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궁가 (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가(宮家)는 조선 시대 왕과 왕비, 그리고 그들의 자녀를 포함한 왕족을 의미한다. 태조, 태종, 세종 대왕을 비롯한 조선의 역대 왕들은 많은 수의 왕자들을 두었으며, 이들은 궁가에 속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조선 중기에는 중종, 명종 대왕 등의 왕자들이 있었고, 후기에는 경종, 영조, 숙종 등의 왕자들이 기록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고종 황제와 순종 황제, 그리고 의민태자, 회은 황태손 등이 황족으로 존재했다.

2. 조선의 궁가

태조에게는 8명의 아들이 있었다. 신의왕후 한씨 소생으로는 진안대군 방우(1354년생), 영안대군 방과(1357년생, 정종), 익안대군 방의(1360년생), 회안대군 방간(1364년생), 정안대군 방원(1367년생, 태종), 덕안대군 방연(생몰년 미상)이 있었다. 신덕왕후 강씨 소생으로는 무안대군 방번(1381년생)과 의안대군 방석(1382년생)이 있었다.[3] 이 중 무안대군과 의안대군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사망했다.

태종에게는 12명의 아들이 있었다. 원경왕후 민씨 소생으로는 양녕대군 제(1394년생, 1418년 폐세자[4]), 효령대군 보(1395년생), 충녕대군 도(1397년생, 세종), 성녕대군 종(1405년생)이 있었다. 그 외 경녕군 비(1402년생), 함녕군 인(1402년생), 온녕군 정(1407년생), 혜령군 지(1407년생), 근녕군 농(1411년생), 희령군 타(1412년생), 후령군 간(1419년생), 익녕군 치(1422년생)가 있었다.[5][6][7][8][9]

세종에게는 18명의 아들이 있었다. 소헌왕후 심씨 소생으로는 문종(1414년생), 수양대군 유(1417년생, 세조), 안평대군 용(1418년생, 1453년 사사[10]), 임영대군 구(1420년생), 광평대군 여(1425년생), 금성대군 유(1426년생, 1457년 사사[12]), 평원대군 임(1427년생), 영응대군 염(1434년생)이 있었다. 그 외 화의군 영(1425년생), 계양군 증(1427년생), 의창군 공(1428년생), 한남군 어(1429년생), 밀성군 침(1430년생), 수춘군 현(1431년생), 익현군 련(1431년생), 영풍군 전(1434년생), 영해군 당(1435년생), 담양군 거(1439년생)가 있었다.[11][13][14][15]

2. 1. 조선 초기 (태조 ~ 세종)

태조에게는 8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신의왕후 한씨 소생으로 진안대군 방우(1354년생), 영안대군 방과(1357년생, 정종), 익안대군 방의(1360년생), 회안대군 방간(1364년생), 정안대군 방원(1367년생, 태종), 덕안대군 방연(생몰년 미상)이 있었고, 신덕왕후 강씨 소생으로는 무안대군 방번(1381년생)과 의안대군 방석(1382년생)이 있었다.[3] 이 중 무안대군과 의안대군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사망했다.

태종에게는 12명의 아들이 있었다. 원경왕후 민씨 소생으로는 양녕대군 제(1394년생, 1418년 폐세자[4]), 효령대군 보(1395년생), 충녕대군 도(1397년생, 세종), 성녕대군 종(1405년생)이 있었고, 그 외 경녕군 비(1402년생), 함녕군 인(1402년생), 온녕군 정(1407년생), 혜령군 지(1407년생), 근녕군 농(1411년생), 희령군 타(1412년생), 후령군 간(1419년생), 익녕군 치(1422년생)가 있었다.[5][6][7][8][9]

세종에게는 18명의 아들이 있었다. 소헌왕후 심씨 소생으로는 문종(1414년생), 수양대군 유(1417년생, 세조), 안평대군 용(1418년생, 1453년 사사[10]), 임영대군 구(1420년생), 광평대군 여(1425년생), 금성대군 유(1426년생, 1457년 사사[12]), 평원대군 임(1427년생), 영응대군 염(1434년생)이 있었다. 그 외 화의군 영(1425년생), 계양군 증(1427년생), 의창군 공(1428년생), 한남군 어(1429년생), 밀성군 침(1430년생), 수춘군 현(1431년생), 익현군 련(1431년생), 영풍군 전(1434년생), 영해군 당(1435년생), 담양군 거(1439년생)가 있었다.[11][13][14][15]

2. 1. 1. 태종

태종에게는 왕자 12명과 왕녀 17명이 있었다. 이 중 '''세종대왕'''은 셋째 아들로, 1397년에 태어나 1450년에 사망했으며, 소헌왕후 심씨를 배우자로 맞이했다. 세종은 조선의 제4대 국왕이다.[4]

태종의 첫째 아들은 양녕대군 제(禔)로, 1394년에 태어나 1462년에 사망했다. 원경왕후 민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수성부부인 김씨와 숙빈 김씨이다. 태종 18년(1418년)에 폐세자 되었다. 둘째 아들은 효령대군 보(𥙷)로, 1395년에 태어나 1486년에 사망했다. 원경왕후 민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예성부부인 정씨이다. 넷째 아들 경녕군 비(裶)는 1402년에 태어나 1458년에 사망했다. 효빈 김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청원부부인 김씨이다. 다섯째 아들 함녕군 인(䄄)은 1402년에 태어나 1467년에 사망했다. 신빈 신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군부인 전주 최씨이다. 여섯째 아들 성녕대군 종(褈)은 1405년에 태어나 1418년에 사망했다. 원경왕후 민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삼한국대부인 성씨이다.

일곱째 아들 온녕군 정(䄇)은 1407년에 태어나 1454년에 사망했다. 신빈 신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익산군부인 박씨이다. 여덟째 아들 혜령군 지(祉)는 1407년에 태어나 1440년에 사망했다. 선빈 안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낙안군부인 윤씨이다. 아홉째 아들 근녕군 농(禯)은 1411년에 태어나 1461년에 사망했다. 정빈 고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태안군부인 허씨이다. 열째 아들 희령군 타(𥙇)는 1412년에 태어나 1465년에 사망했다. 숙의 최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군부인 순창 신씨와 군부인 평산 신씨이다. 열한번째 아들 후령군 간(𥘏)은 1419년에 태어나 1450년에 사망했다. 이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군부인 평산 신씨이다. 열두번째 아들 익녕군 치(袳)는 1422년에 태어나 1464년에 사망했다. 선빈 안씨 소생이며, 배우자는 군부인 운봉 박씨이다.

이 외에도 요절한 왕자들이 있었다.[5][6][7][8][9]

2. 1. 2. 세종

'''세종대왕'''(世宗, 1397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국왕이다. 휘는 도(祹), 본관은 전주, 자는 원정(元正)이다.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이다. 비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충녕대군으로 불렸으며, 1418년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같은 해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4]

2. 2. 조선 중기 (중종 ~ 선조)

조선 중종 연간의 왕자는 다음과 같다.

군호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복성군미 嵋1509년 - 1533년경빈 박씨군부인 파평 윤씨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폐출
중종 28년(1533년) 사사됨[16]
2해안군희 㟓1511년 - 1573년숙의 홍씨진산군부인 유씨
익창군부인 신씨
3금원군영 岺1513년 - 1562년희빈 홍씨파징군부인 정씨
4인종대왕호 岵1515년 - 1545년장경왕후인성왕후 박씨제12대 국왕
5영양군거 岠1521년 - 1561년창빈 안씨경양군부인 안씨
6덕양군기 岐1524년 - 1581년숙의 이씨영가군부인 권씨
7봉성군완 岏1528년 - 1547년희빈 홍씨군부인 동래 정씨정미사화에 연루되어 사사됨[17]
-왕자[18]1528년 - 1528년귀인 한씨
8덕흥대원군초 岹1530년 - 1559년창빈 안씨하동부대부인 정씨제14대 국왕 선조의 아버지
9명종대왕
경원대군
환 峘1534년 - 1567년문정왕후인순왕후 심씨제13대 국왕
-왕자[19]rowspan="3" |생몰년 미상희빈 홍씨colspan="2" rowspan="4" |
-왕자[19]
-왕자[19]
-왕자[20]이수
頤壽
창빈 안씨


2. 2. 1. 중종

조선 중종 연간의 왕자는 다음과 같다.

군호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복성군 福城君미 嵋1509년 - 1533년경빈 박씨군부인 파평 윤씨 郡夫人 坡平 尹氏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폐출
중종 28년(1533년) 사사됨[16]
2해안군 海安君희 㟓1511년 - 1573년숙의 홍씨진산군부인 유씨 晉山郡夫人 柳氏
익창군부인 신씨 益昌郡夫人 愼氏
3금원군 錦原君영 岺1513년 - 1562년희빈 홍씨파징군부인 정씨 波澄郡夫人 鄭氏
4인종대왕 仁宗大王호 岵1515년 - 1545년장경왕후 윤씨인성왕후 박씨 仁聖王后 朴氏제12대 국왕
5영양군 永陽君거 岠1521년 - 1561년창빈 안씨경양군부인 안씨 景陽郡夫人 安氏
6덕양군 德陽君기 岐1524년 - 1581년숙의 이씨영가군부인 권씨 英嘉郡夫人 權氏
7봉성군 鳳城君완 岏1528년 - 1547년희빈 홍씨군부인 동래 정씨 郡夫人 東萊 鄭氏정미사화에 연루되어 사사됨[17]
-[18]귀인 한씨
8덕흥대원군 德興大院君초 岹1530년 - 1559년창빈 안씨하동부대부인 정씨 河東府大夫人 鄭氏제14대 국왕 선조의 아버지
9명종대왕 明宗大王
경원대군 慶原大君
환 峘1534년 - 1567년문정왕후 윤씨인순왕후 심씨 仁順王后 沈氏제13대 국왕
-[19]rowspan="3" |생몰년 미상희빈 홍씨colspan="2" rowspan="4" |
-[19]
-[19]
-[20]이수
頤壽
창빈 안씨


2. 2. 2. 선조

세조대왕 '''世祖大王'''(1417년 - 1468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며, 배우자는 정희왕후 윤씨 貞熹王后 尹氏이다.[10] 조선의 제7대 국왕이다.

안평대군 安平大君(1418년 - 1453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며, 배우자는 부부인 연일 정씨 府夫人 鄭氏이다.[10] 육종영 중 한사람이며, 단종 1년(1453년)에 사사되었다.

임영대군 臨瀛大君(1420년 - 1469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다.[11] 배우자는 의령 남씨 宜寧 南氏,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 齊安府夫人 崔氏, 부부인 안동 안씨 府夫人 安氏이다. 연산군비 폐비 신씨의 외조부이며, 중종비 단경왕후의 외증조부이다.

광평대군 廣平大君(1425년 - 1444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며, 배우자는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永嘉府夫人 申氏이다.[11]

금성대군 錦城大君(1426년 - 1457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며, 배우자는 완산부부인 전주 최씨 完山府夫人 崔氏이다.[12] 육종영 중 한사람이며, 세조 3년(1457년)에 사사되었다.

평원대군 平原大君(1427년 - 1445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며, 배우자는 강녕부부인 남양 홍씨 江寧府夫人 洪氏이다.[13]

영응대군 永膺大君(1434년 - 1467년)은 소헌왕후의 아들이다.[14] 배우자는 대방부부인 여산 송씨 帶方府夫人 宋氏,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 春城府夫人 鄭氏,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 延城府夫人 金氏이다.

2. 3. 조선 후기 (숙종)

경종대왕은 이름이 윤(昀)이며, 1688년에 태어나 1724년에 사망했다.[24] 희빈 장씨의 아들로, 단의왕후 심씨와 선의왕후 어씨를 왕비로 맞이했다. 조선의 제20대 국왕이다.

경종에게는 성수(盛壽)와 영수(永壽)라는 아들이 있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영조대왕은 연잉군(延仍君)으로도 불리며, 이름은 금(昑)이다. 1694년에 태어나 1776년에 사망했다. 숙빈 최씨의 아들이며, 정성왕후 서씨와 정순왕후 김씨를 왕비로 맞이했다. 조선의 제21대 국왕이다.

숙빈 최씨는 영수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왕자를 낳았지만 모두 요절하였다.

연령군의 이름은 훤(昍)이며,[25] 1699년에 태어나 1719년에 사망했다. 명빈 박씨의 아들이며, 상산군부인 김씨를 부인으로 맞이했다.

2. 3. 1. 숙종

경종대왕 景宗大王은 이름이 윤(昀)이며, 1688년에 태어나 1724년에 사망했다.[24] 희빈 장씨의 아들로, 단의왕후 심씨와 선의왕후 어씨를 왕비로 맞이했다. 조선의 제20대 국왕이다.

경종에게는 성수(盛壽)와 영수(永壽)라는 아들이 있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영조대왕 英祖大王은 연잉군 延仍君으로도 불리며, 이름은 금(昑)이다. 1694년에 태어나 1776년에 사망했다. 숙빈 최씨의 아들이며, 정성왕후 서씨와 정순왕후 김씨를 왕비로 맞이했다. 조선의 제21대 국왕이다.

숙빈 최씨는 영수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왕자를 낳았지만 모두 요절하였다.

연령군 延龄君의 이름은 훤(昍)이며,[25] 1699년에 태어나 1719년에 사망했다. 명빈 박씨의 아들이며, 상산군부인 김씨를 부인으로 맞이했다.

3. 대한제국 시기

고종 황제와 순종 황제 연간에는 여러 황족들이 있었다. 의민태자(영친왕, 고종 황제와 순헌황귀비 엄씨의 아들)는 순종 황제의 사촌 동생으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다. 회은 황태손은 의민 황태자와 황태자비 이방자 사이의 아들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손이었다.

고종의 1황자는 완친왕이었고, 5황자는 의친왕이었다.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헌의대원왕과 친형이자 순종 황제의 숙부인 흥친왕도 있었다.

4. 현대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참조

[1] 네이버 지식백과 궁방 https://terms.naver.[...]
[2] 네이버 지식백과 궁가 https://terms.naver.[...]
[3] 실록 내시 이만을 죽이고, 세자의 현빈 유씨를 내치다
[4] 실록 세자 이제를 폐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를 삼다
[5] 실록 상왕의 탄일에 2살된 왕자가 죽다
[6] 실록 왕자가 탄생하니 개복신 초례를 궐내에서 행하게 하다
[7] 실록 두 살 난 왕자가 죽자 도감을 설치하여 장사지내다
[8] 실록 상왕이 양녕에게 간곡히 심회를 말하고 매 사냥이나 하며 하고 싶은 대로 살게 하다
[9] 실록 중궁이 해산을 하자 문성군 유양과 좌대언 이관 등에게 내구마를 하사하다
[10] 실록
[11] 실록 화의군 이영이 자기 서자를 종적에 편입시켜 줄 것을 상소하다
[12] 실록
[13] 문서 한확의 둘째 딸이자 [[소혜왕후|인수대비]]의 언니
[14] 문서 조선 단종|단종]]비 [[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의 고모
[15] 문서 박팽년]]의 딸
[16] 실록 흉모 연루자들을 벌하다
[17] 실록 영의정 윤인경과 육조에서 이완의 사사를 청하다
[18] 묘지명 귀인한씨묘지명
[19] 묘지명
[20] 묘갈명
[21] 문서 신립의 장녀이며, [[인헌왕후]]의 외사촌
[22] 실록 심기원·신경진·장만이 상의하여 흥안군 이제를 죽이다
[23] 실록 신시에 왕자가 마마로 죽자 약방 관원들이 문안하다
[24] 문서 '균'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25] 문서 '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