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샘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슴샘종은 가슴샘의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이다. 흉통, 기침,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증근무력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되기도 한다. 흉부 엑스레이나 CT 스캔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병리학적으로는 A형, B형, AB형으로 분류되며, CT 스캔과 생검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수술이 주를 이루며, 종양의 크기나 침윤 정도에 따라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을 병행할 수 있다. 마사오카 병기 시스템을 통해 병기를 분류하며, 병기에 따라 예후가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희귀암 - 중피종
중피종은 석면 노출이 주요 원인이며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흉막, 복막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진단은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수술, 항암 치료 등을 병행하며 예후는 좋지 않다. - 희귀암 - 성인 T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은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 1형에 의해 유발되는 고위험성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종으로, 고칼슘혈증, 피부 질환, 용해성 골병변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급성형, 림프종형, 만성형, 연성형으로 분류된다.
가슴샘종 | |
---|---|
일반 정보 | |
![]() | |
분야 | 종양학 심장흉부외과 |
발병 시기 | 성인기 |
치료 | 외과적 제거, (악성인 경우) 화학 요법 |
증상 및 합병증 | |
증상 | (정보 없음) |
합병증 | (정보 없음) |
원인 및 위험 요소 |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소 | (정보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정보 없음) |
예방 및 예후 | |
예방 | (정보 없음) |
예후 | (정보 없음) |
약물 및 빈도 | |
약물 | (정보 없음) |
빈도 | (정보 없음) |
2. 징후 및 증상
흉선종 환자의 3분의 1은 종양이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발생하는 증상을 겪는다. 이러한 증상에는 상대정맥 증후군, 연하곤란(삼킴 곤란), 기침, 흉통 등이 있다.[2]
가슴샘종은 가슴샘의 상피 세포에서 기원하며, 현재 여러 가지 현미경적 아형이 인식되고 있다.[2] 가슴샘종에는 현미경으로 세포의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주요 조직학적 유형이 있다.
환자의 3분의 1은 연관된 자가면역 질환 때문에 종양이 발견된다. 가장 흔한 관련 질환은 중증근무력증이다.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10~15%는 흉선종을 가지고 있으며, 반대로 흉선종 환자의 30~45%는 중증근무력증을 앓고 있다. 그 외에 연관된 자가면역 질환으로는 흉선종 관련 다발성 장기 자가면역, 적혈구 무형성증, 굿 증후군(복합 면역 결핍 및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을 동반한 흉선종) 등이 있다. 이외에도 급성 심낭염, 무과립구증, 원형탈모증, 궤양성 대장염, 쿠싱병, 용혈성 빈혈, 변연계 뇌병증, 심근염, 신증후군, 범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악성 빈혈, 다발성 근염, 류마티스 관절염, 사르코이드증, 경피증, 감각 운동 신경근병증, ''경직-인간 증후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갑상선염 등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2][4]
흉선종 환자의 3분의 1에서 2분의 1은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다른 문제로 시행한 흉부 엑스레이 또는 CT 스캔에서 우연히 종괴가 발견된다.[2]
3. 병리학
가슴샘 피질 상피 세포는 풍부한 세포질, 미세하게 분열된 염색질과 작은 인, 그리고 인접 세포와 접촉하는 세포질 필라멘트를 가진 소포성 핵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가슴샘 수질 상피 세포는 타원형의 조밀한 핵과 적은 세포질을 가진 방추형이다. 가슴샘종이 피질 세포의 특징을 더 재현할 경우 덜 양성으로 간주된다.
난원형 및 방추형 종양 세포로 구성된 '''A형 가슴샘종'''과 원형 및 다각형 종양 세포로 구성된 '''B형 가슴샘종''', 그리고 이들이 혼재된 '''AB형 가슴샘종'''으로 분류되며, B형 가슴샘종은 추가적으로 종양 세포의 형태와 수반되는 미성숙 T 림프구의 많고 적음에 따라 B1, B2, B3형으로 세분된다.
면역 염색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미성숙 T 림프구의 동정 | CD1a, TdT |
가슴샘 상피 세포 | p63, 사이토케라틴(AE1/AE3, CK5/6), EMA |
4. 진단
가슴샘종은 흉부 X레이나 CT/CAT 스캔을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가슴샘종이 의심되면 CT/CAT 스캔을 통해 종양의 크기와 범위를 확인하고, CT 유도 바늘 생검으로 조직 샘플을 채취한다. 혈관 조영 증가는 악성 종양의 징후일 수 있다.[2]
진단은 병리학자가 조직 샘플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내린다. 또한, 전혈구 수치, 단백질 전기영동,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전해질, 간 효소, 신장 기능 검사 등을 통해 관련 문제나 종양 확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
가슴샘종은 A형, B형, AB형으로 분류되며, B형은 다시 B1, B2, B3형으로 세분된다. 면역 염색을 통해 미성숙 T 림프구(CD1a, TdT)와 가슴샘 상피 세포(p63, 사이토케라틴, EMA)를 확인할 수 있다.
4. 1. 감별 진단
가슴샘종이 의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종양의 크기와 범위를 추정하기 위해 CT/CAT 스캔을 수행하고, CT 유도 바늘 생검으로 병변의 샘플을 채취한다. CT 스캔에서 혈관 조영의 증가는 악성 종양의 징후일 수 있으며, 흉막 침착물도 마찬가지이다.[2] 제한적인 생검은 기종격동 또는 종격동염의 매우 작은 위험과 심장 또는 큰 혈관 손상의 훨씬 더 낮은 위험과 관련이 있다. 때때로 가슴샘종은 예를 들어 복부로 전이된다.[6]
진단은 종괴의 조직 샘플을 얻은 후 병리학자에 의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최종 종양 분류 및 병기는 흉선 종양을 외과적으로 제거한 후 병리학적으로 수행된다.
선택된 실험실 검사를 사용하여 관련 문제 또는 가능한 종양 확산을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전혈구 수치, 단백질 전기영동,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중증 근무력증의 징후), 전해질, 간 효소 및 신장 기능 검사 등이 포함된다.[2]
가슴샘종과 감별해야 할 질환은 다음과 같다.
4. 2. 병기
마사오카 병기 시스템은 널리 사용되며, 수술 시 질병의 해부학적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7]병기 | 설명 |
---|---|
I기 | 완전하게 피막으로 둘러싸임 |
IIA기 | 피막을 통한 미세한 침윤이 주변 지방 조직으로 확장됨 |
IIB기 | 피막으로의 육안적인 침윤 |
III기 | 인접 장기로의 육안적인 침윤 |
IVA기 | 흉막 또는 심낭 임플란트 |
IVB기 | 원격(흉강 외) 부위로의 림프성 또는 혈행성 전이 |
5. 치료
수술은 가슴샘종 치료의 주된 방법이다. 종양이 침윤성이 있고 큰 경우, 수술을 시도하기 전에 종양의 크기를 줄이고 절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수술 전(보조 요법) 화학 요법 및/또는 방사선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종양이 초기 단계(마사오카 I~IIB)인 경우 추가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성인의 가슴샘 제거는 면역 결핍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아의 경우 수술 후 면역력이 비정상적일 수 있으므로 여러 감염성 병원체에 대한 예방 접종이 권장된다. 침윤성 가슴샘종은 방사선 요법 및 화학 요법(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시스플라틴)으로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2][8] 가슴샘종 재발은 수술 절제 후 최대 10년까지 10~30%의 사례에서 보고되며, 대부분의 경우 흉막 재발 또한 제거할 수 있다. 최근에는 흉막 재발의 외과적 제거 후 고온 흉강 관류 화학 요법 또는 흉강 내 고온 관류 화학 요법(ITH)을 시행할 수 있다.[9]
- 외과적 절제
- 방사선 치료 -- 리니악 조사 등.
6. 예후
1기 및 2기 종양에 비해 3기 또는 4기 가슴샘종의 경우 예후가 훨씬 더 좋지 않다. 침윤성 가슴샘종은 드물게 전이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7%의 경우 흉막, 뼈, 간 또는 뇌로 전이된다.[2] 한 연구에 따르면, 3기 및 4기 종양 환자의 40% 이상이 진단 후 최소 10년 이상 생존했다. 가슴샘종 진단 당시 이 환자들의 중앙 연령은 57세였다.[10]
가슴샘종으로 가슴샘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황열병 예방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부작용에 대해 경고를 받아야 한다. 이는 살아있는 약독화 황열병 백신에 대한 부적절한 T세포 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사망 사례가 보고되었다.
참조
[1]
간행물
Thoracic Tumors
IARC
2021
[2]
논문
Thymoma: state of the art
1999-07
[3]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Elsevier
2018-05
[4]
논문
Thymoma associated with autoimmune diseases: 85 cases and literature review
2016-01
[5]
논문
Histologic typing of thymoma according to the new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2001-05
[6]
논문
A malignant retroperitoneal mass – a rare presentation of recurrent thymoma
2011-12
[7]
논문
Follow-up study of thymoma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clinical stages
1981-12
[8]
웹사이트
NCCN Thymoma Guidelines
https://thymicuk.org[...]
2016
[9]
논문
Pleural recurrence of thymoma: surgical resection followed by hyperthermic intrathoracic perfusion chemotherapy
2016
[10]
논문
Clinical and pathologic predictors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thymoma
1999-10
[11]
서적
Thoracic Tumours
https://publicat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12]
문서
立山尚 胸腺腫瘍の病理診断-針生検標本を含めて外科病理診断の手引き 外部リンク参照
[13]
논문
Chemotherapy for invasive thymoma. A 13-year experience.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