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평화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평화주의는 어떤 경우에도 폭력을 반대하는 사상으로, 절대적 평화주의, 조건부 평화주의, 제도적 평화주의, 종교적 평화주의 등으로 분류된다. 절대적 평화주의는 자기 방어조차 허용하지 않지만, 조건부 평화주의는 정의로운 전쟁론에 기반하여 방어를 허용하는 등 다양한 입장을 보인다. 제도적 평화주의는 전쟁을 조장하는 제도에 반대하며, 종교적 평화주의는 신약성서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평화를 강조한다. 한국은 분단 국가로서 평화주의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시민 사회의 성장과 더불어 평화 통일 운동, 군축, 핵무기 반대 등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주의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평화주의 - 비폭력 혁명
    비폭력 혁명은 폭력이나 무력 없이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사회 체제의 변혁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간디의 사티아그라하 운동에서 기원하며, 다양한 역사적 사례가 존재하고, 진 샤프와 조지 레이키 등의 연구로 체계화되었으며, 민주주의 체제 내에서 사회 변혁의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 반전 운동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반전 운동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사회 및 사회과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사회 및 사회과학에 관한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평화주의
구글 지도
개요
정의전쟁 또는 폭력에 반대하는 철학
관련 개념비폭력주의
반전 운동
정의론
평화 운동
어원
어원라틴어 'pax' (평화)에서 유래
영어Pacifism
분류
절대적 평화주의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을 반대
조건부 평화주의특정 상황에서만 폭력을 반대
선택적 평화주의특정 종류의 폭력만 반대
역사적 배경
종교적 기원불교
기독교
자이나교
근대 평화주의계몽주의와 인권 사상 영향
20세기 평화주의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확산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시민권 운동
평화주의와 관련된 사상
기독교 평화주의초기 기독교 교인들은 군 복무 거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로운 전쟁론'
침례교 및 퀘이커 교도들의 평화주의
불교 평화주의불살생 사상
달라이 라마의 비폭력 운동
자이나교 평화주의절대적인 비폭력주의
세속 평화주의자유주의와 사회주의의 영향
칸트의 '영구 평화론'
버트런드 러셀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반핵 운동
평화주의와 관련된 논쟁
실용주의적 비판현실적인 국제 정치에서 평화주의가 효용이 있는가?
자위권 및 국가 방위의 문제
윤리적 비판폭력에 대한 비폭력 대응의 윤리적 문제
무저항주의에 대한 비판
사회적 비판급진적인 평화주의는 사회 변화를 저해하는가?
평화주의가 체제 유지에 기여하는가?
평화주의와 관련된 인물
주요 인물간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버트런드 러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달라이 라마
자본주의와 평화주의의 관련
자본주의 사회자본주의 사회 (시민 사회)
개인의 권리인권

2. 평화주의의 종류

평화주의는 그 철학적, 실천적 기반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평화주의는 도덕적 원칙(의무론적 관점) 또는 실용주의(결과주의적 관점)에 기반할 수 있다. 원칙적 평화주의는 전쟁에서 대인 간의 신체적 폭력에 이르는 스펙트럼의 어떤 지점에서 그러한 폭력이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 된다고 주장한다. 실용적 평화주의는 전쟁과 대인 간 폭력의 비용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분쟁을 해결하는 더 나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모든 평화주의자들이 국가 간의 전쟁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며, 내전이나 혁명의 경우 평화주의자들이 군사적 갈등을 지지한 경우도 있었다.[17] 예를 들어,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미국 평화 협회와 일부 전 비저항 협회 회원들은 연방의 군사 작전을 지지하며, 남부 연합에 대한 "치안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남부 연합의 탈퇴 행위를 범죄 행위로 간주했기 때문이다.[17][18] 스페인 내전이 발발한 후, 프랑스 평화주의자 르네 제랭은 스페인 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촉구했다. 제랭은 스페인 국민당이 "개인적인 적과 비슷하다"고 주장했고, 공화국의 전쟁 노력은 범죄를 진압하는 국내 경찰의 행동과 같다고 주장했다.[19]

1960년대에는 뉴 레프트와 관련된 일부 평화주의자들이 민족 해방 전쟁을 지지하고 베트콩과 알제리 FLN과 같은 단체들을 지지하며, 그러한 국가들을 해방시키려는 평화적인 시도는 더 이상 실행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전쟁이 유일한 선택이라고 주장했다.[20]

현대에는 전쟁의 참혹함을 강조하고, 이로 인한 피해자를 줄이기 위해 평화주의를 갖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은 비폭력 원칙에 따라 평화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며, 때로는 재산 파괴와 같은 상징적인 저항 행위를 하기도 한다.[4]

2. 1. 절대적 평화주의

절대적 평화주의는 인명은 매우 귀중하므로 자기 방어를 포함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인간을 죽여서는 안 되며, 전쟁은 결코 일으켜서는 안 된다고 믿는 입장이다.[182] 이는 BBC에서 정의한 내용이다. 이러한 신념은 폭력이 피해를 보거나 살해당하는 사람을 돕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설명된다.[182] 또한, 절대적 평화주의자는 논리적으로 폭력이 비폭력보다 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182]

2. 2. 조건부 평화주의

정의로운 전쟁론에 기반한 조건부 평화주의는 절대 평화주의 입장에서 벗어나는 다양한 견해를 나타낸다. 조건부 평화주의의 한 예로, 일반적인 평화주의는 방어를 허용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방어주의[10]나 간섭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아니다.

정전론을 활용하여, 상대적 평화주의(conditional pacifism영어)는 절대적 평화주의 입장에서 벗어난 다양한 입장을 제시한다. 방위를 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방어주의[183] 불이행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며, 간섭주의(interventionism영어)는 더더욱 아니다. 하나의 상대적 평화주의는 전형적인 평화주의이다.

2. 3. 제도적 평화주의

평화주의는 국제 분쟁이 평화적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해결되어야 한다는 믿음, 그리고 군대와 전쟁 제도 폐지를 요구하는 주장을 포함한다.[4] 이는 전쟁을 유발하는 제도와 구조에 반대하는 제도적 평화주의 관점과 연결된다. 평화주의는 또한 정치, 경제,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한 물리적 폭력 사용을 거부하고 힘의 제거를 주장한다.[4]

2. 4. 종교적 평화주의

여러 종교에서 각자의 교리에 따라 평화주의를 강조한다. 바하이교의 창시자 바하올라는 성전을 폐지하고, 이를 그의 신앙의 중심 가르침으로 강조하였다.[99] 그러나 바하이교는 절대적인 평화주의 입장을 취하지 않으며, 사회 봉사 대신 군 복무가 필요한 경우 '정부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한다.[100][101] 바하이교 지도자 쇼기 에펜디는 절대 평화주의는 반사회적이며 무정부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02] 바하이교는 힘의 사용을 폐지하지 않고 "힘을 정의의 종으로 만드는" 집단 안보 원칙을 촉진한다.[103]

자이나교의 핵심 교리는 아힘사이다. 인간의 삶은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 귀한 기회로 여겨지며, 어떤 생명을 죽이는 것도 끔찍한 일로 간주된다. 자이나교 승려들은 유제품 채식주의를 실천해야 하며, 인도 일부 지역에서는 힌두교도들도 유제품 채식주의를 따른다.[151]

힌두교에서 아힘사는 중심적인 부분이며, 올바른 삶을 위한 자기 제약인 야마(Yamas) 중 하나이다. 힌두교 경전들은 아힘사를 실천하는 사람들이 전쟁, 폭력 위협 등에 직면했을 때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논의하며, 정의로운 전쟁, 합리적인 자기 방어, 비례 처벌 이론으로 이어진다.[127][128] 아르타샤스트라(Arthashastra)는 비례적인 대응과 처벌에 대해 논의한다.[129][130] 힌두교는 진솔한 대화를 통해 전쟁을 피해야 하며, 힘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고 가르친다.[127][129]

유대교는 평화를 매우 바람직하게 여기지만, 때로는 폭력과 전쟁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152] 유대 평화 연합은 평화 운동에서 유대교의 목소리를 제공하는 단체이다.[153] 극단 정통파 유대인 단체인 네투레이 카르타는 평화주의적 입장을 취하지만, 헤즈볼라하마스를 지지하기도 한다.[155][156]

2. 4. 1. 기독교

기독교 평화주의는 신약성서의 평화에 대한 가르침에 근거한다.[190] 데스몬드 투투 성공회 대주교는 보복은 보복과 재보복의 악순환을 낳지만, 용서는 미래를 만든다고 말하며, 분쟁 해결 방법으로 폭력 거부와 용서를 제시한다.[191]

기독교 평화주의 사상가로는 퀘이커 창시자 조지 폭스, 톨스토이, 데스몬드 투투 대주교 등이 있다.[190] 조지 폭스는 1651년 청교도 혁명 지휘관 제의를 거부하며 "나는 모든 전쟁 행위를 몰아내는 생명과 권능의 힘으로 살고 있다"라고 말했다.[190]

평화 교회는 평화주의를 명시적으로 주장하는 기독교 교파이다. "역사적 평화 교회"는 브레더런 교회, 메노나이트(아미시, 후터이트 등 재세례파 포함)[115], 퀘이커(친구들의 종교 사회)를 가리킨다. 이들은 16세기부터 예수가 평화주의자였으며, 평화주의를 가르치고 실천했기에 그 추종자들도 그래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왔다. 평화주의 교회들은 자기 방어나 타인 보호를 위한 물리력 행사의 정당성에 대해 의견이 다르지만, 국가나 정부를 위한 폭력 행사는 기독교인에게 금지된다는 데 동의한다.

기독교 에마누엘 연합, 임마누엘 선교 교회, 하나님의 교회(거트리, 오클라호마), 퍼스트 바이블 홀리니스 교회,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는 성결 운동(주로 감리교, 일부 퀘이커, 아나뱁티스트 등) 내에서 전쟁 반대 입장을 가진 "성결 평화주의자"들이다.[116][117][118][119]

미국연합오순절교회(United Pentecostal Church)는 양심적 병역 거부를 공식 입장으로 취한다.

평화 서약 연합(Peace Pledge Union)은 평화주의 단체이며, 성공회 내에는 성공회 평화주의 펠로우십(APF)이 있다. 가톨릭 노동자 운동(Catholic Worker Movement)은 사회 정의와 평화주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지속적으로 반대했다. 로마 가톨릭교회 내 팍스 크리스티(Pax Christi)는 평화주의 로비 단체이다.

남침례교협회(Southern Baptist Convention)는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Baptist Faith and Message)에서 "그리스도인은 의로움의 원칙에 따라 모든 사람과 평화를 추구해야 하며, 그리스도의 영과 가르침에 따라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라고 밝혔다.[124]

연합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는 군 복무에 반대하지 않는 이들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양심적 병역 거부를 "윤리적으로 타당한 입장"으로 지지한다.[125]

2. 4. 2. 불교

아힘사(불살생)는 불교의 주요 덕목이다.[105] 베트남 전쟁에 대응하여 평화를 옹호하고 참여 불교를 대중화한 틱낫한 스님은 불교 전통 내에서 주목할 만한 평화주의자이다.[107][108]

2. 4. 3. 이슬람

평화는 이슬람의 중요한 측면이며, 무슬림들은 모든 문제에 대해 평화와 평화적인 해결책을 추구하도록 권장받는다. 그러나 쿠란하디스의 가르침이 정당한 이유가 있는 전쟁을 허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일반적으로 평화주의자가 아니다.[139]

2. 5. 현대 이데올로기 평화주의

현대에는 전쟁의 참혹함을 강조하고, 이로 인한 피해자를 줄이기 위해 평화주의를 갖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은 비폭력 원칙에 따라 평화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며, 때로는 재산 파괴와 같은 상징적인 저항 행위를 하기도 한다.[4] 모든 비폭력 저항이 모든 폭력에 대한 근본적인 거부에 기반한 것은 아니며, 많은 지도자와 참여자들은 특정 상황에서 비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절대적인 평화주의자는 아니었다.[8]

이제석이 제작한 광고 포스터 "뿌린대로 거두리라".


전봇대에 붙인 광고


절대 평화주의자는 인간의 생명이 매우 귀중하기 때문에 자기방어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간을 죽여서는 안 되며 전쟁을 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9] 그러나 이 원칙은 일관되게 준수하기 어렵다고 설명된다.[9]

모든 평화주의자들이 국가 간의 전쟁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며, 내전이나 혁명의 경우 평화주의자들이 군사적 갈등을 지지한 경우도 있었다.[17] 예를 들어,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미국 평화 협회와 일부 전 비저항 협회 회원들은 연방의 군사 작전을 지지했다.[17][18] 스페인 내전이 발발한 후, 프랑스 평화주의자 르네 제랭은 스페인 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촉구했다.[19]

1960년대에는 뉴 레프트와 관련된 일부 평화주의자들이 민족 해방 전쟁을 지지하기도 했다.[20]

3. 평화주의의 역사

종교 전쟁과 근대 전쟁을 배경으로, 유럽에서는 전쟁을 근본적으로 없애려는 시도가 중요한 정치적 과제로 떠올랐다. 이마누엘 칸트는 18세기에 이러한 논의에 철학적 기초를 제공하며 고전적인 평화주의 사상을 확립했다. 칸트는 『영구 평화론』에서 공화정에 기반한 정치 체제 확립, 공화정 국가들의 연합, 그리고 국제법 질서가 평화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들이 민주적으로 통치하는 국가는 전쟁을 피하고, 공화정에 기반한 국가 연합도 마찬가지로 전쟁을 피할 것이라고 믿었다.[184]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랄프 노먼 앤젤과 같은 사람들은 경제적 상호 의존과 교통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강대국 간의 전쟁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따라서 과거의 것이 되었다고 주장했다.[185] 그러나 민족주의제국주의 정책을 배경으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평화주의자들은 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했다.

근대에는 상인(부르주아)는 평화에, 영웅(히어로)는 전쟁에 연결되어 대립적으로 표현되어 왔다. 막스 베버, 게오르크 지멜, 베르너 좀바르트 등의 사회학자들은 전쟁을 정신적·종교적으로 높이 평가하고, 민영적·민주적인 부르주아 사회(시민 사회·자본주의 사회)를 비난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의 참혹함에 대한 반성으로 평화 운동이 활발해졌다.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주도로 국제 연맹이 창설되어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모색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그 한계가 드러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설립된 국제 연합은 보편적인 국제 기구로서 세계 평화를 유지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전후 미국과 소련의 냉전은 기존 평화주의의 목표에 수정을 요구했다. 버트런드 러셀은 핵 시대에 평화를 이루려면 세계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레이몽 아롱은 핵무기로 인해 전쟁 발발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평화 실현 가능성도 사라졌다고 보았다. 반면 존 루이스 개디스는 양대 초강대국의 대립이 국제 관계를 안정시켰고, 국지적 분쟁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긴 평화가 실현되었다고 주장했다.

냉전 종식 이후, 테러리즘, 빈곤, 내전 등 새로운 평화 문제가 등장했다. 요한 갈퉁은 행위 주체를 특정하기 어려운 간접적이고 잠재적인 폭력을 구조적 폭력으로 정의하고, 이를 제거한 상태를 평화의 목표로 재정립했다. 또한 냉전 종식은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에도 발전 가능성을 가져왔고,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사무총장은 『평화를 향한 과제』에서 평화 집행이라는 새로운 활동을 UN의 평화 활동으로 제시했다.

3. 1. 초기 전통

평화주의는 역사와 문학에서 아주 오래전부터 찾아볼 수 있다. 소박한 평화주의 사상은 옛날부터 서구뿐 아니라 세계 각지의 문화로 인정받는다. 고대 중국에서는 묵자의 비공 사상, 묵가의 비전을 들 수 있다. 일본에서도 최초의 성문 기본법인 17조 헌법에서 "하나를 일컫자면, 화(和)를 귀하게 여기고, 거스르는 일이 없음을 숭상해야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바실리 베레시차긴의 그림 ''전쟁의 신격화''(1871)는 초기 평화주의 예술 표현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

3. 1. 1. 중국

전국 시대 동안, 평화주의적 묵가는 봉건 국가들 간의 공격적인 전쟁에 반대했다. 그들은 유명한 방어 전략을 사용하여 더 작은 국가들을 더 큰 국가들의 침략으로부터 방어함으로써 이 신념을 실천에 옮겼고, 봉건 영주들을 값비싼 전쟁으로부터 막기를 바랐다. 고대 중국의 칠서(七書)는 전쟁을 부정적으로 보고 최후의 수단으로 여긴다. 예를 들어, 『황석공삼략(黃石公三略)』은 "군사는 상서로운 도구가 아니다. 하늘의 도는 그것을 경멸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으며, 『위료자(魏略子)』는 "군사는 불상스러운 도구이며, 분쟁과 다툼은 덕에 어긋난다"라고 적고 있다.[21]

도가의 경전인 『태평경(太平經)』은 "다가올 대평(太平)의 시대"를 예언한다.[22] 『태평경』은 "평화로 가득 찬 세상"을 옹호한다.[23]

3. 1. 2. 렘바

남부 프랑스령 콩고의 렘바 종교는 상징적인 약초와 함께 평화주의를 나타내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lemba, lemba''"(평화, 평화)는 식물 ''lemba-lemba''(Brillantaisia patula T. Anders)의 작용을 묘사한다.[24] 마찬가지로 카빈다에서는 "''Lemba''는 그 이름이 나타내는 것처럼 평화의 정신이다."[25]

3. 1. 3. 모리오리

채텀 제도의 모리오리족은 조상 누누쿠-웬우아의 명령에 따라 평화주의를 실천했다. 이는 모리오리족이 혹독한 기후 속에서 제한된 자원을 보존하고 전쟁을 통한 낭비를 피할 수 있게 했다.[26] 그러나 1835년 뉴질랜드 노스섬 타라나키 지방 출신 마오리족인 응가티 무퉁가와 응가티 타마의 침략으로 인해 모리오리족은 거의 전멸했다. 침략한 마오리족은 모리오리족을 살해하고, 노예로 삼고, 인육을 먹었다.[26] 한 모리오리족 생존자는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마오리족은] 우리를 양처럼 죽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공포에 질려 숲으로 도망치고, 땅 속 구멍이나 적을 피할 수 있는 어떤 곳이든 숨었습니다. 그러나 소용없었습니다. 우리는 발각되어 –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 죽임을 당했습니다."[26]

3. 1. 4.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개인 간의 폭력에 대한 도덕적 지침으로서 평화주의가 존재했다.[27] 아리스토파네스는 희곡 《리스이스트라테》에서 기원전 431년부터 404년까지 이어진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아테네 여성의 반전 성 파업이라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반전 메시지를 담아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27] 에우리피데스는 특히 《트로이의 여인들》에서 강력한 반전 사상을 표현했다.[27]

플라톤의 《국가》에서 소크라테스는 정의로운 사람은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평화주의적 주장을 펼쳤다.[28] 플라톤의 초기 저서 《크리톤》에서 소크라테스는 악으로 악을 갚는 것은 도덕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는데, 그레고리 블라스토스에 따르면 이것은 전쟁과 폭력에 대한 모든 정당성을 무너뜨리는 독창적인 도덕적 개념이다.[29]

3. 1. 5. 로마 제국

몇몇 로마 작가들은 로마 사회의 군국주의를 거부하고 반전 감정을 표출했는데, 프로페르티우스, 티불루스, 오비디우스 등이 그 예이다.[27][30] 스토아 철학자 세네카는 그의 저서 『자연 질문(Naturales quaestiones)』(서기 65년경)에서 전쟁을 비판했다.[31]

테베사의 막시밀리아누스는 기독교 양심적 병역 거부자였다. 그는 징집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살해당했다.[32]

3. 1. 6. 한국

한국의 고대 국가들은 전쟁을 통해 성장했지만, 불교의 전래와 함께 평화 사상이 확산되었다. 삼국유사에는 불살생과 자비를 강조하는 설화들이 많이 등장한다.

3. 2. 근대

종교 전쟁과 근대 전쟁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전쟁을 근본적으로 폐지하기 위한 시도가 중요한 정치적 과제로 검토되기 시작했다.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는 이러한 논의에 철학적 기초를 마련하여 고전적인 평화주의 사상을 확립했다. 칸트는 『영구 평화론』에서 몇 가지 제안을 했는데, 그중에서도 공화정에 기반한 정치 체제의 확립, 그리고 공화정에 기반한 국가들의 연합과 국제법 질서가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논하고 있다.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에 의해 민주적으로 통치되는 국가는 전쟁을 기피하고, 공화정에 기반한 국가 연합 또한 마찬가지로 전쟁을 회피하려 할 것이라고 칸트는 생각했다.

레나페족과 맺은 펜의 조약(펜의 조약)


16세기부터 시작된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은 역사적 평화 교회를 포함한 다양한 새로운 기독교 종파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퀘이커 교도, 아미시, 메노나이트, 후터리트, 그리고 브레드런 교회였다. 인문주의 작가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는 르네상스 시대 가장 목소리가 높았던 평화주의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에세이 ''어리석음의 칭찬''(1509)과 ''평화의 불평''(1517)에서 전쟁에 대한 강력한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27][38]

퀘이커 교도는 평화주의의 옹호자로서, 1660년 초 모든 형태의 폭력을 거부하고 엄격한 평화주의적 해석에 따라 기독교를 고수했다. 그들은 찰스 2세 국왕에게 선언문을 통해 그들의 신념을 밝혔다. 영국이 참전한 18세기의 많은 전쟁 동안 퀘이커 교도들은 군대와 민병대에 복무하지 않고, 심지어 대체 벌금 10GBP를 내는 것조차 원칙적으로 거부하는 확고한 헌신을 유지했다.

펜실베이니아주를 건설한 영국의 퀘이커 교도 윌리엄 펜은 반군사주의적 공공 정책을 사용했다. 많은 식민지 주민들과 달리, 퀘이커 교도들은 토지를 포함하여 원주민들과 평화적으로 무역하기로 선택했다. 식민지 지역은 1681년부터 1756년까지 75년 동안 본질적으로 무장하지 않았고, 그 기간 동안 거의 또는 전혀 전쟁을 경험하지 않았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여러 사상가들은 평화를 증진하고 전쟁 발생을 줄이거나 심지어 없애는 국제 기구에 대한 계획을 고안했다. 여기에는 프랑스 정치가 슐리 공작, 철학자 에메릭 크뤼세(Émeric Crucé)와 생피에르 수도원장, 그리고 영국의 퀘이커 교도 윌리엄 펜과 존 벨러스(John Bellers)가 포함된다.[40][41]

평화주의적 이상은 18세기 말에 합쳐진 두 가지 사상의 흐름에서 나타났다. 하나는 세속적인 계몽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평화를 세상의 병폐에 대한 합리적인 해독제로 옹호한 반면, 다른 하나는 노예 제도 폐지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복음주의적 종교 부흥의 일부였다. 전자의 대표자로는 ''몽시외 생피에르 수도원장의 영구 평화 계획 발췌''(1756)의 루소(Jean-Jacques Rousseau),[42] ''영구 평화에 대한 생각''의 칸트(Immanuel Kant),[43] 그리고 1789년 평화 협회 결성을 제안한 벤담(Jeremy Bentham)이 있다. 후자의 대표자는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였는데, 그는 평화와 형제애에 대한 기독교적 이상을 바탕으로 영국의 프랑스 혁명 전쟁 개입에 엄격한 제한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보헤미아 출신의 베르나르트 볼차노(Bernard Bolzano)는 군국주의의 사회적 낭비와 전쟁의 불필요성에 대해 가르쳤다. 그는 국가의 이익을 국가 간의 무력 충돌이 아닌 평화로 향하게 할 교육, 사회, 경제 시스템의 전면적 개혁을 촉구했다.

3. 3.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의 참혹함에 대한 반성으로 평화 운동이 활발해졌다. 국제 연맹이 창설되어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모색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그 한계가 드러났다.[6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핵무기의 등장으로 인류는 새로운 위협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핵무기 반대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버트런드 러셀 등 지식인들은 핵무기 폐기를 주장하며 핵무기 해체 운동을 이끌었다.[3] 마틴 루터 킹은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을 민권 운동에 적용하여 인종 차별 철폐에 기여했다.[3]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미국 내에서 대규모 반전 시위가 일어났으며, 틱낫한은 킹에게 편지를 보내 전쟁 반대를 촉구하기도 했다.[90]

천안문 사건에서는 "탱크맨"으로 상징되는 비폭력 저항이 주목받았다.[3] 1986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혁명 역시 비폭력 시민 혁명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코스타리카는 1948년 군대를 폐지하고, 그 예산을 의료와 교육에 투자하는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91]

한국에서는 민주화 운동과 함께 평화 통일 운동이 전개되었다. 시민단체들은 군비 축소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학계에서는 로버트 L. 홈즈와 같은 철학자들이 핵전쟁테러리즘과 같은 현대의 갈등 상황에 평화주의 원칙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93][94][95][96]

4. 자본주의와 평화주의의 관련

볼테르몽테스키외를 비롯한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시장 경제가 종교 및 민족 간의 대립을 완화하고 평화를 증진시킨다고 보았다.[184] 이들은 상업이 사람들의 기질을 부드럽게 만들고, 이기심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185] 볼테르는 화폐가 신념이나 인종과 같은 차이를 해소한다고 보았으며, 몽테스키외는 시장이 사람들의 기질을 "온화"하게 만든다고 하였다. 17세기의 폭력적이고 군사적인 시대는 종교 전쟁의 영향이 컸는데, 시장은 그러한 대립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볼테르, 데이비드 흄, 애덤 스미스는 시민적인 시장 사회를 이끌었다. 18세기 초에는 버나드 드 맨데빌과 같은 자본주의관이 나타났는데, 이에 따르면 사리사욕 추구가 생활·과학 기술의 혁신을 촉진하고 종교·민족에 의한 대립이나 전쟁은 감소한다.

그러나 막스 베버, 게오르크 지멜, 베르너 좀바르트 등의 사회학자들은 전쟁을 정신적, 종교적으로 높이 평가하고, 민영적, 민주적인 부르주아 사회(시민 사회·자본주의 사회)를 비난했다. 좀바르트는 부르주아 사회가 국가의 "파멸의 길"이며, 전쟁은 옛 "영웅 정신"을 꽃피워 국가를 구한다고 주장했다.

5. 비판

평화주의는 실천의 문제, 개인적 사상의 정치 사상화, 평화의 절대시, 전쟁 원인에 대한 이해 부족, 언어 조작 등의 비판을 받는다.[189] 또한, 평화주의가 폭력을 막는 데 효과적이지 않으며, 때로는 더 큰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 실천의 어려움: 평화주의는 개인이나 소규모 집단에서는 실천 가능할 수 있지만, 이를 정치 사상으로 확장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지적이 있다. 개인의 선의가 사회 전체의 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 결과주의적 비판: 결과주의적 관점에서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온다면 도덕적으로 반대되는 행위도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전쟁으로 수천 명이 사망하더라도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면 전쟁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무론적 평화주의자들은 이러한 폭력적 행동에 반대한다.
  • 비폭력 저항의 한계: 평화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비폭력 저항이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즉각적인 생명을 구하지 못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폭력을 수용하면 다른 상황에서도 폭력을 사용하기 쉬워진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 사회 방위: "민간 저항에 의한 방위"라고도 하는 "사회 방위" 개념은 외부 침략이나 내부 쿠데타와 같은 위협에 대해 비폭력 저항에 의존하는 방위 방식이다. Adam Roberts[166]와 진 샤프[167] 등이 이 주제를 연구했지만, 어떤 국가도 이 방식을 유일한 방위 수단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168]
  • 역사적 사례: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추축국들의 공격은 평화주의에 대한 반론으로 제시되기도 한다.[169] 이들 세력이 군사적으로 저지되지 않았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돌프 히틀러는 영국 외무장관 Lord Halifax에게 영국이 "간디를 총살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170] 또한, 히틀러는 그의 저서 <제2의 책>에서 평화주의를 비판하며, 평화주의는 전쟁이 민족의 생계를 위한 영토 정복에 있지 않은 이후로 세계에 존재해 왔으며, 전쟁의 영원한 동반자라고 주장했다.[171]
  • 나치의 평화주의 탄압: 헤르만 괴링은 뉘른베르크 재판 인터뷰에서 나치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평화주의를 비난하고 금지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을 통제하기 위해 "그들이 공격받고 있다고 말하고, 평화주의자들을 애국심이 부족하다고 비난하고, 국가를 위험에 빠뜨린다고 비난"하는 방식이 어느 나라에서나 효과적이라고 말했다.[172]
  • 자기모순: 얀 나르베손은 가장 비폭력적인 형태의 평화주의가 자기모순적이라고 주장한다.[173] 평화주의자는 자신의 권리를 침해받지 않기 위해 자신을 보호할 능력을 포기하므로, 다른 사람들은 그에 상응하는 책임이 없다는 권리의 역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 비폭력의 이념화 비판: 피터 겔더루스는 비폭력이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유일한 방법이라는 생각을 비판한다. 그는 평화주의가 국가의 이익에 부합하고, 가부장제와 백인 우월주의와 심리적으로 얽혀 있다고 주장한다.[174]
  • 더 큰 갈등 초래: 앤 애플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 평화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영토와 원칙을 포기하면 잔학 행위를 가능하게 하고, 초기 군사 지원이 침공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역사의 교훈을 간과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잘못된 평화주의는 때때로 더 큰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175]
  • 전쟁 원인에 대한 이해 부족: 평화주의자들이 전쟁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 전쟁은 복잡한 정치 현상이며, 그 원인은 국가 간의 이익뿐만 아니라 종교, 민족, 역사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

6. 한국의 평화주의

한국은 분단 국가로서 평화주의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남북 간의 군사적 대치 상황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평화적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 대화와 협력을 지지하며, 군비 축소와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한국의 평화주의는 시민 사회의 성장과 함께 발전해 왔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평화 통일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이후 시민단체들은 군축, 핵무기 반대, 평화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의 평화주의는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다. 국제 평화 단체들과의 연대, 유엔 평화유지활동 참여 등을 통해 한반도 평화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서적 The Abolition of War: the Peace Movement in Britain, 1914–1919 University of Wales Press 1976
[2] 서적 The Strategist of the 1960s Civil Rights Movement Carlson Publishing Company 1989
[3] 간행물 Searching for the Enemy of Man http://www.aavw.org/[...] La Boi 1965
[4] 서적 Challenge to Mars: Essays on Pacifism from 1918 to 1945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
[5] 서적 Pacifism and the Just War: A Study in Applied Philosophy Basil Blackwell 1986
[6] 서적 War and International Justice: a Kantian perspectiv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00
[7] 웹사이트 pacific https://www.merriam-[...] 2021-06-19
[8] 서적 Civil Resistance and Power Politics: The Experience of Non-violent Action from Gandhi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9] 웹사이트 Ethics – War: Pacifism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8-09
[10] 웹사이트 Pacifism https://iep.utm.edu/[...] 2022-10-10
[11] 웹사이트 Pacifism and Social Evolution https://www.proquest[...]
[12] 저널 The Dilemmas of Just War and the Institutional Pacifism https://journals.ope[...]
[13] 웹사이트 Conditional and contingent pacifism: the main battlegrounds https://philarchive.[...]
[14] 웹사이트 Moral Tragedy Pacifism https://philarchive.[...]
[15] 웹사이트 The colors of pacifism between the XIX and XX centuries https://www.metabasi[...]
[16] 웹사이트 Why the West Should Discourage Japanese Military Expansion https://d1wqtxts1xzl[...] 2024-11-05
[17] 서적 Freedom from War: Nonsectarian Pacifism, 1814–1914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8] 서적 The Advocates of Peace in Antebellum America Mercer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Politics of Dissent : Pacifism in France, 1919–1939 University of Edinburgh
[20] 서적 Pacifism in the Twentieth Century Syracuse University Press
[21] 서적 Cultural Realism: Strategic Culture and Grand Strategy in Chinese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Daoist Philosophy – 10. "Celestial Masters Daoism" http://www.iep.utm.e[...] 2009-02-13
[2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2-13
[24] 서적 Lemba, 1650–1930 Garland Publishing, Inc.
[25] 서적 Lemba, 1650–1930 Garland Publishing, Inc.
[26] 서적 Guns, Germs, and Steel: The Fates of Human Societies W.W. Norton
[27] 서적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Collier Macmillan
[28] 서적 Plato's Republic: A Reader's Guid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12-13
[29] 서적 From Warism to Pacifism: A Moral Continuum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23-12-13
[30] 서적 Restless Youth in Ancient Rome Routledge
[31] 서적 Panorama of the Classical World Getty Publications
[32] 서적 The Riddle of Saint Maximilian of Tebess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3] 논문 Pacifism Lost
[34] 웹사이트 oremus Bible Browser : Matthew 5 http://bible.oremus.[...] 2006-10-19
[35] 웹사이트 oremus Bible Browser : Luke 6 http://bible.oremus.[...] 2006-10-19
[36] 서적 GCSE Religious Studies for AQA Christianity: Christianity: Behaviour, Attitudes & Lifestyles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
[37] 성경
[38] 서적 Erasmus, Desiderius Pergamon
[39] 웹사이트 Quaker Traditions of Pacifism and Nonviolence http://events.stanfo[...] Stanford University 2013-12-02
[40] 서적 Power and the Pursuit of Peace: Theory and Practice in the History of Relations between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inking About Peace in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2] 서적
[43] 서적
[44] 논문 The Rise of Anti-Imperialism in England
[45] 논문 Oral History as Moral Discourse: Conscientious Objectors and the Second World War
[46] 서적 The Origins of War Prevention: The British Peace Move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1730–1854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Pacifism to 1914: an overview Thistle Printing
[48] 서적 The Long Road to Greenham: Feminism and Anti-Militarism in Britain since 1820 Virago
[49] 논문 The Pacifists of the Fifties https://www.jstor.or[...]
[50] 서적 Peace: A History of Movements and Idea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Gustave Moynier and the peace societies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3-12-02
[52] 서적 Tolstoy's Pacifism Cambria Press 2009
[53] 서적 Pacifism in the Twentieth Century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9
[54] 웹사이트 Conflict and Protest – Pacifist of Parihaka – Te Whiti o Rongomai http://www.pukeariki[...] 2007-07-29
[55] 서적 Elusive Dove: The Search for Peace During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2014
[56] 서적 Socialism in thought and action https://archive.org/[...] 1920
[57] 서적 To end all wars : a story of loyalty and rebellion, 1914–1918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1
[58] 기타
[59] 웹사이트 Pacifism vs. Patriotism in Women's Organizations in the 1920s https://archive.toda[...] 2016-06
[60]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merican Foreign Policy http://arquivo.pt/wa[...] 2002
[61] 서적 The First World War https://www.doabooks[...] Böhlau Verlag 2021-05-01 # page needed date
[62] 서적 Radical Pacifism: The War Resisters League and Gandhian Nonviolence in America, 1915–1963 Syracuse University Press
[63] 서적 Conscientious Objectors of the Second World War: Refusing to Fight Pen and Sword 2021-05-01 # page needed date
[64] 웹사이트 Pacifism http://nzetc.victori[...] University of Wellington 2013-12-02
[65] 뉴스 Learning from the Bruderhof: An Intentional Christian Community https://christlife.o[...] 2018-08-27
[66] 서적 A Christian Peace Experiment: The Bruderhof Community in Britain, 1933–1942 Cascade Books
[67] 학술지 The Labour Party and the Economics of Rearmament, 1935–39 2001-01-01
[68] 서적 Labour and the World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9] 서적 To Build A New Jerusalem: The British Labour Party from Keir Hardie to Tony Blair Abacus
[70] 웹사이트 War and the Iliad http://www.nybooks.c[...]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09-09-29
[71] 서적 Nonviolence in America: a documentary history Bobbs-Merrill
[7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axchristi.or[...] 2018-12-06
[73] 논문 Review of Christian Pacifism confronts German Nationalism – The Ecumenical Movement and the Cause of Peace in Germany, 1914–1933; Der Weltbund für Freundschaftsarbeit der Kirchen, 1914–1948. Eine ökumenische Friedensorganisation
[74] 뉴스 America First Acts to End Organization 1941-12-12
[75] 서적 Pacifists and Conscientious Objectors Edinburgh University Press
[76] 웹아카이브 Albert Einstein http://www.ppu.org.u[...] Random House 2007-10-09
[77] 서적 Pacifism in Britain, 1914–1945 : The Defining of a Faith Clarendon Press
[78] 논문 Pacifism and the Blitz, 1940–1941 2013-05-01
[79] 논문 French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prospect of war in 1938 1939: 'pacifism' or 'war anxiety'? https://nottingham-r[...] 2007-11-15
[80] 서적 Lest Innocent Blood Be Shed: The Story of Le Chambon and How Goodness Happened There Harper & Row
[81] 서적 undefined
[82] 서적 undefined
[83] 서적 undefined
[84] 서적 In Solitary Witness: The Life and Death of Franz Jägerstätter Templegate Publishers
[85] 학술지 Dietrich Bonhoeffer Works Volume 2: Act and Being: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Ontology in Systematic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1996. 237 pp. $30.00: Dietrich Bonhoeffer Works Volume 5: Life Together; Prayerbook of the Bible; Minneapolis, Fortress, 1996. 218 pp. $30.00 1997-07
[86] 서적 Hitler's Intelligence Chief: Walter Schellenberg Enigma Books
[87] 서적 Swimming Against the Tide:The Peace Pledge Union Story, 1934–2009 The Peace Pledge Union
[88] 서적 Conscientious Objectors of the Second World War : Refusing to Fight Pen and Sword
[89] 서적 Conscientious Objectors of the Second World War: Refusing to Fight Barnsley: Pen and Sword
[90] 웹사이트 Beyond Vietnam http://www.aavw.org/[...] 1967-04-04
[91] 웹사이트 Costa Ric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92] 뉴스 The Happiest Peop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01-06
[93] 논문 Reviewed work: On War and Morality, Robert L. Holmes https://www.jstor.or[...] 1992
[94] 논문 Reviewed work: On War and Morality, Robert L. Holmes; Paths to Peace: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Sustainable Peace, Richard Smoke, Willis Harman https://www.jstor.or[...] 1989
[95] 논문 Reviewed work: On War and Morality., Robert L. Holmes https://www.jstor.or[...] 1992
[96] 서적 The Ethics of Nonviolence: Essay by Robert L. Holmes https://books.google[...]
[97] 서적 Pacifism A Philosophy of Nonviolence https://ndpr.nd.edu/[...] Bloomsbury 2017
[98] 서적 On War and Morality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99] 웹사이트 Tablet of Ridván: Wilmette Institute faculty notes http://bahai-library[...] bahai-library.com 2003-10-17
[100] 웹사이트 Selected Topics of Comparison in Christianity and the Baháʼí Faith http://bahai-library[...] bahai-library.com 2003-10-21
[101] 서적 Unfolding Destiny http://reference.bah[...] 2006-09-15
[102] 서적 Directives from the Guardian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2006-09-15
[103] 서적 The World Order of Bahá'u'lláh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2006-09-15
[104] 학술지 Search for a Just Society, Review http://bahai-library[...] 2006-09-13
[105]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106] 서적 Buddhist Warfa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7]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the Buddhist monk who introduced mindfulness to the West, prepares to die http://theconversati[...] 2019-03-18
[108]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https://plumvillage.[...] 2021-07-10
[109] 웹사이트 History https://buddhistpeac[...] 2021-07-10
[110] 뉴스 The 2011 Time 100 – Time https://content.time[...] 2011-04-21
[111] 웹사이트 Venerable Bhikkhu Bodhi presents moral vision in age of crisis https://news.mit.edu[...] 2021-07-10
[112] 웹사이트 Sulak Sivaraksa https://www.weforum.[...] 2021-07-10
[113] 웹사이트 Maha Ghosananda biography http://www.cs.cornel[...] 2021-07-10
[114] 웹사이트 Recalling Nichidatsu Fujii https://tricycle.org[...] 2021-07-10
[115] 서적 A Guide to the Study of The Holiness Movement 1974
[116] 서적 Guidebook of the Emmanuel Association of Churches Emmanuel Association
[11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ults, Sects, and New Religions Prometheus Books
[118] 서적 Manual: First Bible Holiness Church First Bible Holiness Church 1956
[119] 서적 Pentecostal and Holiness Statements on War and Peace Wipf and Stock Publishers
[120] 서적 Black Fire: One Hundred Years of African American Pentecostalism InterVarsity Press
[121] 서적 Pentecostal Pacifism: The Origin, Development, and Rejection of Pacific Belief among the Pentecostals Center for Mennonite Brethren Studies
[122] 웹사이트 The Articles of Faith 2012 http://www.spiritual[...] 2011-08-16
[123] 웹사이트 Catholic Worker Movement http://www.catholicw[...] 2016-01-30
[124] 웹사이트 SBC, " Baptist Faith and Message 2000" http://www.sbc.net/b[...] 2008-01-22
[125] 웹사이트 The United Methodist Church and Peace http://archives.umc.[...]
[126] 웹사이트 Rastafarianism – WRSP https://wrldrels.org[...] 2020-07-10
[127] 논문 Violence in the Vālmı̄ki Rāmāyaṇa: Just War Criteria in an Ancient Indian Epic http://www.sareligio[...]
[128] 서적 Chapter on Himsa and Ahimsa Traditions in Hinduism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29] 서적 Just War in Comparative Perspective Ashgate Publishing
[130] 논문 Modern India's Strategic Advantage to the United States: Her Twin Strengths in Himsa and Ahimsa
[131] 서적 Our New Husbands Are Here: Households, Gender, and Politics in a West African State from the Slave Trade to Colonial Rule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132] 서적 Religion and Chieftaincy in Ghana: An Explanation of the Persistence of a Traditional Political Institution in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33] 서적 An American Witness to India's Partition
[134] 서적 Holy War Idea in Western and Islamic Traditions Penn State Press
[135] 서적 Islamic imperialism : a history https://yalebooks.ya[...] Yale University Press
[136] 서적 Islam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7] 서적 In God's Path: The Arab Conquests and the Creation of an Islamic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8] 서적 Byzantium and the Early Islamic Conques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9] 웹사이트 What does pacifism mean in Islam? https://www.bbc.com/[...] BBC 2019-08-23
[140] 서적 Cultures of Peace: The Hidden Side of History
[141] 서적 Radicalism and Political Reform in the Islamic and Western Worl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2] 서적 Nonviolent Social Movements: A Geographical Perspective Blackwell Publishing
[143] 서적 An American Witness to India's Partition Sage Publications
[144] 서적 An Atlas of Tribal India: With Computed Tables of District-level Data and Its Geographical Interpretation Concept Publishing Company
[145] 서적 Peacemaking in International Conflict: Methods & Techniques https://books.google[...] US Institute of Peace Press 2013-02-04
[146] 웹사이트 Jihad the True Islamic Concept http://www.alislam.o[...] 2010-09-09
[147] 웹사이트 Jihad of the Pen http://www.alislam.o[...] 2010-09-09
[148] 뉴스 Who are the Ahmadi? http://news.bbc.co.u[...] 2015-04-19
[149] 서적 When Muslims are not Muslims: the Ahmadiyya community and the discourse on heresy in Indonesia https://alexandria.u[...] University of California
[150] 뉴스 'Heretical' Ahmadiyya sect raises Muslim hackles https://www.hindusta[...] HT Media 2015-04-19
[151] 서적 Jainism: A Pictorial Guide to the Religion of Non-Violence Mohtilal Banarsidass 1998
[152] 웹사이트 What does pacifism mean in Judaism? – War and peace – GCSE Religious Studies Revision – BBC Bitesize https://web.archive.[...] Bbc.com 2022-03-05
[153] 웹사이트 Jewish Peace Fellowship http://www.jewishpea[...] 2010-09-15
[154] 웹사이트 IFOR Members https://web.archive.[...] 2010-09-15
[155] 웹사이트 What is the Neturei Karta? http://www.nkusa.org[...] 2010-09-16
[156] 뉴스 Anti-Zionist ultra-Orthodox Jews celebrate Sabbath in Gaza http://www.haaretz.c[...] 2012-01-04
[157] 서적 War in the Hebrew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58] 논문 Pacifism ABC-CLIO Ltd 2006
[159] 서적 undefined
[160] 서적 Notes sur l'anarchisme en U.R.S.S : De 1921 à nos jours Les Cahiers du Vent du Chemin 1983
[161] 웹사이트 Conscientious Objection Today, Central Committe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http://www.objector.[...] 2007-07-30
[162]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lauses providing for limitations of national sovereignty to achieve cooperation, peace and disarmament https://web.archive.[...] 2008-08-17
[163] 웹사이트 The pacifist and anarchist tradition by Geoffrey Ostergaard https://web.archive.[...] 2010-03-01
[164] 서적 Anarchism: a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and Movements Broadview Press
[165] 웹사이트 Mission of National Campaign for a Peace Tax Fund https://web.archive.[...] 2010-07-08
[166] 서적 The Strategy of Civilian Defence: Non-violent Resistance to Aggression Faber
[167] 서적 Social Power and Political Freedom Porter Sargent
[168] 서적 Civil Resistance and Power Politics
[169] 학술지 The Dilemmas of British Pacifists during World War 2 https://www.jstor.or[...] 1978
[170] 서적 Jawaharlal Nehru,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Limited
[171] 서적 The Second book (1928)
[172] 서적 Nuremberg Diary (1947)
[173] 논문 Pacifism: A Philosophical Analysis 1965-01
[174] 서적 How Nonviolence Protects the State South End Press
[175] 뉴스 The West Has to Believe That ....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24-10-20
[176] 웹사이트 Pacifism https://global.brita[...] Encyclopedia Britannica 2017-12-22
[177] 웹사이트 pacifism facts, information, pictures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7-12-22
[178] 웹사이트 pacifism https://www.infoplea[...] infoplease 2017-12-22
[179] 웹사이트 pacifism noun http://www.oxfordlea[...]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2017-12-22
[180] 웹사이트 pacifism https://dictionary.c[...]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2017-12-22
[181] 웹사이트 平和主義(へいわしゅぎ)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12-22
[182] 논문 2014
[183] 논문
[184] 이미지 Vasily Vereshchagin. Defeated. Servise for the dead. http://www.tanais.in[...]
[185] 웹사이트 【笹川平和財団主催講演会のご案内】“The Return of History”- 大国政治の復活とリベラル民主主義の将来-('10.3.30開催) https://www.spf.org/[...] 笹川平和財団 2010-03-30
[186] 서적 憲法を百年いかす 筑摩書房 2017
[187] 서적 9条を輸出せよ!―非軍事・平和構築の時代へ 大月書店 2008
[188] 서적 やっぱり九条が戦争を止めていた 2014
[189]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17 ティービーエス・ブリタニカ 1991
[190] 웹사이트 퀘이커 서울모임 자료집 http://www.quakerseo[...]
[191] 서적 용서없이는 미래 없다 홍성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