Г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Г(게)는 키릴 문자의 네 번째 문자이며, 그리스 문자 감마(Γ)에서 유래되었다. 슬라브어, 특히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등에서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표기되는 언어에 따라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 유성 성문 마찰음 등 여러 음가를 나타낸다. 또한, 우크라이나 통화 흐리우냐의 통화 기호(₴)에 사용되며, 아제르바이잔어의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Q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Г | |
---|---|
키릴 문자 Ge 또는 He | |
![]() | |
이름 | 글라골 문자 глаголи |
숫자 값 | 3 |
음가 | , , , , , |
유래 | 그리스 문자 감마 (Γ γ) |
일반 정보 | |
문자 종류 | 키릴 문자 |
해당 문자 | Г г |
언어별 정보 | |
러시아어 명칭 | гe (게) |
2. 역사
키릴 문자 게(Г)는 그리스 문자 감마(Γ)에서 직접 파생되었으며, 웅변 문자에 사용되었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 그 이름은 글라골(''glagol'')로 "말하다"라는 뜻이었다.
키릴 숫자 체계에서, 숫자 값은 3이었다. 그리스 문자의 g/Γ, γ}}에서 유래했다. 감마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또는 로 발음된다. 감마는 페니키아 문자의 𐤂(기멜)에서 기원한다.
3. 언어별 사용
러시아어/세르비아어 정자체;
불가리아 키릴 문자;
러시아어/불가리아어 이탤릭체;
세르비아어 이탤릭체
우크라이나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벨라루스어, 마케도니아어, 러시아어의 네 번째 문자이다.
원칙적으로 를 나타낸다.3. 1. 슬라브어
원칙적으로 를 나타낸다.
우크라이나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벨라루스어, 마케도니아어, 러시아어의 네 번째 문자이다.
; 벨라루스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이 세 언어에서 해당 문자는 로마자로 'h'로 표기된다. 이름은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he', 루신어에서는 'hy'이다.
벨라루스어(남부 러시아어와 같이)에서 해당 문자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1]와 그 연음인 /ɣʲ/에 해당한다.
우크라이나어와 루신어에서는 유성 성문 마찰음 ɦ[1]을 나타내며, 영어의 h의 유성 자음 대응 음이다.
우크라이나어와 루신어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이 올림 키릴 문자 게 (Ґ ґ)로 표기된다. 벨라루스어의 공식 표기법은 г를 ɣ와 ɡ (드문 경우) 모두에 사용하지만, 타라슈케비차에서는 ɡ에 대해 올림 게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Ґ는 G로 음역된다.
세 언어의 역사적 조상인 루테니아어에서도 소리 ɡ는 이중 문자 кг로 표기되었다.
; 러시아어
표준 러시아어에서 'Г'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지만, 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무성음 로 무성음화된다. 구개음화 모음 앞에서는 를 나타낸다. 남부 러시아 방언에서는 이 소리가 유성 연구개 마찰음이 된다.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 접한 지역에서는 이 소리가 유성 성문 마찰음이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ɣ/Бог, богатый, благо, Господь}} (''Bog, bogatyj, blago, Gospod'': 신, 부유한, 축복, 주)와 같은 특정 러시아어 단어를 (''Bog'', "신")는 항상 주격에서 {{IPAru로 발음된다.[1]
러시아어 명사 소유격 어미 v/-ого, -его}}에서 'Г'는 {{IPAblinkru를 나타내며, сегодняru ("오늘", сего дняru에서 유래)라는 단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Г'는 두 개의 러시아어 단어, 즉 мягкийru와 лёгкийru, 그리고 그 파생어에서 카 앞에 올 때는 무성음 (가 아님)를 나타낸다.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또는 독일어에서 유래된 단어의 라틴 문자 'h'는 일반적으로 카 대신 'Г'로 음역된다. ''''h'''ero' → '''г'''еройru, ''''h'''amburger' → '''г'''амбургерru, '''''하이든''''' → '''Г'''айднru. 이는 때때로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어의 "Harry"와 "Gary"/"Garry"는 러시아어에서 동일하게 표기된다(예: Гарри Поттер). 'h'를 쓰기 위해 'Г'를 사용하는 이유는 'Г'가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및 일부 러시아 방언에서 'h'에 사용된다는 사실과 카가 너무 거칠게 들린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새로운 차용어(특히 영어에서)에서는 종종 카가 사용된다.
; 남슬라브어
표준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불가리아어 및 마케도니아어에서 문자 Г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단어의 마지막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되어 발음된다.
3. 1. 1. 벨라루스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이 세 언어에서 해당 문자는 로마자로 'h'로 표기된다. 이름은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he', 루신어에서는 'hy'이다.
벨라루스어(남부 러시아어와 같이)에서 해당 문자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1]와 그 연음인 /ɣʲ/에 해당한다.
우크라이나어와 루신어에서는 유성 성문 마찰음 ɦ[1]을 나타내며, 영어의 h의 유성 자음 대응 음이다.
우크라이나어와 루신어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이 올림 키릴 문자 게 (Ґ ґ)로 표기된다. 벨라루스어의 공식 표기법은 г를 ɣ와 ɡ (드문 경우) 모두에 사용하지만, 타라슈케비차에서는 ɡ에 대해 올림 게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Ґ는 G로 음역된다.
세 언어의 역사적 조상인 루테니아어에서도 소리 ɡ는 이중 문자 кг로 표기되었다.
원칙적으로 g를 나타낸다.3. 1. 2. 러시아어
표준 러시아어에서 'Г'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지만, 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무성음 로 무성음화된다. 구개음화 모음 앞에서는 를 나타낸다. 남부 러시아 방언에서는 이 소리가 유성 연구개 마찰음이 된다.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 접한 지역에서는 이 소리가 유성 성문 마찰음이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ɣ/Бог, богатый, благо, Господь}} (''Bog, bogatyj, blago, Gospod'': 신, 부유한, 축복, 주)와 같은 특정 러시아어 단어를 (''Bog'', "신")는 항상 주격에서 {{IPAru로 발음된다.[1]
러시아어 명사 소유격 어미 v/-ого, -его}}에서 'Г'는 {{IPAblinkru를 나타내며, сегодняru ("오늘", сего дняru에서 유래)라는 단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Г'는 두 개의 러시아어 단어, 즉 мягкийru와 лёгкийru, 그리고 그 파생어에서 카 앞에 올 때는 무성음 (가 아님)를 나타낸다.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또는 독일어에서 유래된 단어의 라틴 문자 'h'는 일반적으로 카 대신 'Г'로 음역된다. ''''h'''ero' → '''г'''еройru, ''''h'''amburger' → '''г'''амбургерru, '''''하이든''''' → '''Г'''айднru. 이는 때때로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어의 "Harry"와 "Gary"/"Garry"는 러시아어에서 동일하게 표기된다(예: Гарри Поттер). 'h'를 쓰기 위해 'Г'를 사용하는 이유는 'Г'가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및 일부 러시아 방언에서 'h'에 사용된다는 사실과 카가 너무 거칠게 들린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새로운 차용어(특히 영어에서)에서는 종종 카가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를 나타낸다.
3. 1. 3. 남슬라브어
표준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불가리아어 및 마케도니아어에서 문자 Г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단어의 마지막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되어 발음된다.
3. 2. 비슬라브어
많은 비슬라브어에서 ⟨г⟩는 /ɡ/와 /ʁ~ɣ/ 두 소리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후자는 주로 튀르크어와 일부 핀-우그리아어에서 나타난다).
오세트어는 인도이란어족 언어로, 코카서스 지역에서 사용되는데, ⟨г⟩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를 나타낸다. 그러나 ⟨гъ⟩ 이중 자음은 유성 구개수 마찰음 /ʁ/를 나타낸다.
원칙적으로 를 나타낸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ɦ/ (일본어의 "は、へ、ほ"와 같은 소리)을 나타낸다.
벨라루스어에서는 /ɣ/을 나타낸다.
4. 관련 문자
- Γ γ: 그리스 문자 감마
- G g: 라틴 문자 G
- H h: 라틴 문자 H,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에서와 같이 로마자 표기
- Z z: 라틴 문자 Z, 이탤릭체 키릴 문자 Г (게)의 대체 형태
- Ґ ґ: 위로 꺾인 게 문자, 우크라이나어에서 게라고 불리는 문자 ''g''
- Ѓ ѓ: 키릴 문자 Gje
- Ғ ғ: 키릴 문자 가인
- R r: 라틴 문자 R (소문자)
-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통화 기호)
- 특히 옛날 러시아어에서는 외래어 "H"나 의 음을 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차용 시기가 오래된 경우에는 현대에도 가 사용되고 있다. (예: (영웅), (요코하마) → 현대에는 나 가 더 일반적이다. 현대 발음은 모두 야코하마)
- 러시아어의 나 라는 표기는 어말에 오면 가 의 발음이 되는 경우가 많다. 어말이 아니더라도 (오늘)처럼 복합어에서 유래된 특수한 경우가 있다.
- 러시아어의 , 와 그 파생어와 에서는 로 발음된다.
- 우크라이나어에서 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를 사용한다. 일상적으로는 와 의 발음은 구별 없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표기할 때도 대신 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 우크라이나 억양의 러시아어에서도 를 나타낸다.
- 우크라이나의 통화 흐리우냐(Uk: ''гривня'')의 통화 기호('''₴''')에 사용된다. 약칭은 ""
- 아제르바이잔어의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Q에 해당한다.
5. 컴퓨팅 코드
KOI8-R 및 KOI8-U에서 대문자 Г는 E7, 소문자 г는 C7이다. CP 855에서 대문자 Г는 AD, 소문자 г는 AC이다. 윈도우 1251과 ISO-8859-5에서 대문자 Г는 C3/B3, 소문자 г는 E3/D3이다. 맥 키릴에서 대문자 Г는 83, 소문자 г는 E3이다.
6. 문화적 참조
러시아 제국에서 이 글자의 이름인 '글라고'는 Г자 모양의 교수대를 비공식적으로 지칭하는 말이었다.[2]
:사방은 황무지, 야생, 가난뿐,
:저 옆에는 글라고가 솟아 있고,
:그 글라고에 두 개의 시체가
:매달려 있다. 검은 까마귀 떼가
:울며 날아가네...
:알렉산드르 푸시킨, 1836[2]
옛 러시아어에서는 외래어 "H"나 {{IPAuk의 음을 Гru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Хru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차용 시기가 오래된 경우에는 현대에도 Гru가 사용되고 있다. (예: геройru(영웅), Йокогамаru(요코하마) → 현대에는 Йокохамаru나 Якохамаru가 더 일반적이다. 현대 발음은 모두 야코하마)
러시아어의 егоru나 огоru라는 표기는 어말에 오면 v/Г}}가 {{IPAru의 발음이 되는 경우가 많다. 어말이 아니더라도 сегодняru(오늘)처럼 복합어에서 유래된 특수한 경우가 있다.
러시아어의 мягкийru, лёгкийru와 그 파생어와 x/бог}}에서는 {{IPAru로 발음된다.
우크라이나어에서 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Ґuk를 사용한다. ɦ/Г}}는 와 의 발음은 구별 없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표기할 때도 Ґuk 대신 ɦ/Г}}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우크라이나 억양의 러시아어에서도 {{IPAuk를 나타낸다.
우크라이나의 통화 흐리우냐(Uk: ''гривня'')의 통화 기호('''₴''')에 사용된다. 약칭은 "''грн.''uk"
아제르바이잔어의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Q에 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gramota.r[...]
[2]
일반
Альфонс садится на коня…
https://www.cul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