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의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삶의 의미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설명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데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 용어는 철학, 과학, 종교, 그리고 대중 문화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논의되며,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은 인간이 세상과 자신의 존재에 대해 갖는 근본적인 질문과 연결된다.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은 실존적 위기를 극복하고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의 행복, 사회적 가치, 그리고 영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삶의 의미"라는 표현이 영어로 처음 사용된 것은 토머스 칼라일의 저서 ''사르토르 레사르투스''(1833–1834) 2권 9장 "영원한 예"에서이다.[1] 칼라일은 독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와 프리드리히 슐레겔이 사용한 독일어 표현 ''der Sinn des Lebens''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슐레겔은 소설 ''루친데''(1799)를 통해 이 표현을 처음으로 출판했지만, 노발리스는 1797-1798년 원고에서 "오직 예술가만이 삶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라고 쓰면서 먼저 사용했다. "삶의 의미"로 번역되는 ''lebenssinn''은 괴테가 1796년 실러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사용되었다.[3]
삶의 의미에 관한 질문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과학 철학과 과학계의 많은 구성원들은 과학이 삶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맥락과 매개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과학이 행복의 과학에서 죽음 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빅뱅, 생명의 기원, 진화와 같은 생명과 현실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규칙론적 조사를 통해, 그리고 의미와 행복의 주관적 경험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객관적 요소를 연구함으로써 이를 촉진한다고 본다.[20]
2. 용어의 기원
3.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들
이러한 질문들은 과학 이론에서부터 철학, 신학, 영적 설명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서 서로 경쟁하는 여러 답변과 설명들을 낳았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성격"이라는 제목의 에세이에서 이 질문을 처음으로 명시적으로 제기했다.[1] 그는 "인간은 변하지 않으며 그의 '도덕적 성격'은 평생 동안 전혀 변하지 않는다. 그는 받은 역할을 성격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고 연기해야 한다. 경험, 철학, 종교는 그를 개선하는 데 아무런 효과가 없다. 따라서 질문이 제기된다.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질적인 모든 것이 돌이킬 수 없이 고정되고 결정된 이 희극은 어떤 목적으로 연기되는가?"라고 말했다.[5]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과 유사한 질문들은 광범위한 방식으로 표현되어 왔다.질문의 예시
이러한 질문들은 과학 이론에서부터 철학, 신학, 그리고 영성적 설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경쟁적인 답변과 해명을 낳았다.
모로토미 요시히코에 따르면, "중년의 위기" 등으로 불리는 단계에서 다시 한번 "남은 인생에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내 인생을 의미 있게 만들기 위해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정면으로 마주하게 되며, 노년기에도 이러한 질문이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 가미야 미에코에 따르면, 노년기의 비애의 대부분은 "자신의 존재가 무엇인가를 위해, 또는 누군가를 위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충분한 확신을 가지고 답할 수 없게 됨으로써 비롯된다. 따라서, 노인에게 삶의 보람을 느끼게 하려면, 노인에게 가능한 어떤 역할을 분담하게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애정 관계에서도 노인의 존재가 우리에게 필요하다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4. 과학적 탐구와 관점
4. 1. 심리적 중요성과 삶의 가치
과학 철학과 과학계의 많은 구성원들은 과학이 삶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맥락과 매개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과학이 행복의 과학에서 죽음 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생명과 현실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규칙론적 조사를 통해 의미와 행복의 주관적 경험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객관적 요소를 연구한다고 본다.
신경 과학은 변연계와 복측 피개 영역에서의 신경 전달 물질 활동을 통해 보상 시스템, 쾌락, 동기 부여를 설명한다. 삶의 의미를 쾌락 극대화와 편안한 삶으로 본다면, 이를 위한 행동 방식에 대한 규범적 예측이 가능하다. 일부 윤리적 자연주의자들은 모든 의식 있는 존재의 번영을 위한 경험적 탐구인 도덕 과학을 옹호한다.
실험 철학 및 신경 윤리 연구는 전차 문제와 같은 통제된 시나리오에서 인간의 윤리적 결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많은 윤리적 판단이 문화 전반에 걸쳐 보편적이며 타고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다른 것은 문화 특정적이다. 연구 결과는 실제 인간의 윤리적 추론이 대부분의 철학적 이론과 일치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용성 기반 이론에서는 부재하는 행위와 미필적 행위 간의 구분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인지 과학은 보수적 윤리와 진보적 윤리 간의 차이점과 그것이 강한 아버지 대 양육적인 어머니 모델과 같은 가족 생활의 다른 은유에 기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론화해 왔다.
긍정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만족도,[20] 활동에 대한 완전한 몰입,[21]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더 큰 기여를 하고,[22] 자아보다 더 큰 무언가에 투자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의미[23]와 관련된 경험적 요인을 연구한다. 몰입 경험에 대한 대규모 데이터 연구는 인간이 어려운 과제를 숙달할 때 의미와 성취감을 느끼며, 그 경험은 과제 선택 자체가 아니라 과제를 접근하고 수행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최소한의 시설을 갖춘 강제 수용소의 죄수들도 몰입 경험을 얻을 수 있으며, 억만장자들에게서 약간 더 자주 발생할 뿐이다.[21]
신경신학은 종교적 경험의 신경 상관 관계와 메커니즘을 찾으려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분야이다. 일부 연구자들은 인간의 뇌가 그러한 경험을 위한 타고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진화된 목적을 위해 이를 사용하지 않고 사는 것이 불균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연구 결과는 종교적 믿음과 행복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보고했으며, 편견 없는 메타 분석을 찾기가 어렵다.[24][25]
사회 심리학자들이 제안한 공포 관리 이론은 인간의 의미가 죽음에 대한 근본적인 두려움에서 비롯되며, 가치는 죽음에 대한 정신적 상기를 피할 수 있게 해줄 때 선택된다고 주장한다.
우울 현실주의는 삶을 진실로 보는 우울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모든 사람의 과장된 긍정성을 가정하며, 데이비드 베나타는 긍정적 경험에 더 많은 비중이 주어져 삶에 대한 지나치게 낙관적인 관점으로 이어지는 편견을 제공한다고 이론화한다.
새롭게 부상하는 연구에 따르면 삶의 의미는 더 나은 신체 건강 결과를 예측한다. 더 큰 의미는 알츠하이머병의 위험 감소,[26][27] 관상 동맥 심장 질환 환자의 심장 마비 위험 감소,[28] 뇌졸중 위험 감소,[29] 미국 및 일본 표본 모두에서 수명 연장과 관련이 있다.[30] 또한, 인지 기능 손상의 초기 단계에서 삶의 목적이 약간 감소한다는 증거도 증가하고 있다.[31]
2014년, 영국의 국민 보건 서비스는 의미 있는 삶을 기반으로 한 정신적 웰빙을 위한 5단계 계획을 권장하기 시작했으며,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32]
1. 공동체 및 가족과 연결
2. 신체 운동
3. 평생 학습
4. 타인에게 베풀기
5. 주변 세계에 대한 마음챙김
정신과·신경정신과 의사인 마스다 유스케는 "인생의 의미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은 자꾸 생각하기 쉽지만, 원래는 인생의 의미를 생각하기 전에 이직하거나 공부하는 것이 해결이 빠른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마스다는 심리학 박사이자 행동과학자인 피어스 스틸의 저서 『사람은 왜 미루는가』를 언급하며, "미루기 쉬운 것 랭킹"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마스다는 이를 토대로 사람은 "정신 분야에 관한 것은 바로 착수해 버린다"라고 말한다.
사이토 마나부에 따르면, 자기 긍정은 삶의 큰 힘이 되며, 치료자를 거치지 않고 스스로 자기 긍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기 긍정은 엔파워먼트이며, 또 다른 자신이 말하는 자기 비하를 듣고 있는 자신이 부정해 가는 작업이다. 자기 비하에 대해 "그렇지 않아. 당신(이라고 불리는 '나')은 최선을 다했잖아. 여기까지 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신의 힘이야"라고 부정하는 작업이며, 간호사나 약사, 교원 자격증, 운전 면허 등 자신이 가진 자격증 하나하나를 자신의 힘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만약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집에 십수 년, 혹은 수십 년을 틀어박혀 지냈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끈기에 감동하며, 은둔형 외톨이 상태를 유지하는 힘은 보통이 아니라고 말한다. 부모의 경제력 덕분이라면, 그 부모로부터의 케어를 이끌어내는 데 유능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국민 보건 서비스(NHS)는 "정신 건강과 웰빙"을 목표로 1. 지역 사회나 가족과 관계를 맺는 것, 2. 신체 운동을 하는 것, 3. 평생 학습을 하는 것, 4.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 5. 자신의 주변 세계에 주목하는 것(마음챙김)의 5가지 방법을 권장한다.
빅토르 프랑클은 인간이 삶의 의미를 묻기 전에, 삶 쪽이 인간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으며, 인간은 삶으로부터 질문을 받는 존재라고 말했다.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아서 질문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삶으로부터의 질문에 대답해야 하며, 그 대답은 각자의 삶으로부터의 구체적인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대답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미 요시히로에 따르면, 삶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사람은 숨을 거두는 그 순간까지 삶으로부터 의미가 없어지는 일은 없으며, "삶의 의미"는 끊임없이 전달되고, 발견되며, 실현되기를 기다리고 있다.[270]
가미야 미에코는 "삶의 보람"을 가장 느끼는 사람은, 사명감에 살고 있는 사람(자기 자신의 생존 목표를 분명히 자각하고, 자신이 살아있어야 할 필요성을 확신하며, 그 목표를 향해 전력으로 나아가는 사람)이라고 말했다.[271] "자신에 대한 속임수"야말로 삶의 보람을 무엇보다 해치는 것이라고 지적하며,[272] 사명을 다하는 사람(사명을 저버린 사람)은 평안하게 죽는 것조차 불가능하다고 한다.[272]
가미야는 난치병에 걸리거나, 연인을 잃거나, 아이를 잃거나, 직업을 잃는 등 생존 목표를 상실하면, 사람은 "앞날이 깜깜한 세계에 갇혔다", "세상이 캄캄해졌다", "깊은 계곡 밑으로 떨어졌다" 등과 같은 감각을 느낀다고 하였다.[273] 카를 야스퍼스나 쿨렌캄프(Kulenkampff, C)가 "발판"이나 "입장" 등으로 표현하는 것은, 결코 추상적인 개념 등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인 감각에 뿌리내린 표현이라고 설명한다.[274][275][276] 즉, 가치관이 붕괴되며, 이는 개념 수준에 그치지 않고, 더 근본적인 생체험(감정이나 욕구, 지각)에도 영향을 미친다.[277][278]
4. 2. 생물학적 생명의 기원과 본질
과학계와 과학철학에서는 과학이 삶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맥락과 매개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이들은 과학이 행복 과학에서 죽음 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빅뱅, 생명의 기원, 진화와 같은 생명과 현실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규칙론적 조사를 통해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생물 기원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RNA 세계 가설과 철-황 세계 가설 등이 주목할 만한 가설로 제시된다. 진화는 유전자적 돌연변이와 자연 선택을 통해 다양한 생명체가 발달해 온 과정을 설명한다.[33] 20세기 말, 진화의 유전자 중심적 관점에 따르면, 생명체의 주요 기능은 DNA 복제와 유전자 생존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34][35] 제임스 왓슨은 "우리가 어떤 '무언가'를 위해 존재하는 것 같지는 않다. 우리는 단지 진화의 산물일 뿐이다."라고 말했다.[36]

과학자들은 생물체 연구에 집중해 왔지만, 생명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37][38] 생명은 "부 엔트로피"를 먹고 살며,[39][40][41] 이는 생명체가 환경에서 섭취한 에너지를 사용하여 내부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42][43][44] 생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생명체가 자기 조직화 시스템이며,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 환경을 조절한다는 데 동의한다. 신진대사는 에너지를 제공하고, 생식은 여러 세대에 걸쳐 생명을 지속시킨다. 생물체는 자극에 반응하고, 유전 정보의 변화를 통해 진화하며, 이는 개체와 후손의 생존 가능성을 최적화한다.[45]
바이러스와 같이 세포가 아닌 복제 에이전트는 독립적인 생식이나 신진대사가 불가능하여 일반적으로 생물체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기생충과 공생체도 독립적인 생명 유지가 불가능하므로 이 분류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우주 생물학은 DNA 외 물질로 만들어진 복제 구조를 포함하여 다른 형태의 생명체 가능성을 연구한다.
현재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자기 복제 정보 분자(게놈)를 가지며, 이는 생명체에 고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생명체도 자기 복제 정보 분자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마도 RNA[46][47]이거나 RNA보다 더 원시적인 정보 분자였을 것이다.
생명체에서 거시적 질서의 진화와 특정 물리적 시스템에서 질서의 진화는 다윈적 역학이라는 공통된 기본 원리를 따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8] 이 원리는 열역학적 평형에서 멀리 떨어진 단순한 물리적, 비생물학적 시스템에서 거시적 질서가 생성되는 방식을 고려하고, 이를 RNA 복제 분자, 더 복잡한 생명체로 확장하여 공식화되었다. 질서 생성 과정은 두 가지 유형 모두에서 기본적으로 유사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2][49] 따라서 생명이 더 단순한 비생물학적 과정의 자연스러운 확장으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은 "삶의 의미" 개념에 포함되어야 한다.
4. 3. 우주의 기원과 궁극적인 운명
과학계와 과학철학의 많은 구성원들은 과학이 삶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맥락과 매개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과학이 행복의 과학에서 죽음 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빅뱅, 생명의 기원, 진화와 같은 생명과 현실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규칙론적 조사를 통해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본다. 또한, 의미와 행복의 주관적 경험과 상관관계를 갖는 객관적 요소를 연구하는 것도 포함된다.
빅뱅 이론은 처음 소개되었을 때 많은 회의론에 직면했지만, 여러 독립적인 관측을 통해 입증되었다.[50] 그러나 현재 물리학으로는 빅뱅 후 약 10−43초부터의 초기 우주만을 설명할 수 있다. 그 이전의 사건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자 중력 이론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물리학자들은 이 한계 이전에 무엇이 있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우주가 생겨났는지에 대해 추측해 왔다.[51] 예를 들어, 한 가지 해석은 빅뱅이 우연히 발생했으며, 인류 원리를 고려할 때, 이것은 때때로 다중 우주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52]
우주의 궁극적인 운명, 그리고 암묵적으로 인류의 운명은 빅 프리즈, 빅 립, 또는 빅 크런치와 같이 생명체가 결국 지속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가설로 제시된다.
이론 우주론은 빅뱅 이론을 넘어 우주의 기원과 운명에 대한 많은 대안적 추측 모델을 연구한다. 최근 추세는 다른 부모 우주의 블랙홀 내부에서 우리의 빅뱅이 화이트홀인 '아기 우주'의 생성 모델이다.[53] 다세계 해석은 양자 역학의 모든 가능성이 평행 우주에서 실현된다고 주장한다.
4. 4. 마음에 대한 과학적 질문
과학계와 과학철학에서는 과학이 삶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맥락과 매개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이들은 과학이 행복의 과학에서 죽음 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과학적 탐구는 빅뱅, 생명의 기원, 진화와 같은 생명과 현실의 다양한 측면을 조사하고, 의미와 행복의 주관적 경험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객관적 요소를 연구함으로써 이를 가능하게 한다.신경과학은 대뇌변연계와 배쪽 피개부 영역에서 신경 전달 물질 활동을 통해 보상, 기쁨, 동기를 설명한다. 만약 삶의 의미가 쾌락을 극대화하고 편안한 삶을 사는 것이라면, 이를 위한 행동 방식을 예측할 수 있다. 일부 윤리적 박물주의자들은 의식 있는 모든 존재의 번영을 추구하는 도덕의 과학을 옹호하기도 한다.
실험철학 및 신경윤리학 연구는 트롤리 문제와 같은 통제된 시나리오에서 인간의 윤리적 결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많은 윤리적 판단이 문화 전반에 걸쳐 보편적이며, 이는 선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부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제 인간의 윤리적 추론은 대부분의 논리적 철학 이론과 상충된다. 예를 들어, 효용 기반 이론에는 없는, 원인에 의한 행동과 누락에 의한 행동을 구분하는 경향을 보인다. 인지 과학은 보수 윤리와 자유 윤리 사이의 차이점, 그리고 이들이 가족 생활의 다양한 은유에 어떻게 기초하는지에 대해 이론화했다.
의식과 마음의 본질과 기원 역시 과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주제이다. 설명적 간극은 일반적으로 의식의 어려운 문제와 동일시되며, 자유 의지의 문제 역시 근본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여겨진다. 이러한 주제는 주로 인지 과학, 신경 과학 (예: 자유 의지의 신경 과학) 및 마음의 철학 분야에서 다루어지지만, 일부 진화 생물학자와 이론 물리학자들도 이 주제에 대해 언급해왔다.[54][55]
환원주의 및 제거적 유물론적 접근 방식은 의식이 뇌와 그 뉴런의 작용을 통해 신경 과학으로 완전히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생물학적 자연주의를 따른다.[55][56][57]
반면, 안드레이 린데와 같은 일부 과학자들은 의식이 시공간과 마찬가지로 고유한 자유도를 가질 수 있으며, 사람의 지각이 물질적 대상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현실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58] 의식과 시공간에 대한 가설은 종종 여러 여분 차원을 포함하는 "의식 요소의 공간"을 설명하여 의식을 설명한다.[58][59] 의식의 전자기 이론은 뇌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이 의식적 경험의 실제 전달자라고 주장하며 결합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의 구현이 마음의 다른 작용과 관련하여 의견 불일치가 있다.[60][61] 양자 마음 이론은 마음의 특정 속성을 설명하는 데 양자 이론을 사용한다. 양자 현상을 통해 자유 의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은 결정론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4. 4. 1. 초심리학
일부에서는 우주 의식의 존재를 제안하며, 의식이 실제로 "모든 존재의 근원"이라고 주장한다.[14][62][63] 이러한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주로 초능력과 심령(psychic) 능력과 같은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비물질적인 고차원 의식에 대한 증거로 인용한다. 이러한 현상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심령학자들은 다양한 실험을 기획했지만, 성공적인 결과는 부실한 실험 통제 때문일 수 있으며, 다른 설명이 있을 수 있다.[64][65][66][67]4. 5. 삶의 의미의 본질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모든 것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우리는 누구인가?[317][318][319]
-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무엇을 위해 여기에 있는가?[320][321][322]
- 삶의 기원은 무엇인가?[323]
- 삶의 본질은 무엇인가? 현실의 본질은 무엇인가?[323][324][325]
-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개인의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324][326][327]
- 삶의 중요성은 무엇인가?[327]
- 삶에 의미있고 가치있는 것은 무엇인가?[328]
-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329]
- 사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322][330]
이러한 질문들은 과학 이론에서부터 철학, 신학, 영성적 설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한 답변들을 낳았다.
"삶의 의미"라는 표현은 영어로는 토머스 칼라일의 저서 ''사르토르 레사르투스''(1833–1834)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 칼라일은 독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와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슐레겔은 ''루친데''(1799)에서, 노발리스는 1797-1798년 원고에서 이 표현을 사용했다.[3] 괴테도 1796년 실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lebenssinn''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3] 이들은 합리주의와 유물론에 맞서 싸웠다. 칼라일은 이를 "과학의 불꽃"이라 불렀는데, 이 불꽃은 종교를 메마르게 하고 무신론적인 세상을 만들었다.[4]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성격" 에세이에서 이 질문을 명시적으로 제기했다.[1] 그는 인간은 변하지 않고, 경험, 철학, 종교도 그를 개선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5]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표현된다.
-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모든 것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우리는 누구인가?[6][7][8]
-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여기에 있는가?[9][10][11]
- 생명의 기원은 무엇인가?[12]
- 생명의 본질은 무엇인가? 현실의 본질은 무엇인가?[12][13][14]
-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자신의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13][15][16]
- 삶의 중요성은 무엇인가?[16]
- 삶에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인가?[17]
-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18]
- 사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11][19]
이 질문들은 과학, 철학, 신학, 영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답을 찾으려 노력해왔다.
5. 철학적 관점
레커(Reker)와 웡(Wong)은 개인적 의미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서, 일관성 및 목적의 인식, 가치 있는 목표의 추구 및 달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취감"으로 정의한다.[68] 1968년, 마르텔라(Martela)와 스테거(Steger)는 의미를 일관성, 목적, 중요성으로 정의했다.[69]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해 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PURE)이라는 4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 가치 있는 ''목적'' 또는 중요한 삶의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 자신이 누구인지,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삶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종류와 가치 있고 중요한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결정할 ''책임''이 있으며, 오직 자신만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
-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때 비로소 깊은 중요성과 만족감을 ''즐길'' 것이다.
따라서 중요성은 별도의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의 모든 차원에 스며든다.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태디어스 메츠, 대니얼 헤이브런과 같은 철학자들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71]
삶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관점은 인간이 정의한 이상이나 추상적 개념으로 삶을 설명하는 이념들이다.
5. 1.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은 삶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했다. 이 시기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질, 행복, 덕, 그리고 우주와의 조화 등 삶의 의미와 관련된 근본적인 질문들을 탐구했다.
-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통해 삶의 의미를 설명했다. 플라톤주의에서 삶의 의미는 모든 선하고 정의로운 것들이 유용성과 가치를 얻는 이데아(형상)인 선의 이데아에 도달하는 것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적 지식이 특정한 지식이 아니라 일반적인 지식이라고 보았다. 그는 그 자체로 바람직한 '최고선'을 제시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행복", "웰빙", "번창하는" 및 "탁월함"으로 번역되는 ''에우다이모니아'' 달성을 포함한다.
- 견유학파: 안티스테네스는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삶의 목적은 자연과 일치하는 덕을 실천하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보았다.
- 키레네 학파: 키레네의 아리스티푸스는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쾌락주의적 세계관을 가졌으며, 즉각적인 만족을 선호했다.
- 에피쿠로스 학파: 에피쿠로스는 지식, 우정, 덕행, 절제된 삶을 통해 아타락시아(ataraxia)라 불리는 평온함과 두려움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기 위해 적당한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큰 선이라고 가르쳤다.
- 스토아 학파: 키티온의 제논은 테베의 크라테스의 제자로, 이성의 작용과 덕에 따라 사는 것이 우주의 신성한 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보았다.
5. 1. 1. 플라톤주의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은 초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명성은 보편자의 존재를 믿는 관념론에서 비롯된다. 그의 이데아론은 보편자가 객체처럼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천상의 형태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대화편인 ''국가''에서 소크라테스의 인물은 선의 이데아를 묘사한다. 영혼의 정의에 대한 그의 이론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과 관련된 행복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플라톤주의에서 삶의 의미는 모든 선하고 정의로운 것들이 유용성과 가치를 얻는 이데아 (형상)인 선의 이데아에 도달하는 것이다.
5. 1. 2. 아리스토텔레스주의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적 지식이 형이상학과 인식론과 같은 특정한 지식이 아니라 일반적인 지식이라고 주장했다.[68] 그는 이론적인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공부하고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자체로 바람직한 '최고선'을 제시했는데, 이는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며, 다른 모든 "선"이 그것을 위해 바람직한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행복", "웰빙", "번창하는" 및 "탁월함"으로 번역되는 ''에우다이모니아'' 달성을 포함한다.[69] Εὐδαιμονία|에우다이모니아grc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단순한 행복을 넘어선 인간의 번영과 관련된 개념이다.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덕을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덕이 무엇인지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덕스러운 활동을 통해 덕을 '실천'해야 한다. 그는 모든 행동과 선택은 어떤 선을 목표로 하며, 그 목표는 "선"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행위 A가 목표 B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다면, 목표 B는 또 다른 목표 C를 가질 것이고, 이 패턴은 무한 퇴행을 멈출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최고선'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5. 1. 3. 견유학파
안티스테네스는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삶의 목적은 자연과 일치하는 덕을 실천하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견유주의의 주제를 처음으로 제시했다. 행복은 자급자족하고 자신의 정신적 태도를 지배하는 데 달려 있으며, 고통은 가치에 대한 그릇된 판단의 결과로 부정적인 감정과 그에 따른 악한 성격을 유발한다.[74]견유적인 삶은 부, 권력, 건강, 명성에 대한 기존의 욕망을 거부하며, 관습을 따르면서 얻는 소유물로부터 자유로워진다.[74][75] 이성적인 존재로서, 사람들은 엄격한 훈련을 통해, 그리고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삶으로써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세계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속해 있으며, 따라서 고통은 사회의 전통과 관습에 따라 가치 있는 것과 가치 없는 것에 대한 그릇된 판단에 의해 발생한다.
5. 1. 4. 키레네 학파
키레네의 아리스티푸스는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소크라테스의 가르침 중 행복은 도덕적 행위의 목적 중 하나이며 쾌락이 최고의 선이라는 측면만을 강조하는 초기 소크라테스 학파를 창시했다. 키레네 학파는 육체적 만족이 정신적 쾌락보다 더 강렬하다는 쾌락주의적 세계관을 가졌으며, 지연된 만족의 장기적인 이득보다 즉각적인 만족을 선호했다. 또한 거부는 불쾌한 불행이라고 여겼다.[76][77]5. 1. 5. 에피쿠로스 학파
에피쿠로스는 플라톤주의자 사모스의 팜필루스의 제자였으며, 지식, 우정, 덕행, 절제된 삶을 통해 아타락시아(ataraxia)라 불리는 평온함과 두려움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기 위해 적당한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큰 선이라고 가르쳤다. 육체적 고통(아포니아)은 세상의 작용과 욕망의 한계를 아는 것을 통해 사라진다. 고통과 두려움으로부터의 자유가 합쳐져 최고의 형태의 행복을 이룬다. 에피쿠로스는 성행위와 식욕을 억제하는 준 금욕주의와 같이 단순한 쾌락을 즐기는 것을 칭찬했다.[78]
에피쿠로스 학파는 불멸과 신비주의를 거부한다. 영혼은 존재하지만 육체와 마찬가지로 죽음을 맞이한다. 사후 세계는 없지만,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해체된 것은 감각이 없고, 감각이 없는 것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이다."[79]
5. 1. 6. 스토아 학파
키티온의 제논은 테베의 크라테스의 제자로, 이성의 작용과 덕에 따라 사는 것이 우주의 신성한 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가르치는 스토아 학파를 세웠다. 이는 모든 사람의 본질적인 가치인 보편적인 ''로고스'' 또는 이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루어진다.[79] 삶의 의미는 ''아파테이아''(그리스어: απαθεια), 즉 객관적이고 "명확한 판단"을 갖는 것을 통해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얻는 것이다. 이것은 무관심과는 ''다르다''.스토아 철학의 주요 지침은 덕, 이성, 자연법으로, 파괴적인 감정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인적인 자기 통제력과 정신적 강인함을 키우기 위해 준수된다.[79] 스토아 철학자는 감정을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부단히 연습하는 논리, 성찰, 그리고 집중력을 통해 명확한 판단력과 내면의 평정을 개발함으로써 감정적인 문제를 피하려 한다.
스토아 윤리의 기반은 "선은 영혼의 상태에 있다"는 것으로, 지혜와 자기 통제력으로 예시되며, 이를 통해 정신적 안녕을 향상시킨다. "''덕''은 본성에 일치하는 ''의지''에 있다."[79] 이 원리는 개인적인 관계에도 적용되어 "분노, 시기심, 질투심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의미한다.[79]
5. 2. 계몽주의 철학
계몽주의와 식민주의 시대는 유럽 철학의 본질을 변화시켰고, 이를 전 세계로 확산시켰다. 하나님에 대한 헌신과 복종은 불가침의 자연권과 이성의 잠재력에 대한 개념으로 대체되었으며, 보편적인 사랑과 연민의 이상은 자유, 평등, 시민 의식의 개념으로 대체되었다.삶의 의미 또한 변화하여, 인간과 하나님 간의 관계보다는 개인과 사회 간의 관계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이 시대는 의미 있는 존재를 사회 질서와 동일시하는 이론들로 가득 차 있다.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묻는 것에 의미가 있는가?"라고 질문했다.[305][306] 만약 객관적인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생은 무의미한 것일까?[307]
5. 2. 1. 칸트주의

칸트주의는 이마누엘 칸트의 윤리학, 인식론, 형이상학적 저작을 기반으로 한 철학이다. 칸트는 단일한 도덕적 의무인 "정언 명법"이 의무의 개념에서 파생되는 의무론적 이론으로 유명하다. 칸트주의자들은 모든 행위가 어떤 근본적인 격률이나 원칙에 따라 수행되며, 윤리적인 행위가 되려면 정언 명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믿는다.
간단히 말해서, 그 시험은 격률을 보편화하고 (모든 사람이 이런 식으로 행동한다고 상상) 모순 없이 세상에서 격률을 수행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칸트는 《도덕 형이상학 서설》에서 돈을 갚을 의사 없이 돈을 빌리려는 사람의 예를 든다. 이는 모순인데, 만약 그것이 보편적 행위라면, 아무도 돈을 빌려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칸트에 따르면 이 행위의 격률은 사유 가능성의 모순을 낳는다(따라서 완전한 의무에 위배된다).
칸트는 또한 행위의 결과가 그 행위의 도덕적 가치에 어떤 식으로든 기여한다고 부인했는데, 그 이유는 물리적 세계가 한 개인의 완전한 통제 밖에 있으며 따라서 그 안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기 때문이다.
5. 3. 19세기 철학
"삶의 의미"라는 표현이 영어로 처음 사용된 것은 토머스 칼라일의 저서 ''사르토르 레사르투스''(1833–1834)에서였다.[1] 칼라일은 독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와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슐레겔은 소설 ''루친데''(1799)를 통해 이 표현을 처음으로 출판했지만, 노발리스는 1797-1798년 원고에서 "오직 예술가만이 삶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라고 썼다. "삶의 의미"로 번역되는 ''lebenssinn''은 괴테가 1796년 실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사용되었다.[3] 이들은 근대의 합리주의와 유물론에 영향을 받았다. 칼라일은 이것을 "과학의 불꽃"이라고 불렀는데, 이 불꽃은 종교를 "실용적이고 정신적인 불신으로 인한 가뭄 속에서 완전히 말라 버리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 "황야"와 "무신론적인 세기"의 "광활한 세상"이 나타났다고 표현했다.[4]Reker와 웡은 개인적 의미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서, 일관성 및 목적의 인식, 가치 있는 목표의 추구 및 달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취감"으로 정의했다.[68] 2016년, Martela와 Steger는 의미를 일관성, 목적, 중요성으로 정의했다.[69]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4가지 구성 요소(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 PURE)의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폴 T.P.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71]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5. 3. 1. 공리주의
공리주의의 기원은 에피쿠로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사상 학파로서의 공리주의는 제레미 벤담에게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334] 벤담은 "자연은 인류를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주권적 주인의 지배 하에 두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도덕적 통찰에서 그는 '유용성의 원칙', 즉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선이다"라는 원칙을 도출했다. 그는 삶의 의미를 "최대 행복 원칙"으로 정의했다.[81]
벤담의 가장 중요한 지지자는 제임스 밀이었으며, 그는 존 스튜어트 밀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젊은 밀은 벤담의 원칙에 따라 교육받았으며, 아버지의 많은 저작을 필사하고 요약하는 등의 작업을 했다.[82]
5. 3. 2. 허무주의
허무주의는 삶에 객관적인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68]프리드리히 니체는 허무주의를 세계, 특히 인간의 존재에서 의미, 목적, 이해 가능한 진실, 본질적인 가치를 비우는 것으로 특징지었으며, 간단히 말해 허무주의는 "최고의 가치의 절하" 과정이라고 보았다.[83] 그는 허무주의를 신은 죽었다는 생각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고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주장하며, 허무주의가 부정하는 가치에 대한 질문을 통해 지구에 의미를 되돌렸다.[84]
마르틴 하이데거는 허무주의를 "존재"가 망각되고 가치로 변환되는 운동, 즉 존재가 교환 가치로 환원되는 것으로 보았다.[83] 하이데거는 니체와 마찬가지로 "신의 죽음"에서 허무주의의 잠재적 근원을 찾았다.
>만약 모든 현실의 초감각적 근원과 목표인 신이 죽었다면, 그리고 초감각적인 관념의 세계가 그 의무적인 힘과, 그 이상으로 활력과 건설적인 힘을 잃었다면, 인간이 의지할 수 있고 자신을 지향할 수 있는 것은 더 이상 남지 않게 된다.[85]
프랑스 철학자 알베르 카뮈는 인간 조건의 부조리는 사람들이 아무것도 없고 그들에게 무관심한 세계에서 외부의 가치와 의미를 찾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뮈는 뫼르소와 같은 가치 허무주의자에 대해 썼지만,[86] 허무주의적 세계의 가치에 대해서도 사람들이 부조리 앞에서 존엄하게 살고 "세속적 성스러움", 형제적 연대, 세계의 무관심에 반항하고 초월하며 "영웅적 허무주의자"가 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87]
5. 3. 3. 실존주의
실존주의에 따르면 각 사람은 자신의 삶의 본질, 즉 의미를 스스로 창조한다. 삶은 초자연적인 신이나 지상의 권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다. 삶의 의미를 찾을 때, 실존주의자는 사람들이 삶에서 의미를 찾는 곳을 찾고, 자유의지를 고려할 때 느끼는 불안과 공포, 그리고 죽음에 대한 자각을 낳는다고 본다. 장 폴 사르트르에 따르면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Reker와 웡은 개인적 의미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서, 일관성 및 목적의 인식, 가치 있는 목표의 추구 및 달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취감"으로 정의한다.[68] 2016년, Martela와 Steger는 의미를 일관성, 목적, 중요성으로 정의했다.[69]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4가지 구성 요소(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 PURE)의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 가치 있는 ''목적'' 또는 중요한 삶의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 자신이 누구인지,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삶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종류와 가치 있고 중요한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결정할 ''책임''이 있으며, 오직 자신만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
#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때 비로소 깊은 중요성과 만족감을 ''즐길'' 것이다.
따라서 중요성은 별도의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의 모든 차원에 스며든다.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대부분의 철학자들(예: 태디어스 메츠, Daniel Haybron)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71]
5. 3. 4. 부조리주의
알베르 카뮈는 인간 조건의 부조리는 사람들이 아무것도 없고 그들에게 무관심한 세계에서 외부의 가치와 의미를 찾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뮈는 뫼르소와 같은 가치 허무주의자에 대해 글을 썼지만,[86] 허무주의적 세계의 가치에 대해서도 사람들이 부조리 앞에서 존엄하게 살고 "세속적 성스러움", 형제적 연대, 그리고 세계의 무관심에 반항하고 초월하며 "영웅적 허무주의자"가 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87]5. 4. 20세기 철학
현 시대는 인간 본성에 대한 개념, 인류와 자연 세계의 관계, 그리고 사람과 자기 자신 및 서로의 관계를 개념화하는 방식에서 급진적인 변화를 겪었다. 의학과 기술의 발전은 인류를 이전 시대의 제약과 질병으로부터 해방시켰다.[88] 철학, 특히 언어적 전회 이후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 또한 급진적인 변화를 겪었는데, 이는 생물학적, 과학적 용어로 인간의 존재를 재평가하려는 시도(실용주의, 논리 실증주의)에서 개인적이고 개별적인 활동으로서의 의미 부여에 대한 메타이론을 제기하려는 노력(실존주의, 세속적 인본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해 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PURE)이라는 4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태디어스 메츠, 대니얼 헤이브런과 같은 철학자들은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71]
실용주의는 19세기 말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진리와 관련하여 데이터와 파생된 이론이 "환경과 투쟁하는 과정에서만" 의미를 가지며, 효용성과 실용성과 같은 ''결과'' 또한 진리의 구성 요소라고 주장한다. 윌리엄 제임스는 진리가 만들어질 수 있지만 추구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89][90] 실용주의자에게 삶의 의미는 경험을 통해서만 발견될 수 있다.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무엇을 묻는 것이 의미가 있는가?"[104][105] 그리고 "만약 객관적인 가치가 없다면, 삶은 무의미한가?"[106]라고 질문한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언어로 표현하면, 이 질문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80]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은 인간 본성을 언어, 또는 인간 사회의 구조와 제도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본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삶의 의미"와 유사한 모든 것은 사회적, 언어적 틀 내에서만 이해될 수 있으며, 언어와 상호 작용에 이미 내재된 권력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로 추구되어야 한다.
자연주의 범신론에 따르면, 삶의 의미는 자연과 환경을 보살피고 돌보는 것이다.[267]
구체화된 인지는 감정, 언어, 인지의 신경학적 기반을 사용하여 생각의 본질을 이해한다. 인지신경심리학은 이러한 능력에 필요한 뇌 영역을 확인했으며, 유전자 연구는 FOXP2 유전자가 언어 유창성의 기초가 되는 신경 가소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지 언어학 및 철학 교수인 조지 레이코프는 은유가 언어 기호 조작의 논리가 아니라 의미의 일반적인 기반이라는 견해를 발전시켰다.[108]
심리학 박사이자[267] 행동과학자[268] 피어스 스틸은 저서 『사람은 왜 미루는가』(2012년)에서 "삶의 의미"에 관한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다.
12개의 주요 영역 | 미루기 빈도의 평균값(1~5) | 미루기가 심각한 사람의 비율 | |
---|---|---|---|
1위 건강 | 운동, 다이어트, 질병의 예방·치료 | 3.4 | 42.2% |
2위 커리어 | 취직, 이직, 승진을 위한 노력 | 3.3 | 56.8% |
3위 교육 | 시험공부, 학위 취득 | 3.3 | 32.9% |
4위 커뮤니티 | 봉사활동, 정치 활동 | 3.2 | 12.1% |
5위 로맨스 | 연애, 섹스, 고백, 결혼 | 3.0 | 24.0% |
6위 돈 | 저축, 공공요금 등의 송금 | 2.9 | 35.9% |
7위 자기 | 능력과 태도, 행동의 개선 | 2.9 | 29.6% |
8위 친구 | 친한 사람들과의 교류 | 2.9 | 23.5% |
9위 가족 | 부모와 형제와의 교류 | 2.7 | 18.9% |
10위 레저 |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취미 | 2.7 | 11.4% |
11위 정신생활 | 신앙, 철학, 삶의 의미의 탐구 | 2.5 | 8.5% |
12위 육아 | 아이와의 교류 | 2.3 | 4.1% |
스틸은 인생의 주요 영역을 12가지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미루기 빈도를 "1"(전혀 미루지 않음)부터 "5"(항상 미룸)까지 5단계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 사람은 인생에서 "건강"을 가장 자주 미루고(평균 3.4), 42.2%가 "건강"에서 심각하게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육아"를 제외하면 "정신생활"(신앙, 철학, 삶의 의미 탐구)을 가장 우선시하며(평균 2.5), 8.5%만이 "정신생활"에서 심각하게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하버드 대학교 보건 출판국은 "삶의 의미를 찾으면 건강이 증진될지도 모른다"라는 기사를 발표했다.[289] 조사 결과, 삶에 의미가 있다고 믿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신의 건강 상태와 인지 기능이 양호했다.[289]
5. 4. 1. 실용주의
실용주의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사람이 인생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는 "살아가는 의미가 있는가?"와 같은 질문은 생각하지 않으며, 인생에서 무언가 벽에 부딪혔을 때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와 같이 의문을 품는다고 한다.[308] 제임스는 "인생은 살아갈 가치가 있는가?"와 같은 질문의 진정한 의미는 "요즘 내 인생은 괴로운 일이 많아서 못 견디겠다!"라는 넋두리와 같다고 말한다.[308] 그는 "인생은 살아갈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답은 "인생은 살아갈 가치가 있으니 가치가 있다"이며, "인생의 의미란 무엇인가?"와 같은 본질을 추구하는 질문은 그만두고, 인생의 실제적인 효능에 주목하는 편이 낫다고 한다.[308]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그 사람의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면 긍정적인 결과가 생긴다. 즉, 인생은 살아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행동하면, 실제로 살아갈 가치가 있는 인생이 된다는 것이다.[308]5. 4. 2. 유신론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4가지 구성 요소(PURE)로 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을 제시했다.[70][71]# 가치 있는 ''목적'' 또는 중요한 삶의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 자신이 누구인지,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삶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종류와 가치 있고 중요한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결정할 ''책임''이 있으며, 오직 자신만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
#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때 비로소 깊은 중요성과 만족감을 ''즐길'' 것이다.
웡에 따르면 중요성은 별도의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의 모든 차원에 스며들어 있다.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태디어스 메츠나 Daniel Haybron과 같은 철학자들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71]
5. 4. 3. 세속적 인본주의
인간은 자기 존재적인 자연의 필수적인 표현으로, 진화의 무지향적 진화를 통해 연속적인 세대를 번식함으로써 존재하게 되었다.[97][98] 인간의 지식은 초자연적인 근원이 아닌 인간의 관찰, 실험, 그리고 합리적인 분석(과학적 방법)에서 비롯되며, 우주의 본질은 사람들이 인식하는 바이다.[97] 마찬가지로, "가치와 현실"은 "지적인 탐구에 의해" 결정되며,[97] "경험으로 검증된 인간의 필요와 관심에서 파생된다", 즉 비판적 사고에 의해 결정된다.[99][100] "우리가 아는 한, 전체적인 인격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상호 작용하는 생물학적 유기체의 [기능]이다."[98]사람들은 초자연적인 영향 없이 인간의 목적을 결정한다. 인간 삶의 목적은 바로 인간의 인격(일반적인 의미)이며, 세속적 인본주의는 이를 개발하고 실현하려 한다.[139] "인본주의는 인류의 더 큰 선을 추구하는 개인적인 성취의 윤리적인 삶을 이끌 수 있는 우리의 능력과 책임을 긍정한다".[99] 인본주의는 모든 사람을 위한 계몽된 이기심과 공동선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행복은 인간이 대인 관계에서 의미를 찾고, 문화적 진보가 그 문화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이익을 준다는 사실을 부분적으로 근거로, 개인의 행복이 모든 인류의 복지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전제에 기반한다.[139][99]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 (때로는 동의어로 사용됨)의 철학적 하위 장르는 인본주의적 가치의 확장이다. 인간과 모든 생명의 발전을 가능한 최대한으로 추구하고, 르네상스 인본주의를 21세기의 기술과학 문화와 조화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든 생물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삶의 의미"를 결정할 권리를 갖는다.[101]
세속적 인본주의-심리치료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은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로 재해석될 수 있다.[102] 이 접근 방식은 이 질문이 개인적인 질문임을 강조하며, 포괄적인 목적에 대한 우주적이거나 종교적인 질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피한다. 이 질문에 대한 많은 치료적 반응이 있다. 예를 들어, 빅터 프랭클은 "Dereflection"을 주장하는데, 이는 주로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중단하고, 대신 삶에 참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체로, 치료적 반응은 삶의 의미가 무엇인가라는 질문 자체가 삶에 완전히 몰두할 때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면 그 질문은 "나는 어떤 망상에 시달리고 있는가?", "무엇이 내가 즐거움을 누리는 것을 방해하는가?", "왜 나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소홀히 하는가?"와 같은 더 구체적인 걱정으로 변형된다.)[103]
심리학 박사[267]이자 행동과학자[268] 피어스 스틸은 "삶의 의미"에 관한 데이터를 『사람은 왜 미루는가』(2012년)에서 제시하고 있다. 4000명에 대한 질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정신생활("신앙, 철학, 삶의 의미 탐구")을 강하게 우선시하는 반면, 건강과 커리어에 대해서는 미루는 경향이 있다.
12개의 주요 영역 | 미루기 빈도의 평균값(1~5) | 미루기가 심각한 사람의 비율 | |
---|---|---|---|
1위 건강 | 운동, 다이어트, 질병의 예방·치료 | 3.4 | 42.2% |
2위 커리어 | 취직, 이직, 승진을 위한 노력 | 3.3 | 56.8% |
3위 교육 | 시험공부, 학위 취득 | 3.3 | 32.9% |
4위 커뮤니티 | 봉사활동, 정치 활동 | 3.2 | 12.1% |
5위 로맨스 | 연애, 섹스, 고백, 결혼 | 3.0 | 24.0% |
6위 돈 | 저축, 공공요금 등의 송금 | 2.9 | 35.9% |
7위 자기 | 능력과 태도, 행동의 개선 | 2.9 | 29.6% |
8위 친구 | 친한 사람들과의 교류 | 2.9 | 23.5% |
9위 가족 | 부모와 형제와의 교류 | 2.7 | 18.9% |
10위 레저 |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취미 | 2.7 | 11.4% |
11위 정신생활 | 신앙, 철학, 삶의 의미 탐구 | 2.5 | 8.5% |
12위 육아 | 아이와의 교류 | 2.3 | 4.1% |
스틸은 인생의 주요 영역을 12가지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미루기 빈도를 "1"(전혀 미루지 않음)부터 "5"(항상 미룸)까지 5단계로 평가하도록 했다. 동시에 피실험자들에게 "가장 미루는 것이 심각한 세 가지 영역"을 선택하게 했다. 이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람들이 인생에서 가장 자주 미루는 영역은 "건강"으로, 평균 3.4점을 기록했으며, 42.2%가 "건강"에서 심각하게 미룬다고 답했다.
- 사람들이 가장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는 영역은 "육아"를 제외하면 "정신생활"("신앙, 철학, 삶의 의미 탐구")로, 평균 2.5점을 기록했으며, 8.5%가 "정신생활"에서 심각하게 미룬다고 답했다.
스틸은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건강, 커리어 등)에서 자신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사람도 많다고 지적한다. 미루기 빈도와 "심각성"은 대체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5. 4. 4. 논리 실증주의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무엇을 묻는 것이 의미가 있는가?"[104][105] 그리고 "만약 객관적인 가치가 없다면, 삶은 무의미한가?"[106]라고 질문한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언어로 표현하면, 이 질문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80] 왜냐하면 삶 ''안에서'' "x의 의미"라는 진술은 일반적으로 x의 ''결과'', x의 ''중요성'', 또는 x에 대해 ''주목할 만한 것'' 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삶의 의미" 개념이 "x"와 같을 때, "x의 의미"라는 진술은 재귀적이 되므로 무의미해지거나, 생물학적 생명이 삶의 의미를 갖는 데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나타낼 수 있다.어떤 사람의 삶 속의 것들(사람, 사건)은 전체의 일부로서 의미(중요성)를 가질 수 있지만, 그러한 것들과는 별개로 그 삶 자체의 개별적인 의미는 분별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의 삶은 그들의 성취, 유산, 가족 등에서 비롯된 삶의 사건들로서 의미를 갖지만(그들 자신에게, 다른 사람들에게), 삶 자체가 의미를 갖는다고 말하는 것은 언어의 오용이다. 어떤 중요성이나 결과의 표시는 오직 삶 ''안에서''(살아있는 사람에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진술은 오류가 된다. 버트런드 러셀은 고문에 대한 혐오감이 브로콜리에 대한 혐오감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았지만, 이를 증명할 만족스러운 경험적인 방법을 찾지 못했다고 썼다:[79]
> 우리가 이것 또는 저것이 "선"이라고 말할 때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하게 하려고 할 때, 우리는 매우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 벤담의 신조, 즉 쾌락이 선이라는 것은 격렬한 반대를 불러일으켰고, 돼지의 철학이라고 불렸다. 그도 그의 반대자들도 어떤 주장도 내세울 수 없었다. 과학적인 질문에서는 양쪽에 증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결국 한쪽이 더 나은 경우를 갖는 것으로 보이다—또는, 이것이 일어나지 않으면, 질문은 미결로 남는다. 그러나 이것이 궁극적인 선인가, 또는 저것이 궁극적인 선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증거가 없다. 각 논쟁자는 자신의 감정에 호소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유사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수사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가치"에 대한 질문—즉, 그 효과와는 별개로 그 자체로 좋거나 나쁜 것에 대한 질문—은 종교의 옹호자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과학의 영역 밖에 있다. 나는 이 점에서 그들이 옳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그들이 이끌어내지 않는 또 다른 결론을 이끌어낸다. 즉, "가치"에 대한 질문은 지식의 영역 밖에 있다는 것이다. 즉, 이것 또는 저것이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할 때, 우리는 우리의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지, 우리의 개인적인 감정이 다르더라도 여전히 사실일 사실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107]
5. 4. 5.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은 인간 본성을 언어, 또는 인간 사회의 구조와 제도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본다. 다른 철학과 달리,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 존재의 '선험적' 또는 내재적 의미를 탐구하기보다는, 주어진 의미를 분석하거나 비판하여 합리화하거나 재구성하는 데 집중한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삶의 의미"와 유사한 모든 것은 사회적, 언어적 틀 내에서만 이해될 수 있으며, 언어와 상호 작용에 이미 내재된 권력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로 추구되어야 한다.일반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주의자들은 언어의 제약에 대한 인식이 그러한 제약에서 벗어나는 데 필요하다고 보지만, 이 과정의 본질에 대해 서로 다른 이론가들은 개인에 의한 의미의 급진적인 재구성(예: 해체주의)에서 개인은 실질적인 자율성 없이 언어와 사회의 주요한 연장선일 뿐이라는 이론(예: 포스트구조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견해를 보인다.[80]
5. 4. 6. 자연주의적 범신론
자연주의 범신론에 따르면, 삶의 의미는 자연과 환경을 보살피고 돌보는 것이다.[267]5. 4. 7. 체화된 인지
구체화된 인지는 감정, 언어, 인지의 신경학적 기반을 사용하여 생각의 본질을 이해한다. 인지신경심리학은 이러한 능력에 필요한 뇌 영역을 확인했으며, 유전자 연구는 FOXP2 유전자가 언어 유창성의 기초가 되는 신경 가소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인지 언어학 및 철학 교수인 조지 레이코프는 은유가 언어 기호 조작의 논리가 아니라 의미의 일반적인 기반이라는 견해를 발전시켰다.[108] 컴퓨터는 논리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쿼리하지만, 인간은 훈련된 생물학적 신경망에 의존한다. 상징 언어의 불확정성을 사용하여 명확한 의미를 부정하는 포스트모던 철학은 자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다고 느끼고 대화 상대도 자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무시한다. 올바른 은유를 선택하면 삶의 의미와 같은 질문을 추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공통된 이해가 얻어진다.[109] 뇌 기능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면 더 건강한 뇌를 생성하는 더 나은 치료법이 나올 것이다. 보다 효과적인 훈련과 결합하면, 자신의 삶의 의미에 대한 건전한 개인적 평가가 간단해질 것이다.
심리학 박사이자[267] 행동과학자[268] 피어스 스틸은 『사람은 왜 미루는가』(2012년)에서 "삶의 의미"에 관한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다. 4000명에 대한 질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정신생활("신앙, 철학, 삶의 의미 탐구")을 강하게 우선시하는 반면, 건강과 커리어에 대해서는 미루는 경향이 있다.
12개의 주요 영역 | 미루기 빈도의 평균값(1~5) | 미루기가 심각한 사람의 비율 | |
---|---|---|---|
1위 건강 | 운동, 다이어트, 질병의 예방·치료 | 3.4 | 42.2% |
2위 커리어 | 취직, 이직, 승진을 위한 노력 | 3.3 | 56.8% |
3위 교육 | 시험공부, 학위 취득 | 3.3 | 32.9% |
4위 커뮤니티 | 봉사활동, 정치 활동 | 3.2 | 12.1% |
5위 로맨스 | 연애, 섹스, 고백, 결혼 | 3.0 | 24.0% |
6위 돈 | 저축, 공공요금 등의 송금 | 2.9 | 35.9% |
7위 자기 | 능력과 태도, 행동의 개선 | 2.9 | 29.6% |
8위 친구 | 친한 사람들과의 교류 | 2.9 | 23.5% |
9위 가족 | 부모와 형제와의 교류 | 2.7 | 18.9% |
10위 레저 |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취미 | 2.7 | 11.4% |
11위 정신생활 | 신앙, 철학, 삶의 의미의 탐구 | 2.5 | 8.5% |
12위 육아 | 아이와의 교류 | 2.3 | 4.1% |
스틸은 인생의 주요 영역을 12가지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미루기 빈도를 "1"(전혀 미루지 않음)부터 "5"(항상 미룸)까지 5단계로 조사했다. 동시에 피실험자들에게 "가장 미루는 것이 심각한 세 가지 영역"을 선택하게 했다. 조사 결과, 사람은 인생에서 "건강"을 가장 자주 미루고(평균 3.4), 42.2%가 "건강"에서 심각하게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육아"를 제외하면 "정신생활"(신앙, 철학, 삶의 의미 탐구)을 가장 우선시하며(평균 2.5), 8.5%만이 "정신생활"에서 심각하게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틸은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건강, 커리어 등)에서 자신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사람이 많다고 지적하며, 미루는 빈도와 심각성은 대략 연동된다고 설명한다.
스틸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행동경제학이 연구해 온 동기 부여 모델을 바탕으로 "미루기 방정식"을 제시한다. 이 방정식은 "미루기를 만들어내는 신경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구"이며,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한 스냅 사진과 같은 것"이라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과제 달성이라는 가치를 얻을 때까지 남은 시간(지연)이 길어질수록 기대 효용(기대×가치)이 작아져 동기 부여가 떨어진다. 또한, 충동성이 강할수록 지연을 더 강하게 느껴 즉각적인 가치를 원하게 되므로, 이 역시 동기 부여를 낮춘다.
2020년 하버드 대학교 보건 출판국은 "삶의 의미를 찾으면 건강이 증진될지도 모른다"라는 기사를 발표했다.[289] 조사 결과, 삶에 의미가 있다고 믿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신의 건강 상태와 인지 기능이 양호했다.[289] 기사는 "삶의 목적을 찾으면 건강해지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라고 결론짓는다.[289]
5. 5. 동아시아 철학
중국 철학중국어과 일본 철학일본어에서는 삶의 의미를 인간이 정의한 이상이나 추상적 개념으로 설명한다.- 묵가는 삶의 목적이 보편적이고 공평한 사랑이라고 보았다. 묵가는 모든 사람을 차별 없이 동등하게 대해야 한다는 공평한 배려를 강조했다.[110]
- 유교는 수양과 교육을 통해 덕을 쌓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보았다. 유교 학자 투웨이밍은 "우리는 평범한 인간의 존재 속에서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111]
- 법가는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은 의미 없다고 생각했다. 이들에게는 국가 운영과 관련된 실용적인 지식만이 가치 있었다.[71]
5. 5. 1. 묵가
묵가는 삶의 목적이 보편적이고 공평한 사랑이라고 믿었다. 묵가는 공평한 배려의 철학을 장려했는데, 이는 사람이 자신과의 실제 관계에 관계없이 모든 다른 개인을 동등하게 배려해야 한다는 것이다.[110] 이러한 무차별적인 배려의 표현이 묵가 사상에서 사람을 의로운 존재로 만든다. 이러한 공평성의 옹호는 다른 중국 철학 학파, 특히 유가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는데, 유가들은 사랑은 무조건적이어야 하지만 무차별적이지는 않아야 한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무작위 낯선 사람보다 부모에게 더 큰 사랑을 가져야 한다.5. 5. 2. 유교
유교는 수양과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인간의 본성을 인식한다. 인간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 모두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유교는 강한 관계와 추론을 통해 덕을 달성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교 학자 투웨이밍은 "우리는 평범한 인간의 존재 속에서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라고 말하며, 이러한 평범한 삶에 대한 강조를 보여준다.[111]5. 5. 3. 법가
법가들은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은 무의미한 노력이라고 믿었다. 법가에게는 오직 실용적인 지식만이 가치 있었으며, 특히 국가의 기능과 운영과 관련된 지식이 중요했다.[71]6. 종교적 관점
웡은 삶의 의미가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71] 그는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해 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PURE)이라는 4가지 구성 요소로 답했다.[70][71]
- 가치 있는 ''목적'' 또는 중요한 삶의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 자신이 누구인지,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삶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가치 있고 중요한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결정할 ''책임''은 자신에게 있다.
-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때 비로소 깊은 중요성과 만족감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중요성은 별도의 요소가 아니라 의미의 모든 차원에 스며들어 있다.
삶의 의미에 대한 종교적 관점은 인간이 정의하지 않은 암묵적인 목적의 관점에서 삶을 설명한다. 자비 헌장에 따르면, 종교의 핵심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자신이 대우받고 싶은 대로 대하라'는 황금률이다. 헌장 설립자인 캐런 암스트롱은 힐렐의 '나머지는 해설이다'라는 말을 인용하며, 연구, 해석, 의례가 종교인들이 황금률을 내면화하고 실천하는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6. 1. 아브라함계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를 포함한다.
유대교는 이 세상을 고양하고 메시아 시대를 준비하는 것을 삶의 의미로 본다. 개인보다는 공동체와 개인의 영적 행위에 초점을 맞춘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의 중보를 통한 구원을 추구한다. 원죄를 극복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슬람교에서는 창조주 알라를 숭배하고 그에게 감사하는 것을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본다. 현세는 시험이며, 내세에서의 알라와의 친밀함을 결정한다.
6. 1. 1. 유대교
유대교 세계관에서 삶의 의미는 물질 세계('Olam HaZeh')를 고양시키고, 다가올 세계('Olam HaBa'), 즉 메시아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것을 티쿤 올람("세상 고치기")이라고 부른다. Olam HaBa는 또한 영적인 사후 세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종말론적 질서에 대한 논쟁이 있다. 그러나 유대교는 개인의 구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서의 공동체적(인간 대 인간)이고 개인적(인간 대 신)인 영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68]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단일하고, 이해할 수 없고, 초월적인, 하나이며, 불가분리의 절대적 존재를 숭배하는 것이며, 이 존재가 우주를 창조하고 통치한다. 이스라엘의 신과의 친밀함은 그의 토라를 연구하고 그 미츠보트 (신성한 법)를 준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통적인 유대교에서 신은 시나이 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특별한 언약을 맺고 유대 율법을 주었다. 토라는 기록된 오경과 기록된 구전 전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세대를 거쳐 더욱 발전했다. 유대 민족은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 백성"[112]이자 "민족에게 빛"이 되어 다른 민족들이 그들만의 종교 윤리적인 노아의 7계명을 지키도록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되었다. 메시아 시대는 신에게 이르는 이중적 경로의 완성으로 여겨진다.
유대교의 의례는 윤리적이고 의례적이며, 긍정적이고 금지적인 명령을 포함한다. 현대 유대교 종파는 미츠보트의 본질, 관련성 및 강조점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유대교 철학은 신은 영향을 받거나 이득을 얻지 않지만, 개인과 사회는 신에게 가까이 다가가면서 이득을 얻는다고 강조한다. 합리주의자인 마이모니데스는 윤리적이고 의례적인 신성한 계명을 신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위한 필요하지만 불충분한 준비로 보며, 사랑과 경외심을 포함한다.[113] 토라의 기본 가치에는 정의 추구, 자비, 평화, 친절, 근면, 번영, 겸손, 교육 등이 있다.[114][115] 현재 준비된 다가올 세상은[116] 인간을 신과의 영원한 연결로 고양시킨다.[117] 의로운 시메온은 "세상은 세 가지에 기반을 두고 있다. 토라, 예배, 그리고 사랑의 친절한 행위이다."라고 말한다. 기도서는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심어주시고... 그의 영광을 위해 우리를 창조하신 우리 하나님은 복되시다."라고 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탈무드는 "하나님이 하시는 모든 일은 선을 위한 것이다."라고 말하며 고통도 포함한다.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는 삶에 대한 보완적인 비전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유대교가 신과의 내재적 관계(개인적 유신론)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카발라에서 영적 및 물질적 창조는 신의 존재의 내재적 측면(범신론)의 역설적인 표현이며, 쉐키나 (신성한 여성)와 관련이 있다. 유대교의 준수는 높은 곳의 세피로트 (신성한 속성)를 결합하여 창조에 조화를 회복한다. 루리안 카발라에서 삶의 의미는 유대교의 준수를 통해 물질적 존재(클리포트 껍질)에 유배된 신의 페르소나의 산산이 부서진 불꽃의 메시아적 교정이다.[118] 이를 통해 하시디즘에서 신의 궁극적이고 본질적인 "소망"은 몸이 영혼에게 생명을 줄 때 제한된 물질적 영역 내에서 인간에 의해 달성되는 만물에 편재하는 신성한 본질의 계시다.[119]
6. 1. 2. 기독교

기독교는 유대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유대교의 존재론의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기독교의 중심 신념은 신약성서에 제시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서 비롯된다. 기독교에서 삶의 목적은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의 중보를 통해 신성한 구원을 추구하는 것이다.[121] 신약성서는 하나님께서 이 세상과 다음 세상에서 인간과 관계를 맺기를 원하시며, 이는 죄가 용서받을 때만 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122]
기독교 관점에서 인류는 하느님의 형상대로 완벽하게 만들어졌지만, 인류의 타락으로 인해 최초의 부모의 자손은 원죄와 그 결과를 물려받게 되었다. 그리스도의 수난, 죽음, 부활은 그 불순한 상태를 극복하는 수단을 제공한다(로마서 6:23). 죄로부터의 이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복음이라고 부른다.
사도 바울은 아테네의 아레오파고스에서 한 연설에서 삶의 의미를 설명한다.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사 온 땅에 살게 하시고 그들이 정한 시대와 거주의 경계를 정하셨으니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찾게 하려 하심이라. 혹 더듬어 찾으면 발견하리니 그는 우리 각 사람에게서 멀리 계시지 아니하도다."[123]
예수 그리스도는 유일한 신을 알고 사랑하는 것이 인간의 가장 큰 삶의 목적이라고 가르쳤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라고 가르쳤다. 이러한 사랑은 무사(無私)의 사랑이다. 또한, 신을 아는 자에게는 영원한 생명이 주어질 것이라고 말하며, 생명에는 영원한 의미가 있다고 설파했다. 예수의 제자 요한도 "신은 사랑이다"라고 말하며, 신의 사랑을 본받아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기록했다.[316]
6. 1. 3. 이슬람교
이슬람에서 인류의 궁극적인 목적은 창조주인 알라(The God영어)를 그의 징표를 통해 숭배하고 진정한 사랑과 헌신을 통해 그에게 감사하는 것이다. 이것은 쿠란에 계시된 신성한 지침과 예언자의 전통을 따름으로써 실질적으로 나타난다(쿠란주의는 제외). 현세의 삶은 시험이며, 내세에서 알라와의 친밀함을 결정한다. 사람은 그와 그의 사랑에 가까이 있을 것이며 ''자나(Jannah)''(천국)에 있을 것이고, 또는 ''자하남(Jahannam)''(지옥)에 멀리 있을 것이다.알라의 만족을 위해 쿠란을 통해 모든 무슬림은 하나님, 그의 계시, 그의 천사, 그의 사자, 그리고 "키야마(Qiyamah)''(심판의 날)을 믿어야 한다.[134] 쿠란은 창조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그의 손에 왕국이 있는 그는 모든 일에 강력하시며, 죽음과 삶을 창조하시어 너희 중 누가 행동이 가장 좋은지 시험하시니, 그분은 전능하시고 용서하시는 분이시다." (쿠란 67:1–2) 그리고 "나는 (알라) 정령과 인류를 그에게 순종하게 하려고 창조했을 뿐이다." (쿠란 51:56). 순종은 그의 주권, 그의 이름 및 그의 속성에서 하나님의 단일성을 증명한다. 현세의 삶은 시험이며,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영혼이 자낫(천국)으로 가는지 자하남(지옥)으로 가는지 결정된다.[135] 그러나 심판의 날에는 최종 결정은 오직 알라만이 내린다.[136]
이슬람의 5가지 기둥은 모든 무슬림에게 의무적인 의무이며 다음과 같다. 샤하다(신앙 고백), 살라(Salat)(의례 기도), 자카트(Zakat)(자선), 사움(Sawm)(라마단 기간의 단식), 그리고 하지(Hajj)(메카 순례).[137] 이들은 하디스 작품, 특히 사히 알-부하리(Sahih Al-Bukhari)와 사히 무슬림(Sahih Muslim)에서 파생된다. 5가지 기둥은 쿠란에 직접 언급되어 있지 않다.
믿음은 칼람에 따라 다르다. 수니파와 아흐마디야의 예정론 개념은 카드르(Qadr) (운명론)이며,[138] 시아파의 예정론 개념은 아달라(Adalah) (신의 정의)이다. 수피(Sufi)의 비밀주의적 관점에서 우주는 오직 신의 기쁨을 위해 존재한다. 창조는 알라가 가장 큰 상인 거대한 게임이다.
삶의 의미에 대한 수피의 견해는 "나는 (신) 숨겨진 보물이었고 알려지기를 사랑했다. 그러므로 나는 알려지기 위해 창조를 창조했다."라고 말하는 하디스 쿠드시에서 비롯된다. 이 관점에 대한 가능한 해석은 개인의 삶의 의미는 하나님의 본성을 아는 것이고, 모든 창조의 목적은 그 본성을 드러내고 궁극적인 보물, 즉 하나님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하디스는 바하이 신앙의 압두'ㄹ-바하('Abdu'l-Bahá)와 같은 사람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진술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며,[139] 이븐 아라비(Ibn Arabi)의 푸수스 알-히캄에 언급되어 있다.[140]
6. 1. 4. 바하이 신앙
바하이 신앙은 인류의 단결을 강조한다.[141] 바하이교 신자들에게 삶의 목적은 영적 성장과 인류 봉사에 초점을 맞춘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영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이 물질 세계에서의 사람들의 삶은 신성한 자질과 덕성을 성장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며, 예언자들은 이를 돕기 위해 신에 의해 보내졌다.[142][143]6. 2. 남아시아 종교
초기 불교에서는 사성제를 제시하여, 인생의 기쁨과 슬픔(고, 두카)을 갈애의 종식으로 소멸시키는 것을 수행한다(멸제).[310] 인생 속에서 기쁨과 슬픔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의 원인 중 하나는 촉 (phassa)에서 비롯되는 것에 대한 집착이다.[311] 그것들은 모두 상카라 (영속적이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312]힌두교에서 삶의 목적은 다르마 (도덕, 윤리), Artha|아르타영어 (부, 재산, 생계), 카마 (욕망, 성욕, 열정), 모크샤 (해탈, 윤회로부터의 해방)이다.[313][314] 이 4가지 목표는 푸루샤르타(Puruṣārtha)라고 불린다.[315]
자이나교와 불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고.
6. 2. 1. 힌두교
힌두교는 다양한 믿음과 전통을 포괄하는 종교 범주이다. 힌두교는 별도의 종교로 명명되기 전부터 오랫동안 의미 있는 삶을 표현하는 방식이었으므로, 힌두교 교리는 보충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띠며, 일반적으로 배타적이지 않고 암시적이며 내용 면에서 관대하다.[144] 대부분의 힌두교도들은 아트만 (영혼, 정신) - 즉, 사람의 진정한 '자아' - 이 영원하다고 믿는다.[145] 이는 부분적으로 힌두교에서 영적 성장이 여러 생애에 걸쳐 이루어진다고 믿고, 목표가 개인의 발달 상태에 부합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삶에는 네 가지 가능한 목표가 있는데, 이를 '푸루샤르타'라고 한다 (가장 낮은 것부터 가장 높은 것 순):순서 | 목표 | 설명 |
---|---|---|
(i) | 카마 | 욕망, 갈망, 사랑 및 감각적 쾌락 |
(ii) | 아르타 | 부, 번영, 영광 |
(iii) | 다르마 | 정의, 의무, 도덕, 미덕, 윤리, 여기에는 아힘사 (무폭력) 및 사트야 (진실) 와 같은 개념이 포함 |
(iv) | 목샤 | 해탈, 즉 윤회, 환생의 순환에서 벗어남 |
[146][147][148]
힌두교의 모든 학파에서 삶의 의미는 업 (원인적 행위), 윤회 (탄생과 재탄생의 순환), 목샤 (해탈)의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 존재는 아트만 (서구의 영혼 개념과 유사)이 수많은 생애를 거쳐 진행되며, 궁극적으로 업으로부터 해방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삶의 구체적인 목표는 일반적으로 더 넓은 요가 (수행) 또는 다르마 (올바른 삶)에 포함되며, 이는 더 유리한 환생을 만들기 위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현생에서도 긍정적인 행위이다. 전통적인 힌두교 학파는 이쉬바라 (개인적 또는 선택된 신)의 화신인 데바를 숭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데바는 영적 개선의 한 형태로, 동일시되어야 할 이상적인 형태로 여겨진다.
간단히 말해, 목표는 자신에 대한 근본적인 진실을 깨닫는 것이다. 이 생각은 마하바키야 ("타트 트밤 아시" (너는 그것이다), "아함 브라흐마스미", "프라즈냐남 브라흐마" 및 "아얌 아트마 브라흐마" (이 아트만이 브라만이다))에서 전달된다.
힌두교에서 삶의 목적은 다르마 (도덕, 윤리), Artha|아르타영어 (부, 재산, 생계), 카마 (욕망, 성욕, 열정), 모크샤 (해탈, 윤회로부터의 해방)이다.[313][314] 이 4가지 목표는 푸루샤르타(Puruṣārtha)라고 불린다.[315]
6. 2. 2. 자이나교
자이나교는 고대 인도에서 기원한 종교로, 그 윤리 체계는 무엇보다도 자기 훈련을 강조한다. 고행적인 지나의 가르침을 따름으로써, 인간은 깨달음(완전한 지식)을 얻는다. 자이나교는 우주를 생물과 무생물로 나누며, 생물이 무생물에 집착할 때만 고통이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행복은 자기 정복과 외부 대상으로부터의 자유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삶의 의미는 육신을 사용하여 자기 실현과 행복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155]자이나교 신자들은 모든 인간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며, 모든 생명체는 영원한 영혼, 즉 ''지바''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또한 모든 영혼은 해탈하여 모크샤를 얻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등하다고 믿는다. 자이나교의 업의 관점에 따르면 모든 행동, 말, 생각은 영혼에 영향을 미친다.
자이나교는 아힘사(''아힌사'')를 엄격하게 준수하는데, 이는 채식주의를 넘어선 비폭력의 한 형태이다. 자이나교 신자들은 불필요한 잔혹 행위로 얻은 음식을 거부하며, 현대 낙농장의 폭력성 때문에 비건과 유사한 생활 방식을 실천하는 사람들도 많다. 다른 이들은 먹는 식물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식단에서 뿌리 채소를 제외하기도 한다.[156]
6. 2. 3. 불교
불교에서는 삶의 불행과 행복의 원인을 찾고, 그 원인을 제거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예를 들어, 고통의 원인 중 하나는 물질적이거나 비물질적인 대상에 대한 건강하지 못한 집착이다.[311] 이러한 번뇌를 없애고 진정한 깨우침을 얻는 열반에 이르는 여러 단계의 수행 과정이 있다. 열반은 고통과 환생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초기 불교에서는 사성제를 통해 인생의 기쁨과 슬픔(두카)을 갈애의 종식을 통해 없애는 것을 수행한다(멸제).[310] 즉, 인생에서 기쁨과 슬픔의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통의 원인 중 하나는 촉에서 비롯되는 것에 대한 집착인데,[311] 그 이유는 그것들이 모두 상카라 (영속적이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312]
담마파다에서는 "다른 사람의 목적을 위해 자신의 임무를 버려서는 안 되며, 자신이 해야 할 일에 전념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Attadatthaṃ paratthena bahunā'pi na hāpaye Attadattham bhiññāya sadatthapasuto siyā.|비록 다른 사람에게 아무리 중요할지라도, 다른 사람의 목적을 위해 자신의 임무를 버려서는 안 된다.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숙지하고, 자신의 임무에 전념하라.sa
숫타니파타에서는 "급류처럼 흐르는 갈애의 흐름을 완전히 고갈시키고 끊어버린 수행승은, '현세'도 '내세'도 함께 버린다. ── 뱀이 낡은 껍질을 벗어버리듯이."라고 가르친다.
6. 2. 4. 시크교
시크교 신자들은 10명의 시크교 구루(깨달은 지도자)의 가르침과, 다양한 사회 경제적, 종교적 배경을 가진 많은 철학자들의 선별된 작품을 포함하는 성경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의 가르침을 따른다.시크교 구루들은 다양한 영적 길을 따르면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며, 시크교가 구원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한다. "주님은 모든 마음속에 계시며, 모든 마음은 그분께 도달하는 고유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160] 시크교인들은 모든 사람이 신 앞에서 동등하게 중요하다고 믿는다.[161] 이들은 지식 추구와 함께 그들의 도덕적, 영적 가치를 조화시키며, 평등과 긍정적인 행동의 삶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62]
시크교의 주요 특징은 신에 대한 비-의인화된 개념으로, 신을 우주 그 자체로 해석할 수 있을 정도(범신론)이다. 따라서 시크교는 삶을 이 신을 이해하고 각 개인에게 내재된 신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로 본다. 신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것이지만,[163] 나나크는 신을 완전히 알 수 없는 존재로 묘사하지 않았으며, 신은 인간의 "내면의 눈" 또는 "마음"에서 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자들은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명상을 해야 하며, 시크교도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님에 대한 사랑 속에서 자아를 완전히 잃고 마침내 전능하신 창조주와 합일되는 것이다. 나나크는 명상을 통해 계시를 강조했는데, 이는 명상의 엄격한 적용이 신과 인간 사이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163]
6. 3. 동아시아 종교
동아시아의 여러 종교는 삶의 의미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시한다.도교는 모든 존재가 자기 수양과 자기 실현을 통해 우주의 '하나됨'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도교 신봉자들은 현세적 존재의 본질을 깨닫고 궁극적인 진리를 이해하며 조화롭게 따라야 한다. 도교는 내부 성찰을 통해 삶의 이유를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164]
신토는 일본의 토착 종교로, "카미의 길"을 의미한다. 신토는 삶을 신성한 영혼이 자기 발전을 통해 정화하는 영역으로 보며, 죽음은 오염으로 여긴다. 신성한 영혼이 객관적인 개성을 보존하여 영원히 연장되기를 바란다.[165]
천도교, 덴리교, 까오다이교, 생장의 집과 같은 신흥 종교는 수백만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자 삶의 의미에 대한 독특한 설명을 제공한다. 덴리교는 자신과 타인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수행을 통해 즐거운 삶을 살도록 가르친다.[68]
6. 3. 1. 도교
도교의 우주론은 모든 지각 있는 존재와 모든 사람이 자기 수양과 자기 실현을 통해 '근원'으로 돌아가거나 우주의 '하나됨'에 다시 합류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모든 신봉자는 궁극적인 진리를 이해하고 조화롭게 따라야 한다.[164]도교는 모든 만물이 원래 태극과 도에서 유래했다고 믿으며, 신봉자들의 삶의 의미는 현세적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것이다. "오직 내면 성찰만이 우리 삶의 가장 내밀한 이유를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단순한 답은 우리 안에 있다."[164]
6. 3. 2. 신토
신토는 일본의 토착 종교이다. 신토는 "카미의 길"을 의미하지만, 더 구체적으로는 "카미가 자신의 길을 선택하는 신성한 교차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신성한" 교차로는 모든 우주가 신성한 영혼임을 나타낸다.[165]신토는 죽음이 아닌 삶을 살아가기를 원하며, 죽음을 오염으로 여긴다. 반면 삶은 신성한 영혼이 올바른 자기 발전을 통해 스스로를 정화하려는 영역으로 간주한다. 신토에서 개별 인간의 삶은 신성한 영혼이 자신의 객관적인 개성을 가장 높은 형태로 보존하는 데 성공하는 것으로, 영원히 지구상에서 연장되기를 바란다. 신토는 세상의 악의 존재에 대해, 인간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으면서 그렇게 하기를 거부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신에게 부과함으로써 신성을 훼손하지 않는다. 삶의 고통은 객관적인 세계에서 발전을 추구하는 신성한 영혼의 고통으로 본다.[165]
6. 3. 3. 신흥 종교
동아시아에는 천도교, 덴리교, 까오다이교, 생장의 집 등 수백만 명의 신자를 거느린 여러 신흥 종교가 있다. 신흥 종교는 일반적으로 삶의 의미에 대한 독특한 설명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덴리교에서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수행에 참여함으로써 즐거운 삶을 살아갈 것을 기대한다.[68]6. 4. 이란 종교
생의 의미에 대한 종교적 관점은 인간이 정의하지 않은 암묵적인 목적의 관점에서 삶을 설명하는 이념들이다. 세계의 주요 종교 및 세속 단체들이 서명한 자비 헌장에 따르면, 종교의 핵심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자신이 대우받고 싶은 대로 대하라'는 황금률이다. 헌장 설립자인 캐런 암스트롱은 고대 랍비 힐렐의 말을 인용했는데, 힐렐은 '나머지는 해설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해설의 중요성을 줄이려는 것이 아니며, 암스트롱은 그 연구, 해석 및 의례가 종교인들이 황금률을 내면화하고 실천하는 수단이라고 여긴다.6. 4. 1. 조로아스터교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은 모든 숭배가 궁극적으로 향하는 초월적인 신 아후라 마즈다에 의해 창조된 우주를 믿는다. 아후라 마즈다의 창조물은 진실과 질서인 ''아샤''이며, 이는 허위와 무질서인 그 반대인 ''드루지''와 대립한다.[166]인류는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도덕적 선택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사람들은 자유 의지를 사용함으로써 좋은 생각, 좋은 말, 좋은 행동을 통해 행복을 보장하고 혼돈을 막기 위해 보편적인 갈등에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
7. 대중적 견해
웡은 개인적 의미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서, 일관성 및 목적의 인식, 가치 있는 목표의 추구 및 달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취감"으로 정의한다.[68] 2016년, Martela와 Steger는 의미를 일관성, 목적, 중요성으로 정의했다.[69]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4가지 구성 요소(목적(Purpose), 이해(Understanding), 책임(Responsibility), 즐거움(Enjoyment), PURE)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 목적(Purpose): 가치 있는 목적 또는 중요한 삶의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 이해(Understanding): 자신이 누구인지,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삶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 책임(Responsibility):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종류와 가치 있고 중요한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결정할 책임이 있으며, 오직 자신만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
- 즐거움(Enjoyment):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때 비로소 깊은 중요성과 만족감을 즐길 것이다.
따라서 중요성은 별도의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의 모든 차원에 스며든다.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태디어스 메츠, Daniel Haybron 등 철학자들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71]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는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며, 대부분은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맥락에서 질문한다.[15] 일반적인 답변들은 다음과 같다.
삶의 의미에 대한 일반적인 답변 |
---|
8. 대중 문화
몬티 파이튼의 삶의 의미에는 마이클 페일린이 연기하는 캐릭터가 "삶의 의미"가 적힌 봉투를 받아 열어 젖히며 관객들에게 "글쎄요, 별거 없어요. 어,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지방 섭취를 피하고, 가끔 좋은 책을 읽고, 산책을 하고, 모든 신념과 국가의 사람들과 평화롭게 조화롭게 함께 살도록 노력하세요."라고 읽어주는 장면이 나온다.[238][239][240]
더글러스 애덤스의 책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서는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거대한 슈퍼컴퓨터인 딥 소트(Deep Thought)가 750만 년 동안 계산한 결과, "42"라는 답이 제시된다. 제작자들이 이 답에 혼란과 분노를 느끼자, 딥 소트는 "문제가 너무 광범위했으며, 실제로 질문이 무엇인지 아무도 묻지 않았다"고 설명한다.[241][8][242][243][244] 딥 소트는 궁극적인 질문을 계산하기 위해 또 다른 컴퓨터인 지구를 만든다. 이후 포드와 아서가 지구 컴퓨터가 제시했을 질문("6에 9를 곱하면 무엇을 얻는가")을 추출하지만,[245] 골가프린찬스의 예기치 않은 도착으로 프로그램이 망가져,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실제 궁극적인 질문은 미스터리로 남는다.
《관심》 시즌 5 에피소드 13에서, 기계라는 인공지능은 해롤드 핀치에게 삶의 비밀은 "모두가 혼자 죽는다. 그러나 당신이 누군가에게 의미가 있거나, 누군가를 돕거나 사랑한다면, 단 한 사람이라도 당신을 기억한다면, 아마 당신은 정말로 죽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문구는 마지막을 강조하기 위해 쇼의 마지막에 다시 반복된다.[246]
9. 관련 개념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은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모든 것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우리는 누구인가?"[6][7][8],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여기에 있는가?"[9][10][11], "생명의 기원은 무엇인가?"[12],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자신의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13][15][16], "삶에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인가?"[17]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어 왔다. 이러한 질문들은 과학, 철학, 신학, 영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답변을 낳았다.
긍정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만족도,[20] 활동에 대한 완전한 몰입,[21] 개인적인 강점을 활용한 기여,[22] 자신보다 더 큰 것에 대한 투자[23] 등 경험적 요인을 연구한다. 몰입 경험에 대한 연구는 어려운 과제를 숙달할 때 의미와 성취감을 느끼며, 이는 과제 선택 자체가 아니라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준다.[21]
신경 과학은 변연계와 복측 피개 영역을 통한 보상 시스템, 쾌락, 동기 부여를 설명한다. 삶의 의미가 쾌락 극대화라면, 이를 위한 행동 규범 예측이 가능하다. 도덕 과학은 모든 의식 있는 존재의 번영을 위한 경험적 탐구를 옹호한다.
실험 철학 및 신경 윤리 연구는 전차 문제와 같은 통제된 시나리오에서 인간의 윤리적 결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윤리적 판단의 보편성과 문화 특정성을 보여준다. 인지 과학은 보수적 윤리와 진보적 윤리의 차이를 가족 생활의 은유(강한 아버지 대 양육적인 어머니)를 통해 이론화한다.
신경신학은 종교적 경험의 신경 상관 관계와 메커니즘을 찾으려 하며, 인간의 뇌가 그러한 경험을 위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 종교적 믿음과 행복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상반된다.[24][25]
사회학은 가치 이론, 규범, 아노미 등을 통해 사회적 수준에서 가치를 연구한다. 공포 관리 이론은 인간의 의미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며, 가치는 죽음에 대한 정신적 상기를 피할 때 선택된다고 주장한다.
우울 현실주의는 우울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사람에게서 과장된 긍정성이 나타난다고 가정하며, 데이비드 베나타는 긍정적 경험에 더 많은 비중이 주어져 삶에 대한 지나치게 낙관적인 관점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삶의 의미는 더 나은 신체 건강 결과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더 큰 의미는 알츠하이머병,[26][27] 심장 마비,[28] 뇌졸중 위험 감소,[29] 수명 연장과 관련이 있다.[30] 인지 기능 손상 초기 단계에서 삶의 목적이 감소한다는 증거도 있다.[31]
2014년, 영국의 국민 보건 서비스는 의미 있는 삶을 기반으로 한 정신적 웰빙을 위한 5단계 계획을 권장했다.[32]
레커와 웡은 개인적 의미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서, 일관성 및 목적의 인식, 가치 있는 목표의 추구 및 달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취감"으로 정의한다.[68] 2016년, 마르텔라와 스테거는 의미를 일관성, 목적, 중요성으로 정의했다.[69] 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4가지 구성 요소(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PURE))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태디어스 메츠, 대니얼 헤이브런 등의 철학자들은 객관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의 의미가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71]
9. 1.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는 삶의 의미가 부족하다는 느낌 때문에 발생하는 심리적 위기이다.[247][253][248] 이러한 위기는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강한 욕망과 세상의 무의미함 사이의 내적 갈등으로 이어진다. 실존주의에서는 이를 부조리라고 부르며, "의미를 필요로 하는 존재가 의미 없는 우주에서 어떻게 의미를 찾는가?"라는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249][250][251][252]실존적 위기는 스트레스, 불안, 절망, 우울증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252][253][248]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은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 개발을 통해 삶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252][254]
치료사들은 환자들이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돕는 방식으로 실존적 위기를 치료한다. 이때 개인적 의미와 우주적 의미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252][255] 우주적 의미는 세상 전체의 목적과 관련되며, 종교적 설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252][256][257] 개인적 의미는 개인이 자신에게 중요한 것을 깨닫고, 가족이나 직업에 헌신하는 등 세속적인 방식으로 찾을 수 있다.[252][255][258] 이러한 접근 방식은 우주적 의미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더라도 실존적 위기를 완화할 수 있다.[252][248][256]
삶의 의미는 무엇이 중요성을 가지는가와 밀접하게 관련된다.[259][260]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은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 더 높은 목적에 헌신하는 것과 관련되기 때문이다.[259][260] 그러나 일부 이론가들은 삶의 의미 추구가 자기 초월적인 반면, 중요성을 갈망하는 것은 이기주의적이거나 자기애적인 목표로 보기도 한다.[259]
중요성은 세상에 영향을 미치거나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하며, 그 변화가 세상의 가치, 특히 행복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261][262][263][264][265] 그러나 중요성은 목적과 달리 우연이나 의도하지 않게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연한 행동이 나비 효과를 일으켜 큰 중요성을 얻을 수 있지만, 이것이 삶의 의미나 목적을 얻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259]
삶의 의미 추구는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일로 여겨지지만, 중요성은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259][262] 알렉산더 플레밍의 페니실린 발견은 긍정적인 중요성을, 아돌프 히틀러의 정책은 부정적인 중요성을 가진 예시이다.[266][261]
모로토미 요시히코에 따르면, 중년의 위기나 노년기에 "남은 인생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직면하게 된다. 가미야 미에코는 노년기 비애의 대부분이 자신의 존재 가치에 대한 확신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노인에게 역할을 분담하고 애정 관계를 통해 존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장한다.
가미야는 난치병, 사별, 실직 등으로 생존 목표를 상실하면 깊은 절망감을 느끼게 되며,[273] 이는 카를 야스퍼스 등이 말하는 "발판"이나 "입장"과 같이 인간의 근원적인 감각에 뿌리내린 표현이라고 하였다.[274][275][276] 이러한 가치관 붕괴는 개념뿐만 아니라 감정, 욕구, 지각 등 생체험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277][278]
새로운 생존 목표는 자기 자신의 본질에 부합해야 하며, 이를 위한 결단과 선택은 신경증, '가짜 삶', 자살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가미야는 말한다.[279][280] 신비주의자나 실연 후 수도원을 선택하는 사람, 고갱처럼 직업을 버리고 회화에 전념하는 경우가 그 예시이다.[281][282]
결국, 내면에 여러 가능성을 가진 사람은 하나의 삶의 보람을 잃어도 다른 생존 목표를 찾아 강하게 살아갈 수 있으며, 소박한 종교심을 가진 사람은 새로운 환경에서도 삶의 보람을 찾을 수 있다고 가미야는 말한다.[283][284] 심장 발작이나 트라우마를 극복한 사람이 인생의 새로운 목적을 찾는 경우도 많다.[285]

9. 2. 중요성
레커와 웡은 개인적 의미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서, 일관성 및 목적의 인식, 가치 있는 목표의 추구 및 달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취감"으로 정의한다.[68] 2016년, 마르텔라와 스테거는 의미를 일관성, 목적, 중요성으로 정의했다.[69]웡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4가지 구성 요소(목적, 이해, 책임, 즐거움(PURE)) 해결책을 제시했다.[70][71]
# 가치 있는 ''목적'' 또는 중요한 삶의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 자신이 누구인지,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삶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종류와 가치 있고 중요한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결정할 ''책임''이 있으며, 오직 자신만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
#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때 비로소 깊은 중요성과 만족감을 ''즐길'' 것이다.
따라서 중요성은 별도의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의 모든 차원에 스며든다.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를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으로 간주하지만, 태디어스 메츠, 대니얼 헤이브런 등의 철학자들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도 있다고 제안한다.[72][73] 웡은 삶이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주관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의미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71]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은 무엇이 중요성을 가지는가, 또는 무엇이 중요한가에 대한 질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은 종종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지는 어떤 종류의 더 높은 목적에 자신을 헌신하는 것과 관련되기 때문이다.[259][260] 일부 이론가들은 두 개념이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하는데,[259][262] 삶의 의미 추구는 자기 초월과 관련된 칭찬할 만한 목표로 여겨지는 반면, 중요성을 갈망하는 것은 이기주의적 또는 자기애적인 목표로 보이기 때문이다.[259]
다양한 이론가들은 중요해진다는 것은 세상에 영향을 미치거나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어떤 이들은 인과적 영향이 충분히 크면 된다고 하고, 다른 이들은 변화가 세상의 가치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한다.[261][262][263] 이는 행복과 관련하여 해석되기도 하는데, 어떤 것의 중요성 정도는 그것이 지각 능력이 있는 개체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264][262][265] 그러나 목적과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중요성에 필요하지 않으며, 어떤 것들은 더 높은 목표 없이 우연히 또는 의도하지 않게 중요할 수 있다.
삶의 의미 추구 및 실현은 대부분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일로 여겨지지만, 중요성은 관련된 가치 차이의 유형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259][262] 알렉산더 플레밍의 페니실린 발견은 많은 사람들의 세균 감염 치료에 도움을 주었기에 긍정적인 의미에서 중요했고,[266] 아돌프 히틀러의 정책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초래했기에 부정적인 의미에서 중요했다.[261]
10. 한국 사회와 삶의 의미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겪으면서 개인의 삶의 의미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가치관이 약화되고 개인주의가 확산되면서, 삶의 의미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폴 T. P. 웡은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4가지 요소로 목적(Purpose), 이해(Understanding), 책임(Responsibility), 즐거움(Enjoyment)을 제시했다.(PURE)[70][71]
- 목적: 가치 있는 삶의 목표를 선택하는 것이다.
- 이해: 자신이 누구이며, 삶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다.
- 책임: 자신이 살고 싶은 삶과 가치 있는 목표를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다.
- 즐거움: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가치 있는 목표를 추구할 때 깊은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주관적인 느낌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규범 윤리 기준에 따라 개인의 목표 추구와 삶 전체가 의미를 가지는지 여부와도 관련된다.[71]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자주 제기된다.[15] 이에 대한 보편적인 답변은 다음과 같다.
- 꿈을 좇고, 자신의 꿈을 사는 것.[167][184]
- 시간을 가치 있게 사용하고, 중요한 존재가 되는 것.[210]
- 자신의 잠재력을 확장하고, 최고의 자신이 되는 것.[184][169]
- 행복을 추구하고 번성하는 것.[170][8]
- 진실한 인간이 되고, 자신의 모든 것을 쏟을 수 있는 일을 하는 것.[171][210]
- 운명에 따르거나 복종하는 것.[189][232][172]
- 에우다이모니아를 달성하는 것.[173]
- 진화하고, 자기 보존하며, 불멸을 추구하는 것.[174][176][177]
- 많은 후손을 낳아 유전자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것.[179]
- 세상을 더 넓게 인식하고, 삶에서 가능한 많은 것을 배우는 것.[184][186]
- 지혜와 지식을 추구하고, 두려움에 맞서 삶의 교훈을 받아들이는 것.[188][189]
- 삶의 의미 또는 목적을 찾고, 현실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190][191][193]
이 외에도 종교적 가르침을 따르거나, 사랑을 실천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며, 권력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0. 1. 세대 갈등
다음은 삶의 의미와 관련된 "세대 갈등" 섹션에서 언급될 수 있는 내용들이다.- 세상을 발견한 때보다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떠나는 것.[167]
- 모든 상황을 발견한 때보다 더 나은 상태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167]
- 타인에게 이익을 주는 것.[11]
-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주는 것.[167]
- 고통을 종식시키는 것.[194][195][196]
- 평등을 창조하는 것.[197][198][199]
- 억압에 도전하는 것.[200]
- 부의 재분배를 하는 것.[201][202]
- 관대한 사람이 되는 것.[203][204]
- 타인의 안녕과 정신에 기여하는 것.[205][206]
- 타인을 돕는 것,[8][204] 서로 돕는 것.[207]
- 이곳에서 여정을 하는 동안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잡는 것.[167]
10. 2. 경쟁 사회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은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맥락에서 많이 제기된다.[15] 경쟁 사회와 관련된 삶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잠재력을 확장하고, 항상 원했던 사람이 되며, 최고의 자신이 되는 것.[184][168][169]
- 중요한 존재가 되고, 무언가를 대변하며, 자신이 살아왔다는 사실 자체가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210]
- 권력을 추구하고 우월해지려는 것.[84] [230]
- 세상을 지배하거나, 세상을 알고 지배하는 것.[232][233][234]
이러한 답변들은 경쟁 사회에서 성공과 성취를 중시하는 가치관을 반영한다. 개인은 경쟁에서 이기고, 타인보다 우위에 서고, 더 많은 권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며,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찾으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경쟁에서 뒤처지거나 실패한 사람들에게는 삶의 의미를 찾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10. 3. 공동체 의식
- 세상을 발견했을 때보다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떠나는 것.[167]
- 모든 상황을 발견했을 때보다 더 나은 상태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167]
- 타인에게 이익을 주는 것.[11]
-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주는 것.[167]
- 고통을 종식시키는 것.[194][195][196]
- 평등을 창조하는 것.[197][198][199]
- 억압에 도전하는 것.[200]
- 부의 재분배를 하는 것.[201][202]
- 관대한 사람이 되는 것.[203][204]
- 타인의 안녕과 정신에 기여하는 것.[205][206]
- 타인을 돕는 것,[8][204] 서로 돕는 것.[207]
- 이곳에서 여정을 하는 동안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잡는 것.[167]
- 용서하는 것.[167]
- 인간의 결점을 받아들이고 용서하는 것.[208][209]
- 다른 사람의 눈물과 고통에 감동받고, 사랑과 연민으로 그들을 돕는 것.[167]
- 가능한 최선을 다해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167]
참조
[1]
웹사이트
Meaning of Life, The: Early Continental and Analytic Perspectives
https://iep.utm.edu/[...]
2022-12-28
[2]
웹사이트
Sartor Resartus by Thomas Carlyle.
https://www.gutenber[...]
2022-12-28
[3]
웹사이트
The Original Meaning of Life
https://philosophyno[...]
2022-12-28
[4]
웹사이트
How meaning of life was invented: Thomas Carlyle on how to overcome an existential crisis
https://frankmartela[...]
2022-12-28
[5]
웹사이트
The Essays of Arthur Schopenhauer: on Human Nature., by Arthur Schopenhauer
https://www.gutenber[...]
2022-12-28
[6]
서적
Philosophical Propositions: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Routledge
1998
[7]
서적
Philosophical Explan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8]
서적
What's It All About?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Life
https://archive.org/[...]
Granta Books
[9]
서적
Why Are We Here?: Everyday Questions and the Christian Lif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8
[10]
서적
Why Are We Here?: The Scientific Answer to this Age-old Question (that you don't need to be a scientist to understand)
Lighthouse Pub
1996
[11]
서적
Words of Wisdom: Beginning Buddhism
https://archive.org/[...]
Dharma Realm Buddhist Association
2003
[12]
서적
The Fifth Miracle: The Search for the Origin and Meaning of Life
https://www.nytimes.[...]
Simon & Schuster
2016-09-17
[13]
서적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Well-Being
SLACK Incorporated
2005
[14]
서적
The Physics of Consciousness: The Quantum Mind and the Meaning of Life
Perseus Books
2000
[15]
웹사이트
Question of the Month: What Is The Meaning of Life?
http://www.philosoph[...]
Issue 59
2007-07-26
[16]
서적
What Are You Doing With Your Life?
Krishnamurti Foundation of America
2001
[17]
웹사이트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http://www.ed.uiuc.e[...]
University of Helsinki
2007-07-26
[18]
서적
Life, Death, and Subjectivity: Moral Sources in Bioethics
Rodopi
2004
[19]
서적
Foundations of Ethics: An Anthology
Blackwell Publishing
2007
[20]
간행물
Subjective Well-Being Is Essential to Well-Being.
Psychological Inquiry, Lawrence Erlbaum
1998
[21]
서적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1990
[22]
웹사이트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http://www.meaninga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3]
서적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2002
[24]
논문
Faith and Happiness in China: Roles of Religious Identity, Beliefs, and Practice
https://doi.org/10.1[...]
2017-05-01
[25]
논문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Belief and Happines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ttps://doi.org/10.1[...]
2017-10-01
[26]
논문
Sense of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risk of incident dementia: New data and meta-analysis.
https://jamanetwork.[...]
2023-02
[27]
간행물
Effect of a purpose in life on risk of incident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0
[28]
간행물
Purpose in life and reduc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older US adul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 two-year follow-up.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null
[29]
간행물
Purpose in life and reduced incidence of stroke in older adults: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3
[30]
간행물
Purpose in lif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Psychosomatic Medicine
2009
[31]
논문
Change in Purpose in Life Before and After Onset of Cognitive Impairment
https://jamanetwork.[...]
2023-09-13
[32]
웹사이트
Five steps to mental wellbeing
http://www.nhs.uk/Co[...]
2017-12-21
[33]
문서
On the Origin of Species
1859
[34]
서적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35]
서적
River out of Eden
Basic Books
1995
[36]
서적
The God Delusion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2006
[37]
웹사이트
Complete Archive for Astrobiology Press Release, News Exclusive, News Briefs
http://www.astrobio.[...]
[38]
웹사이트
Defining Life, Explaining Emergence
http://www.nbi.dk/~e[...]
2008-11-02
[39]
서적
The Book of Real Answers to Everything!
2012-11-19
[40]
서적
What is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4
[41]
서적
What is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42]
서적
Gaia – a New Look at Life on Ear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3]
서적
Information Theory and Evolution
World Scientific
2003
[44]
Youtube
The Physics of Life (ft. It's Okay to be Smart & PBS Eons!) Space Time
https://www.youtube.[...]
PBS Space Time
2018-04-11
[45]
웹사이트
How to Define Life
http://www2.una.edu/[...]
The University of North Alabama
2008-10-17
[46]
간행물
The "strong" RNA world hypothesis: fifty years old
2013-04
[47]
간행물
The RNA worlds in context
2012-07
[48]
간행물
The Darwinian Dynamic
1983-06
[49]
서적
Darwinian Dynamics: Evolutionary Transitions in Fitness and Individua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50]
서적
Cosmology and Controvers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51]
서적
Our Cosmic Future: Humanity's Fate in the Unive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2]
서적
What Caused the Big Bang?
Rodopi
2001
[53]
서적
Radial motion into an Einstein-Rosen bridge, Physics Letters B
2010-04
[54]
서적
The Debated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Versus Ethnography
https://archive.org/[...]
Berg Publishers
2001
[55]
서적
Consciousness: Creeping Up on the Hard Proble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6]
서적
A Neurocomputational Perspective: The Nature of Mind and the Structure of Science
https://archive.org/[...]
MIT Press
1989
[57]
서적
Consciousness Explained
Little, Brown and Co.
1991
[58]
서적
Science and Ultimate Reality: Quantum Theory, Cosmology and Complex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9]
서적
Multidimensional Mind: Remote Viewing in Hyperspace
North Atlantic Books
1999
[60]
간행물
Synchronous Firing and Its Influence on the Brain's Electromagnetic Field: Evidence for an Electromagnetic Field Theory of Consciousness
http://www.mindcontr[...]
2002
[61]
서적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ime: From Physics to Psycho(patho)logy
Springer
2000
[62]
서적
Beyond the Bleep: The Definitive Unauthorized Guide to What the Bleep Do We Know!?
https://archive.org/[...]
The Disinformation Company
2005
[63]
서적
The Rainbow and the Worm: The Physics of Organisms
https://archive.org/[...]
World Scientific
1998
[64]
간행물
Methodological Criticisms of Parapsychology, Advances in Parapsychological Research 4
http://www.pesquisap[...]
PesquisaPSI
2007-07-30
[65]
간행물
Criticism in Experimental Parapsychology, Advances in Parapsychological Research 5
http://www.pesquisap[...]
PesquisaPSI
2007-07-30
[66]
간행물
Exploring possible sender-to-experimenter acoustic leakage in the PRL autoganzfeld experiments – Psychophysical Research Laboratories
http://findarticles.[...]
2007-07-30
[67]
웹사이트
The Invisible Gaze: Three Attempts to Replicate Sheldrake's Staring Effects
http://www.parapsych[...]
2007-07-30
[68]
문서
Aging as an individual process: Towards a theory of personal meaning
Springer
1988
[69]
문서
The three meanings of meaning in life: Distinguishing coherence, purpose, and significance
2016
[70]
문서
Positive psychology 2.0: Towards a balanced interactive model of the good life
2011
[71]
논문
From Logotherapy to Meaning-Centered Counseling and Therapy
Routledge
2012
[72]
서적
Meaning in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Happines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4]
간행물
Cynicism
Routledge
[75]
간행물
The Socratic Tradition: Diogenes, Crates, and Hellenistic Eth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
웹사이트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77]
웹사이트
The Future of Hardcore Hedonism
http://www.hedonism.[...]
2020-07-30
[78]
문서
Letter to Menoeceus
[79]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mon and Schuster
1946
[80]
웹사이트
Meaning of Life, The: Early Continental and Analytic Perspectives
https://iep.utm.edu/[...]
2022-12-28
[81]
서적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2003
[82]
문서
On Liberty
Penguin Classics
[83]
서적
The Future of Values: 21st-Century Talks
Berghahn Books
2004
[84]
서적
The Affirmation of Life: Nietzsche on Overcoming Nihi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85]
문서
The Word of Nietzsche
[86]
문서
L'Etranger
1946
[87]
문서
The Myth of Sisyphus
1955
[88]
문서
hygiene
[89]
서적
The Meaning of Truth
Prometheus Books
1909
[90]
서적
The Philosophy of William James
Meiner Verlag
1976
[91]
웹사이트
Philosophy 446: Theistic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Life
http://www.webpages.[...]
2022-07-13
[92]
서적
Kierkegaard and the Treachery of Lo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93]
서적
Schopenhauer, Philosophy, and the Ar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94]
서적
Nietzsche's Affirmative Morality
Walter de Gruyter
1999
[95]
서적
The Sickness Unto Death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1
[96]
서적
The Sickness Unto Death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1
[97]
웹사이트
Humanist Manifesto I
http://www.americanh[...]
2007-07-26
[98]
웹사이트
Humanist Manifesto II
http://www.americanh[...]
2007-08-01
[99]
웹사이트
Humanist Manifesto III
http://www.americanh[...]
2007-08-01
[100]
웹사이트
A Secular Humanist Declaration
http://www.secularhu[...]
2007-08-01
[101]
웹사이트
Transhumanist Values
http://www.nickbostr[...]
2007-07-28
[102]
문서
Existential Psychotherapy
1980
[103]
문서
Existential therapy
[104]
서적
Good and Evil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05]
논문
Has the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Life any Meaning?
1981
[106]
서적
Moral Vision: An Introduction to Ethic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1988-08
[107]
간행물
Science and Ethics
http://www.solstice.[...]
1961
[108]
웹사이트
BLENDING AND METAPHOR
https://markturner.o[...]
2023-02-28
[109]
논문
Using Metaphor to Find Meaning in Life
2018-03
[110]
문서
"One Hundred Philosophers: A Guide to the World's Greatest Thinkers"
Peter J. King
[111]
문서
"Confucian Thought: Selfhood as Creative Transformation."
Tu, Wei-Ming.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5
[112]
문서
Exodus 19:6
Book of Exodus
[113]
문서
Maimonides' Confrontation with Mysticism
Menachem Kellner, Littman Library. Particularly the parable of the King's Palace in divine worship, in the Guide for the Perplexed
[114]
서적
Judaism: History, Belief, and Practice
Routledge
2003
[115]
서적
Heavenly Torah: As Refracted Through the Generation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5
[116]
서적
The Garden of Eden & the Struggle to Be Human: According to the Midrash Rabbah
Devora Publishing
2006
[117]
서적
Contemporary Views on the Holocaust
Springer
1983
[118]
문서
Kabbalah: A Very Short Introduction
Joseph Dan,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Early modern era: Safed spirituality"
[119]
문서
Habad intellectual Hasidic thought
source text Tanya (Judaism) I: 36, 49; secondary text Heaven on Earth, Faitel Levin, Kehot publications
[120]
웹사이트
The new Seven Wonders of the World
https://www.hindusta[...]
2007-07-08
[121]
문서
John 11:26
Gospel of John
[122]
문서
John 3:16–21; 2 Peter 3:9
[123]
문서
Bible
Acts 17:26–27, NKJV
[124]
웹사이트
9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The Westminster Confession
https://www.thegospe[...]
2021-03-25
[125]
웹사이트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ttp://www.creeds.ne[...]
2008-03-21
[126]
웹사이트
The Baltimore Catechism
http://www.sacred-te[...]
2008-06-12
[12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94
http://www.scborrome[...]
[128]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601
http://www.scborrome[...]
[129]
웹사이트
Gospel Principles
https://www.churchof[...]
2017-08-27
[130]
웹사이트
2 Nephi 2
https://www.churchof[...]
2022-07-14
[131]
웹사이트
Moses 6
https://www.churchof[...]
2022-07-14
[132]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138
https://www.churchof[...]
[133]
서적
Christian Humanism: The Compassionate Theology of a Jew Called Jesus
http://christianhuma[...]
2012
[134]
문서
qref 2, 4, b=y, qref 2, 285, b=y, qref 4, 136, b=y
[135]
문서
In most English translations of Qur'an 51:56 translates the last word to "worship", but any Arabic (and Urdu) speaking person can confirm that "ABADON" means to follow the Will of Allah (NOT worship). This is relevant because the Will of Allah is not just to worship HIM; to be just and good with humanity is equally important.
[136]
웹사이트
The Day of Judgement
http://iqra.net/Hadi[...]
2013-10-29
[137]
백과사전
Pillars of Islam
https://www.britanni[...]
2007-05-02
[138]
문서
hadith-usc
Muslim
[139]
웹사이트
Commentary on the Islamic Tradition "I Was a Hidden Treasure ..."
http://bahai-library[...]
2013-08-03
[140]
웹사이트
The Imprint of the Bezels of the Wisdom
http://www.ibnarabis[...]
2013-08-03
[141]
서적
"Bahaism."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7
[142]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the Bahá'í Faith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1999
[143]
웹사이트
{{-'}}The Purpose of Life' Baháʼí Topics An Information Resource of the Baháʼí International Community
https://web.archive.[...]
2009-09-13
[144]
서적
The new Penguin handbook of living religion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998
[145]
서적
Brahmanism and Hinduism: Or, Religious Thought and Life in India, as Based on the Veda and Other Sacred Books of the Hindus
https://books.google[...]
Adamant Media Corporation
2007-07-08
[146]
문서
[147]
문서
[148]
문서
[149]
서적
The Essentials of Hinduism: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World's Oldest Religion
https://archive.org/[...]
Viveka Press
1994
[150]
서적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Advaita Ashrama
1987
[151]
서적
A Popular Dictionary of Hinduism
https://archive.org/[...]
Curzon Press
1994
[152]
문서
[153]
서적
The Chaitanya Vaishnava Vedanta of Jiva Gosvami When Knowledge Meets Devotion
Routledge
2007
[154]
웹사이트
Tantric Literature And Gaudiya Vaishnavism
http://www.vnn.org/e[...]
[155]
서적
Jainism: The World of Conquerors.
Sussex Academic Press
1998
[156]
웹사이트
Viren, Jain
https://web.archive.[...]
RE Today
2007-06-14
[157]
웹사이트
The Four Noble Truths
http://www.thebigvie[...]
Thebigview.com
2009-11-06
[158]
웹사이트
"The Chief Characteristics and Doctrines of Mahayana Buddhism"
https://kinginstitut[...]
2015-02-17
[159]
웹사이트
A SEED IN AMITABHA'S HAND- Pure Land Buddhism's path to peace in this life and the next by Juan Hincapie Arana
https://www.academia[...]
2021-01-01
[160]
서적
Guru Tegh Bahadur
1971
[161]
서적
Modern World Religions: Sikhism
Harcourt Heinemann
2002
[162]
웹사이트
The Sikh Coalition
https://web.archive.[...]
2020-07-30
[163]
서적
World Religions: From Ancient History to the Present
Hamlyn Publishing Group Limited
1971
[164]
서적
Scholar Warrior: An Introduction to the Tao in Everyday Life
HarperCollins
1990
[165]
서적
The Meaning of Shinto
Trafford Publishing
2002
[166]
문서
[167]
서적
The Real Meaning of Life
https://archive.org/[...]
New World Library
2005
[168]
서적
Reinventing Yourself: How to Become the Person You've Always Wanted to Be
Career Press
2005
[169]
서적
The Rhythm of Life: Living Every Day with Passion and Purpos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5
[170]
간행물
What Makes You Happy?: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Criteria of Happiness Between Two Cultures
2000-06
[171]
서적
Autonomy and Intervention: Parentalism in the Caring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95
[172]
서적
Create Your Own Destiny!: Spiritual Path to Success
Avanty House
2003
[173]
서적
What is Good? The Search for the Best Way to Live''.''
Weidenfeld & Nicolson
2003
[174]
웹사이트
What Is the Purpose of Life? Why are we here? Here's a reasonable answer.
https://www.psycholo[...]
2022-11-05
[175]
웹사이트
Episode III: Relativism? A Jedi craves not these things
https://web.archive.[...]
2007-07-26
[176]
서적
New Skins for Old Wine
http://homepage.ntlw[...]
Universal Publishers
2007
[177]
웹사이트
Fantastic Voyage: Live Long Enough to Live Forever
http://www.fantastic[...]
2022-07-16
[178]
서적
How To Live Forever Or Die Trying: On The New Immortality
Simon & Schuster
2007
[179]
서적
The Purpose of Life
http://www.woodhillp[...]
Woodhill Publishing
2001
[180]
서적
Power, Sex, Suicide: Mitochondria and the Meaning of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81]
서적
Genetics and the Logic of Evolution
Wiley-IEEE
2004
[182]
서적
Chance in the House of Fate: A Natural History of Heredit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Books
2001
[183]
서적
Life Itself: Exploring the Realm of the Living Cell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84]
서적
Live Your Dreams... Let Reality Catch Up: NLP and Common Sense for Coaches, Managers and You
Renewal Technologies
2013
[185]
서적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86]
서적
Plato: Complete Works
https://archive.org/[...]
Hackett Publishing
1997
[187]
서적
Events That Changed the World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
Greenwood Press
2001
[188]
서적
The Meaning of Life: Buddhist Perspectives on Cause and Effect
Doubleday
1954
[189]
서적
Authenticity: Simple Strategies for Greater Meaning and Purpose at Work and at Home
Emmis Books
2004
[190]
서적
Tolstoy
https://archive.org/[...]
Routledge
1973
[191]
서적
The Seven Steps of Spiritual Intelligence: The Practical Pursuit of Purpose, Success and Happiness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4
[192]
서적
Moral Maturity: Measuring the Development of Sociomoral Reflection
https://archive.or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193]
서적
Real Answers to The Meaning of Life and Finding Happiness
iUniverse
2007
[194]
서적
Contesting Spirit: Nietzsche, Affirmation, Relig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195]
서적
What is the Meaning of Your Life: A Journey Towards Ultimate Meaning
iUniverse
2004
[196]
서적
Finding a Sacred Oasis in Grief: A Resource Manual for Pastoral Care
Radcliffe Publishing
2007
[197]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1992
[198]
서적
In the Light of Likeness-Transformed: The Literary Art of Leon Forrest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005
[199]
서적
Conservatism: An Anthology of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from David Hume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00]
서적
Spirituality and Social Care: Contributing to Personal and Community Well-being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2
[201]
서적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02]
서적
Society and Culture: Principles of Scarcity and Solidarity
https://archive.org/[...]
SAGE
2001
[203]
서적
Buddhist Scriptures
Harcourt Heinemann
1994
[204]
서적
Man Made God: The Meaning of Li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205]
서적
Powerful Leadership: How to Unleash the Potential in Others and Simplify Your Own Life
FT Press
2002
[206]
웹사이트
Finding Purpose in Life
http://themeaningmov[...]
2015-05-18
[207]
서적
The Mutual-Aid Approach to Working with Groups: Helping People Help One Another
https://archive.org/[...]
Haworth Press
2004
[208]
서적
Boost Your Self-Esteem
Kogan Page
2002
[209]
문서
Ho'oponopono
[210]
서적
The Book of Positive Quotations
https://archive.org/[...]
Fairview Press
2007
[211]
서적
The Work of the Kabbalist
Weiser
1993
[212]
서적
Essential Believing for the Christian Soul
Xulon Press
2006
[213]
서적
Vijñanabhairava
Motilal Banarsidass
2003
[214]
서적
Philosophy: Theory and Practic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World Philosophy)
Centre for Advanced Study in Philosophy, University of Madras
1974
[215]
서적
The Five Commandments
Trafford Publishing
2007
[216]
서적
Desiring God
Multnomah Books
2006
[217]
Bibleverse
Matthew 28:18–20
[218]
Bibleverse
Micah 6:8
[219]
서적
The Major Religions: An Introduction with Texts
Blackwell Publishing
2004
[220]
서적
Book of Mormon: Mosiah 2:17
https://www.churchof[...]
[221]
서적
Book of Mormon: Alma 32:32
https://www.churchof[...]
[222]
서적
Holy Bible: Genesis 3:22
https://www.churchof[...]
[223]
서적
Holy Bible: Matthew 5:48
https://www.churchof[...]
[224]
서적
Pearl of Great Price: Book of Moses 1:37–39
https://www.churchof[...]
2019-07-16
[225]
웹사이트
Teachings of Presidents of the Church: Lorenzo Snow
https://www.church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2011
[226]
서적
Book of Mormon: Alma 29:5
https://www.churchof[...]
[227]
서적
Book of Mormon: 2 Nephi 2:25
https://www.churchof[...]
[228]
서적
Pearl of Great Price: Book of Moses 5:11
https://www.churchof[...]
[229]
서적
Holisiajay Quran 51:56
http://corpus.quran.[...]
Quranic Arabic Corpus
[230]
서적
Problems in Psychopathology
Harcourt, Brace & Company
1927
[231]
Bibleverse
Ecclesiastes 8:15
[232]
서적
Celebrating Middle-Earth: The Lord of the Rings as a Defense of Western Civilization
Inkling Books
2002
[233]
서적
The Bible, Protestantism, and the Rise of Natur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34]
서적
The Solaris Effect: Art and Artifice in Contemporary American Film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6
[235]
서적
The Century of Total War
Wisdom Publications
2000
[236]
뉴스
Is this the meaning of life? John Stewart argues that despite the perception that science has stripped the meaning from life, recent developments in evolutionary theory suggest that humans have a central role to play in the future of the universe
https://www.theguard[...]
2010-03-05
[237]
문서
"Man's Search for Meaning"
Beacon Press
2006
[238]
웹사이트
Monty Python's Completely Useless Web Site: Monty Python's The Meaning of Life: Complete Script
http://www.intriguin[...]
2007-12-17
[239]
서적
Mean Markets and Lizard Brains: How to Profit from the New Science of Irrationality
John Wiley and Sons
2005
[240]
서적
In Their Shoes: Examining the Issue of Empathy and Its Place in the Treatment of Offenders
Wood 'N' Barnes Publishing
2002
[241]
Audio, Radio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Fit the Fourth)
BBC Radio 4
1978-03-29
[242]
서적
The Anthology at the End of the Universe: Leading Science Fiction Authors on Douglas Adams'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BenBella Books, Inc
2005
[243]
서적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Meaning of Everything
https://archive.org/[...]
Kregel Publications
2005
[244]
서적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Pan Books
1979
[245]
Audio, Radio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Fit the Sixth)
BBC Radio 4
1978-04-12
[246]
뉴스
"Person of Interest" recap (5.13): The sound of my voice
https://www.afterell[...]
After Ellen
2019-08-24
[247]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existential crisis
https://dictionary.a[...]
[248]
간행물
Components of existential crises: a theoretical analysis
2016
[249]
웹사이트
Existential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250]
간행물
Absurdism as a Fundamental Value: Camusian Thoughts on Moral Development in Organisations
https://philpapers.o[...]
2013
[25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https://philpapers.o[...]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52]
서적
Existential Psychotherap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20-03-17
[253]
간행물
The existential crisis
2016-04
[254]
간행물
Toward a Developmental View of Adult Crisis: a Re-Examination of Crisis Theory
https://doi.org/10.1[...]
1980-10
[255]
웹사이트
Nihilism
https://iep.utm.edu/[...]
2022-01-25
[256]
간행물
Existential crisis and the awareness of dying: the role of meaning and spirituality
https://pubmed.ncbi.[...]
2010
[257]
간행물
The Last Messiah
https://philosophyno[...]
[258]
웹사이트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3-08-14
[25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aning in Life
https://www.oxfordha[...]
2022-06-10
[260]
서적
Philosophical Explanation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61]
간행물
Importance, Value, and Causal Impact
https://brill.com/vi[...]
2021-08-13
[262]
서적
Examined Life: Philosophical Meditation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0-12-15
[263]
서적
The Human Predicament: A Candid Guide to Life's Biggest Ques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5-05
[264]
간행물
The Moral, the Personal, and the Importance of What We Care about
https://www.jstor.or[...]
2001
[265]
서적
Egocentricity and Mysticism: An Anthropological Stud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10-04
[266]
웹사이트
10 wonder drugs that changed our lives forever
https://www.cnbc.com[...]
2016-03-28
[267]
웹사이트
ResearchGate - Piers STEEL
https://www.research[...]
[268]
웹사이트
SpringerLink - Steel, Piers
https://link.springe[...]
[269]
웹사이트
Five steps to mental wellbeing
https://www.nhs.uk/c[...]
국민保健サービス
2018-11-20
[270]
문서
諸富(2004) pp.166-176
[271]
문서
神谷(1980) p.38
[272]
문서
神谷(1980) p.42
[273]
문서
神谷(1980) p.98
[274]
문서
Jaspers, K., Psychologie der Weltanschauungen, 4. Aufl., Berlin/Göttingen/Hidelberg, Springer, 1954
[275]
문서
Kulenkampff, C.: ''Entbehrung, Entgrenzung, Ueberwältigung als Weisen des Standverlustes'', Nervenarzt 26, p.85-, 1955.
http://www.labmeetin[...]
[276]
문서
神谷(1980) p.112
[277]
문서
神谷(1980) p.114
[278]
문서
いわゆる離人体験などもこのようなところから理解される(神谷(1980) p.115)
[279]
문서
神谷(1980) p.176
[280]
문서
「意味への意志」への欲求不満からおこってくる神経症は、全神経症の14%を占める、という(フランクル『神経症』)(神谷(1980) p.176)
[281]
서적
[282]
서적
[283]
서적
[284]
서적
[285]
웹사이트
What is post-traumatic growth? What role does it play in living a purposeful life? - How Purpose Changes our Lives
https://www.coursera[...]
2022-08-10
[286]
서적
[287]
서적
[288]
서적
[289]
웹사이트
Finding meaning in life could improve your health
https://www.health.h[...]
2020-04-01
[290]
논문
Subjective Well-Being Is Essential to Well-Being.
Lawrence Erlbaum
[291]
서적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and Row
[292]
서적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http://www.meaningan[...]
Oxford University Press
[293]
서적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Free Press
[294]
논문
Effect of a purpose in life on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295]
논문
Purpose in life and reduc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older U.S. adul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 two-year follow-up
[296]
논문
Purpose in life and reduced incidence of stroke in older adults: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297]
논문
Purpose in lif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298]
서적
The Future Of Values: 21st-Century Talks
Berghahn Books
[299]
기타
ibid
[300]
서적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301]
서적
Kierkegaard and the Treachery of Lo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2]
서적
Schopenhauer, Philosophy, and the Ar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3]
서적
Nietzsche's Affirmative Morality
Walter de Gruyter
[304]
서적
The Affirmation of Life: Nietzsche on Overcoming Nihi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305]
서적
Good and Evil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06]
간행물
"Has the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Life any Meaning?" (Chapter 4)
[307]
서적
Moral Vision: An Introduction to Ethics
Blackwell Publishing
[308]
서적
これならわかる哲学入門
PHP研究所
[309]
서적
人生に意味はあるか
講談社
[310]
기타
律蔵 (パーリ)犍度, 大犍度, 38 Mahakkhandhakaṃ 初転法輪
[311]
기타
プンナ教誡経「喜悦の滅尽により苦の滅尽がある」
[312]
서적
無我の見方 (「私」から自由になる生き方)
サンガ
2012
[313]
웹사이트
The Kama Sutra of Vatsyaya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Archives
[314]
서적
The Puruṣārthas: a study in Hindu axiology
Michigan State University
[315]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316]
웹사이트
「生きる意味」
https://mimemo.io/m/[...]
[317]
서적
Philosophical Propositions: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8
[318]
서적
Philosophical Explan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319]
서적
What's It All About?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Life
https://archive.org/[...]
Granta Books
[320]
서적
Why Are We Here?: Everyday Questions and the Christian Life
https://archive.org/[...]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8
[321]
서적
Why Are We Here?: The Scientific Answer to this Age-old Question (that you don't need to be a scientist to understand)
Lighthouse Pub
1996
[322]
서적
Words of Wisdom: Beginning Buddhism
Dharma Realm Buddhist Association
2003
[323]
서적
The Fifth Miracle: The Search for the Origin and Meaning of Life
https://www.nytimes.[...]
Simon & Schuster
[324]
서적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Well-Being
https://archive.org/[...]
SLACK Incorporated
2005
[325]
서적
The Physics of Consciousness: The Quantum Mind and the Meaning of Life
https://archive.org/[...]
Perseus Books
2000
[326]
웹인용
Question of the Month: What Is The Meaning Of Life?
http://www.philosoph[...]
Issue 59
2007-07-26
[327]
서적
What Are You Doing With Your Life?
Krishnamurti Foundation of America
2001
[328]
웹인용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http://www.ed.uiuc.e[...]
헬싱키 대학교
2002
[329]
서적
Life, Death, and Subjectivity: Moral Sources in Bioethics
https://archive.org/[...]
Rodopi
2004
[330]
서적
Foundations of Ethics: An Anthology
Blackwell Publishing
2007
[331]
간행물
Cynicism
Routledge
2005
[332]
간행물
The Socratic Tradition: Diogenes, Crates, and Hellenistic Eth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333]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mon and Schuster
1946
[334]
서적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2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일상의 신들을 만나는 순간 [.txt]
한겨레 최윤아 기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