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한파는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 한국의 경제적 성장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에 우호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한다. 냉전 시대에는 일본 우파가 반공주의적 입장에서 대한민국을 지지했으나, 한국의 민주화 이후에는 반일 감정 등으로 인해 거리를 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일본의 좌파 정당들은 위안부 문제 해결, 외국인 참정권 부여 등 친한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친한파 | |
---|---|
친한 (인물) | |
정의 | 대한민국에 호감을 가지고 긍정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외국인 또는 그러한 태도 |
친한파 (정치적 성향) | |
정의 | 대한민국의 이익을 옹호하거나 대한민국과의 우호 관계를 지지하는 정치적 성향 |
특징 | 대한민국의 문화, 역사, 사회 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함. 대한민국과의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과 교류를 지향함.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 및 긍정적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 |
관련 개념 | |
반한 | 대한민국에 대한 반감 또는 적대감을 드러내는 행위나 태도 |
혐한 | 대한민국 또는 한국인에 대한 혐오를 드러내는 행위나 태도 |
지한파 | 대한민국을 잘 아는 외국인을 지칭하는 용어 (반드시 호의적인 의미는 아님) |
2. 정의 및 특징
친한파는 보통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 한국의 경제적 성공과 번영으로 '코리안드림(Korean Dream)'으로 알려진 한국의 이미지를 좋게 생각하는 경향을 가진 사람들을 말한다.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으로 생겨난 '''한류''' 팬들도 친한파에 포함된다. 한국인 특유의 정(情) 문화나 공동체적 질서를 기반으로 한 문화, 한국의 역사 및 전통 문화에 관심을 갖는 외국인도 친한파로 분류할 수 있다. 대한민국과 관련된 외교 분쟁에서 한국 정부 측 주장을 옹호하는 외국인도 친한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친한파라는 표현은 한국 중심적인 개념이므로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한국인을 존경하거나, 한국을 자신의 나라처럼 느끼거나, 한국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2. 1. 용어의 정의
일반적으로 친한파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보통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 한국의 경제적인 성공과 번영과 함께 급증한 그룹으로서, 이른바 '코리안드림(Korean Dream)'으로 알려진 한국의 이미지를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가진 이들을 말한다. 또는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을 통해 생성된 '''한류'''(韓流) 그룹도 여기에 포함되며, 한국인만의 정서, 특히 정(情) 문화로 일컬어지는 한국인만의 독특한 공동체적 질서를 기반으로 한 문화나, 한국의 풍부한 역사 및 전통 문화에 빠져있는 외국인들 역시 경우에 따라 친한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혹은, 대한민국과 관련된 외교적 분쟁에서 대한민국 정부 측 주장을 옹호하는 외국인을 친한파로 지칭하기도 한다.[1]2. 2. 친한파의 특징
친한파는 한국인을 우러러보거나, 한국이 마치 자신의 나라이기도 한 듯한 감정을 가지거나, 한국인에 호의적인 감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3. 냉전 시대 일본 우파의 친한 인식
냉전 시대 일본의 친미 보수파는 한국과 일본 모두 미국의 자본주의 진영(서방 국가)에 속한다는 점에서 북한보다 한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지지했다.[6]
기시 노부스케, 후쿠다 다케오와 같은 인물들은 일본 정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한국 군사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한일 기본 조약 체결 이후, 일본은 한국에 독립 축하금, 기업 기술 이전, ODA, 엔 차관 등 경제 협력을 제공했다.[7] 당시 일본 우익은 한국과의 협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조총련 소속 재일 한국인들이 암살 사건을 일으키는 등 북한 지지자들이 한일 관계를 악화시키려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한편, 일본 좌익은 한국을 박정희 군사 독재 정권으로 규정하고, 김일성의 북한을 지지했다.[8][37]
3. 1. 반공주의와 한일 협력
냉전 시대 친미 보수파는 한국이 일본과 마찬가지로 미국 측 자본주의 (서방 국가) 국가라는 점에서 북한보다 한국을 한반도 유일의 국가로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다.[6]기시 노부스케, 후쿠다 다케오 등은 일본 정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한국 군사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한일 기본 조약 체결 이후에는 일본이 한국에 독립 축하금, 기업의 기술 이전, ODA, 엔 차관 등 다액의 정부 간 경제 협력을 제공했다. 현재 한국의 주요 산업이 해운, 조선, 자동차, 전자, 기계, 제철 등 금융 외의 일본 산업과 유사한 것은 이 때문이다.[7]
당시 일본 우익 진영은 한국 정권과의 협조를 우선시했다. 조총련이 파견한 재일 한국인에 의한 암살 사건 등 재일 북한 지지자들이 한일 관계를 이간질하려는 시도가 잇따랐다. 반면, 당시 일본 좌익 진영은 한국에 부정적이고 북한에 매우 우호적이었다. (납치 문제 이후 현재에도 한국보다 북한에 우호적인 좌파가 존재한다.) 일본 좌파는 "한국을 지배하는 것은 박정희의 군사 독재 정권이며, 일본이나 미국의 지배층과 유착하여 민중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김일성 독재를 "지상의 낙원"이라 칭하며 북한을 한반도의 정통 국가로 전면 지지했다.[8][37]
3. 2. 한일 기본 조약과 경제 협력
기시 노부스케, 후쿠다 다케오 등은 한국 군사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한일 기본 조약 체결 이후에는 일본에서 독립 축하금, 기업의 기술 이전, 다액의 정부 간 경제 협력 (ODA, 엔 차관)이 이루어졌다. 현재 한국의 주요 산업이 해운, 조선, 자동차, 전자, 기계, 제철 등 금융 외의 일본 산업과 흡사한 것은 그 때문이다.[7]3. 3. 일본 좌파의 북한 지지
기시 노부스케, 후쿠다 다케오 등은 일본 정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한국 군사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한일 기본 조약 체결 이후에는 독립 축하금, 기업의 기술 이전, 다액의 정부 간 경제 협력 (ODA, 엔 차관)도 이루어졌다.[7] 당시 일본 좌파는 한국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북한에 매우 호의적이었다. 이들은 "한국은 박정희 군사 독재 정권이 지배하며, 일본이나 미국의 지배층과 유착하여 민중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한을 한반도의 정통 국가로 칭하며, 김일성 독재를 지상의 낙원이라고 옹호하며 전면 지지했다.[8][37]4. 한국 민주화 이후 일본 좌파의 친한 인식 변화
한국이 민주화되면서 일본 좌파 진영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줄어들었다. 2002년 납치 문제에 대한 일본 내 여론이 확정된 이후에도 북한에 호의적인 언행을 하는 친북 극좌 세력보다 중도좌파의 지지가 더 많았고, 이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한국에 더 마음을 쓰게 되었다.[9] 이는 한국에서 민주화 이후 새천년민주당(김대중), 열린우리당(노무현), 더불어민주당(문재인) 등 중도좌파 정당이 집권한 것에도 영향을 받았다.
공산당, 사민당, 구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친한적인 언행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구 민주당은 당내 좌우를 막론하고 친한적인 경향이 강했는데, 구 사회당 계열과 구 민사당 계열은 그 배경이 달랐다. 구 민사당 계열은 냉전 시대 반공주의에 기반한 것이었다. 공명당은 자민당이 야당이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다른 좌파 정당과 협조하여 친한적인 언동을 적극적으로 했다.[9]
일본 정치인들의 주요 친한적 활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치인 | 소속 정당 | 활동 내용 |
---|---|---|
후쿠시마 미즈호 | 사민당 | 변호사 시절부터 위안부 문제 적극 참여, 태평양 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사건 담당, 한국에서 전 위안부 모집,[11] 고노 담화 관련 조사 참여[12] |
마츠이 야요리 | 후쿠시마 미즈호와 함께 1992년 서울 YMCA 아시아 연대 회의 주관, 위안부 피해자 증언 유도[13] | |
오카자키 토미코 | 민주당 → 입헌민주당 |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 제안,[14] 수요 데모 참여 및 반일 시위 응원,[16]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 모임 참가[18] |
카미모토 미에코 | 민주당 → 입헌민주당 | 위안부 문제 법적 해결 요구,[17]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 조기 성립 요구 모임 참가,[18] 이용수를 일본 정부 관계자에게 소개[19] |
엔 요리코 | 민주당 | 위안부 문제 해결 위한 법안 통과 노력,[20] 외국인 참정권 부여 호소[27] |
도이 류이치 | 사민당 | 일한 기독교 의원 연맹 일본 측 대표로 일본의 우상 숭배 죄 사죄,[21]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천황 인사에 대한 비판 성명 발표[29] |
시이 카즈오 | 공산당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회에서 역사 진실 공유 및 영주 외국인에게 피선거권 포함한 지방 참정권 부여 약속[25][26] |
백진훈 | 민주당 → 입헌민주당 | 외국인 참정권 부여 호소,[27] 재일 외국인의 참정권 법안 조기 성립 결의 표명[28] |
지바 케이코 | 민주당 | 김현희 전 사형수의 입국을 초법규적 처분으로 허가[30] |
카사이 료 | 공산당 | 사할린 잔류 한국인 보상 및 지원 위한 한일 양국 기업과 정부 기금 마련 합의,[32][33] 조선왕실의궤 반환 노력,[34] 나눔의 집 방문 및 일본 정부 사죄와 배상 약속[35] |
에다 사츠키 | 민주당 → 입헌민주당 | 방한하여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에 근거가 있다는 견해 제시[36] |
4. 1. 민주화와 인식 변화
한국이 민주화되면서 일본 좌파 진영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줄어들었다. 2002년 납치 문제에 대한 일본 내 여론이 확정된 이후에도 북한에 호의적인 언행을 하는 친북 극좌 세력보다 중도좌파의 지지가 더 많았고, 이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한국에 더 마음을 쓰게 되었다.[9] 이는 한국에서 민주화 이후 새천년민주당(김대중), 열린우리당(노무현), 더불어민주당(문재인) 등 중도좌파 정당이 집권한 것에도 영향을 받았다.공산당, 사민당, 구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친한적인 언행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구 민주당은 당내 좌우를 막론하고 친한적인 경향이 강했는데, 구 사회당 계열과 구 민사당 계열은 그 배경이 달랐다. 구 민사당 계열은 냉전 시대 반공주의에 기반한 것이었다. 공명당은 자민당이 야당이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다른 좌파 정당과 협조하여 친한적인 언동을 적극적으로 했다.[9]
다음은 일본 정치인들의 친한적 활동 사례이다.
- 후쿠시마 미즈호 의원은 변호사 시절부터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태평양 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사건 담당 변호사였으며, 한국에서 배상소송 원고가 될 전 위안부를 모집했다.[11] 1993년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일본 정부의 전 위안부 16명 청취 조사에 옵서버로 참가했다.[12]
- 1992년 8월 서울 YMCA 회관에서 열린 '아시아 연대 회의'는 마츠이 야요리와 후쿠시마 미즈호가 주관했다. 전 위안부 여성들은 일본 정부를 비난했으나, 대만 전 위안부가 일본군에게 친절을 받았다고 하자 발언을 막으려 했다.[13]
- 2002년 7월 18일 참의원 내각위원회에서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의 취지 설명을 했다.[14] 23일 심의에서는 위안부로 나선 송신도의 편지를 낭독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15]
- 2003년 2월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한국 해외 시찰 시 전 위안부 관계자들이 매주 수요일에 하는 항의 행동(수요 데모)에 국회의원 신분으로 참가, 주 대한민국 일본국 대사관에서 열리는 반일 시위를 응원했다. 니시다 쇼지는 이를 매국 행위라고 비판했다.[16]
- 2004년3월 18일 내각위원회에서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위안부 존재를 정부가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규탄하고 법적 해결을 요구했다.[17]
- 2004년 12월 3일 오카자키 토미코 민주당 부대표와 카미모토 미에코는 "피해자와 함께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의 조기 성립을 요구하는 모임"에 참가했다.[18] 같은 날 이용수를 참의원 부의장과 관방장관에게 소개하여 사죄를 실현시켰다.[19]
- 2007년 2월 21일 마이크 혼다의 미국 하원 121호 결의 관련, 미 의회 공청회에서 증언한 이용수를 초청한 집회에서 엔 요리코 의원은 법안 통과를,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전쟁 가해 책임을 언급했다.[20]
- 2007년8월 14일 도이 류이치는 '2007 부산-판문점-평양(PPP) 십자가 대행진'에서 일본인의 우상 숭배 죄를 사죄했다. 김영진 전 농림부 장관은 용서가 최고의 선물이라고 말했다.[21]
- 카미 토모코 의원은 2008년1월 8일 마이크 혼다에게 미국 하원 121호 결의에 대한 사의를 표명했다. 혼다는 일본인에게 죄를 인정하게 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라고 답했다.[22]
- 2008년6월 10일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을 참의원에 제출했다.[23]
- 2008년 8월 11일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후쿠오카시 심포지엄에서 법안 찬동을 호소했다.[24]
- 2009년 1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회에서 일본 공산당 시이 카즈오 위원장은 역사의 진실 공유와 영주 외국인에게 피선거권을 포함한 지방 참정권 부여를 약속했다.[25][26]
- 2009년5월 31일 엔 요리코, 백진훈 의원 등은 외국인 참정권 부여를 호소했다.[27]
- 2009년11월 26일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주최 집회에서 재일 외국인의 참정권 법안 조기 성립 결의를 표명했다.[28]
- 2009년 11월 28일 도이 류이치 의원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일본 천황 인사가 동아시아 국민에게 고통을 준다고 비판했다.[29]
- 지바 케이코 법무대신은 김현희 전 사형수의 입국을 초법규적 처분으로 허가했다.[30]
- 2010년 10월 7일 후지타니 미츠노부, 곤노 히가시 의원 등은 식민지 지배 책임을 인정하고 문제 해결에 전력을 다할 것을 결의했다.[31]
- 2011년2월 25일 카사이 료 의원 등은 사할린 잔류 한국인 보상과 지원을 위한 한일 양국 기업과 정부 기금 마련에 합의했다.[32][33]
- 2011년 4월 29일 일본 공산당 카사이 료 의원은 조선왕실의궤 반환에 노력했다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34]
- 2011년 5월 13일 일한 도서 협정 관련 도서 반환 기념 리셉션에서 일본 공산당 오가타 야스오와 카사이 료 등이 표창받았다.
- 2012년 10월 20일 카사이 료 의원은 나눔의 집을 방문,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약속했다.[35]
- 2013년 4월 25일 고교 무상화 제도 조선학교 적용 요구 원내 집회에 여러 의원들이 참가했다.
- 2013년 12월 18~20일 에다 사츠키는 오카자키 토미코 등과 방한, 조윤선 장관과 면담하여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에 근거가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36]
4. 2. 일본 좌파 정당의 친한 행보
공산당, 사민당, 구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친한적인 언행을 보인 경우가 있다. 특히 구 민주당은 당내 좌우를 막론하고 친한 성향이 강했다.[9]- 후쿠시마 미즈호 의원은 변호사 시절부터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했으며, 태평양 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사건을 담당했다.[10] 다카기 켄이치 등과 함께 한국에서 배상 소송의 원고가 될 전 위안부를 모집했고,[11]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일본 정부의 전 위안부 청취 조사에 옵서버로 참가했다.[12]
- 1992년 8월 서울 YMCA 회관에서 열린 '아시아 연대 회의'는 마츠이 야요리와 후쿠시마 미즈호가 주관했다. 전 위안부 여성들은 회의 석상에서 일본 정부를 비난했으나, 대만인 전 위안부가 일본군에게 친절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시작하자 발언을 제지하려 했다.[13]
- 2002년 7월 18일 참의원 내각 위원회에서 민주당·공산당·사민당 3당이 공동 제출한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에 대해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이 제안 설명을 했다.[14]
- 2003년 2월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한국 해외 시찰 시 전 위안부라고 칭하는 관계자가 매주 수요일에 개인 보상을 요구하며 행하는 항의 행동(수요 데모)에 국회의원의 입장에서 참가하여 일본의 국기에 X표가 쳐진 플래카드 앞에서 주 대한민국 일본국 대사관에서 열리는 반일 시위를 응원했다.[16]
- 2004년 3월 18일 내각 위원회에서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일한 기본 조약 협상에서 위안부의 존재를 정부가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규탄하고, 위안부 문제의 법적 해결을 요구했다.[17]
- 2004년 12월 3일 오카자키 토미코 민주당 부대표와 카미모토 미에코는 "피해자와 함께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의 조기 성립을 요구하는 모임"에 참가했다.[18] 같은 날, 이용수를 참의원 부의장 각다 요시이치와 관방장관 호소다 히로유키에게 소개하여 이 씨에 대한 사죄를 실현시켰다.[19]
- 2007년 2월 21일 마이크 혼다가 미국 하원 121호 결의를 성립시키는 움직임과 연동하여, 미 의회 공청회에서 위안부 증언을 한 이용수를 초청하여 개최한 집회에서 엔 요리코 의원은 "'촉진 법안(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을 통과시켜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싶다"고 말했다.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일본이 아시아에서 존경받는 나라가 되려면 전쟁 가해 책임을 제대로 져야 한다'고 말했다.[20]
- 2007년8월 14일 도이 류이치는 일한 기독교 의원 연맹 일본 측 대표로 '2007 부산-판문점-평양(PPP) 십자가 대행진'에 참가하여 "일본인이 천황을 현인신으로 하는 우상 숭배의 죄를 범하여 한국인에게도 우상 숭배를 강요했을 뿐만 아니라, 식민지와 점령지에 신사와 신궁을 세워 참배를 강요했다"라며 일본인에 대한 용서를 구했다.[21]
- 카미 토모코 의원은 2008년1월 8일 마이크 혼다가 방일했을 때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일본 정부에 공식 사죄를 요구하는 미국 하원 121호 결의 제출을 주도하고 하원에서 의결시킨 것에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22]
- 2008년6월 10일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을 참의원에 제출했다.[23]
- 2008년 8월 11일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후쿠오카시의 가톨릭 교회에서 개최된 심포지엄에서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에 대한 찬동을 호소했다.[24]
- 2009년 1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회에 참석한 시이 카즈오 공산당 위원장은 "역사의 진실을 한일 간 공유하는 것이 우호의 기초"라고 말하며, 영주 외국인에게 선거권뿐만 아니라 피선거권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25][26]
- 2009년5월 31일 엔 요리코·백진훈 의원 등은 "영주 외국인에게 지방 참정권을!" 집회에 참가하여 외국인 참정권 부여를 호소했다.[27]
- 2009년11월 26일 도쿄 나가타초의 중의원 제1의원 회관에서 열린 집회에서 여러 의원들이 재일 외국인의 참정권 법안 조기 성립을 결의했다.[28]
- 2009년 11월 28일, 도이 류이치 의원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본 방문 시 천황에게 정중한 인사를 한 것은 일본의 우경화를 조장하고 한국 및 동아시아 국민에게 고통을 주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29]
- 지바 케이코 법무대신은 김현희 전 사형수의 입국을 초법규적 처분으로 허가했다.[30]
- 2010년 10월 7일, 여러 의원들이 식민지 지배 책임을 인정하고 문제 해결에 전력을 다할 것을 결의했다.[31]
- 2011년2월 25일 카사이 료 의원 등은 사할린 잔류 한국인 보상과 지원을 위해 한일 양국 기업과 정부의 기금 조성에 합의했다.[32][33]
- 2011년 4월 29일 조선일보는 일본 공산당 카사이 료 의원이 조선왕실의궤 반환에 노력했다고 보도했다.[34]
- 2011년 5월 13일 일한 도서 협정에 따른 도서 반환을 기념하는 리셉션에서 일본 공산당의 오가타 야스오 등이 표창받았다.
- 2012년 10월 20일 카사이 료 의원은 경기도광주시나눔의 집을 방문하여 전 위안부들에게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35]
- 2013년 4월 25일 "'고교 무상화' 제도의 조선학교에 대한 즉시 적용과 보조금 부활을 요구하는 원내 집회"에 여러 의원들이 참가했다.
- 2013년 12월 18~20일 에다 사츠키는 오카자키 토미코 등과 방한하여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에 근거가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36]
4. 3. 주요 정치인들의 활동
한국이 민주화되면서 일본 좌파 진영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줄어들었다. 특히 새천년민주당(김대중), 열린우리당(노무현), 더불어민주당(문재인) 등 중도좌파 정당이 집권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화되었다.일본의 공산당, 사민당, 구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친한적인 언행을 보였다. 특히 구 민주당은 당내 좌우를 막론하고 친한적인 경향이 강했다. 공명당은 자민당이 야당이던 시기에 다른 좌파 정당과 협조하여 친한적인 언동을 적극적으로 하였다.[9]
2007년 8월 14일, 도이 류이치는 일한 기독교 의원 연맹 일본 측 대표로 '2007 부산-판문점-평양(PPP) 십자가 대행진'에 참가하여 일본인의 우상 숭배 죄를 사죄했다. 한국의 김영진 전 농림부 장관 등은 "용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선물"이라고 화답했다.[21]
2009년 1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회에 참석한 공산당 시이 카즈오 위원장은 "역사의 진실을 한일 간 공유하는 것이 우호의 기초"라고 말하며, 영주 외국인에게 선거권뿐만 아니라 피선거권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25][26]
2009년 5월 31일, 엔 요리코, 백진훈 의원 등은 "영주 외국인에게 지방 참정권을!" 집회에 참가하여 외국인 참정권 부여를 촉구했다.[27] 2009년 11월 26일에는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 주최하는 긴급 원내 집회에 스에마츠 요시노리, 백진훈 의원 등 여러 의원이 참석하여 재일 외국인의 참정권 법안을 조기에 성립시킬 결의를 표명했다.[28]
2009년 11월 28일, 일한 기독교 의원 연맹 일본 측 회장 도이 류이치 의원은 한국 측 회장인 김영진 의원과 함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본 방문 시 천황에게 정중한 인사를 한 것은 일본의 우경화를 조장한다고 비판하며, 오바마 대통령에게 공개 서한을 보낼 것을 발표했다.[29]
지바 케이코 법무대신은 김현희 전 사형수의 입국을 초법규적 처분으로 허가했다.[30]
2010년 10월 7일, 중의원 제2 의원 회관에서 개최된 "한국·조선의 유족과 함께 유골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국 연락회"에 후지타니 미츠노부, 곤노 히가시 의원 등이 참가하여 일본은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 지배의 책임을 인정하고 문제 해결에 전력을 다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31]
2011년 2월 25일, 카사이 료 의원은 도이 류이치, 곤노 히가시 등과 한국 국회 인권 포럼 대표 황우여 의원 등과 협의회를 개최, 사할린 잔류 한국인의 보상과 지원을 위해 한일 양국 기업과 정부가 기금을 내 재단을 설립하는 안에 합의했다.[32][33]
2011년 4월 29일, 일한 도서 협정과 관련된 도서 인도에 관해 일본 공산당 카사이 료 중의원 의원이 2007년부터 노력한 것을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카사이는 "일본 정부가 당연히 반환해야 한다"고 말했다.[34]
2011년 5월 13일, 한반도 유래 도서 1205권을 한국 측에 인도하는 것을 기념하는 리셉션에서 일본 공산당 오가타 야스오와 카사이 료, 민주당 이시게 에이코, 사민당 핫토리 료이치 의원 등이 표창되었다.
2013년 4월 25일, "'고등학교 무상화' 제도의 조선학교에 대한 즉시 적용과 보조금 부활을 요구하는 원내 집회"에 사민당, 민주당, 일본 미래당 의원 등이 참가해 조선학교에 "무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표명했다.
4. 3. 1. 위안부 문제 관련 활동
후쿠시마 미즈호 의원은 국회의원에 당선되기 전 변호사 시절부터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했다. 태평양 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사건을 담당한 변호사 중 한 명이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초창기부터 문제 제기에 큰 역할을 했다.[10]。다카기 켄이치 등과 함께 한국에서 배상소송의 원고가 될 전 위안부를 모집했고,[11]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을 인정한 1993년의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일본 정부의 한국 전 위안부 16명 청취 조사에 옵서버로 참가했다.[12]。1992년 8월 서울 YMCA 회관에서 열린 '아시아 연대 회의'는 마츠이 야요리와 후쿠시마 미즈호가 주관했다. 전 위안부 여성들은 회의에서 사전에 일본인과 한국인 스탭에게 지시받은 대로 비극적인 체험을 이야기하고 일본 정부를 비난했다. 대만인 전 위안부가 일본군에게 친절을 받았다고 하자, 마츠이와 후쿠시마가 당황하여 발언을 막으려 했다고 한다. 태국인 여성이 "일본 군대만 때리지 마라! 영국 군대가 더 나빴다"라고 하자, 마츠이와 후쿠시마가 억눌렀다.[13]。
2002년 7월 18일 참의원 내각 위원회에서 민주당·공산당·사민당 3당이 공동 제출한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에 대해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이 제안자를 대표하여 취지 설명을 했다.[14]。23일 심의에서는 위안부였던 송신도의 편지를 낭독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15]。
2003년 2월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한국 국외 시찰 시 전 위안부라고 하는 관계자가 매주 수요일에 개인 보상을 요구하며 벌이는 항의 행동(수요 데모)에 국회의원 신분으로 참가, 일본의 국기에 X표가 쳐진 플래카드 앞에서 주먹을 들고 주 대한민국 일본국 대사관에서 열리는 반일 시위를 응원했다.
2004년 3월 18일 내각 위원회에서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일한 기본 조약 협상에서 위안부의 존재를 정부가 인식하지 못했음을 규탄하며, 위안부라고 하는 여성들의 요구하는 법적 해결을 요구했다.[17]。
2004년 12월 3일 오카자키 토미코민주당 부대표와 카미모토 미에코는 "피해자와 함께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의 조기 성립을 요구하는 모임"에 참가했다.[18]。같은 날,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과 함께 이용수를 참의원 부의장 각다 요시이치와 관방장관 호소다 히로유키 의원에게 소개하여 이 씨에 대한 사죄를 받아냈다.[19]。
2007년 2월 21일 마이크 혼다가 미국 하원 121호 결의를 성립시키려는 움직임에 맞춰, 미 의회 공청회에서 위안부였다고 증언한 이용수를 초청하여 개최한 집회에서 엔 요리코 의원은 "'촉진 법안(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이 (심의되지 않고) 계류 중이다. 법안을 통과시켜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싶다. 정기국회에서 심의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피해자의 증언은) 일본 국회가 해야 할 일이다. 미국에서 먼저 실현되어 부끄럽다. 일본이 아시아에서 존경받는 나라가 되려면 전쟁 가해 책임을 확실히 지고 주변 국가들과 우호를 다져야 한다'고 말했다.
2008년 6월 10일,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을 참의원에 제출했다.[23]。같은 해 8월 11일, 후쿠오카시의 가톨릭 교회에서 개최된 심포지엄 '미국 의회 결의 1주년을 맞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에 참가하여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에 대한 찬동을 호소했다.[24]。
2012년 10월 20일 카사이 료 의원은 경기도광주시나눔의 집을 이씨 조선 시대 문화재 반환 문제로 교류해 온 이원과 함께 방문했다. 전 위안부라고 하는 한국인 6명에게 "6명이 살아있는 동안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카사이의 방문은 나눔의 집의 초청으로 일본 국회의원들에게 초대장을 보냈지만, 실제로 방문한 것은 카사이가 처음이었다. 카사이는 "과거 식민지 지배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청산이 고통과 슬픔에 답하는 길이며 한일 관계 문제 해결로 이어진다"고 말했다.[35]。
2013년 12월 18일부터 20일까지 전후 보상을 생각하는 의원 연맹 사무국장 에다 사츠키는 오카자키 토미코 등과 방한했다. 한국 여성가족부 조윤선 장관과 면담하여,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에는 근거가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36]。
4. 3. 2. 한일 의원 교류 및 협력
일본의 사민당, 구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친한적인 언행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구 민주당은 당내 좌우를 막론하고 친한적인 경향이 강했다. 공명당은 자민당이 야당이 되었을 때 다른 좌파 정당과 협조하여 친한적인 언동을 적극적으로 하였다.[9]- 후쿠시마 미즈호 의원은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하며, 태평양 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사건을 담당한 변호사 중 한 명이었다.[10] 다카기 켄이치 등과 함께 한국에서 배상 소송의 원고가 될 전 위안부를 모집했고,[11]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일본 정부의 전 위안부 청취 조사에 옵서버로 참가했다.[12]
- 1992년 8월 서울 YMCA 회관에서 열린 '아시아 연대 회의'는 마츠이 야요리와 후쿠시마 미즈호가 주관했다. 전 위안부 여성들은 사전에 일본인과 한국인 스탭에게 지도받은 대로 일본 정부를 비난했다. 대만인 전 위안부가 일본군에게 친절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하자, 발언을 막으려 했다고 한다.[13]
- 2002년 7월 18일 참의원 내각 위원회에서 민주당·공산당·사민당 3당이 공동 제출한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에 대해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이 제안 설명을 했다.[14] 23일 심의에는 송신도가 쓴 편지를 낭독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15]
- 2003년 2월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한국 해외 시찰 시 전 위안부 관계자가 매주 수요일에 개인 보상을 요구하며 행하는 수요 데모에 참가하여 주 대한민국 일본국 대사관에서 열리는 반일 시위를 응원했다. 니시다 쇼지는 이를 "일본인의 혈세를 사용하여 외국인에게만 돈을 주려는 행동", "매국"이라고 비판했다.[16]
- 2004년 3월 18일 내각 위원회에서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일한 기본 조약 협상에서 위안부의 존재를 정부가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규탄하고, 법적 해결을 요구했다.[17]
- 2004년 12월 3일 오카자키 토미코 민주당 부대표와 카미모토 미에코는 "피해자와 함께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의 조기 성립을 요구하는 모임"에 참가했다.[18] 같은 날, 이용수를 참의원 부의장과 내각관방장관에게 소개하여 사죄를 실현시켰다.[19]
- 2007년 2월 21일 마이크 혼다가 미국 하원 121호 결의를 성립시키는 움직임과 연동하여, 미 의회 공청회에서 위안부를 자칭하며 증언한 이용수를 초청하여 개최한 집회에서 엔 요리코 의원은 "법안을 통과시켜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싶다"고 말했다. 오카자키 토미코 의원은 '일본이 아시아에서 존경받는 나라가 되려면 전쟁 가해 책임을 제대로 져야 한다'고 말했다.[20]
- 2007년 8월 14일 도이 류이치는 일한 기독교 의원 연맹 일본 측 대표로 '2007 부산-판문점-평양(PPP) 십자가 대행진'에 참가하여 일본인의 우상 숭배 죄를 사죄했다. 한국의 김영진 전 농림부 장관 등은 "용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선물"이라고 말했다.[21]
- 카미 토모코 의원은 2008년 1월 8일 마이크 혼다가 방일했을 때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를 요구하는 결의를 주도하고 의결시킨 것에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 혼다는 "종군 위안부 문제로 일본인에게 죄를 인정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지만 여러분과 같은 마음이다"라고 답했다.[22]
- 2008년 6월 10일 카미모토 미에코 의원은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을 참의원에 제출했다.[23] 8월 11일에는 후쿠오카시의 가톨릭 교회에서 개최된 심포지엄에 참가하여 법안에 대한 찬동을 호소했다.[24]
- 2009년 1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회에 참석한 공산당 시이 카즈오 위원장은 "역사의 진실을 한일 간 공유하는 것이 우호의 기초"라고 말하며, 영주 외국인에게 선거권뿐만 아니라 피선거권도 줘야 한다고 말했다.[25][26]
- 2009년 5월 31일 엔 요리코, 백진훈 의원 등은 "영주 외국인에게 지방 참정권을!" 집회에 참가하여 외국인 참정권 부여를 호소했다.[27] 11월 26일에는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 주최하는 긴급 원내 집회에 참가하여 재일 외국인의 참정권 법안을 조기에 성립시킬 결의를 표명했다.[28]
- 2009년 11월 28일 일한 기독교 의원 연맹 일본 측 회장 도이 류이치 의원은 한국 측 회장인 김영진 의원과 함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본 방문 시 천황에게 정중한 인사를 한 것은 일본의 우경화를 조장한다고 비판하며, 오바마 대통령에게 공개 서한을 보낼 것을 발표했다.[29]
- 2010년 10월 7일 중의원 제2 의원 회관에서 개최된 "한국·조선의 유족과 함께 유골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국 연락회"에 후지타니 미츠노부, 곤노 히가시 의원 등이 참가하여 일본국은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 지배의 책임을 인정하고 문제 해결에 전력을 다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31]
- 2011년 2월 25일 카사이 료 의원은 도이 류이치, 곤노 히가시 등과 한국 국회 인권 포럼 대표 황우여 의원 등과 협의회를 개최, 사할린 잔류 한국인의 보상과 지원을 위해 한일 양국 기업과 정부가 기금을 내 재단을 설립하는 안에 합의했다.[32][33]
- 2011년 4월 29일 일한 도서 협정과 관련된 도서 인도에 관해 일본 공산당 카사이 료 중의원 의원이 2007년부터 분주했던 것을 조선일보가 전했다. 카사이는 "일본 정부가 당연히 반환해야 한다"고 말했다.[34]
- 2011년 5월 13일 한반도 유래 도서 1205권을 한국 측에 인도하는 것을 기념하는 리셉션에서 일본 공산당 오가타 야스오와 카사이 료, 민주당 이시게 에이코, 사민당 핫토리 료이치 의원 등이 표창되었다.
- 2013년 4월 25일 "'고등학교 무상화' 제도의 조선학교에 대한 즉시 적용과 보조금 부활을 요구하는 원내 집회"에 사민당, 민주당, 일본 미래당 의원 등이 참가해 조선학교에 "무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표명했다.
- 2013년 12월 18일~20일 전후 보상을 생각하는 의원 연맹 사무국장 에다 사츠키는 오카자키 토미코 등과 방한, 한국 여성가족부 장관과 면담하여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에는 근거가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36]
4. 3. 3. 외국인 참정권 문제
일본 내 외국인 참정권 문제와 관련하여, 공산당, 사민당, 구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친한적인 언행을 보여왔다.[9] 특히 구 민주당은 당내 좌우를 막론하고 친한 경향이 강했다. 공명당은 자민당이 야당이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다른 좌파 정당과 협조하여 적극적으로 친한 행보를 보였다.[9]2009년 1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회에서 일본 공산당 시이 카즈오 위원장은 "역사의 진실을 한일 간 공유하는 것이 우호의 기초"라고 언급하며, 지방 참정권에 대해 "영주 외국인에게 선거권뿐만 아니라 피선거권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5][26]
2009년 5월 31일, 엔 요리코, 백진훈 의원 등은 "영주 외국인에게 지방 참정권을!" 집회에 참가하여 외국인 참정권 부여를 호소했다.[27]
2009년 11월 26일,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등은 '영주 외국인의 지방 참정권 법안 조기 입법화'를 요구하는 원내 집회를 개최했고, 스에마츠 요시노리, 백진훈 의원 등 여러 의원이 참석하여 재일 외국인의 참정권 법안 성립 의지를 표명했다.[28]
5. 한국 민주화 이후 일본 우파의 한국 비판
일본 보수파 의원들은 냉전 시대에는 소련, 중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에 맞서는 반공주의 보루로서 한국을 지지하는 친한 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민주화와 냉전 종식 이후 한국에서 반일 감정이 커지고 일본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37][38] 일본 보수파는 한국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5. 1. 반일 감정과 거리 두기
일본 보수파 의원들은 냉전 시대에는 소련, 중국, 북한 등에 대항하는 반공주의의 보루로서 기본적으로 친한 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민주화와 냉전 종결 이후, 일본을 깎아내리고 통쾌함을 외치는 한국의 국민적 운동[37] 등 반일적이고 일본을 비판하는 한국의 실태가 알려지면서[38], 한국에 대해 거리를 두거나 비판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보수계 단체나 우익 단체 중에서는 독도 반환이나 재일 특권 폐지 등 반(反) 한국 슬로건을 내세우는 단체도 나타났다.구로다 가쓰히로 산케이 신문 서울 주재 객원 논설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명예 훼손으로 한국 검찰 당국이 산케이 신문 서울 지국장을 기소한 것에 대해 "한국에서 군인 정권 시대가 끝나고 언론의 자유가 있는 민주화 이후 일본 언론이 법정에 서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첫 번째는 김영삼 정권 시절인 1993년에 후지 TV 서울 지국장이 체포, 기소된 사건인데, 공교롭게도 두 사건 모두 본래 보수·'''친한'''적이었던 후지산케이 그룹이 한국의 법적 처벌 대상이 되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고 밝혔다.[6]
그러나 2014년 한일 관계에서도 새누리당, 통일교 및 그 관련 단체인 국제승공연합, 세계평화여성연합 등 한국의 정치인이나 종교 단체와 관계가 깊은 보수계 의원도 소수 존재한다. (노다 다케시, 가와무라 다케오, 야가와 야이치 등) 특이한 예로 차세대당의 다누마 다카시는 역사 문제 등에서 반(反) 한국적 입장을 보이면서도, 통일교 주최의 '글로벌 유스 페스티벌 2014'에 귀빈으로 참가하여 인사하는 등 통일교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39]
5. 2. 보수 단체의 반한 슬로건
한국의 민주화와 냉전 종결 이후, 일본을 깎아내리고 통쾌함을 외치는 한국의 국민적 운동[37] 등 반일·비일적인 한국의 실태가 알려지면서[38], 일본 보수파 의원들은 한국에 대해 거리를 두거나 비판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보수계 단체나 우익 단체에서는 독도 반환이나 재일 특권 폐지 등 반(反) 한국 슬로건을 내세우는 경우가 나타났다.구로다 가쓰히로산케이 신문 서울 주재 객원 논설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명예 훼손으로 한국 검찰 당국이 산케이 신문 서울 지국장을 기소한 것에 대해, "언론의 자유가 있는 민주화 이후 일본 미디어가 법정에 서는 것은 두 번째이며, 첫 번째는 김영삼 정권 1993년 후지 TV 서울 지국장이 체포, 기소된 것이다. 본래 보수·'''친한'''적이었던 후지산케이 그룹이 한국의 법적 처벌 대상이 된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고 언급했다.[6]
그러나 2014년 한일 관계에서도 새누리당, 통일교 및 그 관련 단체인 국제승공연합·세계평화여성연합 등 한국의 정치인이나 종교 단체와 관계가 깊은 보수계 의원도 일부 존재한다.
5. 3. 언론 탄압 사례
구로다 가쓰히로 산케이 신문 서울 주재 객원 논설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한국 검찰 당국이 산케이 신문 서울 지국장을 기소한 것에 대해 "한국에서 군인 정권 시대가 끝나고 언론의 자유가 있는 민주화 이후에 일본의 미디어가 법정에 서는 것은 이것이 두 번째이다. 그리고 그 첫 번째는 김영삼 정권의 1993년에 후지 TV·서울 지국장이 체포, 기소되었는데, 모두 본래는 보수·'''친한'''적이었던 후지산케이 그룹이 한국의 법적 처벌 대상이 된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라고 밝혔다.[6]5. 4. 일부 보수파의 친한 행보
한국의 민주화와 냉전 종결 이후, 일본을 깎아내리고 통쾌함을 외치는 한국의 국민적 운동[37] 등 반일·비일적인 한국의 실태가 알려지면서[38] 일본 보수파 의원들은 한국에 대해 거리를 두거나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14년 한일 관계에서도 새누리당, 통일교 및 그 관련 단체인 국제승공연합·세계평화여성연합 등 한국의 정치인이나 종교 단체와 관계가 깊은 노다 다케시, 가와무라 다케오, 야가와 야이치 등의 보수계 의원도 소수 존재한다.[39]참조
[1]
웹사이트
2017 BBC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BBCワールドサービス
2021-06-18
[2]
웹사이트
2014 BBC World Service poll
http://downloads.bbc[...]
BBCワールドサービス
2021-06-19
[3]
웹사이트
【浜崎洋介】「日韓炎上」の底にあるもの――国が国であることの難しさ
https://the-criterio[...]
2020-08-29
[4]
웹사이트
韓国社会を席巻した左翼勢力の実態
https://ippjapan.org[...]
2020-08-29
[5]
뉴스
安倍首相も一時は親韓派だった…突然、幕を下ろした‘安倍時代’日韓関係=韓国報道
https://www.wowkorea[...]
2020-08-30
[6]
뉴스
産経前ソウル支局長起訴:検察と裁判所の戦いへ
https://www.huffingt[...]
2014-10-11
[7]
뉴스
私とサムスンの李さんとの和解
https://toyokeizai.n[...]
2012-08-01
[8]
웹사이트
海外の論調
http://www.pwpa-j.ne[...]
世界平和教授アカデミー
2020-08-29
[9]
뉴스
「慰安婦」問題 連立政権誕生を受け、今こそ立法による解決を
http://www.liveinpea[...]
[10]
뉴스
1992-01-11
[11]
웹사이트
【阿比留瑠比の極言御免】慰安婦問題の発火点、日本人弁護士の画策(1/3ペー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11-15
[12]
웹사이트
【阿比留瑠比の極言御免】慰安婦問題の発火点、日本人弁護士の画策(3/3ペー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11-15
[13]
뉴스
2014-07-03
[14]
뉴스
【参院内閣委】岡崎議員、戦時性的強制被害者問題法案の趣旨を説明
http://www.dpj.or.jp[...]
民主党 (日本 1998-2016)
2002-07-18
[15]
뉴스
【参院内閣委】戦時性的強制被害者問題法案、審議入り
http://www.dpj.or.jp[...]
民主党 (日本 1998-2016)
2002-07-23
[16]
문서
2010年10月14日 参議院予算委員会
[17]
뉴스
人権教育と慰安婦問題で政府の姿勢を質す
http://www.kamimoto-[...]
神本みえ子
2004-03-18
[18]
뉴스
岡崎副代表、戦時性的強制被害者問題解決促進法案早期成立へ決意
http://www.dpj.or.jp[...]
民主党 (日本 1998-2016)
2004-12-03
[19]
뉴스
官房長官、「心より反省し、お詫び申し上げる」
http://www.kamimoto-[...]
神本みえ子
2004-12-03
[20]
뉴스
国会議員、市民団体ら 参院議員会館で集会 「慰安婦」解決促進法、早期制定を
http://www1.korea-np[...]
2007-03-02
[21]
웹사이트
日本の土肥隆一議員ら、過去史に対する謝罪文発表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09-14
[22]
뉴스
米下院「慰安婦」決議の提出者 ホンダ議員が参院訪問
http://www.jcp.or.jp[...]
2008-01-09
[23]
뉴스
戦時性的強制被害者問題解決促進法案を参議院へ提出
http://www.kamimoto-[...]
神本みえ子
2008-06-10
[24]
뉴스
「アジア・太平洋地域の戦争犠牲者に思いを馳せ、心に刻む集会」第22回報告 世界の決議に応え「慰安婦」集会が各地で
http://www.jca.apc.o[...]
アジア・太平洋地域の戦争犠牲者に思いを馳せ、心に刻む集会
[25]
문서
日本共産党は外国人の国政への参政権を認めていないが、地方参政権に関しては最高裁判所 (日本)|最高裁判例に従い認めている
[26]
뉴스
民団の新年会に志位委員長が出席
http://www.jcp.or.jp[...]
2009-01-10
[27]
뉴스
◆永住外国人に地方参政権を求め集会
http://mindan-tokyo.[...]
在日本大韓民国民団
2009-05-31
[28]
뉴스
永住外国人の地方参政権法案の早期立法化を求める緊急院内集会
http://www.peace-for[...]
フォーラム平和・人権・環境
2009-11-26
[29]
뉴스
キムヨンジン議員、日本の国会議員・土肥隆一議員と共同で、オバマ大統領に謝罪を要求
http://news.donga.co[...]
2011-03-12
[30]
뉴스
金賢姫元死刑囚:入国、政治判断でクリア 「特例」で
http://mainichi.jp/s[...]
2010-07-24
[31]
뉴스
「韓国・朝鮮の遺族とともに」全国連絡会遺族招へい行動・第3回証言集会
http://www.peace-for[...]
フォーラム平和・人権・環境
2010-10-07
[32]
뉴스
韓日国会議員、東京でサハリン残留韓国人問題を論議
http://www.wowkorea.[...]
2011-02-25
[33]
뉴스
強制徴用被害者への補償、韓日官民の共同解決を推進
https://jp.yna.co.kr[...]
2011-02-27
[34]
뉴스
「朝鮮王室儀軌」引き渡しに奔走した韓日の主役たち(下)
http://www.chosunonl[...]
2011-04-29
[35]
뉴스
「謝罪聞くまで死ねない」 笠井議員に「慰安婦」女性、涙の訴え 「ナヌムの家」訪問
https://www.jcp.or.j[...]
2012-10-20
[36]
뉴스
韓国女性家族部長官が日本議員と面談=慰安婦問題で
https://jp.yna.co.kr[...]
2013-12-20
[37]
웹사이트
これが「卑日」だったのか――世界遺産妨害の次は天皇提訴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15-07-23
[38]
웹사이트
「目下の日本」からドルは借りない 韓国は「反日」から「卑日」国家へ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15-02-15
[39]
뉴스
統一教会が幕張で大集会、自民・次世代の現職国会議員も出席
http://dailycult.blo[...]
2014-09-26
[40]
웹인용
2017 BBC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BBC 월드 서비스
2017-07-04
[41]
웹인용
2014 BBC World Service poll
http://downloads.bbc[...]
BBC 월드 서비스
2014-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