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З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다. 그리스 문자 제타(Ζ)에서 유래되었으며, 라틴 문자 Z와 모양이 유사하다. 키릴 숫자 체계에서는 7의 값을 가지며, 다양한 슬라브어 및 비슬라브어에서 사용된다. 이 문자는 유성 치경 마찰음 /z/를 주로 나타내지만, 언어 및 음운 환경에 따라 다른 소리 값(예: /zʲ/, /s/, /ʒ/, /t͡s/)을 가질 수 있다.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불가리아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 키르기스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좡어에서는 과거에 성조 표기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З | |
---|---|
문자 정보 | |
이름 | 제 (Ze) |
설명 |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다. |
유니코드 이름 | 키릴 문자 대문자 제 (CYRILLIC CAPITAL LETTER ZE) |
유니코드 | 키릴 문자 소문자 제 (CYRILLIC SMALL LETTER ZE) |
코드값 | U+0417 (대문자) |
코드값 | U+0437 (소문자) |
![]() | |
기원 | 그리스 문자 제타 (Ζ ζ) |
숫자값 | 7 |
발음 | , |
로마자 표기 | z |
기타 | |
관련 문자 | 아라비아 숫자 3 |
관련 문자 | 키릴 문자 Э |
관련 문자 | Ȝ |
관련 문자 | Ʒ |
관련 문자 | 아르메니아 문자 Յ |
관련 문자 | 조지아 문자 ვ |
2. 역사와 모양
Ze는 그리스 문자 제타(Ζ ζ)에서 파생되었다.[1]
문자 З는 다음을 나타낼 수 있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 그 이름은 zemlja/землꙗcu였으며, "땅"을 의미했다. 문자의 모양은 원래 그리스 문자 '''Ζ''' 또는 라틴 문자 '''Z'''와 유사했으며, 하단에 꼬리가 있었다(). 이 변형의 대문자 형태()는 유니코드에 인코딩되어 있지만, 역사적으로 대소문자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1]
키릴 숫자 체계에서 Zemlja는 7의 값을 가졌다.
중세 키릴 필사본과 교회 슬라브어 인쇄본에는 Zemlja 문자의 두 가지 변형(з와 )이 있었다. 형태만 가장 오래된 ustav(uncial) 필기체에서 사용되었고, з는 후기 poluustav (half-uncial) 필사본과 타입스크립트에서 나타났으며, 두 변형의 비율은 약 1:1이었다.[1] 우크라이나의 필사자와 인쇄업자들은 초기 위치에서 З/з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렇지 않은 경우 를 사용했다(19세기 말까지 사용된 시스템). 러시아의 필사자와 인쇄업자들은 니콘 총대주교의 개혁 이후, 변형의 광범위한 사용을 з로 대체했다.[1] 그들은 여전히 두 개의 З가 연달아 나오는 경우 (18세기 중반까지 사용된 시스템)와 같이 이전 형태를 주로 사용했다.
시민 (Petrine) 문자는 문자의 한 가지 형태(З/з)만 가지고 있다. 그러나 특정 스타일의 글꼴에서는 Z/z와 유사한 모양을 사용할 수 있다.
서예 및 일반적인 손으로 쓴 텍스트에서 소문자 з는 밑줄 전체에 걸쳐 쓰여지거나 밑줄 아래 절반이 있고 루프가 있는 형태로 쓰여질 수 있다(러시아어의 경우, 20세기 중반부터 표준 모양). 그리스 문자 Ζ(제타)에서 유래되었으며, 라틴 문자 Z에 해당한다. 대응하는 글라골 문자는 Ⰸ (zemlja, 젬랴, 러시아어의 '토지'의 뜻)이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문화권에서 문자임을 명확히 할 경우 "Ze"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3. 음소
원칙적으로 를 나타낸다. 무성음화하는 경우에는 /s/가 된다.
3. 1. 러시아어
З는 유성 치경 마찰음 (/z/)을 나타내며,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 벨라루스어에서 사용된다. 러시아어에서 З는 구개음화되어 /zʲ/로 소리나기도 하고, 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무성 치경 마찰음 /s/ 또는 /sʲ/로 발음되기도 한다.
러시아어에서 "зж"와 "зш"는 각각 "жж"와 "шш"처럼 발음되며, "зч"(때로는 "здч")는 "щ"처럼 발음된다. "дз"는 우크라이나어에서 유성 치경 파찰음 /dz/ 또는 /dzʲ/로 발음될 수 있다. 오세트어의 철 방언에서는 /ʒ/ 또는 /z̠/로 소리나기도 한다.
몽골어에서는 무성 치경 파찰음 /t͡s/로 발음되며, 이는 독일어의 'z'와 유사하다.
З는 러시아어로 Ꙁ, ꙁ/зэ}}(제), 우크라이나어로 제, 불가리아어로 즈,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는 젬리야 ({{unicoderu), 키르기스어로는 제라고 읽는다.
3. 2. 기타 언어
З는 유성 치경 마찰음(/z/)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 벨라루스어)을 나타낸다. 러시아어에서 ь 또는 구개음화 모음이 뒤따르는 경우 /zʲ/로 발음된다(예: зеркало [ˈzʲer.kə.ɫə] '거울'). 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무성 치경 마찰음(/s/)으로, ь가 뒤따르는 경우 /sʲ/로 발음된다. 오세트어의 철 방언에서는 /ʒ/ 또는 /z̠/로 발음되지만, 디고론과 쿠다이라그에서는 /z/로 발음된다.
러시아어에서 зж와 зш는 각각 жж와 шш처럼 발음되며, з가 전치사의 마지막 글자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예: без жены '아내 없이', из школы '학교에서'). зч (때로는 здч)는 щ처럼 발음된다(예: рассказчик '화자', звёздчатый '별 모양의', без чая '차 없이').
дз는 유성 치경 파찰음(/dz/) (우크라이나어 дзеркало '거울') 또는 그 구개음화된 형태 /dzʲ/ (벨라루스어 гадзіннік '시계')로 발음될 수 있다. 대부분 우크라이나어, 루신어, 벨라루스어에서 사용되며, д와 з가 다른 형태소에 속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발음된다. 오세트어의 표준 철 방언에서 이 클러스터는 단순히 /z/를 나타내지만, 다른 방언은 파찰음 /d͡z/로 취급한다.
몽골어에서는 무성 치경 파찰음(/t͡s/)으로, 독일어 z와 유사하게 발음된다.
4. 알파벳상의 위치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의 아홉 번째 문자이며, 우크라이나어의 열 번째 문자, 불가리아어의 여덟 번째 문자이다.
5. 좡어에서의 사용
키릴 문자 제(З)와 유사한 문자(실제로는 숫자 3을 양식화한 것)는 1957년부터 1986년까지 라틴 좡어 문자에서 세 번째 (높은) 성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1986년, 이 문자는 j/j영어로 대체되었다.
중국에서 1957년에 제정된 좡어 표기법에서는 아라비아 숫자 3과 글자 모양이 유사하다는 이유로 제3성(고평조)을 나타내는 성조 기호로 채택되었지만, 1981년에 수정된 신 표기법에서는 라틴 문자 j로 변경되었다.
6. 컴퓨팅 코드
З는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표현되기 위해 여러 문자 인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KOI8-R 및 KOI8-U에서 대문자 З는 FA, 소문자 з는 DA로 표현된다. 코드 페이지 855에서 대문자 З는 F4, 소문자 з는 F3이다. 코드 페이지 866에서는 대문자 З가 87, 소문자 з가 A7로 표현된다. Windows-1251에서는 대문자 З는 C7, 소문자 з는 E7이다. ISO-8859-5에서 대문자 З는 B7, 소문자 з는 D7이다. 매킨토시 키릴 문자에서 대문자 З는 87, 소문자 з는 E7로 표현된다.
7. 관련 문자
- 3: 숫자 3
- Ζ ζ: 그리스 문자 제타
- Z z: 라틴 문자 Z
- Ʒ ʒ: 라틴 문자 에즈
- Ȝ ȝ: 라틴 문자 요그
- Ɜ ɜ: 라틴 문자 거꾸로 된 열린 E
- Ҙ ҙ: 키릴 문자 데 또는 제 (내림세)
- Ӡ ӡ: 키릴 문자 압하지아 제
- Ԑ ԑ: 키릴 문자 반전 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