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플라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스플라틴은 사각 평면형 분자 구조를 가진 백금 기반의 항암제로, 1964년 발견되어 1970년대에 고환암과 난소암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DNA와 결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지며, 육종, 폐암, 림프종 등 다양한 암 치료에 사용된다. 신장 손상, 신경 독성, 오심, 구토, 이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요법 - 이마티닙
이마티닙은 Bcr-Abl 티로신 키나아제를 포함한 여러 티로신 키나아제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표적 항암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과 위장관기질종양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FDA 승인 후 CML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고, 사회경제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암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약물로 평가받는다. - 화학요법 - 다우노루비신
다우노루비신은 DNA에 삽입되어 복제와 전사를 억제하는 항암제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신경모세포종 치료에 사용되며, 암세포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고 다른 항암제 원료나 유사 약물 제조에도 사용되지만 심각한 심장 독성 부작용이 있다. - 암 치료 - 이마티닙
이마티닙은 Bcr-Abl 티로신 키나아제를 포함한 여러 티로신 키나아제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표적 항암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과 위장관기질종양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FDA 승인 후 CML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고, 사회경제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암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약물로 평가받는다. - 암 치료 - 면역요법
면역요법은 면역 체계를 조절하여 암, 자가면역 질환, 알레르기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면역 조절제, 면역 활성화 요법, 면역 억제 요법 등을 포함한다. - 배위 화합물 - Alq3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네이트)알루미늄(Alq₃)은 자오면 및 안면 이성질체와 여러 다형체를 가지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전자 수송층 물질로 널리 쓰이고 퀴놀린 고리의 치환기 변화를 통해 발광 특성 조절이 가능하다. - 배위 화합물 - 프러시안 블루
프러시안 블루는 1706년경 독일에서 우연히 합성된 최초의 안정적이고 내광성이 있는 파란색 안료로, 예술, 군복, 의약품, 분석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최근에는 배터리 재료로도 연구되고 있다.
시스플라틴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IUPAC 명칭 | (SP-4-2)-다이아민다이클로리도플래티넘(II) |
기타 명칭 | 시스플라틴 플라타민 네오플라틴 시스마플라트 시스-다이아민다이클로리도플래티넘(II) (CDDP) |
Drugs.com | 시스플라틴 |
MedlinePlus | a684036 |
DailyMedID | 시스플라틴 |
임신 주의 등급 (호주) | D |
임신 주의 등급 (미국) | N |
법적 규제 (호주) | S4 |
법적 규제 (캐나다) | Rx-only |
법적 규제 (영국) | POM |
법적 규제 (미국) | Rx-only |
투여 경로 | 정맥 주사 |
ATC 코드 | L01XA01 |
생체 이용률 | 100% (정맥 주사) |
단백질 결합률 | > 95% |
대사 | 해당 정보 없음 |
제거 반감기 | 30–100시간 |
배설 | 신장 |
CAS 등록번호 | 15663-27-1 |
PubChem CID | 2767 |
DrugBank | DB00515 |
ChemSpider ID | 76401 |
UNII | Q20Q21Q62J |
KEGG | D00275 |
ChEBI | 27899 |
ChEMBL | 2068237 |
PDB ligand | CPT |
화학식 | [Pt(NH3)2Cl2] |
SMILES | [NH3+][Pt+2](Cl)(Cl)[NH3+] |
StdInChI | 1S/2ClH.2H3N.Pt/h2*1H;2*1H3;/q;;;;+2/p-2 |
StdInChIKey | LXZZYRPGZAFOLE-UHFFFAOYSA-L |
약물 정보 | |
![]() | |
![]() | |
![]() | |
상품명 | 플라티놀 기타 |
일본 약품 정보 | |
화학식 | Cl2H6N2Pt |
분자량 | 300.05 |
단백질 결합률 | 98% (24시간) |
제거 반감기 | 20〜30분 |
배설 | 뇨중 |
법적 지위 | 독극물 지정의약품 처방전 의약품 |
투여 경로 | 점적 정맥 주사 |
2. 역사
시스플라틴은 1845년 이탈리아 화학자 미켈레 페이론(Michele Peyrone)에 의해 처음 합성되어 "페이론염"으로 불렸으며,[32][33][53] 1893년 알프레드 베르너(Alfred Werner)에 의해 그 구조가 밝혀졌다.[34] 1964년 미시간 주립 대학교의 생물리학자 바넷 로젠버그(Barnett Rosenberg)와 그의 연구팀은 박테리아 성장에 대한 전기장의 영향 연구 과정에서 우연히 시스플라틴의 항암 효과를 발견했다. 이후 시스플라틴은 개발된 최초의 항암제가 되었다.[42]
2. 1. 발견
1964년, 미시간 주립 대학교의 생물리학자 바넷 로젠버그(Barnett Rosenberg)와 그의 연구팀은 박테리아 성장에 미치는 전기장의 영향을 연구하던 중 시스플라틴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두 개의 백금 전극 사이에 박테리아균을 놓고 전류를 통과시켰을 때 박테리아의 세포 분열이 멈추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들은 박테리아균에서 추출한 백금 함유 물질이 세포 분열을 중단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전기 분해 과정을 통해 이 물질에 암모니아(ammonia|암모니아영어)와 Cl- 이온을 첨가하여 다양한 백금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이 중 가장 효과적인 화합물이 시스플라틴이었다.[35]시스플라틴(cis-[Pt(NH3)2Cl2])은 1845년 이탈리아 화학자 미켈레 페이론(Michele Peyrone)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오랫동안 페이론염으로 알려져 있었다.[32][33] 그 구조는 1893년 알프레드 베르너(Alfred Werner)에 의해 밝혀졌다.[34] 1965년, 미시간 주립 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의 바넷 로젠버그(Barnett Rosenberg)와 밴 캠프(Van Camp) 등은 백금 전극의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수용성 백금 착물이 ''대장균''(''E. coli'') 박테리아의 이분법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박테리아 세포의 성장은 계속되었지만 세포 분열은 정지되었고, 박테리아는 정상 길이의 최대 300배에 달하는 필라멘트 형태로 자랐다.[35] 팔면체 Pt(IV) 착물 시스-[PtCl4(NH3)2]는 트랜스 이성질체와 달리 ''대장균'' 세포의 필라멘트 성장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사각형 평면 Pt(II) 착물 시스-[PtCl2(NH3)2]는 필라멘트 성장을 유도하는 데 훨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6][37]
2. 2. 개발 및 임상 적용
1965년 미시간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의 바넷 로젠버그(Barnett Rosenberg)와 밴 캠프(Van Camp) 등은 백금 전극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수용성 백금 착물이 ''대장균''(''E. coli'')의 이분법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5] 박테리아 세포 성장은 계속되었지만 세포 분열은 정지되었고, 박테리아는 정상 길이의 최대 300배에 달하는 필라멘트 형태로 자랐다.[35] 이는 시스-[PtCl2(NH3)2]가 쥐의 육종 크기를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관찰로 이어졌다.[38] 이러한 발견의 확인과 다른 종양 세포주에 대한 시험 확장은 시스플라틴의 의학적 응용을 시작하게 했다.1972년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의 지도하에 임상시험이 시작되었지만, 강한 신독성 때문에 일단 개발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이후 시스플라틴 투여 시 다량의 수분 공급과 함께 이뇨제를 사용함으로써 신장 장애를 경감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임상 개발을 통해 1978년 12월 19일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고환암과 난소암 치료제로 승인되었고,[2][39][40] 1979년 영국(그리고 다른 여러 유럽 국가들)에서 승인되었다.[41] 1983년에는 일본에서 승인되었다.
1983년 소아 종양학자 로저 패커(Roger Packer)는 소아 수모세포종 치료를 위한 보조 화학요법에 시스플라틴을 포함하기 시작했다.[43] 그가 개발한 새로운 프로토콜은 수모세포종 환자의 무병 생존율을 약 85%까지 크게 증가시켰다.[44] 패커 프로토콜은 그 이후로 수모세포종의 표준 치료법이 되었다. 시스플라틴은 고환암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사용하여 치유율이 10%에서 85%로 향상되었다.[9]
3. 화학적 특성
시스플라틴은 DNA와 킬레이트 고리를 형성하여 항암 작용을 하는 백금 기반 화합물이다. 시스플라틴의 두 염화물(Cl) 리간드는 DNA의 구아닌 염기와 결합하여 교차 결합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DNA 이중 나선 구조가 변형(33° 휘어짐)되어 복제가 억제된다.[20][21] 이는 DNA 이중 나선이 분리되는 것을 막아 세포 분열에 필요한 효소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시스플라틴 투여 후, 염화물 이온 하나가 물 분자로 치환되어 수화물 착물(''cis''-[PtCl(NH3)2(H2O)]+)이 생성된다. 세포 내 낮은 염화물 농도로 인해 염화물 해리가 촉진되며,[20][21] 이 수화물 착물의 물 분자는 DNA의 구아닌 등 N-이종고리 염기에 쉽게 치환된다.[22] 이후 추가적인 염화물 치환을 통해 교차 결합이 형성된다.[2]
시스플라틴은 DNA에 다양한 방식으로 교차 결합을 형성하며, 특히 퓨린 염기와의 1,2-인트라스트랜드 교차 결합이 주를 이룬다. 1,2-인트라스트랜드 d(GpG) 부가물이 약 90%를 차지하며, 1,2-인트라스트랜드 d(ApG) 부가물도 형성된다. 1,3-인트라스트랜드 d(GpXpG) 부가물은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NER)에 의해 쉽게 제거된다. 인터스트랜드 교차 결합, 비기능성 부가물 등도 시스플라틴의 활성에 기여한다.[24][25]
시스플라틴의 두 Cl 원자가 같은 쪽에 있어야 DNA와 결합이 가능하므로, 트랜스 이성질체는 항암 효과가 없다.
3. 1. 화학 구조
시스플라틴은 사각 평면형 분자 구조를 가지는 배위 화합물로, 화학식은 ''cis''-[Pt(NH3)2Cl2]이다.[30][2] 여기서 ''cis''는 두 개의 유사한 리간드(이 경우에는 암모니아(NH3)와 염화물(Cl))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열된 기하 이성질체를 의미한다.[31] 분자 내의 암모니아 리간드는 유기 아민(amine)과 구별하기 위해 'ammine' (두 개의 'm' 사용)으로 표기한다.[30]
시스플라틴의 항암 효과는 DNA와의 결합 방식에 기인한다. 시스플라틴은 DNA 복제를 방해하여 빠르게 증식하는 암세포를 억제한다. 투여 후, 시스플라틴의 염화물 이온 하나가 물 분자로 치환되어 ''cis''-[PtCl(NH3)2(H2O)]+ (수화물 착물)가 생성된다.[20][21] 이 수화물 착물의 물 분자는 DNA의 구아닌 염기에 쉽게 치환되어 결합한다.[22]
시스플라틴은 DNA에 다양한 방식으로 교차결합을 형성하여 유사분열을 통한 세포 분열을 방해한다. 특히, 퓨린 염기와의 1,2-인트라스트랜드(intrastrand) 교차결합이 주로 형성되며, 이 중 1,2-인트라스트랜드 d(GpG) 부가물이 약 90%를 차지한다.[24] 이러한 DNA 손상은 DNA 복구 기작을 유발하며, 복구에 실패하면 세포자멸사가 활성화된다.[23]
반면, 시스플라틴의 ''trans'' 이성질체인 트랜스플라틴(''trans''-[PtCl2(NH3)2])은 항암 효과가 거의 없다. 이는 트랜스플라틴의 클로로 리간드가 ''trans'' 배열로 인해 화학적 반응성이 커져 DNA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화되기 쉽고, 입체 구조상 시스플라틴과 같은 1,2-인트라스트랜드 d(GpG) 부가체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29]
3. 2. 합성
시스플라틴은 테트라클로로플라티네이트(II)칼륨에서 시작한다. 여러 합성 방법이 존재하는데, 시스플라틴과 실험식이 같은 마그누스의 녹색염(MGS)이 쉽게 생성되는 것이 한 가지 어려움이다. MGS 생성을 피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Dhara가 처음 기술한 대로 K2PtCl4를 K2PtI4로 전환하는 것이다.[45][46] 암모니아와 반응하면 PtI2(NH3)2가 형성되며, 이는 노란색 화합물로 분리된다. 물에 질산 은을 첨가하면 불용성 요오드화 은이 침전되고, [Pt(OH2)2(NH3)2](NO3)2가 용액에 남는다. 염화 칼륨을 첨가하면 최종 생성물이 침전된다.[46] 트리요오도 중간체에서 두 번째 암모니아 리간드가 첨가되는 것은 트랜스 효과에 의해 조절된다.[46]
K2PtCl4로부터 시스플라틴을 합성하는 일솥 합성법도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아세트산암모늄으로부터 암모니아가 서서히 방출되는 것을 이용한다.[47]
시스플라틴 합성 반응은 Trans effect|트랜스 효과영어의 전형적인 예이다.[54] 테트라클로로백금(II)산 칼륨([PtCl4]2−)을 출발 물질로 한다. 첫 번째 NH3기는 4개의 Cl기 중 어느 것과도 무작위로 치환된다. 그러나 Cl−는 NH3보다 큰 트랜스 효과를 가져 그 트랜스 위치를 치환 활성으로 만들기 때문에, NH3기의 치환은 이미 존재하는 NH3기에 대해 트랜스 위치에서 잘 일어나지 않고, Cl기의 트랜스 위치에서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두 번째 NH3기는 시스형으로 치환된다. 한편, [Pt(NH3)4]2+가 출발 물질이라면, Cl기의 트랜스 효과 때문에 두 번째 Cl기는 첫 번째 Cl기의 트랜스 위치에 들어가고, 생성물은 트랜스형이 된다.
3. 3. 작용 기전
시스플라틴은 DNA와 킬레이트 고리를 형성하여 작용한다. 세포 분열 과정에서 시스플라틴의 두 염화물(Cl) 원자가 DNA의 같은 사슬에 있는 인접한 두 구아닌 염기의 질소 원자와 결합하여 교차 결합을 형성한다. 이 교차 결합은 DNA 이중 나선 구조를 33˚ 휘어지게 만들어 DNA 복제를 방해한다. DNA 이중 나선이 분리되는 것을 막아 세포 분열에 필요한 효소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20][21]시스플라틴 투여 후, 염화물 이온 하나가 물 분자로 천천히 치환되어 ''cis''-[PtCl(NH3)2(H2O)]+ (수화물 착물)을 생성한다. 세포 내 염화물 농도가 낮기 때문에 염화물의 해리가 촉진된다.[20][21] ''cis''-[PtCl(NH3)2(H2O)]+의 물 분자는 DNA의 N-이종고리 염기, 특히 구아닌에 의해 쉽게 치환된다.[22] [PtCl(구아닌-DNA)(NH3)2]+ 형성 후, 다른 염화물이 치환되면서 교차 결합이 발생한다.[2]
시스플라틴은 다양한 방식으로 DNA와 교차 결합을 형성하여 유사분열을 통한 세포 분열을 방해한다. 주요 DNA 변화는 퓨린 염기와의 1,2-인트라스트랜드 교차 결합이다. 여기에는 1,2-인트라스트랜드 d(GpG) 부가물(약 90%)과 1,2-인트라스트랜드 d(ApG) 부가물이 포함된다. 1,3-인트라스트랜드 d(GpXpG) 부가물도 생성되지만,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NER)에 의해 쉽게 제거된다. 그 외에도 인터스트랜드 교차 결합과 비기능성 부가물 등이 시스플라틴의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25]
손상된 DNA는 DNA 복구 메커니즘을 유발하며, 복구가 불가능할 경우 세포자멸사를 활성화한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인간 대장암 세포에서 시스플라틴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는 미토콘드리아 세린-프로테아제 Omi/Htra2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그러나 다른 조직의 암세포에서 Omi/Htra2 단백질의 역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3]
시스플라틴 병용 화학 요법은 많은 암 치료의 기본이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결국 시스플라틴 내성 질환으로 재발한다. 시스플라틴 내성 기전에는 세포 내 약물 흡수 및 유출 변화, 약물 해독 증가, 세포자멸사 억제, DNA 복구 증가, 대사 변화 등이 있다.[26][27]
실험실에서는 옥살리플라틴이 시스플라틴 내성 암세포에 효과적이지만, 임상 효과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27] 파클리탁셀은 시스플라틴 내성 암 치료에 유용할 수 있지만, 그 작용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28]
트랜스플라틴(''trans''-[PtCl2(NH3)2])은 시스플라틴의 트랜스 이성질체로, 항암 효과가 거의 없다. 이는 트랜스플라틴의 클로로 리간드의 ''trans'' 배열이 더 큰 화학적 반응성을 부여하여 DNA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화되기 쉽고, 입체 배열 때문에 1,2-인트라스트랜드 d(GpG) 부가체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29]
4. 의학적 사용
시스플라틴은 정맥 주사로 투여되며, 다양한 암 치료에 사용된다. 특히 1974년 이전 5~10%에 불과했던 고환암 완화율을 1984년에는 75~85%까지 향상시켰다.[9]
하지만 시스플라틴은 여러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신독성(신장 손상): 시스플라틴이 근위 세뇨관에 축적되어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기능 이상, 활성 산소종과 염증을 유발한다.[10]
- 신경 독성(신경 손상): 시스플라틴이 막 결합 나트륨-수소 이온 수송체를 억제하여 발생하며, 시각 및 청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12]
- 오심 및 구토: 예방적 항구토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병용하여 관리한다.
- 이독성(청력 손실): 맥관 줄무늬의 멜라닌에 결합하거나 활성 산소종 생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위험을 줄일 수 있다.[15][16][17]
- 전해질 이상: 저마그네슘혈증,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용혈성 빈혈: 드물게 발생한다.
4. 1. 적용 암 종류
시스플라틴은 육종, 일부 암종(예: 소세포폐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난소암), 림프종, 방광암, 자궁경부암,[8] 및 생식세포종양 등 다양한 유형의 암 치료에 사용된다.1974년 이전 고환암 치료에서 시스플라틴 도입 전 완화율은 5~10%였으나, 1984년에는 75~85%로 향상되었다.[9]
암 종류 |
---|
고환종양, 방광암, 신우·요관종양, 전립선암, 난소암, 두경부암, 비소세포폐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위암, 소세포폐암, 골육종, 배세포종양(고환종양, 난소종양, 성선외종양) |
악성흉막중피종 (페메트렉세드와 병용) |
악성골종양, 자궁체암(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 전이·재발 시 항암화학요법) (독소루비신과 병용) |
재발·난치성 악성림프종, 소아 악성 고형종양(횡문근육종, 신경아세포종, 간모세포종 기타 간 원발악성종양, 수모세포종 등) |
요로상피암 (M-VAC 요법: 시스플라틴, 메토트렉세이트, 빈블라스틴 및 독소루비신과의 병용요법) |
간세포암 |
4. 2. 투여 방법
시스플라틴은 고형암과 혈액암 치료를 위해 생리식염수에 짧은 기간 동안 정맥 주사로 투여된다. 육종, 일부 암종(예: 소세포폐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난소암), 림프종, 방광암, 자궁경부암,[8] 및 생식세포종양 등 다양한 유형의 암 치료에 사용된다.본제를 정맥주사할 때, 염화물 이온 농도가 낮은 수액을 사용하면 SN₂ 반응으로 가수분해되어 세포 내에 도달하기 전에 수액 중에서 염화물 이온이 물로 치환된 활성형이 되어버려 신독성이 나타나기 쉬워지고 세포 내로 들어가기 어려워지므로, 반드시 염화물 이온이 어느 정도 포함된 수액을 사용해야 한다.[59]
4. 3. 부작용 및 관리
시스플라틴은 여러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신독성(신장 손상): 주요 용량 제한 부작용이며,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시스플라틴은 근위 세뇨관에 선택적으로 축적되어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와 소포체 Ca2+ 항상성을 방해하고 활성 산소종과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을 자극한다.[10] 대한민국에서는 수분 공급 요법, 아미포스틴, 수송체 억제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및 유사체를 포함한 여러 완화 전략이 임상적으로 그리고 전임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10][11] 일본에서는 신조직 내 시스플라틴 농도를 저하시켜 독성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수분 공급(하이드레이션) 및 강제 이뇨를 실시한다. 투여 시에는 요량을 조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부클레마이드에 의한 강제 이뇨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신장 장애, 청각 장애가 증강될 수 있으므로, 수액 등에 의한 수분 보급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신경 독성(신경 손상): 치료 전후에 신경 전도 검사를 수행하여 예측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신경계 부작용으로는 시각 인지 및 청력 장애가 있으며, 치료 시작 후 곧 발생할 수 있다.[12] 시스플라틴은 NHE-1으로 알려진 막 결합 기계 감각성 나트륨-수소 이온 수송체를 비경쟁적으로 억제한다.[12] 이는 주로 말초 신경계 세포에서 발견되며, 안구 및 청각 자극 수용 중심 근처에 다량으로 응집되어 있다. 이 비경쟁적 상호 작용은 수전해질 불균형과 세포골격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NHE-1 억제는 용량 의존적(반 억제 = 30 μg/mL)이고 가역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2] 시스플라틴은 중추 신경계에서 스핑고신-1-인산염 수치를 증가시켜 항암화학요법 후 인지 장애의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13][14]
- 오심 및 구토: 시스플라틴은 가장 구토 유발성이 강한 항암 화학 요법 약물 중 하나이지만, 예방적 항구토제(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등)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병용하여 관리한다. 아프레피탄트와 온단세트론, 덱사메타손을 병용하는 것이 온단세트론과 덱사메타손만 사용하는 것보다 구토 유발성이 매우 강한 항암 화학 요법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급성 오심·구토에 대해 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아자세트론과 같은 5-HT3 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함으로써 발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지연성 구토나 예측성 구토에 대해서는 메틸프레드니솔론이나 덱사메타손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5-HT3 수용체 길항제 또는 메토클로프라미드 등과의 병용이 임상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 이독성 및 청력 상실: 심각할 수 있으며, 용량 제한 부작용으로 간주된다.[3] 이독성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해 청력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약물(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 계열 등)도 이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시스플라틴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이 계열의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피한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시스플라틴의 이독성은 내이의 맥관 줄무늬에 있는 멜라닌에 결합하는 능력 또는 활성 산소종 생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2022년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Pedmark 브랜드로 티오황산나트륨을 승인하여 시스플라틴을 투여받는 사람들의 이독성과 청력 손실 위험을 줄였다.[15][16][17] 아세틸시스테인 주사를 예방 조치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3][18] 일본에서는 와우각(蝸牛)의 외측 유모 세포 손상으로 청력 저하, 난청, 이명 등의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며, 총 투여량이 300mg/m2 이상이 되면 발현 빈도가 높아진다. 비가역적이며,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투여 중단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청력 검사(오디오그램)를 실시하고, 손상의 징후가 나타나면 투여 지속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 전해질 이상: 시스플라틴은 저마그네슘혈증, 저칼륨혈증 및 저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저칼슘혈증은 시스플라틴으로 인한 저마그네슘혈증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시스플라틴이 주요 원인은 아니다.
- 용혈성 빈혈: 여러 차례 시스플라틴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다. 시스플라틴-적혈구 막과 반응하는 항체가 용혈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19] 일본에서도 장기간에 걸친 시스플라틴 복용이 원인이며, 체내에 있는 항체가 시스플라틴과 반응하여 용혈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진다.[57]
최근 시스플라틴을 이용한 암 치료는 흔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복용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시스플라틴 내성이 강한 질병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내성 메커니즘으로는 세포 외로의 약물 유출, 약물의 무효화, 아포토시스 억제, DNA 복구 보조 등이 있다. 연구실 실험에서는 시스플라틴 내성이 있는 암세포에 활발한 옥살리플라틴이 많이 관찰되지만, 환자의 암세포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실은 적다.[55] 시스플라틴 내성이 있는 암세포 치료에는 파클리탁셀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지만, 그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56]
5. 사회적 관점
시스플라틴은 효과적인 항암제이지만, 약가와 접근성 문제는 환자들에게 큰 부담을 준다.
5. 1. 연구 개발 현황
시스플라틴의 부작용과 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효과적이고 독성이 적은 새로운 Pt(II) 및 Pd(II) 화합물을 찾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다.[49] 가변 길이의 알칸디아민 사슬로 연결된 시스플라틴 유사 분자([PtCl(NH3)2] 및 [Pt(NH3)Cl2])는 항암 화학 요법에서 주목받고 있다.[50][51][52]시스플라틴 내성은 많은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이며, 세포 외 약물 유출, 약물 무효화, 아포토시스(apoptosis) 억제, DNA 복구 보조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관여한다. 실험실 연구에서는 시스플라틴 내성 암세포에 옥살리플라틴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환자에게서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55] 파클리탁셀이 시스플라틴 내성 암세포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그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56]
시스플라틴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정상 조직의 독성을 줄이기 위해 오거 치료법과의 병용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48]
참조
[1]
웹사이트
Cisplatin Use During Pregnancy
https://www.drugs.co[...]
2019-09-12
[2]
논문
The side effects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drugs: a review for chemists
2018-05-01
[3]
논문
Cisplatin-Induced Ototoxicity: Effects, Mechanisms and Protection Strategies
2015-07-01
[4]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01-01
[5]
웹사이트
Cisplatin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6]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7]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8]
웹사이트
Cisplatin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03-02
[9]
논문
Treatment of testicular cancer: a new and improved model
1990-11-01
[10]
논문
Mechanisms of Cisplatin Nephrotoxicity.
2010-10-01
[11]
논문
New Alkoxy- Analogues of Epoxyeicosatrienoic Acids Attenuate Cisplatin Nephrotoxicity In Vitro via Reduction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Oxidative Stres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and Caspase Activation.
2021-11-01
[12]
논문
Nongenomic effects of cisplatin: acute inhibition of mechanosensitive transporters and channels without actin remodeling
https://www.scienced[...]
2010-10-01
[13]
논문
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1 activ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drives cisplatin-induced cognitive impairment
2022-09-01
[14]
뉴스
Unlocking the Mystery of "Chemo Brain"
https://neuroscience[...]
2022-09-02
[15]
논문
Sodium thiosulfate for prevention of cisplatin-induced hearing loss: updated survival from ACCL0431
2022-05-01
[16]
웹사이트
Sodium Thiosulfate Reduces Hearing Loss in Kids with Cancer
https://www.cancer.g[...]
2022-10-06
[17]
웹사이트
FDA approves sodium thiosulfate to reduce the risk of ototoxicity associated with cisplatin in pediatric patients with localized, non-metastatic solid tumors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2-09-20
[18]
논문
Transtympanic Injections of N-acetylcysteine and Dexamethasone for Prevention of Cisplatin-Induced Ototoxicity: Double 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2018-06-01
[19]
논문
Haemolytic anaemia after cisplatin treatment
1981-06-01
[20]
논문
Cellular processing of platinum anticancer drugs
2005-04-01
[21]
논문
The Next Generation of Platinum Drugs: Targeted Pt(II) Agents, Nanoparticle Delivery, and Pt(IV) Prodrugs
2016-03-01
[22]
논문
Preparation and structure of cis-chlorodiammine (N2, N2-dimethyl-9-methylguanine) platinum (II) hexafluorophosphate. A model for the intermediate in the proposed crosslinking mode of action of platinum (II) antitumor agents.
1982-10-01
[23]
논문
Participation of Omi Htra2 serine-protease activity in the apoptosis induced by cisplatin on SW480 colon cancer cells
2008-06-01
[24]
논문
X-ray structure of the major adduct of the anticancer drug cisplatin with DNA: cis-[Pt(NH3)2(d(pGpG))]
1985-10-01
[25]
논문
Cisplatin DNA damage and repair maps of the human genome at single-nucleotide resolution
2016-10-01
[26]
논문
Cisplatin resistance involves a metabolic reprogramming through ROS and PGC-1α in NSCLC which can be overcome by OXPHOS inhibition
2019-05-01
[27]
논문
Understanding cisplatin resistance using cellular models
http://doras.dcu.ie/[...]
2007-11-01
[28]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platinum and taxane resistance from bench to clinic: an inverse relationship
http://doras.dcu.ie/[...]
2007-12-01
[29]
논문
Trans-platinum complexes in cancer therapy
2007-01-01
[30]
서적
Inorganic Chemistry
Prentice Hall
1999-01-01
[31]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Prentice Hall
2005-01-01
[32]
논문
Michele Peyrone (1813–1883), Discoverer of Cisplatin
https://technology.m[...]
2010-01-01
[33]
논문
Ueber die Einwirkung des Ammoniaks auf Platinchlorür
https://zenodo.org/r[...]
[34]
논문
Cisplatin
http://pubs.acs.org/[...]
2005-06-20
[35]
논문
Inhibition of cell division in Escherichia coli by electrolysis products from a platinum electrode
1965-02-01
[36]
논문
The inhibition of growth or cell division in Escherichia coli by different ionic species of platinum(IV) complexes
1967-03-00
[37]
서적
The Discovery, Use and Impact of Platinum Salts as Chemotherapy Agent for Cancer
[38]
논문
Platinum compounds: a new class of potent antitumour agents
1969-04-00
[39]
서적
Reputation and power: organizational image and pharmaceutical regulation at the F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Approval Summary for cisplatin for Metastatic ovarian tumors
http://www.accessdat[...]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78-12-19
[41]
논문
Cisplatin in the treatment of cancer
[42]
논문
The resurgence of platinum-based cancer chemotherapy
[43]
논문
Outcome for children with medulloblastoma treated with radiation and cisplatin, CCNU, and vincristine chemotherapy
1994-11-00
[44]
논문
Improved survival with the use of adjuvant 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medulloblastoma
1991-03-00
[45]
논문
Cisplatin
1970-00-00
[46]
논문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isplatin
2006-00-00
[47]
서적
Facile Synthesis of Isomerically Pure cis -Dichlorodiammineplatinum(II), Cisplatin
[48]
논문
Auger electrons for cancer therapy - a review
2019-10-00
[49]
논문
Pt(II) vs Pd(II) Polyamine Complexes as New Anticancer Drugs: A Structure- Activity Study
https://www.eurekase[...]
2006-00-00
[50]
논문
Cytotoxic activity of metal complexes of biogenic polyamines: polynuclear platinum(II) chelates
2004-05-00
[51]
논문
Synthesis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 new dinuclear platinum(III) complex, [Pt 2 Cl 4 (NH 3 ) 2 {μ-HN=C(O)Bu t } 2 ]
https://scripts.iucr[...]
2022-12-01
[52]
논문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of cytotoxic activities of Pt(II), Pd(II), Ru(II)/(III) and Au(III) complexes, their kinetics of ligand substitution reactions and DNA/BSA interactions
2020-11-00
[53]
간행물
Michele Peyrone (1813–1883), Discoverer of Cisplatin
http://www.platinumm[...]
[54]
논문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isplatin
2006-00-00
[55]
논문
Understanding cisplatin resistance using cellular models
2007-11-00
[56]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platinum and taxane resistance from bench to clinic: an inverse relationship
2007-12-00
[57]
논문
Haemolytic anaemia after cisplatin treatment
1981-06-00
[58]
논문
Nongenomic effects of cisplatin: acute inhibition of mechanosensitive transporters and channels without actin remodeling
[59]
웹사이트
Pharmacokinetics of hypotonic cisplatin chemotherapy administered into the peritoneal and the pleural cavities in experimental model.
http://www.ncbi.nlm.[...]
2011-11-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진단 늦고 희망 짧다’던 담도암, 건강보험 개정으로 ‘새 빛’ [건강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