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학성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제3군사령관, 국방부 군수차관보 등을 역임했다. 12·12 군사 반란과 5·18 내란에 연루되었으며, 이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 국가안전기획부장 등을 지냈다. 제12, 13, 14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14대 국회의원 재직 중 재산 공개 파문으로 사퇴했다. 12·12 군사 반란 및 5·18 사건으로 기소되었으나, 대법원 상고심 재판 중 사망하여 공소기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장 - 장세동
장세동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 시절 전두환 정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권력 남용과 민주주의 훼손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장 - 서동권
서동권은 1932년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찰총장, 국가안전기획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관련 축소 수사 의혹과 불법 도청 조직 운영 혐의를 받고 반헌법 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장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장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반란자 - 장세동
장세동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 시절 전두환 정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권력 남용과 민주주의 훼손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반란자 - 이학봉
이학봉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에서 신군부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면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유학성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학성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예천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 서초구 방배동 |
본관 | 기계(杞溪) |
종교 | 천주교(영세명: 요셉) |
배우자 | 안부성 |
자녀 | 3남 3녀 (그 중 장남 유중배, 차남 유중하 장녀 유성희, 삼남 유중돈) |
출생일 | 1927년 2월 28일 |
사망일 | 1997년 4월 3일 |
군 복무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9년 ~ 1980년 |
근무 | 육군 제3군사령부 |
지휘 | 육군 제3군사령관 |
참전 |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경력 | 중앙정보부 부장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대한민국 반공연맹 이사장 민주정의당 당무위원 민주정의당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당무위원 민주자유당 국회의원 무소속 국회의원 |
관직 | |
직책 | 국방부 군수차관보 |
임기 | 1978년 11월 18일 ~ 1979년 12월 13일 |
대통령 |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최규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최규하 대한민국 대통령 |
총리 | 최규하 국무총리 신현확 국무총리 |
장관 | 노재현 국방부 장관 주영복 국방부 장관 |
차관 | 김용휴 국방부 차관 |
2. 생애
유학성은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6.25 전쟁에 참전하였고, 육군 주월 100군수사령관, 육군 제26사단장, 육군 전투발전사령관, 육군 동해안경비사령관,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 육군 제2군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육군 제3군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3][4]
국방부 군수차관보 재직 중이었던 1979년에는 전두환, 노태우 등의 신군부가 일으킨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였다. 12·12 후 육군 제3군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1980년 5·18 내란에 도의적 가담하였으며 그 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육군 제3군사령관을 거쳐 1980년 6월 11일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고, 예편하였다.[3][4] 중앙정보부장(1980년부터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지냈고, 1982년 장영자·이철희 어음사기사건 후 허화평, 허삼수 등과 함께 직을 사임하였다.[3][4]
1985년 반공연맹 이사장을 재직하던 중 제12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전국구)으로 선출 되었고, 1988년에는 예천군 지역구에서 제1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방위원장을 맡았으며, 3당 합당 이후 1992년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1993년 3월 재산공개 파문으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3][4]
이후 잠시 동안을 야인으로 지내다가 1996년 12·12 군사 반란 및 5·18 사건의 피고인으로 기소되어 제1심과 제2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았으나, 대법원 상고심 재판 중인 1997년 4월 3일에 결국 사망함으로써 공소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지 않음으로[7][3]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5]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혁명최고회의에서 치안담당관 겸 선임장교로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1962년에는 내무정책담당관, 1963년에는 내무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고 같은 해 야전부대로 복귀하여 제25보병사단 제70연대장을 역임했다. 1965년 육군 방첩부대 부대장이 된 후 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인사참모부 인사관리처장을 역임했다. 1967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베트남 제100군수사령부(第100軍需司令部) 사령관을 역임했다. 1969년 귀국 후 제26보병사단장을 역임하고, 1971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전투발전사령관을 역임했다. 1974년 동해안경비사령관(第7機動軍團), 1975년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을 역임하고, 197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2군단장을 역임했다.[3][4]
1981년 개편된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하고, 이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총력안보중앙협의회장을 역임했다.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88년 서울올림픽 지원위원장을 역임했다.[3][4]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6.25 전쟁에 참전하였고, 대위 및 소령으로 연대 정보참모와 작전참모를 역임했다.[3][4] 전쟁 후에는 대대장, 중령으로 진급한 후 사단 작전참모와 부연대장을 거쳐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에서 근무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혁명최고회의에서 치안담당관 겸 선임장교로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1962년에는 내무정책담당관, 1963년에는 내무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고 같은 해 야전부대로 복귀하여 제25보병사단 제70연대장을 역임했다.[3][4]1965년 육군 방첩부대 부대장이 된 후 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인사참모부 인사관리처장을 역임했다. 1967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베트남 제100군수사령부(第100軍需司令部) 사령관을 역임했다. 1969년 귀국 후 제26보병사단장을 역임하고, 1971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전투발전사령관을 역임했다. 1974년 동해안경비사령관(第7機動軍團), 1975년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을 역임하고, 197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2군단장을 역임하였다.[3][4]
2. 2.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1979년 전두환, 노태우 등의 신군부가 일으킨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였다.[3][4] 12·12 후 육군 제3군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1980년 5·18 내란에 도의적 가담하였다.[3][4] 그 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을 지냈다.[3][4] 1996년, 12·12 군사 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에서 피고로 기소되어 1심과 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1997년 대법원 상고 중에 사망하여 공소기각되었다.[3]2. 3. 정치 활동
유학성은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6.25 전쟁에 참전하였고, 육군 주월 100군수사령관, 육군 제26사단장, 육군 전투발전사령관, 육군 동해안경비사령관,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 육군 제2군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육군 제3군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3][4]국방부 군수차관보 재직 중이었던 1979년에는 전두환, 노태우 등의 신군부가 일으킨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였다. 12·12 후 육군 제3군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1980년 5·18 내란에 도의적 가담하였으며 그 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육군 제3군사령관을 거쳐 1980년 6월 11일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고, 예편하였다.[3][4] 중앙정보부장(1980년부터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지냈고, 1982년 장영자·이철희 어음사기사건 후 허화평, 허삼수 등과 함께 직을 사임하였다.[3][4]
1985년 반공연맹 이사장을 재직하던 중 제12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전국구)으로 선출 되었고, 1988년에는 예천군 지역구에서 제1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방위원장을 맡았으며, 3당 합당 이후 1992년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1993년 3월 재산공개 파문으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3][4]
이후 잠시 동안을 야인으로 지내다가 1996년 12·12 및 5·18 사건의 피고인으로 기소되어 제1심과 제2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았으나, 대법원 상고심 재판 중인 1997년 4월 3일에 결국 사망함으로써 공소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지 않음으로[7][3]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5]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혁명최고회의에서 치안담당관 겸 선임장교로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1962년에는 내무정책담당관, 1963년에는 내무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고 같은 해 야전부대로 복귀하여 제25보병사단 제70연대장을 역임했다. 1965년 육군 방첩부대 부대장이 된 후 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인사참모부 인사관리처장을 역임했다. 1967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베트남 제100군수사령부(第100軍需司令部) 사령관을 역임했다. 1969년 귀국 후 제26보병사단장을 역임하고, 1971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전투발전사령관을 역임했다. 1974년 동해안경비사령관(第7機動軍團), 1975년 교육참모부장을 역임하고, 197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2군단장을 역임했다.[3][4]
1981년 개편된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하고, 이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총력안보중앙협의회장을 역임했다.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88년 서울올림픽 지원위원장을 역임했다.[3][4]
2. 4. 사망
유학성은 1996년 12·12 및 5·18 사건의 피고인으로 기소되어 제1심과 제2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았으나, 대법원 상고심 재판 중인 1997년 4월 3일에 사망하였다.[7] 이로 인해 공소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지 않아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7][3] 그의 묘소는 장군 1묘역 2번에 위치해 있다.[5]3. 학력
- 1949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졸업했다.
- 1950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초등군사반을 졸업했다.
- 1951년 미국 육군보병학교 고등군사반을 졸업했다.
- 1952년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를 졸업했다.
- 1953년 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를 졸업했다.
- 1954년 대한민국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 1957년 단국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 1966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 1973년 대한민국 국방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4. 경력
경상북도 예천군 출생이다. 단국대학교 정치학과, 육군사관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육군대학교, 국방대학교를 졸업했다.[3][4]
1949년 5월,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으며, 한국 전쟁 당시에는 대위 및 소령으로 연대 정보참모와 작전참모를 역임했다. 전쟁 후에는 대대장, 중령으로 진급한 후 사단 작전참모와 부연대장을 거쳐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에서 근무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혁명최고회의에서 치안담당관 겸 선임장교로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1962년에는 내무정책담당관, 1963년에는 내무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고 같은 해 야전부대로 복귀하여 25사단 70연대장을 역임했다. 1965년 육군 방첩부대 부대장이 된 후 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인사참모부 인사관리처장을 역임했다. 1967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월 한국군 제100군수사령부 사령관을 역임했다. 1969년 귀국 후 제26보병사단장을 역임하고, 1971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전투발전사령관을 역임했다. 1974년 동해안경비사령관(제7기동군단), 1975년 교육참모부장을 역임하고, 197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2군단장을 역임했다.[3][4]
1979년의 12·12 사태와 1980년의 5·18 민주화운동 당시에는 국방부 군수차관보 및 제3야전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이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의 임명직 위원 중 한 명이 되었다. 1980년 대장으로 진급하고, 같은 해 예편하여 중앙정보부장에 임명되었다. 1981년 개편된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하고, 이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총력안보중앙협의회장을 역임했다.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88년 서울올림픽 지원위원장을 역임했다.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도 민주정의당 후보로 당선되어 국방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당선되었으나, 국회의원 임기 중에 사퇴했다.[3][4]
1996년, 12·12 사태와 5·18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에서 피고로 기소되어 1심과 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1997년 대법원 상고 중에 사망하여 공소기각되었다.[3]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묘소 위치는 장군 1묘역 2번이다.[5]
5. 상훈
6. 연기한 배우들
6. 1. TV 드라마
6. 2. 영화
고 염동헌의 유작으로 2023년에 서울의 봄이 있다.[8]7.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85년 | 총선 | 민주정의당 | 7,040,477표 | 35.2% | 전국구 5번 | 당선 | 초선 |
1988년 | 총선 | 민주정의당 | 31,196표 | 63.06% | 1위 | 당선 | 재선 |
1992년 | 총선 | 민주자유당 | 24,361표 | 60.73% | 1위 | 당선 | 3선 |
참조
[1]
웹사이트
정복규의 한국 성씨를 찾아서 76-기계유씨(杞溪兪氏)
http://www.shinailbo[...]
신아일보
2013-01-22
[2]
웹사이트
(기고) 요즘 ‘하나회 놀음’에 맞설 장태완은 / 김재홍
https://www.hani.co.[...]
한겨레
2010-07-29
[3]
웹사이트
유학성(兪學聖)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웹사이트
유학성(俞學聖)
https://rokps.or.kr/[...]
대한민국헌정회
[5]
웹사이트
공훈록보기
https://dnc.go.kr/_p[...]
국립대전현충원
[6]
문서
☆☆☆ 이 때에 전두환측에 가담하여 신사협정 제안으로 육본측의 진압군 출동을 막아 결정적 기여를 한다.
[7]
문서
지병인 십이지장암 치료를 위해 구속집행정지로 풀려남
[8]
문서
극 중에서는 배송학라는 이름으로 등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