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혁명 시기의 정치인으로, 아라스에서 태어났다. 변호사로 활동하며 정치에 입문하여 삼부회 대표로 선출되었고, 루소의 사상을 바탕으로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그는 프랑스 혁명 전쟁에 반대하고, 자코뱅당을 이끌며 공포 정치를 주도했다. 하지만 파벌 다툼과 테르미도르의 반란으로 실각하여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악파 - 루이 앙투안 레옹 드 생쥐스트
    루이 앙투안 레옹 드 생쥐스트는 프랑스 혁명 시기 국민공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루이 16세 재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로베스피에르와 함께 공포 정치에 기여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처형당했다.
  • 산악파 - 장폴 마라
    장폴 마라는 스위스 출신으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 의사이자 과학자, 저널리스트, 정치가로 활동하며 《인민의 벗》 신문을 통해 급진적인 주장을 펼치고 자코뱅파의 주요 인물로 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나 지롱드파 지지자에게 암살당했다.
  • 프랑스의 법률가 - 시몬 베유 (정치인)
    시몬 베유는 유대계 가정 출신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생존한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여성 권리 신장과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보건부 장관 시절 낙태 합법화를 이끌었고 유럽 의회 의장을 역임하며 유럽 통합을 추진하여 프랑스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 팡테옹에 합장되었다.
  • 프랑스의 법률가 - 기욤 드 노가레
    기욤 드 노가레는 몽펠리에 대학교 법학 교수와 파리 왕립 법원 구성원을 거쳐 랑그도크 지역 영주를 역임했으며, 필리프 4세와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 사이의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반군주주의자 - 크리스토퍼 히친스
    영국 태생의 저널리스트, 작가이자 사회 비평가였던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무신론자로서 헨리 키신저, 마더 테레사, 조직화된 종교 등에 대한 비판, 좌파적 신념에서 자유주의적 입장으로의 전환, 《신은 위대하지 않다》를 비롯한 저서, 그리고 "새로운 무신론" 운동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 등 미국과 영국 언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반군주주의자 - 블라디미르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10월 혁명을 주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연방 건설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혁명에 적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이끌면서 그의 이론과 전략은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희생과 논란, 전체주의적 독재와 폭력 정치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1790년경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1790년경, 카르나발레 박물관
본명막시밀리앵 프랑수아 마리 이지도르 드 로베스피에르
출생1758년 5월 6일
출생지프랑스 왕국 아르투아 아라스
사망1794년 7월 28일 (36세)
사망 장소프랑스 제1공화국 파리 콩코르드 광장
사망 원인단두대에 의한 사형
정당자코뱅 (1789년–1794년), 산악파 (1792년–1794년)
기타 정당자코뱅 클럽 (1789년–1794년)
모교파리 대학교
직업변호사, 정치인
서명Signature de Maximilien de Robespierre.svg
공직
공안위원회 위원시작: 1793년 7월 27일
종료: 1794년 7월 28일
전임: 토마 오귀스탱 드 가스파랭
후임: 자크 니콜라 비요 바렌
국민공회 의장시작: 1793년 8월 22일
종료: 1793년 9월 7일
전임: 마리장 에로 드 세셸
후임: 자크 니콜라 비요 바렌
국민공회 의원선거구: 파리
시작: 1792년 9월 20일
종료: 1794년 7월 27일
제헌의회 의원선거구: 아르투아
시작: 1789년 7월 9일
종료: 1791년 9월 30일
국민의회 의원선거구: 아르투아
시작: 1789년 6월 17일
종료: 1789년 7월 9일
삼부회 의원 (제3계급)선거구: 아르투아
시작: 1789년 5월 6일
종료: 1789년 6월 16일
자코뱅 클럽 의장시작: 1790년 3월 31일
종료: 1790년 6월 3일
일반 방위 위원회 위원시작: 1793년 3월 25일
종료: 1793년 4월 3일

2. 어린 시절

막시밀리앵 프랑수아 마리 이지도르 드 로베스피에르(이하 막시밀리앵)는 1758년 5월 6일, 프랑스 북부 아르투아주(현재의 파드칼레주) 아라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법조인 프랑수아 드 로베스피에르, 어머니는 맥주 제조업자의 딸 자클린 카로였다.[468][469]

어머니는 정식 혼인 전에 이미 임신 중(임신 5개월)이었다. 당시 가치관으로는 불명예스러운 결혼이었으나, 프랑수아는 책임을 다했다.[470] 자클린은 막시밀리앵을 낳았지만, 출생 시의 흠결은 그를 평생 괴롭혔다. 이후 샤를로트(1760년), 앙리에트(1761년), 오귀스탱(1763년)을 잇따라 낳았다.

아버지 프랑수아는 유능한 변호사였으나, 1764년 자클린이 다섯째 아이를 출산하다 사망하면서[469][471] 가족은 붕괴했다. 프랑수아는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했고,[471] 이후 가족을 버리고 신성 로마 제국 만하임으로 떠나 평생 아이들을 만나지 않았다.[472][473]

막시밀리앵과 동생들은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마저 떠나 가족이 흩어졌다. 여동생들은 아버지 쪽 숙모에게, 막시밀리앵과 오귀스탱은 각각 6세와 1세 때 어머니 쪽 조부모에게 맡겨져 숙모 앙리에트에게 양육되었다.[473] 막시밀리앵은 천연두에 걸려 얼굴에 곰보 자국이 남았다.[474]

막시밀리앵은 숙모에게 읽기와 셈을 배우고, 8세 때 아라스의 콜레주에 다녔다. 라틴어, 지리, 역사를 배웠고, 프랑스어 습득이 중요시되었다. 그는 학업에 정진하며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을 품고 공부했다. 11세 때 웅변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장학금을 받아 리세 루이르그랑에서 공부하게 되었다.[473][478]

1769년 10월, 주교의 추천으로 로베스피에르는 파리의 리세 루이르그랑에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이곳에서 철학, 역사학, 윤리, 법률 등을 배웠고, 로마 공화국의 이상과 키케로의 수사, 카토 등 고전 인물들을 접했다. 카미유 데물랭과는 동급생이었다. 이 시기에 루소를 접했으며, 그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2. 1. 출생과 젊은 시절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는 1758년 5월 6일 프랑스 북부 아라스에서 태어났다.[687] 그의 집안은 아라스에서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아버지 막시밀리앙 프랑수아 드 로베스피에르도 변호사였다. 귀족 가문은 아니었지만, 선조들이 중견 상인과 관료를 지냈기에, 그는 자신의 이름에 'de'라는 자를 고집했다. 아버지 막시밀리앙 프랑수아는 1758년 양조업자의 딸인 자클린 마르그리트 카로와 결혼했다.

막시밀리앵은 4형제 중 맏이였고, 혼외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이 사실을 숨기기 위해 결혼을 서둘렀다.[688] 1764년 어머니가 난산으로 사망했을 때, 막시밀리앵은 6살, 동생 오귀스탱은 1살이었다. 홀로 된 아버지는 1777년 뮌헨에서 사망할 때까지 재혼하지 않고 유럽 각지를 떠돌았다. 남은 아이들은 외가로 보내졌다.

아버지가 집을 나간 후, 그는 동생들과 함께 외할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막시밀리앵은 8살 때 아라스의 콜레주(Collège, 중학교)에 입학했고, 이미 읽고 쓸 줄 알았다.[689] 1765년 아라스의 오라토리오회 학교에 입학하여 1769년 졸업하였다.

“최고 존재, 주권 국민, 프랑스 공화국”


로베스피에르는 1758년 5월 6일 아라스 아르투아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 프랑수아 막시밀리앵 바르텔레미 드 로베스피에르는 변호사였으며, 1758년 1월 양조업자의 딸인 자클린 마르그리트 카롤과 결혼했다. 4명의 자녀 중 장남인 막시밀리앵은 4개월 후에 태어났다. 그의 형제자매는 샤를로트 로베스피에르, 앙리에트 로베스피에르, 그리고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였다.[12][13]

로베스피에르의 어머니는 1764년 7월 16일 29세의 나이에 사산된 아들을 낳은 후 사망했다. 샤를로트의 회고록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의 죽음은 어린 로베스피에르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1767년경, 알 수 없는 이유로 그의 아버지는 아이들을 떠났다. 그의 두 딸은 아버지 쪽 숙모가, 그의 두 아들은 어머니 쪽 조부모가 키웠다.

어린 나이에 문해력을 보인 막시밀리앵은 8살 때 아라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1769년 10월, 루이-일레르 드 콩지 주교의 추천으로 그는 파리의 명문 콜레주 루이르그랑에서 장학금을 받았다. 그의 동료로는 카미유 데물랭과 스타니슬라스 프레롱이 있었다. 그는 학교에서 로마 공화국과 키케로, 카토,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수사학 기술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1776년 그는 수사학에서 1등을 차지했다.

고전에 대한 그의 감사는 그에게 로마의 미덕, 특히 루소의 시민-군인의 화신을 열망하도록 영감을 주었다.[14] 로베스피에르는 그의 저서인 ''사회 계약론''에서 설명한 영향력 있는 ''철학자''의 정치 개혁 개념에 끌렸다. 루소와 뜻을 같이하여 그는 인민의 일반 의지를 정치적 정당성의 기초로 여겼다.[15] 로베스피에르의 혁명적 미덕에 대한 비전과 직접 민주주의를 통해 정치적 권위를 확립하려는 그의 전략은 몽테스키외와 마블리의 이데올로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16] 로베스피에르가 루소가 사망하기 전에 우연히 만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 이야기는 외전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20][21][22]

1787년에서 1789년 사이에 로베스피에르는 이 집에서 살았으며, 현재는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거리


로베스피에르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3년간 법학을 공부하는 동안 학문적으로 두각을 나타내 1780년 7월 졸업했으며, 탁월한 학업 성취와 모범적인 품행으로 600 리브르의 특별 상을 받았다.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그는 1782년 3월 지방 형사 법원의 판사 5명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로베스피에르는 사형 사건을 판결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불편함 때문에 곧 사임했는데, 이는 그의 사형 반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로베스피에르는 1783년 11월 아라스 문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23] 이듬해, 메츠 아카데미는 집단 처벌에 대한 그의 에세이에 훈장을 수여하여 그를 문학가로 만들었다.[24] ( 피에르 루이 드 라크레텔르와 로베스피에르가 상을 공유했다.)

1786년 로베스피에르는 법 앞의 불평등을 열정적으로 다루며, 사생아들이 직면한 굴욕을 비판하고, 나중에는 사전 심리 없이 투옥하는 관행과 학술계에서 여성의 소외를 비난했다.[25] 로베스피에르의 사회적 관계는 변호사 마르시알 에르만, 장교이자 엔지니어 라자르 카르노, 교사 조제프 푸셰와 같은 유력 인사들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그의 후기 노력에 중요한 인물들이 되었다.[26] 아라스 아카데미의 비서로서의 그의 역할은 지역의 혁명적인 토지 측량사 프랑수아-노엘 바뵈프와 연결되었다.

막시밀리앵 프랑수아 마리 이지도르 드 로베스피에르(이하 막시밀리앵)는 1758년 5월 6일, 프랑스 북부 아르투아주(현재의 파드칼레주) 아라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법조인 프랑수아 드 로베스피에르, 어머니는 맥주 제조업자의 딸 자클린 카로였다.[468][469]

어머니는 정식 혼인 전에 이미 임신 중(임신 5개월)이었다. 당시 가치관으로는 불명예스러운 결혼이었으나, 프랑수아는 책임을 다했다.[470] 자클린은 막시밀리앵을 낳았지만, 출생 시의 흠결은 그를 평생 괴롭혔다. 자클린은 샤를로트(1760년), 앙리에트(1761년), 오귀스탱(1763년)을 잇따라 낳았다.

아버지 프랑수아는 유능한 변호사였으나, 1764년 자클린이 다섯째 아이를 출산하다 사망하면서[469][471] 가족은 붕괴했다. 프랑수아는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했고,[471] 이후 가족을 버리고 신성 로마 제국 만하임으로 떠나 평생 아이들을 만나지 않았다.[472][473]

막시밀리앵과 동생들은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마저 떠나 가족이 흩어졌다. 여동생들은 아버지 쪽 숙모에게, 막시밀리앵과 오귀스탱은 각각 6세와 1세 때 어머니 쪽 조부모에게 맡겨져 숙모 앙리에트에게 양육되었다.[473] 막시밀리앵은 천연두에 걸려 얼굴에 곰보 자국이 남았다.[474]

아버지의 부재로 막시밀리앵이 불안정한 가정 환경에서 성장하여 뒤틀린 인간이 되었다는 견해가 있지만,[475] 6세까지 어머니의 사랑을 받았고, 이후에도 숙모 등 친족들의 도움을 받으며 자랐기에 불행한 처지는 아니었다.[476] 다만, 어린 시절의 충격으로 "성실하고 사려 깊은 근면한 인간"으로 성장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숙모들의 영향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 소년 시절에는 독서와 모형 만들기에 열중하고, 비둘기와 참새를 기르며 그림을 그리는 내성적인 아이였다.[477]

막시밀리앵은 숙모에게 읽기와 셈을 배우고, 8세 때 아라스의 콜레주에 다녔다. 라틴어, 지리, 역사를 배웠고, 프랑스어 습득이 중요시되었다. 콜레주에는 400명이 다녔지만, 막시밀리앵은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학업에 정진하여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을 품고 공부했다. 11세 때 웅변 대회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장학금을 받아 리세 루이르그랑에서 공부하게 되었다.[473][478]

막시밀리앵은 12세 때 리세 루이르그랑 진학으로 파리로 떠나 8년간 기숙사 생활을 했다. 학교는 라탱 구획에 위치했으며, 파리 대학교 교양학부 부속 학교였다.[479] 학교는 덕육을 중시하고 엄격한 기강 준수를 요구했다. 가톨릭 질서를 존중하고, 집단 기숙사 생활을 했다.[480]

학교에는 500명이 장학생으로 있었다. 라틴어 문법, 프랑스어,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키케로의 『변론가에 대하여』 등 고전 학습, 로마사,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도덕철학, 논리학, 보쉬에왕권신수설, 몽테스키외의 『로마인 쇠망 원인론』 등을 배웠다.[481] 카미유 데물랭프랑스 혁명 주역들이 여기서 성장했다.[482] 학교 부원장은 로베스피에르에게 불신과 질투심을 품고 부정적인 평전을 남겼다.[483] 키케로의 사상은 로베스피에르와 데물랭에게 영향을 미쳤다.[484][485]

1777년 아버지 프랑수아가 바이에른 뮌헨에서 사망하고, 친족이었던 카로 가문의 조부모를 잃는 등 가족을 잃고 유대감이 있던 일족이 흩어졌다.[486]

1775년, 막시밀리앵은 루이 16세 생일 축하 연설을 낭독하는 중책을 맡았다.[473][489] 그는 변호사가 되기 위해 소르본 대학교에 입학, 민법·교회법, 행정법·형법 실습, 법정 방문, 판결과 판례 공부에 힘썼다.[490]

루소의 『새로운 엘로이즈』, 『사회 계약론』, 『에밀』 등을 읽었다. 몽테스키외나 루소 등 계몽사상가의 저서를 애독했고, 특히 루소에게 경도되었다.[491]

막시밀리앵은 법학 과정을 18개월 만에 마쳤다. 졸업 시 학업 우수자 보상금 600 리브르를 받았다. 1781년 파리 고등법원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492] 동생 오귀스탱도 형의 장학금을 이어받아 루이르그랑 학교에 진학했다.[493][494]

1781년, 로베스피에르는 아라스에서 변호사로 개업했다. 아라스에는 10개 법원, 31명 재판관, 92명 법정 변호사, 50명 대송인, 25명 공증인이 있었다. 1782년 1월, 첫 업무를 수행했고, 3월에는 살인 사건 재판에서 교구 재판소 판사로 발탁되었다. 이때 사형 제도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496]

로베스피에르는 성실한 일벌레였지만, 생활은 어려웠다.[497] 듀에라는 여성에게 카나리아를 선물받아 문서를 시작했지만, 연애로 발전하지 않았다.[498]

로베스피에르는 앙투안 뷔이사르라는 법조가를 만나 인지도를 높였다. 비스리 피뢰침 재판에서 벤자민 프랭클린이 발명한 피뢰침을 옹호하여 승리, 계몽주의 옹호자로 알려졌다.[499][500] 앙시앵 수도원 횡령 사건에서는 낮은 임금으로 노동했던 점을 주목하게 하여 승리했지만, 질책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박애 정신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501][502]

1783년, 아라스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503] 1786년 1월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라자르 카르노를 만났다.[504] 메스 기술 왕립 협회에 발표한 논문은 높은 평가를 받아 특별상과 400리브르를 받았다.[505] "사생아 상속권 문제" 등 개별 사례를 다루며 구체제 사회 질서를 비판했다.[506]

바뵈프는 로베스피에르를 빈민을 위해 일하는 법조가로 높이 평가했다.[507]

로베스피에르는 남존여비 풍조에 비판적이었다. 1786년 아카데미 원장 취임 연설에서 사생아 권리를 지적, 가족 내 자녀 평등을 주장했다. 1787년 4월, 아카데미에 여성 가입을 허용, 여성 해방, 남녀 평등 입장을 표명했다.[508]

로베스피에르의 풍모.


로베스피에르는 성실했지만 농담도 하고, 연애나 시의 아름다움을 이해할 수 있는 열정적인 면모를 지녔으며, 격의 없는 교제를 어려워하지 않았다.[509]

뷔이사르의 딸 샤를로트에게 보낸 연애 편지에서는 솔직한 애정 표현을 했다.[509] 로자티 협회에 가입,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여 시를 지었다. 조제프 푸셰를 만났다.[510] 듀에 양과 애완동물 사랑을 이야기했다.[511]

로베스피에르는 경제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파리로 가게 되었다.[512]

2. 2. 고등학교 시절

1769년 10월, 주교의 추천으로 로베스피에르는 파리에 있는 리세 루이르그랑(루이왕립 고등학교)에 장학생으로 입학했다.[690] 리세 루이르그랑 재학 중 로베스피에르는 철학, 역사학, 윤리, 법률 등의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 이곳에서 그는 로마 공화국의 이상과 키케로의 수사, 카토 등 고전 인물들을 접했다. 동급생으로는 카미유 데물랭과 스타니슬라 프레롱이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 루소를 접했으며, 그의 사상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로베스피에르는 자신의 의지로 홀로 서는 고결한 자아의 사상에 관심을 가졌다.[690] 그는 학창 시절 내내 술과 담배를 멀리했고, 이를 즐기는 학생들을 심각하게 경멸했다. 졸업 후에도 불량했던 동창들을 만나면 인사도 없이 냉정하게 외면했다.

루이 16세대관식 직후 루이르그랑 학교를 방문했고, 당시 17살이던 로베스피에르는 500명의 학생 중 대표로 선출되어 환영사를 읽었다.[688] 상을 받은 학생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선출은 당연했다. 연설 당일, 로베스피에르와 군중들은 빗속에서 몇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루이 16세 부부는 도착하자마자 머물렀고, 기념식 직후 바로 떠났다.[690] 왕은 학생 대표인 그의 축사에 답례도, 국왕 내외를 열렬히 환호하며 장기간 기다리던 학생들에 대해서도, 한마디의 의사 표현도 없이 지나쳤다.

추위와 비가 오는 와중에도 루이 16세 내외를 맞이하기 위해 아침 일찍부터 교사들에 의해 동원되어 학교 청소와 정리를 해야 했고, 수고한 학생들에게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 하지 않은 루이 16세 내외를 보고 사려가 부족한 지도자라고 질타했다. 이후 로베스피에르는 국왕 내외를 서서히 불신하기 시작했고, 국민 공회에서 루이 16세를 격렬하게 비판하고 즉시 처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청년기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이하 막시밀리앵 또는 로베스피에르)는 1758년 5월 6일 프랑스 북부 아르투아 주(현재의 파드칼레주)의 지방 도시 아라스에서 변호사 집안에서 태어났다.[468][469] 아버지는 법조인 François de Robespierre|프랑수아 드 로베스피에르프랑스어였고, 어머니는 맥주 제조업자의 딸 자클린 카로였다.[468][469]

어머니는 정식 혼인 전에 이미 임신 중이었는데, 이는 당시 아라스 마을의 가치관으로는 명문가의 자녀로서 불명예스러운 일이었다.[470] 막시밀리앵은 태어났지만, 출생 시의 흠결은 그를 평생 괴롭혔다. 어머니는 막시밀리앵 외에도 Charlotte de Robespierre|샤를로트프랑스어(1760년), 앙리에트(1761년), 오귀스탱(1763년)을 낳았다.

1764년, 어머니가 다섯 번째 아이를 출산하다 사망하면서 가족은 붕괴되었다.[469][471] 아버지 프랑수아는 가족을 떠나 신성 로마 제국 영토 만하임으로 향했고, 그 후 아이들을 만나지 않았다.[472][473]

막시밀리앵과 동생들은 어머니 쪽 칼로 가문의 조부모 집에서 숙모 앙리에트에게 양육되었다.[473] 막시밀리앵은 천연두에 걸려 얼굴에 곰보 자국이 남았다.[474]

역사가 Peter McPhee (academic)|피터 맥피영어에 따르면, 로베스피에르는 고아가 되어 불행한 환경에서 성장했다는 견해는 사실이 아니다.[475] 그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에도 숙모 등 친족들의 도움을 받으며 자랐고, 자매들과도 자주 만났기 때문에 고독하거나 불행한 처지는 아니었다.[476] 다만, 어린 시절 어머니의 죽음과 가족의 흩어짐은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성실하고 사려 깊은 근면한 인간"으로 성장하게 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숙모들의 영향으로 규칙적이고 절제된 생활을 했다. 소년 시절에는 독서와 모형 만들기에 열중하고, 비둘기와 참새를 애완동물로 삼아 그림을 그리는 내성적인 아이였다.[477]

막시밀리앵은 8세에 지역 콜레주에 다녔다. 라틴어, 지리, 역사를 배웠고, 파리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 습득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학업에 정진하여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을 품고 필사적으로 공부했다. 11세 때 웅변 대회에 참가하여 라틴어 텍스트 주석 능력을 선보이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장학금을 받아 파리의 리세 루이르그랑에서 공부하게 되었다.[473][478]

12세에 리세 루이르그랑(루이 대왕 학교)에 진학하여 8년 동안 기숙사 생활을 했다. 학교는 라탱 구획에 위치했으며, 파리 대학교 교양학부 부속 학교였다.[479] 엄격한 기강 준수를 요구하는 환경이었다.[480]

라틴어 문법과 프랑스어 학습,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키케로의 『변론가에 대하여』 등 고전 학습 외 로마사에 정통하도록 수업이 편성되었다. 그리스어 문헌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이수 대상이었고, 도덕철학과 논리학이 강의되었다. 보쉬에왕권신수설, 몽테스키외의 『로마인 쇠망 원인론』이 교수되었다.[481] 훗날 프랑스 혁명의 주역이 되는 카미유 데물랭도 여기서 성장했다.[482] 키케로의 사상은 미덕과 악덕의 대립을 강조하며 로베스피에르에게 영향을 미쳤다.[484][485]

1777년 아버지 프랑수아가 바이에른 뮌헨에서 사망하고, 친족과 가족을 잃는 등 환경이 크게 바뀌었다.[486]

1775년, 루이 16세 생일 축하 연설을 낭독하는 중책을 맡았다.[473][489] 법학부 진학을 희망하여 소르본 대학교에 입학했다. 민법·교회법을 배우고, 법률 사무소 연수생으로서는 행정법·형법 실습에 힘썼다.[490]

루소의 『새로운 엘로이즈』, 『사회 계약론』, 『에밀』 등을 읽었다. 학생 시절 몽테스키외나 루소 등 계몽사상가의 저서를 애독했고, 특히 루소에게 경도되었다.[491]

법학 과정을 18개월 만에 마치고, 졸업 시 학업 우수자 보상금 600프랑스 리브르를 받았다. 1781년 파리 고등법원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492] 동생 오귀스탱도 형의 장학금을 이어받아 루이르그랑 학교에 진학했다.[493][494]

3. 1. 변호사 개업

1780년 루이 르 그랑 학교를 졸업하고 법학 학위를 받은 로베스피에르는 1781년 고향 아라스에서 변호사로 개업했다.[495] 그는 아라스의 종교 권력과 법조계에서 후원자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495] 1782년 1월, 살인 사건 재판에서 교구 재판소의 판사로 발탁될 정도로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 재판을 통해 로베스피에르는 사형 제도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다.[496]

로베스피에르는 변호사로서 대부분의 재판에서 승소했지만, 경제적으로는 어려움을 겪었다.[497] 25세 때, 법조가 앙투안 뷔이사르를 만나 그의 도움으로 인지도를 높였다. 비스리 피뢰침 재판에서 벤자민 프랭클린이 발명한 피뢰침을 옹호하여 승소하면서 계몽주의 옹호자로 알려졌다.[499][500] 앙시앵 수도원 횡령 사건에서는 낮은 임금으로 노동했던 점을 강조하여 승소했지만, "법의 권위를 공격하고 법정을 모욕했다"는 질책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 재판은 그의 박애 정신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501][502]

1783년, 아라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503] 1786년 1월에는 아카데미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아라스 아카데미에서 훗날 나폴레옹 밑에서 육군 장관이 되는 라자르 카르노를 만났다.[504] 메스 기술 왕립 협회에 발표한 논문 《형사 사건의 가해자의 일족도 그 죄를 공유해야 하는가》는 높은 평가를 받아 특별상과 400리브르(livres프랑스어)를 받았다.[505]

로베스피에르는 사생아의 상속권 문제와 같이 개별 사례를 다룬 논문을 통해, 출생으로 인한 불합리성을 지적하고 혈통에 따른 특권을 비판하며 구체제의 사회 질서에 문제를 제기했다.[506]

1787년 4월, 로베스피에르는 아카데미에 여성 가입을 허용하고 명예 회원으로 승인하는 결정을 내렸다.[508] 이는 여성 해방과 남녀 평등의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508]

로베스피에르는 사교 클럽 로자티 협회에도 가입하여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시를 짓기도 했다. 이 협회에서 훗날 정적이 되는 조제프 푸셰를 만났다.[510]

3. 2. 삼부회 재소집 운동

로베스피에르는 국민의 참정권을 주장하며 삼부회 소집에 가담했다. 그는 정부와 관료들에 의한 임의적인 행정처리가 아닌, 정부 정책 입안 및 결정 과정을 실시간으로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중대 기밀에 한해서도 일정 기간이 지나 이해당사자들이 사라진 뒤에는 국민에게 공개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삼부회 개최를 계속 요구했다. 1614년 이래 소집되지 않던 삼부회 소집이 1789년 초에 결정되어 선포되자, 로베스피에르는 정치 참여를 주장하며 "아르투아 삼부회를 개혁할 필요성에 관해 아르투아 민중들에게 드리는 글"이라는 호소문을 발표하였다. 그는 정치적 약자이고 핍박을 받는다면 그만큼 정치 문제에 적극 참여하여 사회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1789년 3월 각지에서 삼부회에 파견될 대표단을 선거로 뽑았는데, 아라스 시민들은 로베스피에르를 아라스 지역 대표 중 한 명으로 선출했다. 아르투아 지역의 제3신분 평민 계급 모임에서는 아르투아 8인의 시민 대표위원 가운데 5번째로 로베스피에르를 선출했다. 그는 루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프랑스 혁명 운동을 시작하여 자코뱅당의 지도자가 되었다.

4. 정치 입문

1789년 31세의 나이로 시민층의 지지를 받아 아르투아 주 제3신분 대표(귀족, 성직자, 평민(엄밀하게 말하면 부르주아 계급))로 삼부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정치에 입문한다. 1789년 5월 18일의 연설을 시작으로 국민의회에서 활동하는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출석하였으며, 500회 이상의 연설을 했다. 1789년 6월 17일 삼부회에서 선출한 임시 국회인 헌법제정국민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어 국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로베스피에르는 국민의회의 소위원회나 분과 위원회에 선출되지 못했고, 의장과 부의장직에 도전했지만 뽑히지 못했다. 1790년 6월 국민의회 서기로 선출된 적은 있었다. 자코뱅파 내부의 산악파에 속해 지롱드파 내각이 추진하는 대외 전쟁에 반대했다. 당시 《사형제 폐지 법안》을 제출했고, 범인 친족에 대한 연좌제 형벌 금지 법안에 관여하는 등 인권변호사 출신의 의원으로 인도주의 법안에 관여했다. 목소리가 작고 초창기에는 다소 당황하기도 했으나 이내 적응해나갔다. 그의 제안은 항상 많은 박수와 동의를 받았다.

제한 선거 철폐, 봉건제 폐지, 영주와 귀족이 탈취한 토지반환 운동 등을 주관하였으며, 반 왕정 운동을 주도하였다. 1790년 4월 자코뱅 당의 당수가 되고, 6월 국민의회 서기로 선출되었다. 그해 10월에는 베르사유 혁명재판소의 판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자유와 권리를 국민 스스로가 자각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그러한 소신을 밝혔고, 평당원에게도 권위를 휘두르지 않는 등 직접 실천했다. 그러나 그의 열성적인 활동은 피로를 느낀 아군, 적당한 타협을 원하던 부르주아층 사이에서 많은 적을 만들었으며, 위험인물로 꼽히거나 비판을 받았다. 1791년 6월 20일부터 6월 21일 루이 16세 일가가 도주하자 로베스피에르는 왕을 체포하여 재판에 회부할 것을 요구했고, 국왕을 사형시키자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오히려 같은 혁명파 의원들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 결국 로베스피에르는 지지자를 확보하기 위해 헌법에 대한 투표를 서두르도록 촉구하였고, 혁명사상, 변화에 대한 의욕이 있는 자들을 찾으려 노력했다.

그는 소시민과 노동자의 입장에서 민주주의를 실현하려고 시도 하였다. 1791년 6월 파리 고등검찰관으로 선출되었지만 사퇴하고 계속 혁명활동에 매진했다. 1793년 혁명 정부를 세웠다.

4. 1. 국민 군대 설치

1791년 8월 1일, 국민 의회는 카르노의 제안에 따라 부랑자를 제외한 모든 시민에게 창을 지급하는 것을 결의했다.[125][126][127]

4. 2. 국민회의 대의원 시절

로베스피에르는 용병이나 왕정, 황제가 채용하는 군대가 아닌 국민 개개인으로 구성된 국민 군대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그는 열성적인 애국자가 아니더라도 자기 스스로 가족과 재산을 지키는 국민으로 구성된 군대만이 국민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13]

1791년 7월 "프랑스인에게 고하는 연설 (Adresse aux Fransc)"을 발표, 로베스피에르는 애국자들은 군대에 들어가라고 권유했다. 입대를 독려하며 자신의 가족과 재산을 지키는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부패 귀족과 관료들의 해임, 처벌 선에서 사태를 진정시키려는 일부 온건파 지롱드파와 온건파 왕당파들은 그가 쿠데타를 기도하려 한다고 비방하였다.

국왕의 폐위를 요구하는 시위는 계속 확산되었다.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군주제의 존속을 바라는 온건파 라파예트 후작이 지휘하는 왕실 근위대는 마르스 광장에서 국왕의 폐위를 요구하는 시위대들에게 총격과 창 공격을 가했다. 희생자들이 발생하자 왕실 근위대와 용병들은 소수의 선동자를 찾으려 했고, 생명의 위협을 느낀 로베스피에르는 몸을 피해 시위대를 벗어나, 자신의 열성적 지지자인 목공 겸 가구장인 모리스 뒤플레의 집에 은신해서 그의 가족과 함께 살았다. 자코뱅당의 절충파들이 모두 지롱드당으로 합류한 뒤에도 로베스피에르는 생 쥐스트 등 소수와 함께, 열악한 사회적 환경과 자금 환경 속에서도 계속 자코뱅당을 꾸려나갔다.

1791년 6월 높은 수입과 명성이 보장되는 파리시 검찰관으로 선출되었지만 바로 사직서를 올려, 검찰관직을 포기하고 정당인으로서 정치활동을 계속했다. 1791년 9월 입법의회 구성이 확정되고 입법의회 의원들을 선출하였다. 로베스피에르는 입법의회 의원 선거에 불출마했으며, 자신은 물론이고 자신의 가까운 동료들을 새로 생긴 입법의회에서 제외시키거나 불출마를 권고하였다.

이후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당에서만 자신의 의견을 발표했으며, 1792년 8월까지 100여 회의 대중강연과 연설을 했다. 이들 연설에서 혁명가 자크 피에르 브리소가 혁명이념을 국외로 전파하기 위해 유럽에 전쟁을 일으키자고 주장한 데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로베스피에르는 국내의 내정 문제가 시급한데 전쟁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일각에서는 군주를 쫓아낸 것에 대해 인접국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이 경계하고 있으며, 그들 나라에 혁명 정신을 전달해야 함을 역설했다. 그러나 로베스피에르는 이를 거절했다.

1792년 6월 20일 시위 (Demonstration of 20 June 1792) at the Tuileries


''헌법의 옹호자'' (Le Défenseur de la Constitution) 6호 (1792)


1792년 4월 20일, 입법 의회가 오스트리아에 대해 전쟁을 선포하자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국민이 국내의 전제 정치를 막기 위해서든 해외에서 싸우기 위해서든 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3] 고립된 로베스피에르는 장교 계급과 국왕의 정치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 4월 23일, 로베스피에르는 중앙군 사령관인 라파예트 후작에게 사퇴를 요구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일반 병사들의 복지를 주장하면서, 귀족적이고 왕당파적인 군사학교와 보수적인 국민 방위대의 장교 계급 지배를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승진을 촉구했다.[114] 그는 다른 자코뱅과 함께, 파리에 최소 20,000~23,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혁명군(''armée révolutionnaire'')을 창설하여 도시와 "자유"(혁명)를 방어하고, 질서를 유지하며, 민주적이고 공화주의적인 원칙을 회원들에게 교육할 것을 촉구했다. 이는 장 자크 루소에게서 빌린 아이디어였다.[116][117] 장 조레스에 따르면, 그는 이를 파업권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다.[71]

1792년 5월 29일, 의회는 왕당파와 반혁명적 성향을 의심하여 헌법 수호대를 해산했다. 1792년 6월 초, 로베스피에르는 군주제 폐지와 의회의 일반 의지에 대한 종속을 제안했다. 군주제는 실패한 6월 20일 시위에 직면했다.[118]

프랑스군이 전쟁 초기에 치명적인 패배와 일련의 탈영을 겪었기 때문에 로베스피에르와 마라는 군사적 쿠데타의 가능성을 두려워했다. 그중 하나는 국민 방위대 사령관인 라파예트가 이끌었는데, 그는 6월 말에 자코뱅 클럽의 탄압을 옹호했다. 로베스피에르는 그를 신랄하게 공격했다.

7월 2일, 의회는 국민 방위대가 7월 14일 연맹 축제에 갈 수 있도록 허가하여 국왕의 거부권을 우회했다. 7월 11일, 자코뱅은 흔들리는 의회에서 비상 투표에서 승리하여 국가가 위험에 처했음을 선언하고 모든 파리 시민을 작살을 들고 국민 방위대에 징집했다. 7월 15일, 빌로바렌은 자코뱅 클럽에서 다음 봉기의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부르봉 왕가의 추방과 "인민의 적"의 추방, 국민 방위대의 정화, 국민 공회의 선출, "국왕의 거부권의 인민 이양", 최빈층의 면세. 7월 24일, "중앙 조정 사무소"가 형성되었고, 구획들은 "영구적인" 회의에 참여할 권리를 얻었다.[119][120]

7월 25일, 카르노는 작살 사용을 장려하고 모든 시민에게 제공했다.[121] 7월 29일,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폐위와 국민 공회 선출을 요구했다.[122][123] 7월 말, 브라운슈바이크 선언이 파리에 휩쓸기 시작했다. 그것은 종종 불법적이고 국가 주권에 대한 모욕으로 묘사되었다. 저작권은 종종 의심스러웠다.[124]

4. 3. 입법의회 개원과 의원직 사양

1792년 4월 20일, 입법 의회오스트리아에 대해 전쟁을 선포하자,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국민이 국내외의 전제 정치에 맞서 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3] 고립되었던 로베스피에르는 장교 계급과 국왕의 정치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 4월 23일, 중앙군 사령관인 라파예트 후작에게 사퇴를 요구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일반 병사들의 복지를 주장하면서, 귀족적이고 왕당파적인 군사학교와 보수적인 국민 방위대의 장교 계급 지배를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승진을 촉구했다.[114] 그는 다른 자코뱅 당원들과 함께 파리에 최소 20,000~23,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혁명군"을 창설하여 도시와 "자유"(혁명)를 방어하고, 질서를 유지하며, 회원들에게 민주적이고 공화주의적인 원칙을 교육할 것을 촉구했다. 이는 장 자크 루소에게서 빌린 아이디어였다.[116][117] 장 조레스에 따르면, 그는 이를 파업권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다.[71]

1792년 5월 29일, 의회는 왕당파와 반혁명적 성향을 의심하여 헌법 수호대를 해산했다. 1792년 6월 초, 로베스피에르는 군주제 폐지와 의회의 일반 의지에 대한 종속을 제안했다. 군주제는 실패한 6월 20일 시위에 직면했다.[118]

프랑스군이 전쟁 초기에 치명적인 패배와 일련의 탈영을 겪었기 때문에 로베스피에르와 마라는 군사적 쿠데타의 가능성을 두려워했다. 그중 하나는 국민 방위대 사령관인 라파예트가 이끌었는데, 그는 6월 말에 자코뱅 클럽의 탄압을 옹호했다. 로베스피에르는 그를 신랄하게 공격했다.

7월 2일, 의회는 국민 방위대가 7월 14일 연맹 축제에 갈 수 있도록 허가하여 국왕의 거부권을 우회했다. 7월 11일, 자코뱅은 흔들리는 의회에서 비상 투표에서 승리하여 국가가 위험에 처했음을 선언하고 모든 파리 시민을 작살을 들고 국민 방위대에 징집했다. 7월 15일, 빌로-바렌은 자코뱅 클럽에서 다음 봉기의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부르봉 왕가의 추방과 "인민의 적"의 추방, 국민 방위대의 정화, 국민 공회의 선출, "국왕의 거부권의 인민 이양", 최빈층의 면세. 7월 24일, "중앙 조정 사무소"가 형성되었고, 구획들은 "영구적인" 회의에 참여할 권리를 얻었다.[119][120]

7월 25일, Logographe|Logographe|로고그라프프랑스어에 따르면, 카르노는 작살 사용을 장려하고 모든 시민에게 제공했다.[121] 7월 29일,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폐위와 국민 공회 선출을 요구했다.[122][123] 7월 말, 브라운슈바이크 선언이 파리에 휩쓸기 시작했다. 그것은 종종 불법적이고 국가 주권에 대한 모욕으로 묘사되었다.[124]

5. 프랑스 대혁명 이후

프랑스 대혁명 이후, 로베스피에르는 왕실과 왕당파의 복귀 시도, 오스트리아와의 공모, 군대의 취약성, 귀족 출신 장교들의 반란 가능성을 지적하며, 1792년 2월에는 이들의 해임을 건의하여 대규모 정군을 단행했다.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등은 로베스피에르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113]

로베스피에르는 왕실과 왕당파의 국외 탈출 시도와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영국 등의 개입을 촉구하려는 음모를 폭로했다. 그는 왕당파와 오스트리아의 내통, 귀족 출신 장교와 용병 중심 군대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국민 군대로의 전환을 주장했다. 또한 귀족 출신 장교들의 실전 경험 부족과 왕에 대한 충성심으로 인한 반란 가능성을 경고했다.[114]

낭시에서 시민 공격 명령을 거부하고 저항하다 투옥된 샤토비외 연대 병사들을 변호하며, 자크 피에르 브리소 지지자들의 반론에 맞서 Le Défenseur de la Constitution|헌법의 수호자프랑스어라는 신문을 창간하여 자코뱅파의 입장을 대변했다.[118] 1792년 6월 20일 시위 이후, 로베스피에르는 라파예트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 정권을 세우려 한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해임을 주장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오스트리아, 영국, 프로이센은 국왕 축출에 민감하게 반응했고, 특히 프로이센오스트리아프랑스에 전쟁을 선포했다.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군대가 국민 군대로 개편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패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연합군이 국경에 도착하자 민중들은 로베스피에르에게 모여들었지만, 그는 전쟁을 망설였다. 그는 "내 자유와 권리와 재산을 스스로 지키는 것이 핵심"이라며 봉기의 목표를 제시했지만, "오직 법률의 칼로써 공동의 적과 싸우자"고 호소했다.

1792년 8월 10일 봉기 때, 로베스피에르는 튈르리 궁 공격에 가담하지 않았지만, 파리시 레피크 구는 그를 봉기 지도 기관인 코뮌 정부에 파견할 대표로 지명했다. 1792년 8월 10일, 봉기 후 급진적인 사건 처리안을 기초하고 파리 코뮌의 대표로 추대되었다. 파리시 선거 의회 의원으로 있으면서 9월 학살 소식을 듣고 시민들의 무죄를 선언하며, 자기 주권을 찾았을 뿐이라고 옹호했다. 9월 5일, 파리 민중들은 그를 국민공회 대표단 단장으로 선출했다. 그해 9월 혁명 의회 의원 선거에서 파리에서 1위로 당선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당통, 마라와 함께 산악파의 거두로 불렸다. 1793년 6월 2일, 산악파가 혁명 정부를 장악하자, 농촌의 봉건 제도 불식, 소농민과 소생산자층에 바탕을 둔 국가 체제 실현을 선언했다. 공안위원회에 가입하고 집정관공안위원장으로 집권했다.

지롱드파국민공회에서 로베스피에르가 독재를 꾀한다고 비난했지만, 입법의회는 동의하지 않았다. 1792년 12월, 루이 16세의 처형 여부를 결정하는 재판에서 로베스피에르는 11번의 연설에서 모두 사형을 주장했다. 사형 제도 폐지론자였던 그가 국왕에게만 냉혹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로베스피에르는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169]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단두대에서 사형에 처했다. 그는 루이 16세의 처형을 지켜보았다.

로베스피에르가 앞줄에서 지켜보는 가운데 국민 공회 앞에서 재판을 받는 루이 16세. 레이니에르 빈켈레스의 판화


루이 16세의 처형


1792년 9월 21일, 국민 공회가 프랑스 공화국을 선포한 후, 전 국왕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국민 공회의 입법 위원회는 재판의 법적 측면을 검토했다. 11월 20일, 루이가 은행가 및 장관들과의 통신으로 구성된 726개의 문서로 된 비밀 금고가 발견된 후 여론은 루이에 대해 급격히 악화되었다. 클로드 바지르의 제안에 따라 국민 공회는 루이 16세를 의원들이 재판하도록 결정했다.[169] 12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 클럽에서 국왕의 운명에 대한 연설을 반복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1793년 1월 14일, 국왕은 음모와 공공 안전에 대한 공격에 대해 만장일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70]

1월 15일, 국민 투표를 요구하는 안건은 로베스피에르가 주도하여 424 대 287표로 부결되었다. 1월 16일, 국왕의 형량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가 시작되었고,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처형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자코뱅은 온건파의 마지막 사면 호소를 성공적으로 물리쳤다.[171] 1월 20일, 의원들의 절반이 즉시 사형에 찬성했다. 다음 날 루이 16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국왕 처형 이후, 로베스피에르, 당통, 몽테뉴파는 영향력이 급증하여 지롱드파를 압도했다.[172]

1793년 7월 27일, 로베스피에르는 공안위원회에 선출된 후 혁명 정부의 확립과 자신의 정치적·사회적 이상 실현에 매진했다. 장 자크 루소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일반 의지, 즉 자유·평등·우애라는 이념과 공공의 복지를 중시했다. 정치적으로는 소시민민주주의의 공화국을 이상으로 삼았다.[467]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패배가 이어지고 방데 반란과 같은 내란이 발생하면서 국내 반혁명 세력에 대항할 필요성이 커져 "테르"라고 불린 공포 정치가 도입되었다. 자코뱅 클럽 내 반대파 숙청도 이루어졌는데, 로베스피에르는 대중 운동을 중시하며 의회와 대립한 자크 르네 에베르파, 신흥 자본가 계급과 제휴하려 한 조르주 당통파 지도자들을 혁명 재판소를 통해 체포·처형했다.[467]

1793년 6월 2일 상 퀼로트의 지지를 얻어 국민 공회에서 지롱드파를 추방하고[691] 권력을 장악, 공안위원회, 보안위원회, 혁명재판소 등의 기관을 이용해서 공포 정치를 단행하며 반대파를 단두대로 보내 숙청하였다.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와 함께 공포정치를 폈는데, 루이 16세를 처형한 지 1년 만에 1만 7000명을 단두대에서 처형하고 지방 곳곳에서 반혁명파 3만 명 이상을 처형했다. 방데에서는 한꺼번에 25만 명이 학살되었다고 한다.[692]

앙투안 라부아지에, 크레티앵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말제르브, 장 실뱅 바이이, 앙드레 셰니에, 니콜라 뤼크네르 등을 단두대에서 처형했으며, 동지였던 조르주 당통도 부정부패 혐의로 1794년 4월에 처형하였다.[693]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조수였던 엘테일 이레네 드 듀퐁 등은 미국으로 망명한다.

1794년 7월 테르미도르의 반란이 일어났다. 로베스피에르가 왕당파 및 왕당파 비호자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처형에 반대하는 점에 대해서도 조제프 캉봉, 자크 르네 에베르 등 일부는 반발하였다. 그의 공포정치에 대한 반대와 동시에 어느 정도 소극적인 태도, 반대파에 대한 무조건 처벌 반대 등에 대해서도 불만을 품는 세력이 등장하였다.

1794년 6월 8일, 로베스피에르는 비기독교화를 주도하여 최고 존재 축제를 거행하는 등, 혁명 정부의 핵심적인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용서 없는 탄압에 대한 반발이 강해져 국민 공회에서의 로베스피에르의 입장은 악화되어 갔다.[467]

로베스피에르가 이끄는 자코뱅당 산악파와 지롱드당 사이의 갈등은 국왕과 귀족들의 처형에도 불구하고 계속되었다. 지롱드당과 왕당파 온건파벌이 연대 움직임을 보이자, 로베스피에르는 이들을 모두 처형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식량 부족, 치안 부재, 약탈 등의 문제에 대해 절도범과 살인자를 즉결 처형하고 현장 사살하는 강경 대응을 했다. 식량 부족과 기근은 계속되었고, 프로이센오스트리아는 프랑스에 대한 수출 중지 등의 봉쇄령을 내렸다.

1793년 5월 26일 로베스피에르는 "떨쳐 일어나 봉기하자"고 촉구했으며, 6월 1일 지롱드당 지도자들을 반혁명 혐의로, 뒤무리에 일파를 반역죄로 기소하는 국민공회 내 급진파의 포고령 발의를 지지했다. 6월 2일 지롱드당 및 뒤무리에 기소 포고령은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지롱드당이 몰락하자 자코뱅당 산악파는 국가의 식량난과 경제난을 해결해야 했다. 혁명 전후 공화정을 인정할 수 없었던 일부 지역에서 분리독립과 연방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북서부 방데 지역의 반혁명 반란과 왕당파의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외세 개입 촉구, 온건 혁명파의 이탈 및 소극적인 태도는 계속되었다. 프랑스 대혁명의 전파를 원치 않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등이 주도하는 반프랑스 연합군과의 대치 상황에서 로베스피에르는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그는 '단일한 하나의 의지'(une volonté une)라는, 집중화된 중앙권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혁명정부의 필수 권력기관, 수사기관들을 창설하여 직접 지휘하였다. 하지만 소수파로 전락한 지롱드당은 푀양파와 손잡고 자코뱅당을 타도하려 했다.

프랑스 혁명력 11 테르미도르(양력 1794년 7월) 초, 사람들은 언제 로베스피에르가 자신을 죽일지 몰라 두려워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여론의 지지를 다시 얻고자 7월 23일 공안위원회와 7월 26일 국민공회에 출석하여 사심 없이 일했음을 밝히고, 국민의 공정한 판단을 호소했다.

7월 26일, 로베스피에르가 공회에서 반혁명파 숙청을 선언하자,[693] 의원들은 "반혁명파가 누구냐? 이름을 밝혀라!"라며 반발했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연설이었다. 자코뱅당 산악파는 이미 관용파와 강경파로 분열된 상태였고, 무차별 처형을 강행하는 로베스피에르를 관용파는 비판했고, 우유부단하다고 여긴 급진파 역시 등을 돌렸다.

국민회의 연설 후, 26일 저녁 자코뱅 클럽 모임에서 로베스피에르는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7월 27일, 반대파들은 국민의회 회의장을 봉쇄하여 로베스피에르의 출입을 막고 연설을 저지했다. 다음 날, 7월 27일 부르주아층, 온건파 푀양파, 온건파 혁명파가 주도하는 반(反) 로베스피에르 파가 행동을 개시했다. 하지만 로베스피에르를 도울 사람은 없었다. 그의 공포 정치는 민심을 잃게 만들었다. 국민의회는 로베스피에르와 그의 동생 오귀스탱, 동료 3명을 반혁명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로베스피에르는 뤽상부르 감옥으로 호송되었으나, 간수장은 그의 투옥을 망설였다.

반로베스피에르파에 의한 테르미도르의 쿠데타


7월 27일 로베스피에르는 파리 시청으로 갔다. 파리 코뮌 정부는 시내 몇몇 지구에 무장부대를 소집해 놓고 그의 명령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로베스피에르는 군사를 일으키자는 권고에 봉기 주도를 거부했다. 몇 시간 후 그를 위해 죽음을 맹세했던 그의 친위부대도 결국 해산하기 시작했다. 국민공회는 7월 27일부로 의장직을 박탈하고 로베스피에르를 범법자로 선포하였다. 지지자들을 해산시킨 후 그는 시청에서 스스로 자신의 턱에 권총을 쏴 자살을 시도했지만(실제로는 자살 시도인지, 정적의 총격에 의한 총상인지는 확실치 않다.) 중상을 입었다. 같은 날 저녁 늦게 국민공회의 병사들은 시청을 공격해 손쉽게 로베스피에르와 그 추종자들을 체포하였다. 생 쥐스트 역시 순순히 체포되었다.

1794년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콩코르드 광장에서 자신이 많은 사람들을 처형했던 도구인 단두대에 올라가 처형됐다.[695] 생 쥐스트, 조르주 쿠통, 친동생인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 등 22인과 함께 처형됐다.[695] 로베스피에르의 이념을 지지한 죄로 108명이 처형당했고, 수백 명이 투옥되었다.

5. 1. 혁명 직후

로베스피에르는 왕실과 왕당파가 왕정 복고를 계획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와 공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군대가 준비되지 않았고, 귀족 출신 장교들이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1792년 2월, 귀족 출신 장교들의 해임을 건의하여 대규모 정군을 단행했다. 한편,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등은 로베스피에르를 축출하려다 실패하고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113]

로베스피에르는 왕실과 왕당파가 국외로 탈출하려 하고,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영국 등의 개입을 촉구하려는 비밀 음모를 폭로했다. 왕당파와 오스트리아의 내통, 귀족 출신 장교와 용병으로 구성된 군대의 사기 문제를 지적하며, 국민으로 구성된 군대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귀족 출신 장교들이 실전 경험이 없어 무능하며, 왕에 대한 충성심으로 반란이나 학살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114]

로베스피에르는 낭시에서 시민을 공격하라는 상관의 명령을 거부하고 저항하다 투옥된 샤토비외 연대의 사병들을 애국 군인이라며 변호했다. 자크 피에르 브리소 지지자들이 반론을 제기하자, Le Défenseur de la Constitution|헌법의 수호자프랑스어라는 신문을 창간하여 자코뱅파의 입장을 대변했다.[118] 1792년 6월 20일 시위에서 군주제가 실패하자,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군 사령관 라파예트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 정권을 세우려 한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해임을 주장했다. 그러나 라파예트를 해임하고 체포하는 데는 실패했다.

국왕 축출에 대해 오스트리아, 영국, 프로이센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프로이센오스트리아프랑스에 전쟁을 선포했다.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군대가 국민 군대로 개편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전쟁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연합군이 국경에 도착하자 민중들은 로베스피에르에게 모여들었다. 그는 전쟁을 망설였지만, "내 자유와 권리와 재산을 스스로 지키는 것이 핵심"이라며 봉기의 목표를 제시했다. 지방에서 모여든 의용군들에게는 "오직 법률의 칼로써 공동의 적과 싸우자"고 호소했다.

1792년 8월 10일 봉기 때, 로베스피에르는 튈르리 궁 공격에 가담하지 않았다. 그러나 파리시 레피크 구는 그를 봉기 지도 기관인 코뮌 정부에 파견할 대표로 지명했다. 1792년 8월 10일, 봉기 후 급진적인 사건 처리안을 기초하고 파리 코뮌의 대표로 추대되었다. 파리시 선거 의회 의원으로 있으면서 9월 학살 소식을 듣고 시민들의 무죄를 선언하며, 자기 주권을 찾았을 뿐이라고 옹호했다. 9월 5일, 파리 민중들은 그를 국민공회 대표단 단장으로 선출했다. 그해 9월 혁명 의회 의원 선거에서 파리에서 1위로 당선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당통, 마라와 함께 산악파의 거두로 불렸다. 1793년 6월 2일, 산악파가 혁명 정부를 장악하자, 농촌의 봉건 제도 불식, 소농민과 소생산자층에 바탕을 둔 국가 체제 실현을 선언했다. 공안위원회에 가입하고 집정관공안위원장으로 집권했다.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로베스피에르는 아침과 취침 전에 항상 기도했다. 집권 후, 국민 의회 의원 선출 시 제한 선거 철폐, 봉건제 폐지, 영주와 귀족이 탈취한 토지를 농민에게 반환, 왕실 인사 및 부패 귀족 체포, 망명자 재산 가압류 및 매각을 추진했다. 카드놀이, 도박, 투우, 투견, 경마 등의 오락을 금지하고, 성매매를 엄격하게 단속하여 성매매 여성 교화 및 성매수 남성에 대한 처벌을 강화했다. 집시와 점술도 미신이라며 금지했다. 이신론으로 신념이 수정되지만, 경건한 삶과 기도는 죽는 순간까지 계속되었다. 조세에 대해서는 영수증 작성과 서명을 독려했고, 대리인 대신 당사자가 직접 세금을 납부하고 영수증을 수령하도록 했다.

5. 2. 인접국가와의 전쟁과 9월 봉기

오스트리아, 영국, 프로이센 등은 프랑스에서 국왕이 축출된 것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인접국인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했다.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군대가 최선을 다하겠지만, 국민 군대로 개편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전쟁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연합군이 국경에 도착하자 민중들은 로베스피에르에게 모여들었지만, 그는 전쟁 권고에 망설였다. 로베스피에르는 "내 자유와 권리와 재산을 스스로 지키는 것"이라며 봉기의 목표를 제시했지만, 봉기 지지 요구에는 망설이며 "오직 법률의 칼로써 공동의 적과 싸우자"고 호소했다. 일부 의용군은 그의 소극적인 태도에 실망하기도 했다.

1792년 4월 혁명전쟁이 발발하려 할 때, 로베스피에르는 전쟁 반대 성명을 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792년 8월 10일 봉기 때 튈르리 궁 공격에는 가담하지 않았지만, 오후에 파리시 레피크 구는 그를 봉기 지도 기관인 코뮌 정부 대표로 지명했다. 그는 봉기 후 급진적인 사건 처리안을 기초하고 파리 코뮌 대표로도 추대되었다. 파리시 선거 의회 의원으로 있으면서 9월 학살 소식을 듣고 시민들의 무죄를 옹호하며, "시민들은 자기 주권을 찾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9월 5일 파리 민중들은 그를 국민공회 대표단 단장으로 선출했고, 그해 9월 혁명세력이 설치한 혁명의회 의원 선거에서 파리에서 1위로 당선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당통, 마라와 함께 산악파 거두로 불렸다.

1793년 6월 2일 산악파가 혁명정부의 수권을 장악하자 그는 농촌의 봉건제도 불식, 소농민과 소생산자층에 바탕을 둔 국가체제의 실현을 선언하였다. 바로 공안위원회에 가입하고 이어 집정관공안위원장으로 집권하게 된다.

5. 3. 국민공회 활동

지롱드파는 부르주아와 중소 지식인으로 구성된 혁명세력이었으나, 사회적 민주주의보다는 정치적 민주주의를 선호했다. 이들은 정부와 관직을 장악하고 있었다. 로베스피에르는 신분상으로는 부르주아였고 중소 지식인에 속했지만,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했다. 그는 귀족을 반대하면서도 새로운 지도 세력이 되기를 원했던 지롱드파와는 감정적으로도 대립했다.

지롱드파국민공회의 첫 회기에서 로베스피에르가 독재를 꾀한다고 비난하여 소란이 일어났지만, 입법의회는 지롱드파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1792년 12월, 국왕 루이 16세의 처형 여부를 결정하는 재판에서 로베스피에르는 11번의 연설에서 모두 사형을 주장했다. 사형 제도 폐지론자였던 그가 국왕에게만은 냉혹하다는 비판과 야유가 쏟아졌지만, 로베스피에르는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169]

1792년 9월 21일, 국민 공회가 프랑스 공화국을 만장일치로 선포한 후, 전 국왕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국민 공회의 입법 위원회는 향후 재판의 법적 측면을 검토했다. 11월 20일, 루이 16세가 은행가 및 장관들과 주고받은 726개의 문서로 된 비밀 금고가 발견되면서 여론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클로드 바지르의 제안에 따라 국민 공회는 루이 16세를 의원들이 재판하기로 결정했다.[169] 12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 클럽에서 국왕의 운명에 대한 연설을 다시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1793년 1월 14일, 국왕은 음모와 공공 안전에 대한 공격에 대해 만장일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70]

1월 15일, 국민 투표를 요구하는 안건은 로베스피에르가 주도하여 424 대 287표로 부결되었다. 1월 16일, 국왕의 형량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가 시작되었고,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처형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자코뱅은 온건파의 마지막 사면 호소를 성공적으로 물리쳤다.[171] 1월 20일, 의원들의 절반이 즉시 사형에 찬성했다. 다음 날 루이 16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국왕 처형 이후, 로베스피에르, 당통, 몽테뉴파는 영향력이 급증하여 지롱드파를 압도했다.[172]

뒤무리에의 배신


2월 24일, 국민 공회는 처음으로 실패한 총동원령을 제정하여 프랑스 시골에서 봉기를 촉발했다. 앵라제의 지원을 받은 시위대는 지롱드파가 불안과 치솟는 물가를 선동했다고 비난했다. 1793년 3월 초, 방데 반란과 피레네 전쟁이 시작되었다. 한편,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인구는 상퀼로트 군대에 의해 공포에 질려 프랑스 침략에 저항했다.[173]

3월 9일 저녁, 군중은 국민 공회 밖에서 모여 위협적인 소리를 지르며 국왕 처형에 찬성표를 던지지 않은 모든 "반역자" 의원들의 제거를 요구했다. 1793년 3월 12일, 임시 혁명 재판소가 설립되었고 3일 후 국민 공회는 푸키에-탱빌을 ''공공 검사''로, 플뢰리오-레스코를 그의 보좌관으로 임명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열의가 없었고 그것이 파벌의 정치적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두려워했다.[173] 로베스피에르는 모든 제도가 인민이 선하고 그들의 치안 판사가 부패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지 않으면 나쁘다고 믿었다.[173]

3월 11일,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는 브뤼셀 의회에서 연설하며 프랑스 위원과 군인들의 행동에 대해 사과했다.[174]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인들에게 프랑스 군대가 3월 말까지 국민 공회의 허가 없이 벨기에를 떠날 것이라고 약속했다.[175] 그는 샤르트르 공에게 그의 계획에 동참하여 평화를 협상하고, 국민 공회를 해산하고, 1791년 프랑스 헌법과 입헌 군주제를 복원하고, 마리 앙투아네트와 그녀의 자녀들을 석방할 것을 촉구했다.[176][177] 자코뱅 지도자들은 프랑스가 뒤무리에가 주도하고 지롱드파가 지원하는 군사 쿠데타에 가까워졌다고 확신했다.

3월 25일, 로베스피에르는 전쟁 노력을 조정하기 위한 일반 국방 위원회의 25명의 위원 중 한 명이 되었다.[178] 로베스피에르는 뒤무리에를 제거하라고 외쳤는데, 그의 눈에는 뒤무리에가 벨기에의 독재자 또는 국가 원수가 되려고 했고, 뒤무리에는 체포되었다.[179] 그는 국왕의 친척들이 프랑스를 떠나야 하지만 마리 앙투아네트는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요구했다.[180] 그는 국민 공회를 구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이야기했지만 며칠 안에 위원회를 떠났다. 마라는 지롱드파에 대한 더 급진적인 전쟁 방식을 추진하기 시작했다.[181] 몽테뉴파는 혁명 재판소에 스스로 항복하기를 거부한 뒤무리에 장군의 배신 이후 지롱드파에 대한 강력한 공세를 시작했다.[182] 4월 3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 앞에서 전쟁 전체가 뒤무리에와 브리소 사이에 공화국을 전복하기 위한 준비된 게임이라고 선언했다.[183]

4월 6일, 공안 위원회는 막시민 이스나르의 제안에 따라 조르주 당통의 지원을 받아 설치되었다. 위원회는 플레인과 당통주의자 출신 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지만 지롱드파나 로베스피에르파는 없었다.[184] 위원회의 첫 번째 행위 중 하나로 자코뱅 클럽의 회장인 마라는 22명의 지롱드파를 추방할 것을 요구했다.[207] 로베스피에르는 선출되지 않았고 의회 행동의 전망에 대해 비관적이었으며 자코뱅에게 파리를 방어하고 불충성스러운 의원을 체포하기 위해 상퀼로트 군대를 일으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185] 로베스피에르에 따르면 두 개의 정당, 즉 인민의 적과 인민이 있을 뿐이었다.[185] 4월 10일, 로베스피에르는 연설에서 뒤무리에를 비난했다. "그와 그의 지지자들은 벨기에에서 아시냐의 유통을 막아 공공의 재산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186]

1793년 4월 로베스피에르의 연설은 점증하는 급진화를 반영한다. "나는 구획에 반란군을 근절하기 위해 부서에서 모든 상퀼로트를 끌어들일 혁명 군대의 핵심을 형성할 만큼 큰 군대를 일으키라고 요청한다..."[187] 추가적인 반역을 의심한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에 적과 협상할 것을 제안하는 모든 사람에게 사형을 선고하도록 투표할 것을 요청했다.[188] 마라는 군사 재판소와 국민 공회의 정지를 요구하며 투옥되었다.[189] 4월 15일, 국민 공회는 국왕을 옹호한 지롱드파의 제거를 요구하는 구획의 인민에 의해 다시 공격받았다. 4월 17일까지 국민 공회는 1793년 인권 선언을 논의했는데, 이는 1793년 최초의 공화국 헌법에 앞선 정치 문서였다. 4월 18일, 코뮌은 마라의 체포 후 국민 공회에 대한 봉기를 발표했다. 4월 19일, 로베스피에르는 법 앞의 평등에 관한 7조에 반대했고; 4월 22일, 국민 공회는 저항권에 관한 29조를 논의했다.[190] 4월 24일, 로베스피에르는 재산권에 관한 4개의 조항이 있는 자신의 버전을 제시했다. 1793년 4월 24일, 결사의 자유, 노동할 권리와 공공 부조, 공교육을 받을 권리, 반란의 권리(정부가 인민의 권리를 침해할 때 반란을 일으킬 의무), 노예제 폐지가 모두 1793년 인권 선언에 기록되었다.[192] 그는 사실 소유에 대한 개인의 권리에 의문을 제기했고,[193] 누진세와 모든 국가의 인민 간의 박애를 옹호했다.[187] 로베스피에르는 토지법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1793년 5월 1일, 지롱드당 의원인 에 따르면 8,000명의 무장한 사람들이 국민공회를 포위하고, 그들이 요구한 긴급 조치(적절한 임금과 식량 가격 상한선)가 채택되지 않으면 떠나지 않겠다고 위협했다.[194][195] 5월 4일, 국민공회는 고향을 떠나 적과 싸우는 병사들과 선원들의 가족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로베스피에르는 계급 전쟁 전략을 계속 밀어붙였다.[196] 5월 8일과 12일 자코뱅 클럽에서 로베스피에르는 부유층에 세금을 부과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귀족과 반혁명가들을 물리치기 위한 곡물을 수색할 혁명군을 창설할 필요성을 다시 강조했다. 그는 공공 광장을 무기와 창을 생산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5월 중순, 마라와 코뮌은 그를 공개적으로, 그리고 은밀하게 지지했다.[197] 국민공회는 지롱드당이 다수를 차지하는 12인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198] ''르 페르 뒤쉔''의 편집자였던 자크 에베르는 22명의 지롱드당을 공격하거나 죽음을 선동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다음 날, 코뮌은 에베르의 석방을 요구했다.

5월 26일, 침묵을 지킨 지 일주일 만에 로베스피에르는 그의 경력에서 가장 결정적인 연설 중 하나를 했다. 그는 자코뱅 클럽에 "부패한 의원들을 상대로 봉기할 것"을 촉구했다. 이스나르는 국민공회가 어떤 폭력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파리는 프랑스 다른 지역의 대표들을 존중해야 한다고 선언했다.[199] 국민공회는 로베스피에르의 발언을 듣지 않기로 결정했다. 분위기는 극도로 격앙되었다. 일부 의원들은 이스나르가 파리에서 내전을 선포하려 한다면 그를 죽일 의향이 있었고, 의장에게 자리를 내놓으라는 요청이 있었다.

5월 28일, 허약한 로베스피에르는 신체 상태를 이유로 두 번이나 변명했지만, 브리소를 왕당파로 비난했다.[200][201] 로베스피에르는 좌익의 박수를 받으며 국민공회를 떠나 시청으로 갔다.[181] 그곳에서 그는 국민공회 다수를 상대로 무장 봉기를 촉구했다. 그는 "코뮌이 인민과 긴밀히 연합하지 않으면 가장 신성한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202] 오후에 코뮌은 20,000명의 병력을 포함하여 프랑스 모든 마을에 상퀼로트 혁명군을 창설하여 파리를 방어할 것을 요구했다.

5월 29일, 로베스피에르는 대중의 마음을 준비하는 데 전념했다. 그는 샤를 장 마리 바르바로를 공격했지만, 그의 불안감 때문에 정치 경력을 거의 포기할 뻔했다고 인정했다.[181] 파리 33개 구역의 대표들은 봉기 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들은 봉기 상태임을 선언하고 코뮌의 일반 평의회를 해산한 후 즉시 재구성하여 새로운 선서를 하게 했다. 프랑수아 아노는 파리 국민 방위대의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 생-쥐스트가 공안 위원회에 추가되었고, 쿠통은 비서가 되었다.

다음 날, 노트르담의 종이 울리고 도시 문이 닫혔다. 5월 31일 ~ 6월 2일 봉기가 시작되었다. 아노는 경고 신호로 퐁뇌프에 대포를 발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오전 10시쯤, 12,000명의 무장 시민들이 지롱드당 의원들의 체포에 맞서 국민공회를 보호하기 위해 나타났다.

6월 1일, 코뮌은 하루 종일 모여 대규모 운동을 준비했다. ''봉기 위원회''는 아노에게 "존경할 만한 무장 병력"으로 국민공회를 포위하라고 명령했다.[205] 저녁에 40,000명의 사람들이 건물 주변을 포위하여 체포를 강요했다. 마라는 왕의 처형에 반대하고 그 이후 국민공회를 마비시킨 대표들을 공격했다.[206][207] 코뮌은 국민공회에 청원하기로 결정했다. 국민공회는 위기 상황에 무기를 휴대하고 매일 비용을 지불하며, 지난 4일 동안의 중단에 대해 노동자에게 보상하기로 결정했다.[208]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 코뮌은 혁명에 대한 "''보충''"을 요구하고 준비했다. 아노는 국민 방위대를 시청에서 국립 궁전으로 행진하도록 제안(또는 명령)했다.[209] 다음 날 아침, 대규모의 무장 시민(일부는 80,000명 또는 100,000명으로 추산되었지만, 단통은 30,000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210]이 포병과 함께 국민공회를 포위했다. 아노는 "무장 병력은 코뮌이 국민공회에 의해 비난받은 의원들을 국민에게 인도할 때만 물러설 것"이라고 말했다.[211] 지롱드당은 법의 보호를 받는다고 믿었지만, 갤러리의 사람들은 그들의 체포를 외쳤다. 22명의 지롱드당이 체포되었다.

이제 몽테뉴파가 국민공회를 장악했다.[212] 지롱드당은 지방으로 가서 반혁명에 합류했다.[213]

봉기 동안 로베스피에르는 그의 수첩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6월 3일, 국민공회는 망명자의 토지를 분할하여 농부에게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6월 12일, 로베스피에르는 건강 문제로 사임할 의사를 발표했다. 7월 13일, 로베스피에르는 르 펠르티에가 기숙 학교에서 혁명적 사상을 가르치려는 계획을 옹호했다. 다음 날, 국민공회는 욕조에서 살해된 마라를 그의 열정과 혁명적 근면함으로 칭찬하는 데 열중했다. 피에르-루이 벤타볼에 반대하여 로베스피에르는 마라의 죽음의 상황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217] 7월 17일 또는 22일 망명자의 재산은 법령에 의해 몰수되었고, 소유권 증명서는 수집되어 소각되었다.

5. 4. 루이 16세 및 왕실 사형

1792년 12월 3일에 행한 연설에서 로베스피에르는 망설이던 사람들까지 끌어들였다. 그는 비인간적인 절대왕정과 신분 체제로 억압받은 사례를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부르주아와 온건 지식인으로 구성된 온건파들이 왕과 귀족을 몰아내고 자신들이 기득권을 차지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부르주아층과 온건 지식인들에게 경고하는 차원에서라도 국왕과 그의 사치스러운 아내는 죽여야 한다고 강조했다.[169] 로베스피에르는 새로운 잡지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 (Les Lettres à ses commettants)"를 창간하여, 창간 초기의 잡지들을 통해 프랑스 국내 각지에 자신의 견해를 알렸다.

그는 루이 16세마리 앙투아네트, 왕족과 귀족층, 폴리냑 백작 부인, 뒤바리 부인 등을 국민의 적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모두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단두대에서 사형에 처했다. 그는 루이 16세의 처형을 지켜보았다.

1792년 9월 21일, 국민 공회가 프랑스 공화국을 만장일치로 선포한 후, 전 국왕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국민 공회의 입법 위원회는 향후 재판의 법적 측면을 검토했다. 11월 20일, 루이가 은행가 및 장관들과의 통신으로 구성된 726개의 문서로 된 비밀 금고가 발견된 후 여론은 루이에 대해 급격히 악화되었다. 클로드 바지르의 제안에 따라 국민 공회는 루이 16세를 의원들이 재판하도록 결정했다.[169] 12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 클럽에서 국왕의 운명에 대한 연설을 반복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1793년 1월 14일, 국왕은 음모와 공공 안전에 대한 공격에 대해 만장일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70]

1월 15일, 국민 투표를 요구하는 안건은 로베스피에르가 주도하여 424 대 287표로 부결되었다. 1월 16일, 국왕의 형량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가 시작되었고,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처형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자코뱅은 온건파의 마지막 사면 호소를 성공적으로 물리쳤다.[171] 1월 20일, 의원들의 절반이 즉시 사형에 찬성했다. 다음 날 루이 16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5. 5. 공포정치

1793년 7월 27일, 로베스피에르는 공안위원회에 선출된 후 혁명 정부의 확립과 자신의 정치적·사회적 이상 실현에 매진했다. 장 자크 루소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일반 의지, 즉 자유·평등·우애라는 이념과 공공의 복지를 중시했다. 정치적으로는 소시민민주주의의 공화국을 이상으로 삼았다.[467]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패배가 이어지고 방데 반란과 같은 내란이 발생하면서 국내 반혁명 세력에 대항할 필요성이 커져 "테르"라고 불린 공포 정치가 도입되었다. 자코뱅 클럽 내 반대파 숙청도 이루어졌는데, 로베스피에르는 대중 운동을 중시하며 의회와 대립한 자크 르네 에베르파, 신흥 자본가 계급과 제휴하려 한 조르주 당통파 지도자들을 혁명 재판소를 통해 체포·처형했다.[467]

1793년 1월 21일 집정관이 된 그는 범죄와 약탈, 도적질을 엄격히 다스렸다. 무기를 소지하고 약탈, 강간을 하거나 뇌물을 받은 부패 관료는 지역 공개장소에서 교수형에 처했다. 6월 2일 상 퀼로트의 지지를 얻어 국민 공회에서 지롱드파를 추방하고[691] 권력을 장악, 공안위원회, 보안위원회, 혁명재판소 등의 기관을 이용해서 공포 정치(''Terreur'': 테뢰르는 테러의 어원)를 단행하며 반대파를 단두대로 보내 숙청하였다.

지롱드당을 물리치고 자코뱅당의 독재정치를 펼치고 혁명에 반대하는 외국 세력도 물리쳤다.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와 함께 공포정치를 폈는데, 루이 16세를 처형한 지 1년 만에 1만 7000명을 단두대에서 처형하고 지방 곳곳에서 반혁명파 3만 명 이상을 처형했다. 지방의 ‘반혁명파 박멸’ 과정은 더욱 끔찍해서, 사람들을 수백 명씩 구덩이에 몰아넣고 대포알 세례를 퍼부었다. 방데에서는 한꺼번에 25만 명이 학살되었다고 한다.[692]

앙투안 라부아지에, 크레티앵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말제르브, 장 실뱅 바이이, 앙드레 셰니에, 니콜라 뤼크네르 등을 단두대에서 처형했으며, 동지였던 조르주 당통도 부정부패 혐의로 1794년 4월에 처형하였다.[693]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조수였던 엘테일 이레네 드 듀퐁 등은 미국으로 망명한다.

하지만 당통과 바이를 처형하자 혁명파 내부에서도 그를 경계하기 시작했고, 새로운 쿠데타를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공연히 제기되었다. 1794년 7월 테르미도르의 반란이 일어났다. 로베스피에르가 왕당파 및 왕당파 비호자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처형에 반대하는 점에 대해서도 조제프 캉봉, 자크 르네 에베르 등 일부는 반발하였다. 그의 공포정치에 대한 반대와 동시에 어느 정도 소극적인 태도, 반대파에 대한 무조건 처벌 반대 등에 대해서도 불만을 품는 세력이 등장하였다.

1794년 6월 8일, 로베스피에르는 비기독교화를 주도하여 최고 존재 축제를 거행하는 등, 혁명 정부의 핵심적인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용서 없는 탄압에 대한 반발이 강해져 국민 공회에서의 로베스피에르의 입장은 악화되어 갔다.[467]

5. 6. 갈등과 물가 상승

로베스피에르가 이끄는 자코뱅당 산악파와 지롱드당 사이의 갈등은 국왕과 귀족들의 처형에도 불구하고 계속되었다. 지롱드당과 왕당파 온건파벌이 연대 움직임을 보이자, 로베스피에르는 이들을 모두 처형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식량 부족, 치안 부재, 약탈 등의 문제에 대해 절도범과 살인자를 즉결 처형하고 현장 사살하는 강경 대응을 했다. 식량 부족과 기근은 계속되었고, 프로이센오스트리아는 프랑스에 대한 수출 중지 등의 봉쇄령을 내렸다.

식량난과 물가 상승으로 국민의 불만과 피로가 누적되어 혁명 분위기가 무르익었다. 샤를 뒤무리에 장군을 비롯한 장군들이 망명하거나 오스트리아에 투항하자 위기는 더욱 고조되었다. 파리의 상퀼로트와 빈민들, 급진적 자유주의자 및 공화파, 자코뱅당 산악파는 '인민전선'을 결성했다. 1793년 5월 26일 로베스피에르는 "떨쳐 일어나 봉기하자"고 촉구했으며, 6월 1일 지롱드당 지도자들을 반혁명 혐의로, 뒤무리에 일파를 반역죄로 기소하는 국민공회 내 급진파의 포고령 발의를 지지했다. 6월 2일 지롱드당 및 뒤무리에 기소 포고령은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지롱드당이 몰락하자 자코뱅당 산악파는 국가의 식량난과 경제난을 해결해야 했다. 혁명 전후 공화정을 인정할 수 없었던 일부 지역에서 분리독립과 연방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북서부 방데 지역의 반혁명 반란과 왕당파의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외세 개입 촉구, 온건 혁명파의 이탈 및 소극적인 태도는 계속되었다. 프랑스 대혁명의 전파를 원치 않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등이 주도하는 반프랑스 연합군과의 대치 상황에서 로베스피에르는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그는 '단일한 하나의 의지'(une volonté une)라는, 집중화된 중앙권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혁명정부의 필수 권력기관, 수사기관들을 창설하여 직접 지휘하였다. 하지만 소수파로 전락한 지롱드당은 푀양파와 손잡고 자코뱅당을 타도하려 했다.

1792년 9월 21일 국민 공회가 프랑스 공화국을 선포한 후, 전 국왕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국민 공회의 입법 위원회는 재판의 법적 측면을 검토했다.[169] 11월 20일, 726개의 문서로 된 비밀 금고가 발견된 후 여론은 루이에 대해 급격히 악화되었다.[170] 클로드 바지르의 제안에 따라 국민 공회는 루이 16세를 의원들이 재판하도록 결정했다. 1793년 1월 14일, 국왕은 음모와 공공 안전에 대한 공격에 대해 만장일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71]

1월 15일, 국민 투표를 요구하는 안건은 로베스피에르가 주도하여 부결되었다. 1월 16일, 국왕의 형량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가 시작되었고,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처형을 위해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자코뱅은 온건파의 마지막 사면 호소를 물리쳤다.[172] 1월 20일, 의원들의 절반이 즉시 사형에 찬성했다. 다음 날 루이 16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국왕 처형 이후 로베스피에르, 당통, 몽테뉴파는 영향력이 급증하여 지롱드파를 압도했다.

1793년 2월 24일, 국민 공회는 실패한 총동원령을 제정하여 프랑스 시골에서 봉기를 촉발했다. 앵라제의 지원을 받은 시위대는 지롱드파가 불안과 치솟는 물가를 선동했다고 비난했다. 1793년 3월 초, 방데 반란과 피레네 전쟁이 시작되었다.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인구는 상퀼로트 군대에 의해 공포에 질려 프랑스 침략에 저항했다.[173]

1793년 3월 9일 저녁, 군중은 국민 공회 밖에서 위협적인 소리를 지르며 국왕 처형에 찬성표를 던지지 않은 의원들의 제거를 요구했다. 1793년 3월 12일, 임시 혁명 재판소가 설립되었고 3일 후 국민 공회는 푸키에-탱빌을 ''공공 검사''로, 플뢰리오-레스코를 그의 보좌관으로 임명했다. 로베스피에르는 파벌의 정치적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두려워했다.[174] 그는 모든 제도가 인민이 선하고 그들의 치안 판사가 부패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지 않으면 나쁘다고 믿었다.[175]

1793년 3월 11일,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는 브뤼셀 의회에서 연설하며 프랑스 위원과 군인들의 행동에 대해 사과했다.[176]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인들에게 프랑스 군대가 3월 말까지 국민 공회의 허가 없이 벨기에를 떠날 것이라고 약속했다.[177] 그는 샤르트르 공에게 그의 계획에 동참하여 평화를 협상하고, 국민 공회를 해산하고, 1791년 프랑스 헌법과 입헌 군주제를 복원하고, 마리 앙투아네트와 그녀의 자녀들을 석방할 것을 촉구했다.[178][179] 자코뱅 지도자들은 프랑스가 뒤무리에가 주도하고 지롱드파가 지원하는 군사 쿠데타에 가까워졌다고 확신했다.

1793년 3월 25일, 로베스피에르는 전쟁 노력을 조정하기 위한 일반 국방 위원회의 25명의 위원 중 한 명이 되었다.[180] 그는 뒤무리에를 제거하라고 외쳤는데, 그의 눈에는 뒤무리에가 벨기에의 독재자 또는 국가 원수가 되려고 했고, 뒤무리에는 체포되었다.[181] 그는 국왕의 친척들이 프랑스를 떠나야 하지만 마리 앙투아네트는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요구했다.[182] 그는 국민 공회를 구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이야기했지만 며칠 안에 위원회를 떠났다. 마라는 지롱드파에 대한 더 급진적인 전쟁 방식을 추진하기 시작했다.[183] 몽테뉴파는 혁명 재판소에 스스로 항복하기를 거부한 뒤무리에 장군의 배신 이후 지롱드파에 대한 강력한 공세를 시작했다.[184] 1793년 4월 3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 앞에서 전쟁 전체가 뒤무리에와 브리소 사이에 공화국을 전복하기 위한 준비된 게임이라고 선언했다.[185]

1793년 4월 6일, 공안 위원회는 막시민 이스나르의 제안에 따라 조르주 당통의 지원을 받아 설치되었다. 위원회는 플레인과 당통주의자 출신 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지만 지롱드파나 로베스피에르파는 없었다.[186] 위원회의 첫 번째 행위 중 하나로 자코뱅 클럽의 회장인 마라는 22명의 지롱드파를 추방할 것을 요구했다.[207] 로베스피에르는 선출되지 않았고 의회 행동의 전망에 대해 비관적이었으며 자코뱅에게 파리를 방어하고 불충성스러운 의원을 체포하기 위해 상퀼로트 군대를 일으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187] 그에 따르면 두 개의 정당, 즉 인민의 적과 인민이 있을 뿐이었다.[188] 1793년 4월 10일, 로베스피에르는 연설에서 뒤무리에를 비난했다. "그와 그의 지지자들은 벨기에에서 아시냐의 유통을 막아 공공의 재산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189]

1793년 4월 로베스피에르의 연설은 점증하는 급진화를 반영한다. "나는 구획에 반란군을 근절하기 위해 부서에서 모든 상퀼로트를 끌어들일 혁명 군대의 핵심을 형성할 만큼 큰 군대를 일으키라고 요청한다..."[190] 추가적인 반역을 의심한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에 적과 협상할 것을 제안하는 모든 사람에게 사형을 선고하도록 투표할 것을 요청했다.[191] 마라는 군사 재판소와 국민 공회의 정지를 요구하며 투옥되었다.[192] 4월 15일, 국민 공회는 국왕을 옹호한 지롱드파의 제거를 요구하는 구획의 인민에 의해 다시 공격받았다. 1793년 4월 17일까지 국민 공회는 1793년 인권 선언을 논의했는데, 이는 1793년 최초의 공화국 헌법에 앞선 정치 문서였다. 1793년 4월 18일, 코뮌은 마라의 체포 후 국민 공회에 대한 봉기를 발표했다. 1793년 4월 19일, 로베스피에르는 법 앞의 평등에 관한 7조에 반대했고; 4월 22일, 국민 공회는 저항권에 관한 29조를 논의했다.[193] 1793년 4월 24일, 로베스피에르는 재산권에 관한 4개의 조항이 있는 자신의 버전을 제시했다.[194] 그는 사실 소유에 대한 개인의 권리에 의문을 제기했고,[195] 누진세와 모든 국가의 인민 간의 박애를 옹호했다.[196] 로베스피에르는 토지법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플로르 관, 공안 위원회와 일반 경찰국의 본부. 요아힘 빌라트가 아파트에 살았습니다. 갈색 잉크 드로잉 (1814)


가톨릭 교회를 방어하는 방데와 메인, 노르망디 남부 또는 브르타뉴 동부의 농민과 평민 (반란 왕당파 또는 슈앙). 작가 미상


프랑스 정부는 지방 도시들이 파리의 더 급진적인 혁명가들에게 반기를 들면서 심각한 내부적 문제에 직면했다. 마라와 르 팔르티에는 암살당했고, 이는 로베스피에르와 다른 저명 인사들에게 그들의 안전에 대한 두려움을 심어주었다. 코르시카는 공식적으로 프랑스에서 분리되어 영국 정부의 보호를 요청했다. 1793년 7월, 프랑스는 방데와 브르타뉴의 귀족 반란, 리옹, 미디, 노르망디의 연방주의 반란에 시달리며, 유럽 전역과 외국 세력의 적대감에 직면하여 내전 직전에 놓였다.[218][219]

1793년 8월 4일, 국민공회는 1793년 프랑스 헌법공포했다.[220] 그러나 8월 말까지 마르세유, 보르도, 리옹 등 반란을 일으킨 도시들은 아직 새로운 헌법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프랑스 역사가 소불은 로베스피에르가 반란을 일으킨 데파르트망들이 헌법을 인정하기 전에 헌법 시행에 반대했다고 주장한다.[221] 1793년 9월 중순, 자코뱅 클럽은 압도적인 다수가 헌법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의지가 부재하다며 헌법을 공포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222]

1793년 8월 21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공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23] 이틀 뒤인 8월 23일, 라자르 카르노가 위원회에 임명되었고, 임시 정부는 공화국의 적을 상대로 대대적인 징집을 도입했다. 쿠통은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아시냐''를 판매하는 모든 사람을 20년 동안 쇠사슬에 묶어 투옥하는 법을 제안했다. 로베스피에르는 특히 공무원들의 미덕을 확보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224] 그는 동생 오귀스탱(Augustin)과 여동생 샤를로트(Charlotte)를 마르세유와 니스에 파견하여 연방주의 반란을 진압하게 했다.[225]

1793년 9월 4일, 상퀼로트는 통화 중인 아시냐가 지난 몇 달 동안 두 배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에 대한 보다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며 다시 한번 국민공회를 습격했다.[226] 그들은 또한 반혁명을 근절하기 위한 공포정치 시스템의 구축을 요구했다.

1793년 9월 5일 회의에서 로베스피에르는 혁명군의 구성을 보고하기 위해 공안위원회의 감독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투리오에게 의장 자리를 넘겼다.[227] 이날 회의에서 국민공회는 빌로와 당통의 지지를 받은 쇼메트의 제안에 따라 파리에 6,000명의 혁명군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228] 공안위원회를 대표하는 바레르는 6,000명의 병력과 1,200명의 포병으로 구성된 유료 무장 부대를 설립하는 법령을 도입하여 즉시 통과시켰으며, 이 부대는 "반혁명 분자들을 진압하고, 국민공회가 제정한 혁명법과 공공 안전 조치를 시행하며, 식량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229]

범죄를 뿌리 뽑고 국내 반혁명을 방지하는 책임을 맡은 일반보안위원회는 국가 헌병대와 재정 문제를 감독하기 시작했다. 국내 모든 외국인을 체포하라는 법령이 내려졌다. 1793년 9월 8일, 위조 ''아시냐''의 유통과 자본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은행과 환전소가 폐쇄되었으며,[230] 외국에 투자하는 행위는 사형에 처해졌다.

1793년 9월 11일, 공안위원회의 권한은 한 달 더 연장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 클럽에서 아노를 지지하고, 1793년 8월 23일 라자르 카르노를 위원회에 임명하는 것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는데, 카르노가 자코뱅 클럽의 회원이 아니고 1793년 5월 31일 사건을 지지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231][232] 로베스피에르는 또한 보르도 음모에 관련된 지도자들을 처벌할 것을 요구했다.

자크 투리오는 로베스피에르와 화해할 수 없는 차이로 인해 1793년 9월 20일에 사임했으며, 그의 가장 노골적인 반대자 중 한 명이 되었다.[233] 혁명 재판소는 재편성되어 4개의 부서로 나뉘었고, 두 개의 부서는 항상 동시에 활동했다. 1793년 9월 29일, 위원회는 최고 가격제를 도입했는데, 특히 파리에 공급되는 지역에 적용되었다.[234] 역사가 오귀스탱 코생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로 인해 상점들은 일주일 안에 텅 비었다고 한다.[235]

1793년 10월 1일, 국민공회는 방데"도적"들을 그 달 말까지 근절하기로 결의했다.

5. 7. 공안위원회 위원장

삼두정치: (왼쪽부터) 생쥐스트, 로베스피에르, 쿠통


1794년 파리 구획의 혁명 감시 위원회를 묘사한 판화, 장바티스트 위엣의 작품. (프랑스 국립 도서관, 파리.)


1793년 7월 27일, 로베스피에르는 공안 위원회에 선출되었다. 그는 혁명 정권 확립과 자신의 정치적, 사회적 이상 실현에 매진했다. 장 자크 루소의 영향을 받아 일반 의지, 자유, 평등, 우애, 공공의 복지를 중시했다. 상퀼로트라 불리는 일반 시민과 무산 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삼아 소시민민주주의 공화국을 이상으로 삼았다.[467]

프랑스 혁명 전쟁의 패배와 방데 반란 등 내란으로 인해 국내 반혁명 세력에 대항할 필요성이 커져 공포 정치가 도입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자크 르네 에베르파와 조르주 당통파 지도자들을 혁명 재판소를 통해 체포, 처형했다.[467]

1793년 9월 4일, 상퀼로트아시냐의 가치 하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며 국민공회를 습격했고, 반혁명 근절을 위한 공포정치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다.[227]

9월 5일, 국민공회는 파리에 6,000명의 혁명군 창설을 결정했다.[229] 공안 위원회는 "반혁명 분자들을 진압하고, 혁명법과 공공 안전 조치를 시행하며, 식량을 보호"하기 위한 법령을 통과시켰다.[187]

일반보안위원회는 국가 헌병대와 재정 문제를 감독하고, 모든 외국인을 체포하는 법령이 내려졌다. 9월 8일, 위조 ''아시냐'' 유통과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은행과 환전소가 폐쇄되고,[230] 외국 투자는 사형에 처해졌다.

9월 11일, 공안위원회의 권한이 한 달 더 연장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라자르 카르노의 위원회 임명에 반대했다.[231][232]

자크 투리오는 9월 20일에 사임했다.[233] 혁명 재판소는 재편성되었다. 9월 29일, 위원회는 최고 가격제를 도입했다.[234]

10월 1일, 국민공회는 방데"도적"들을 근절하기로 결의했다.

1793년 10월 16일 단두대에서 처형된 마리 앙투아네트


10월 3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가 두 파벌로 나뉘었다고 인식했다.[236] 그는 73명의 지롱드파 의원들을 옹호했지만,[237] 20명 이상이 재판에 회부되었다. 그는 당통을 비판했다.[238]

10월 10일, 국민 공회는 공안 위원회를 최고 "혁명 정부"로 공식 인정했다.[241] 이는 12월 4일에 굳어졌다.[242]

10월 12일, 에베르마리 앙투아네트를 비난하자, 로베스피에르는 지지자들과 식사하며 에베르를 비난했다.[244][245] 전 여왕은 10월 16일에 처형되었다.[246]

1793년 10월 31일 지롱드파 처형


10월 25일, 혁명 정부는 무능하다는 비난에 직면했다.[248] 10월 31일, 브리소와 다른 21명의 지롱드파는 처형되었다.[249]

11월 14일, 프랑수아 샤보가 로베스피에르를 반혁명 혐의로 비난했다.[250]

11월 25일, 미라보의 유해가 팡테옹에서 옮겨지고, 장폴 마라의 유해가 안치되었다.[251]

12월 3일,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 클럽에서 당통을 비난했다.[252]

12월 4일, 혁명 정부법에 따라 공안위원회의 권한이 강화되었다.[253]

12월 5일, 카미유 데물랭은 새 저널을 창간하고 당통을 옹호했다.[254]

12월 6일, 로베스피에르는 비기독교화의 위험을 경고했다.

12월 12일, 로베스피에르는 클로츠를 프로이센 스파이라고 공격했다.[257]

데물랭은 로베스피에르에게 편지를 썼다.[258]

12월 25일, 로베스피에르는 "혁명 정부 원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255] 그는 공포정치의 종식을 요구하는 호소에 답하여 국민 공회의 권위, 행정 중앙 집권화, 지역 당국 숙청을 정당화했다. 그는 두 파벌에 반대했다.[259][260] 그는 엄격한 법률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믿었다.[261] 그는 "국민의 적들에게는 죽음만을 빚진다"고 말했다.[262][263][264]

5. 8. 파벌 다툼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파 내에서 지롱드파푀양파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장하는 자크 르네 에베르, 생 쥐스트 등과 온건파인 조르주 당통 사이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에베르 등의 과격한 주장에 반대하면서도 당통의 관용론에도 동조하지 않았다.[694]

1793년 12월 25일 보고서에서 로베스피에르는 국민공회의 집단지도체제와 중앙집권화를 옹호하고, 정부를 위협하는 파벌들의 존재를 언급했다. 에베르 파와 코르들리에 파는 급진적인 조치와 비(非)그리스도교화, 식량 매점매석 행위자 처벌을 주장하며 농민과 지식인들을 불안하게 했다. 1794년 2월 26일3월 3일, 로베스피에르는 반혁명 용의자의 재산을 몰수해 빈민에게 분배하겠다고 밝혔으나, 파벌 간 갈등은 심화되어 공포정치가 강화되었다.

1794년 3월, 병에서 회복한 로베스피에르는 에베르와 그 지지자들을 고발, 처형했다. 당통파는 이를 기회로 압력을 행사했지만, 로베스피에르는 무차별 학살에 반대하며 당통파와 대립했다. 1794년 1월, 로베스피에르는 당통의 측근인 파브르 데글랑틴을 체포했고, 당통은 왕당파에게 매수당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결국 4월 5일 당통파 지도자들은 처형되었다.

1793년 8월, 국민공회는 1793년 프랑스 헌법을 공포했지만, 일부 도시는 반발했다.[221] 로베스피에르는 반란 진압 전 헌법 시행에 반대했고,[222] 9월 중순 자코뱅 클럽은 헌법 공포에 반대했다.[223] 8월 21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공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224] 8월 23일, 라자르 카르노가 위원회에 임명되어 대대적인 징집이 시작되었다. 로베스피에르는 공무원의 미덕을 강조하며,[225] 동생과 여동생을 파견해 반란을 진압하게 했다.[226]

11월, 프랑수아 샤보는 로베스피에르를 반혁명 혐의로 고발했지만, 곧 체포되었다.[250] 미라보 백작의 유해는 팡테옹에서 옮겨지고, 장폴 마라가 안치되었다.[251] 12월, 로베스피에르는 당통을 비난했지만, 모임은 당통 지지로 종료되었다.[252] 혁명 정부법으로 공안위원회의 권한이 강화되고 지방 당국의 독립성은 종말을 고했다.[253] 카미유 데물랭은 당통을 옹호하고 로베스피에르를 비판했다.[254]

12월 25일, 로베스피에르는 "혁명 정부 원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 공포정치의 종식 요구에 답하며 국민 공회의 권위와 중앙집권화를 정당화했다. 그는 에베르파와 당통파를 비판하며, 혁명 정부의 이론은 혁명만큼 새롭다고 주장했다.[259][260][261] 그는 "국민의 적들에게는 죽음만을 빚진다"고 말했다.[262][263][264] R. R. 팔머와 도널드 C. 호지스는 이를 근대 독재 철학의 최초 성명으로 보았다.[265][266]

5. 9. 테르미도르의 반란

프랑스 혁명력의 열한 번째 달인 테르미도르(양력 1794년 7월) 초, 사람들은 언제 로베스피에르가 자신을 죽일지 몰라 두려워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여론의 지지를 다시 얻고자 7월 23일 공안위원회와 7월 26일 국민공회에 출석하여 사심 없이 일했음을 밝히고, 국민의 공정한 판단을 호소했다.

7월 26일, 로베스피에르가 공회에서 반혁명파 숙청을 선언하자,[693] 의원들은 "반혁명파가 누구냐? 이름을 밝혀라!"라며 반발했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연설이었다. 이 연설에서 그는 처음에는 박수갈채를 받았으나 곧 동요가 일었고, 결국 의회 재적 의원 과반수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자코뱅당 산악파는 이미 관용파와 강경파로 분열된 상태였고, 무차별 처형을 강행하는 로베스피에르를 관용파는 비판했고, 우유부단하다고 여긴 급진파 역시 등을 돌렸다.

국민회의 연설 후, 26일 저녁 자코뱅 클럽 모임에서 로베스피에르는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7월 27일, 반대파들은 국민의회 회의장을 봉쇄하여 로베스피에르의 출입을 막고 연설을 저지했다. 다음 날, 7월 27일 부르주아층, 온건파 푀양파, 온건파 혁명파가 주도하는 반(反) 로베스피에르 파가 행동을 개시했다. 하지만 로베스피에르를 도울 사람은 없었다. 그의 공포 정치는 민심을 잃게 만들었다. 국민의회는 로베스피에르와 그의 동생 오귀스탱, 동료 3명을 반혁명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로베스피에르는 뤽상부르 감옥으로 호송되었으나, 간수장은 그의 투옥을 망설였다.

1794년 7월 1일, 로베스피에르는 자코뱅 클럽에서 연설하며 런던과 파리에서 자신을 비방하는 세력을 비난했다.[291] 7월 3일, 위원회 회의에서 격분하여 자신의 참여 없이는 국가를 구할 수 없다는 듯 사임을 표명했다.[344][345] 다음 날, 건강 악화를 이유로 탈리앵을 자코뱅 클럽에서 제명했다.[346] 7월 14일, 푸셰를 추방했다.

이후 40일 동안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공안위원회 법령에는 서명했다. 6월 말, 경찰국과의 협력을 중단했다.[347] 파리 외곽 12km 떨어진 메종알포르에서 가끔 휴식을 취하며,[348] 덴마크 개와 함께 들판과 마른 강을 산책했다. 혁명 정부 내 그의 친구는 공안위원회의 쿠통과 생쥐스트, 일반보안위원회의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와 조제프 르 바였으며, 이들은 같은 집에 살았기에 개인적으로 만났다.

로베스피에르는 일반보안위원회가 공안위원회에 종속되기를 원했고, 두 위원회가 별개의 정부처럼 행동한다고 여겼다.[349][350] 생쥐스트는 바레와 협상하여 위원회 간 협력 강화를 제안했다.[351] 7월 22일과 23일, 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했지만, 반대파의 세력을 과소평가했다.[352] 권력 장악력이 약해짐을 느끼고,[353] 국민 공회에서 공격을 시작, 새로운 보고서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하려 했다. 카틸리나에 비유되었지만, 스스로 소 카토의 덕을 선호했다.[354]

7월 26일 토요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 공회에 다시 나타나 악당 파벌에 대한 2시간 연설을 했다.[355] 독재와 폭정 혐의를 부인하고 공안위원회에 대한 음모를 경고했다. 콜로드는 로베스피에르의 동기를 의심하며 독재자가 되려 한다고 비난했다.[356] 비난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말하라는 요구에 조제프 캄봉을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거부했다. 캄봉은 연단으로 달려가 "한 사람이 국민 공회의 의지를 마비시키고 있다"고 외쳤다.[357] 그의 격렬함이 논쟁의 방향을 바꿨다.[358] 베르사유의 르콩트르가 연설 인쇄를 제안했으나, 이는 동요, 논의, 저항의 신호였다. 국민 공회는 로베스피에르의 연설이 먼저 두 위원회에 제출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인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먼저 검토해야 할 만큼 중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359] 로베스피에르는 자신의 연설이 고소하려던 바로 그 대표자들에게 보내진다는 사실에 놀랐다. 생쥐스트에 따르면, 그는 자신의 박해 이유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고, 자신의 비참함만 알았다.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고, 바레가 이를 강제로 끝냈다.[360] 쿠통은 연설이 아닌 음모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생쥐스트는 교착 상태 해결을 위한 보고서를 준비하겠다고 약속했다.

저녁에 로베스피에르는 자신의 마지막 유언으로 여겨지는 동일한 연설을 자코뱅 클럽에서 했고, 열렬한 반응을 얻었다.[361] 독미나리를 마시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자, 자크 루이 다비드는 "나도 당신과 함께 마시겠다"고 외쳤다. 콜로 다르부아와 빌로 바렌은 텍스트 인쇄 및 배포에 반대하여 쫓겨났다. 빌로는 공격받기 전 탈출했지만, 콜로 다르부아는 쓰러졌다. 그들은 생쥐스트가 일하는 공안위원회로 향했고, 자신들의 기소장을 작성하는지 물었다. 생쥐스트는 회의 시작 전 연설을 보여주겠다고 약속했다.[362] 국민 공회를 주재한 콜로 다르부아는 다음 날 생쥐스트의 발언을 막기로 결정했다.

두 위원회의 9명 위원들은 비밀리에 모여 로베스피에르 체포를 결심했다. 바라스는 로베스피에르가 죽지 않으면 모두 죽을 것이라 말했다. 이들의 결정은 이념적이라기보다는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두려움, 적대감, 복수심 등 감정적인 요인이 컸다.[252][363] 국민 공회는 13개월 동안 144명의 대표를 잃었고, 67명이 처형, 자살, 또는 감옥에서 사망했다. 국민 공회는 숙청을 통한 정치적 부흥의 마지막 단계로 대표 처형을 종종 고집했다.[364] 이제 급진파와 관대한 자들이 연합하여 로베스피에르에 반대했다. 로랑 르콩트르가 쿠데타 주동자였다.[365] 그는 6일에 로베르 린데, 7일 테르미도르에 바디에에게 연락했다. 르콩트르는 바레, 프레롱, 바라스, 탈리앵, 투리오, 쿠르투아, 로베르, 가르니에 드 로브, 구프로이의 도움을 받았다. 이들은 각자 공격 역할을 준비했다. 아노, 그의 부관, 라발레트,[366] 공공 검사 뒤마, 뒤플레 가족, 인쇄업자 샤를 레오폴드 니콜라를 먼저 체포하여 로베스피에르의 지원을 끊기로 결정했다.[365]

생쥐스트와 로베스피에르가 9 테르미도르에서 10 테르미도르로 넘어가는 밤에 시청에 있는 모습 (장 조제프 베르츠 그림)


쿠통의 주머니에서 발견된 코뮌 포고문. 쿠통은 로베스피에르의 초대를 받았고, 이를 위해 공식 경찰 문서를 사용했다.


국민공회 군대가 코뮌을 공격한다. (피에르 가브리엘 베르토와 장 뒤플레시-베르토 판화, 1804년)


정오에 생쥐스트는 국민공회에 들어가 빌로, 콜로 드에르부아, 카르노를 비난하려 했다.[370] 몇 분 후, 전날 저녁 로베스피에르가 테레사 카바루스의 석방을 거부했던 탈리앵은 그를 방해하고 공격했다. 르바는 삼두정치자(로베스피에르, 생쥐스트, 쿠통)를 변호하려 했지만, 허락되지 않았고 빌로가 발언을 이어갔다. "어제 혁명 재판소 재판장 [뒤마]는 공개적으로 자코뱅에게 공회에서 모든 부정한 자들을 몰아내라고 제안했다."

탈리앵은 "로베스피에르는 우리를 차례로 공격하고 고립시키려 했으며, 마침내 그를 섬기는 비천하고 버려진 타락한 사람들만 남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거의 35명의 대표가 그날 로베스피에르를 반대하며 연설했고, 대부분 산악당 출신이었다.[372] 비난이 쌓이는 동안 생쥐스트는 침묵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연단으로 달려가 몽테뉴파에 맞서 자신을 변호해 달라고 평원파에게 호소했지만, 목소리는 함성에 묻혔다. 왼쪽 벤치로 달려갔지만, "여기서 비켜라; 콩도르세가 여기 앉았었다"는 외침을 들었다. 바디에가 문맹인 카트린 테오의 매트리스 아래에서 발견된 편지를 조롱하며 흉내 내자, 말을 잃었다.

크게 화가 난 로베스피에르가 말을 잇지 못하자, 가르니에는 "당통의 피가 그를 질식시키고 있다!"라고 외쳤다.[375] 로베스피에르는 "당신이 후회하는 것은 당통인가?[...] 겁쟁이들아! 왜 그를 변호하지 않았는가?"라고 반문했다. 얼마 후,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는 자신의 운명을 형과 함께하겠다고 요구했다. 쿠통과 생쥐스트를 포함한 모든 공회가 동의했다. 필리프 프랑수아 조제프 르 바는 생쥐스트와 함께하기로 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연단에서 내려오며 혁명이 실패했다고 외쳤다. 다섯 명의 대표는 일반보안위원회로 끌려가 심문을 받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노는 국민공회 출두 명령을 받았다. 그는 군중을 동반하고 나타나라고 제안했다. 말을 탄 아노는 로베스피에르 암살 시도가 있을 것이라 경고하며, 2,400명의 국민 방위군을 시청 앞에 배치했다.[376][377] 장교들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국민공회가 폐쇄되었는지, 파리 코뮌이 폐쇄되었는지 알지 못했다.[378] 오후 6시경, 시의회는 조국을 위협하는 위험을 고려하기 위해 즉시 회의를 소집했다.[379] 문을 닫고 경종을 울리라는 명령을 내렸다. 공회는 두 위원회 허가 없이 이루어진 불법 행동으로 간주, 공회를 상대로 "무력"을 이끄는 자는 무법자로 간주한다고 포고했다. 시의회는 자코뱅과 결탁하여 봉기를 일으키고, "거기에 정기적으로 드나드는 여자들까지" 갤러리에서 증원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167]

5. 10. 실각과 최후

7월 27일 로베스피에르는 파리 시청으로 갔다. 파리 코뮌 정부는 시내 몇몇 지구에 무장부대를 소집해 놓고 그의 명령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로베스피에르는 군사를 일으키자는 권고에 봉기 주도를 거부했다. 몇 시간 후 그를 위해 죽음을 맹세했던 그의 친위부대도 결국 해산하기 시작했다. 국민공회는 7월 27일부로 의장직을 박탈하고 로베스피에르를 범법자로 선포하였다. 지지자들을 해산시킨 후 그는 시청에서 스스로 자신의 턱에 권총을 쏴 자살을 시도했지만(실제로는 자살 시도인지, 정적의 총격에 의한 총상인지는 확실치 않다.) 중상을 입었다. 같은 날 저녁 늦게 국민공회의 병사들은 시청을 공격해 손쉽게 로베스피에르와 그 추종자들을 체포하였다. 생 쥐스트 역시 순순히 체포되었다.

1794년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콩코르드 광장에서 자신이 많은 사람들을 처형했던 도구인 단두대에 올라가 처형됐다.[695] 생 쥐스트, 조르주 쿠통, 친동생인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 등 22인과 함께 처형됐다.[695] 로베스피에르의 이념을 지지한 죄로 108명이 처형당했고, 수백 명이 투옥되었다.

5. 11. 사후

로베스피에르가 사망한 후, 그의 명성은 가차없이 공격받았다. 그가 쓴 논문과 저서들은 모두 압수되어 소각되었다. 국외로 망명한 로베스피에르 추종자들에 의해 몇몇 단편 저술과 논설이 전해졌다. 이후 프랑스 내에서도 그는 왕당파와 나폴레옹파에 의해 피에 굶주린 야수 또는 편협한 독재자로 묘사되었다. 반면 급진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소심한 부르주아 또는 현실 감각이 결여된 고집불통의 원칙주의자로 여겨졌다.

로베스피에르의 사치스럽지 않고 탐욕스럽지 않았으며, 금주와 금연 등 절제된 삶은 이상주의자와 혁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특히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호찌민, 피델 카스트로 등은 그를 이상적인 혁명가의 모범으로 보았으나, 이들은 모두 공산주의 독재자라는 심각한 결함을 지니고 있다.

집권한 지롱드파는 로베스피에르를 공포의 대상, 학살자, 독재자라고 비판하며 부정했다. 나폴레옹 집권 후에도 복권되지 못했고, 루이 18세, 샤를 10세 치하의 군주정에서도 계속 비판받았다. 루이 필리프조차도 그를 탐탁지 않게 여겨 언급을 꺼렸다. 로베스피에르는 20세기 이후 재조명하는 의견들이 생겨났다.

콩고 공화국 우표 속 로베스피에르


로베스피에르의 평판은 여러 차례 재평가를 거쳤다.[427] 그의 이름은 19세기 중반, 1880년에서 1910년 사이, 그리고 1940년에 언론에서 최고조에 달했다.[428] 쥘 미슐레는 그를 "사제 로베스피에르"라고 칭했고, 알퐁스 오라르는 막시밀리앵을 "광신적인 편협주의자"이자 "신비주의 암살자"로 보았다.[430] 메리 뒤클로에게 그는 "통일의 사도"였고, 생쥐스트는 예언자였다. Robespierre ne foudroyait pas comme Danton, il ne hurlait pas comme Marat ; mais sa voix claire et acérée prononçait posément des syllabes que l'oreille des auditeurs devait se rappeler à jamais. Et, sous d'autres rapports, Robespierre avait d'étranges presciences de l'avenir et, comme penseur du moins, comme prophète, il ne s'est guère trompé.|로베스피에르는 당통처럼 천둥치거나 마라처럼 비명을 지르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맑고 날카로운 목소리는 청중의 귀가 영원히 기억할 음절을 침착하게 발음했다. 그리고 다른 점에서도, 로베스피에르는 미래에 대한 이상한 예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적어도 사상가로서, 예언자로서 그는 실수를 거의 하지 않았다.프랑스어 [189]

제3공화국 시대인 1920년대에 그의 명성은 최고조에 달했다. 당시 영향력 있는 프랑스 역사가 알베르 마티에는 로베스피에르를 선동적이고 독재적이며 광신적인 인물로 보는 일반적인 견해를 거부했다. 마티에는 그를 가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웅변가, 왕당파 음모의 적, 부정한 정치인에 대한 경계하는 적대자, 프랑스 제1공화국의 수호자, 프랑스 혁명 정부의 용감한 지도자,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국가의 예언자로 묘사했다.[431] 블라디미르 레닌은 로베스피에르를 "볼셰비키 ''선구자''"라고 언급하고 1918년에 그를 기리는 로베스피에르 기념비를 세웠다.[432]

1941년 프랑스 역사가 마르크 블로흐는 "로베스피에르주의자, 반로베스피에르주의자... 제발, 로베스피에르가 누구였는지 말씀해 주세요?"라고 탄식했다.[434] R. R. 팔머에 따르면, 로베스피에르를 정당화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다른 혁명가들을 불리하거나 부끄러운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이것은 로베스피에르 자신이 사용한 방법이었다.[435]

장-클레망 마르탱과 맥피는 혁명 정부의 탄압을 정확한 이념의 주장이 아닌 무정부 상태와 대중의 폭력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한다.[437] 마르탱은 로베스피에르의 나쁜 평판에 대해 탈리앵에게 책임을 돌리고, "테르미도르파"가 도입을 증명하는 법이 없기 때문에 "공포"를 발명했다고 주장한다.[438]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호의적인 자코뱅 학파와 비우호적인 신자유주의 학파, "변호사들과 검사들"에 의해 연구되는 논쟁적인 주제이다.[439] 2011년 소더비에서 열린 연설, 신문 기고 초안, 국민 공회에서 읽을 보고서 초안, 8 테르미도르 연설의 단편, 덕과 행복에 대한 편지 등 선택된 원고의 판매는 로베스피에르 사후 르 바 가문이 보관해 온 것으로, 역사가와 정치인들 사이에서 동원을 촉발했다.[441] 피에르 세르나는 르 몽드에 "우리는 로베스피에르를 구해야 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고,[442] 로베스피에르 연구 학회는 구독을 호소했으며, 프랑스 공산당, 사회당, 좌파급진당은 프랑스 문화부에 경고했다.[443]



많은 역사가들은 1789년 7월부터의 프랑스 국민 방위군에 대한 로베스피에르의 태도와 1792년 4월까지 경찰 내 장교들을 책임지는 "공공 검사"로서의 그의 역할을 간과했다. 그 후 그는 자신의 정기 간행물에서 민간 무장과 23,000명의 혁명군 창설을 장려하기 시작했다.[136] 그는 혁명의 권리를 옹호하고 혁명적 무력을 장려했다.[446] 수정주의 역사학자 퓌레는 공포 정치가 단순한 폭력적인 에피소드가 아니라 프랑스 혁명 이데올로기에 내재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혁명적 폭력이 극단적인 의지주의와 관련되어 있다는 그의 결론이다.[448][6] 퓌레는 특히 알베르 소불의 "마르크스주의적 노선"을 비판했다.[449]

In fact, he failed to oppose the two decisions that did most to cause bloodshed and dissension during the Revolution: the declaration of war on the European monarchies and the dechristianization campaign. As for the former, Robespierre feared that launching a war of liberation would strengthen and intensify European opposition to the Revolution and that it was likely to be defeated. He argued to Brissot that, even if victorious, the invading French armies would not be welcomed as liberators. Further, he foresaw that the war would lay the foundations for a military dictatorship, which it did. As for dechristianization, he regarded it as a gratuitous insult to the genuine religious needs of people, especially outside Paris, and would only drive them into the arms of recalcitrant priests, with disastrous results in the Vendée.|사실, 그는 혁명 기간 동안 가장 큰 유혈 사태와 불화를 초래한 두 가지 결정, 즉 유럽 군주국에 대한 선전 포고와 비기독교화 운동에 반대하는 데 실패했다. 전자에 관해서는, 로베스피에르는 해방 전쟁을 시작하면 혁명에 대한 유럽의 반대가 강화되고 심화될 것이며, 패배할 가능성이 있다고 두려워했다. 그는 브리소에게, 비록 승리하더라도 침략하는 프랑스 군대는 해방자로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그는 전쟁이 군사 독재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예견했는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비기독교화에 관해서 그는 그것을 특히 파리 외부의 사람들의 진정한 종교적 필요에 대한 무상한 모욕으로 간주했으며, 단지 반항적인 성직자들의 품으로 몰아넣을 뿐이었는데, 이는 방데에서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했다.영어[450]

로베스피에르를 지지하는 역사가들은 그가 2년차 프랑스의 독재자가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애썼다.[451]

Robespierre was ill on several occasions: in the spring of 1790, in November 1792 (more than three weeks); in September–October 1793 (two weeks); in February/March 1794 (more than a month);[55] in April/May (about three weeks) and in June/July (more than three weeks). These illnesses not only explain Robespierre's repeated absences from the committees and the Convention at crucial moments, particularly in 1794 when the Great Terror occurred, but also the fact that his faculty of judgment deteriorated – as did his moods.|로베스피에르는 여러 번 병을 앓았다. 1790년 봄, 1792년 11월 (3주 이상), 1793년 9월-10월 (2주), 1794년 2월/3월 (한 달 이상),[55] 4월/5월 (약 3주)과 6월/7월 (3주 이상). 이러한 질병은 로베스피에르가 중요한 시기, 특히 대공포가 발생한 1794년에 위원회와 국민 공회에서 반복적으로 결석한 것을 설명할 뿐만 아니라 판단 능력이 저하된 사실도 설명한다. – 그의 기분도 마찬가지였다.영어[437]

암살 시도는 그를 편집증에 가까울 정도로 의심하게 만들었다.[55] 조나단 이스라엘은 로베스피에르가 급진적인 계몽주의 시대의 진정한 가치를 부정한 것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한다. 그는 "로베스피에르 아래의 자코뱅 이데올로기와 문화는 권위주의, 반지성주의, 외국인 혐오증에 젖어 자유로운 표현, 기본적인 인권, 민주주의를 거부한 강박적인 루소주의적 도덕적 청교도주의였다."라고 주장한다.[453]

6. 사상과 신념

로베스피에르는 장 자크 루소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일반 의지에 따른 자유, 평등, 우애와 공공복지를 중시했다.[467] 그는 소시민민주주의 공화국을 이상으로 삼고, 상퀼로트라 불리는 일반 시민과 무산 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삼았다.[467]

프랑스 혁명 전쟁과 방데 반란 등 국내외 위기 상황에서 로베스피에르는 국내 반혁명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공포정치를 도입했다.[467] 자코뱅 클럽 내 반대파인 자크 르네 에베르파와 조르주 당통파를 혁명 재판소를 통해 숙청하며 권력을 강화했다.[467]

1794년 6월 8일, 비기독교화를 주도하고 최고 존재 축제를 거행하며 혁명 정부의 핵심 인물이 되었으나,[467] 가혹한 탄압으로 국민 공회 내 반발을 샀고, 결국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467]

로베스피에르는 기회의 평등 보장, 경제 통제, 노예제 폐지, 식민주의 반대 등의 사상을 가졌고,[297] 이 중 일부는 프랑스 혁명 초기에 시행되기도 했지만, 전쟁과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297]

조르주 쿠통과 함께 도입한 프레리알 22일 법은 혁명 재판소를 국민공회 통제에서 해방시키고 피의자의 변론 능력을 제한하여 정부 비판을 범죄화했다.[297] 혁명 재판소는 유죄 판결을 내리는 법정으로 변모했고, 피의자는 변호인 권리를 박탈당하고 무죄 또는 사형 판결만을 받았다.[299][300]

공안위원회 위원으로서 지롱드당, 에베르파, 당통파를 억압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고,[417]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유혈 사태의 주범으로 여겨졌다.[418] 22 프레리알 법은 폐지되고 푸키에 텡빌이 체포되었다.[291][419]

사후, 로베스피에르는 야심으로 재앙을 초래한 인물이라는 비판과 경제 혁명을 시도했던 프롤레타리아의 친구라는 지지, 두 가지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426]

6. 1. 경제 활동에 대한 통제

로베스피에르는 경제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만이 공화주의 이상을 수호할 수 있다고 보았다.[696][697] 그는 사유 재산권을 인정했지만, 지나친 재산 축적은 다수의 인민을 고통스럽게 하고 소유자의 도덕성을 파괴하므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상품 가격 결정, 생산물 유통, 무역 활동, 산업 기술 연구를 국가가 주도해야 한다는 ‘통제주의 경제관’을 가지고 있었다.[696][697]

로베스피에르는 생산 수단과 토지의 전면 국유화를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사회주의적인 사고를 보였다. 그는 모든 생필품과 식량을 모든 인민이 똑같이 분배받아야 하며, 이러한 분배가 충분하면 재산 축적에 대한 욕구가 사라져 프랑스인이 도덕성을 추구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98]

1793년 4월 21일, 로베스피에르가 작성한 인권 초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0조: 소유권은 타인의 권리를 존중할 의무에 의해 제한된다.
  • 제11조: 소유권은 동포들의 안전, 자유, 생존, 재산을 해칠 수 없다.
  • 제13조: 사회는 구성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일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생존 수단을 제공하여 모든 구성원의 생계를 보장해야 한다.


프랑스의 모든 사람을 단두대에서 처형한 후 처형자를 단두대에서 처형하는 로베스피에르의 만화

6. 2. 기회의 평등권 보장

로베스피에르는 왕족과 귀족, 사제 계층이 부와 권력을 독점하는 현상에 반대하며,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루소의 사회 계약 원리에 따른 법치는 덕치이며, 현실적 조건에 의해 제한되는 실정법적 법치가 덕치와 합일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통치는 이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므로 경미한 범죄는 두 번까지 용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왕족과 귀족을 대신해 부르주아 계층이 사회 기득권 세력이 되는 것, 부르주아와 중소 지식인 계층이 왕족, 성직자보다 더 교묘하게 신분 제도를 만들 가능성, 그리고 군사 쿠데타의 위험성을 우려했다.

로베스피에르는 신분 차별 철폐, 흑인 노예 해방 및 시민권 부여, 또는 그들의 아프리카 귀환은 언젠가 반드시 일어날 일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기득권 고착과 극심한 부의 불평등을 줄이고, 기회와 능력에 따른 공정한 경쟁 체제를 확립하며, 평균 수준의 학력과 지적 능력을 갖춘 시민의 수를 늘리고, 모든 사람에게 직업과 교육을 보장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출신 지역, 학교, 직업으로 사람의 귀천을 나누는 행위를 몹시 경멸했다.

그러나 그는 당시 대부분의 계몽주의 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여성을 남성과 짐승의 중간적 존재로 여겼으며, 여성 참정권에는 무관심했다.[284][285][286]

참조

[1] Encyclopedia Maximilien Robespierre https://www.britanni[...] 2017-09-19
[2] 간행물 Robespierre libéral 2013-03
[3] 서적 The Life and Character of Maximilian Robespierre. Proving ... that that Much Calumniated Person was One of the Greatest Men ... https://books.google[...] 2019-08-15
[4] Encyclopedia Maximilien Robespierre https://www.britanni[...] 2023-05-02
[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 Citation Is revolutionary violence justified? A re-examination of the Robespierre case https://www.academia[...] 2021-01-21
[7] 웹사이트 Maximilien Robespierre, Master of the Terror by Scott McLetchie http://people.loyno.[...] 2019-08-20
[8] 서적 Robespierre – The man who divides us the most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11-18
[9] 웹사이트 The Robespierre Problem: An Introduction https://h-france.net[...]
[10] 간행물 La famille de Robespierre et ses origines. Documents inédits sur le séjour des Robespierre à Vaudricourt, Béthune, Harnes, Hénin-Liétard, Carvin et Arras. (1452–1790)
[11] 웹사이트 Joseph Fouché – Histoire de l'Europe http://www.histoiree[...] 2023-05-24
[12] 문서 La famille de Robespierre et ses origines. Documents inédits sur le séjour des Robespierre à Vaudricourt, Béthune, Harnes, Hénin-Liétard, Carvin et Arras. (1452–1790). In: Revue du Nord, tome 5, n° 18, May 1914. p. 135
[13] 논문 L'Immortalité de l'âme dans la conception religieuse de Maximilien Robespierre http://www.theses.fr[...] Strasbourg 2 2019-08-16
[14] 문서 Citizens, soldiers and National Armies
[15] 서적 The Enlightenment that Failed: Ideas, Revolution, and Democratic Defeat, 1748–183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22
[16] 문서 Sans-Culottes, an eighteenth-century emblem in the French Revolution
[17] Citation The Reemergence of the Citizen-Soldier in Modern Military Theory https://www.academia[...] 2020-02-14
[18] 서적 Citizens, Soldiers and National Armies: Military Service in France and Germany, 1789–183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3-12
[19] 서적 Phocion's Conversations: or, the relation between morality and politics. Originally translated by Abbé Mably, from a Greek manuscript of Nicocles, with notes by W. Macbean https://books.google[...] 2023-03-12
[20] 서적 The Life and Character of Maximilian Robespierre. Proving ... that that Much Calumniated Person was One of the Greatest Men ... https://books.google[...] 2019-08-15
[21] 서적 The Revolutionary Career of Maximilien Robespier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서적 The Revolutionary Ascetic: Evolution of a Political Ty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10-16
[23] 서적 Histoire de l'Académie d'Arras depuis sa fondation: en 1737, jusqu'à nos jours https://archive.org/[...] Typ. de A. Courtin
[24] 서적 Robespierre (Paris, Fayard, 2014; rééd. Pluriel, 2016) – extraits https://www.academia[...] 2019-04-13
[25] 웹사이트 The Factums of Robespierre the Lawyer. Choices of Defence by Printed Legal Brief by Hervé Leuwers https://www.cairn-in[...] 2019-03-06
[26] 서적 Histoire de l'Académie d'Arras depuis sa fondation: en 1737, jusqu'à nos jours https://archive.org/[...] Typ. de A. Courtin
[27] 서적 Mémoires authentiques de Maximilien de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Moreau-Rosier 2019-08-16
[28] 간행물 Liste des noms et qualités de messieurs les députés et suppléants à l'Assemblée nationale https://www.persee.f[...] 1875
[29] 서적 Robespierre 2017
[30] 서적 Life of Napoleon, Volume I https://www.gutenber[...] 1876
[31] 문서 Souvenirs de Mirabeau
[32] 문서 The French Revolution
[33] 간행물 A Self-Defining "Bourgeoisie" in the Early French Revolution: The Milice Bourgeoise, the Bastille Days of 1789, and Their Aftermath https://www.academia[...] 2020-02-26
[34] 서적 The Making of the Sans-culottes: Democratic Ideas and Institutions in Paris, 1789–92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3-03-12
[35] 문서 « La garde Nationale; création et évolution (1789-août 1792) »
[36] 서적 The Making of the Sans-culottes: Democratic Ideas and Institutions in Paris, 1789–92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3-03-12
[37] 문서 Robespierre: Erinnerungen, p. 88
[38] 문서 Mémoires authentiques de Maximilien Robespierre: ornés de son portrait et de ... by Maximilien de Robespierre, pp. 20–21
[39] 서적 Maximilien Robespierre – Oeuvres: Classcompilé n° 52 https://books.google[...] lci-eBooks 2022-10-16
[40] 간행물 The politics of escalation in French Revolutionary protest: political demonstrations, non-violence and violence in the grandes journees of 1789 https://www.academia[...] 2020-10-25
[41] 웹사이트 Robespierre, "Speech Denouncing the New Conditions of Eligibility", 22 October 1789 – Liberty, Equality, Fraternity http://chnm.gmu.edu/[...] 2017-02-26
[4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Birth of Moder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08-15
[43] 웹사이트 Robespierre, "Speech Denouncing the New Conditions of Eligibility" http://chnm.gmu.edu/[...] 2019-08-16
[44] 웹사이트 Maximilien Robespierre https://ehistory.osu[...] Ohio State University 2019-08-16
[45] 서적 Souvenirs sur Mirabeau et sur les deux premières assemblées législatives https://archive.org/[...] C. Gosselin
[46] 웹사이트 Maximilien Robespierre https://serious-scie[...] 2023-03-26
[47] 서적 Souvenirs de la terreur de 1788 à 1793, p. 4. https://books.google[...] 2023-12-02
[48]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with New Maps and Original American Articles by Eminent Writers https://books.google[...] Werner 2023-03-28
[49] 간행물 « Mes forces et ma santé ne peuvent suffire ». crises politiques, crises médicales dans la vie de Maximilien Robespierre, 1790-17941 2013-03-01
[50] 웹사이트 Madame de Staël on Robespierre and the CPS (1798) https://alphahistory[...] 2023-03-26
[51] 웹사이트 Le club des Jacobins de Paris {{pipe}} Histoire et analyse d'images et oeuvres https://histoire-ima[...] 2020-08-04
[52] 문서 La Maison de Robespierre, rue de Saintonge, à Paris by Georges Michon. In: Annales historique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Jan.–Feb. 1924), pp. 64–66
[53] 웹사이트 Charlotte Robespierre's Memoirs https://revolution-f[...] 2019-05-02
[54] 웹사이트 Speech Denouncing the New Conditions of Eligibility https://revolution.c[...] 1789-10-22
[55] 간행물 'My Strength and My Health Are not Great Enough': Political Crises and Medical Crises in the Life of Maximilien Robespierre, 1790–1794 2013
[56] 서적 La société des Jacobins: Mars à novembre 1794 https://gallica.bnf.[...] Librairie Jouaust 2019-02-19
[57]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à la tribune, p. 206. In: Robespierre, vol. II. L'œuvre, part IV. Gallimard.
[58] 간행물 Adresse de la commune et de la garde nationale d'Arras, lors de la séance du 11 mai 1790 au soir https://www.persee.f[...] 1883
[59] 문서 William J. Murray (1986) The right-wing press in the French Revolution 1789–792 Royal Historical Society Studies in History 44, p. 107
[60] 서적 Mirabeau: A Life-history, in Four Books https://books.google[...] Lea and Blanchard 2019-07-25
[61] 간행물 Robespierre and War, a Question Posed as Early as 1789? by Thibaut Poirot https://www.cairn-in[...] 2019-07-26
[62] 서적 Œuvres complètes de Maximilien de Robespierre, tome 6, p. 642 https://fr.wikisourc[...] 2019-09-29
[63] 문서 The Strange History of the Right to Bear Arms in the French Revolution by Noah Shusterman, p. 9
[64] 서적 Discours sur l'organisation des Gardes nationales / http://archive.org/d[...] A Paris: Chez Buisson, libraire, rue Hautefeuille, no. 20 1790-03-12
[65] 서적 Nationalism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3-03-12
[66] 서적 Fair Shares for All: Jacobin Egalitarianism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24
[67]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à la tribune, p. 220, 223. In: Robespierre, vol. II. L'œuvre, part IV. Gallimard.
[68] 웹사이트 Nos offres d'Abonnement https://www.retronew[...] 2023-03-12
[69] 서적 The Life and Character of Maximilian Robespierre. Proving ... that that Much Calumniated Person was One of the Greatest Men, and One of the Purest ... Reformers that Ever Existed ... Also Containing Robespierre's Principal Discourses, Addresses, &c., with the Author's Reflec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and Leading Men of the French Revolution, Etc https://books.google[...] 2023-03-12
[70]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à la tribune, pp. 234, 235. In: Robespierre, vol. II. L'œuvre, part IV. Gallimard.
[71] 논문 'Albert Mathiez: "Robespierre" – Lecture given at the Printania room, under the auspices of Ustica, on 23 February 1922' https://www.academia[...] 2019-06-03
[72] 논문 'Robespierre and War, a Question Posed as Early as 1789? by Thibaut Poirot' https://www.cairn-in[...] 2019-07-26
[73]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Birth of Electoral Democ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8-15
[74] 웹사이트 'Diginole: FSU''s Digital Repository | DigiNole' https://diginole.lib[...] 2023-03-12
[75] 서적 'The Life and Character of Maximilian Robespierre. Proving ... that Much Calumniated Person was One of the Greatest Men ...' https://books.google[...] 2019-08-15
[76] 간행물 Danton Yale University Press 1978
[77] 논문 The Choices of Maximilien Robespierre https://www.academia[...] 2019-08-18
[78]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12
[79] 웹사이트 '02. Un discours d''installation au tribunal criminel de Paris | Criminocorpus' https://criminocorpu[...] 2021-12-19
[80] 문서 Journal des États généraux convoqués par Louis XVI, 28 septembre 1791
[81] 서적 Assemblée électorale de Paris, 18 novembre 1790–15 juin 1791 http://gallica.bnf.f[...] D. Jouaust 2019-08-16
[82] 문서 L'Ami du peuple, ou le Publiciste parisien, 7 mai 1791
[83] 서적 'Mémoires authentiques de Maximilien de Robespierre: ornés de son portrait, et de fac-similé de son écriture extraits de ses Mémoires' http://archive.org/d[...] Moreau-Rosier 1830-03-12
[84] 서적 Cordeliers and Girondins: the prehistory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Biancamaria Fontana
[85] 간행물 Le vaincu du neuf Thermidor Gallimard 1961
[86] 문서 Discours de Danton
[87] 웹사이트 'Rodama: a blog of 18th century & Revolutionary French trivia: Robespierre chez Duplay – No. 366 rue Saint-Honoré' http://rodama1789.bl[...] 2019-04-30
[88] 웹사이트 Élisabeth Le Bas's Memoirs (Part III) https://revolution-f[...] 2019-04-30
[89] 논문 Hervé Leuwers, Robespierre. Paris, Fayard, 2014 http://journals.open[...] 2019-08-16
[90] 웹사이트 'Mémoires de Charlotte Robespierre sur ses deux frères, pp. 90–91' https://gallica.bnf.[...] 2019-09-25
[91] 간행물 Leaders of the French Revolution 1929
[92] 웹사이트 'Defence in writing. The end of the printed legal brief (France, 1788–1792) ?' https://www.academia[...] 2021-12-03
[93] 논문 "Modification au préambule et à l'article ler du décret sur les sociétés populaires, lors de la séance du 30 septembre 1791" https://www.persee.f[...] 1888
[94]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1791 | Conseil constitutionnel' https://www.conseil-[...] 2023-03-22
[95] 논문 Discours non prononcé de M. Robespierre sur la garde nationale, en annexe de la séance du 5 décembre 1790 https://www.persee.f[...] 1885
[96] 서적 1790–1792 https://books.google[...] Au Bureau du Populaire 2023-03-12
[97] 서적 'Recueil des œuvrès de Max. J. Robespierre, et de pièces pour servir à son histoire. Recueillis, 1819' https://books.google[...] 2023-12-04
[98] 서적 'Reimagining Society in 18th Century French Literature: Happiness and Human ... by Jonas Ross Kjærgår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12-04
[99] 서적 Discours sur l'organisation des Gardes Nationales https://fr.wikisourc[...] 2023-12-04
[100] 웹사이트 Les collections – Château de Versailles http://collections.c[...] 2020-03-10
[101] 서적 'Recueil des œuvrès de Max. J. Robespierre, et de pièces pour servir à son histoire. Recueillis, 1819' https://books.google[...] 2019-08-15
[102] 간행물 The People's Armies Yale University Press 1987
[103] 서적 'Recueil des œuvrès de Max. J. Robespierre, et de pièces pour servir à son histoire. Recueillis, 1819' https://books.google[...] 2019-08-15
[104] 웹사이트 'Arnold Heumakers Een homme de lettres in de Franse Revolutie: de ''Mémoires'' van Jean-Baptiste Louvet de Couvray (1760–1797), Maatstaf. Jaargang 36' https://www.dbnl.org[...] 2020-09-22
[105] 문서 "Municipalité de Paris. Installation du Conseil général de la commune, 24 février 1792, p. 5–6." https://archive.org/[...]
[106] 웹사이트 Autour de la justice révolutionnaire http://www.justice.g[...] 2021-12-04
[107] 간행물 Les défenseurs officieux: une défense sans barreaux http://journals.open[...] 2007
[108] 문서 Municipalité de Paris. Installation du Conseil général de la commune, 24 février 1792 https://archive.org/[...]
[109] 문서 Jacobins, III, p. 526 1892
[110] 문서 Robespierre, p. 211 2014
[111] 서적 The Newspaper Press in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
[112] 학술지 Rousseau and the Paradox of the Nation-State https://scholarworks[...] 2018
[113] 문서 p. 86
[114] 웹사이트 'Friends, Fellows, Citizens. and Soldiers': The Evolution of the French Revolutionary Army, 1792–1799 by William Scupham http://www.indiana.e[...]
[115] 웹사이트 Le Défenseur de la Constitution / par Maximilien Robespierre, député à l'assemblée constituante https://gallica.bnf.[...] 1792-03-12
[116] 서적 Citizen-Soldiers and Manly Warriors: Military Service and Gender in the Civic Republic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9
[117] 서적 The End of Kings: A History of Republics and Republic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04-15
[118] 문서 Robespierre, p. ? 2016
[119]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1788–1792 https://books.google[...] Borodino 2018
[120] 서적 Encyclopedia of the Age of Political Revolutions and New Ideologies, 1760–1815 https://books.google[...] Greenwood
[121] 뉴스 Le Logographe, 27 juillet 1792; 1 aôut 1792;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2 août 1792
[12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From Enlightenment to Tyranny https://books.google[...] Profile 2016
[123] 문서 Prelude to Terror. The Constituent Assembly and the Failure of Consensus, 1789–1791, pp. 113–114 1988
[124] 학술지 The Myth of the Foreign Enemy? The Brunswick Manifesto and the Radicaliz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www.academia[...] 2011
[125] 서적 Lazare Carnot, republican patriot https://catalog.hath[...] The Mississippi valley press 1940
[126] 뉴스 Le Logographe, 1 aôut 1792;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2 août 1792
[127] 서적 Collection Complète des Lois, Décrets, Ordonnances, Réglements, et Avis du Conseil-d'État https://books.google[...] A. Guyot 1824-03-12
[128] 서적 Envoy to the Terror: Gouverneur Morris and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otomac
[129] 서적 The Revolutionary Career of Maximilien Robespier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130] 문서 Robespierre, p. 169 2007
[131] 문서 p. 150
[132] 문서 Danton, p. 74 1978
[133] 서적 Le dix août (1931) https://fr.wikisourc[...] Hachette 1934
[134] 문서 p. 109
[135] 서적 The Revolutionary Career of Maximilien Robespier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136] 웹사이트 Le Défenseur de la Constitution / par Maximilien Robespierre, député à l'assemblée constituante https://gallica.bnf.[...] 1792-03-12
[137]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138] 웹사이트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https://www.retronew[...] 1792-08-28
[139] 서적 Œuvres complètes de Maximilien de Robespierre, tome 8 https://fr.wikisourc[...]
[140] 서적 Histoire parlementa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ou Journal des assemblées nationales, depuis 1789 jusqu'en 1815 https://books.google[...] Paulin 1835-03-12
[141] 간행물 Le Moniteur universel, t. XIII, n° 241 null
[142] 서적 Robespierre 1959
[143] 문서
[144] 서적 Collection Complète des Lois, Décrets, Ordonnances, Réglements, et Avis du Conseil-d'État https://books.google[...] A. Guyot 1824-07-05
[145] 서적 A short history of France 1918
[146] 서적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Longman null
[147] 웹사이트 Danton (2 septembre 1792) – Histoire – Grands discours parlementaires – Assemblée nationale https://www2.assembl[...] 2023-03-12
[148] 웹인용 He Roared https://www.lrb.co.u[...] 2019-05-22
[149] 서적 Assemblée électorale de Piemel Paris 2 septembre 1792–17 frimaire an II http://gallica.bnf.f[...] D. Jouaust null
[150] 서적 Assemblée électorale de Paris 2 septembre 1792–17 frimaire an II: procès-verbaux de l'élection des députés à la Convention, du procureur général syndic et des administrateurs du département, des présidents, juges, juges suppléants et greffiers du Tribunal criminel... / publiés... par Étienne Charavay,... [et P. Mautouchet] https://gallica.bnf.[...] 1905-03-12
[151]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From Enlightenment to Tyranny https://books.google[...] Profile 2016
[152] 논문 'Come and dine': the dangers of conspicuous consumption in French revolutionary politics, 1789–95 2015
[153] 웹사이트 Mémoires de Charlotte Robespierre sur ses deux frères, p. 76 https://gallica.bnf.[...] 2019-09-25
[154] 서적 Jacques Pierre Brissot in America and France, 1788–1793: In Search of Better World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155] 논문 The Political Ideas of Maximilien Robespierre during the Period of the Convention 1946
[156] 서적 Talleyrand: a biography 1973
[157] 서적 Oeuvres https://books.google[...] Worms null
[158] 서적 Rousseau, Robespierre and English Romantic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59] 서적 Assemblée électorale de Paris 2 septembre 1792–17 frimaire an II http://gallica.bnf.f[...] D. Jouaust null
[160] 서적 A Maximilien Robespierre et à ses royalistes (accusation). https://books.google[...] 1792-03-12
[161] 서적 The Jacobin Republic 1792–179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62] 서적 The Works: With Memoirs of His Life and Writings by Robert Anderson https://books.google[...] Stirling & Slade 1820-03-12
[163] 서적 The Enlightenment that Failed: Ideas, Revolution, and Democratic Defeat, 1748–183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64]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Faith, Desire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65] 서적 Robespierre à la tribune Gallimard 1961
[166] 서적 A journal during a residence in France ... 1792 https://books.google[...] Stirling & Slade null
[167] 논문 All of His Power Lies in the Distaff: Robespierre, Women and the French Revolution https://www.academia[...] null
[168] 문서
[169] 서적 An Historical Sketch of the French Revolution: Commencing with Its Predisposing Causes, and Carried on to the Acceptation of the Constitution, in 1795 https://books.google[...] H. D. Symonds 1796-03-12
[170] 웹사이트 Pierre, Louis Manuel – Base de données des députés français depuis 1789 – Assemblée nationale https://www2.assembl[...] 2021-12-07
[171] 문서 Liberty or Death 2016
[172] 문서
[173] 서적 Foreign Policy and the French Revolution 2008
[174] 문서
[175] 문서
[176] 서적 Radicalism and Reform in Britain, 1780–1850 https://books.google[...] A&C Black 1992
[177] 웹사이트 P. C. Howe (1982) Foreign Policy and the French Revolution, p. 175–176 https://thecharnelho[...] 2019-09-02
[178] 서적 France and its revolutions: a pictorial history 1789–1848 http://archive.org/d[...] London: Charles Knight 1850-03-12
[179] 문서 P. C. Howe, p. 167
[180]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à la tribune, p. 280–281. In: L'œuvre, vol. II, part IV. Gallimard.
[181] 서적 Oeuvres de Maximilien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E. Leroux 1793-03-12
[182] 웹사이트 P. C. Howe (1982) Foreign Policy and the French Revolution, p. 179–180 https://thecharnelho[...] 2019-09-02
[183] 웹사이트 Munsey's People Search: Page 1 https://www.munseys.[...] 2023-09-15
[184] 문서 Davidson, I, p. 155–156.
[185] 문서 I. Davidson, p. 157
[186] 웹사이트 Wikisource: Œuvres complètes de Maximilien Robespierre. Speech of Robespierre against Brissot and the girondins Delivered to the Convention on 10 April 1793 https://fr.wikisourc[...]
[187] 서적 Hazan, E. (2014) ''A People's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188] 문서 N. Hampson (1978) Danton, p. 118
[189] 서적 French History from Caesar to Waterloo https://books.google[...] Endymion 2018
[190] 문서 Walter, G. (1961) Le vaincu du neuf Thermidor, p. 51–52, 63. In: L'œuvre, vol. II, part III. Gallimard.
[191] 간행물 Sonenscher, M. (2006) Property, community, and citizenship. In: M. Goldie & R. Wokler (Authors), The Cambridge History of Eighteenth-Century Political Thought (The Cambridg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pp. 465–49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 웹사이트 Maximilien Robespierre http://serious-scien[...] 2016-09-28
[193] 서적 Fair Shares for All: Jacobin Egalitarianism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94] 문서 Thermomètre du jour 2 mai 1793
[195] 서적 Histo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https://books.google[...] Libr. du Figaro 1868-03-12
[196] 문서 Davidson, Ian, p. 159.
[197] 서적 Mémoires de B. Barère, membre de la Constituante, de la Convention, du Comite de salut public, et de la Chambre des représentants http://archive.org/d[...] Paris: J. Labitte 1842-03-12
[198] 서적 Histoire de la terreur, 1792–1794 https://books.google[...] Michel Lévy frères
[199] 서적 Histoire de la terreur, 1792–1794 https://books.google[...] Michel Lévy frères
[200] 뉴스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30 mai 1793, p. 3
[201] 서적 Brissot de Warville: A Study in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 https://books.google[...] New York 1915-03-12
[202] 서적 History of Europe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French Revolution ... https://books.google[...] W. Blackwood & sons
[203] 문서 Davidson, Ian, p. 160
[204] 뉴스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4 juin 1793, p. 1/4
[205] 문서 Davidson, Ian, p. 161
[206] 서적 Roger Dupuy (2010) ''La Garde nationale 1789–1872'' Paris, Gallimard
[207] 서적 The Jacobin Clubs in the French Revolution, 1793–1795 https://books.google[...] Berghahn 2000
[208] 뉴스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5 juin 1793
[209]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10] 뉴스 Le Républicain français, 14 septembre 1793, p. 2
[211] 서적 Histoire de la Garde nationale: récit complet de tous les faits qui l'ont distinguée depuis son origine jusqu'en 1848 http://gallica.bnf.f[...] H. Dumineray et F. Pallier 2019-08-16
[212] 서적 Robespierre à la tribune
[213] 서적 The Black Jacobins: Toussaint L'Ouverture
[214] 서적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Borodino 2019-08-15
[215] 서적 Ending the Terror: The French Revolution After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8-15
[216] 웹사이트 Morgane Guinard (2016) La Parabole du Savoir Interdit Athéisme et liberté de pensée en France au 18e siècle, p. 164 https://etheses.whit[...] 2023-02-16
[217] 문서 Oeuvres de Robespierre
[218]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Peopl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2-01-07
[219] 웹사이트 P. C. Howe (1982) Foreign Policy and the French Revolution, p. 172 https://thecharnelho[...] 2019-09-02
[220] 간행물 Le Comité de salut public (6 avril 1793 – 4 brumaire an IV)
[221] 웹사이트 Aux origines d'une mémoire républicaine de Robespierre, Hervé Leuwers http://projet.pcf.fr[...] 2019-02-07
[22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1787–1799: From the Storming of the Bastille to Napoleon
[223] 서적 Contesting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3-03-12
[224] 웹사이트 Maximilien, François, Marie, Isidore, Joseph de Robespierre – Base de données des députés français depuis 1789 – Assemblée nationale https://www2.assembl[...] 2023-03-12
[225] 서적 The Revolutionary Career of Maximilien Robespier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226] 웹사이트 Augustin, Bon, Joseph de Robespierre – Base de données des députés français depuis 1789 – Assemblée nationale http://www2.assemble[...] 2019-09-09
[227] 서적 The Coming of the Terror in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08-15
[228] 간행물 Présider les séances de la Convention nationale 2015-09
[229] 문서 The Ninth of Thermidor
[230] 간행물 Macroeconomic Features of the French Revolution
[231] 서적 Robespierre à la tribune
[232] 서적 Histoire de la Revolution Française
[233] 문서
[234] 서적 The People's Armies
[235] 웹사이트 Les Actes du Gouvernement Révolutionnaire, p. XI https://gallica.bnf.[...] 2020-10-09
[236] 문서 Journal des débats et des décrets 1793-10-03
[237] 뉴스 Feuille du salut public 1793-10-04
[238] 서적 Histoire de la Revolution Française
[239] 뉴스 Feuille du salut public 1793-10-04
[240] 백과사전 Georges Danton https://www.britanni[...] 2019-07-04
[241] 서적 Deep Republicanism: Prelude to Professionalism https://archive.org/[...] Lexington 2003
[242] 웹사이트 The Jacobin dictatorship https://www.britanni[...]
[243] 문서 "The Jacobin Clubs in the French Revolution: 1793–1795," Berghahn Books, New York
[244] 서적 Causes secrètes de la Révolution du 9 au 10 thermidor http://gallica.bnf.f[...] 2019-08-16
[245]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Faith, Desire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8-15
[246] 웹사이트 LAST LETTER OF MARIE-ANTOINETTE Centre historique des Archives nationale https://histoire-ima[...]
[247] 간행물 Glânes Et Documents: Sur Le Diplomate " Batave " J. Blauw 1983
[248] 서적 The Ninth of Thermidor 1968
[249] 서적 Sanson Memoirs
[250] 간행물 François Chabot and His Plot 1976-01-01
[25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52] 웹사이트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 Year available1793 – Gallica https://gallica.bnf.[...] 2020-02-15
[253] 서적 Non-Violence and the French Revolution: Political Demonstrations in Paris, 1787–179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3-12
[254] 서적 1793: Beitrag zur geheimen Geschichte der französischen Revolution,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anton's und Challier's, zugleich als Berichtigung der in den Werken von Thiers und Mignet enthaltenen Schilderungen https://books.google[...] F. Bassermann 2019-08-16
[255]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From Enlightenment to Tyranny
[256] 서적 The Jacobin Clubs in the French Revolution, 1793–1795 https://books.google[...]
[257] 간행물 Anacharsis Cloots, l’Orateur du genre humain 1980
[258] 웹사이트 Press in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Ardent Media 2023-03-12
[259] 백과사전 Maximilien Robespierre https://www.britanni[...] 2023-05-02
[260] 문서 Construire une nouvelle catégorie politique: Robespierre et la théorie du gouvernement révolutionnaire
[261] 웹사이트 Speeches of Maximilien Robespierre': "Report on the Principles of a Revolutionary Government", December 25, 1793. https://en.wikisourc[...]
[262] 서적 Robespierre 1967
[263] 웹사이트 Rousseau, Robespierre, and the French Revolution by James Read, p. 4 http://www.fau.edu/a[...]
[264]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65] 문서
[266] 서적 Deep Republicanism: Prelude to Professionalism https://books.google[...] Lexington 2003
[267] 웹사이트 On the Principles of Political Morality, February 1794 https://sourcebooks.[...] Fordham University: Modern History Sourcebook
[268] 웹사이트 Rousseau, Robespierre, and the French Revolution by James Read, p. 3 http://www.fau.edu/a[...]
[269] 서적 Robespierre Prentice-Hall 1967
[270] 서적 Hébert, Le Père Duchesne. Chef des sans-culottes 1960
[271] 서적
[272] 간행물 Misgivings About Revolution: Robespierre, Carnot, Saint-Just 1998
[273] 서적 Robespierre Angus & Robertson 1971
[274] 서적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Longman
[275] 웹사이트 The public prosecutor of the terror, Antoine Quentin Fouquier-Tinville; tr. from the French of Alphonse Dunoyer by A. W. Evans. With a photogravure frontispiece and fourteen other illustrations http://archive.org/d[...] New York, G. P. Putnam's sons 1913-03-12
[276] 웹사이트 Side-by Side Comparison of Passages from The Morning Chronicle (18 August) and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29 Ju https://romantic-cir[...] 2019-09-11
[277] 뉴스 Le Moniteur Universel 1793-03-28
[278] 서적 Collection complète des lois, décrets d'intérêe général, traités internationaux, arrêtés, circulaires, instructions, etc https://books.google[...] Société du Recueil Sirey 1825-03-12
[279] 서적 The People's Armies 1987
[280] 서적 Nationality and Citizenship in Revolutionary France: The Treatment of Foreign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1] 서적 Danton 1878
[282] 서적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Vickers 1845-03-12
[283] 서적 Annual Register, Band 36 https://books.google[...] Edmund Burke
[284] 간행물 Le Siècle 1898-02-05
[285] 서적 The Jacobin Republic 1792–179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28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1990
[287] 간행물 Manuel général de l'instruction primaire 1911-01-01
[288] 서적 Danton 1878
[289] 웹사이트 Maximilien Robespierre's False Friends by Peter McPhee https://h-france.net[...]
[290] 서적 La Révolution, recherches historiques, Quatrième partie Gaume frères 1856
[29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2014
[292] 뉴스 Le Moniteur Universel 1794-04-13
[293] 논문 « Mes forces et ma santé ne peuvent suffire ». crises politiques, crises médicales dans la vie de Maximilien Robespierre, 1790-17941 2013-03-01
[294] 논문 Le tribunal révolutionnaire 2018
[295] 서적 Robespierre Basil Blackwell 1988
[296] 서적 Œuvres complètes de J. Michelet
[297] 웹사이트 The Law of 22 Prairial Year II (10 June 1794) https://revolution.c[...] 2022-06-21
[298] 논문 Words and Liberty: Hopes for Legal Defence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2012
[299] 뉴스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1794-06-11
[300] 웹사이트 Maximilien Robespierre, Master of the Terror http://people.loyno.[...] 2019-08-20
[301] 서적 Geschichte Der Französischen Revolution von Jules Michelet
[302] 웹사이트 Le Tribunal révolutionnaire http://www.justice.g[...] 2023-01-25
[303] 논문 Robespierre et la liberté des noirs en l'an II d'après les archives des comités et les papiers de la commission Courtois https://journals.ope[...] Journals.openedition.org 2022-08-10
[304] 서적 Robespierre. De la Nation artésienne à la République et aux Nations http://books.openedi[...] Publications de l'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Lille 1994
[305] 서적 Robespierre, la fabrication d’un monstre 2016
[306] 서적 Robespierre 2014
[307] 논문 Toussaint Louverture, In the Name of Dignity. A Look at the Trajectory of the Precursor of Independence of Haiti 2021-04-30
[308] 서적 The Citizenship Experiment 2020
[309] 서적 Leaders, Dreamers And Rebels – An Account Of The Great Mass-Movements Of History And Of The Wish-Dreams That Inspired Them https://books.google[...] Read 2013
[31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11] 서적
[312] 웹사이트 The Haitian Revolution Timeline https://thehaitianre[...]
[313] 서적 The Citizenship Experiment Brill 2020
[314] 웹사이트 Robespierre on Property (24 April 1793) https://rbzpr.tumblr[...]
[315] 서적 Robespierre 1967
[316] 웹사이트 La Révolution Française abolit l'esclavage. – l'ARBR- les Amis de Robespierre https://www.amis-rob[...]
[317] 웹사이트 Saint George et la Société des Amis des Noirs – Le Chevalier de Saint-George http://chevaliersain[...] Chevaliersaintgeorge.fr 2000-11
[318] 서적 L'émancipation des noirs dans la révolution française: 1789–1795 https://books.google[...] Karthala Editions 2002
[319] 간행물 Journal des débats et des décrets, 17 Pluviôse 1794, p. 239
[320] 웹사이트 The first abolition of slavery in France and its delayed application in Reunion Island https://www.portail-[...]
[321] 웹사이트 La Révolution Française abolit l'esclavage. – L'ARBR- Les Amis de Robespierre https://www.amis-rob[...] Amis-robespierre.org 2022-08-10
[322] 뉴스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5 février 1794
[323] 논문 Nouvelles pièces sur Robespierre et les colonies en 1791 https://www.cairn.in[...] Cairn.info 2013-05-14
[324] 서적 Collection complète des lois, décrets, ordonnances, réglemens, avis du Conseil d'État .... https://books.google[...] 1834-03-12
[325] 논문 Robespierre et la liberté des noirs en l'an II d'après les archives des comités et les papiers de la commission Courtois 2001-03-01
[326] 웹사이트 Jean-Baptiste Belley et Louis Dufay: souvenir et oubli en l'an III d'une lettre à Maximilien Robespierre, " L'ami du seul peuple de Saint-Domingue… c'est-à-dire les jaunes et les noirs " https://tierce.edel.[...]
[327] 문서 P. McPhee (2013), p. 199
[328] 문서 Scott, O. (1974) The voice of virtue, p. 107 https://archive.org/[...]
[329] 문서 Robespierre: The Voice of Virtue https://books.google[...] Otto Scott
[330] 서적 Considera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aldwin, Cradock, & Joy
[331] 뉴스 A Peoples' History 1793–1844 from the newspapers. https://www.houghton[...] The Bombay Courier 1794-10-18
[332] 서적 Memoirs of the Sansons: From Private Notes and Documents (1688–1847) https://books.google[...] Chatto and Windus 1876-03-12
[333] 서적 Death Comes to the Maiden: Sex and Execution 1431–193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34] 서적 The Edinburgh Review https://books.google[...] A&C Black 1809-03-12
[335]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p. 113. In: L'œuvre, vol. II, part III. Gallimard.
[336] 논문 Robespierre, the Duke of York, and Pisistratu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ary Terror 2018-09-25
[337] 문서 Matrat, J. (1971) Robespierre p. 260 Angus & Robertson
[338] 서적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Longman 1999
[339] 웹사이트 The Law of Prairial and the Great Terror (Fall, year IV) http://www.marxists.[...] Jean Jaurès
[340] 서적 Memoirs of Joseph Fouché, duke of Otranto, minister of the General police of France http://archive.org/d[...] London, W. W. Gibbings 1892-03-12
[341] 서적 An Historical Sketch of the French Revolution: Commencing with Its Predisposing Causes, and Carried on to the Acceptation of the Constitution, in 1795 https://books.google[...] H. D. Symonds 1796-03-12
[342] 백과사전 Lazare Carnot, French military engineer https://www.britanni[...] 2023-05-09
[343] 문서 Memoirs by Joseph Fouché (1824) https://archive.org/[...]
[344] 서적 Petites Chroniques #14: La Révolution française — 1790 à 1794, les années sombres de la Terreur: Petites Chroniques https://books.google[...] Éditions Chronique 2015
[345] 서적 Histoire de Robespierre: La Montagne. 1867 https://books.google[...] A. Lacroix, Verboeckhoven & c. 1867-03-12
[346] 서적 Causes secrètes de la Révolution du 9 au 10 thermidor http://gallica.bnf.f[...]
[347] 문서 Robespierre by John Hardman https://books.google[...]
[348] 서적 Robespierre. De la Nation artésienne à la République et aux Nations https://books.google[...] Publications de l'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349] 논문 La Politique de Robespierre et le 9 Thermidor Expliqués Par Buonarroti 1910
[350] 서적 Discours prononcé par Robespierre à la Convention nationale, dans la séance du 8 thermidor de l'an 2 de la République une et indivisible; trouvé parmi ses papiers par la commission chargée de les examiner: imprimé par ordre de la Convention nationale https://books.google[...] Imprimerie nationale 1794-03-12
[351]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1787–1799: From the Storming of the Bastille to Napoleon 1974
[352] 서적 Robespierre
[353] 서적 Robespierre and the Terror 2006
[354] 서적 Œuvres de Robespierre, p. 148 https://fr.wikisourc[...]
[355] 웹사이트 II. His Last Speech by Maximilien Marie Isidore Robespierre. Continental Europe (380–1906). Vol. VII. Bryan, William Jennings, ed. 1906. The World's Famous Orations https://www.bartleby[...] 2022-10-10
[356] 웹사이트 The Eighth of Thermidor https://revolution.c[...] 2023-01-17
[357]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Or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A&C Black 1842-09-09
[358] 서적
[359] 서적 The Ninth of Thermidor 1968
[360] 서적 The Ninth of Thermidor 1968
[361] 서적 1970
[36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Voices from a momentous epoch 1789–1795 1988
[363] 간행물 Robespierre and the Terror 2006-08
[364] 학술지 « Elle n'a pas même épargné ses membres ! » Les épurations de la Convention nationale entre 1793 et 1795 2015-09
[365] 서적 Robespierre peint par lui-même https://archive.org/[...]
[366] 서적 The people's armies: the armées révolutionnaires: instrument of the Terror in the departments, April 1793 to Floréal Year II New Haven, CT, and London 1987
[367] 서적 Œuvres complètes de J. Michelet
[368] 서적 Robespierre 1967
[369] 웹사이트 Gazette nationale ou le Moniteur universel – Year available1794 – Gallica https://gallica.bnf.[...]
[370] 웹사이트 Albert Mathiez (1874–1932), La Révolution française: La chute de la Royauté; La Gironde et la Montagne; La Terreur https://archive.org/[...] 2005-02-02
[371] 웹사이트 Session of 9 Thermidor at the National Convention https://rbzpr.tumblr[...]
[372] 서적 Thermidor: la chute de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Editions Complexe 1989
[373] 서적 The Ninth of Thermidor 1968
[374] 서적 1970
[375] 서적 Robespierre and the Fourth Estate https://books.google[...] 1941
[376] 서적 Projet de procès-verbal des séances de 9, 10 et 11 thermidor par Charles Duval, p. 34 https://archive.org/[...]
[377] 서적 La Garde nationale (Folio Histoire) (French Edition) Editions Gallimard
[378] 서적 Memoirs of the Sansons: From Private Notes and Documents (1688–1847) http://archive.org/d[...] Chatto and Windus 1876
[379] 서적 The Ninth of Thermidor 1968
[380] 서적 Ending the Terror: The French Revolution After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1] 학술지 Les journées de Prairial an II: le tournant de la Révolution? http://journals.open[...] 2016-05-02
[382] 서적 La liberté ou la mort, mourir en député, 1792–1795 https://books.google[...] Tallandier 2015
[383] 서적 Oeuvres de Robespierre
[384] 서적 Fouche & Robespierre, le 9 thermidor https://books.google[...] E. Plon 1879-03-12
[385] 서적 The Ninth of Thermidor 1968
[386] 서적 The public prosecutor of the Terror https://archive.org/[...]
[387] 문서 Fouquier-Tinville, p. 117
[388] 문서 Richard T. Bienvenu (1968) The Ninth of Thermidor, p. 223
[389] 문서 Oeuvres de Robespierre, X, p. 597
[390] 서적 Histoire parlementa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ou journal des Assemblées Nationales, depuis 1789 jusqu'en 1815 https://books.google[...] Paulin
[391] 서적 Histoire du tribunal révolutionnaire de Paris: 10 mars 1793 – 31 mai 1795 https://books.google[...]
[392] 서적 Convention nationale. Rapport fait au nom des Comités de salut public et de sûreté générale, sur les événemens du 9 thermidor, an II https://books.google[...]
[393] 서적 Léonard Bourdon: The Career of a Revolutionary, 1754–1807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006
[394] 문서 Richard T. Bienvenu (1968) The Ninth of Thermidor, p. 225
[395] 문서 L. Madelin (1932) De Fransche Revolutie, pp. 493, 495
[396] 서적 Geschichte Der Französische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397] 서적 Précis historique inédit des événemens de la soirée du 9 Thermidor An II https://books.google[...] Baudouin
[398] 서적 Robespierre's rise and fall; http://archive.org/d[...] London, Hutchinson 2019-08-11
[399] 문서 Oeuvres de Robespierre, t. X, p. 600
[400] 문서 R. R. Palmer (1970), p. 379
[401] 문서 Edme Bonaventure COURTOIS, Rapport fait au nom des comités de Salut public et de Sûreté générale sur les événements du 9 thermidor an II ..., Paris, imprimerie nationale, an IV, p. 202
[402] 서적 Die Memoiren Von Barras Über Den 9. Thermidor https://www.forgotte[...] Fb&c Limited
[403] 문서 L. Blanc (1861) Histo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Vol. 11, p. 270
[404] 서적 Memoirs of the Sansons: From Private Notes and Documents (1688–1847) https://books.google[...] Chatto & Windus 1876-03-12
[405]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p. 478. In: Robespierre, vol. I. La Vie. Gallimard.
[406] 문서 C. A. Méda, p. 385
[407] 문서 E. Hamel, p. 342
[408] 서적 Paris en 1794 et en 1795: histoire de la rue, du club, de la famine: composée d'après des documents inédits, particulièrement les rapports de police et les registres du Comité de salut public: avec un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Editorial Maxtor 2012
[409] 서적 France Under the Direc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410] 웹사이트 La fin tragique de Robespierre et de ses amis le 9 thermidor. – L'ARBR- Les Amis de Robespierre http://www.amis-robe[...]
[411] 문서 C. A. Méda, p. 386
[412] 웹사이트 Histoire de conjugament de Maximilien Robespierre, p. 209 http://libx.bsu.edu/[...]
[413] 문서 E. Hamel, pp. 340, 345
[414] 문서 Richard T. Bienvenu (1968) The Ninth of Thermidor, p. 227
[415] 웹사이트 Arrestation de Robespierre {{pipe}} {{pipe}} Page 3 http://levieuxcordel[...] 2019-02-02
[416] 문서 Beyern, B., Guide des tombes d'hommes célèbres, Le Cherche Midi, 2008, 377p, {{ISBN|978-2-7491-1350-0}}
[417] 문서 Walter, G. (1961) Robespierre, p. 91–93. In: Robespierre, vol. II. L'œuvre, part III. Gallimard.
[418] 문서 A. Forrest (1990) Soldiers of the French Revolution, p. 115
[419] 웹사이트 Révolution française. Libération des suspects par ordre de la Convention Nationale du 5 août 1794 (18 thermidor An II). | Paris Musées https://www.parismus[...]
[420] 간행물 A Letter from Danton to Marie Antoinette
[421] 서적 Mémoires de Charles Barbaroux, député à la Convention nationale: Avec une notice sur sa vie par Ogé Barbaroux et des éclaircissements historiques https://books.google[...] Baudouin 1822-03-12
[422] 서적 Letters Written in France https://books.google[...] Broadview 2001
[423] 서적 The Private Life of Lord Byron https://books.google[...] Unbound 2019
[424] 서적 The Life of Napoleon Buonaparte https://www.gutenber[...] Sir Walter Scott 1827
[425] 서적 Causes secrètes de la Révolution du 9 au 10 thermidor http://gallica.bnf.f[...]
[426] 서적 The Twelve who Ruled R. R. Palmer 1970
[427] 서적 Jules Michelet: A Study of Mind and Sensibili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1
[428] 문서 The many Robespierres from 1794 to the present" by Minchul Kim https://www.academia[...]
[429] 서적 The Twelve who ruled R. R. Palmer 1970
[430] 간행물 Cécile Obligi, Robespierre. La probité révoltante http://journals.open[...] 2019-02-07
[431] 간행물 Robespierre: l'histoire et la légende 1977
[432] 서적 Deep Republicanism: Prelude to Professionalism http://bookre.org/re[...]
[433] 서적 Robespierre
[434] 웹사이트 Man of the people https://www.the-tls.[...]
[435] 서적 The Twelve who ruled R. R. Palmer 1970
[436] 간행물 Robespierre, An Indecisive Revolutionary http://www.booksandi[...] 2017-05-18
[437] 간행물 L'épuisement de Robespierre http://www.laviedesi[...] 2012-07-23
[438] 서적 A Natural History of Revolution: Violence and Nature in the French Revolutionary Imagination, 1789–1794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03-12
[439] 뉴스 L'inventeur de la démocratie totalitaire http://www.lexpress.[...] L'Express 2004
[440] 서적 Robespier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41] 문서 http://www2.culture.[...]
[442] 뉴스 Il faut sauver Robespierre ! https://www.lemonde.[...] Le Monde 2011
[443] 뉴스 Mobilisation pour sauver des manuscrits de Robespierre de l'exil https://www.lepoint.[...] Le Point 2011
[444] 웹사이트 Neil Jaffares, dictionary of pastellist before 1800 http://www.pastellis[...] 2020-03-23
[445] 문서 Le secret du physoniotrace Bulletin de la société archéologique, historique et artistique
[446] 웹사이트 Bearing Arms and Arming Citizens in the French Revolution https://ageofrevolut[...] 2016-10-19
[447] 문서 2013
[448] 문서 1989
[449] 간행물 An Assessment of the Writings of François Furet 1990
[450] 문서 Robespierre as Hero and Villain https://www.academia[...] 2007
[451] 서적 The Jacobin Clubs in the French Revolution, 1793–1795 https://books.google[...]
[452] 문서 The Robespierre Problem: An Introduction 2015
[453] 서적 Freedom and Domination: A Historical Critique of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3-10
[454] 서적 The Enlightenment that Failed: Ideas, Revolution, and Democratic Defeat, 1748–183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455]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456] 학술지 After Revolution: Reading Rousseau in 1990s China
[457] 서적 Introduction to the 1946 edition of Brave New World
[458] 서적 "Rehabilitating Robespierre: Albert Mathiez and George Lefebvre as Defenders of the Incorruptible."
[459] 서적 Robespier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0] 학술지 "The French Revolution on Film: American and French Perspectives." https://www.academia[...]
[461] 학술지 "Hollywood history and the French Revolution: from The Bastille to The Black Book."
[462] 학술지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inema: Problems in Filmography."
[463] 학술지 "Robespierre au cinéma."
[464] 학술지 "La Diffusion des stéréotypes révolutionnaires dans la littérature et le cinéma anglo-saxons (1789–1989)."
[465] 서적
[466] 서적
[467] 서적 世界史のための人名辞典 山川出版社
[468] 서적
[469] 서적
[470] 서적
[471] 서적
[472] 서적
[473] 서적
[474] 서적
[475] 서적
[476] 서적
[477] 서적
[478] 서적
[479] 서적
[480] 서적
[481] 서적
[482] 서적
[483] 서적
[484] 서적
[485] 서적
[486] 서적
[487] 서적
[488] 서적
[489] 서적
[490] 서적
[491] 서적
[492] 서적
[493] 서적
[494] 서적
[495] 서적
[496] 서적
[497] 서적
[498] 서적
[499] 서적
[500] 서적
[501] 서적
[502] 서적
[503] 서적
[504] 서적
[505] 서적
[506] 서적
[507] 서적
[508] 서적
[509] 서적
[510] 서적
[511] 서적
[512] 서적
[513] 서적
[514] 서적
[515] 서적
[516] 서적
[517] 서적
[518] 서적
[519] 서적
[520] 서적
[521] 서적
[522] 서적
[523] 서적
[524] 서적
[525] 서적
[526] 서적
[527] 서적
[528] 서적
[529] 서적
[530] 서적
[531] 서적
[532] 서적
[533] 서적
[534] 서적
[535] 서적
[536] 서적
[537] 서적
[538] 서적
[539] 서적
[540] 서적
[541] 서적
[542] 서적
[543] 서적
[544] 서적
[545] 서적
[546] 서적
[547] 서적
[548] 서적
[549] 서적
[550] 서적
[551] 서적
[552] 서적
[553] 서적
[554] 서적
[555] 서적
[556] 서적
[557] 서적
[558] 서적
[559] 서적
[560] 서적
[561] 서적
[562] 서적
[563] 서적
[564] 서적
[565] 서적
[566] 서적
[567] 서적
[568] 서적
[569] 서적
[570] 서적
[571] 서적
[572] 서적
[573] 서적
[574] 서적
[575] 서적
[576] 서적
[577] 서적
[578] 서적
[579] 서적
[580] 서적
[581] 서적
[582] 서적
[583] 서적
[584] 서적
[585] 서적
[586] 서적
[587] 서적
[588] 서적
[589] 서적
[590] 서적
[591] 서적
[592] 서적
[593] 서적
[594] 서적
[595] 서적
[596] 서적
[597] 서적
[598] 서적
[599] 서적
[600] 서적
[601] 서적
[602] 서적
[603] 서적
[604] 서적
[605] 서적
[606] 서적
[607] 서적
[608] 서적
[609] 서적
[610] 서적
[611] 서적
[612] 서적
[613] 서적
[614] 서적
[615] 서적
[616] 서적
[617] 서적
[618] 서적
[619] 서적
[620] 서적
[621] 서적
[622] 서적
[623] 서적
[624] 서적
[625] 서적
[626] 서적
[627] 서적
[628] 서적
[629] 서적
[630] 서적
[631] 서적
[632] 서적
[633] 서적
[634] 서적
[635] 서적
[636] 서적
[637] 서적
[638] 서적
[639] 서적
[640] 서적
[641] 서적
[642] 서적
[643] 서적
[644] 서적
[645] 서적
[646] 서적
[647] 서적
[648] 문서 浅羽 p67
[649] 서적
[650] 서적
[651] 서적
[652] 서적
[653] 서적
[654] 서적
[655] 문서 1793年の人間と市民の権利の宣言25条
[656] 문서 1793年憲法本文4条
[657] 문서 1793年の人間と市民の権利の宣言21条
[658] 문서 1793年の人間と市民の権利の宣言35条
[659] 문서 1793年の人間と市民の権利の宣言18条
[660] 서적
[661] 문서 秘密会議とされたのは外野の干渉を避けるためで、公開にして政治アピールの場とかした後述の国防委員会の反省から
[662] 문서 警察権は主に[[保安委員会]]が管轄していた。後に[[1793年]][[7月28日]]の法令で公安委員会を強化する目的で、嫌疑者の拘引する命令を発する権限だけは同委員会にも与えられることになったが、治安・警察に関する広範囲な権限は依然として保安委員会が持っていた。つまり事実上は両委員会の二元支配となっていたわけで、この権限争いがテルミドールのクーデターの一因となっている。[[1794年]][[4月16日]]、ジェルミナル27日の法令で公安委員会にも逮捕権(告発権と予審権)が与えられ、両者の争いは一層激しくなった。なお保安委員会は治安委員会とも訳される
[663] 서적
[664] 문서 つまり9人制の場合は最低でも6人以上の会議で4人以上、14人制の場合は最低でも9人以上の会議で5人以上、12人制の場合は最低でも8人以上の会議で5人以上、11人制の場合は7人以上の会議で最低でも4人以上の委員の賛意と署名が必要とされた。これは公安委員会のメンバー構成上、どの派閥も単独ではいかなる決定もできなかったことを意味する。主導権を持ちながらも常に協議と妥協をしいられた。ロベスピエールが何かにつけて公会やクラブで演説したのは、他の委員を説得するために人民の支持と後押しを必要としたため
[665] 문서 公安委員会の委員は大臣よりも上位の権限を持っていた。大臣を監視する民衆代表の位置づけが公安委員であったが、公安委員自身に強い権限が与えられたので、公安委員が事実上の大臣に、大臣が格下げされて事実上の省庁長官になるというような構造になった
[666] 문서 8月10日事件
[667] 문서 총력전
[668] 문서 평화가到来するまで革命的である政府
[669] 문서 9月5日
[670] 서적 1989
[671] 서적 1989
[672] 문서 To kill a queen: the last days of Marie Antoinette
[673] 서적 1989
[674] 서적 1989
[675] 문서 나폴레옹
[676] 문서 파스칼 파올리
[677] 문서 전투指揮
[678] 서적 2017
[679] 서적 Les Portraits de Robespierre Ernest Leroux 1910
[680] 문서 그녀는 미망인이라고 불렸다
[681] 문서 샬롯은 이를 부정했다
[682] 웹사이트 和訳 http://novel.fc2.com[...]
[683] 간행물 Robespierre and the terror: Marisa Linton reviews the life and career of one of the most vilified men in history History Today 2006-08
[684] 문서 벤트란 장군「센트헬레나 각서」
[685] 서적 조제프 푸셰. 어느 정치적 인간의 초상 이화북스 2019
[686] 서적 Robespierre Basil Blackwell, Oxford 1935
[687]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로베스피에르 [Maximilien François Marie Isidore de Robespierre] - 프랑스의 혁명가 (인물세계사, 함규진)' https://terms.naver.[...]
[688]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로베스피에르 [Maximilien François Marie Isidore de Robespierre] - 프랑스의 혁명가 (인물세계사, 함규진)'
[689] 서적 Robespierre: the force of circumstance 1972
[690] 서적 Fatal Purity 2006
[691]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692] 웹사이트 Naver 캐스트 로베스피에르 편
[693]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694]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695]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696] 서적 War, Revolution, and the Bureaucratic State: Politics and Army Administration in France Clarendon Press 1995-08-03
[697] 서적 Populist Religion and Left-Wing Politics in Fr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698] 서적 로베스피에르, 혁명의 탄생 교양인 2005
[699] 서적 로베스피에르, 혁명의 탄생 교양인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