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원교통은 1974년 금성교통으로 설립되어 KD 운송그룹에 인수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도시형버스, 좌석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으며,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메트로버스에 지분을 출자했다. 현재는 간선버스 240, 241, 242, 262번과 지선버스 2015, 2016번 등을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여러 노선을 운행했으나 폐선되거나 다른 회사로 이관된 노선도 존재한다. 현재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우진산전 등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북부운수
북부운수는 1974년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친환경 버스 도입을 통해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 197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부운수
서부운수는 1974년 서울승합에서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며, 현재 간선버스 721번, 지선버스 7018번, 7719번, 8773번을 운행한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대원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대원교통 |
원어 | Daewon Traffic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4년 2월 1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
사업 지역 | 신내동영업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허명회 (회장), 허상준 (대표이사 사장)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1,5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28,721,252,301원 (2020) |
영업이익 | 1,813,710,561원 (2020) |
순이익 | 2,565,039,531원 (2020) |
자산총액 | 24,927,587,452원 (2020.12) |
모기업 | KD운송그룹 |
주주 | 주식회사 대원고속: 46.84% 권동현: 35.44% 허상준: 17.72% |
종업원 | 342명 (2020.12) |
웹사이트 | KD운송그룹 |
2. 역사 및 현황
1974년 6월 1일, 서울승합 금곡영업소가 '''금성교통'''으로 분리 독립하면서 대원교통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 이후 금성교통은 KD 운송그룹에 인수되어 '''대원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1980년대에는 도시형버스 165-1번, 좌석버스 765번 등을 개통하였고, 1990년대에는 태화상운의 서울시 노선권을 양수하고, 삼용버스의 부도로 운행이 중단된 노선의 대체 노선을 운영하기도 했다. 2003년에는 우신운수의 운행 포기로 폐선된 서울시내버스 568번 (개편 후 2232번)을 망우리고개 - 강변역으로 재신설, 운행하였다.[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대원교통은 메트로버스에 지분을 출자하였다.[1]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에는 노선 신설, 변경, 통합, 매각 등이 이루어졌으며, 본사 및 영업소 이전도 진행되었다. 2023년 6월 26일부터 서울 간선 262번 노선 공동 배차 운행에 참여하고 있다.
2. 1. 1970 ~ 80년대
- 1974년 6월 1일: 서울승합 금곡영업소가 '''금성교통'''으로 분리 독립하였다.[1]
- 1980년: 도시형버스 165-1번 (금곡 - 청량리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1년: 좌석버스 765번 (금곡 - 을지로5가)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5년 11월: 도시형버스 165번 (금곡 - 을지로5가) 노선이 왕십리로 단축되었다. 도시형버스 165-1번 (금곡 - 청량리역) 노선의 기점이 구리시 토평동으로 변경되었다. 도시형버스 165-2번 (호평동 - 청량리역) 노선이 신설되었다. 좌석버스 765번 (금곡 - 을지로5가) 노선은 (호평동 - 청량리역) 노선으로 개편되었다.
- 1987년: 제일여객의 좌석버스 81번 (기자촌 - 옥수동) 폐선 잉여분을 매입하여 좌석버스 765번 (호평동 - 청량리역) 노선에 증차하였다.
- 1987년: 태화상운, 부흥교통과 좌석버스 765번 (금곡 - 청량리역) 노선 공동배차를 시작하였으나 이후 단계적으로 철수하였다.
- 1988년: 도시형버스 165-3번 (금곡 - 훈련장 - 청량리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9년: 도시형버스 165번 (금곡 - 왕십리) 노선이 청량리역으로 단축되었다.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0년: 도시형버스 165-3번 (금곡 - 훈련장 - 청량리역) 노선을 사릉으로 연장하였다.[1]
- 1991년: 도시형버스 165-1번 (토평동 - 청량리역) 노선을 부흥교통에 매각하였으나 1992년에 폐선되었다. 남은 버스는 좌석버스 755번 (구리시 교문동 - 서울대학교) 노선에 증차하였다.[1]
- 1992년: 입영셔틀버스 도시형버스 165-1번 (금곡 - 훈련장 - 청량리역) 노선을 신설하였다.[1]
- 1992년 7월 1일: 중랑구 망우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1]
- 1992년 11월: 심야좌석버스 901번 (남양주시청 - 청량리역) 노선을 신설하였다.[1]
- 1996년 3월 14일: 중랑구 면목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1]
- 1996년 3월 28일: 금성교통이 KD 운송그룹에 인수되어 대원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1]
- 1996년 9월: 토평A단지 입주대책으로 입영셔틀버스 도시형버스 165-1번 (금곡 - 훈련장 - 청량리역) 노선을 구리시 토평동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부흥교통과 명진운수의 반대로 여러 차례 임의로 감차 및 결행을 반복하다가 1997년에 폐선하였다.[1]
- 1997년: 심야좌석버스 901번 (남양주시청 - 청량리역) 노선을 (호평동 - 잠실역) 노선으로 개편하여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하였다.[1]
- 1998년 4월: 창현A단지 입주로 인한 대중교통 대책에 따라 직행좌석버스 765-1번 (차산리 - 청량리역) 노선을 신설하였으며, 심야좌석버스 901번 (호평동 - 잠실역) 노선을 차산리차고지로 연장하였다.[1]
- 2001년 1월 26일: 경영난에 빠진 태화상운의 서울시 노선권을 양수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400번은 인수 직후 폐선)[1]
- 2001년: 삼용버스가 경영난으로 부도처리되어 도시형버스 30번 (대성리 - 청량리역), 좌석버스 330번 (마석 - 청량리역), 직행좌석버스 1330번 (청평 - 청량리역) 노선이 운행 중지되었다. 대체 노선으로 좌석버스 765번 노선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하고 구암리, 마석, 대성리로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형간전환을 반복하다가 이후 해당 노선이 각각 매각 후 운행 재개되어 765번은 좌석버스로 유지되었다. 이후 체계개편 직전까지 (구암리 - 청량리역) 노선으로 굳어지게 되었다.[1]
- 2003년: 우신운수의 운행 포기로 폐선된 서울시내버스 568번 (개편 후 2232번)을 망우리고개 - 강변역으로 재신설, 운행하였다.[1]
- 2003년 7월 28일: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덕소영업소를 신설하였다.[1]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한국어 7월 1일한국어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대원교통은 메트로버스에 지분을 출자하였다.[1] 2005년한국어 12월 16일한국어 간선버스 240번을 신설하였다. 2007년한국어 4월 23일한국어 간선버스 203번을 현재의 241번으로 노선 번호와 노선을 변경하였다. 2008년한국어 6월 1일한국어 지선버스 2227번이 동일지하차도에서 경동시장 구간을 폐선하고, 종점을 중랑구청으로 단축하였으며, 서울 구간 일부를 변경하였다.2011년한국어 3월 29일한국어 본사를 광진구 자양동으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8월 25일한국어 지선버스 2227번 기점을 남양주시 호평동에서 중랑공영차고지로 단축하고, 간선버스 240번의 회차지를 신사역에서 논현역으로 연장하였으며, 지선버스 2015번의 회차 경로를 마장로에서 청계천로로 변경하였다.
2013년한국어 6월 28일한국어 지선버스 2227번 종점을 중랑구청에서 중곡역으로 연장하고, 일부 구간을 변경하였다. 2014년한국어 1월 16일한국어 지선버스 2227번을 메트로버스에 매각하였다. 2015년한국어 2월 27일한국어 순환버스 41번과 지선버스 4434번을 통합 및 연장하여 간선버스 242번 운행을 개시하였다.
2016년한국어 9월 5일한국어 덕소영업소를 폐지하였다. 2017년한국어 1월 1일한국어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 차산리영업소(지점)와 호평영업소(지점)를 설치하였다. 2019년한국어 2월 19일한국어 본사를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로 이전하였다. 2023년한국어 6월 26일한국어 서울 간선 262번 노선 공동 배차 운행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3. 운행 노선
대원교통은 현재 간선버스 4개 노선과 지선버스 2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1996년 KD운송그룹에 인수되기 전에는 '''금성교통'''이라는 사명으로 주로 경기도 남양주시와 구리시를 기점으로 서울 청량리역, 왕십리역, 을지로 등지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하였다. 1980년대에는 좌석버스 765번(금곡-을지로5가, 호평동-청량리역), 도시형버스 165번(금곡-왕십리), 165-1번(토평동-청량리역), 165-2번(호평동-청량리역), 165-3번(금곡/사릉-청량리역) 등을 운행하였다.
1990년대에는 심야좌석버스 901번(남양주시청-청량리역, 호평동-잠실역), 직행좌석버스 765-1번(차산리-청량리역) 등을 신설하였고, 2001년에는 경영난에 빠진 태화상운의 서울시내버스 노선(166번, 166-2번)을 인수하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우신운수의 폐선된 568번(망우리고개-강변역)을 재신설하여 운행하였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에는 메트로버스에 지분을 출자하였고,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에는 지선버스 2227번을 메트로버스에 매각하였다.
노선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240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신사역사거리 | 12~25 | 21 | 구 567-1번 변경, 개편 전 우신운수 노선, 중곡초등학교 경유 |
241번 | 중랑공영차고지·종점 ↔ 논현역 | 8~12 | 27 | 구 203번 노선 변경, 2014년 1월까지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 행당역 경유 |
242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개포동 | 12~15 | 19 | 2015년 2월 27일 41번과 4434번 통합, 강남구청역 경유 |
262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여의도 | 9~20 | 5 | 구 53번 변경, 북부운수와 공동 배차[1] |
2015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5~8 | 25 | 구 17번 단축, 성동구청 경유[1] |
2016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성촌공원 | 7~12 | 23 | 구 0213번과 구 2225번 통합, 2022년 6월 26일까지 메트로버스와 공동 배차 운행, 왕십리역 경유[1] |
3. 1. 간선버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대원교통이 운행하는 간선버스와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240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신사역사거리 | 12~25 | 21 | 구 567-1번 변경, 개편 전 우신운수 노선, 중곡초등학교 경유 |
241번 | 중랑공영차고지.종점 | 논현역 | 8~12 | 27 | 구 203번 노선 변경, 2014년 1월까지 대원여객과 공동배차, 행당역 경유 |
242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개포동 | 12~15 | 19 | 2015년 2월 27일 41번과 4434번 통합, 강남구청역 경유 |
262번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여의도 | 9~20 | 5 | 구 53번 변경, 북부운수와 공동 배차[1] |
3. 2. 지선버스
(분)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