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Й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다. 15~16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우크라이나어, 카자흐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러시아어에서는 11번째 문자이며, 이중 모음을 나타내거나 외래어를 표기할 때 사용된다. 다른 언어에서는 고유한 음가를 가지거나 다른 문자로 대체되기도 한다. 이 문자는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자 - U
U는 라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주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u/ 소리를 내지만, 언어에 따라 /y/나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세미트 문자 와우에서 기원하여 웁실론을 거쳐 라틴 알파벳에 정착했고, V와 함께 쓰이다가 17세기 이후 분리되었으며, 우라늄 기호, 합집합 기호, 랙 유닛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Й | |
---|---|
문자 정보 | |
종류 | 키릴 문자 |
음성 | , , , |
해당 발음 (한국어) | 야, 여, 요, 유, 이, 의 |
다른 표기 | |
인코딩 | |
유니코드 | Й, й |
명칭 | |
러시아어 | и краткое (이 크라트코예) |
영어 번역 | Short I (짧은 I) |
2. 역사
'Й' (정확히는 'И' 위에 붙는 브레베)는 15세기와 16세기경부터 활발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17세기 중반부터 'И'와 'Й'의 구분은 러시아어에도 사용되는 교회 슬라브어의 러시아어 변형 표기에서 의무적으로 사용되었다. 표트르 1세의 표기 개혁 과정에서 모든 구두점이 제거되었지만, 그가 죽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1735년에 'И'와 'Й'의 구분이 복원되었다.[2] 1930년대까지 'Й'는 공식적으로 별개의 문자로 간주되지 않았다.
'Й'는 여러 슬라브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에서 사용되며, 각 언어마다 이름과 알파벳 순서가 다르다. 러시아어에서는 주로 이중모음을 이루는 형태로 나타나며, 외래어 표기에도 사용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Ј'로 표기하고, 폴란드어와 체코어 등에서는 로마자 'J'를 사용한다.
개혁 이전 표기법에서는 'Й'가 자음이 아닌 모음으로 간주되어 단어 끝에 경음 부호를 붙일 필요가 없었다.
3. 쓰임새
3. 1. 각 언어별 쓰임새
언어 | 알파벳순 | 이름 |
---|---|---|
벨라루스어 | 11번째 | 이 네스클라도바예 (і нескладовае) |
불가리아어 | 10번째 | 이 크라트코 (И кратко) |
러시아어 | 11번째 | 이 크라트코예 (И краткое) |
우크라이나어 | 14번째 | 요트 (йот), 이 (й) |
카자흐어 | 13번째 | 키스카 이 (қысқа й) |
러시아어에서 이 문자는 주로 이중모음에서 나타난다.[3]
- - 예: 'широк'''ий'''' (시로키)
- - 예: 'кр'''ай'''' (크라이)
- - 예: 'дол'''ей'''' (돌레이)
- - 예: 'гор'''ой'''' (고로이)
- - 예: 'б'''уй'''ство' (부이스트보)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외래어에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뉴욕 시'는 'Нью-Йорк'라 표기한다. 슬라브어 외래어인 경우에도 쓰는데 '요보비치' (Йовович)가 대표적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같은 소리를 키릴 문자의 'Ј'로 표기한다. 폴란드어, 체코어와 같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슬라브어 표기 시스템은 라틴 문자 J를 사용한다.(영어의 문자 Y가 아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의 로마자 표기가 'Sarajevo'인 것도 이 때문이다.
카자흐어에서 이 문자는 단모음 ɪkk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 бер'''ей'''ік ((우리에게) '''주세요''')). 이 문자는 다른 11개의 키릴 문자와 마찬가지로 다른 라틴어 버전이 없으며 Ии (İi)와 병합된다.
3. 2. 러시아어에서의 쓰임새
러시아어에서 'Й'는 다른 모음과 함께 이중모음을 이룰 때 주로 사용된다.[3]- - 예: 'широк'''ий''' (широкий|시로키ru)
- - 예: 'кр'''ай''' (край|크라이ru)
- - 예: 'дол'''ей''' (долей|돌레이ru)
- - 예: 'гор'''ой''' (горой|고로이ru)
- - 예: 'б'''уй'''ство' (буйство|부이스트보ru)
이중모음이 아닌 경우에는 대부분 외래어에 사용된다.[3] 예를 들어 '뉴욕'은 'Нью-Йорк'로 표기한다. '요보비치'(Йовович)처럼 슬라브어에서 온 외래어에도 쓰인다.[3]
3. 3. 기타 언어에서의 쓰임새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같은 소리를 키릴 문자 'Ј'로 표기한다. 폴란드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로마자 표기법 등에서는 로마자 'J'를 쓴다. (예: 사라예보의 로마자 표기 'Sarajevo')[3] 불가리아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단어의 첫머리에서도 사용되며, 음절의 첫머리에서 "йо-" /jo/와 같이 사용된다.4. 음소
원칙적으로 й|ru는 /j/를 나타낸다.
5. 관련 문자
6. 컴퓨팅 코드
인코딩 | 대문자 | 소문자 |
---|---|---|
KOI8-R, KOI8-U | EA | CA |
코드 페이지 855 | BE | BD |
코드 페이지 866 | 89 | A9 |
윈도우 1251 | C9 | E9 |
ISO-8859-5 | B9 | D9 |
매킨토시 키릴 | 89 | E9 |
참조
[1]
서적
The Russian Graphosphere, 1450-18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5-16
[2]
서적
Language dynamics in the early modern period
https://www.worldcat[...]
2022
[3]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2018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nomics, Social Science, Arts, Education and Management Engineering (ESSAEME 2018)
Atlantis Press
201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