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Ш (샤)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다. 이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의 신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글라골 문자에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다. Ш는 무성 치경 후 마찰음 /ʃ/ 또는 /ʂ/를 나타내며, 슬라브어 및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수학에서는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Ш | |
---|---|
문자 정보 | |
종류 | 키릴 문자 |
모양 | 대문자 및 소문자 |
유니코드 이름 | 키릴 문자 대문자 Sha, 키릴 문자 소문자 Sha |
유니코드 위치 | U+0428 (대문자), U+0448 (소문자) |
HTML 엔티티 | "& #1064;" (대문자), "& #1096;" (소문자) |
발음 | |
국제 음성 기호 | /ʂ/, /ʃ/, /ɕ/ |
해당 발음 | "sh" 소리 |
문자 인코딩 | |
문자 집합 | ISO/IEC 8859-5 유니코드 |
사용 언어 | |
언어 |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보스니아어 기타 키릴 문자 사용 언어 |
관련 문자 | |
라틴 문자 | Š š |
히브리 문자 | ש |
기타 | Ɯ |
아르메니아 문자 | ա |
2. 역사
샤(Ш, ш)는 가장 오래된 기원을 페니키아 문자의 신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Σ, σ, ς)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히브리 문자의 신(ש)과 형태가 유사한데, 이는 샤와 히브리 문자 신 모두 동일한 원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Ш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여러 슬라브어 계열 언어 및 일부 비슬라브어 언어의 알파벳에 포함된 문자이다.
샤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가 만든 글라골 문자에서 이미 현재와 같은 형태(Ⱎ)를 갖추고 있었다. 대부분의 키릴 문자 형태는 그리스 문자에서 유래했지만, 그리스 문자에는 '샤'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가 없었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외래어의 'sh' 소리를 표기할 때 단순히 시그마(Σ/σ/ς)를 사용한다.) 따라서 글라골 문자의 샤(Ⱎ)가 변경 없이 키릴 문자로 채택된 것으로 보인다.
다른 가설로는 콥트 문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콥트 문자는 그리스 문자와 유사하지만 끝에 몇 글자가 추가되었는데, 여기에 샤(Ш) 및 쉬차(Щ, щ)와 외형이 다소 유사한 '샤이'(Ϣϣ)라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샤가 아랍 문자 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사용
3. 1. 언어별 사용
Ш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모든 슬라브어의 알파벳과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비슬라브어 언어에서 사용된다. 알파벳 내에서의 위치와 이 문자가 나타내는 소리는 언어마다 다르다.
언어 | 알파벳 내 위치 | 표현되는 소리 | 로마자 표기 |
---|---|---|---|
벨라루스어 | 27번째 | 무성 치경 후 마찰음 | sh |
불가리아어 | 25번째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sh |
마케도니아어 | 31번째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š 또는 sh |
러시아어 | 26번째 | 무성 치경 후 마찰음 | sh |
세르비아어 | 30번째 | 무성 치경 후 마찰음 | š |
우크라이나어 | 29번째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sh |
우즈베크어 (1940–1994) | 20번째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sh |
몽골어 | 28번째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š |
카자흐어 | 34번째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 ş |
키르기스어 | 29번째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ş |
둥간어 | 32번째 | 무성 치경 후 마찰음 | sh |
기타 슬라브어가 아닌 언어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4. 수학에서의 사용
키릴 문자 Ш는 수학에서 여러 개념을 나타내는 데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 대수기하학에서 아벨 다양체 ''A''와 체 ''K''에 대한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은 Ш(''A''/''K'')로 표기한다. 이 표기법은 J. W. S. 캐슬스가 처음 제안했으며, 이전에는 ''TS''로 표기되었다. Ш 표기는 러시아 수학자 이고르 샤파레비치(Шафаре́вич|샤파레비치ru)의 성 첫 글자 '샤'(Ш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 일부 수학자들은 디랙 콤(빗살 함수)을 '샤 함수'(Shah function)라고 부르며, 이때 문자 Ш의 모양을 따서 표기하기도 한다.
- 셔플 곱은 종종 소문자 ш로 표기된다.[1]
5. 관련 문자
Ш(Ш, ш)는 가장 오래된 기원을 페니키아 문자의 신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리스 문자 시그마(Σ, σ, ς)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히브리 문자의 신 (ש)과 형태가 유사하며, 이는 동일한 원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Ш는 이미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글라골 문자에서 현재의 형태(Ⱎ)를 갖추고 있었다. 대부분의 키릴 문자 형태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되었지만, Ш 소리를 나타내는 그리스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글라골 문자 샤 (Ⱎ)가 변경 없이 채택되었다. 또한 Ш가 그리스 문자와 같지만 마지막에 몇 글자가 추가된 콥트 문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는 Ш와 Щ, щ의 외형과 다소 유사한 "샤이" (Ϣϣ)라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Ш가 아랍 문자 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 ش: 아랍 문자 ش
- श: 데바나가리 문자 श
- ष: 데바나가리 문자 ष
- श़: 데바나가리 문자 श़
- Ⱎ: 글라골 문자 샤/ša
- Ⱋ: 글라골 문자 슈타/šta 또는 쉔/šča
- Щ щ: 키릴 문자 슈차
- ⧢: 셔플 곱
- Ʃ ʃ: 라틴 문자 에쉬
- Š š: 라틴 문자 S에 캐론
- Ŝ ŝ: 라틴 문자 S에 서컴플렉스
- Ş ş: 라틴 문자 S에 세딜라
- Ș ș: 라틴 문자 S에 콤마 아래
6. 컴퓨팅 코드
wiki
인코딩 | 대문자 Ш (U+0428) | 소문자 ш (U+0448) |
---|---|---|
유니코드 (16진) | 0428 | 0448 |
문자 참조 (16진) | Ш | ш |
문자 참조 (10진) | Ш | ш |
JIS X 0213 | 1-7-26 | 1-7-74 |
KOI8-R, KOI8-U (16진) | FB | DB |
CP855 (16진) | F6 | F5 |
CP866 (16진) | 98 | E8 |
Windows-1251 (16진) | D8 | F8 |
ISO-8859-5 (16진) | C8 | E8 |
Macintosh Cyrillic (16진) | 98 | F8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