후 90여 년간 팽창. 이츠코아틀은 정복 국가 서적 소각, 멕시카인 위주 역사 날조. |
1429년 | 잔 다르크 등장, 오를레앙 공성전 승리, 샤를 7세 대관. [1] | 백년전쟁에서 프랑스 공세 전환. |
1431년 | 잔 다르크, 종교재판에서 화형. [1] | |
1434년 | 피렌체에서 메디치가 대두. [1] | 메디치가는 이후 3세기 동안 은행가, 교황, 여왕, 공작 배출. |
1434년 | 얀 판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그림. [1] | 볼록거울 사용 확인. |
1438년 | 쿠시 유팡키, 잉카 제국 건국. [59] | 잉카 문명의 제국으로서 팽창 시작. |
1439년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인쇄기 발명. [1] | 유럽 전역에서 문예, 뉴스 접근성 향상. |
1442년 | 헤르만슈타트 전투에서 후녀디 야노시의 헝가리군, 오스만군에 승리. [1] | |
1443년 | 조선 세종, 훈민정음 반포. [1] | |
1444년 | 바르나 전투에서 바르나 십자군 패배. [1] | 오스만군, 헝가리-폴란드 연합군에 승리, 폴란드 국왕 브와디스와프 3세 전사. |
1452년 | 프리드리히 3세, 신성로마황제 대관. [1] | |
1453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1] | 동로마 제국 멸망,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오스만 제국 수도. |
1453년 | 백년전쟁 종전. [1] | 잉글랜드, 유럽 대륙 교두보 상실. |
1455년 | 제1차 세인트알반스 전투 발발. [1] | 장미전쟁 시작. |
1456년 | 베오그라드 공성전에서 오스만군 패배. [1] | 오스만 유럽 정복 70여 년간 저지, 후녀디 야노시 마지막 승리. |
1459년 | 스메데레보 함락. [1] | 중세 세르브계 국가 종말. |
1461년 | 트레비존드 제국 멸망. [1] | 동로마 마지막 잔여세력 일소. |
1464년 | 오스만 튀르크 무니르 알리, 다르다넬레스 거포 제작. [1] | |
1467년–1477년 | 일본 오닌의 난. [1] | 무로마치 막부 권력 형해화. |
1475년 | 크림 칸국, 오스만 제국 봉신국화. [1] | |
1485년 | 토머스 맬러리, 『아서왕의 죽음』 저술. [1] | 중세 아서왕물 집대성. |
1485년 | 보스워스 벌판 전투. [1] | 리처드 3세 전사, 헨리 7세 즉위. |
1487년 | 스토크 전투. [1] | 장미전쟁 종결. |
1492년 | 레콩키스타 종결. [1] | 이베리아반도 무슬림 지배 종식, 에스파냐 통일. |
1492년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신세계 도달. [1] | 서양 중세사 종말. |
1494년 | 토르데시야스 조약. [1] | 에스파냐-포르투갈, 유럽 밖 세계 분할 합의. |
1494년 | 이탈리아 전쟁 시작. [1] | 1559년까지 지속, 이탈리아 쑥밭, 이탈리아 도시국가 몰락. |
1497년 | 바스쿠 다 가마, 인도 도달 후 귀환. [1] | 유럽-아시아 항해 최초. |
1499년 | 촌치오 해전. [1] | 최초 함상포격전. |
참조
[1]
서적
Harper Collins atlas of world history
[2]
웹사이트
TIMELINE: World History
https://www.wdl.org/[...]
2019-06-12
[3]
웹사이트
Civilization.ca – Mystery of the Maya – Maya civilization timeline
http://www.historymu[...]
2017-04-02
[4]
논문
St Jerome and the Vulgate New Testament (I–II)
[5]
서적
AD 410 The Year That Shook Rome
[6]
간행물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https://archive.org/[...]
Eerdmans Pub Co.
1890
[7]
웹사이트
June 2, 455 – Gaiseric, The Vandals & The Sack of Rome
http://history101.mu[...]
Multiply
2013-02-28
[8]
웹사이트
Multiply.com
http://history101.mu[...]
History101.multiply.com
2014-02-01
[9]
문서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arperCollins Pub. (New York)
[10]
문서
'The Making of England to 1399'
Houghton Mifflin Co. (New York)
[11]
웹사이트
http://www.historyof[...]
[12]
문서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Oxford World''s Classics)'
[13]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Procopius: JUSTINIAN SUPPRESSES THE NIKA REVOLT, 532'
http://www.fordham.e[...]
Paul Halsall
2014-01-22
[14]
웹사이트
"Scotland's History – Columba"
http://www.bbc.co.uk[...]
BBC
2014-01-22
[15]
뉴스
Teotihuacan
https://www.worldhis[...]
2017-04-02
[16]
문서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17]
서적
Archaeology of Native North America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18]
문서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19]
citation
Encyclopedia
http://100.naver.com[...]
Naver
[20]
citation
Korean Britannica Encyclopedia
http://enc.daum.net/[...]
Daum
2014-03-20
[21]
문서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23]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24]
서적
The Asian military revolution: from gunpowder to the bo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5]
서적
The Gunpowder Age: China, Military Innovation, and the Rise of the West in World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1-12
[26]
서적
Byzantiu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15-10-01
[27]
서적
The Slavs: Their Early History and Civilization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8]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0]
문서
"The Diary of Lady Murasaki"
Penguin Classics
[31]
서적
Birmingham Museum of Art : guide to the collection
http://artsbma.org
Birmingham Museum of Art
[32]
citation
The history of Mongol conques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3]
서적
Latin America in Colonial T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citation
India in the Fifteenth Century
Hakluyt Society
[35]
서적
Dictionnaire des batailles navales franco-anglaises
https://books.google[...]
Presses de l'Université Laval
2017-09-05
[36]
웹인용
Civilization.ca – Mystery of the Maya – Maya civilization timeline
http://www.historymu[...]
2017-04-02
[37]
저널
St Jerome and the Vulgate New Testament (I–II)
https://archive.org/[...]
[37]
저널
St Jerome and the Vulgate New Testament (III)
https://archive.org/[...]
[38]
서적
AD 410 The Year That Shook Rome
[39]
인용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https://archive.org/[...]
Eerdmans Pub Co.
1890
[40]
웹인용
June 2, 455 – Gaiseric, The Vandals & The Sack of Rome
https://web.archive.[...]
Multiply
2013-02-28
[41]
웹인용
Multiply.com
http://history101.mu[...]
History101.multiply.com
2013-05-31
[42]
문서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arperCollins Pub. (New York)
[43]
문서
The Making of England to 1399
Houghton Mifflin Co. (New York)
[44]
웹사이트
http://www.historyof[...]
[45]
문서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Oxford World's Classics)
2000
[46]
웹인용
Medieval Sourcebook: Procopius: JUSTINIAN SUPPRESSES THE NIKA REVOLT, 532
http://www.fordham.e[...]
Paul Halsall
2014-01-22
[47]
웹인용
Scotland's History – Columba
http://www.bbc.co.uk[...]
BBC
1970-01-01
[48]
뉴스
Teotihuacan
http://www.ancient.e[...]
2017-04-02
[49]
문서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50]
서적
Archaeology of Native North America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51]
문서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52]
인용
Encyclopedia
http://100.naver.com[...]
Naver
[53]
인용
Korean Britannica Encyclopedia
http://enc.daum.net/[...]
Daum
2020-05-18
[54]
서적
The Slavs: Their Early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55]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7]
문서
The Diary of Lady Murasaki
Penguin Classics
[58]
서적
Birmingham Museum of Art : guide to the collection
http://artsbma.org
Birmingham Museum of Art
[59]
서적
Latin America in Colonial Tim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