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는 충청남도에서 지정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문화유산을 의미한다. 1974년 한산세모시짜기를 시작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50여 개의 종목이 지정되어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한산세모시짜기, 지승제조, 한산소곡주, 서천부채장, 금산농악 등이 있으며, 멸실되었거나 다른 지역으로 편입된 종목도 있다. 충청남도는 이러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관련 단체 및 개인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문화유산 - 충청남도의 민속문화재
    충청남도의 민속문화재는 충청남도 내 민속적 가치를 지닌 유형 문화재로서, 고택, 유물, 어로 시설, 신당 등 역사, 생활상, 신앙을 보여주는 33건의 자료가 지정되어 있으며, 일부는 추가 조사 필요, 지정 해제, 또는 다른 문화재로 승격된 사례가 있다.
  • 충청남도의 문화유산 - 충청남도의 기념물
    충청남도의 기념물은 충청남도지사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문화재로, 백제, 조선 시대, 독립운동 및 종교 관련 유적과 유물 등을 포함하며 충청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기본 정보
종류무형문화재
지정 지역충청남도
지정 정보
지정 번호충청남도 무형문화재 (각 호 별도 지정)
관리충청남도
관련 법규문화재보호법
상세 정보
목록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 앉은굿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호: 홍성 풀무질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공주 밤까기 노래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호: 내포 앉은굿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5호: 서천 한산모시짜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예산 모시짜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 보령 갈매기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8호: 아산 외암리 짚풀공예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9호: 논산 상여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0호: 부여 은산별신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1호: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 서산 박첨지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산 송곡사지 당간지주 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서천 봉선저두굿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5호: 태안 안흥외고래 어망직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6호: 청양 구기자장 담그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홍성 결성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8호: 태안 용난굴 어로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 당진 면천두견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 홍성 오누이 굿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 서천 삼산두레풍장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 아산 맹씨행단 고택 제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3호: 논산 건달바위 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 공주 장승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5호: 부여 만돌이 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6호: 부여 세도 두레풍장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7호: 논산 가야곡 왕대추나무 제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8호: 부여 굿절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 금산 전통인삼농업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 서산 갯마을 호미걸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 계룡 떡메치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 보령 사물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3호: 서산 어리신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4호: 서산 상여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5호: 서산 웅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6호: 서산 큰지게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7호: 서산 호미씻기 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8호: 태안 근흥 닷배노래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9호: 태안 소원면 농기돌리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0호: 논산 강경 황산젓갈 담그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1호: 태안 안면도 승경도 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2호: 예산 대흥 옹기장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3호: 아산 송악 외암마을 돌담쌓기

2. 지정 목록

(단체)지정일참조1호한산세모시짜기
(韓山세모시짜기)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0891974년 8월 3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10000,34]2호지승제조
(紙繩製造)충남 홍성군1986년 11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20000,34]3호한산소곡주
(韓山素穀酒)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1201979년 7월 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30000,34]4호산유화가
(山有花歌)충남 부여군1982년 12월 3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40000,34]5호웃다리농악
(웃다리農樂)
충남 충남전역 1989년 1월 5일 지정,
1989년 1월 5일 해제,
대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재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50000,34]6호보령남포벼루제작
(保寧藍浦벼루製作)충남 보령시 청라면 의평리 549김진한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60000,34]7호계룡백일주
(鷄龍百日酒)충남 공주시 봉정동 339번지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70000,34]8호공주탄천장승제
(公州灘川長丞祭)충남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산789박영혁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80000,34]9호청양정산동화제
(靑陽定山洞火祭)충남 청양군 정산면 송학리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90000,34]10호서천대목장
(舒川大木匠)
충남 서천군 문산면 판문로307번길 57정영진1990년 5월 24일 지정,
2017년 5월 30일 해지,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사망[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00000,34]11호아산연엽주
(牙山蓮葉酒)(충남 아산시최황규1990년 12월 3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10000,34]12호황도붕기풍어제
(黃島붕기豊漁祭)충남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 241991년 7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20000,34]13호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舒川苧産八邑길쌈놀이)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철로 10891991년 7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30000,34]14호연산백중놀이
(連山百中놀이)충남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4261991년 7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40000,34]15호아산옹기장
(牙山甕器匠)
충남 아산시 도고면 금산리 산201991년 7월 9일 지정,
1998년 7월 25일 해제,
보유자 주소이전으로 지정해제[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50000,34]16호금산물페기농요
(錦山물페기農謠)충남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5691992년 8월 1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60000,34]17-1호내포제시조(아랫내포제)충남 부여군1992년 12월 8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100,34]17-2호내포제시조(윗내포제)충남 서산시 시장2로 72014년 3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200,34]18호소목장
(小木匠)충남 예산군 덕산면 읍내리 2901996년 2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80000,34]19호금산인삼백주
(錦山人蔘白酒)충남 금산군 금성면 파초리 2601996년 2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90000,34]20호결성농요
(結城農謠)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전역1996년 11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00000,34]21호서천부채장
(舒川부채장)충남 서천군 한산면 한마로 36-161997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10000,34]22호부여용정리상여소리
(扶餘龍井里喪輿소리)충남 부여군1997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20000,34]23호공주봉현리상여소리
(公州鳳峴里喪輿소리)충남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 561997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30000,34]24호태안설위설경
(泰安設位說經)충남 태안군 소원면 소근리 6351998년 7월 2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40000,34]25호청양춘포짜기
(靑陽春布짜기)충남 청양군 운곡면 후덕동길 50-21(후덕리 701)1998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50000,34]26호서산박첨지놀이
(瑞山박첨지놀이)충남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 333김동익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60000,34]27호승무
(僧舞)충남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70000,34]28호세도두레풍장
(世道두레풍장)충남 부여군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80000,34]29호내지리단잡기
(내지리丹잡기)충남 부여군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90000,34]30호청양구기자주
(靑陽枸杞子酒)충남 청양군 운곡면 광암수령길 46-4(광암리 321)2000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00000,34]31호홍성댕댕이장
(洪城댕댕이장)충남 홍성군 광천읍 신진리 246-22000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10000,34]32호금산농바우끄시기
(錦山농바우끄시기)충남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4132000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20000,34]33호단청장
(丹靑匠)충남 천안시 성정동 664-212001년 6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30000,34]34호불상조각장(석공)
(佛像彫刻匠(石工))
충남 논산시 광석면 왕전리 611-52001년 6월 30일 지정,
2003년 10월 30일 해제,
무형문화재 품위유지 위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40000,34]35호당진안섬당제
(唐津안섬당제)충남 당진시 송악면 고대리 안섬마을2001년 6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50000,34]36호홍성 수룡동 당제
(洪城 水龍洞 堂祭)충남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9112003년 10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60000,34]37호공주선학리지게놀이
(公州仙鶴里지게놀이)충남 공주시 신풍면 선학리 마을2004년 4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70000,34]38-1호옹기장
(甕器匠)충남 홍성군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80100,34]38-2호옹기장
(甕器匠)충남 아산시이지수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80200,34]39호강독사 정규헌
(講讀師 丁奎憲)충남 계룡시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90000,34]40호내포영산대재
(內浦靈山大齋)충남 예산군 삽교읍 도청대로 835-45 법륜사방현(보명스님)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00000,34]41-1호대장장충남 아산시허창구2009년 7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10100,34]41-2호대장장충남 홍성군2009년 7월 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10200,34]42호공주 목소상
(公州 木梳匠)충남 공주시이상근2010년 7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20000,34]43호연기 궁인충남 연기군 전의면 신방리 116-2주장응2010년 9월 10일 지정,
2012년 7월 1일 해제,
세종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재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30000,34]44호서천침선장
(舒川침선장)충남 서천군2010년 9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40000,34]45호공주 의당 집터다지기충남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628우당집터다지기보존회2013년 3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50000,34]46호논산 목조각장
(論山 木彫刻匠)충남 논산시김태길2013년 8월 1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60000,34]47호논산 칠장
(論山 漆匠)충남 논산시 은진면문재필2013년 8월 1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70000,34]48호보령 석장
(保寧 石匠)충남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1길 30-11고석산2013년 12월 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80000,34]49호내포 앉은굿충남 서산시정종호2013년 12월 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90000,34]50호예산 각자장(목각)충남 예산군 예산읍 아리랑로 73박학규2014년 3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00000,34]51호판소리(흥보가)충남 부여군 부여읍 계백로307김수향2014년 11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10000,34]52호서천 베틀장충남 서천군 화양면 화한로 398번길 88-3윤주열201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20000,34],
[http://www.chungnam.go.kr/dobo/download.do?dobom_seq=4453&dobom_file_ord=1]53호금산 농악충남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26금산농악보존회201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30000,34],
[http://www.chungnam.go.kr/dobo/download.do?dobom_seq=4453&dobom_file_ord=1]54호보령 외연도 당제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보령 외연도 당제 보존회201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40000,34],
[http://www.chungnam.go.kr/skinviewer/chungnamskin/doc.html?fn=3951106c22bebf36bd59b4bda03998de&rs=/resulta/]


2. 1. 상세 목록

(단체)지정일참조1호한산세모시짜기
(韓山세모시짜기)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0891974년 8월 3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10000,34]2호지승제조
(紙繩製造)충남 홍성군1986년 11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20000,34]3호한산소곡주
(韓山素穀酒)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1201979년 7월 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30000,34]4호산유화가
(山有花歌)충남 부여군1982년 12월 3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40000,34]5호웃다리농악
(웃다리農樂)
충남 충남전역 1989년 1월 5일 지정,
1989년 1월 5일 해제,
대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재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50000,34]6호보령남포벼루제작
(保寧藍浦벼루製作)충남 보령시 청라면 의평리 549김진한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60000,34]7호계룡백일주
(鷄龍百日酒)충남 공주시 봉정동 339번지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70000,34]8호공주탄천장승제
(公州灘川長丞祭)충남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산789박영혁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80000,34]9호청양정산동화제
(靑陽定山洞火祭)충남 청양군 정산면 송학리1989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90000,34]10호서천대목장
(舒川大木匠)
충남 서천군 문산면 판문로307번길 57정영진1990년 5월 24일 지정,
2017년 5월 30일 해지,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사망[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00000,34]11호아산연엽주
(牙山蓮葉酒)(충남 아산시최황규1990년 12월 3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10000,34]12호황도붕기풍어제
(黃島붕기豊漁祭)충남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 241991년 7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20000,34]13호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舒川苧産八邑길쌈놀이)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철로 10891991년 7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30000,34]14호연산백중놀이
(連山百中놀이)충남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4261991년 7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40000,34]15호아산옹기장
(牙山甕器匠)
충남 아산시 도고면 금산리 산201991년 7월 9일 지정,
1998년 7월 25일 해제,
보유자 주소이전으로 지정해제[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50000,34]16호금산물페기농요
(錦山물페기農謠)충남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5691992년 8월 1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60000,34]17-1호내포제시조(아랫내포제)충남 부여군1992년 12월 8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100,34]17-2호내포제시조(윗내포제)충남 서산시 시장2로 72014년 3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200,34]18호소목장
(小木匠)충남 예산군 덕산면 읍내리 2901996년 2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80000,34]19호금산인삼백주
(錦山人蔘白酒)충남 금산군 금성면 파초리 2601996년 2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90000,34]20호결성농요
(結城農謠)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전역1996년 11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00000,34]21호서천부채장
(舒川부채장)충남 서천군 한산면 한마로 36-161997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10000,34]22호부여용정리상여소리
(扶餘龍井里喪輿소리)충남 부여군1997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20000,34]23호공주봉현리상여소리
(公州鳳峴里喪輿소리)충남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 561997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30000,34]24호태안설위설경
(泰安設位說經)충남 태안군 소원면 소근리 6351998년 7월 2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40000,34]25호청양춘포짜기
(靑陽春布짜기)충남 청양군 운곡면 후덕동길 50-21(후덕리 701)1998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50000,34]26호서산박첨지놀이
(瑞山박첨지놀이)충남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 333김동익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60000,34]27호승무
(僧舞)충남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70000,34]28호세도두레풍장
(世道두레풍장)충남 부여군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80000,34]29호내지리단잡기
(내지리丹잡기)충남 부여군2000년 1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90000,34]30호청양구기자주
(靑陽枸杞子酒)충남 청양군 운곡면 광암수령길 46-4(광암리 321)2000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00000,34]31호홍성댕댕이장
(洪城댕댕이장)충남 홍성군 광천읍 신진리 246-22000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10000,34]32호금산농바우끄시기
(錦山농바우끄시기)충남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4132000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20000,34]33호단청장
(丹靑匠)충남 천안시 성정동 664-212001년 6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30000,34]34호불상조각장(석공)
(佛像彫刻匠(石工))
충남 논산시 광석면 왕전리 611-52001년 6월 30일 지정,
2003년 10월 30일 해제,
무형문화재 품위유지 위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40000,34]35호당진안섬당제
(唐津안섬당제)충남 당진시 송악면 고대리 안섬마을2001년 6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50000,34]36호홍성 수룡동 당제
(洪城 水龍洞 堂祭)충남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9112003년 10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60000,34]37호공주선학리지게놀이
(公州仙鶴里지게놀이)충남 공주시 신풍면 선학리 마을2004년 4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70000,34]38-1호옹기장
(甕器匠)충남 홍성군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80100,34]38-2호옹기장
(甕器匠)충남 아산시이지수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80200,34]39호강독사 정규헌
(講讀師 丁奎憲)충남 계룡시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90000,34]40호내포영산대재
(內浦靈山大齋)충남 예산군 삽교읍 도청대로 835-45 법륜사방현(보명스님)2008년 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00000,34]41-1호대장장충남 아산시허창구2009년 7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10100,34]41-2호대장장충남 홍성군2009년 7월 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10200,34]42호공주 목소상
(公州 木梳匠)충남 공주시이상근2010년 7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20000,34]43호연기 궁인충남 연기군 전의면 신방리 116-2주장응2010년 9월 10일 지정,
2012년 7월 1일 해제,
세종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재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30000,34]44호서천침선장
(舒川침선장)충남 서천군2010년 9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40000,34]45호공주 의당 집터다지기충남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628우당집터다지기보존회2013년 3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50000,34]46호논산 목조각장
(論山 木彫刻匠)충남 논산시김태길2013년 8월 1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60000,34]47호논산 칠장
(論山 漆匠)충남 논산시 은진면문재필2013년 8월 1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70000,34]48호보령 석장
(保寧 石匠)충남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1길 30-11고석산2013년 12월 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80000,34]49호내포 앉은굿충남 서산시정종호2013년 12월 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490000,34]50호예산 각자장(목각)충남 예산군 예산읍 아리랑로 73박학규2014년 3월 1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00000,34]51호판소리(흥보가)충남 부여군 부여읍 계백로307김수향2014년 11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10000,34]52호서천 베틀장충남 서천군 화양면 화한로 398번길 88-3윤주열201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20000,34],
[http://www.chungnam.go.kr/dobo/download.do?dobom_seq=4453&dobom_file_ord=1]53호금산 농악충남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26금산농악보존회201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30000,34],
[http://www.chungnam.go.kr/dobo/download.do?dobom_seq=4453&dobom_file_ord=1]54호보령 외연도 당제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보령 외연도 당제 보존회201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540000,34],
[http://www.chungnam.go.kr/skinviewer/chungnamskin/doc.html?fn=3951106c22bebf36bd59b4bda03998de&rs=/resulta/]


2. 1. 1. 제1호 한산세모시짜기



'''한산 세모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제작되는 고품질의 모시를 말한다. 백제 시대부터 이어져 온 한산 세모시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왕에게 진상되기도 했다.

한산 세모시 짜기는 1967년 7월 31일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2011년 11월 28일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산 세모시 짜기는 태모시 만들기, 모시 째기, 모시 삼기, 모시 날기, 모시 매기, 모시 짜기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오랜 시간과 정성이 필요하다.

한산 세모시는 섬세하고 가벼우며 통풍이 잘 되어 여름철 옷감으로 인기가 높다. 특히, 땀 흡수와 배출이 뛰어나고, 항균성이 있어 위생적이다.

한산 세모시의 우수성은 일제강점기에도 인정받아 일본으로 많이 반출되었다. 그러나 광복 이후 값싼 화학섬유의 등장으로 인해 침체기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산 세모시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2. 1. 2. 제2호 지승제조

지승제조는 종이를 이용하여 끈을 만들고, 이 끈을 엮어 다양한 형태의 그릇이나 용기를 만드는 전통 공예 기술이다. 이 기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특히 충청남도 지역에서 발전해왔다. 지승제조는 단순한 공예 기술을 넘어, 한국인의 삶과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무형문화재이다.

2. 1. 3. 제3호 한산소곡주

한산 소곡주는 백제 때부터 내려오는 술로, 맛과 향이 뛰어나 한번 마시면 자리에서 일어날 줄 모른다고 하여 '앉은뱅이술'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1979년 7월 3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역사한산 소곡주는 백제 왕실에서 즐겨 마시던 술로, 백제 멸망 후 유민들이 백제를 추모하며 빚어 마셨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과거를 보러 가던 선비들이 이 술을 마시고 과거를 보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유명했다.
특징한산 소곡주는 찹쌀과 누룩을 주원료로 하며, 들국화, 메주콩, 생강, 엿기름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100일 동안 숙성시켜 빚는 것이 특징이며, 알코올 도수는 43%로 높은 편이다. 감미로운 향과 끈적거리는 듯한 질감이 특징이다.
제조 과정한산 소곡주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1. 찹쌀을 깨끗이 씻어 고두밥을 짓는다.

2. 고두밥을 식힌 후 누룩과 섞는다.

3. 들국화, 메주콩, 생강, 엿기름 등을 넣고 물을 부어 발효시킨다.

4. 100일 동안 숙성시킨 후 맑은 술을 떠내면 한산 소곡주가 완성된다.

한산 소곡주는 그 맛과 향,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전통주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만찬주로 선정되면서 그 명성이 더욱 높아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전통주 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한산 소곡주는 이러한 정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2. 1. 4. 제4호 산유화가

자료가 없습니다.

2. 1. 5. 제5호 웃다리농악 (해제)

웃다리농악은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에서 연희되는 농악을 말하며, 쇠잽이의 기량이 매우 뛰어나고 가락이 경쾌하며 굿 거리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1960년대 후반까지는 남사당패의 농악, 또는 남사당의 영향을 받은 전문적인 농악꾼들에 의해 주로 연희되었으나, 현재는 각 지역의 마을 단위에서 농악대를 조직하여 연희하고 있다.

웃다리농악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2001년 1월 30일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이는 웃다리농악이 충청남도뿐만 아니라 경기, 충청 지역 농악의 일반적인 명칭이므로 특정 지역의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 1. 6. 제6호 보령남포벼루제작

보령 남포 벼루는 보령시 남포면에서 생산되는 벼루를 말한다. 남포벼루는 1975년 4월 23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남포벼루는 조선시대부터 널리 알려졌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세종 때 일본에 사신을 보내 벼루를 선물했다는 기록이 있다. 성종 때에는 중국에 벼루를 진상했다는 기록도 있다.

남포벼루는 남포 오석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남포 오석은 검은색을 띠며,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하다. 벼루 제작은 채석, 1차 가공, 2차 가공, 조각, 광택 등의 과정을 거친다. 특히, 남포벼루의 조각은 섬세하고 정교하기로 유명하다.

남포벼루는 실용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조선시대에는 왕실과 양반가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서예가와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2. 1. 7. 제7호 계룡백일주

계룡백일주는 현재 기록상의 문헌으로는 1800년대에 쓰여진 세종실록조선왕조실록 등에 처음 등장하며, 궁중에서 빚어 마시던 술이었다. 그 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명맥이 끊겼다가, 1989년 7월 29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면서 다시 복원되었다.

계룡백일주는 찹쌀, 멥쌀, 밀가루, 오미자, 진달래꽃, 국화, 생강즙 등을 재료로 하여 빚는 술이다. 제조 과정은 먼저 밑술을 만든 후, 덧술을 빚고, 마지막으로 숙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밑술은 찹쌀로 백설기를 만들고, 여기에 밀가루와 누룩, 물을 섞어 만든다. 덧술은 찹쌀로 고두밥을 지어 밑술과 함께 섞고, 오미자, 진달래꽃, 국화 등을 넣어 발효시킨다. 마지막으로 100일 동안 숙성시키면 계룡백일주가 완성된다.

계룡백일주는 알코올 도수가 40%에 달하는 고급 약주로, 특유의 향과 맛이 특징이다.

2. 1. 8. 제8호 공주탄천장승제

공주 탄천 장승제는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에서 전승되는 마을 제사이다. 장승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로, 탄천면에서는 여러 마을에서 장승제가 전승되고 있다. 탄천 장승제는 유교식 제사와 장승제가 결합된 형태로, 마을 주민들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탄천면의 장승제는 주로 정월 초에 지내며, 마을 입구에 장승을 세우고 제사를 지낸다.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들어지며,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 장승제는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제물을 마련하고 제사를 주관하며, 제사 후에는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친목을 다진다.

탄천 장승제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 민속 문화로서, 마을 공동체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전통 문화를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1. 9. 제9호 청양정산동화제

청양 정산 동화제는 청양군 정산면에서 전승되는 마을 제사이다. 동화제는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로, 마을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화합을 다지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정산 동화제는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특히 정산 동화제는 제사 절차가 엄격하고, 제물로 사용되는 음식이 정갈하며,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복장이 전통적인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10. 제10호 서천대목장 (해제)

소스(source)의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summary)에 따라서 내용을 출력합니다.

서천대목장은 서천군 지역의 전통 건축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대 건축 기술의 발달과 전통 건축 방식의 변화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되어 무형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2. 1. 11. 제11호 아산연엽주

아산 연엽주는 현재 전승되고 있지 않다.

2. 1. 12. 제12호 황도붕기풍어제

자료가 없습니다.

2. 1. 13. 제13호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승되는 길쌈놀이이다.

길쌈은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 베, 모시, 명주 등의 천을 짜는 과정을 말한다. 길쌈은 여성들의 중요한 소일거리 중 하나였으며, 특히 저산팔읍(苧産八邑)이라 불리던 서천, 한산, 비인, 홍산, 임천, 남포, 정산, 부여 지역은 모시의 품질이 좋기로 유명했다.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는 이러한 길쌈 과정을 놀이로 재현한 것으로, 두레 길쌈의 형태로 전승되었다. 놀이는 길쌈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것 외에도 당시 여성들의 삶과 애환을 엿볼 수 있게 한다.

1986년 6월 11일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

2. 1. 14. 제14호 연산백중놀이

연산백중놀이는 현재 전승이 중단된 상태이다.

2. 1. 15. 제15호 아산옹기장 (해제)

아산 옹기는 다른 지방의 옹기에 비해 잿물(유약)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게 사용하여 제작되며, 소박하고 질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충청남도에서는 1990년 12월 31일에 아산 옹기를 도지정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하였으나, 보유자 방창웅이 사망하고 전승이 되지 않아 2005년 10월 31일에 지정이 해제되었다.

2. 1. 16. 제16호 금산물페기농요

금산물페기농요에 대한 자료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1. 17. 제17호 내포제시조

내포제시조는 충청남도 서북부 지역에서 전승되는 시조창으로, 그 기원은 조선 후기 선비들이 즐기던 풍류방 문화와 관련이 깊다. 내포 지방은 예로부터 가야산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자연환경과 서산, 예산, 당진, 홍성 등 여러 고을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이곳 선비들은 시조창을 통해 풍류를 즐기고 심신을 수양했다.

내포제시조는 경제(京制) 시조창의 영향을 받았지만, 내포 지방 특유의 향토색 짙은 가락과 창법을 담아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특히, 가사(歌詞) 내용에 있어서도 자연에 대한 사랑, 임금에 대한 충절, 유교적 덕목 등 선비들의 정서와 가치관을 반영한 작품들이 많다.

음악적으로는, 경제 시조창에 비해 장단과 음계 변화가 적고 비교적 단순한 선율을 가지고 있지만, 느리고 완만한 흐름 속에서 깊은 멋과 흥취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창자(唱者)의 목소리와 발성, 시김새 등에서 내포 지방 특유의 투박하면서도 질박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분류: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분류:시조

분류:내포제시조

2. 1. 18. 제18호 소목장

소목장은 나무로 가구나 문방구 등 목재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장인을 의미한다. 소목장은 대목장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대목장이 건축물을 짓는 목수라면, 소목장은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는 가구, 문방구, 소품 등을 제작한다.

소목장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 가구는 간결하고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특징을 지닌다. 소목장은 나무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정교한 기술을 사용하여 아름다운 목제품을 만들어낸다. 소목장의 제작 과정은 나무를 건조하고 다듬는 과정, 짜맞춤 기법을 사용하여 각 부분을 결합하는 과정, 옻칠 등으로 마감하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충청남도에서는 조찬형이 소목장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아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2. 1. 19. 제19호 금산인삼백주

금산인삼백주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source`에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1. 20. 제20호 결성농요

결성농요는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에서 농사지을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결성농요는 1987년 5월 7일 충청남도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결성농요는 모를 심거나 논을 맬 때 부르는 소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사일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의식요도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소리들이 있다.

결성농요는 농사일의 고단함을 잊고 능률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불려졌으며, 협동심을 기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가사 내용에는 농민들의 애환과 정서가 잘 드러나 있으며, 향토성이 짙은 민요로 평가받는다.

2. 1. 21. 제21호 서천부채장



서천군의 특산품인 부채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부채는 고려 현종 때부터 중국과 일본에 보내는 주요 수출품으로 명성을 떨쳤다.

2. 1. 22. 제22호 부여용정리상여소리

자료가 없습니다.

2. 1. 23. 제23호 공주봉현리상여소리

공주봉현리상여소리는 공주시 봉현리에서 전승되는 상여소리로, 그 기원과 내용, 특징을 파악하기는 현재로서는 어렵다.

2. 1. 24. 제24호 태안설위설경

태안설위설경은 충청남도 태안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 의례로, 무당이 종이를 오려 만든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단을 장식하고 경을 읽는 것을 말한다. 이 의례는 귀신을 쫓고 복을 빌며,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등의 목적을 가진다.

설위설경은 '설경'이라고도 불리며, 종이로 만든 여러 형상을 '설위'라고 한다. 이러한 설위는 제단인 경상과 그 주변을 장식하는 데 사용된다. 태안 지역의 설위설경은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종이 형상이 정교하고 종류가 다양하며, 특히 무당이 직접 종이를 오려 만드는 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태안설위설경은 1990년 12월 31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2. 1. 25. 제25호 청양춘포짜기

청양 춘포짜기는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전승되는 전통 직물 공예 기술이다. 춘포는 봄에 짜는 베라는 뜻으로, 주로 삼베나 모시를 사용하여 짠다. 청양 지역은 예로부터 삼베와 모시 생산지로 유명했으며, 특히 춘포는 섬세하고 품질이 좋아 널리 알려졌다.

춘포짜기는 크게 재료 준비, 베틀 짜기, 마무리 과정으로 나뉜다. 재료 준비 과정에서는 삼베나 모시의 원료가 되는 식물을 재배하고 수확하여 실을 뽑는다. 베틀 짜기는 전통 베틀을 사용하여 씨실과 날실을 교차시켜 직물을 짜는 과정이다. 마무리 과정에서는 완성된 직물을 다듬고 염색하는 등의 작업을 거친다.

청양 춘포짜기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중요한 무형문화재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춘포짜기 기능보유자는 전통 기술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힘쓰고 있다.

2. 1. 26. 제26호 서산박첨지놀이

서산박첨지놀이는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통 인형극으로, 꼭두각시놀음의 일종이다. 박첨지놀이는 민중의 삶과 애환을 해학적으로 담아내며,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민속예술로 평가받는다.

박첨지놀이는 조선시대부터 서산 지역에서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오다가, 19세기 말부터 인형극 형태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고취한다는 이유로 탄압을 받기도 했지만, 광복 이후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복원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1980년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박첨지놀이는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서산박첨지놀이는 박첨지, 꼭두각시, 홍동지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벌이는 풍자와 해학이 특징이다. 주요 내용은 탐관오리에 대한 비판, 양반 사회의 모순, 서민들의 삶의 애환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당시 민중들의 억눌린 감정을 대변하고, 사회 부조리에 대한 저항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서산박첨지놀이와 같은 전통 민속 예술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것이 지역 문화 발전의 중요한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서산박첨지놀이가 가진 역사성과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 1. 27. 제27호 승무

승무는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독특한 춤사위와 장삼, 붉은 가사, 고깔, 그리고 법고 가락 등이 어우러진 한국 민속춤의 정수라고 불릴 수 있다.

2. 1. 28. 제28호 세도두레풍장

세도두레풍장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서 전승되는 농악이다.

세도 지역은 예부터 벼농사를 많이 지었으며, 두레를 조직하여 농사를 짓는 전통이 있었다. 세도두레풍장은 이러한 두레 조직에서 유래한 것으로, 농사일의 고됨을 잊고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되었다.

세도두레풍장은 꽹과리, 징, 북, 장구, 소고 등의 악기로 구성되며,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의 가락을 연주한다. 특히, 꽹과리 가락이 빠르고 경쾌하며, 소고춤이 역동적인 것이 특징이다.

세도두레풍장은 1996년 12월 23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세도두레풍장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2. 1. 29. 제29호 내지리단잡기

내지리단잡기에 대한 자료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ource`에 내용을 추가해 주시면 위키텍스트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2. 1. 30. 제30호 청양구기자주

청양 구기자주는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전승되는 전통 민속주이다. 구기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며, 술로 빚어 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구기자주는 멥쌀과 찹쌀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구기자와 국화, 오미자, 감초 등의 약재를 넣어 빚는다. 특히 청양 지역의 구기자는 품질이 우수하여, 구기자주 제조에 적합하다고 평가받는다.

제조 과정은 먼저 멥쌀로 백설기를 만들고, 찹쌀로 고두밥을 짓는다. 여기에 누룩과 구기자, 국화, 오미자, 감초 등을 넣고 발효시킨다. 발효 과정에서 구기자 특유의 향과 맛이 우러나오며, 약재의 효능이 더해진다.

구기자주는 맑은 황갈색을 띠며, 은은한 단맛과 쌉쌀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명약으로 여겨져 왔으며, 특히 기능을 보호하고 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989년 4월 20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다.

2. 1. 31. 제31호 홍성댕댕이장

홍성댕댕이장에 대한 소스(source)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summary)만으로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소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2. 1. 32. 제32호 금산농바우끄시기

금산농바우끄시기는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전승되는 농업 의례로, 농작물의 풍년을 기원하며 행해지는 민속놀이이다.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시대부터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산농바우끄시기는 크게 농바우 끄시기와 농바우 놀이로 나뉜다. 농바우 끄시기는 짚으로 만든 농바우를 끌고 다니며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이며, 농바우 놀이는 농바우를 메고 춤을 추거나 재주를 넘는 놀이이다.

금산농바우끄시기는 농민들의 협동심과 단결력을 보여주는 민속놀이로,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금산군 지역 축제에서 재현되며, 지역 주민들의 화합과 전통문화 계승에 기여하고 있다.

2. 1. 33. 제33호 단청장

단청장은 불교 사찰이나 궁궐, 사당 등 전통 건축물에 단청을 하는 장인을 말한다. 단청은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더하고, 부식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단청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각 시대의 문화와 사상을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단청이 크게 발달하여 다양한 기법과 문양이 나타났다.

단청은 주로 광물성 안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며, 붉은색, 푸른색, 노란색, 흰색, 검은색 등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한다. 단청의 문양은 연꽃, 구름, 봉황 등 상서로운 의미를 담고 있으며, 건축물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단청장은 전통 건축물의 보존과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 1. 34. 제34호 불상조각장 (해제)

불상조각장은 나무, 돌, 흙, 금속, 종이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불상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불교의 불상은 종교적 상징성을 가지며, 예술적인 조형미를 추구하는 대상이다.

불상조각은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각 시대의 문화와 사상,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불상은 단순한 조각품이 아니라, 불교의 교리와 신앙을 담고 있는 예배의 대상이므로, 불상조각장은 불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종교적 신념, 그리고 뛰어난 조형 감각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2000년대 이후 전통적인 불상조각 기법을 계승하는 장인이 줄어들고, 현대적인 조형 기법을 도입한 불상이 많아지면서 전통 불상조각의 맥이 끊어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불상조각장의 무형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2. 1. 35. 제35호 당진안섬당제

당진안섬당제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안섬마을에서 전승되는 마을 제사이다. 안섬당제는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매년 음력 정월 초사흗날에 열린다. 안섬당제는 1996년 11월 1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안섬당제는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마을 주민들의 구전에 따르면, 과거 안섬마을에는 큰 배가 드나들었고, 뱃사람들이 항해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것이 안섬당제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안섬당제는 본당제를 시작으로, 상당제, 용신제, 거리제 순서로 진행된다. 본당제는 마을의 주신인 안섬할머니와 안섬할아버지를 모시는 제사로, 제관이 축문을 읽고 제물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당제는 마을 뒷산에 있는 상당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용신제는 바다에 나가 용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며, 거리제는 마을 곳곳을 돌며 잡귀를 쫓는 의식이다.

안섬당제의 특징은 제사 과정에서 연극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제관들은 춤과 노래를 곁들여 제사를 진행하며, 마을 주민들은 제사에 참여하여 함께 즐긴다. 또한, 안섬당제는 갯마을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제사로, 어민들의 삶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안섬당제는 당진 지역의 대표적인 마을 제사로, 지역 주민들의 화합과 결속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안섬당제는 갯마을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36. 제36호 홍성 수룡동 당제

자료 없음.

2. 1. 37. 제37호 공주선학리지게놀이

공주 선학리 지게놀이는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선학리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이다.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 주민들은 이 놀이가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지게놀이는 주로 정월 대보름이나 단오 등 명절에 행해졌으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놀이는 지게를 지고 춤을 추는 '지게춤'과 지게를 지고 달리며 힘을 겨루는 '지게싸움' 등으로 구성된다.

선학리 지게놀이는 다른 지역의 지게놀이와 달리 지게춤의 비중이 크고, 춤사위가 다양하고 화려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지게싸움에서는 단순히 힘만 겨루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지게를 빼앗거나 넘어뜨리는 등의 기술이 사용된다.

1997년 5월 27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7호로 지정되었다.

2. 1. 38. 제38호 옹기장

옹기장은 옹기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옹기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주로 음식을 저장하고 발효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충청남도 지역은 질 좋은 흙과 연료가 풍부하여 옹기 제작이 발달하였다.

옹기의 제작 과정은 흙 반죽, 모양 만들기, 건조, 유약 바르기, 굽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옹기는 숨을 쉬는 특성이 있어 김치, 된장, 간장 등 발효 식품을 보관하는 데 적합하다.

충청남도의 옹기장 기능 보유자는 방춘웅이다. 그는 전통 옹기 제작 기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2. 1. 39. 제39호 강독사 정규헌

강독사 정규헌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활동하는 강독사이다. 강독사는 조선시대에 책을 읽어주는 직업으로, 정규헌은 이 전통을 이어받아 활동하고 있다.

2. 1. 40. 제40호 내포영산대재

내포영산대재는 충청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불교 의식으로,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2. 1. 41. 제41호 대장장

대장장이는 쇠를 달구어 연장을 만드는 기술 및 그 장인을 말한다. 대장간은 쇠를 이용하여 연장을 만드는 작업장을 말하며, 흔히 '풀뭇간'이라고도 부른다.

대장장이의 역사는 인류가 금속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삼한 시대부터 대장장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농기구, 무기, 생활용품 등을 제작하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대장간에서는 풀무를 사용하여 불의 온도를 조절하고, 달구어진 쇠를 모루 위에 놓고 망치로 두드려 원하는 형태를 만든다. 쇠를 물에 담가 식히는 담금질 과정을 통해 쇠의 강도를 높인다.

현대 사회에서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제품에 밀려 전통적인 대장간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며 전통 기술을 보존하고 있다. 특히 칼, 낫, 호미 등 일부 도구는 여전히 대장장이의 손을 거쳐 만들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한 전통 기술을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 대장장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대장장이 기능 보유자들은 전통 방식을 고수하며,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지키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2. 1. 42. 제42호 공주 목소상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요약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합니다. 단, 소스가 없으므로 내부 링크 및 상세 정보 추가는 최소화합니다.)

공주 목소상은 공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나무로 만든 상여 장식이다. 목소상은 상여의 꼭두를 제작하는 기술과 그 기능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한다.

목소상은 주로 소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하며, 조각칼, 톱, 끌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 제작 과정은 나무를 다듬고, 조각하고, 채색하는 등의 과정을 거친다.

목소상은 호랑이, 용, 봉황 등 상서로운 동물의 형상이나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망자의 명복을 빌고, 상여를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2. 1. 43. 제43호 연기 궁인 (해제)

연기 궁인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전승되던 궁인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행예술을 담당하던 이들을 말한다. 이들은 주로 악가무 일체를 담당하였으며, 연희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기관인 장악원에 소속되어 있었다.

연기 궁인은 조선시대 궁중 연행예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문화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전승자의 고령화와 전수 환경의 변화로 인해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 9월 27일, 충청남도는 연기 궁인의 전승 단절을 우려하여 무형문화재 지정을 해제하였다.

2. 1. 44. 제44호 서천침선장



'''서천 침선장'''은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승되는 전통 침선 기술이다. 침선은 바느질을 통해 옷과 장신구를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는 궁중에 침방(寢房)을 두어 왕실의 의복을 제작하게 했다. 서천 지역은 예로부터 침선 기술이 발달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서천 침선장은 2021년 11월 19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박경숙이 예능보유자로 활동하고 있다. 박경숙은 시어머니인 고(故) 나정례로부터 침선 기술을 전수받았으며, 오랜 기간 동안 전통 방식의 침선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서천 침선장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침선은 단순한 기능적 역할을 넘어 한국의 전통 의생활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무형 유산이다. 서천 침선장은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1. 45. 제45호 공주 의당 집터다지기

공주 의당 집터다지기는 공주시 의당면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동요와 그 행위를 말한다. 1999년 12월 20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월 20일 제45호로 변경되었다.

집터다지기는 집을 짓기 전에 터를 단단하게 다지는 행위를 말하며, 이 과정에서 노동요를 부른다. 의당 집터다지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의당 집터다지기는 민속학적,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1. 46. 제46호 논산 목조각장

요약(summary)에 해당되는 내용과 일치하는 원본 소스(source)가 없습니다. 따라서, '제46호 논산 목조각장' 섹션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1. 47. 제47호 논산 칠장

논산 칠장은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전승되는 전통 옻칠 공예 기술이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을 정제하여 목기에 여러 번 칠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아름다운 광택과 내구성을 가진 칠기를 만드는 기술이다.

논산 지역은 예로부터 옻나무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옻칠 공예가 발달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논산에서 생산된 칠기가 왕실에 진상될 정도로 품질이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논산 칠장은 옻칠의 정제 과정과 칠 기법이 독특하다. 옻나무 수액을 여러 번 거르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도 높은 칠을 얻는다. 또한, 칠을 얇게 여러 번 덧칠하는 방식으로 깊고 은은한 광택을 낸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칠기의 내구성을 높이고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색되지 않는 아름다움을 유지하게 한다.

논산 칠장은 그 역사와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논산 지역에서는 칠장 기능 보유자와 전수자들이 전통 옻칠 공예의 맥을 잇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1. 48. 제48호 보령 석장

보령 석장은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전승되는 석공예 기술을 의미한다. 보령 지역은 예로부터 질 좋은 오석 산지로 유명하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석조물이 제작되었다. 특히, 조선시대부터 보령시 일대에서 생산되는 남포오석은 왕실의 석물 제작에 사용될 정도로 품질이 뛰어났다.

보령 석장은 이러한 오석을 다루는 장인들의 기술과 전통을 담고 있다. 보령 석장들은 섬세하고 정교한 솜씨로 비석, 석탑, 석등 등 다양한 석조물을 제작해왔다.

보령 석장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석을 채취하여 용도에 맞게 자르고 다듬는다. 이후 정, 끌, 망치 등 전통 도구를 사용하여 조각하고 표면을 연마한다. 이 과정에서 숙련된 석장의 기술과 미적 감각이 발휘된다.

보령 석장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석공예 기술로, 충청남도 지역의 석조 문화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2. 1. 49. 제49호 내포 앉은굿

내포 앉은굿은 충청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앉은굿의 한 종류이다. 앉은굿은 무당이 앉아서 굿을 진행하는 형태로, 내포 지역의 앉은굿은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2. 1. 50. 제50호 예산 각자장(목각)

예산 각자장은 충청남도 예산군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통 목각 기술이다. 각자장은 나무 판에 글자나 그림을 새기는 장인을 의미한다.

예산은 조선시대부터 각자 기술이 발달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예산 지역의 사찰에는 각자 기술로 제작된 현판, 불경 판각 등이 많이 남아있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예산 각자장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예산 각자장은 주로 나무의 결을 따라 새기는 전통적인 기법을 사용한다. 제작 과정은 먼저 나무 판을 고르고 다듬은 후, 글자나 그림을 그리고 새기는 순서로 진행된다. 각자 도구로는 칼, 끌, 망치 등이 사용된다. 완성된 작품은 건축물의 현판, 간판, 실내 장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예산 각자장은 섬세하고 정교한 표현이 특징이며,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어 온 한국의 전통 공예 기술 중 하나이다.

2. 1. 51. 제51호 판소리(흥보가)

판소리(흥보가)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51호로 지정되어 있다.

2. 1. 52. 제52호 서천 베틀장

서천군의 베틀 제작 기술과 관련된 무형문화재이다. 베틀은 한국 전통 직조기구로, 삼베, 모시, 명주, 무명 등의 천을 짜는 데 사용된다.

분류: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분류:서천군의 문화재

분류:베틀

2. 1. 53. 제53호 금산 농악



'''금산 농악'''은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전승되는 농악이다.

금산은 차령산맥 줄기에 위치하여 산이 많고, 분지가 발달해 예로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두레 조직을 통해 농사를 지었는데, 자연스럽게 농악이 발달하게 되었다.

금산 농악은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전승되어왔으며, 1960년대까지 활발하게 연행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새마을 운동과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해 전승이 중단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금산 농악은 웃다리 농악의 영향을 받았지만, 지역적인 특색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가락이 빠르고 경쾌하며, 쇠가락과 징가락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개인놀이가 발달하여 쇠잽이, 징잽이, 북잽이, 장구잽이 등 각자의 기량을 뽐내는 순서가 있다.

금산 농악은 2014년 9월 26일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금산농악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2. 1. 54. 제54호 보령 외연도 당제

보령 외연도 당제는 충청남도 보령시 외연도에서 전승되는 당제이다.

3. 해제된 무형문화재

4. 보존 및 전승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는 충청남도에서 지정한 무형문화재이다. 이러한 무형문화재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 및 전승되어야 할 중요한 유산이다. 충청남도 무형문화재의 보존 및 전승을 위해서는 정부, 지방 자치 단체, 관련 단체, 그리고 개인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는 한산소창 직조(서천군), 지승 제작(홍성군), 한산소곡주(서천군), 산유화가(부여군), 보령 남포연 제작(보령시), 계룡백일주(공주시), 공주 탄천장승제(공주시), 청양 정산면 화제(청양군), 서천 대목장(서천군), 아산 연잎주(아산시), 황도 팽기 풍어제(태안군), 서천 모시 팔읍 길쌈놀이(서천군), 연산 백중놀이(논산시), 금산 물페기농요(금산군), 내포제시조(부여군), 소목장(예산군), 금산인삼주(금산군), 결성농요(홍성군), 서천 부채장(서천군),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부여군), 공주 봉현리 상여소리(공주시), 태안 설위설경(태안군), 청양춘포 직조(청양군), 서산 박첨지놀이(서산시), 승무(서산시), 세도 틀풍장(부여군), 내리 단오굿(부여군), 청양 구기자주(청양군), 홍성 용린장(홍성군), 금산 굴석끄기(금산군), 단청장(천안시), 당진 내섬포제(당진시), 홍성 수룡동포제(홍성군), 공주 선학리 지게놀이(공주시), 옹기장(홍성군), 강독사 정규헌(계룡시), 내포 영산대제(예산군), 야금장(홍성군)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